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9800U - 전자렌지의 회동히터와 브라켓의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전자렌지의 회동히터와 브라켓의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9800U
KR19990019800U KR2019970033197U KR19970033197U KR19990019800U KR 19990019800 U KR19990019800 U KR 19990019800U KR 2019970033197 U KR2019970033197 U KR 2019970033197U KR 19970033197 U KR19970033197 U KR 19970033197U KR 19990019800 U KR19990019800 U KR 199900198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bracket
insertion hole
present
microwave 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31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철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331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9800U/ko
Publication of KR199900198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800U/ko

Links

Landscapes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전자렌지에 사용되는 회동히터와 브라켓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종래에는 히터의 양 단부를 브라켓의 전면 고정부 부위에서만 잡아주는 상태로 히터를 끼우기 때문에 사용중 히터가 유동되는 경우가 많아 소비자들의 신뢰성이 떨어졌고, 히터의 체결력을 키우기 위해 브라켓의 고정부를 키우더라도 이러한 고정부의 체결력만으로는 히터의 체결력을 높히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따라 본 고안은 히터의 양단부(200)를 브라켓(100)의 삽입공(110)에 삽입시킨 후 삽입공(110)의 전후면 테두리 부위를 금형으로 눌러서 코킹부(120)가 삽입공(110)에 끼워진 히터의 양단부(200)를 잡아주도록 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고안은 코킹부(120)에 의해 히터의 양단부(200)가 끼워진 상태를 매우 견고하게 유지할 수가 있으므로 사용중 히터가 브라켓(100)으로 부터 유동될 우려가 없어 신뢰성이 향상되고, 또한 히터와 브라켓을 고정시키는 작업이 상당히 신속 간편하여 생산성 향상에 의한 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전자렌지의 회동히터와 브라켓의 체결 구조
본 고안의 전자렌지에 사용되는 회동히터와 브라켓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회동히터의 끝단을 브라켓의 삽지공에 관통되게 끼운 후 그 삽지공의 전후면 주변을 콕킹하여 눌러 주어 전후 콕킹부가 히터를 견고하게 잡아주도록 함으로써 히터가 보다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한 전자렌지의 회동히터와 브라켓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렌지는 조리실내의 트레이 위에 음식물을 올려놓고 마그네트론에서 생성되는 고주파를 상기 조리실 내부로 조사시켜 음식물을 가열 조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자렌지중 단순히 주 가열원인 고주파에 의해서만 음식물을 가열 조리하는 렌지는 단순기능의 전자렌지라 하고, 상기 고주파외에 보조가열원이라 할 수 있는 히터 및 컨벡션팬에 의해 그릴 및 오븐 기능이 있는 렌지는 다기능의 전자렌지라 한다.
상기와 같은 단기능의 전자렌지와 다기능의 전자렌지는 모두 조리실과 전장실로 나누어지는데, 상기 전장실에는 고전압을 발생하는 고압트랜스, 고압트랜스에 의해 고전압을 인가받아 마이크로파를 방출하는 마그네트론과 도파관이 설치되며, 또한 상기 고압트랜스와 마그네트론이 가동되면서 고열을 발생하므로 이들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냉각팬과 조리실 내부로 냉각팬의 바람을 유도하기 위한 덕트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조리실 하부에는 도파관을 통하여 조리실로 조사되는 고주파를 분산시켜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조리하기 위하여 트레이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트레이가 설치되는데, 이처럼 트레이를 회전시키는 이유는 도파관을 통하여 조리실로 조사되는 고주파는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만 조사되어 음식물의 한부분만 집중적으로 가열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트레이를 회전시켜 트레이 위에 상치된 음식물에 고주파가 골고루 조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다기능 전자렌지에서는 고주파는 물론 조리실의 상부에 육류등과 같이 오랜시간을 조리하여야 하는 음식물을 조리시 속부분은 물론 겉부분까지 노릇노릇하게 갈변될수 있도록 히터를 설치하여 주가열원인 고주파와 함께 보조가열원으로서 사용하고 있는데, 상기의 히터를 조리실 상부에만 설치한 것은 육류의 상부만 노릇노릇하게 갈변되고, 육류의 저면부위는 갈변되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조리실 바닥판 저면에 별도의 하히터를 설치한 다음 하히터의 열이 조리실 저판에 천공된 다수개의 방열공을 통하여 발산되게 하여 육류의 하부를 효과적으로 갈변시키도록 한 전자렌지가 개발되기도 하고, 또는 히터에서 원적외선이 방출되도록 세라믹 등을 히터에 코팅하거나 발열부재를 사용한 구이판 등이 적용된 전자렌지도 개발되어 현재 실용화되고도 있다.
이와같이 전자렌지의 다기능화 추세가 가속화되어 주부들의 다기능 전자렌지 사용이 점차 많아지고 있음에 따라 근래에는 상기와 같이 상,하히터가 설치된 다기능 전자렌지를 이용하여 통닭 등의 바베큐 조리나 생선구이 등의 조리를 많이 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때 그릴과 바베큐 조리의 효율을 높히기 위해 상 히터를 회동식으로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상 히터가 상판에 수평으로 놓이게 하거나 또는 후판쪽으로 위치되도록 회동식 히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의 회동식 히터를 설치할 때 도 1 및 도 2 에서와 같이 브라켓(10)을 내부가 비어있는 황동재질의 홀더 형태로 형성하되 그 전면의 삽지공(11) 주연에 고정부(12)를 돌출시켜서 히터의 양단부(20)를 브라켓(10)의 삽지공(11)에 끼운 후 삽지공(11) 주연의 고정부(12)부위를 금형으로 눌러서 고정부(12)의 내면이 히터의 양단부(20)를 강하게 압박토록 하는 방식으로 체결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체결하면 도 2 에서와 같이 히터의 양 단부(20)를 브라켓(10)의 전면 고정부(12)부위에서만 잡아주고 있고 그 후미는 전혀 고정되지 않음으로 인해 히터가 유동되는 경우가 많아 소비자들의 신뢰성이 떨어지게 되며, 히터의 체결력을 키우기 위해 히터를 잡아주는 브라켓의 고정부를 더 길게 키우더라도 이러한 고정부의 체결력만으로는 히터의 체결력을 높히는데 한계가 있고 그만큼 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브라켓에 고정부를 돌출시키지 않고서도 히터와 브라켓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전자렌지의 회동히터와 브라켓 체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황동재질의 브라켓을 내부까지 채워진 형태로 형성하여 삽입공으로 히터 양 단부를 끼운 후 삽입공 부위의 전후면을 콕킹 작업하여 브라켓의 전후 콕킹부가 히터의 양쪽을 잡아주도록 전자렌지의 회동히터와 브라켓 체결구조를 구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브라켓의 삽입공에 끼워진 히터의 양 단부가 전후 콕킹부에 의해 견고하게 물려 있는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히터가 보다 견고하게 체결되는 것이므로,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브라켓에 회동히터가 끼워진 상태도로서, 도 1a는 고정부에 히터를 끼운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1b는 고정부 사방을 금형으로 눌러서 히터가 고정부에 꽉 끼이게 한 상태의 사시도.
도 2 는 도 1b의 요부 횡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브라켓에 회동히터가 끼워진 상태도로서, 도3a는 브라켓의 삽입공에 히터를 끼운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3b는 브라켓 삽입공의 전후면을 코킹하여 히터를 고정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4 는 도 3b의 요부 횡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브라켓 110 : 삽입공
120 : 코킹부 200 : 양단부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 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술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별첨의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고안의 브라켓에 회동히터가 끼워진 상태도로서, 도3a는 상기 브라켓의 삽입공에 히터를 끼운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3b는 브라켓 삽입공의 전후면을 코킹하여 히터를 고정시킨 상태의 사시도인데,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브라켓(100)에 형성된 한쌍의 삽입공(110)에 히터의 양단부(200)를 끼워 고정함에 있어서, 삽입공(110)의 전후 테두리를 코킹작업하여 코킹부(120)가 삽입공(110)에 끼워진 히터의 양단부(200)를 잡아주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히터의 양단부(200)를 브라켓(100)의 삽입공(110)에 끼우면 브라켓(100)에 형성된 삽입공(110)의 구경은 히터 양단부(200)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히터 양단부(200)는 브라켓(100)에 헐렁하게 끼워진 상태가 된다.
이때, 본 고안은 브라켓(100)의 삽입공(110) 전후면을 금형으로 눌러 코킹작업하면 브라켓(100)은 연질의 황동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삽입공(110) 전후면의 구경이 작아지면서 상하 코킹부(120)가 히터의 양단부(200)에 강한 힘으로 밀착되므로 히터의 양단부(200)가 브라켓(100)의 삽입공(110)에 매우 견고하게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삽입공(110)의 전후면에 형성되는 코킹부(120)가 히터의 양단부(200)를 강한 힘으로 잡아주어 종래처럼 사용중에 히터가 브라켓으로 부터 유동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가 있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소비자들의 제품 신뢰도와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회동히터를 브라켓(100)의 삽입공(110)에 끼워 고정시킬 때 삽입공(110)의 전후면을 눌러서 형성되는 코킹부(120)에 의해 히터의 양단부(200)가 끼워진 상태를 매우 견고하게 유지할 수가 있으므로 사용중 히터가 브라켓(100)으로 부터 유동될 우려가 없어 신뢰성을 높힐 수가 있고, 또한 히터와 브라켓을 고정시키는 작업이 상당히 신속 간편하여 생산성 향상에 의한 원가 절감의 효과가 큰 것이다.

Claims (1)

  1. 브라켓(100)에 형성된 한쌍의 삽입공(110)에 히터의 양단부(200)를 끼워 고정함에 있어서, 브라켓(100)의 삽입공(110)에 히터의 양단부(200)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삽입공(110)의 전후 테두리를 코킹작업하여 코킹부(120)가 삽입공(110)에 끼워진 히터의 양단부(200)를 잡아주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의 회동히터와 브라켓 체결 구조.
KR2019970033197U 1997-11-21 1997-11-21 전자렌지의 회동히터와 브라켓의 체결구조 KR1999001980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197U KR19990019800U (ko) 1997-11-21 1997-11-21 전자렌지의 회동히터와 브라켓의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197U KR19990019800U (ko) 1997-11-21 1997-11-21 전자렌지의 회동히터와 브라켓의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800U true KR19990019800U (ko) 1999-06-15

Family

ID=69679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3197U KR19990019800U (ko) 1997-11-21 1997-11-21 전자렌지의 회동히터와 브라켓의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980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5559B1 (ko) 히터를 가지는 전자렌지
KR200142130Y1 (ko) 전자렌지의 타이머장치와 출력조절장치의 설치구조
KR20090071266A (ko) 다기능 전자레인지
KR19990019800U (ko) 전자렌지의 회동히터와 브라켓의 체결구조
KR19990019799U (ko) 전자렌지의 회동히터 설치용 브라켓 구조
KR200157112Y1 (ko) 전자렌지의 증기조리장치
KR100277966B1 (ko) 전자렌지의 송풍팬 각도 조절 장치
KR20090009524U (ko) 다기능 전자레인지
KR0170113B1 (ko) 다기능 전자렌지
KR100618229B1 (ko) 전자레인지의 히터베이스 장착구조
JP2538583B2 (ja) 調理器
KR200154589Y1 (ko) 구이 겸용 전자렌지
KR200150819Y1 (ko) 매트장치채용 전자렌지
KR20100081242A (ko) 다기능 전자레인지의 히터결합체
KR200153348Y1 (ko) 전자렌지의 도어구조
KR101297999B1 (ko) 전자레인지
KR101211585B1 (ko) 조절판 히팅장치를 갖는 전자레인지
KR0128177Y1 (ko) 다기능 전자렌지의 롤러가이드 열전도 감쇄구조
KR20090071264A (ko) 다기능 전자레인지
KR200244102Y1 (ko) 다기능 전자렌지의 하히터 커버 설치구조
KR200182324Y1 (ko) 다기능 전자렌지의 열반사 장치
KR970004460Y1 (ko) 다기능 전자렌지
KR200182326Y1 (ko) 저면에 그릴을 갖는 전자렌지
KR19990023546U (ko) 전자렌지의 트레이장치
KR20090071263A (ko) 다기능 전자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