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3353B1 - 투습방수 코팅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투습방수 코팅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3353B1
KR0173353B1 KR1019950026738A KR19950026738A KR0173353B1 KR 0173353 B1 KR0173353 B1 KR 0173353B1 KR 1019950026738 A KR1019950026738 A KR 1019950026738A KR 19950026738 A KR19950026738 A KR 19950026738A KR 0173353 B1 KR0173353 B1 KR 0173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isture
permeable
coating
fabric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6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1160A (ko
Inventor
김금곤
문성진
Original Assignee
백영배
동양나이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영배, 동양나이론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백영배
Priority to KR1019950026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3353B1/ko
Publication of KR970011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3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33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15Proteins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10Repellency against liquids
    • D06M2200/12Hydrophobic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포위에 유공질 또는 무공질 투습수지층을 코팅하여 투습방수 코팅직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평균입경이 5~30um인 소수화 콜라겐 분말을 콜라겐 분말이 고형분으로 1~40g/m2로 섬유상에 존재하는 첨가량으로 코팅조액에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방수 코팅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수득되는 투습방수 코팅직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투습방수 코팅직물은 투습성, 방수의 내구성, 및 결로방지성이 우수한 이점을 갖는다.

Description

투습방수 코팅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투습방수 코팅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팅수지에 평균입경이 5~30um인 콜라겐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성, 방수성 및 투습성의 내구성이 우수한 투습방수 코팅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계한다,
투습방수 코팅직물은 일반적으로 우의, 스키웨어, 윈드브레이커(wind-breaker)등의 스포츠의류에 사용되는 직물로서, 종래로부터 코팅법이나 라미네이션법에 의해 투습피막을 적층시켜 제조되었다. 이와 같이 직물의 표면에 투습막을 갖는 투습성 방수직물은 사용약제 및 제조공법에 따라 미세공(micropore)을 갖는 유공질과 미세공이 없는 무공질로 나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공질의 투습피막은 박표면에 수증기가 외부로 발산가능한 정도의 연속된 미세공(0.5~5um)을 갖기 때문에, 투습성은 우수하나 내구성이 떨어지는 약점을 갖는다. 이에 반해 무공질의 투습피막은 내구성은 우수하나 투습성이 불충분한 경우가 많다. 또한, 연속된 미세공을 갖는 유공질의 투습피막은 충분한 투습성능과 방수성능을 갖는 것도 있지만 실제 의류로 봉제하여 착용시험을 해보면 의류 내부투습막쪽에 결로가 되어 투습성능이 현저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결로에 의한 투습방수성 저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는 콜라겐분말을 코팅액 조액시 첨가하여 코팅하므로써 흡습에 의한 결로를 방지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방법의 실시에 이용되는 콜라겐 분말은 폴리펩티드의 1차구조를 갖고 이 폴리펩티드쇄 3본이 합하여 3층 나선구조로 형성된 친수성이 높은 천연단백질섬유이다. 따라서, 코팅액 조액시 콜라겐 분자를 첨가하여 코팅피막을 제조하는 경우 흡습에 의해 결로방지성은 증가하나, 친수성에 의해 방수성, 특히 방수성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투습성, 결로방지성 및 방수의 내구성이 우수한 투습방수 코팅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직물위에 유공질 또는 무공질 투습수지층을 코팅하여 투습방수 코팅직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평균입경이 5~30um인 소수화 콜라겐 분말을 콜라겐 분말이 고형분으로 1~40g/m2섬유상에 존재하는 첨가량으로 코팅조액에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방수 코팅직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투습방수성의 내구성이 우수한 코팅직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흡습성을 유지하면서 소수화시킨 콜라겐 분말을 제조하여 이를 코팅직물의 제조에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수투습 코팅직물의 투습코팅층으로는 유공질 및 무공질 투습수지층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연속된 미세공을 갖는 유공질 수지층을 형성하는 수지로서는 폴리우레탄계, 폴리아크릴계, 폴리아미노산계, 폴리에스터계, 폴리초산비닐계등이 있다. 이 중에서도 특히 폴리우레탄계와 폴리아미노산계가 바람직하다.
연속된 유공질을 형성하는 방법에는 대표적으로 3가지 방법이 있다. 첫째는 물과 친화성이 있는 용제로 상기 수지용액을 제조한 후 이를 도포하여 물속에 침지시키는 습식응고법에 의해 미세공을 형성시키는 방법이고, 둘째는 상기 수지에 고분자흡습제등 가용성물질을 첨가한 용액을 도포한 후 온수나 열탕에서 용출시키는 방법이며, 세째는 상기 수지용액등에 물이 분산되어 있는 용액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물과 용제의 비등점 차이를 이용하여 선택증발시키므로써 연속된 미세공을 형성시키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해 투습방수 코팅직물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3가지 방법이 특별한 제한 없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미세공을 갖지 않는 무공질 투습수지층을 형성하는 수지로서는 물에 의해 팽윤되지 않고 필름형성성이 있는 수용성 수지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유공질 투습수지층의 수지와 같은 수지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투습방수 코팅직물의 제조시에 사용되는 섬유기재는 면등의 천연섬유,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터등의 합성섬유의 직물, 편물, 부직포등 으로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결로방지성이 있는 투습성 방수직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콜라겐분말은 천연단백질섬유로서 포유동물의 전단백질의 3분의 1을 차지하며 폴리펩티드의 1차구조를 갖고 이폴리펩티드 3본이 합하여 3중나선구조의 콜라겐 분자를 형성하고, 이의 수억본이 접속한 피브릴을 형성하여 가죽, 근육등을 형성한다. 피혁제품의 제조공정 중에 발생하는 피혁분을 공업적으로 이용가능하게 하기 위해 원료피를 특수정제 처리하고 기계분산시켜 특수내열처리한 후 미세분말화하여 콜라겐 분말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렇게 제조된 분말을 소수화처리하기 위하여 발수처리를 행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발수제로는 파라핀계, 실리콘계, 폴로오르가본계가 있는데, 이들 중 세탁내구성 측면에서 우수하고 그구조상 섬유의 표면장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플로오르카본계가 바람직하다. 플로오르카본계는 불소수지로서 탄화수소화합물의 수소의 일부가 불소원자에 의해 치환된 것이다. 즉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퍼플로로알킬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화합물이다.
(단, 상기 식에서 R1: 수소 또는 저급알킬기 : R2: CnF2n+1(n은 1~20의 정수)로 표시되는 퍼플로로알킬기를 갖는 동시에 수산기, 술폰산기, 아미노기중의 하나 이상이 결합되어 있는 기; a : 10~200의 정수)
본 발명에서 콜라겐 분말을 상기 발수제로 소수화처리하는 방법으로는 침지법, 스프레이법, 코팅법등 통상의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콜라겐 분말의 소수화처리시 발수제의 첨가량은 콜라겐 중량에 대해서 발수제 고형분의 양이 0.1~10%의 범위내이다. 이때 발수제의 첨가량이 0.1% 미만이면 콜라겐 분말의 소수화가 미흡하게 되고, 그 첨가량이 1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제성이 없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콜라겐의 소수화처리시 발수제의 첨가량은 상기 범위내인 것이 필수적이다. 이와 같이 하여 수득되는 콜라겐분말은 평균입경이 5~30um이다.
본 발명에서 코팅조액에 첨가되는 소수화콜라겐 분말의 첨가량은 고형분으로 1~40g/m2,바람직하기로는 5~25g/m2이다. 상기 소수화콜라겐의 첨가량이 1g/m2미만이면 투습방수성 저하효과가 부족하게 되고, 그첨가량이 40g/m2를 초과하면 결로방지성, 방수의 내구성은 좋아지지만 의료로서의 촉감이 나빠지고 코팅수지층과 섬유기재와의 접착력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방법에 의하면 촉감은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투습성, 방수의 내구성, 및 결로방지성이 우수한 투습방수 코팅직물을 수득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나이론 70d/68f사를 사용한 평직물(경사밀도 136본/인치, 위사밀도 94본/인치)을 제직한 후 통상의 방법으로 정련, 염색하고 수용성불소계 발수제 에멀존 3% 수용액에 침지,건조시킨 후 170℃에서 1분간 열처리하였다. 이어서 온도 160℃, 압력 30kg/m2, 속도 30m/분의 조건으로 칼렌다링하여 코팅용 기포를 제작하였다. 여기에 하기 표1에 나타낸 조성의 수지용액을 제조하여 나이프오버롤코더를 이용하여 상기 기포의 칼렌다면에 도포량 150g/cm2(wet)로 도포한 후 상온수에 10분간 침지시켜 응고시키고 70℃의 온수에서 10분간 탈용제시킨다음 건조하여 코팅피막을 형성시켰다. 그 다음으로 그라비아코터를 이용하여 코팅면을 용제형 발수제로 발수처리한 후 건조하고 100℃에서 30초간 열처리하여 본 발명의 투습방수 코팅직물을 제조하였다. 수득된 투습방수 코팅직물의 물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소수화 콜라겐 분말 대신에 소수화처리하지 않은 콜라겐분말을 동비율로 첨가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용 투습방수 코팅직물을 제조하고 그 물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2에 함께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코팅조액에 소수화 콜라겐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용 투습방수 코팅직물을 제조하고 그 물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2에 함께 나타내었다.
[물성 평가 방법]
실시예와 비교예에 있어서 코팅직물의 물성을 다음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Claims (3)

  1. 기포위에 유공질 또는 무공질 투습수지층을 코팅하여 투습방수 코팅직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평균입경이 5~30um인 소수화 콜라겐 분말을 콜라겐 분말이 고형분으로 1~40g/m2로 섬유상에 존재하는 첨가량으로 코팅조액에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방수 코팅직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화 콜라겐을 콜라겐 중량에 대해서 고형분으로 0.1~10%의 발수제를 처리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방수 코팅직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투습방수 코팅직물.
KR1019950026738A 1995-08-26 1995-08-26 투습방수 코팅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0173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6738A KR0173353B1 (ko) 1995-08-26 1995-08-26 투습방수 코팅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6738A KR0173353B1 (ko) 1995-08-26 1995-08-26 투습방수 코팅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160A KR970011160A (ko) 1997-03-27
KR0173353B1 true KR0173353B1 (ko) 1999-02-18

Family

ID=19424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6738A KR0173353B1 (ko) 1995-08-26 1995-08-26 투습방수 코팅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33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453B1 (ko) * 2006-02-16 2007-08-14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투습방수 코팅직물의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453B1 (ko) * 2006-02-16 2007-08-14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투습방수 코팅직물의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160A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98258B2 (ja) 撥水性と通気性を有する柔軟性素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4560611A (en)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coated fabric
WO2010126117A1 (ja) 透湿防水性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
GB2039790A (en) A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coated fabric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0173353B1 (ko) 투습방수 코팅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H079631A (ja) 透湿性防水布帛
JPS58180687A (ja) 透湿性、防水コ−テイングの加工方法
KR100232727B1 (ko) 3층 구조 투습방수 코팅직물의 제조방법
KR0174310B1 (ko) 투습방수코팅 직물의 제조방법
JPS61160480A (ja) コ−テイング布帛の製造方法
KR100822370B1 (ko) 투습방수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방법
KR100497634B1 (ko) 투습방수직물의 제조방법
KR860001652B1 (ko) 투습성 방수포와 그의 제조방법
KR100478129B1 (ko) 투습방수직물의제조방법
JP2969568B2 (ja) 透湿性防水布
JPH06272168A (ja) 透湿防水性コーティング布帛
KR100286604B1 (ko) 건식다공형 투습 방수포 및 그의 제조 방법
JPH07166479A (ja) 透湿防水性コーティング布帛の製造方法
JPS5870773A (ja) 編織物地の特殊加工法
KR960006123B1 (ko) 투습성 방수포 및 그 제조방법
KR920010715B1 (ko) 고투습성 방수포지의 제조방법
JPH07216752A (ja) 透湿性防水布帛の製造方法
KR910009653B1 (ko) 투습성이 우수한 코팅 직물의 제조방법
JPS58169572A (ja) 防水布
JPH09316784A (ja) 透湿防水性布帛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9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