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4102Y1 - 다기능 전자렌지의 하히터 커버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다기능 전자렌지의 하히터 커버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4102Y1
KR200244102Y1 KR2019960032266U KR19960032266U KR200244102Y1 KR 200244102 Y1 KR200244102 Y1 KR 200244102Y1 KR 2019960032266 U KR2019960032266 U KR 2019960032266U KR 19960032266 U KR19960032266 U KR 19960032266U KR 200244102 Y1 KR200244102 Y1 KR 2002441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icrowave oven
heater
bottom pla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22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8854U (ko
Inventor
조태일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600322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4102Y1/ko
Publication of KR199800188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8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41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4102Y1/ko

Links

Landscapes

  • Electric Ove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기능 전자렌지의 하 히터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커버의 일측에는 스냅핀을 형성하고 조리실의 저판에는 스냅공을 형성하여 상기 스냅핀이 스냅공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고, 커버의 타측은 저판과 접면시킨후 스크류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것이나 이는 일일이 체결공구를 이용하여 스크류를 회동시키기 때문에 조립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조립성이 저하되고, 스크류 작업을 조리실 내에서 행하여야 하므로 체결공구의 길이 제약이 따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자렌지의 저판(300)과 베이스(100) 사이의 공간부에 하히터(400)의 커버(200)를 설치함에 있어서 다수개의 돌봉(112)이 형성된 단턱부 (110)를 포밍 형성하여 커버(200)가 상치되게 하고, 외측으로는 커버(200)의 양단 을 잡아주는 가이드(114)를 타발하여 커버(200)가 유동되지 않도록 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고안은 스크류 작업없이 커버를 간편하게 취부할 수가 있어 조립성이 향상될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전자렌지의 하히터 커버 설치구조
본 고안은 다기능 전자렌지에 설치된 하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이 트레이모터로 전달되어 트레이모터의 온도가 상승하여 트레이모터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커버를 설치시 스크류 작업 없이 커버를 설치할 수가 있어 일일이 체결공구를 사용치 않아 조립시간이 단축되고 조립성이 향상될수 있는 다기능 전자렌지의 하히터 커버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렌지는 회동되는 트레이 위에 음식물을 올려놓고 이에 마그네트론에서 발생되는 고주파를 조리실 내부로 조사시켜 상기 고주파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는 단순기능의 전자렌지가 있고, 상기 고주파는 물론 히터와 컨벡션 팬에 의해 그릴 및 오븐등의 요리를 하는 다기능 전자렌지로 구분되어 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단기능 전자렌지와 다기능 전자렌지는 모두 조리실과 전장실로 나누어져 상기 전장실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장치를 조작함으로써 조리실의 음식물을 조리하도록 되어있는 것이다.
그리고 조리실 하부에는 도파관을 통하여 조리실로 조사되는 고주파를 분산시켜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조리하기 위하여 트레이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트레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인데, 이와같이 트레이를 회전시키는 이유는 조리실로 조사 되는 고주파가 음식물의 한 부분에만 집중적으로 가열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트레이를 회전시켜 트레이 위에 놓여진 음식물에 고주파가 골고루 조사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다기능 전자렌지에서는 고주파는 물론 조리실의 상부에 육류등과 같이 오랜시간을 조리 하여야 하는 음식물을 조리시 사용할수 있는 상히터를 설치 하여 상 히터에서 발산되는 복사열로 육류의 속부분은 물론 겉부분도 노릇노릇하게갈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의 상 히터는 주가열원인 고주파와 함께 보조 가열원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상 히터로는 육류의 상부만 노릇노릇하게 구워지고, 육류의 하부 즉, 바닥면은 골고루 구워지지 않아 조리실의 바닥면에 하 히터를 설치하여 하 히터의 열 이 조리실 저판에 천공된 다수개의 통공을 통하여 육류의 하부를 효과적으로 조리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조리실의 바닥판 이면으로는 하 히터와 트레이모터가 설치되는데, 하히터와 트레이모터가 서로 일직선상에 놓여지게 설치되므로 즉, 하히터와 트레이모터가 근접되게 설치되어 하히터에서 발생하는 열이 트레이모터로 전달되어 트레이모터의 온도가 상승하여 트레이모터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것은 물론 심할 경우에는 고가의 트레이모터를 교체하여 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단열재가 부착된 단열커버를 설치하여 하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이 트레이모터에 전달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하히터 커버 설치구조는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종래에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커버(20)의 일측에는 스냅핀(22)을 형성하고 조리실의 저판(30)에는 스냅공을 형성하여 상기 스냅핀(22)이 스냅공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고, 커버(20)의 타측은 저판(30)과 접면시킨후 스크류(50)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것이나 이는 일일이 체결공구를 이용하여 스크류를 회동시키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번거로움이 수반되는 것이다.
그리고 스크류(50) 작업을 조리실 안에서 행하여야 하는데, 상기 조리실은 크기가 한정 되어 있어 체결공구 또한 길이가 긴 것은 사용치 못하는등 제약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 히터 커버를 설치시 스크류를 사용치 않고서도 설치할 수가 있으므로 체결공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작업이 간편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될수 있는 다기능 전자렌지의 하히터 커버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자렌지의 저판과 베이스 사이의 공간부에 하히터 커버를 설치함에 있어서 다수개의 돌봉이 형성된 단턱부를 포밍 형성하여 커버가 상치되게 하고, 외측으로는 커버의 양단을 잡아주는 가이드를 타발하여 커버가 유동되지 않도록 하므로써 달성 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은 커버의 양단이 가이드내로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가이드로 커버의 유동됨을 방지한후 베이스를 외상과 서로 조립하면 컵저의 상면은 자동 적으로 조리실의 저판과 밀착되므로 스크류 작업 없이도 커버를 설치할 수가 있으므로서 상기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기술구성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기술구성을 도시한 정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베이스 110 : 단턱부
112 : 돌봉 114 : 가이드
200 : 커버 300 : 저판
400 : 하히터
이하 본 고안의 기술구성과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은 기술구성을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요부분리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전자렌지의 저판(300)과 베 이스(100) 사이의 공간부에 하히터(400)의 커버(200)를 설치함에 있어서 다수개의 돌봉(112)이 형성된 단턱부(100)를 포밍 형성하여 커버(200)가 상치되게 하고, 외 측으로는 커버(200)의 양단을 잡아주는 가이드(114)를 타발하여 커버(200)가 유동 되지 않도록 한 것으로서 도면중 미설명 부호 (210)은 커버의 플랜지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설치구조를 살펴보면 우선 커버(200)를 베이스 (100)를 포밍 형성한 단턱부(110)에 상치토록 하는데, 상기 단턱부(110)에는 가이 드(11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200)를 상치시 상기 가이드(114)의 내측으 로 즉, 커버(200)의 양단이 가이드(114)내로 위치되도록 하는데 여기서 상기 가이드(114)는 베이스(100)를 포밍한 단턱부(110)상에 타발한 것이기 때문에 자체 탄성력을 갖고 있어 커버(200)가 내려오면 약간 벌어지는 것이고, 이후 커버(200)가 완전히 상치되면 원래의 상태로 돌아오면서 커버(200)의 양단을 지지하여 커버(200)가 유동됨을 방지하여 주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114)내측 단턱부(110)상에는 돌봉(112)이 포밍 되어있어 커버(200)를 단턱부(110)에 상치시키면 커버(200)가 돌봉(112)위로 상치되어 커버(200)와 단턱부(110)사이를 소정간격으로 이격시켜 주는 것인데, 이는 커버(200)가 단턱부(110)에 밀착되면 하 히터(400)에서 발생되는 열이 커버(200)를 통하여 단턱부(11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의 가이드(114)는 커버(200)가 유동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 이외에 커버(200)위치 선정용 역할도 수행하는 것으로서 즉, 가이드(114)내에 커버(200)를위치시킨후 베이스(100)를 측판과 조립하게 되면 커버(200)의 플랜지(210)가 자동적으로 저판(300)과 밀착되면서 하히터(400)가 커버(200)내로 들어오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베이스에 단턱부를 형성하고 상기 단턱부상에는 가이드를 형성하여 커버를 상기 가이드내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가이드가 커버의 양단을 지지하여 유동됨을 방지하므로서 별도의 스크류 작업 없이도 커버를 고정 시킬수가 있어 조립공정이 간편하여 그만큼 조립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Claims (1)

  1. 전자렌지의 저판(300)과 베이스(100) 사이의 공간부에 하 히터(400)의 커버(200)를 설치함에 있어서 다수개의 돌봉(112)이 형성된 단턱부(110)를 포밍 형성하여 커버(200)가 상치되게 하고, 외측으로는 커버(200)의 양단을 잡아주는 가이드(114)를 타발하여 커버(200)가 유동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자렌지의 하히터 커버 설치구조
KR2019960032266U 1996-09-30 1996-09-30 다기능 전자렌지의 하히터 커버 설치구조 KR2002441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266U KR200244102Y1 (ko) 1996-09-30 1996-09-30 다기능 전자렌지의 하히터 커버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266U KR200244102Y1 (ko) 1996-09-30 1996-09-30 다기능 전자렌지의 하히터 커버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854U KR19980018854U (ko) 1998-07-06
KR200244102Y1 true KR200244102Y1 (ko) 2002-07-02

Family

ID=53978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2266U KR200244102Y1 (ko) 1996-09-30 1996-09-30 다기능 전자렌지의 하히터 커버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410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854U (ko) 199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29822B1 (en) Combined microwave and forced convection oven
US4695693A (en) Triangular antenna array for microwave oven
GB2090110A (en) Microwave oven
KR200244102Y1 (ko) 다기능 전자렌지의 하히터 커버 설치구조
JP2007101062A (ja) 加熱調理器
KR880001087B1 (ko) 마이크로웨이브 오븐
KR200150895Y1 (ko) 다기능 전자렌지의 히터 고정구조
KR100265634B1 (ko) 전자렌지의선반조립구조
KR200153686Y1 (ko) 전자렌지의 조리접시 받침판
KR0170113B1 (ko) 다기능 전자렌지
KR960016633B1 (ko) 트레이 모터용 커버
KR200269395Y1 (ko) 전자레인지
KR970004460Y1 (ko) 다기능 전자렌지
KR20050036439A (ko) 전자레인지 케비티의 하부플레이트구조
KR200169623Y1 (ko) 전자렌지의 하 히터 설치구조
KR200239623Y1 (ko) 전자렌지의 히터 고정구조
KR200154589Y1 (ko) 구이 겸용 전자렌지
KR200213185Y1 (ko) 전자레인지의 하 히티 히터홀더 고정구조
KR200165771Y1 (ko) 전자 렌지의 스터러 커버 고정 구조
KR100233197B1 (ko) 전자레인지
KR20040087219A (ko) 전자레인지
KR200182324Y1 (ko) 다기능 전자렌지의 열반사 장치
KR0139238Y1 (ko) 전자렌지
KR0140615Y1 (ko) 트레이 모터용 커버
KR19990019799U (ko) 전자렌지의 회동히터 설치용 브라켓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