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4705B1 - 잉크 젯 프린터의 계조성 향상장치 - Google Patents

잉크 젯 프린터의 계조성 향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4705B1
KR0174705B1 KR1019960006350A KR19960006350A KR0174705B1 KR 0174705 B1 KR0174705 B1 KR 0174705B1 KR 1019960006350 A KR1019960006350 A KR 1019960006350A KR 19960006350 A KR19960006350 A KR 19960006350A KR 0174705 B1 KR0174705 B1 KR 0174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dation
pulse
current
pulses
single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6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4925A (ko
Inventor
안병선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06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4705B1/ko
Publication of KR970064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4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4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47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41J2/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providing current or voltage to the thermal head
    • B41J2/355Control circuits for heating-element selection
    • B41J2/36Print density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7Ink jet characterised by jet control
    • B41J2/11Ink jet characterised by jet control for ink spray

Landscapes

  • Particle Formation And Scattering Control In Inkjet Printer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잉크젯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상의 계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분사되는 드롭의 양을 조정하여 고해상도의 화상을 얻고, 고속으로 드롭을 발생시킴으로서 프린팅속도를 고속화시킬 수 있는 계조성 향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헤드 전극부를 갖는 잉크 젯 프린터의 계조성 향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 전극부에 인가되는 전류펄스의 레벨 및 수를 지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들을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체 패키지발생펄스와 단일 패키지발생펄스를 논리조합하여 일정 주기의 단일 패키지펄스들을 출력하는 제1펄스 발생기와,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류펄스간 타임조정신호에 따라 상기 단일 패키지펄스들 각각을 다수개의 전류펄스로 출력하는 제2펄스 발생기와,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류펄스레벨 조정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전류펄스의 레벨을 증감하여 상기 헤드 전극부로 출력하는 전류 컨트롤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잉크 젯 프린터의 계조성 향상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잉크 젯 프린터의 계조성 향상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잉크 젯 프린터의 블록구성도.
제2도는 잉크 젯 프린터의 헤드(28)구성을 보인 단면도.
제3도는 종래 잉크 젯 프린터의 계조성 조정을 위한 전류특성도.
제4도는 종래 잉크 젯 프린터에서 계조성을 조정하기 위해 인가되는 전류펄스 수에 따라 하나의 계조성을 갖는 드롭이 헤드(28)의 개구부(32)로부터 분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드롭형성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조성 향상장치의 블록구성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조성 향상을 위해 헤드의 전극부(36)에 인가되는 전류펄스 예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사용자에 의해 계조성 향상을 위한 선택키 입력이 있을 경우 이를 처리하기 위한 CPU(10)의 제어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헤드 플레이트(Plate) 32 : 개구부
34 : 채널(Channel) 36 : 전극부
38 : 가열부 40 : 보호막
42 : 기판층 44 : 저항층
본 발명은 잉크 젯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헤드 전극부에 인가되는 전류펄스 레벨을 다원화하여 화상의 계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계조성 향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용지나 OHP(Overhead Project)필름과 같은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기록방식들중에 와이어 도트방식, 열전사방식, 잉크 젯(Ink Jet)방식등과 같은 기록방식은 고유의 기록헤드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기록방식들중 잉크 젯방식은 기록매체에 잉크를 직접 분사하는 방식이다. 이에따라 잉크 젯방식을 채용한 프린터는 잉크를 분사하기 위한 미세한 방출 홀(ejection hole)이 형성된 다수의 노즐들이 배열된 기록헤드를 가진다. 이하 잉크 젯 프린터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를 보인 제1도를 참조하여 잉크 젯 프린터의 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제1도는 일반적인 잉크 젯 프린터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CPU(Central Processing Unit)(10)는 롬(ROM)(12)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입출력 인터페이스(Input/Output:이하 I/O인터페이스라함)(16)를 통해 잉크 젯 프린터의 각 부를 제어한다. 롬(12)은 CPU(10)의 제어 프로그램 및 각종 초기 데이터들을 저장하며, 램(RAM)(14)은 CPU(10)의 제어동작에 따른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한다. I/O인터페이스(16)는 CPU(10)와 입출력장치들, 즉 조작판넬(18)과 모터구동부(20)와 헤드구동부(22)간에 입출력되는 신호들을 인터페이스한다. 조작판넬(18)은 각종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키들을 구비하며 키데이타 발생시 이를 CPU(10)로 전송하는 동시에 CPU(10)의 제어하에 프린터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다. 모터구동부(20)는 CPU(10)의 제어에 의해 캐리지(Carrigre) 이송모터(이하 CR모터라함)(24)와 LF(Line Feed)모터(26)를 구동한다. CR모터(24)는 모터구동부(20)에 의해 구동되어 헤드(28)가 설치되는 헤드 카트리지(도시하지 않았음)를 이송시킨다. LF모터(26)는 모터구동부(20)에 의해 구동되어 용지와 같은 기록매체를 이송시킨다. 헤드구동부(22)는 CPU(10)의 제어하에 헤드(28)를 구동시키며 헤드(28)에 구비되어 있는 노즐들을 통해 잉크를 분사시켜 기록매체에 화상을 기록한다. 헤드(28)는 방출 홀이 형성된 다수의 노즐들이 배열된 기록헤드로서 헤드구동부(22)에 의해 구동된다. 이하 상기 헤드(28)의 단면을 보인 제2도를 참조하여 헤드(28)의 구동을 살펴보기로 한다.
제2도는 제1도중 헤드(28)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헤드(28)는 잉크를 분사시키는 복수의 개구부(32)와, 상기 개구부(32)와 연결되어 잉크 유로로 사용되는 채널(34)과, 상기 채널(34)의 케버티(cavity)상에 열을 가하여 잉크를 가열 및 증발시켜 증기압을 발생시키는 가열부(38)와, 상기 가열부(38)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전극부(36)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 기판층(42)과, 전극부(36)와의 경계면을 절연시키는 저항층(44)와, 상기 전극부(36)와 가열부(32)와 저항층(44)을 잉크와의 화학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부식 및 산화로부터 방지하기 위한 보호막(40)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갖는 헤드(28)의 구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호스트로부터 프린트 명령이 수신될 경우, 제1도의 CPU(10)는 헤드(28)의 전극부(36)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도록 헤드구동부(22)를 제어한다. 상기 헤드구동부(22)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극부(36)에 소정 전류가 인가되면, 가열부(38)는 열전판인 저항층(44)의 발열에 의해 가열된다. 이에 따라 가열부(38)와 접하고 있는 잉크가 증발하여 거품(bubble)을 형성하고 이때 발생되는 증기압에 의해 채널(34)내의 잉크가 개구부(32)를 통해 기록매체로 분사되어 소정의 화상이 형성된다. 만약 소정의 화상에 대해 명암의 효과(이하 이를 계조성이라한다)를 얻고자 하는 경우 종래 잉크 젯 프린터에서는 균일한 레벨의 전류(I)를 헤드(28)의 전극부(36)에 인가해줌으로서 계조성을 조정하였다. 이하 제3도를 참조하여 종래 잉크 젯 프린터의 계조성 조정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종래 잉크 젯 프린터의 계조성 조정을 위한 전류특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제3도에서 횡축은 타임 T[msec]를 나타내며 종축은 헤드 전극부(36)에 인가되는 전류 I[A]를 나타낸다. 제3도를 참조하면, 종래 잉크 젯 프린터에서는 요구되는 계조성의 정도를 인가되는 전류의 펄스 폭(Pulse Width)(즉, 단일 전류펄스의 인가타임) 및 특정 패키지(Package)내의 전류 펄스수로서 계조성을 조정하였다. 즉 제3도에서 각 전류펄스간의 타임 Ts는 단일 드롭(drop)이 개구부(32)에서 표면장력에 의해 분리되지 않는 타임을 나타내며, 패키지 타임 PT, PT1, PT2는 개구부(32)에서 소정의 계조성을 갖는 1개의 드롭이 완전히 분사되는 타임을 나타내며, Tp는 각 패키지간의 타임을 나타낸다. 이때 각 패키지간의 타임 Tp와 특정 패키지타임 PT(PT1,PT2)와 각 전류펄스간의 타임 Ts는 하기 (1)과 같은 관계가 성립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패키지타임은 소정의 계조성을 갖는 드롭이 개구부(32)로부터 분리되는 타임(PT)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제3도에서는 세 개의 패키지 타임 PT, PT1, PT2를 예시하였으며 각각의 패키지 타임내에는 동일 레벨의 전류펄스가 5개, 3개, 2개 존재한다. 이러한 경우 5개의 전류펄스가 헤드 전극부(36)에 인가되면 패키지 타임 PT내에 5개의 단일 드롭이 모여 하나의 계조성을 갖는 드롭으로 분사되며, 2개의 전류펄스가 헤드 전극부(36)에 인가되면 패키지 타임 PT2내에 2개의 단일 드롭이 모여 하나의 계조성을 갖는 드롭으로 분사된다. 이하 종래 잉크 젯 프린터에서 헤드 전극부(36)에 인가되는 전류펄스에 의해 하나의 계조성을 갖는 드롭으로 분사되는 과정을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종래 잉크 젯 프린터에서 계조성을 조정하기 위해 헤드 전극부(36) 인가되는 전류펄스 수에 따라 하나의 계조성을 갖는 드롭이 헤드(28)의 개구부(32)로부터 분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드롭형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우선 제3도의 패키지 타임 PT2내에서 2개의 전류펄스가 헤드 전극부(36)에 인가되면, 제1전류펄스에 의해 드롭이 개구부(32)로부터 분리되기 직전까지의 드롭 형성과정은 (a)~(f)와 같이 이루어지며, 다음 제2전류펄스에 의해 추가형성되는 드롭은 (g)∼(j)와 같다. 그리고 상기 제1전류펄스와 제2전류펄스가 패키지 타임 PT2
내에서 헤드 전극부(36)에 모두 인가된 후에는 (r)과 같은 하나의 계조성을 갖는 완전한 드롭이 분사된다. 즉 종래 잉크 젯 프린터에서는 소정 패키지 타임(PT)내에서 헤드 전극부(36)에 인가되는 전류펄스 수에 대응되는 양만큼의 드롭이 모여 하나의 계조성을 갖는 완전한 드롭으로 분사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잉크 젯 프린터에서는 소정 패키지 타임내에서 전류 펄스 수를 가변시킴으로서 계조성을 조정하였다. 이에 따라 높은 계조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헤드 전극부(36)에 인가되는 전류펄스 수가 증가되어야 함에 따라 그 만큼 프린팅속도가 저하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16계조성과 같은 높은 계조성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16계조성을 갖는 하나의 드롭이 분사되기 전에 미리 형성된 드롭이 분사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화상농도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16계조성과 같은 높은 계조성을 요구하는 경우, 높은 계조성을 갖는 드롭이 형성되기 전의 드롭중량이 잉크와 개구부(32)간의 표면장력보다 크기 때문에 두 개의 드롭이 형성되어 분사될 수 있다. 만약 16계조성을 갖는 드롭이 형성되기 전에 미리 분사된 드롭을 메인드롭(main drop)이라하면, 상기 메인드롭 주변에는 동일 패키지 타임내에서 헤드 전극부(36)에 인가되는 나머지 전류펄스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는 종속드롭이 분사되게 된다. 따라서 종래 잉크 젯 프린터에서는 16계조성과 같은 높은 계조성이 요구되는 경우 메인드롭과 종속드롭의 발생으로 인해 소망하는 화상농도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헤드 전극부에 인가되는 전류펄스레벨을 다원화하여 계조성을 조정할 수 있는 계조성 향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계조성을 갖는 하나의 드롭을 고속으로 발생시킴으로서 프린팅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계조성 향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헤드 전극부를 갖는 잉크 젯 프린터의 계조성 향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 전극부에 인가되는 전류펄스의 레벨 및 수를 지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들을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체 패키지발생펄스와 단일 패키지발생펄스를 논리조합하여 일정 주기의 단일 패키지펄스들을 출력하는 제1펄스 발생기와,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류펄스간 타임조정신호에 따라 상기 단일 패키지펄스들 각각을 다수개의 전류펄스로 출력하는 제2펄스 발생기와,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류펄스 레벨 조정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전류펄스의 레벨을 증감하여 상기 헤드 전극부로 출력하는 전류 컨트롤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였으며 또한 패키지수, 패키지내의 전류펄스수 및 구체적인 처리흐름등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조성 향상장치의 블록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5도에서 CPU(10)는 잉크 젯 프린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조성 조정을 위한 각종 제어신호들을 출력한다. 상기 제어신호들이라함은 발생하려는 전체 드롭에 대한 전체 패키지발생펄스와, 상기 전체 패키지발생펄스내에 하나의 계조성을 갖는 단일드롭들을 발생시키기 위한 단일 패키지발생펄스와, 각각의 단일 패키지펄스내에서 전류펄스의 수를 지정하기 위한 전류펄스간 타임(Ts)조정신호와, 세분화된 전류펄스 각각의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전류펄스레벨 조정신호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CPU(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세 개의 서로 다른 전류펄스레벨(I1,I2,I3)을 이용하여 16계조성을 표현하기 위해 하기 표 1과 같은 계조성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는 롬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한편 제1펄스 발생기(48)는 P3, P4단자를 통해 상기 CPU(10)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전체 패키지발생펄스와 단일 패키지발생펄스를 앤드게이팅하여 하나의 계조성을 갖는 단일 패키지펄스들을 P5단자를 통해 출력한다. 즉, 상기 단일 패키지 발생펄스에 의해 단일 패키지펄스타임 PT의 폭이 결정된다. 한편 제2펄스 발생기(50)에서는 P6단자와 P7단자를 통해 각각 입력되는 단일 패키지펄스와 전류펄스간 타임(Ts)조정신호의 앤드게이팅에 의해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타임주기(이때의 전류레벨은 동일하다)를 갖는 전류펄스가 전류 컨트롤러(52)로 출력된다. 상기 CPU(10)는 소정의 단일 패키지펄스를 다수개의 전류펄스로 세분화하기 위해 상기 표 1의 계조성 테이블에 근거하여 전류펄스간 타임(Ts)조정신호를 온/오프 출력한다. 이에 따라 단일 패키지펄스는 다수의 전류펄스로 구획될 수 있다. 한편 전류 컨트롤러(52)는 P8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각각의 단일 패키지펄스내의 전류펄스를 상기 CPU(10)로부터 입력되는 전류펄스레벨 조정신호에 따라 증폭하여 헤드(28)로 출력한다. 상기 헤드(28)는 상술한 제2도의 구성을 갖으며 전류 컨트롤러(52)로부터 인가되는 전류펄스는 헤드 전극부(36)에 인가된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조성 향상을 위해 헤드 전극부(36)에 인가되는 전류펄스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6도에서 횡축은 타임T[mesc]를나타내며, 종축은 헤드 전극부(36)에 인가되는 전류레벨I[A]를 나타낸다. 또한 제6도에서 각 전류펄스간의 타임(Ts)은 드롭이 잉크와 개구부(32)의 표면장력에 의해 분리되지 않는 타임을, Tp는 단일 패키지간의 타임을 나타내며 이러한 타임들은 상기 식 (1)의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단일 패키지란 제6도에서 계조성 16, 계조성11, 계조성4, 계조성1의 화상농도를 얻기 위해 헤드 전극부(36)에 인가되는 다수개의 전류펄스 조합을 나타내며, 이는 다시 하나의 계조성을 갖는 단일드롭으로 지칭할 수도 있다. 즉 제6도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4개의 단일 패키지가 예시되어 있으며, 각각의 패키지에는 상기 표 1에 근거하여 3,3,2,1개의 전류펄스가 존재한다.
이하 제5도 및 제6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롭형성과정 및 분사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호스트컴퓨터로부터 계조성16 및 계조성 11의 화상농도를 얻기 위한 명령이 수신되면, CPU(10)는 상기 표1의 계조성 테이블을 통해 계조성 16 및 11의 화상농도를 얻기 위해 필요한 전류펄스수와 전류레벨을 독출한다. 그리고 P1,P2단자를 통해 계조성 16 및 11의 화상농도를 얻기 위한 전체 패키지발생펄스와 단일패키지 발생펄스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제1펄스 발생기(48)에서는 P3,P4단자를 통해 입력된 전체 패키지발생펄스와 단일 패키지발생펄스를 앤드게이팅하여 단일 패키지펄스들을 발생시킨다. 이때 발생된 두 개의 단일 패키지펄스간에는 Tp만큼의 타임차가 존재한다. 한편 Tp만큼의 타임차를 갖는 두 개의 단일 패키지펄스는 P6단자를 통해 제2펄스 발생기(50)로 입력되고 P7단자로 입력된 전류펄스간 타임(Ts)조정신호에 의해 3개의 전류펄스로 세분화된다. 이때 세분화된 전류펄스들은 각각 I1의 크기를 갖는다. 이후 제2펄스 발생기(50)로부터 출력되는 단일 패키지내의 전류펄스들은 P8단자를 통해 전류컨트롤러(52)에 입력되고, 전류 컨트롤러(52)에 입력된 단일 패키지내의 전류펄스들은 규정된 타이밍에 의해 입력되는 전류펄스레벨 조정신호에 따라 I2, I3레벨로 증폭되어 출력된다. 즉 계조성 16의 화상농도를 얻기 위한 단일 패키지내의 전류펄스는 모두 I3레벨로 헤드 전극부(36)에 인가되며, 계조성 I1의 화상농도를 얻기 위한 단일 패키지내의 전류펄스는 I1, I2, I3레벨로 헤드 전극부(36)에 인가된다. 이에 따라 헤드의 열전판인 저항층(44)이 가열되면서 잉크가 증발되고 그에 따라 거품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상기 계조성16의 화상농도를 얻기 위한 3개의 전류펄스 I3는 드롭이 개구부(32)로부터 분리되기 직전까지 순차적으로 헤드 전극부(36)에 인가되며, 3번째 전류 펄스 I3가 인가된 후에 계조성 16을 갖는 단일드롭이 용지나 기록매체상에 완전히 분사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제6도에 도시된 계조성 4 및 계조성 1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사용자에 의해 계조성 향상을 위한 선택키 입력이 있을 경우 이를 처리하기 위한 CPU(10)의 제어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하기 설명에서 계조성 향상을 위한 선택키는 조작판넬(18)상에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우선 CPU(10)는 70단계에서 조작판넬(18)로부터 계조성 향상을 위한 선택키 입력이 있는가를 검사한다. 검사결과 선택키 입력없이 프린팅명령이 수신되면 CPU(10)는 72단계로 진행하여 종래 잉크 젯 프린터에서와 같이 일정레벨의 전류펄스를 헤드 전극부(36)로 출력한후 74단계로 진행한다. 74단계에서 CPU(10)는 잉크 젯 프린터 각 부를 제어하여 용지상에 소정의 이미지데이타에 따른 화상을 프린팅한다. 한편 70단계의 검사결과 계조성 향상을 위한 선택키의 입력이 있으면, CPU(10)는 76단계로 진행하여 계조성 테이블에 따른 컨트롤 전류를 헤드전극부(36)로 출력한후 74단계로 되돌아간다. 74단계에서 CPU(10)는 잉크젯 프린터의 각 부를 제어하여 소정의 이미지데이타에 따른 화상을 프린팅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 전류란 CPU(10)의 제어에 의해 제1, 제2펄스 발생기(48,50) 및 전류 컨트롤러(52)를 통해 헤드 전극부(36)에 인가되는 전류펄스를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CPU(10)는 계조성 향상을 위한 선택키 입력이 있을 경우 이에 응답하여 제5도의 구성을 갖는 계조성 향상장치를 구동제어함으로서 용지상에 프린팅되는 화상의 계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계조성을 갖는 하나의 단일드롭이 분사되기까지의 패키지 타임이 단축됨으로서 프린팅속도의 고속화를 기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패키지타임의 단축으로 종속드롭의 분사가 미연에 방지됨으로서 화상의 질이 향상될 수 있는 잇점도 있다.

Claims (4)

  1. 헤드 전극부를 갖는 잉크 젯 프린터의 계조성 향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 전극부에 인가되는 전류펄스의 레벨 및 수를 지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들을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체 패키지발생펄스와 단일 패키지발생펄스를 논리조합하여 일정 주기의 단일 패키지펄스들을 출력하는 제1펄스 발생기와,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류펄스간 타임조정신호에 따라 상기 단일패키지펄스들 각각을 다수개의 전류펄스로 출력하는 제2펄스 발생기와,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류펄스레벨 조정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전류펄스의 레벨을 증감하여 상기 헤드 전극부로 출력하는 전류 컨트롤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젯 프린터의 계조성 향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계조성 단계별로 전류펄스의 레벨 및 수를 지정하여 놓은 계조성 테이블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들을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젯 프린터의 계조성 향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펄스 발생기는 상기 전체 패키지발생펄스와 단일 패키지펄스를 앤드게이팅하여 단일 패키지펄스들을 발생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젯 프린터의 계조성 향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펄스 발생기는 상기 단일 패키지펄스들과 전류펄스간 타임조정신호를 앤드게이팅하여 각각의 단일 패키지펄스를 다수개의 전류펄스로 세분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젯 프린터의 계조성 향상장치.
KR1019960006350A 1996-03-11 1996-03-11 잉크 젯 프린터의 계조성 향상장치 KR0174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6350A KR0174705B1 (ko) 1996-03-11 1996-03-11 잉크 젯 프린터의 계조성 향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6350A KR0174705B1 (ko) 1996-03-11 1996-03-11 잉크 젯 프린터의 계조성 향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925A KR970064925A (ko) 1997-10-13
KR0174705B1 true KR0174705B1 (ko) 1999-05-15

Family

ID=19452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6350A KR0174705B1 (ko) 1996-03-11 1996-03-11 잉크 젯 프린터의 계조성 향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470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925A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0349A (en) Method of reducing drive energy in a high speed thermal ink jet printer
US6634731B2 (en) Print head apparatus capable of temperature sensing
US6652055B2 (en) Ink jet printing apparatus and ink jet printing method
EP05116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rmal ink jet and thermal printheads through the use of nonprinting pulses
GB1571698A (en) Ink jet printing
JP3272800B2 (ja) カラー記録装置
JP3337912B2 (ja)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駆動方法及びこれを実行するインクジェット装置
US4313123A (en) Controllable ink drop velocity type ink-jet printer
EP1616704A2 (en) Method and apparatus to create a waiveform for driving a printhead
US6857717B2 (en) Inkjet prin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program
JP2947237B2 (ja) 画像記録装置
EP0750988A2 (en) Ink jet printing apparatus, a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ink jet printing apparatus, and an ink jet printing method
JPH05220963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の吐出制御方法
JPS58155960A (ja) インクジエツト記録装置
KR0174705B1 (ko) 잉크 젯 프린터의 계조성 향상장치
US200300432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banding defects caused by drop mass variations in an ink jet printer
JPH05169664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US629364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satellite induced banding in an ink jet printer using pre-pulse compensation
JP2963279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4098701A (ja)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US6457798B1 (en) Six gray level roofshooter fluid ejector
JPH1120268A (ja) 記録装置用ヘッド駆動装置
JP2961855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の濃度ムラ調整装置
JPS5987162A (ja) 熱印刷ヘツド
JP2844595B2 (ja) カラー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