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4791B1 - 보강재가 삽입된 합성수지 판넬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보강재가 삽입된 합성수지 판넬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4791B1
KR0174791B1 KR1019960002581A KR19960002581A KR0174791B1 KR 0174791 B1 KR0174791 B1 KR 0174791B1 KR 1019960002581 A KR1019960002581 A KR 1019960002581A KR 19960002581 A KR19960002581 A KR 19960002581A KR 0174791 B1 KR0174791 B1 KR 0174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ortion
side plate
heat transfer
reinforcement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2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1495A (ko
Inventor
변무원
Original Assignee
변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무원 filed Critical 변무원
Priority to KR1019960002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4791B1/ko
Publication of KR970061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1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4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47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5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이중 판넬에 보강재를 삽입하여 외적인 하중에 대응하는 구조적 강도를 가지도록 하여 주는 것으로써, 단면상 파형의 형상을 가지며 폭방향으로 반복적으로 굴곡되는 굴곡판부(100)와, 상기 굴곡판부의 일측면에 일정한 간격마다 길이방향으로 중공부(200)들이 형성되면서 일체로 부착되는 일측판부(300)로 구성하되, 상기 굴곡판부(100)의 폭방향으로 일정한 위치마다 가로보강재(500)가 삽입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재가 삽입된 합성수지 판넬 및,
이미 단면상 파형으로 만들어진 굴곡판부(100)의 폭방향으로 필요한 위치마다 가로보강재(500)를 삽입하는 가로 보강재 삽입단계와, 상기 가로보강재(500)가 삽입된 굴곡판부(100)의 양면에 일측판부(300) 및 타측판부(400)를 배치하여 형틀(700)내부에 배치하되, 일측판부(300)와 굴곡판부(100) 사이와 타측판부(400)와 굴곡판부(100) 사이에 전선(810)으로 전원과 연결된 제1 전열판(800) 및 제2전열판(800a)을 각각 끼워 넣는 판부들과 전열판들을 형틀 내부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1전열판(800) 및 제2전열판(800a)들에 접촉된 일측판부(300)와 굴곡판부(100) 및 타측판부(400)들이 소정의 상태로 용융되도록 제1,2전열판들을 가열하는 전열판 가열단계와, 상기 가열된 제1,2전열판들을 뽑아내고 일측판부(300)와 굴곡판부(100) 및 타측판부(400)를 형틀(700)에 압력을 가하여 접합부를 일체로 접합하는 접합단계와, 상기 굴곡판부(100)의 양면에 일측 및 타측판부들의 접합부가 경화된 후 상기 형틀(700)을 탈리시키는 형틀탈리단계로 완료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재가 삽입된 합성수지 판넬의 제조방법이다.

Description

보강재가 삽입된 합성수지 판넬 및 그의 제조방법
제1도의 (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b)는 제1도의 (a)의 A-A선 단면도.
제2도의 (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b)는 제2도의 (a)의 B-B선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일부절개 사시도.
제4도의 (a)-(d)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공정순서를 도시한 예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공정을 도시한 예시도.
제7도는 볼 발명의 제조된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제8도의 (a)는 종래의 것을 도시한 사시도.
(b)는 제8도 (a)의 C-C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굴곡판부 110 : 일측돌출벽
120 : 타측돌출벽 130 : 중간격벽
131 : 끼움구멍 200 : 중공부
300 : 일측판부 400 : 타측판부
500 : 가로보강재 600 : 세로보강재
610 : 끼움구멍 700 : 형틀
800 : 제1전열판 800a : 제2전열판
810 : 전선
본 발명은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판넬에 보강재를 삽입하여 외적인 하중에 대응하는 구조적 강도를 가지도록 하여 주는 보강재가 삽입된 합성수지 판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전까지 건설현장등에 사용되는 각종의 판넬은 그 설치 및 사용목적에 따른 구조적 강도와 견고성을 가질 수 있는 소재로서 성형제작되어 왔다. 이러한 판넬은 주로 목재를 가공 성형하여서 만들어지게 되어 소재선택이 극히 제한적일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최근들어 판넬의 기초 소재인 목재 가공의 상승과 함께, 가공성형이 불량하여 판넬 제품의 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되어 보다 저렴한 판넬의 소재 개발이 요구되었다.
상기한 문제를 감안한 것으로 최근에 합성수지를 소재로 하는 판넬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합성수지 판넬은 가공성형이 좋고 부식이 쉽게 되지 않으면서도 저렴한 가격으로 재료를 구입하여 제품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제작원가를 절감하여 주는 등의 장점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최근의 합성수지 판넬은 외부로부터 작용되는 하중이나 휨응력에 따른 변형의 정도가 크기 때문에, 합성수지 판넬의 두께를 두껍게 성형하여서 하중 휨응력 등에 대응하는 정도로서 만들어지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최근의 합성수지 판넬은 첫째, 합성수지 재료의 과대한 사용이 불가피하여 결과적으로 제품의 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둘째, 판넬 두께에 비례하여 제품의 중량이 무거워서 취급이 용이하지 못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같은 최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1995년 특허출원 제7887호(1995년 4월 4일자 출원)에서 단면상 폭방향으로 반복적으로 굴곡되는 굴곡판부의 일측면에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일측판부를 부착하는 합성수지 판넬을 출원한 바가 있다.
즉, 본 출원인의 선축원은 제8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면상 폭방향으로 반복적으로 굴곡되는 굴곡판부(100)의 일측면에 중공부(200)들이 형성되도록 일측판부(300)가 일체로 부착되되, 상기 굴곡판부(100)는 일정한 간격마다 일측으로 돌출되는 일측돌출벽(110)은 일측판부(300)에 부착되고, 타측으로 돌출되는 타측돌출벽(120)은 타측으로 향하도록 하며, 상기 일측돌출벽(110)의 선단부와 타측돌출벽(120)의 끝단부를 상호 연결하면서 일정한 간격마다 중공부(200)가 형성되도록 하는 중간격벽(130)으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은 합성수지 판넬은 일정한 간격마다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격벽(130)들이 수직하게 형성되므로 동일한 조건의 단면적을 가지는 일반적인 합성수지 판넬에 비하여 구조적 강도가 증대되는 동시에, 중공부(200)들을 가지는 만큼의 합성수지 재료의 절감과 경량화를 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합성수지 판넬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격벽(130)들이 수직으로 형성되므로 길이방향으로는 하중에 효율적으로 저항할 수는 있지만, 폭방향으로는 효율적으로 저항하여 주는 구조부가 없기 때문에 폭방향의 구조적 강도가 미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적 강도가 미약한 폭방향의 구조적 강도를 증대하여 주는 이중 합성수지판넬을 제공하여 주는 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보강재가 삽입된 합성수지 판넬은 제1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면상 파형의 형상을 가지며 폭방향으로 반복적으로 굴곡되는 굴곡판부(100)와, 상기 굴곡판부의 일측면에 일정한 간격마다 길이방향으로 중공부(200)들이 형성되면서 일체로 부착되는 일측판부(300)로 구성하되, 상기 굴곡판부(100)의 폭방향으로 일정한 위치마다 가로보강재(500)가 삽입되도록 하여, 판넬이 폭방향으로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폭방향으로 구조적 강도가 미약하여 외부 하중에 쉽게 변형이 일어났던 것과는 달리, 폭방향으로 필요한 위치마다 가로보강재(500)를 삽입함으로써, 폭방향의 구조적 강도를 증대하여 주는 것이다. 따라서 폭방향의 구조적 강도가 증대되기 때문에 외부하중으로 인하여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2도에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굴곡판부(100)의 타측면에 일정한 간격마다 길이방향으로 중공부(200)들이 형성되면서 타측판부(400)가 일체로 부착될 수도 있다. 이는 굴곡판부(100)의 타측면에 타측판부(400)가 일체로 부착되므로 판넬의 길이방향 뿐만 아니라 폭방향의 구조적 강도를 더욱 증대하여 주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도 및 제2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가로보강재(500)는 금속재의 환봉이 선택되어 굴곡판부(100)의 폭방향으로 뚫려지는 끼움구멍(131)들을 통하여 끼워진다. 즉, 상기 굴곡판부(100)의 중간격벽(130)들에 필요한 위치마다 폭방향으로 끼움구멍(131)들을 일치되게 뚫은 후, 그 끼움구멍(131)들을 통하여 금속재의 환봉이 삽입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가로보강재(500)가 금속재의 환봉을 사용하는 이유는 제7도에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판넬의 폭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부여하여 다양한 곡면판넬들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금속재의 환봉은 건설현장에 많이 사용되는 이형철근을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3도에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가로보강재(500)는 단면상 각봉이 선택되어 삽입될 수도 있다. 이때 각봉이 선택되어 가로보강재(500)로 사용되는 경우는 굴곡판부(100)가 폭방향으로 절단되어 상호 연결되는 위치마다 삽입되는 것이 제작이 편리하다.
한편, 본 발명은 제4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중공부(200)에 중공부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필요한 위치마다 세로보강재(600)가 부가적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세로보강재(600)는 금속앵글 또는 중공부의 단면과 동일한 각재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세로보강재(600)는 폭방향으로 삽입되는 가로보강재(500)가 환봉이냐 각봉이냐에 따라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즉, 제4도의 (a),(b)에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가로보강재(500)가 환봉일 경우에는 세로보강재(600)가 앵글이든 각재이든 중간격벽(130)에 뚫리는 끼움구멍(131)과 일치되게 끼움구멍(610)을 뚫은 후 환봉을 삽입하는 것이다.
또한, 가로보강재(500)가 각봉일 경우에는 제4도의 (c),(d)에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세로보강재(600)가 격자모양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특히, 가로보강재(500)가 제4도의 (d)에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단면상 얇은 판자형상을 가질 때는 그 하부에 세로보강재(600)가 일체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중공부(200)의 필요한 위치마다 그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세로보강재(600)를 삽입함으로써, 길이방향의 구조적 강도를 증대시켜 주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제5도에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a) 이미 단면상 파형으로 만들어진 굴곡판부(100)의 폭방향으로 필요한 위치마다 가로보강재(500)를 삽입하는 보강재 삽입단계와, b) 상기 가로보강재(500)가 삽입된 굴곡판부(100)의 양면에 일측판부(300) 및 타측판부(400)를 배치하여 형틀(700)내부에 배치하되, 일측판부(300)와 굴곡판부(100) 사이와 타측판부(400)와 굴곡판부(100) 사이에 전선(810)으로 전원과 연결된 제1 전열판(800) 및 제2전열판(800a)을 각각 끼워 넣는 판부들과 전열판들을 형틀 내부에 배치하는 단계와, c) 상기 제1전열판(800) 및 제2전열판(800a)들에 접촉된 일측판부(300)와 굴곡판부(100) 및 타측판부(400)들이 소정의 상태로 용융되도록 제1,2전열판들을 가열하는 전열판 가열단계와, d) 상기 가열된 제1,2전열판들을 뽑아내고 일측판부(300)와 굴곡판부(100) 및 타측판부(400)를 형틀(700)에 압력을 가하여 접합부를 일체로 접합하는 접합단계와, e) 상기 굴곡판부(100)의 양면에 일측 및 타측판부들의 접합부가 경화된 후 상기 형틀(700)을 탈리시키는 형틀탈리단계로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가로보강재 삽입단계는 제5도의 (a)에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굴곡판부(100)의 중간격벽(130)에 폭방향으로 일정한 간격마다 끼움구멍(131)을 뚫은 후 그 끼움구명을 통하여 상기 금속재의 환봉을 삽입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또한, 가로보강재 삽입단계는 제6도 및 제4도의 (d)에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굴곡판부(100)를 소정의 길이마다 폭방향으로 절단한 후 그 절단된 위치마다 금속재의 각봉 가로보강재를 삽입할 수도 있다. 이때 가로보강재인 금속각봉을 삽입할 경우 구조적 강도를 증대하기 위해 상호 절단된 굴곡판부의 길이방향의 중공부(200)에 세로보강재(600)들을 삽입하여서 각봉에 일체로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는 본 발명은 제1도 내지 제6도에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평판넬로 제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7도에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형틀의 내면 곡률을 다양하게 변화하여 줌으로써, 반원형, 찬넬형, 앵글형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곡면판넬로도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같이 본 발명은 폭 방향으로 필요한 위치마다 가로보강재를 삽입함으로써, 폭방향의 구조적 강도를 증대하여 외부하중으로 인한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면서도 평판넬 뿐 아니라 다양한 곡률을 가지는 곡면판넬로도 제조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8)

  1. 단면상 파형의 형상을 가지며 폭방향으로 반복적으로 굴곡되는 굴곡판부(100)와, 상기 굴곡판부의 일측면에 일정한 간격마다 길이방향으로 중공부(200)들이 형성되면서 일체로 부착되는 일측판부(300)로 구성하되, 상기 굴곡판부(100)의 폭방향으로 일정한 위치마다 가로보강재(500)가 삽입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재가 삽입된 합성수지 판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판부(100)의 타측면에 일정한 간격마다 길이방향으로 중공부(200)들이 형성되면서 타측판부(400)가 일체로 부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재가 삽입된 합성수지 판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보강재(500)는 금속재의 환봉이 사용되며, 상기 굴곡판부(100)의 폭방향으로 뚫려지는 끼움구멍(131)들을 통하여 끼워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재가 삽입된 합성수지 판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보강재(500)는 각봉이 사용되면서 굴곡판부(100)가 일정한 길이만큼 폭방향으로 절단되어서 상호 연결되는 위치마다 삽입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재가 삽입된 합성수지 판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200)에 그 중공부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필요한 위치마다 끼워지는 세로보강재(600)가 삽입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재가 삽입된 합성수지 판넬.
  6. a) 이미 단면상 파형으로 만들어진 굴곡판부(100)의 폭방향으로 필요한 위치마다 가로보강재(500)를 삽입하는 가로 보강재 삽입단계와, b) 상기 가로보강재(500)가 삽입된 굴곡판부(100)의 양면에 일측판부(300) 및 타측판부(400)를 배치하여 형틀(700)내부에 배치하되, 일측판부(300)와 굴곡판부(100) 사이와 타측판부(400)와 굴곡판부(100) 사이에 전선(810)으로 전원과 연결된 제1 전열판(800) 및 제2전열판(800a)을 각각 끼워 넣는 판부들과 전열판들을 형틀 내부에 배치하는 단계와, c) 상기 제1전열판(800) 및 제2전열판(800a)들에 접촉된 일측판부(300)와 굴곡판부(100) 및 타측판부(400)들이 소정의 상태로 용융되도록 제1,2전열판들을 가열하는 전열판 가열단계와, d) 상기 가열된 제1,2전열판들을 뽑아내고 일측판부(300)와 굴곡판부(100) 및 타측판부(400)를 형틀(700)에 압력을 가하여 접합부를 일체로 접합하는 접합단계와, e) 상기 굴곡판부(100)의 양면에 일측 및 타측판부들의 접합부가 경화된 후 상기 형틀(700)을 탈리시키는 형틀탈리단계로 완료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재가 삽입된 합성수지 판넬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보강재 삽입단계는 상기 굴곡판부(100)의 가로방향으로 일정한 간격마다 끼움구멍(131)을 뚫은 후 그 끼움구명을 통하여 상기 금속재의 환봉을 삽입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재가 삽입된 합성수지 판넬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보강재 삽입단계는 굴곡판부(100)를 소정의 길이마다 폭방향으로 절단한 후 그 절단된 위치마다 각봉의 가로보강재를 삽입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재가 삽입된 합성수지 판넬의 제조방법.
KR1019960002581A 1996-02-02 1996-02-02 보강재가 삽입된 합성수지 판넬 및 그의 제조방법 KR0174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2581A KR0174791B1 (ko) 1996-02-02 1996-02-02 보강재가 삽입된 합성수지 판넬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2581A KR0174791B1 (ko) 1996-02-02 1996-02-02 보강재가 삽입된 합성수지 판넬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495A KR970061495A (ko) 1997-09-12
KR0174791B1 true KR0174791B1 (ko) 1999-02-18

Family

ID=19450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2581A KR0174791B1 (ko) 1996-02-02 1996-02-02 보강재가 삽입된 합성수지 판넬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47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881B1 (ko) * 2001-03-02 2004-03-04 이승복 거푸집용 투명패널 및 이를 이용한 투명거푸집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495A (ko) 199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77926A (ko) 콘크리트성형용형틀재
KR0174791B1 (ko) 보강재가 삽입된 합성수지 판넬 및 그의 제조방법
DE60229616D1 (de) Eckverbinder für Verstärkungsmetallhohlprofile in Kunststoffhohlprofilen und ihre Montageverfahren
KR19990011043A (ko) 금속피복 콘크리트부재
CN111065784A (zh) 组装式铝模具面板
KR100674565B1 (ko) 조립식 기둥 구조체
RU29737U1 (ru) Модуль строительный
KR100492221B1 (ko) 보강 구조를 가지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KR200186899Y1 (ko) 거푸집
KR100469849B1 (ko) 보강 구조를 가지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
KR200205879Y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조립식 거푸집
KR200174059Y1 (ko) 지수판 연결 구조물
KR0174789B1 (ko) 이중 플라스틱 곡면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
EP0013563A1 (en) A building member such as a beam, a girder or the like
CN215977653U (zh) 建筑用节点结构及建筑结构
CN217481708U (zh) 一种塑料膨胀管
JPH0138198Y2 (ko)
US20070193166A1 (en) Thermal wall system
KR200298064Y1 (ko) 보강 구조를 가지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KR200282379Y1 (ko) 건축용 복합패널
JP3042005U (ja) 組立格子ユニット製建具
KR200302268Y1 (ko) 조립식 수조용 패널
EP0185116B1 (en) A method of joining and sealing elements in building structures and a connector for coupling elements of building structures
KR20010054439A (ko) 리브형 강판을 갖는 거푸집패널
KR100201766B1 (ko) 플라스틱 도어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2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2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8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1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1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1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1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1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1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1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3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1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1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1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