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4685B1 - 현상기의 토너 유출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현상기의 토너 유출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4685B1
KR0174685B1 KR1019960039386A KR19960039386A KR0174685B1 KR 0174685 B1 KR0174685 B1 KR 0174685B1 KR 1019960039386 A KR1019960039386 A KR 1019960039386A KR 19960039386 A KR19960039386 A KR 19960039386A KR 0174685 B1 KR0174685 B1 KR 0174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seal
developing roller
developing
do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9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0787A (ko
Inventor
김순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39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4685B1/ko
Publication of KR19980020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4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46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lateral sealing at both sides of the donor member with respect to the developer carrying dir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supplying means, e.g. structure of developer supply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regulating means, e.g. structure of doctor bla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토너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현상롤러의 양단에 설치한 씰(seal)의 압력으로 발생하는 현상롤러 표면의 깍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현상기의 토너 유출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토너의 유출을 방지하여 프린터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현상기의 토너 유출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토너의 유출을 방지하는 씰에는 현상롤러 표면의 깍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독터-블레이드에 작용하는 씰의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감압부가 형성된 것이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Description

현상기의 토너 유출 방지 장치.
본 발명은 레이져 빔 프린터, 복사기, 일반용지 팩시밀리, 복합기 등의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토너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현상롤러의 양단에 설치한 씰(seal)의 압력으로 발생하는 현상롤러 표면의 깍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현상기의 토너 유출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 장치를 도 1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인쇄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토너적재부(26)에 토너(28)가 공급되어지면, 상기 토너(28)는 교반기(40)에 의해 교반되어져 마찰에 의한 정전기를 발생하게 되어 일정 전하를 가지게 된다. 그후, 상기 교반된 토너(28)는 상기 교반기(40)의 회전에 의해 공급롤러(24) 측으로 반송되어진다.
그후, 상기 토너(28)는 공급롤러(24)의 회전에 의해 현상롤러(22) 측으로 공급되어지며, 상기 현상롤러(22) 표면에 형성된 토너(28)는 독터-블레이드(20)에 의해 일정한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되어 진다.
그후, 대전롤러(46)의 전기적 작용에 의해 감광드럼(30)의 표면을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극성으로 대전시키고, 상기 감광드럼(30)의 회전에 의해 대전된 부분은 노광부(48)를 통해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받아 노광되어진다. 이때, 초기 대전된 상태에서 빛을 받은 부분이 정전잠상을 형성하게 된다. 그후, 상기 감광드럼(30)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은 현상롤러(22)를 지나는 동안 토너(28) 현상되어 가시상으로 변하게 된다.
그후, 카세트에 장착된 기록용지(42)가 픽업롤러에 의해 전사롤러(44) 측으로 급지되며, 그후 상기 기록용지(42)에는 전사롤러(44)의 고압 작용으로 상기 감광드럼(30) 표면의 토너 화상이 전사된다.
그후, 상기 기록용지에는 도시하지 않은 정착부의 히팅롤러와 압축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열과 압력에 의해 상(image)이 정착되어져 받침대 측으로 이송되어 원하는 인쇄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에서 독터-블레이드(20)와 현상롤러(22) 사이로 토너(28)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현상롤러(22)의 양측 끝에 씰(seal)(10)을 설치하였다.
즉, 종래에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기-프레임(32)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18)에는 현상롤러(22)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28)를 일정한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하는 독터-블레이드(20)가 접촉되어 설치된다.
상기 독터-블레이드(20)의 하부면에는 감광드럼(30)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28)를 현상시키는 현상롤러(22)가 설치된다. 상기 현상롤러(22)의 양측에는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현상롤러(22)에 전달하는 샤프트(22a)가 설치된다.
상기 현상롤러(22)의 일측에는 교반기(40)에 의해 교반된 토너(28)를 현상롤러(30) 측으로 공급하는 공급롤러(24)가 설치된다. 상기 공급롤러(24)의 양측에는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공급롤러(24)에 전달하는 샤프트(24a)가 설치된다.
상기 현상롤러(22)의 양측 끝에는 토너적재부(26)에 충진된 토너(28)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씰(seal)(10)이 접촉되어 설치된다.
즉,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씰(10)은 상기 독터-블레이트(20)의 일측면과 모서리 부분이 접촉되는 접촉면(14)이 니은자(ㄴ)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씰(10)의 하부면에는 상기 공급롤러(24)의 샤프트(24a)가 끼워져 결합되기 위한 구멍(16)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현상기의 토너 유출 방지장치에서 상기 독터-블레이드(20)와 현상롤러(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씰(10)의 과중한 압력을 받으면서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씰(10)의 과중한 압력이 독터-블레이드(20)의 양단을 누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독터-블레이드(20)의 모서리부가 상기 현상롤러(22) 표면의 양단을 깍아내어 틈(100)을 형성시킨다.
이로인해, 상기 현상롤러(22)의 틈(100)을 통해 미세한 토너(28)가 유출되어 프린터 내부가 심하게 오염되며, 또한 유출된 토너(28)로 인해 화상의 질이 떨어지며, 또한 상기 현상롤러(22)를 자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토너의 유출을 방지하여 프린터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현상기의 토너 유출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씰의 일측면에 감압부를 형성하여 현상롤러 표면의 깍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현상기의 토너 유출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독터-블레이드에 작용하는 씰의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현상기의 토너 유출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상롤러의 수명을 연장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현상기의 토너 유출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해상도의 화상을 형성시킬 수 있는 현상기의 토너 유출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반된 토너를 현상롤러 측으로 공급하는 공급롤러와, 감광드럼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현상시키는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롤러 표면의 토너를 일정한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하는 독터-블레이드와, 토너의 유출을 방지하는 씰을 구비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씰에는 상기 현상롤러 표면의 깍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독터-블레이드에 작용하는 씰의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감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통상적인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종래 기술에서 현상기의 토너 유출 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서 토너 유출 방지장치(씰:seal)와 독터-블레이드 사이에서 발생하는 압력 분포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의 토너 유출 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너 유출 방지장치(씰:seal)와 독터-블레이드 사이에서 발생하는 압력 분포를 나타낸 개략도.
도 6a는 종래 기술에서 씰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상롤러 표면의 깍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감압부가 형성된 씰(seal)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씰12: 감압부
14: 접촉면16: 구멍
18: 브라켓20: 독터-블레이드
22: 현상롤러24: 공급롤러
26: 토너적재부28: 토너
30: 감광드럼32: 현상기-프레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의 토너 유출 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너 유출 방지장치(씰:seal)와 독터-블레이드 사이에서 발생하는 압력 분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a는 종래 기술에서 씰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상롤러 표면의 깍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감압부가 형성된 씰(seal)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기-프레임(32)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18)에는 현상롤러(22)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28)를 일정한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하는 독터-블레이드(20)가 접촉되어 설치된다.
상기 독터-블레이드(20)의 하부면에는 감광드럼(30)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28)를 현상시키는 현상롤러(22)가 설치된다. 상기 현상롤러(22)의 양측에는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현상롤러(22)에 전달하는 샤프트(22a)가 설치된다.
상기 현상롤러(22)의 일측에는 교반기(40)에 의해 교반된 토너(28)를 현상롤러(30) 측으로 공급하는 공급롤러(24)가 설치된다. 상기 공급롤러(24)의 양측에는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공급롤러(24)에 전달하는 샤프트(24a)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현상롤러(22)의 양측 끝에는 토너적재부(26)에 충진된 토너(28)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씰(seal)(10)이 접촉되어 설치된다.
즉,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씰(10)은 상기 독터-블레이트(20)의 일측면과 모서리 부분이 접촉되는 접촉면(14)이 니은자(ㄴ)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씰(10)의 하부면에는 상기 공급롤러(24)의 샤프트(24a)가 끼워져 결합되기 위한 구멍(1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씰(10)의 접촉면(14)의 모서리부를 시작점으로 하여 내측 방향으로는 상기 현상롤러(22)의 깍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독터-블레이드(20)에 작용하는 씰(10)의 압력을 감소시키고, 동시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분포를 균일하게 형성시키기 위한 감압부(12)가 칼흠집에 의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의 토너 유출 방지 장치는 현상롤러의 양단과 독터-블레이드의 일측면과 접촉되게 설치되어 있는 씰(seal)의 일측면을 내측 방향으로 칼흠집을 내어 감압부를 형성하므로서 상기 독터-블레이드에 작용하는 씰의 압력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씰과 접촉되어 있는 상기 현상롤러와 독터-블레이드에 작용하는 압력 분포를 항상 균일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이로인해, 상기 현상롤러 표면이 상기 독터-블레이드의 과중한 압력에 의해 깍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현상롤러의 수명을 연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프린터 내부가 토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현상기 내부로 토너가 유출되지 않기 때문에 기록용지상에 토너가 묻지 않아 고해상도의 화상을 형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교반된 토너를 현상롤러 측으로 공급하는 공급롤러와, 감광드럼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현상시키는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롤러 표면의 토너를 일정한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하는 독터-블레이드와, 토너의 유출을 방지하는 씰을 구비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씰(10)에는 상기 현상롤러(22) 표면의 깍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독터-블레이드(20)에 작용하는 씰(10)의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감압부(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의 토너 유출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부(12)는 상기 독터-블레이드(20)와 상기 씰(10)이 접촉하는 접촉면(14)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의 토너 유출 방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부(12)는 상기 접촉부(14)에서 가장 많은 압력을 받는 모서부를 시작점으로 하여 내측 방향으로 칼흠집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의 토너 유출 방지 장치.
KR1019960039386A 1996-09-11 1996-09-11 현상기의 토너 유출 방지장치 KR0174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9386A KR0174685B1 (ko) 1996-09-11 1996-09-11 현상기의 토너 유출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9386A KR0174685B1 (ko) 1996-09-11 1996-09-11 현상기의 토너 유출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787A KR19980020787A (ko) 1998-06-25
KR0174685B1 true KR0174685B1 (ko) 1999-04-01

Family

ID=19473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9386A KR0174685B1 (ko) 1996-09-11 1996-09-11 현상기의 토너 유출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468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787A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2124Y1 (ko) 현상기의 교반기 장치
US6185392B1 (en) Developing apparatus
KR0174685B1 (ko) 현상기의 토너 유출 방지장치
KR0174689B1 (ko) 현상롤러의 고스트 방지장치
KR19980012237U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KR19980021698U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 장치
KR0174606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 롤러 장치
KR200158207Y1 (ko) 현상기의 토너 보급 규제장치
KR19980064075U (ko) 현상기의 토너 대전향상장치
KR200144674Y1 (ko) 현상롤러의 토너층 두께 규제장치
KR100223219B1 (ko) 전자사진장치에 있어서의 급지카세트 착탈장치
KR100285742B1 (ko) 현상기의토너역반송롤러
KR100191213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KR100421983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의 정착장치
KR100193866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KR100444272B1 (ko) 전자사진프로세서의토너재충진장치
KR100193868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KR19990002427U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KR19980012902U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 장치
KR19980057096U (ko) 현상롤러의 토너층 두께 규제장치
KR19980056525U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KR19990010941U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KR980003915A (ko) 화상형성장치의 클리닝장치
KR19990000831U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롤러 클리닝장치
KR19980058191U (ko) 현상기의 토너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