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0113B1 - 다기능 전자렌지 - Google Patents

다기능 전자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0113B1
KR0170113B1 KR1019950060888A KR19950060888A KR0170113B1 KR 0170113 B1 KR0170113 B1 KR 0170113B1 KR 1019950060888 A KR1019950060888 A KR 1019950060888A KR 19950060888 A KR19950060888 A KR 19950060888A KR 0170113 B1 KR0170113 B1 KR 0170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microwave oven
heat
plate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0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7172A (ko
Inventor
유현식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60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0113B1/ko
Publication of KR970047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7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0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01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82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radiant heating, e.g. infrared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2Aspects relating to the microwave cav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전자렌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리실내에 히터를 구비하는 다기능 전자렌지에 있어서, 전자렌지의 외부에서 상기 히터의 열을 이용하여 구이요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열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다기능 전자렌지에 관한 것으로서, 상판(32a) 및 측벽(32b)을 갖는 내부패널(32)에 의해 형성되는 조리실(10)내에 히터(14)를 구비한 다기능 전자렌지에 있어서, 상판(32a)상에 형성되어 상기 히터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방공(50)과, 상기 캐비넷(30)에 형성되어 상기 개방공(50)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연통공(60)과, 상기 연통공(60)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히터의 열을 적용받는 구이판(70)과, 상기 구이판(70)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8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전자렌지
제1도는 종래 다기능 전자렌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다기능 전자렌지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전자렌지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을 보이는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조리실 22 : 미그네트론
30 : 캐비넷 32 : 내부패널
32a : 상판 32b : 측벽
50 : 개방공 60 : 연통공
62 : 걸림턱 62a : 고정홈
62b : 나사구멍 70 : 구이판
72 : 구이홈 80 : 커버
82 : 나사 84 : 고정편
90 : 단열재
본 발명은 다기능 전자렌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리실내에 히터를 구비하는 다기능 전자렌지에 있어서, 전자렌지의 외부에서 상기 히터의 열을 이용하여 구이요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열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다기능 전자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렌지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조리실(10) 및 구동실(20)이 마련된 상자형의 캐비넷(30)과 조리실(10)을 개폐하기 의한 도어(40)로 이루어지며, 상기 캐비넷(30)의 내측에는 내부패널(32)이 설치되어 상기 조리실(10)과 구도실(20)을 분리구획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40)는 인체에 유해한 고주파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래칫장치에 의해서 캐비넷(30)에 확실하게 로크될 수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고, 도어프레임(42)은 도어(40)와 캐비넷(30) 사이의 틈새로 고주파가 누설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λ/4(λ:고주파의 파장)의 폭으로 절곡 형성된다. 그리고 도어(40)의 개폐상태는 일련의 마이크로 스위치에 의해 감지됨으로써 도어(40)가 열린상태에서 전자렌지의 조리동작이 개시되어 대량의 고주파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밖에도, 도어(40)의 투명창에는 예컨대 비교적 작은 직경을 갖는 다수의 구명과 같은 고주파 차단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고주파의 누설량을 허용 가능한 수준으로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조리실(10)의 바닥에는 음식물을 올려놓는 트레이(12)가 마련되어 있는 바, 이 트레이(12)는 고정식 일수도 있고, 트레이모터에 의해 저속으로 회전하는 회전식일 수도 있다. 내부패널(32)의 일측에는 고주파 도입구가 형성되고, 필요에 따라 조리실내에는 스터러(stirrer)를 설치하여 고주파가 조리실(10)내로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구동실(20)에는 고주파를 발생하는 마그네트론(22)과 이 마그네트론(22)에 고압의 전류를 공급하는 고압트랜스(24)가 설치되고, 마그네트론(22) 및 고압트랜스(24)의 작동시 발생되는 열을 식혀주기 위한 냉각팬(26)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마그네트론(22)은 도파관(23)을 통해서 조리실(10)과 연통됨으로써 전원 인가시 다량의 고주파를 조리실(10)로 공급하여 음식물을 가열하게 된다. 또한 캐비넷(30)의 전면패널에는 전자렌지의 작동시간, 조리모드 등을 설정할 수 있도록 각종 기능선택버튼이 배열되는 콘트롤패널(34)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각종 기능선택버튼을 적절히 조작함으로써 전자렌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조리실 내측에 별도의 가열수단 예를 들면 열선히터(14)등을 설치하여 구이요리를 가능케 하는 다기능전자렌지가 개발되어 있다.
제2도에는 히터의 설치구조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14)가 내부패널(32)의 측벽(3b)상에 나사(14a)고정되고, 히터(14)의 상부에는 히터(14)의 열기가 상승하여 상판(32a) 및 캐비넷(30)을 과열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판(16)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차단판(16)은 상판(32a)에 나사(16a)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다기능 전자렌지는 상기 히터 사용시 즉, 생선 도는 육류등의 구이요리를 실시할 경우 히터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조리실(10)내에 투입된 조리물이 히터(14)의 직사열을 받아 요리를 실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히터의 사용시에는 요리의 종류에 제한이 뒤따르는 문제를 갖고 있으며 특히, 히터의 열기중 상승열기로 인한 열량손실이 증대되어 열효율이 떨어지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은 구조는 히터(14)를 사용하여 구이요리가 가능하나 조리물이 조리실(10)내에 수용되어 있어야하므로 수시로 조리물의 위치를 변환시켜야 하는 꼬치요리 및 생선등의 구이요리시에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우며 특히,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기는 특성상 상부로 상승되는 량이 많으므로 차단판을 불필요하게 가열하게 되어 실제 요리에 사용되는 열량이 부족하여 상대적으로 요리시간이 길어지는 등 열효율이 좋지 못한 문제를 갖고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조리실내에 설치되는 히터의 열기를 이용하여 전자렌지의 외부에서 구이요리를 실시토록 하여 구이요리를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기능 전자렌지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판 및 측벽을 갖는 내부패널에 의해 형성되는 조리실내에 히터를 구비한 다기능 전자렌지에 있어서, 상판상에 형성되어 상기 히터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방공과, 상기 캐비넷에 형성되어 상기 개방공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연통공과, 상기 연통공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히터의 열을 적용받는 구이판과, 상기 구이판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를 구비하여 달성될 수 있다.
즉, 상판 및 캐비넷상에 히터를 외부로 개방하는 개방공 및 연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연통공상에 구이판을 제공함으로써 전자렌지의 외부에서 히터의 열을 이용하여 구이요리를 실시할 수 있게 되므로 전자렌지에서 할 수 없는 통상의 구이요리를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전자렌지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판(32a) 및 측벽(32b)을 갖는 내부패널(32)에 의해 형성되는 조리실(10)내에 히터(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판(32a)상에는 상기 히터(14)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장방형의 개방공(50)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개방공(50)은 개방공(50)의 외부에서 상기 히터(14)의 전체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정도의 크기를 갖도록 하여 상판(32a)이 히터로부터 상승되는 열기를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넷(30)상에는 대략 상기 개방공(50)과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턱을 갖는 연통공(6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62)은 연통공(60)의 내주연을 하방으로 절곡하여 그 일측에는 고정홈(62a)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나사구멍(62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연통공(60)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걸림턱(62)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히터(14)의 열을 적용받는 구리판(70)이 구비된다. 또한 구이판(70)의 표면에는 수개의 구이홈(72)이 형성되어 구이요리시 생선 및 꼬치 등의 재치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이홈(72)의 위치에는 구이홈(72)과 반대되는 형상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구이판(70)의 상부에는 연통공(6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80)가 구비된다. 이 커버(80)는 일측이 상기 캐비넷의 걸림턱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끼워맞춤되는 고정편(84)이 구비되고, 타측은 나사구멍(62a)을 통해 나사(82)결합되어 선택적인 개폐를 가능하게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커버(80)의 내측에는 히터의 열기가 상승하여 캐비넷(30)을 과열시키는 것을 예방하는 단열재(90)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통상의 전자렌지의 기능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구이판(70)이 장착되고, 그 상부에 커버(80)가 나사(82)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조리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통상의 고주파를 이용한 조리를 실시할 수 있으며, 히터를 이용한 구이요리를 할 경우에도 통상의 형태로 구이요리를 진행할 수 있다. 여기에 본 고안은 상기 구이요리의 진행과 동시에 전자렌지의 외부에서 또 다른 구이요리, 예를 들면, 상기 요리시 요리자세의 변환이 요구되는 꼬치요리 및 기타 유사한 구이요리등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나사(82)를 풀어 커버(80)를 분리하게 되면 구이판이 노출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히터(14)에 전원이 공급되면 히터의 열기에 의해 구이판(70)이 가열되므로 즉시 구이요리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이판(70)을 이용한 구이요리시에는 구이판(70)상에 형성되어 있는 구이홈(72)에 의해 구이물이 눌어붙는 현상등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구이판(70)을 이용한 구이요리시에는 마그네트론(22)을 동작하지 않는 것이 고주파누출에 의한 피해를 받지 않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통상의 다기능 전자렌지로 사용할 경우에는 히터로부터 상승하는 열기가 구이판(70)을 가열하게 되나 그 상부의 커버(80)내측에 제공되는 단열재(90)에 의해 상승열기가 차단되어 캐비넷(30)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캐비넷(30)의 과열로 인한 화상의 우려를 갖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전자렌지는 히터의 열기를 외부로 노출하는 개방공 및 연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연통공상에 구이판을 제공하여 히터의 상승열기를 이용하여 전자렌지 외부에서 구이요리를 가능케하므로 통상의 다기능 전자렌지에서 실시할 수 없는 구이형태를 요하는 구이요리를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 손실열을 최소화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5)

  1. 상판(32a) 및 측벽(32b)을 갖는 내부패널(32)에 의해 형성되는 조리실(10)내에 히터를 구비한 다기능 전자렌지에 있어서, 상판(32a)상에 형성되어 상기 히터(14)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방공(50)과, 상기 캐비넷(30)에 형성되어 상기 개방공(50)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연통공(60)과, 상기 연통공(60)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히터의 열을 적용받는 구이판(70)과, 상기 구이판(70)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8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자렌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공(60)의 내주연에는 걸림턱(62)이 형성되어 구이판(70)의 주연이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자렌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80)의 일측에는 상기 캐비넷(30)에 형성되는 고정홈(62a)에 끼워맞춤되는 고정편(84)이 구비되고, 타측은 캐비넷(30)상에 나사(82)결합되어 구이판(70)을 선택적으로 개폐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자렌지.
  4. 제1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80)의 내측에는 히터의 열기로 인해 캐비넷(30)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자렌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70)은 상면에 다수의 구이홈(72)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자렌지.
KR1019950060888A 1995-12-28 1995-12-28 다기능 전자렌지 KR0170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0888A KR0170113B1 (ko) 1995-12-28 1995-12-28 다기능 전자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0888A KR0170113B1 (ko) 1995-12-28 1995-12-28 다기능 전자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172A KR970047172A (ko) 1997-07-26
KR0170113B1 true KR0170113B1 (ko) 1999-03-20

Family

ID=19445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0888A KR0170113B1 (ko) 1995-12-28 1995-12-28 다기능 전자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011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172A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37384A (en) Cooking appliance of the hot air circulating type
KR20070108022A (ko) 히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EP0768809B1 (en) Protective cover for a convection microwave oven
KR0170113B1 (ko) 다기능 전자렌지
JP3226714B2 (ja) 加熱調理器
KR200150895Y1 (ko) 다기능 전자렌지의 히터 고정구조
JP2903438B2 (ja) 加熱調理器
KR20000009620A (ko) 전자렌지용 토스터
KR20060098258A (ko) 3상 전원을 사용하는 전기 오븐 레인지
CN219782324U (zh) 一种带微波辅助加热功能的空气炸锅
KR200154589Y1 (ko) 구이 겸용 전자렌지
KR100618229B1 (ko) 전자레인지의 히터베이스 장착구조
KR200165700Y1 (ko) 전자레인지의 그릴장치
KR960009852Y1 (ko) 다기능 전자렌지
JP2515007B2 (ja) 電気レンジユニット
KR200244102Y1 (ko) 다기능 전자렌지의 하히터 커버 설치구조
KR0133768Y1 (ko) 전자렌지의 히터 고정구조
KR100318673B1 (ko) 전자렌지
KR100722022B1 (ko) 전기 오븐
KR19990038201A (ko) 전자렌지의 커버 결합장치
KR19990019800U (ko) 전자렌지의 회동히터와 브라켓의 체결구조
JP2007101122A (ja) 加熱調理器
KR19990031088A (ko) 구이 겸용 전자렌지의 온도 과승 방지 장치
KR19980076906A (ko) 전자렌지용 바베큐랙
KR20000009621A (ko) 전자레인지용 석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