KR0175323B1 - 유체제어밸브 및 유체제어 밸브용 밸브 유지부재 및 그 유체제어밸브를 사용한 자동차용 아이들 공기량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유체제어밸브 및 유체제어 밸브용 밸브 유지부재 및 그 유체제어밸브를 사용한 자동차용 아이들 공기량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5323B1
KR0175323B1 KR1019910005455A KR910005455A KR0175323B1 KR 0175323 B1 KR0175323 B1 KR 0175323B1 KR 1019910005455 A KR1019910005455 A KR 1019910005455A KR 910005455 A KR910005455 A KR 910005455A KR 0175323 B1 KR0175323 B1 KR 0175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haft
force
spring
val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5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8707A (ko
Inventor
유끼 에지리
쯔도무 오까자끼
고이찌로오 야마다
지아끼 니이다
히로아끼 사에끼
히데끼 홈마
Original Assignee
미다 가쓰시게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모리 미찌쯔구
히다찌 오토모티브 엔지니어링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다 가쓰시게,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모리 미찌쯔구, 히다찌 오토모티브 엔지니어링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미다 가쓰시게
Publication of KR910018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8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5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53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00Idling devices for carburettors
    • F02M3/06Increasing idling speed
    • F02M3/07Increasing idling speed by positioning the throttle flap stop, or by changing the fuel flow cross-sectional area, by electrical, electromechanical or electropneumatic means, according to engine speed
    • F02M3/075Increasing idling speed by positioning the throttle flap stop, or by changing the fuel flow cross-sectional area, by electrical, electromechanical or electropneumatic means, according to engine speed the valve altering the fuel conduit cross-section being a slidable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9/00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 F02M69/30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characterised by means for facilitating the starting-up or idling of engines or by means for enriching fuel charge, e.g. below operational temperatures or upon high power demand of engines
    • F02M69/32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characterised by means for facilitating the starting-up or idling of engines or by means for enriching fuel charge, e.g. below operational temperatures or upon high power demand of engines with an air by-pass around the air throttle valve or with an auxiliary air passage, e.g. with a variably controlled valve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축의 축 직각방향으로의 진동을 흡수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밸브축을 베어링의 내벽면으로 가볍게 압압하는 압압력을 부여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또, 밸브축과 밸브의 케이스체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탄성편으로 끼워도 좋다.
또 이들 압압력이나 끼우기 위한 힘은 밸브축의 축방향으로의 진퇴 운동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힘으로 제한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유체제어밸브에 사용되는 밸브축의 유지부재는 중심에 밸브축의 끼워진 구멍을 갖는 원판과 주위에 형성된 환상체와 일단이 원판 또는 환상체로 고정되고, 타단이 구멍의 중심근방까지 연장설치된 탄성편을 가지며, 환상체 부분이 밸브의 케이스체 내주면에 고정됨과 동시에 탄성편의 선단이 구멍을 관통하는 밸브축으로 압압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유체제어밸브 및 유체제어밸브용 밸브 유지부재 및 그 유체제어밸브를 사용한 자동차용 아이들 공기량 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밸브의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진동억제부재의 사시도.
제3도는 진동억제부재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이 되는 제어밸브의 적용예를 나타낸 시스템도.
제5도는 진동억제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6도는 제5도의 진동억제부재를 사용한 제어밸브의 요부 단면도.
제7도는 제어밸브의 오리피수부의 개량구조를 나타낸 부분확대 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개량된 오리피스구조에 의한 효과의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8 : 진동억제부재 19 : 판스프링
101 : 밸브케이스 104 : 밸브
105 : 중심축 107 : 밸브시트
110 : 다이아프램 112 : 솔레노이드 케이스
114 : 플랜저 116 : 솔레노이드 조립체
121 : 밸브체
본 발명은 액체의 유량을 제어하는 개폐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축에 고정된 밸브체를 축을 따라 진퇴시킴으로써 유체를 제어하는 유체 제어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특개 소56-94079호 공보에서 알려져 있는 유체제어밸브, 미국 특허 제4,360,161호 명세서 등에서 알 수 있는 자동차의 연료분사밸브, 일본국 특개 소64-24133호 공보에서 알 수 있는 자동차용 아이들 공기량 제어밸브등은, 밸브체가 부착된 봉형상의 밸브축을 전자 솔레노이드 등의 구동력원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진퇴시키고, 이에 의하여 밸브를 개폐하여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밸브축은 베어링부에 존재하는 미소간극이 밸브축의 축 직각방향으로의 진동, 경사를 발생시키는 점에 관하여 배려되어 있지 않고, 유체의 유량특성에 재현성이 없거나, 밸브축이 마모되어 그 마모분이 밸브축과 베어링과의 사이의 간극에 가득 차 밸브축이 움직이지 않게 되고, 이 마모분이 밸브 시이트나 밸브체 표면에 부착, 퇴적되어 밸브구가 완전 폐쇄가 되지 않는 현상을 발생시킬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봉형상의 밸브축의 진동이나 경사를 방지하여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제거하는데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 소56-96079호 공보에 나타낸 유체제어밸브는 밸브축이 판 스프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진퇴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판스프링에 밸브축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축이 진퇴하면 판스프링과 밸브축의 고정부의 궤적은 원호를 그리고, 이 때문에 밸브축은 축선을 따라 똑바로 이동할 수가 없다. 이 때문에 밸브의 축선이 밸브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나 유량제어 특성이 안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밸브축의 축직각 방향으로의 진동을 흡수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밸브축을 베어링의 내벽면에 가볍게 압압하는 압압력을 부여하는 수단을 마련한 것이다.
또, 밸브축과 밸브의 케이스체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탄성편으로 끼워도 좋다.
또한, 이들 압압력이나 끼우기 위한 힘은 밸브축의 축방향으로의 진퇴운동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힘으로 제한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유체 제어밸브에 사용되는 밸브축의 유지부재는 중심에 밸브축이 끼워 넣어지는 구멍을 가지는 원판과 원판이 주위에 형성된 환상체와, 일단이 원판 또는 환상체로 고정되고, 타단이 구멍의 중심 근방까지 연장 설치된 탄성편을 가지며, 환상체 부분이 밸브의 케이스체 내주면에 고정됨과 동시에, 탄성편이 선단이 구멍을 관통하는 밸브축에 압압되도록 되어 있다.
또, 탄성편은 복수개 있어도 좋고, 이 경우는 탄성편 사이에 밸브축이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체 제어밸브는, 밸브축이 베어링 내벽면에 가볍게 압압된 상태에서 진퇴 운동하기 때문에, 밸브축이 축직각 방향으로 진동하는 일이 없다.
또, 밸브축이 축직각방향으로 탄성편으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축이 축직각 방향으로 변위하려고 할 때 이것을 탄성편이 흡수하므로, 밸브축은 축직각 방향으로는 변위하기 어려워져 진동이나 경도를 발생하는 일이 없다.
이렇게 하여 상기한 문제가 없는 유량제어특성이 안정된 유체제어밸브가 얻어질 수 있다.
이것을 자동차의 연료분사밸브에 사용하면 안정된 연료의 계량이 가능하게 되고, 다이내믹 렌지가 넓어져 미소 연료공급시의 제어성이 개선된다.
또 이것을 자동차의 아이들 공기량 제어밸브에 사용하면 기관의 아이들시의 바이패스 공기량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어, 공기량 부족에 의한 엔지스톨이나 공기량 과다에 의한 이상회전 상승이 없어진다.
자동차용 유체 제어에 사용하는 이와 같은 종류의 제어밸브는 특히 엔진진동의 영향을 받기 쉬우나, 밸브축의 제어밸브를 사용함으로써 엔진의 진동으로부터 오는 유량특성의 악화를 해소할 수 있다.
유지부재는 원판과 환상체와 이것들에 고정된 탄성편으로 구성되어, 간단한 구조이고, 또한 제어밸브의 조립시에 밸브의 케이스체 내벽에 환상체를 끼워 맞출 뿐으로 조립되기 때문에 조립작업성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을 자동차의 아이들 공기량 제어밸브에 실시한 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4도는 밸브축의 적용예를 실시한 것으로, 1은 흡기관(2), 배기관(3)이 설치된 엔진이다. 흡기관(2)에는 드로틀밸브(4), 바이패스통로(5)를 갖는 드로틀밸브 챔버(6)가 설치된다. 또한 상류측에는 공기량을 측정하는 베인(7)과 이 베인(7)의 회전각도를 전기출력으로 변환하는 포텐셔미터(8)로 이루어진 에어플로우미터(9)가 설치되고, 다시 상류측에는 에어클리너(10)가 설치된다. 11은 흡기관(2)과 배기관(3)을 연통한 통로의 도중에 배치되고, 배기량의 흡기계로 환류하기 위한 EGR밸브(배기가스 환류밸브)이다.
12은 엔진(1) 냉각수의 수온을 검출하여, 전기 출력으로 변환하는 수온센서, 13은 엔진(1)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전기출력으로 변환하는 크랭크각 센서, 14는 각종 입력신호를 받아, 이것을 연산 처리하여 아이들 회전제어장치(15)나 연료분사밸브(16)에 소정의 출력을 공급하는 연산처리회로(컴퓨터)로서 엔진의 전자에어의 중추부를 담당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장치도 이로부터 입력이 공급된다.
아이들 회전제어장치(15)는 드로틀밸브 챔버(6)의 바이패스통로(5)에 설치되고, 드로틀밸브(4)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 공기량을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아이들 회전 제어장치에 사용하는 공기량 제어밸브의 제1실시예를 제1도에 의해 설명한다.
밸브케이스(101)의 통로(102)는 드로틀밸브의 하류측으로 통하고, 통로(103)는 드로틀밸브의 상류측으로 통하고 있다. 밸브(104)의 중심에 형성된 중심축(105)은 밸브케이스(101)에 고정된 베어링(106)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유지되어 있다. 밸브(104)는 밸브케이스(101)에 고정된 시이트(107)와 접촉함으로써 완전히 통로(102)와 통로(103)사이를 막을 수 있다. 중심축(105)에는 코킹부재(105a)가 고정되어 있어 이 부재(105a)로 플레이트(108)와 플레이트(109)를 죄어붙여 고정하고 있고, 플레이트(108)와 플레이트(109)의 사이에는 다이아프램(110)의 내륜부가 끼워져 있다. 플레이트(108)와 플레이트(109)에는 통로(103)로 통하는 오리피스(111)가 설치되어 있다. 다이아프램(110)의 외륜부는 밸브케이스(101)와 솔레노이드 케이스(112)에 끼워져 있다. 베어링 플레이트(129)는 커버(112)에 고정되고 그 중심의 통형상부에서 그곳을 끼워넣는하는 축(105)을 받치고 있다. 솔레노이드 케이스(112)는 솔레노이드 조립체(116)가 수납 고정되어 있다. 솔레노이드 조립체(116)는 중심축(105)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플랜저(114)와 이 플랜저(114)를 흡인하는 코어(115)와, 코어(115)와 플랜저(114)를 싸도록 형성된 환상코일(116a)과, 플랜저(114)에 고정된 축(117)과, 플랜저(114)를 밸브(104)축으로 누르는 스프링(118)과, 스프링(118)의 세트하중을 조절함과 동시에 축(117)을 그 중심의 베어링 구멍에서 지지하는 어저스트 스크류(119)로 이루어지고, 이것들은 전체가 몰드수지재(120)로 몰드되어 있다. 플랜저(114)에는 고무제의 밸브체(121)가 고정되어 있다. 또 베어링 플레이트(129)와 플랜저(114)의 사이에는 플랜저(114)를 어저스트 스크류(119)측으로 누르는 스프링(113)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솔레노이드는 리니아솔레노이드이고, 전류에 대한 변위는 직선적인 성질을 지니고 있다. 전류를 증가해가면 플랜저(114)가 코어(115)측으로 이동해가고, 밸브체(121)도 플랜저(114)와 함께 이동하기 때문에 중심축(105)의 단부로부터 밸브체(121)가 떨어진다. 그러면 통로(102)의 부압은 구멍(122)을 통하여, 중심축(105)내의 통로(131), 선단의 오리피스(132)를 통하여, 다이아프램(110)과 솔레노이드 케이스(112)사이의 챔버(123)에 도입된다. 부압은 오리피스(111)를 통하여 조금은 빠지나, 도입된 부압량이 많기 때문에 챔버(123)내는 통로(103)내의 압력보다 낮아져, 통로(103)와의 사이의 압력차로 다이아프램(110)을 도면 좌측으로 잡아당겨 축(105)을 거쳐 밸브(104)를 열리게 한다. 오리피스(111)로부터 빠지는 부압과 밸브체(121)로부터 도입되는 부압의 균형으로 플랜저(114)의 밸브체(121)에 중심축(105)의 선단 오리피스(132)가 밀착하도록 이동한다. 오리피스(132)가 폐쇄되면 오리피스(111)를 통하여, 압력이 평형이 되려고 한다. 이에 따라 다이아프램(110)이 도면 우측으로 변위하여, 오리피스(132)가 열려 다시 통로(102)의 부압이 챔버(123)에 도입되어 다이아프램(110)은 도면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플랜저(114)가 이동한 위치에 따라 밸브(104)가 이동하고 그 위치로 유지된다.
스프링(113,118,130)은 진동 등에 의하여 밸브(104), 밸브체(121)(즉, 플랜저(114))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솔레노이드의 후단에 설치된 어저스트 스크류(119)는, 스프링(118)의 생산상, 조립상의 하중의 불균일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장치는 통전이 없을 때 밸브를 완전히 폐쇄하는 것 이외에 다이아프램(110)이 파괴되어도 밸브는 닫혀져 있고, 오리피스(111)가 막혀도, 밸브(121)가 닫혀 있는 한 밸브는 열리지 않는다. 이와 같이 각 부가 고장났을 때, 밸브(104)는 닫혀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중심축(105)은 베어링(106)과 베어링 플레이트(129)로 지지되어 상기한 스프링(113,118 또는 130)에서 축방향으로 가세되어 있으나, 그것만으로는 밸브(104) 및 중심축(105) 반경방향의 진동을 억제할 수 없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2도에 나타낸 진동억제부재를 밸브케이스(101)의 내주에 설치하였다. 진동억제부재(18)는 얇은 금속판제로 컵형상을 이루고, 그 원판부(21)의 중심에는 중심축(105)을 끼워 넣는 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원판부(21)에는 판스프링(19)이 리벳(17)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판스프링(19)은 중심축(105)을 구멍에 끼워넣었을 때, 중심축(105)의 외면에 소정의 압압력으로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컵 형상의 진동억제부재(18)는 그 외주의 환상부(20)를 밸브케이스(101)의 내주환상부에 맞춤으로써 그곳에 고정된다.
다음에 제어밸브의 조립에 관하여 설명한다.
솔레노이드 조립체(116)는 솔레노이드 케이스(112)의 내부에 시일링(131)을 끼워 수납하고, 케이스(112)의 선단을 솔레노이드 조립체(116)의 몰드수지 표면에 코킹하여 고정한다.
축(117)의 선단에 고무제의 밸브체(121)를 몰드 성형하고 이것을 플랜저(114)의 중심 구멍에 눌러 맞춰 양자를 고정한다.
이 플랜저 조립체의 축(117) 주위에 스프링(118)을 설치하고, 이 축(117)을 어저스트 스크류(119)의 베어링 구멍에 끼워넣으면서 플랜저(114)를 솔레노이드(116a)의 중심구멍에 유동 가능하게 한다.
이어서 스프링(113)을 플랜저(114)의 중심구멍에 세트하여 솔레노이드(116a)의 단면에 베어링 플레이트(129)를 고정하여 이것으로 스프링의 편단을 받는다. 플랜저(114)는 이때 스프링(113,118)의 압압력이 균형이 잡힌 곳에 위치한다.
한편, 중심축(105)에는 코킹금속구(105a)가 고정되고, 이것에 플레이트(108), 다이아프램(110), 플레이트(109)의 순서로 제1도 좌측으로부터 금속구에 세트하고, 금속구의 좌단을 외측으로 접어 구부려 3자를 코킹하여 고정한다. 이어서 진동억제부재를 중심축에 끼워넣고, 그후 중심축이 정해진 위치에 밸브(104)를 몰드성형에 의하여 성형 고정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중심축 조립체는, 밸브(104)측 단부를 스프링(130)이 그 주위에 배치된 베어링(106)의 구멍에 끼운 상태로 진동억제부재(13)의 외주 원통부를 밸브케이스(101)의 내주면에 압입하여 고정한다.
다이아프램(110)의 외주연을 밸브케이스(101)의 개구부의 주위단면에 형성된 평탄부에 유지하면서, 중심축(105)의 다이아프램 측단을 베어링 플레이트(129)의 베어링 구멍으로부터 플랜저의 중심구멍에 찔러 넣어 그 선단을 밸브체(121)의 단면에 접촉시키면서 솔레노이드 케이스(112)의 개구측 둘레단면을 다이아프램(110)의 주연에 중첩되고, 이 상태로 밸브케이스(101)의 단부주연을 내측으로 접어 구부려 솔레노이드 케이스(112)의 단부주연 위에 코킹하고 그리고 다이아프램(110)을 끼운 상태로 양자를 이 부분에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는 스프링(118)이 스프링(113,130)의 힘에 저항하여 중심축을 도면 우측에 소정의 힘으로 압압하고, 이에 의하여 밸브(104)는 시이트(107)에 소정의 압력으로 압압하게 된다.
또 판스프링(19)은 중심축(105)에 축 직각방향의 밀어붙이는 힘, 소위 사이드포스를 가하고, 그 결과 중심축(105)과 베어링 플레이트(129)의 베어링을 형성하는 통상부 및 베어링(106)의 베어링 구멍의 내주면에 소정의 사이드포스로 압압한다. 이렇게 하여 중심축(105)은 기관으로부터 전해지는 진동에 대하여 독립된 질량체로서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밸브조립체나 솔레노이드 조립체 부재의 일부로서 진동의 작용을 받기 때문에, 독립하여 중심축 조립체가 진동하는 일이 없어진다.
그러나, 이 사이드포스가 작용하면, 스프링(118)이나 스프링(130)의 힘이 약하면 중심축 조립체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없게 되기 때문에, 그만큼 강한 스프링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스프링의 힘은 사이드포스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값으로 결정해야만 한다. 무엇보다도 스프링(118)의 힘을 강하게 하면 플랜저(114)를 흡인하는 전자력도 크게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 전자흡인력도 고려하여 스프링의 힘을 설정해야만 한다.
또한, 제1도의 120은 몰드수지재이고, 이 내부에 설치된 접속단자를 거쳐 외부전원단자에 접속되고, 솔레노이드(116a)에 전력을 공급한다.
112은 어저스트 스크류(119)를 세트한 후 그 외측을 막는 블라인드콕크이다.
123은 솔레노이드(116)의 권선을 감는 보빈의 내주면에 형성한 표면이 저마찰 계수를 나타내는 층이고 비자성재 제품 얇은 금속관이나 수지관 또는 이황화몰리브덴 등의 고체 윤활재의 코팅층 등으로 형성된 것으로, 플랜저(114)의 축방향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하 진동억제부재(18)의 대안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2도에서는 판스프링(19)을 형성한 부재를 리벳(17)으로 원판부(21)에 고정했으나, 리벳(17) 대신에 스포트용접으로 고정하여도 좋다.
제3도에 나타낸 것으로 선 형상의 스프링으로 구성한 것을 나타낸다. 이 스프링(19a)은 중심축(105)에 걸리는 만곡부와 컵형상부재의 저면주연부에 탄발력으로 유지하는 용수철부로 이루어지고, 용수철부를 내측으로 압축시켜 컵형상 부재내에 넣고, 이것을 놓았을 때의 팽창력으로 컵형상 부재의 내주연에 유지하는 것이다.
제5도의 예는 대칭으로 형성된 2개의 판스프링을 갖는 부재를 원판부(21)에 형성한 잘라세운 조각에 기워 이 잘라세운 조각(21a)을 코킹함으로써 고정한 것이다.
제6도 판스프링편(19c,19d) 2개를 갖는 진동억제부재를 밸브케이스(101)에 조립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중심축(105)이 양 판스프링편(19c,19d)에 끼워진 상태로 유지되므로 중심축이 베어링(106)이나 베어링 플레이트에 압압되는 일이 없어 축방향의 움직임이 더욱 순조롭게 된다.
다음에 제7도, 제8도에 의거하여 중심축(105)의 선단부 및 그곳을 형성한 오리피스(132)의 형상에 관한 개량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중심축(105)의 선단을 원추상으로 형성하고, 밸브체(121)와의 접촉부가 면이 아니고 선접촉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오리피스의 지름 1.2mm, 원추면 각도(θ)를 7˚로 하여, 밸브체(121)와 오리피스부와의 접촉을 실질적으로 원선(圓線)으로 접촉하도록 하였다.
이것과 종래의 면접촉의 경우를 그 흡착력으로 비교하면,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 스트로크를 크게하면 가면 밸브체(121)와 중심축(105)과의 사이의 흡착력이 일단 약 30%정도(약 3g) 상승하고 있었던 것에 비하여, 본 실시예의 경우 흡착력은 상승하지 않고, 그 감소도 빨라졌다.
종래 흡착력이 너무 커서 양자를 떼어놓기 위하여 다이아프램(110)이 크게 변위할 필요가 있고, 그 결과 떼어 놓은 후의 밸브체(121)와 중심축(105) 선단과의 거리가 너무 커져 밸브(104)가 그만큼 불필요하게 변위하여 공기유량의 제어특성이 오버슈트 현상을 일으키고 있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양자간의 흡입력을 대단히 작게 하였기 때문에, 이 오버슈트 현상을 없앨 수가 있었다.
이 결과, 사이드포스를 중심축에 작용시켜도 중심축의 축방향의 움직임이 불안정하게 되지 않고, 사이드포스를 작용시키는 기술을 실현시킬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심축의 라디알 방향에 대한 진동이 억제되어, 밸브의 불안정한 움직임을 없앨 수가 있었다.

Claims (13)

  1. 유체유로의 동중에 배치된 개폐밸브, 이 개폐밸브를 축방향으로 진퇴시키도록 이 밸브체에 고정된 축, 이 축에 추진력을 가하는 구동력원, 상기 축을 진퇴 자유롭게 지지하는 베어링수단, 상기 축에 축직각방향의 압압력을 부여하여 상기 축을 상기 베어링의 내벽면에 소정의 힘으로 압압하는 축압압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제어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원이 전자솔레노이드를 사용한 자기 흡입력 발생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축이 이 자기흡입력에 의하여 흡입되는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제어밸브.
  3. 내연기관의 흡기통로에 설치한 흡기 드로틀밸브의 상류와 하류를 연통하는 바이패스 통로에 배치된 제어밸브로서, 밸브체가 설치된 봉형상의 밸브축을 그 밸브축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솔레노이드에의 통전량에 따라 이 밸브축를 축방향으로 변위시켜 상기 바이패스 통로의 통로면적을 변화시켜, 상기 바이패스통로를 통과하는 공기량을 제어하는 내연기관의 아이들 회전수 제어밸브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밸브체와 변위에 대하여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밸브축를 설치한 축을 축직각방향으로 가세하는 압압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아이들 공기량 제어장치.
  4. 유체유로의 입구와 출구 사이에 설치한 밸브구, 이 밸브구에 대향하여 설치한 밸브체, 그 밸브체를 동작시키는 축, 이 축의 양단을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플랜저에 축방향의 힘을 작용시키기 위한 전자석장치, 상기 밸브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밸브체를 가세하는 코일스프링, 상기 축을 상기 베어링의 내벽면에 압압하는 힘을 부여하는 상기 스프링과는 별개의 스프링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제어밸브.
  5. 흡기관을 바이패스하는 공기통로내에 설치되고 솔레노이드에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위치가 결정되는 플랜저와 중공의 축과 그 축상에 설치된 밸브와 다이아프램 기구를 가지며, 상기 축의 일단이 상기 밸브의 하류측에 개구하고, 타단이 상기 다이아프램에 의하여 간막이된 부압실에 개구하고, 상기 플랜저에 설치한 시트와의 사이에서 밸브기구를 이루는 아이들 회전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에 대하여 라디알 축방향으로 힘을 주는 스프링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아이들 공기량 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기구가 상기 축을 중심으로 대향하는 래디얼 방향력을 발생하는 2개 이상 설치한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아이들 공기량 제어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기구가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아이들 공기량 제어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기구에 선재(線材)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아이들 공기량 제어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스프링기구의 유지수단을 스포트 용접으로 한 자동차용 아이들 공기량 제어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스프링기구의 유지수단을 유지부재의 소성벤딩에 의한 것으로 한 자동차용 아이들 공기량 제어장치.
  11. 중심부에 밸브축을 끼우기 위한 구멍을 가지는 원판, 이 원판의 주위에 형성됨과 동시에 원판을 밸브의 케이스체에 설치하기 위한 환상설치부재, 상기 원판 또는 환상설치부재에 유지되고, 상기 구멍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구멍을 관통하는 밸브축에 축 직각방향의 압압력을 부여하는 탄성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제어 밸브용 유지부재.
  12. 밸브축의 진동을 방지하는 진동방지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제어밸브.
  13. 제11항에 있어서, 진동방지수단이 밸브케이스 내부에 고정된 적어도 2개의 탄성체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체의 선단 만곡부 사이에 상기 밸브축이 슬라이딩가능하게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제어밸브.
KR1019910005455A 1990-04-06 1991-04-04 유체제어밸브 및 유체제어 밸브용 밸브 유지부재 및 그 유체제어밸브를 사용한 자동차용 아이들 공기량 제어장치 KR01753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90349A JP2620571B2 (ja) 1990-04-06 1990-04-06 自動車のアイドルスピードコントロールバルブ
JP90-090349 1990-04-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707A KR910018707A (ko) 1991-11-30
KR0175323B1 true KR0175323B1 (ko) 1999-03-20

Family

ID=13996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5455A KR0175323B1 (ko) 1990-04-06 1991-04-04 유체제어밸브 및 유체제어 밸브용 밸브 유지부재 및 그 유체제어밸브를 사용한 자동차용 아이들 공기량 제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450633B1 (ko)
JP (1) JP2620571B2 (ko)
KR (1) KR0175323B1 (ko)
DE (1) DE6911111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6233A (ja) * 1992-03-16 1993-10-05 Hitachi Ltd アイドル回転制御装置
JPH06109103A (ja) * 1992-09-24 1994-04-19 Hitachi Ltd エンジン点火系の駆動機構
KR20030015812A (ko) * 2001-10-05 2003-02-25 주식회사 원일 피엘지 차량의 배기 가스 재순환 솔레노이드 밸브
CN114352741A (zh) * 2022-01-20 2022-04-15 广东威灵电机制造有限公司 电子膨胀阀、制冷设备及汽车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07848U (ko) * 1974-02-13 1975-09-04
DE2551340C3 (de) * 1975-11-15 1979-03-08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Luftventil für eine Kraftstoffeinspritzanlage
JPS584759U (ja) * 1981-07-01 1983-01-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アイドル・スピ−ド・コントロ−ル・バルブ
JPS5830524A (ja) * 1981-08-14 1983-02-23 Hitachi Ltd 軸受装置
DE3410993A1 (de) * 1984-03-24 1985-09-26 Vdo Adolf Schindling Ag, 6000 Frankfurt Ventilanordnung
US4617889A (en) * 1984-04-11 1986-10-21 Hitachi, Ltd. Idle speed control device
JPS60194625U (ja) * 1984-06-06 1985-12-25 日本サ−ボ株式会社 軸受装置
JPS61197326U (ko) * 1985-05-30 1986-12-09
JPS62111326U (ko) * 1985-08-07 1987-07-15
KR870006308A (ko) * 1985-12-10 1987-07-10 미타 가쓰시게 자동차용 아이들회전 제어장치
JP2506117B2 (ja) * 1987-07-21 1996-06-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アイドリング回転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620571B2 (ja) 1997-06-18
DE69111111D1 (de) 1995-08-17
KR910018707A (ko) 1991-11-30
DE69111111T2 (de) 1996-01-18
EP0450633B1 (en) 1995-07-12
JPH03290056A (ja) 1991-12-19
EP0450633A1 (en) 1991-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9741A (en) Vapor purge valve having tapered bead armature seal
US5238222A (en) Flow control valve
US4291860A (en) Solenoid valves, particularly for carburetors
US4585174A (en) Electro-magnetically operable valve
KR100213593B1 (ko) 유량 제어 밸브
US5139227A (en) Proportional flow control valve
US4813647A (en) Electromagnetic actuator for controlling fluid flow
JP3531334B2 (ja) 流体制御用電磁弁
KR0175323B1 (ko) 유체제어밸브 및 유체제어 밸브용 밸브 유지부재 및 그 유체제어밸브를 사용한 자동차용 아이들 공기량 제어장치
US6065447A (en) Idle speed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666693B2 (ja) 電磁式燃料噴射装置
JPS6124588B2 (ko)
JPS6134030B2 (ko)
JP2605927B2 (ja) 比例流量制御バルブ
US6571766B2 (en) Idle speed controll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WO2021149659A1 (ja) 燃料噴射弁
JPS6233089Y2 (ko)
JP3010935B2 (ja) 自動車用エンジンのアイドル空気量制御装置
JPH0337487A (ja) 電磁比例制御弁
JPH0339657Y2 (ko)
JPH1194115A (ja) 流量制御弁
JPH05141545A (ja) 比例流量制御バルブ
JPH0435650Y2 (ko)
JPH07113430B2 (ja) 比例流量制御バルブ
JPH05141559A (ja) 比例流量制御バル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