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1472B1 - 윈도우 글래스 리프팅 장치의 구동부 구조 - Google Patents

윈도우 글래스 리프팅 장치의 구동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1472B1
KR0171472B1 KR1019950057659A KR19950057659A KR0171472B1 KR 0171472 B1 KR0171472 B1 KR 0171472B1 KR 1019950057659 A KR1019950057659 A KR 1019950057659A KR 19950057659 A KR19950057659 A KR 19950057659A KR 0171472 B1 KR0171472 B1 KR 0171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ulator
window glass
drive unit
glass lifting
insta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7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5148A (ko
Inventor
변경섭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57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1472B1/ko
Publication of KR970035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5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1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1472B1/ko

Links

Landscapes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윈도우 글래스 리프팅 장치에 있어서, 윈도우 글래스의 업 다운 구동력을 발생 시키는 구동부측의 위치를 리프터의 움직임을 단속하는 레귤레이터상에 나란한 위치로 배치시켜 도어측 설치 공간 제약에 따른 공간 설계 영역을 확보하고, 조립 공수를 줄여 주는 한편, 부품 단순화를 통해 소요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구동부, 레귤레이터를 도어 패널에 설치하여 구성되는 윈도우 글래스 리프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글래스 레귤레이터의 외부측 임의의 위치에 구동부를 설치하고, 상기 구동부를 레귤레이터의 외부측에 정착 시키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레귤레이터의 외부측에 설치한 윈도우 글래스 리프팅 장치의 구동부 포지션 변경 구조를 제공한 것이다.

Description

윈도우 글래스 리프팅 장치의 구동부 구조
제1도는 일반적인 윈도우 글래스 리프팅 장치를 보인 도면.
제2도는 종래의 윈도우 글래스 리프팅 장치의 세부를 보인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 포지션 변경 예를 보인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 포지션 변경 예의 일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 패널 2 : 윈도우 글래스
3, 3a : 레귤레이터 4, 4a : 캐리어
5, 5a : 구동부 6, 6a : 레귤레이터 모터
7, 7a : 드럼 8, 8a : 케이블
9, 9a : 베이스 플레이트
본 발명은 자동차 윈도우 글래스 리프팅 장치에 있어서, 윈도우 글래스의 업 다운 구동력을 발생 시키는 구동부측의 위치를 리프터의 움직임을 단속하는 레귤레이터상에 나란한 위치로 배치시켜 도어측 설치 공간 제약에 따른 공간 설계 영역을 확보하고, 조립 공수를 줄여 주는 한편, 부품 단순화를 통해 소요 비용을 절감 하기 위한 윈도우 글래스 리프팅 장치의 구동부 포지션 변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동차 윈도우 글래스 리프팅 장치는 제1도와 같이 도어 패널(1)과, 상기 도어 패널(1)에 설치된 윈도우 글래스(2)와, 상기 윈도우 글래스(2)의 승,하강을 안내 하는 레귤레이터(3)와, 상기 윈도우 글래스(2)를 움직여 주기위해 레률레이터(3)에 설치된 캐리어(4)와, 상기 캐리어(4)를 움직여 주는 구동부(5)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5)는 레귤레이터 모터(6), 레귤레이터 모터(6) 회전으로 회전하는 드럼(7), 드럼(7)에 권취되는 케이블(8), 그리고 구동부(5)를 도어 패널(1)에 정착 시키는 베이스 플레이트(9) 등으로 구성된다.
파워 윈도우 리프팅 장치의 예에 따른 윈도우 글래스(2)의 업 다운 동작을 살펴보면, 레귤레이터 모터(6) 구동이 있으면, 모터(6)의 회전력은 드럼(7)을 돌리고, 드럼(7)의 회전이 있으면, 드럼(7)에 권취되어 있는 케이블(8)이 드럼(7)의 외경을 따라 권취되면서, 그 이동에 의해 캐리어(4)를 레귤레이터(3) 상에서 이동 시켜, 캐리어(4)에 고정된 윈도우 글래스(2)가 레귤레이터(3)을 따라 승강 작용을 하게된다.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한 레귤레이터(3)측 캐리어(4)의 움직임은 케이블(8)을 통해 레귤레이터(3)를 따라 전달되며, 구동력 전달 위치는 도어 패널(2)에 대한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구동부(5)와 레귤레이터(3)의 설치 위치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구동부(5)와 레귤레이터(3)의 설치 위치는 케이블(7)의 가동 영역을 고려하여 도어 패널(2)에 대한 설치 위치가 삼각형의 배치 형태를 보인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5) 및 레귤레이터(3)을 도어 패널(1)부에 마운팅 하기 위해서는 구동부(5)와 레귤레이터(3)가 차지하는 만큼의 설치 영역을 필요로 하고, 구동부(5) 및 레귤레이터(3)의 가동 공간내에 설치물을 배치 하는데 있어서 설치제약 요인이 있다.
또한, 도어 패널(1)에 대한 구동부(5)와 레귤레이터(3)의 설치 단계에서 각 구성요소를 부분적으로 배치 함으로서 작업 위치의 확보가 어렵고, 설치 작업 위치가 분산되어 작업 공수가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같이 윈도우 글래스 리프팅 장치를 구성하는 구동부 및 레귤레이터를 도어 패널측에 배치 하는 종래의 배치 구조는 구동부의 배치 형태가 레귤레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이격거리를 확보하는 형태로 위치하는 배치 형태로 되어 있어 도어 패널상에서 차지하는 리프팅 장치 설치 영역이 크고, 이에따라 주변 부품 배치 설계 공간 확보에 어려움이 따르고, 분산된 위치에 설치 되어 설치 작업성이 저하되고, 다 공정 다 부품의 조합 형태로 되어 제작 소요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윈도우 글래스 리프팅 장치를 구성 하는데 있어서, 구동부와 레귤레이터의 설치 위치를 동일 위치로 통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윈도우 글래스 리프팅 장치를 구성 하는데 있어서, 설치 작업성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구동부, 레귤레이터를 도어 패널에 설치하여 구성되는 윈도우 글래스 리프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글래스 레귤레이터의 외부측 임의의 위치에 구동부를 설치하고, 상기 구동부를 레귤레이터의 외부측에 정착 시키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레귤레이터의 외부측에 설치한 윈도우 글래스 리프팅 장치의 구동부 포지션 변경 구조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3도와 같이 구동부(5a), 레귤레이터(3a)를 도어 패널(1)에 설치하여 구성하는 윈도우 글래스(2) 리프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글래스(2) 레귤레이터(3a)의 외부측 임의의 위치에 구동부(5a)를 설치하고, 상기 구동부(5a)를 레귤레이터(3a)의 외부측에 정착 시키는 베이스 플레이트(9a)를 레귤레이터(3a)의 외부측에 설치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9a)의 설치 위치는 윈도우 글래스 레귤레이터(3a)에 설치된 캐리어(4a)에 대하여 반대쪽에 위치한다.
본 발명은 윈도우 글래스 리프팅 장치를 구성하는 구동부(5a) 및 레귤레이터(3a)의 도어 패널(1)에 대한 설치 위치를 분산된 형태로 하지 않고, 구동부(5a)를 레귤레이터(3a)의 동일 선상에 위치 시킴으로서 리프팅 장치의 설치 공간 확보, 설치 작업성을 개선한다.
레귤레이터(3a) 측에는 레귤레이터(3a)를 따라 상하 이동 하면서 윈도우 글래스(2)를 움직이는 캐리어(4a)의 설치 되는데, 이 캐리어(4a)는 구동부(5a)측 드럼(7a) 회전이 있을때, 케이블(8a)의 일 방향 당김 또는 풀림 작용으로 레귤레이터(3a)를 따라 상, 한 작동하도록 맞춰져 있다.
레귤레이터(3a)에 설치되는 구동부(5a)는 드럼이 있고, 레귤레이터 모터(6a)가 있는 한편, 케이블(8a)이 연결되는 보통의 구성과 동일하고, 다만 설치 위치가 도어 패널(1)에 있지 않고, 레귤레이터(3a)와 동일 선상에 위치한다.
상기 구동부(5a)를 레귤레이터(3a)측에 정착 시키는 베이스 플레이트(9a)는 레귤레이터(3a)에 대하여 거의 중심에 가까운 위치에 자리한다.
한편, 레귤레이터(3a)에 설치되는 구동부(5a)부의 설치 위치는 제3도와 같이 레귤레이터(3a)의 외부측에 볼트로 마운팅 고정 된다.
구동부(5a)의 설치 방법은 먼저 구동부(5a)를 베이스 플레이드(9a)에 안착 시켜 고정 시키고, 베이스 플레이트(9a)에 고정된 구동부(5a)를 레귤레이터(3a)의 한쪽면부에 정착 시켜 고정한다.
이때의 설치 작업은 거의 레귤레이터(3a)를 설치 하는 단계에서 종료되며 작업 위치는 레귤레이터(3a)의 설치 위치가 동일선상에서 이루어 짐으로서 작업 공간 확보에 유리하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9a)의 위치가 도어 패널(1)에 설치된 레귤레이터(3a)를 따라 동일선상에 위치함으로서 도우 패널(1)측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감소되는 결과로 나타난다.
그리고, 구동부(5a)의 설치 대상부를 보디 패널로 선정한 종래의 설치 구조와 비교할때, 구동부(5a)를 설치 하기위해 도어 패널(1)에 형성되는 스크류 체결홀을 비롯한 각종 결합용 소요 부재의 소모성이 레귤레이터(3a)의 한쪽면부에 통일되어 현저히 낮아진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윈도우 글래스 리프팅 장치를 구성하는 구동부 및 레귤레이터를 보디 패널상에서 분산된 위치에 설치 하지 않고, 설치 위치를 레귤레이터측에 통일된 위치로 하여 구동부의 설치 작업성을 개선하고, 구동부가 차지 하는 설치 영역을 대폭 줄여 도어 패널의 설계 공간 확보에 유리한 측면을 제공함과 동시에 소모 부품을 줄여 제작 원가를 절감한다.

Claims (1)

  1. 구동부, 레귤레이터를 도어 패널에 설치하여 구성되는 윈도우 글래스 리프팅 장치에서 윈도우 글래스 레귤레이터의 외부측 임의의 위치에 구동부를 설치하고, 상기 구동부를 레귤레이터의 외부측에 장착 시키는 베이스플레이트를 레귤레이터의 외부측에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윈도우 글래스 리프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의 외부측에 캐리어를 정착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는 가로방향으로 모터를 장착하며, 상기 모터와 직교되는 위치에서 연동되게 드럼을 장착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레귤레이터에 나란하게 케이블을 정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글래스 리프팅장치의 구동부 구조.
KR1019950057659A 1995-12-27 1995-12-27 윈도우 글래스 리프팅 장치의 구동부 구조 KR0171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7659A KR0171472B1 (ko) 1995-12-27 1995-12-27 윈도우 글래스 리프팅 장치의 구동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7659A KR0171472B1 (ko) 1995-12-27 1995-12-27 윈도우 글래스 리프팅 장치의 구동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5148A KR970035148A (ko) 1997-07-22
KR0171472B1 true KR0171472B1 (ko) 1999-02-18

Family

ID=19444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7659A KR0171472B1 (ko) 1995-12-27 1995-12-27 윈도우 글래스 리프팅 장치의 구동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14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284B1 (ko) * 2004-12-09 2010-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리어 도어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812B1 (ko) * 1999-12-22 2003-10-10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284B1 (ko) * 2004-12-09 2010-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리어 도어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5148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1472B1 (ko) 윈도우 글래스 리프팅 장치의 구동부 구조
JP3290353B2 (ja) エンジンスタータ
DE19537504A1 (de) Fahrzeugtür
CN112262247A (zh) 包括防后弯链的致动器
KR100704133B1 (ko) 부품, 특히 차량 내의 부품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조절 기구를 갖는 장치
KR20010030748A (ko) 간이 윈도우 와인더
KR101386002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JPH09195628A (ja) 車両用ドア部品の取付構造及び車両用ドアの組付方法
JP3274317B2 (ja) ワイヤ式ウインドウレギュレータ装置
KR20080003726U (ko) 차량관제용 차단기
KR100403414B1 (ko) 자동차의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용 외장형 드럼 장착 구조
KR100517026B1 (ko) 철도차량용 도어의 개폐 장치
KR200421825Y1 (ko) 단품형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
KR200172906Y1 (ko) 산업용 로봇의 베이스 구조
JPH0742831A (ja) 自動変速機のディテント機構
KR200156593Y1 (ko)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조립구조
KR970006821Y1 (ko) 차량도어의 글래스홀더
KR0135133Y1 (ko) 자동차 도어유리 레귤레이터의 베이스 플레이트
KR0131950Y1 (ko) 자동차의 실내등 장착구조
KR20020049533A (ko)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구동모터 체결구조
KR200207408Y1 (ko) 모듈화 된 차량용 도어의 윈도우 레귤레이터 취부구조
EP3141686B1 (en) Operating system for a sectional door
JP2021070930A (ja) 移動装置および窓ガラス昇降装置
CN115503615A (zh) 车辆的监测组件及车辆
KR200148115Y1 (ko) 자동문도어 위치 제어용 리미트스위치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