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1867B1 - 전동케이블커터 - Google Patents

전동케이블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1867B1
KR0171867B1 KR1019960025820A KR19960025820A KR0171867B1 KR 0171867 B1 KR0171867 B1 KR 0171867B1 KR 1019960025820 A KR1019960025820 A KR 1019960025820A KR 19960025820 A KR19960025820 A KR 19960025820A KR 0171867 B1 KR0171867 B1 KR 0171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fe
electric cable
cable cutter
fixe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5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0812A (ko
Inventor
시게루 히라바야시
Original Assignee
이즈미 순지
가부시키가이샤 이즈미세이키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즈미 순지, 가부시키가이샤 이즈미세이키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이즈미 순지
Priority to KR1019960025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1867B1/ko
Publication of KR980000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0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1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18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5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cutting cables or wires, or spli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5/00Hand-held shears with motor-driven bla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동케이블 커터는 고정칼과 가동칼을 노정(露呈)하는 외에는 하우징내에 수장하는 것으로서 구성하고 있으며 전동모터와 이 전동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유성기어 감속기구를 수장하는 본체부와 한쪽 손으로 쥐기 가능하게 형성한 쥐는부와 전원으로서 끼우고 떼기 자유로운 축전지카트리지를 접속하는 전원부로 구성되며, 쥐는부에는 전동모터를 작동시키는 스위치 레버가 취부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전설공사등에서 높은 곳의 자유도가 제약된 상태하라도 한쪽손으로 조작하여 간단하게 케이블을 절단할 수가 있으며, 게다가 종래에 비하여 완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축전지를 사용하여 휴대식으로 하고있으므로 전원을 취하기 위한 코드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운반이 자유로이 어떠한 장소에서도 자유로이 사용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전동케이블커터
제1도는 종래의 케이블이나 철강을 절단하는 수동식 절단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전동케이블커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제3도는 실시예 1의 전동케이블커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제4도는 실시예 1의 전동케이블커터를 제3도의 P방향에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제5도는 실시예 1의 전동케이블커터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며, 가동칼이 피니언에 이맞물리전기의 상태를 나타내며,
제6도는 실시예 1의 전동케이블커터의 유성기어 감속기구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제7도는 실시예 1의 전동케이블커터의 가동칼의 부채형기어의 단부의 사시도이고,
제8도는 실시예 1의 전동케이블커터의 커터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가동칼이 되니언에 이맞물리기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제9도는 실시예 1의 전동케이블커터의 커터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가동칼이 피니언에 이맞물리고 있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도이고,
제10도는 실시예 1의 전동케이블커터의 커터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가동칼이 되니언에 이맞물려 끝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도이고,
제11도는 실시예 1의 전동케이블커터의 하우징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12도는 제11도의 B.B의 단면도이고,
제13도는 실시예 1의 전동케이블커터의 스위치레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제14도는 하우징의 잡는부의 일부단면도이고,
제15도는 전동케이블커터의 스위치와 스위치레버를 하우징에 설치한 상태로서 록노브가 눌려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16도는 전동케이블커터의 하우징의 움푹한 곳(凹부)과 록노브의 일부를 나타내는 부분도이고,
제17도는 전동케이블커터의 스위치와 스위치레버를 하우징에 설치한 상태로서 록노브가 눌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18도는 전동케이블커터의 하우징의 움푹한 곳(凹부)과 록노부의 일부를 나타내는 부분도이고,
제19도는 정동케이블커트의 스위치레버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20도는 전동케이블의 방진브러시의 착탈상황(着脫狀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제21도는 전동케이블커터의 방진브러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제2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전동케이블커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제2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전동케이블커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제2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전동케이블커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제25a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전동케이블커터의 고정칼과 가동칼간의 접동간격을 간략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제25b도는 실시예 3의 전동케이블커터의 케이블 절단 부하시에서의 칼부간의 격리량(隔離量)을 간략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제26a도는 실시예 1의 전동케이블커터의 고정칼과 가동칼간의 접동간격을 간략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제26b도는 실시예 1의 전동케이블커터의 케이블 절단부하시에서의 칼부간의 격의량을 간략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제27도는 고정칼에 프로텍터를 붙인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전선이나 봉강 등의 선재를 절단하는 케이블 커터, 특히 전동모터로 유성기어기구를 구동하여 전선 등을 절단하는 휴대가능한 전동케이블 커터에 관한 것이다. 전설공사(電設工事)에서 전선, 전신, 전화선 등의 케이블을 절단하거나 접속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 케이블 커터가 사용된다. 종래의 케이블 커터는 클램프로 전선을 끼워 유압식의 커터로 절단하는 것이 많다. 또는, 제1도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수동식절단기가 사용된다. 이 수동식절단기는 선단부에 칼(101a)을 구비한 링크(101)와, 칼(102a)을 구비한 링크(102)와, 링크(103) 및 핸들(104)(105)로 소위 토글(toggle)기구를 구성하도록 한 것이다. 이절단기에서는, 핸들(104)과 핸들(105)을 제1도에 나타내는 화살표의 방향으로 돌리면, 칼(101a)과 칼(102a)이 축(106)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에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이것들의 칼의 사이에 끼워진 케이블이나 봉강이 전단력에 의해 절단된다. 기타 케이블 절단기에는 전동식의 것이 있다. 전동식케이블 절단기에서는 전원에 접속하기 위한 코드와, 칼부를 구동하는 구동장치와 이 구동장치를 작동, 정지시키는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위치를 조작하는 스위치 레버는, 핸들부의 손가락을 걸기 쉬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통상, 스위치 레버에는 작업자의 손가락이나 몸의 일부등이 닿아, 스위치가 ON이 되어 구동장치가 작동하지 않도록 안전장치(안전스위치 레버)가 조립되어 있는 것이 많다. 안전스위치 레버로서는 스위치 레버를 누르더라도 스위치레버의 이동이 저지되는 구조의 것이 많고, 예를 들면, 보턴과 같이 이동하는 링크를 스위치 레버가 설치되어 있는 근방에 별개로 배치하여, 보턴을 손가락으로 이동시키면 링크가 스위치 레버의 이동을 저지한다고 하는 것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전설공사 등에 있어서는 높은 곳에 올라가 한쪽 손으로 몸을 지지한다든지 또는 다른 물건을 유지하는 등 손발의 자유도가 제약된 상태하에서 작업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 많다. 따라서, 상술의 수동케이블 커터나 수동식절단기 등을 높은 곳 등의 불편한 장소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보조구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고 또한, 상당한 팔 힘도 필요하다. 또한, 안전스위치 레버를 구비한 전동식절단기에서는, 안전스위치 레버는 한쪽 손으로 조작할 수가 있는 것은 아니고 특히 절단기를 가지는 측의 손(손가락)만으로 조작할 수 없는 것이 많다. 또한, 전원에 접속하기 위한 코드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사용가능한 장소가 제한된다.
본 발명은 상기하는 과제를 감안하여 된 것으로서 운반이 자유롭고 또한 높은 곳 등의 불편한 장소라도 안전 또한 간단히 한쪽 손으로 조작할 수가 있는 휴대식 전동케이블커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동케이블커터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내에 들어있는 전동모터와 하우징내에 납입되어 전동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유성기어 감속기구와 유성기어 감속기구의 고정부에 고정되어 하우징의 개구보다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하우징내에 설치된 원호상의 고정칼과 고정칼에 회동자유로이 원추형 접합되어 외주테두리부에 기어를 형설함과 동시에 내주(內周)리브부에 제1부의 칼부를 가지고 유성기어감속기구를 통하여 회전구동되고, 제1의 칼부가 하우징의 개구보다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하우징내에 설치된 가동칼과 전동모터용의 구동전원과 전동모터를 작동 및 정지시키는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구동전원은 축전지이고 축전지는 하우징에 착탈가능한 축전지카트리지내에 납입되어 있다. 또, 가동칼의 외주테두리에 형성되는 기어는 부채형기어로서 제1의 칼부를 원호상으로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고정칼은 내주리브부에 원호상의 제2의 칼부를 가질 수가 있다. 또한, 가동칼의 기어의 단부에 가동칼의 기어의 치형(齒形)과 대략동일의 치형으로 형성한 스프링을 스프링의 치형이 가동칼의 기어의 치형에 계속되도록 붙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칼의 파손시에 파편이 비산하지 않도록 프로텍터를 고정칼에 붙일 수가 있다. 더욱, 본 발명의 전동케이블커터에는 스위치의 구동부에 고정되어 하우징의 외측에 취부되는 스위치 레버를 더욱 구비하여도 되고 이 스위치 레버를 조작하므로서 스위치가 가동칼을 정전, 반전의 어느쪽의 방향에도 구동하도록 구성할 수가 있다. 이때, 스위치 레버에는 하우징에 형성된 凹부에 박고, 톱기, 자유로이 끼워넣기 가능한 凸부를 외측에 형성하는 록노브가 스프링을 끼워 배치하며 록노브를 누를 때 凸부가 凹부에서 빠져 스위치 레버를 스위치를 구동시키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가 있으며 록노브가 눌려지고 있지 않을 때 凸부가 凹부에 끼워져 스위치의 구동을 억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동케이블커터에는 방진브러시가 하우징의 개구에 붙여 이 개구를 씌워 개구를 출몰하는 가동칼을 접찰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방진브러시는 폴리아세탈수지에 의한 식모프래이트부재에 짐승모를 식모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동케이블 커터는 더욱, 고정칼을 2장으로 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겹치도록 유성기어감속기구의 고정부에 고정하여 가동칼이 2장의 고정칼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고정칼에 축받이 할 수가 있다. 이때, 2장의 고정칼에는 칼부를 형성하지 않고, 2장의 고정칼을 칼우도기구로서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가동칼의 제1의 칼부를 직선형상으로 하고 있다. 더욱, 본 발명의 전동케이블커터는 고정칼과 가동칼의 지점축 주변의 반작용측 부위의 받이 면적을 크게하여 케이블 절단부하시에 있어서의 고정칼 및 가동칼의 반작용측부위의 접촉위치를 지점축에서 멀리하여 형성할 수가 있다. 상술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전동케이블에서는 전동케이블 커터를 한쪽 손으로 쥐고 절단하고져 하는 케이블 등피절단물을 고정칼의 칼부에 따라 이 전동케이블 커터의 작동스위치를 넣는다. 이것과 동시에 전동모터가 작동하여 유성기어 감속기구가 구동되며 이 유성기어감속기구의 피니언(출력이어)에 의해서 가동칼의 외주테두리부의 기어가 구동되어 가동칼은 고정칼과의 추착축(樞着軸)을 지점으로 하여 회동하여 케이블을 절단한다. 이때, 가동칼이 방진브러시에 의하여 접찰되기 때문에 부착절단설(付着切斷屑)은 일소되며 낙하절단설을 포함하여 외부쓰레기류가 하우징내에의 침입이 방지된다. 또한, 본발명의 작동스위치는 록노브를 누르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록노브의 클릭(click)부가 하우징의 움푹한곳(凹부)에 끼워 넣은 상태(록상태)가 되기 때문에 스위치레버를 눌러도 스위치가 작동하지 않고, 가동칼을 회전시킬 수가 없다. 이것에 대하여, 록노브를 눌린 상태에서는 록노브의 클릭이 하우징의 움폭한 곳에서 빠진 상태(비록크 상태)가 되기 때문에 록노브를 눌리면서 스위치 레버를 눌리면 스위치가 작동하여 가동칼과 회전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전동케이블의 스위치는 전동케이블 커터 쥐는 손으로 안전하게 또한 간단하게 조작할 수가 있다. 더욱 또, 가동칼의 기어의 단부에 가동칼과 기어의 치형과 대략 동일의 치형에 형성한 스프링을 가동칼의 기어의 치형에 계속되도록 취부되어 있으므로 스프링에 의해 형성된 치형이 피니언과 가동칼의 기어와의 원활한 이맞물림을 유도하는 작용을 다한다. 따라서 피니언과 가동칼의 기어를 직접 이맞물리는 경우에 비교하여 이와 이와의 간섭이나 충격등도 발생하지 않고 이맞물림이 매우 원활하게 되며 결락(결落) 등의 지장도 생기지 않는다. 이하에 본 발명이 적절한 실시예를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하지만, 이 실시예는 예시에 지나가지 않고 본 발명의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이탈하지 않은 한 여러 가지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 설명에 있어서 동일의 구성요소에는 동일의 부호를 붙여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 1의 전동케이블커터의 사시도, 제3도는 실시예 1의 전동케이블커터의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P화살표에서 본 측면도, 제5도는 실시예 1의 전동케이블커터의 배면도이다.
이 전동케이블커터는 고정칼(1)과 가동칼(2)을 드러내는 외는 하우징(3)내에 수장(收裝)시킨 것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즉, 제2도 내지 제5도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하우징(3)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후술하는 전동모터와 이 전동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유성기어감속기구를 수장하는 본체부(3a)와 한쪽 손으로 쥐기 가능하게 형성한 쥐는부(3b)와 전원으로서 끼우고 떼기 자유로운 축전지카트리지(4)를 접속하는 전원부(3e)로 구성되며 쥐는부(3b)에는 전동모터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레버(5)가 취부되어 있다. 하우징(3)의 쥐는부(3b)에 취부한 스위치 레버(5)는 전동모터를 정전구동하는 포워드스위치 레버(9)와 전동모터를 반전구동시키는 리버스스위치 레버(10)와 그 중간에 설치한 록노브(11)를 가지며, 포워드스위치 레버(9) 및 리버스스위치 레버(10)는 각각, 록노브(11)와 동시에 밀어 넣음으로서 CN상태가 되도록 하여, 조작의 안전을 기하고 있다. 또한, 전동케이블 커터가 케이블 이외의 절단에 사용되는 경우나 연속절단에 의한 승열등(昇熱等)전동모터에 모터의 정격이상의 전류가 흘러 계속하는 경우, 전동모터소손 보호를 위해 서킷브레이커(제11도의 부호45)가 하우징(3)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서킷브레이커가 작용하여, 전동케이블 커터의 작동이 정지되는 경우, 리셋핀(46)이 하우징(3)보다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동케이블 커터의 작동이 정지한 때는 그대로 수십초 방치한 뒤 리셋핀(46)을 눌러 본래되로 되물리므로서 재작동이 가능해 지다. 더욱, 전동모터나 기어 기구 등의 구동부에 의한 본체부(3a)내부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3)의 본체부(3a)에는 통풍구멍이(44)이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3a)의 정부(頂部)에는 개구(6)를 설치하여 이 개구(6)에서 원호상의 칼부(1a)를 가지고 일단을 내부의 유성기어감속기구의 고정부에 고정한 고정칼(1)을 돌출시켜 이 고정칼(1)의 돌출단에 축지축(樞支軸)(7)에 의하여 원추형접합시킨 대략 부채형상의 가동칼(2)을 설치하였다. 이 가동칼(2)은 리브부에 상당하는 내주테두리부에 원호상의 칼부(2a)를 가짐과 동시에 외주테두리부에 기어(2b)를 형설하여 수장한 유성기어감속기구의 피니언(출력기어)에 이맞물리게 되어 있다. 또한, 개구에는 이 개구(6)을 씌워 가동칼(2)에 세게 당접하는 상태에 방진브러쉬(8)를 부착해 놓았다. 전원부(3c)에 끼우고 떼기가 자유로운 축전지카트리지(4)는 래치(4a)를 눌리면서 꺼내므로서 하우징(3)에서 빼낼 수가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전동키이블 커터의 하우징(3)의 본체부(3a)에 수장되는 유성기어감속기구(13)를 설명한다. 제6도에 유성기어감속기구(13)의 내부구성을 나타낸다. 이 유성기어감속기구(13)는 5단계로 감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전동모터(14)의 구동축(15)의 선단에 원추형 접합한 제1의 소기어(16)와 이것에 이맞물리는 제1의 대기어(17)에 의해 제1단계의 감속이 행해지며 제1의 대기어(16)와 이것에 이맞물리는 제1의 대기어(17)에 의해 제1단계의 감속이 행하여지며, 제1의 대기어(17)와 동축 일체로 형성된 제2의 소기어(18)와 이것에 이맞물리여 기어케이스(19)에 베어링에 의해 회전자유로이 유지되는 제2의 대기어(20)에 의해 제2단계의 감속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제2의 대기어(20)는 동축일체로 소경의 기어에 의한 제1의 태양기어(21)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제1의 태양기어(21)와 기어케이스(19)에 고정된 제1의 내치기어(內齒齒車)(22)에 이맞물리면서 공전하는 유성기어(23)에 의해 제3단계의 감속이 행하여 진다. 이 유성기어(23)의 공전을 전달하는 유성유지판(24)과 일체로 형성한 소기어에 의한 제2의 태양기어(25)와, 기어케이스(19)에 고정된 제2의 내치기어(26)와의 사이에 배열설치된 복수의 유성기어(27)는 유성유지판(28)에 유지되며 제4단계의 감속이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다. 더욱 유성유지판(28)과 스플라인 결합하는 축(29)에 형성된 제3의 태양기어(30)와 기어케이스(19)에 고정된 제3의 내치기어(31)와의 사이에 배열 설치되고 유성유지판(32)에 유지된 유성기어(33)의 공정에 의해서 제5단계의 감속이 행하여진다. 또한, 이 유성기어(33)의 공전은, 유성유지판(32)에 스플라인결합한 출력축(34)을 통하여 피니언(출력기어)(35)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이 5단계의 감속에 의해, 피니언(35)은 큰 구동 토크를 얻을 수가 있으며 이맞물리는 가동칼(2)을 회동하는 것으로 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전동케이블커터의 고정칼(1)과 가동칼(2)로 되는 커터 부분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7도는 가동칼(2)의 부채형기어(2b)의 단부의 사시도이다. 가동칼(2)의 부채형기어(2b)단부에는 가늘고 긴 판상의 스프링(12)이 장착되어 있다. 이 스프링(12)은 일부를 부채형기어(2B)의 치형과 대략 동일형상의 치형(12a)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스프링(12)을 치형(12a)의 단부에서 연설한 판부(12B) 및 (12c)를 가동칼(2)의 단부에 형성한 움푹한곳(凹부)(2c)의 측벽에 따르는 것 같이 끼워고정하며 더욱, 한쪽의 판부(12b)에 I자형으로 구부린 평판부(12d)를 볼트(36)로 고정하였다. 스프링(12)에 형성한 치형(12a)의 높이 및 두께등은 부채형기어(2b)의 치형과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스프링(12)을 가동칼(2)의 단부에 취부할 때는 치형(12a)부분이 부채형기어(2b)의 치형에 계속되도록 또한, 이와 이의 피치도 대략동일하게 되도록 형성하여 취부하는 편이 좋다. 이와 같이 치형에 형성한 스프링(12)을 가동칼(2)의 다른쪽의 단부에도 같이하여 취부하고 있다. 제8도는 가동칼(2)이 피니언(35)에 이맞물리기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내며, 제9도는 이맞물리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낸다. 가동칼(2)는 피니언(35)과 접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자유회전하므로 프리의 상태에서 부채형기어(2b) 부분을 피니언(35)의 이에 꽉 밀어 당접시킨다. 그리고, 상술한 구동기구를 통하여 피니언(35)을 구동하면 가동칼(2)의 부채형기어(2b)의 단부에 취부된 스프링(12)의 이(12a)가 피니언(35)의 이와 맞물린다. 이 때 스프링(12)와 치형(12a)부분은 탄성변형하면서 피니언(35)의 이와 맞물리며 이어 부채형기어(2b)와 스무스하게 이맞물린다. 즉, 스프링(12)에 형성된 치형(12a)부분은 피니언(35)과 부채형기어(2b)와의 원활한 이맞물림을 유도하는 작용을 다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피니언(35)과 가동칼(2)의 부채형기어(2b)를 직접 이맞물리는 경우에 비하여 이와 이와의 간섭이나 충격등도 발생하지 않고 이맞물림이 극히 원활하게 되며 또한 이의 결락 등의 지장도 생기지 않는다. 제10도는 가동칼(2)과 피니언(35)과의 이맞물림 종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가동칼(2)의 부채형기어(2b)에는 양단부에 부채형기어(2b)의 치형과 유사한 치형(12a)을 형성한 스프링(12)을 취부하였으므로 제10도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것 같이 가동칼(2)을 반회전(Release)시킨 경우라도 정회전시킨 경우와 같이 피니언(35)과 부채형기어(2b)와의 원활한 이맞물림을 유도하는 작용을 다한다. 다음에, 전동케이블커터의 스위치 및 스위치 레버의 구조에 관해서 상세히 상술한다. 제11도는 하우징(3)의 본체부(3a) 및 쥐는 부(3b)의 내부의 구성을 나타내며 제12도는 제11도의 B-B의 단면도이다. 제11도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스위치 레버(5)는 쥐는 부(3b)에 취부되어 있고 스위치(37)는 하우징(3) 내부에 설치한 돌기(突紀)(49) 등에 의해 고정하여 하우징(3)에 취부되어 있다. 스위치에는 직4각형의 구동축(37a)가 설치되고 스위치 레버(5)의 리브부(38)를 끼워 넣어 고정되어 있다. 제11도의 상태로서는 스위치 레버(5)를 조작하여도, 스위치(37)를 ON으로 할 수는 없으며 후술하는 것과 같이 록노브(11)를 눌린 상태에서 포워드스위치 레버(9)를 눌리면 스위치(37)는 피니언(35)을 가동칼(2)이 구동하는 방향케이블을 절단하는 방향, 제8도의 화살표 방향에 ON으로 한다. 또한, 리버스 스위치레버(10)를 눌리면 스위치(37)는 피니언(35)을 가동칼(2)을 반전시키는 방향(제10도의 화살표방향)에 ON으로 할 수가 있다. 제12도 및 제13도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로크노브(11)의 양외측에는 직4각형의 클릭이(11a)이 형성되며 안쪽에는 스프링(39)을 삽입하기 위한 원통상돌기(11c)가 형성되어 있다. 록노브(11)는 스위치 레버(5)의 중앙부에 형성한 凹부에(40)에 끼워 넣어지지만 그 때 스프링(39)을 삽입한 원통상돌기(11c)를 스위치 레버(5)의 凹부(40)에 천설한 한 구멍에(42)에 끼워넣도록 하여 조립하여 이들 스위치(37) 및 스위치레버(5)를 하우징(3)의 쥐는부(3b)에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3)의 쥐는부(3b)의 양측에는 제12도 및 제14도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록노브(11)의 양측에 형성된 직4각형의 클릭(11)이 꼭 맞도록 제4각형의 움푹한 곳(41)이 형성되어 있다. 스위치(37) 및 스위치 레버(5)를 하우징(3)에 설치할 때는 움푹한 곳(41)에 록노브(11)의 직4각형의 클릭(11a)을 끼워 설치한다. 그리고, 록노브(11)를 스위치 레버(5)의 중앙부의 凹부(40)에서 약간 이동가능하게 하여, 손가락으로 누를 때 스프링(39)에서의 부세력이 작용하여 클릭(11a)이 하우징(3)의 움푹한 곳(41)에서 빠져 손가락을 놓으면 클릭(11a)이 원래의 움푹한 곳(41)에 끼워지도록 즉, 클릭(11a)이 움푹한 곳(41)에 박고 뽑기 자유롭게 되도록 설치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되는 스위치 레버(5)의 작용을 설명한다. 제15도는 전동케이블 커터의 구동장치를 ON, OFFㄹ하는 스위치와(37)와 스위치 레버(5)를 하우징(3)의 쥐는부(3b)에 설치한 상태로서 록노브(11)를 눌리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제16도는 쥐는부(3b)의 움푹한 곳(41)과 록노브(11)의 일부를 나타내는 부분도이다(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록노브(11)의 일부를 2점쇄선으로 나타낸다). 제15도 및 제16도의 상태에서는 록노브(11)의 클릭(11a)이 쥐는부(3b)의 움푹한 곳(41)에 끼워넣은 상태(록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스위치 레버(5)의 상부의 포워드스위치 레버(9)를 눌러도 또, 스위치 레버(5)의 하부의 리버스스위치 레버(10)를 누러도 스위치(37)의 구동축(37a)을 구동하여 스위치(37)를 ON으로 할 수는 없다. 따라서, 스위치 레버(5)를 조작하므로서 전동케이블커터의 가동칼(2)이 어느쪽의 방향에도 회전하는 일은 없다. 다음에, 제17도는 전동케이블커터의 구동장치를 ON, OFF하는 스위치(37)와 스위치 레버(5)를 쥐는부(3b)에 설치한 상태로서 록노브(11)를 눌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18도는 쥐는부(3b)의 움푹한 곳(41)과 록노브(11)의 일부를 나타내는 부분도이다(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록노브(11)의 일부를 2쇄선으로 나타낸다). 제17도 및 제18도의 상태에서는 록노브(11)가 눌리어 록노브(11)의 클릭(11a)이 쥐는부(3b)의 움푹한 곳(41)에서 빠진 상태(록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포워드스위치 레버(9)를 눌리면 스위치(37)의 구동축(37a)을 ON으로 할 수가 있으며 가동칼(2)이 케이블을 절단하는 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또한, 리버스스위치 레버(10)를 눌리면 스위치(37)의 구동축(37a)을 구동하여 ON으로 할 수가 있으며, 가동칼(2)을 반전하는 방향(케이블을 절단하지 않은 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따라서, 전동케이블 커터의 가동칼(2)을 어느 방향에도 회전구동 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스위치 레버(5)는 하우징(3)의 쥐는부(3b)에 설치되며 안전장치인 록노브(11)가 스위치 레버(5)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9도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안전성을 유지하면서 전동케이블커터를 쥐는 한 쪽의 손으로 간단히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제20도 및 제21도를 참조하여, 전동케이블커터의 하우징(3)의 본체부(3a)의 개구(6)에 취부되는 방진브러시(8)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0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방진브러시(8)는 본체부(3a)의 개구(6)에 삽입하여, 나사(42)에 의해 붙이고 자유로이 나사식으로 붙이도록 되어 있다. 방진브러시(8)의 브러시털(8b)는 개구(6)를 씌움과 동시에 이 개구(6)를 출몰하는 가동칼(2)의 표면을 접착할 수 있도록 가동칼(2)에 밀접하도록 되어 있다. 이 방진브러시(8)는 그 식모폴레이트부재(8a)를 개구(6)의 형상에 맞추어 대락 반월 모양으로 합성 수지로 성형되어 있으며 이것에 브러시털(8b)을 식모하여 놓았다.
식모플레이트부재(8a)에는 ABS,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등 엔지니어링 프라스틱의 사출성형품도 이용할 수 있으나 특히, 인성, 내열성, 브러시털의 유지성등이 양호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점에서 폴리아세탈수지에 의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브러시털(8b)로서는 복원성, 내구성, 내열성의 점에서 짐승털이 바람직하고, 입수성에서는 예를 들면 돼지모가 이용하기 쉽다.
방진브러시는 다른 실시예로서 제21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소위 원터치식으로 붙이고 떼기 자유로운 것으로 구성할 수가 있다. 이 방진브러시(80)는 식모플레이트부재(81)의 중앙부에 두꺼운 두께에 감합부(81a)를 형성함과 동시에 양다리부를 다리모양으로 하여 그 선단을 일부놋치형의 갈고리부(81b)로 형성하여 있다. 하우징(3)의 본체(3a)와 개구(6) 안쪽에 이것들 감합부(81a)와 갈고리부(81b)에 알맞은 가이드부나 계지부(83)를 설치하여 방진브러시(80)의 양다리부를 제21도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안쪽으로 눌러 폭을 좁히면서 개구(6)내에 삽입하여, 하우징(3)내의 계지부(83)에 거는 것이다. 이 실시예의 경우에 대하여도 식모플레이트부재로서, 폴리아세탈수지성형품이 인성이나 탄성에 우수한 점에서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전동케이블 커터는 특히, 얼크러진 동선을 절단하는데 적합하다. 본 실시예의 전동케이블커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전동케이블커터의 쥐는부(3b)를 한쪽 손으로 쥐고 제2도에 도시한 고정칼의 칼부(1a)에 따라 피절단케이블(43)을 셋한다. 이 때 가동칼(2)의 기어(2b)가 프리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손가락으로 제2도중의 화살표 방향으로 눌러 하우징(3)의 본체부(3a)내의 유성기어감속기구(13)의 피니언(35)에 이맞물릴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포워드스위치 레버(9)와 록노브(11)를 손가락으로 동시에 눌러 스위치(37)를 ON으로 하면 하우징(3)내의 전동모터(14)가 작동하여, 유성기어감속기구(13)를 구동한다. 이 때, 피니언(35)은 감속에 의한 큰 구동토크에 의해 기어(2b)를 통하여 가동칼(2)을 수지축(7)을 지점으로 하여 제2도중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시켜 피절단케이블(43)을 에워싸는 것 같은 형으로 용이하게 절단할 수가 있다. 절단시에 발생한 절단설은 낙하하여 또한, 가동칼(2)에 부착하여도, 하우징(3)의 개구(6)에 취부한 방진브라시(8)에 의하여 개구(6)내에의 빠지는 것이 방지되며 또한, 방진브러시(8)로 일소시킴으로서 절삭설이 가동칼(2)에 부착하여 내부에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더욱 가동칼(2)을 피니언에서 빠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5도에 나타난 가동칼을 피니언에서 빼어 그 반륨(S)에서 케이블 등의 피절단재를 넣을 수 있다. 따라서 긴 케이블등이라도 빈홈(S)에서 커터 부분에 넣어 간단히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예 1은 동을 꼰선의 절단에 적합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용케이블(CCP)등이 가는 절단물인 경우에 사용되는 전동케이블커터를 설명한다. 제22도는 실시예 2에서의 전동케이블커터의 정면도이다. 상술한 실시예 1과 다름 부분은 커터부분이고, 구동부, 스위치 레버 등의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의 전동케이블커터와 동일하다. 제22도에서 도시하는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전동케이블커터에서는 실시예 1의 원호상의 칼부(1a)를 갖는 고정칼(1)의 대신에 칼을 가지지 않은 2장의 칼유도부(50a)(50b)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겹치도록 유성기어감속기구(13)의 고정부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칼이 2장의 칼유도부의 사이를 작동하도록 칼유도부(50a)(50b)의 돌출단에 추지축(52)에 의하여 원추형접합되어 있다. 이 가동칼(51)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외주테두리부에 기어(51b)를 형설하여 하우징(3) 내부에 수장한 유성기어감속기구(13)의 피니언(35)에 이맞물리게 되어 있으며 기어(51b)의 양단에는 스프링(53)으로 형성한 이부(53a)를 설치하였다. 또한, 가는 피절단물용에 가동칼(51)의 칼부(51a)는 원호상은 아니고 직선상으로 형성하여 칼의 각도를 실시예 1의 칼보다 예각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칼유도부(50a)(50b)에는 칼이 붙어 있지 않으므로 절단물 경우 절단시에 씹어넣는 일은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전동케이블커터는 가는 절단물에 적합하며 특히 통신용케이블(CCP)을 절단하는데 적합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는 케이블이나 딱딱한 케이블, 예를 들면 자기지지형가공케이블(SS 케이블)에 사용되는 전동케이블커터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도 실시예 2와 같이, 실시예 1과 다른 부분은, 커터 부분이며 구동부, 스위치 레버 등의 다른 구성은 실시예 1과 같다. 본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실시예 1의 커터 부분과 비교하면서 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3도는 본발명의 실시예 3의 전동케이블의 개략을 나타내며 케이블 절단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제24도는 실시예 1의 전동케이블커터의 개략을 나타내며 케이블 절단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실시예 3의 케이블 커터도 실시예 1과 같이 하우징(3)의 상부에 유성기어 감속기구(13)의 고정부에 고정하여 돌출시킨 고정칼(55)과 이 고정칼(55)의 지점축(57)에 의하여 축받이 되어 또 피니언(35)에 이맞물리는 가동칼(56)을 구비하고 있다. 고정칼은 (55)은 그 내주테두리부에 원호상의 칼부(55a)를 설치하였으며 또한 가동칼(56)은 내주테두리부에 원호상의 칼부(56a)를 설치함과 동시에 외주테두리부에는 기어(56b)를 형성하여 유성기어감속기구(13)의 피니언(35)에 이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욱, 기어(56b)의 양단에는 스프링(58)으로 형성한 이부(58a)를 설치하여 기어(56b)와 피니언(35)의 이맞물림을 원활이 유도시키고 있다. 제25a도는 실시예 3의 전동케이블커터의 고정칼(55)과 가동칼(56)간의 접동간격을 간략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 제25b도는 실시예 3의 전동케이블커터의 케이블 절단부하시에 있어서의 칼부간의 격리량을 간략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 제26a도는 실시예 1의 전동케이블커터의 고정칼(1)과 가동칼(2)간의 접동간격을 간략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 제26b도는 실시예 1의 전동케이블 절단부하시에 있어서의 칼부간의 격리량을 간략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제23도 및 제24도에 나타내는 제3 및 실시예 1의 전동케이블커터는 2장의 연곡선칼의 접합(摺合)에 의한 전단기구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제25a도 및 제26a도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고정칼(55)(1)과 가동칼(56)(2)간에는 접동간격(C1)(c2)을 필요로 한다.
최초에 실시예 1의 전동케이블커터에 있어서의 접동간격에 대하여 설명한다. 케이블(70)을 절단할 때는 제26b도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작용측이 되는 양칼부(1a)(2a)와는 반대의 반작용측부위(1A')(2A')가 지점축(7)에서 가까운 위치에서 접촉하는 것으로 된다. 즉, 절단부하시의 고정칼(1), 가동칼(2)은 열고자 하는 측압(側壓)이 작용하므로 반작용측부의 (1')(2')의 받이 면적의 크기(D2)에 의하여 칼부(1a)(2a)의 격리량(C2)이 결정되는 것으로 된다. 이 결과, 실시예 1의 전동케이블커터를 소선경(素線徑)이 가는 세선이나 딱딱한 피절단물 등에 적용한 경우, 외피와 심선의 사이의 절연필름 등의 개재물 등의 개재물이 고정칼(1)과 가동칼(2)의 사이에 끼어 잘라 남는 것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또한, 케이블 절단시에는 칼부간의 격리량(C2')이 큰 것부터 고정칼(1), 가동칼(2)을 비롯하여 지점축(7) 등의 구성부품에는 변형이 큰 영향을 준다. 이 변형이 큰 경우, 키이블 커터 자체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그래서, 실시예 3의 전동케이블커터는 제25b도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고정칼(55)과 가동칼(56)을 축받이 하는 지점축(57)주변의 반작용측부의 (55')(56')의 받이 면적의 크기(D1)를 실시예 1의 받이면적의 크기(D2)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25a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집동간격은 실시예 1과 동량이라도 고정칼, 가동칼의 반작용측 부위의 받이 면적크기(P1)가 실시예 1과 비교하여 크게 된다. 그리고, 제25b도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케이블(70)의 잘단부하시에 고정칼(55)과 가동칼(56)에 측압이 크게 작용하여도 반작용측부위(55')(56')의 접촉개소가 지점축(57)에 크게 떨어져 실시예 1의 그것보다 멀리되었으므로 칼부간의 격리량(C1')을 극력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이 받이 면적의 크기(D1)가 클수록 칼부간의 격리량은 적게되지만 케이블커터 전체의 중량증가, 비용의 점 등에서 약2배 정도의 크기가 적당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서 케이블커터를 절단할 때의 칼부간의 격리량(C1')이 극력 작게 억제할 수 있으므로 가는 피절단물이나 딱딱한 피절단물에 적용하는 경우, 세선의 피복을 잘라 남기는 일 없이 확실히 절단할 수 있다. 또, 칼부분의 격리량(C1')이 작게 억제되어 구성부품의 변형도 작게 되므로 케이블 커터 자체의 내구성도 향상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피절단물이 딱딱한 경우에는 칼끝의 각도를 크게하여 칼끝의 강도를 증가하는 등, 피절단물의 종류에 맞추어 칼끝의 각도 및 칼의 두게등칼부를 변경할 수가 있다. 또, 제27도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적용외의 절단물에의 사용 등에 기인하는 과부하에 의해 고정칼(1)에 파손이 생기더라도 파편이 바산하지 않도록 활모양의 프로텍터(63)를 고정칼(1)의 외주테두리에 따르는 것 같이 일단을 추지축(7)타단을 나사(64)에 의해 고정하여 고정칼(1)에 취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로서는 전원으로서 충전지카트리지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것과 병용하여 AC전원 어댑터를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비교적 자유로워 AC전원이 옆에 있는 장소에서 작업할 때는, 전원을 콘센트에서 빼냄으로써 축전지를 사용한 경우에 비교하여 장시간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 가동칼을 정반의 양쪽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나 반전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정회전만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가동칼의 양단에 설치한 스프링(12)은 피니언에 이맞물리는 측의 한쪽에만 취부하면 된다. 더욱, 제26a도 및 제26b도에서는 비교대상을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지점축(57)의 칼라(collar)부를 가동칼(56)보다 돌출시키고 있었으나 제1도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지점축(7)의 칼라부를 가동칼(2)내에 매입하여도 되고 이것에 의해 칼부의 표면을 깨끗이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세히 기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전동케이블 커터에 의하면 전설공사등에서 높은 곳의 자유도가 제약된 상태하일지라도 한쪽 손으로 조작하여 간단히 케이블을 절단할 수가 있으며 더구나 종래에 비교하여 완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전동케이블 커터는 축전지를 사용하여 휴대식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전원을 취하기 위한 코드를 필요로 하지 않고, 운반이 자유롭게 어떠한 장소라도 자유로이 사용할 수가 있다. 더욱, 유성기어 감속기구의 피니언에 있어서의 구동토크가 크고, 소용량의 전원으로 동을 꼰 선등으로 되는 케이블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가 있다. 더욱 또, 가동칼이 출몰하는 하우징개구부를 방진브러시로 씌우도록 하였으므로 절단시 가동칼에 부착한 절단설은 일소되어 항상 청정 상태가 유지되고 또한 절삭설이나 외부쓰레기 등이 개구부를 통해서 하우징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기어구동이 방해가 되는 것 같은 고장을 방지할 수 있고, 계속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욱 또, 가동칼의 기어의 치형에 계속되도록 취부하고 있으므로 타이밍이 맞지 않아 생기는 이맞물림시의 이와 이의 간섭 또는 이맞물림시의 충격을 완화하면서 기어끼리의 원래의 이맞물림시의 이와 이의 간섭 또는 이맞물림시의 충격을 완화하면서 기어끼리의 원래의 이맞물림 상태로 스무스하게 유도할 수가 있다. 이상실시예를 예시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 발명의 범위에서 일탈하지 않은 한, 여러 가지로 변경이 가능한 것은 분명하다.

Claims (13)

  1. 케이블을 절단하는 전동케이블커터에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납입된 전동모터와, 상기 하우징내에 납입되어 상기 전동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유성기어 감속기구와, 상기 유성기어감속기구의 고정부에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의 개구보다 바깥쪽에 돌출하는 것 같이 상기 하우징내에 설치한 원호상의 고정칼과, 상기 고정칼에 회동자유로이 원추형접합하여 외주 테두리부에 기어를 형성함과 동시에 내주리브부에 제1의 칼부를 가지고 상기 유성기어감속기구를 통하여 회전구동하며 상기 제1의 칼부가 상기 하우징의 개구보다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것 같이 상기 하우징내에 설치된 가동칼과 상기 전동모터용의 구동전원과, 상기 전동모터를 작동 및 정지시키는 스위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케이블커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원은 축전지이며 상기 축전지는 상기 하우징에 붙이고 떼기 가능한 축전지 카트리지내에 납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케이블커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칼의 외주테두리에 형성되는 기어는 부채형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케이블커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칼은 내주리브부에 원호상의 제2의 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케이블커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칼부는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케이블커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칼의 기어의 단부에 상기 가동칼의 기어의 치형과 대략 동일의 치형이 형성한 스프링을 상기 스프링의 치형이 상기 가동칼의 기어의 치형에 계속되도록 취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케이블커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칼의 파손시에 파편이 비산하지 않도록 프로텍터가 고정칼에 취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케이블커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의 구동부에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취부되는 스위치 레버를 더욱 구비하고 있고 상기 스위치 레버를 조작하므로서 상기 스위치가 상기 가동칼을 정전반전의 어느쪽의 방향으로도 구동할 수가 있으며 상기 스위치 레버에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凹부에 박고 뽑기 자유로이 끼워넣기 가능한 凸부를 외측에 형성하는 록노브가 스프링을 개재하여 배치하며 상기 록노브를 누를 때 상기 凸부가 상기 凹부에서 빠져 상기 스위치 레버를 상기 스위치를 구동시키는 방향으로 작동할 수가 있으며 상기 록노브가 눌리고 있지 않을 때 상기 凸부가 상기 凹부에 끼워져 있어 상기 스위치의 구동을 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케이블커터.
  9. 제1항에 있어서, 방진브러시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에 취부되어 상기 개구를 씌워 상기 개구가 출몰하는 상기 가동칼을 접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케이블커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브러시는 폴리아세탈수지에 의한 식모플레이트부재에 짐승털을 식모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케이블커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칼은 2장이고, 소정의 간격으로 겹치도록 상기 유성기어감속기구의 고정부에 고정되었으며, 상기 가동칼이 상기 2장의 고장칼의 사이를 통하는 것 같이 고정칼에 축받이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케이블커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칼의 상기 제1의 칼부는 직선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케이블커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칼과 상기 가동칼의 지점축 주변의 반작용측부위의 받이 면적을 크게하여, 케이블 절단부하시에 있어서의 상기 고정칼 및 상기 가동칼의 반작용부위의 접촉위치를 지점축에서 멀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케이블커터.
KR1019960025820A 1996-06-29 1996-06-29 전동케이블커터 KR0171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5820A KR0171867B1 (ko) 1996-06-29 1996-06-29 전동케이블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5820A KR0171867B1 (ko) 1996-06-29 1996-06-29 전동케이블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812A KR980000812A (ko) 1998-03-30
KR0171867B1 true KR0171867B1 (ko) 1999-02-18

Family

ID=19464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5820A KR0171867B1 (ko) 1996-06-29 1996-06-29 전동케이블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18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689B1 (ko) * 2016-04-25 2017-01-26 (주) 대진유압기계 휴대용 전동식 라쳇 커터
KR20190012163A (ko) * 2016-05-24 2019-02-08 이츠미 프라덕츠 컴퍼니 전동 공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96452B2 (ja) * 2011-10-13 2014-01-22 株式会社九州ハセック たわみ軸継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689B1 (ko) * 2016-04-25 2017-01-26 (주) 대진유압기계 휴대용 전동식 라쳇 커터
KR20190012163A (ko) * 2016-05-24 2019-02-08 이츠미 프라덕츠 컴퍼니 전동 공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812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2566A (en) Electric powered cable cutter
CN207854542U (zh) 模块化电动工具
US6293859B1 (en) Electric power tool with rotatable handle
US8875404B2 (en) Pipe cutter
JP2003260677A (ja) 往復動式のこぎりのハンドル装置
EP0810050B1 (en) Saw blade clamping arrangement for a power tool
EP2287872B1 (en) Switch devices
US7261166B2 (en) Switch for power tool
JPH06297407A (ja) 電動工具用回転軸ロック機構
KR0171867B1 (ko) 전동케이블커터
JP5115415B2 (ja) 携帯用切断機
CN1093028C (zh) 电缆切断器
JP2004176847A (ja) 動力伝達機構
EP0812044A1 (en) Electric cable cutter
JP4615850B2 (ja) 動力作業機
JP3998920B2 (ja) 電動工具の照明装置
WO2003057395A1 (en) Electrical working machine
JP2017226063A (ja) 電動工具
JP2005132113A (ja) 往復動鋸のブレード留め具
GB2595584A (en) Clamp guard
JP2000024944A (ja) 変速機付回転工具
JP4676604B2 (ja) ケーブルカッタ
JP2586029Y2 (ja) 防塵ブラシ付ケーブルカッタ
JP2007290235A (ja) 切断機
GB2363520A (en) Power tool actu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