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9947B1 - 코넥터 조립방법과 장치 - Google Patents

코넥터 조립방법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9947B1
KR0169947B1 KR1019910701590A KR910701590A KR0169947B1 KR 0169947 B1 KR0169947 B1 KR 0169947B1 KR 1019910701590 A KR1019910701590 A KR 1019910701590A KR 910701590 A KR910701590 A KR 910701590A KR 0169947 B1 KR0169947 B1 KR 0169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force
optical fiber
fixing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701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1845A (ko
Inventor
슬래니 폴
그린더슬레브 소렌
Original Assignee
케네스 바웨스
옵티칼 화이버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7/492,933 external-priority patent/US5102211A/en
Application filed by 케네스 바웨스, 옵티칼 화이버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케네스 바웨스
Publication of KR920701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1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9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99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5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nchoring or fixing the fibre within the ferrule
    • G02B6/3858Clamping, i.e. with only elastic deform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5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nchoring or fixing the fibre within the ferrul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8Tools, e.g. handheld; Tuning wrenches; Jigs used with connectors, e.g. for extracting, removing or inserting in a panel, for engaging or coupling conne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mponents within the connector, for applying clips to hold two connectors together or for crimp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광화이버단말부의 조립을 위한 장치와 방법을 접착제를 필요로 하지 않고 선택된 이동에 대하여 선택된 힘의 특성을 가한다. 장치는 고정부재(14), 구동부재(16)와, 이를 고정 및 구동부재의 상대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위치선정부재(18)를 포함한다. 작동에 있어서, 고정부재에는 내측부재(31) 및 외측부재(32)와 압축시스템(34)을 포함하는 부분조립 광화이버단말부(12)가 삽입된다. 위치선정부재(18)에 의하여 안내되는 구동부재(16)는 단말부(12)의 부재를 신축가능하게 압축하는 힘을 제공한다. 두 단말부재의 신축운동으로 압축시스템이 광화이버와 기계적으로 결합되게 압축된다. 압축력된 광화이버에 지나친 스트레스가 가하여지지않고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제한된 최대값을 갖는다.

Description

코넥터 조립 방법과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광화이버단말부를 조립하기 위한 장치를 보인 것으로 광화이버단말부가 일부조립되지 않고 일부는 단면으로 표시 측면도.
제2a도는 단말부의 작동부재를 단말부의 단말부재에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보인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이 구체화된 광화이버의 단말부단면도.
제2b도는 제2a도와 유사한 단면을 보인 것으로, 압축시스템을 충분히 변형시키도록 단말부재에 부분적으로 조립된 작동부재를 보인 단면도.
제2c도는 단말부가 완전히 조립된 것을 보인 제2a도와 제2b도와 유사한 단면도.
제3도, 제4도 및 제5도는 제2a도-제2c도의 광화이버단말부에 사용되는 3개의 상이한 압축시스템을 보인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부조립장치를 보인 것으로 개방상태의 측면도.
제7도는 단말부의 도시는 생략한 제6도의 7-7선 단면도.
제8도는 단말부의 도시는 생략한 제6도의 8-8선 단면도.
제9도는 단말부의 도시는 생략한 제6도의 9-9선 단면도.
제10도는 폐쇄상태에 있는 제6도의 단말부조립장치를 보인 측면도.
제11도는 개방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단말부조립장치의 측면도.
제12도는 폐쇄상태에 있는 제11도의 단말부조립장치의 측면도.
제13도는 개방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부조립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측면도.
제14도는 폐쇄상태에 있는 제13도의 단말부조립장치의 측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 선택된 힘을 가지고 광화이버단말부를 조립하기 위한 공구의 평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공구에 사용된 해제기구의 사시도.
제17도는 제16도의 17-17선을 따라 단면으로 보인 조립된 해제기구의 단면도.
제18도와 제19도는 제15도에서 보인 공구의 일부를 보인 것ㅇ즈로 해제기구가 각각 선해제 및 후해제상태에 있음을 보인 부분단면도.
제1도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코낵터조립용 공구(10)는 고정부재(14), 구동부재(16)와, 이들 고정부재(14)와 구동부재(16)를 선택된 진로에 대하여 선택된 위치에 배치되게 하는 위치선정부재(18)를 갖는다. 이 공구(10)는 광화이버단말부(12)를 조립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고정부재(14)는 조오부재(22)가 일체로 구성된 조오부재지지체(20)를 포함한다. 이 조오부재지지체(20)는 공지된 바와 같이 조오부재(22)를 주어진 플래트폼에 착설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조오부재(22)는 안내슬로트(26)를 갖는 전방정렬부재(24)를 포함하여, 제9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안내슬로트에는 제2공작물(32)의 선단부가 삽입된다. 공간부(22)에는 제1공작물(30)과 이 제1공작물(30)에 부분적으로 조립되는 제2공작물(32)를 갖는 단말부(12)가 이동 및 복귀가능하게 삽입된다. 압축시스템(34)이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공작물(30)과 제2공작물(32)사이에 배치된다. 후방정렬가이드(38)에는 제7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화이버출구스로트(40)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공작물(30)에 대한 후방좌부면(36)을 제공한다.
제1도에서, 구동부재(16)는 구동부재지지체(42)상에 착설될 수 있다. 이 지지체(42)는 구동부재(16)를 주어진 플래트폼상에 착설할 수 있게 된 통상적인 구조로 되어 있다. 전형적으로 구동부재(16)는 요구된 힘의 특성을 발생하기 위한 탄성부재(도시하지 않았음)가 장설되는 통공(44)을 포함한다. 이 통공(44)에 연속하여 축방향으로 연장된 관상통로(46)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축방향으로 연장된 플런저부재(48)가 삽입된다. 통공에 인접한 통공(46)의 단부는 확개되어 플런저부재(48)의 외향플랜지(50)가 삽입될 수 있게 되어 있다. 플런저부재(48)는 탄성부재에 의하여 제공되는 힘을 제2공작물(32)에 전달한다. 이 플런저부재(48)는 제2공작물(32)이 이동 및 복귀가능하게 삽입되는 조오부재(52)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선정부재(18)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전문가에게 잘 알려진 다른 정렬 시스템일 수도 있다. 예시의 위치선정부재(18)는 대향 배치된 안내레일을 포함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고정부재(14)와 구동부재(16) 중의 하나는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접촉하게 되어 있다. 또한 위치선정부재(18)는 공통축선을 따라 고정부재(14)와 구동부재(16)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 피봇트일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의 전형적인 것으로서는 예를 들어 플라이어(plier)와 유사한 구성으로된 수동공구이다. 컴퓨터 서브시스템을 채용한 수치 제어시스템이 고정부재(14)와 구동부재(16)의 상대운동을 제어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제2a도, 제2b도 및 제2c도에서 상세히 보인 바와 같이 광화이버단말부(12)는 제1공작물(30)에 해당하는 내부작동부재(60), 제2공작물(32)에 해당하는 외부 단말부재(62)와, 3개가 한 셋트인 압축부재(66)를 갖는 것으로 도시된 압축 시스템(64)을 갖는다. 그러나, 부재(60)(62) 사이 그리고 공작물(30)(32) 사이의 일치상태는 각각 바뀔 수도 있다.
도시된 내부작동부재(60)는 외면(70)내에서 동심원상인 관상의 축방향통로(68)를 가지며 압축작용하는 축방향 전면(72)을 갖는다. 통로(68)에는 버퍼형 광화이버케이블(84)이 삽입지지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통로(68)는 출구 단에서, 즉 전면(72)에 인접한 단부에서 원통공으로부터 방사상 내측으로 돌출된 원통형 돌출부(74)를 제외하고는 작동부재(60)의 전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돌출부(74)는 화이버가 내부작동부재(60)내에 완전히 조립되었을 때에 화이버 버퍼가 위치선정을 위하여 접속되는 원형접속부를 제공한다.
도시된 광산의 외면(70)은 전면부(76), 대경중앙부(78)와, 후측대경부(80)를 갖는다. 후측대경부(80)는 전면(72)으로부터 후측으로, 즉 내부작동부재(60)의 좌측단부를 향하여 3/4정도의 위치에 턱(82)이 형성되고 그 축방향후측으로 확대된 외경을 갖는다. 또한 이 후측대경부(80)는 방사상확개부(86)를 포함한다. 이 확개부는 후측대경부(80)의 길이의 수분의 일정도로 내부작동부재(60)의 후측(좌측) 단부로부터 축방향의 전방으로 간격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이 확개부를 배치하므로서 이 확개부가 단말부의 완전조립시 외부단말부재(62)와 축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제2a도-제2c도는 제1도에서 이 확개부가 최우측에 배치된 것 대신에 이러한 구조를 보이고 있다.
하나의 이시된 단말부에서, 턱(82)은 천분의 일 또는 천분의 일 또는 천분의 몇인치정도이며 방사상확개부(86)는 약간 큰 천분의 5인치정도이다. 전면부(76)와 대경중앙부(78) 사이 또한 대경중앙부(78)와 후측대경부(80) 사이의 방사상 턱은 제2c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완전히 조립된 단말부내에서 외부단말부재(62)의 안내면(88)과 턱(89)의 축방향 후향근접부에 근접배치된다. 또한 외면(72)은 대경중앙부(78)와 후측대경부(80) 사이에 형성된 턱의 후측에 팽창형 고정링(도시하지 않았음)이 착설되는 고정링요구(도시하지 않았음)가 형성될 수 있다.
단말부의 선단부, 즉 제2a도의 최우측부에서 화이버광케이블을 압축시스템(64)에 결합시키는 도시된 단말부(12)는 그 후측단, 제2a도의 최좌측부에서 케이블을 결합한다. 이러한 제2결합은 내부작동부재(60)의 후측단부에서 파지부재(114)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들 파지부재는 통로(90)의 벽에 결합하므로서 작동된다. 도시된 파지부재(114)는 확개부(86)를 포함하는 내부작동부재(60)에 형성된 후측대경부(80)의 일부로 구성된다. 제2a도, 제2b도와 제2c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내부작동부재(60)의 후측대경부(80)의 광상벽을 통하여 형성된 축방향 슬로트가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4개의 파지편(114)을 구성한다. 이들 파지편의 확대외경부는 통로(90)에 삽입되어 단말부가 조립될 때에 파지편이 버퍼형 케이블 측으로 압축되게 한다.
도시된 외부단말부재(62)는 축선(92)을 중심으로하여 개방외면(94)과 동심원상인 축방향 통로(90)를 갖는 관상의 하우징 동체이다. 광상통로(90)는 비버퍼형 광화이버(98)가 삽입되고 지지되어 위치선정될 수 있게 된 제1부분(96)을 갖는다. 이 제1통로부분은 제2통로부분(100)의 전방에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후측의 통로부분(100)은 내부작동부재(60)가 신축가능하게 삽입되어 놓일 수 있게 되어 있다. 방사상 수축부가 전방의 통로부분(96)의 후단부와 통로부분(100)의 선단부에서 턱(104)으로 구성된다. 도시된 방사상 수축부는 통로(90)과 동심원상인 직원추이다. 단말부재의 동체외면은 축방향으로 연속된 팽경부(106)와, 통상적으로 케이블지지외장체 또는 슬라이브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요구(108)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전방외면(94)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신축가능하게 상대측 수용단말부(도시하지 않았음)에 배치되고 원통형 플러그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외면의 중앙부(10)는 이러한 수용단말부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기계적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
도시된 제2통로부분(100)은 축방향으로 연속하여 간격을 두고 원추형 안내면(88) 외향턱(89), 일부실시형태에서 고정요구(도시하지 않았음)를 가지며 이들 모두는 방사사수축부재(104)의 후측에 위치한다. 또한 도시된 통로(90)는 부재(104)(88) 사이에 짧은 단공(112)을 갖는다. 안내면(88)은 약 60°의 원추각을 갖는 펀넬을 구성하며 압축전 압축시스템(64)의 전체직경보다 작은 전방직경을 갖는다. 만야가 고정요구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이 고정요구는 단말부(12)가 완전히 조립되었을 때에 내부부재(60)에 착설된 고정링이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놓여 있다.
단말부(12)의 압축시스템(64)은 제4도의 구형부재(116') 또는 제5도의 디스크부재(116')와 같이 중앙에 구멍이 뚫려 있는 단일의 변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a도-제2c도의 단말부(12)는 3개의 구형부재(116)가 한 세트로 사용되고 이들이 원형으로 배치되어 이들 사이에 화이버삽입공(118)이 형성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압축시스템(64)은 제3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3개의 롯트형 부재(116''')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압축부재(116)가 광화이버 즉 케이블에 일정한 고정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각 압축부재는 변형전 형상을 기억하는 균질의 탄성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물질로서는 나이론, 데를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고무와 폴리염화비닐이 있다. 부재(116)의 초기형상은 제2a-제2c도, 제3도, 제4도 및 제5도에서 보인 다양한 형상이나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단면을 갖는 것이 좋다. 제2a도-제2c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3개가 한셋트인 구형부재(116)가 사용되는 것이 좋다.
이들 부재(116)를 관통하는 화이버통로(118)에는 제2a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비버퍼형 광화이버(98)가 삽입된다. 압축전에 화이버통로(118)는 광화이버가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을 정도로 직경을 갖는다. 화이버통로(118)읜 크기와 형상은 부재(116)의 수, 직경과/또는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압축시스템(64)는 광화이버의 삽입과 관통을 안내하도록 통로(118)측으로 경사진 경사공을 갖는다. 3개의 구체로된 시스템(116)은 제2a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화이버를 안내한다. 만야 제4도 또는 제5도와 같이 단일 압축 시스템(116)이 사용되는 경우 화이버통로(118)의 양단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광화이버를 안내 하도록 확개되는 것이 좋다.
제2a도-제2c도는 차례로 단말부(12)에 광화이버(84)가 결합되어 지지되는 과정을 보이고 있다. 제2a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버퍼형 광화이버케이블(84)은 내부작동부재(60)의 통로(68)내에 배치되고, 케이블의 비버퍼형 크래드 광화이버(98)는 내부부재(60)의 압축작용면(72)을 지나 연장된다. 압축시스템(64)은 외부단말부재(62)와 조립되기 전에 화이버(98)상에 삽입되어 케이블(84)와 조립된다. 제2a도에서 단계에서 압축시스템(64)은 제2통로부분(100)의 선단부에서 외부단말부재(62)의 통로(90)내에 배치된다.
내부부재(60)는 제2b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단말부재(12)를 지나 축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삽입공(118)와 외부부재(62)의 전방통로부분(96)를 통하여 비버퍼형 광화이버(98)가 관통된 상태에서 외부부재(62)측으로 신축될 수 있다. 단말부재(60)(62)가 부분적으로 조립되고 상대측에 대하여, 그리고 케이블(84)에 정렬된 후에 내부부재(60)와 외부부재(62)의 축방향 조립과정에는 내부부재(60)의 압축작용면(72)과 외부부재(62)의 안내면(88) 사이에서 압축시스템(64)을 압축하는 과정이 포함된다. 안내면(88)은 압축작용면(72)에 의하여 가하여지는 축방향의 힘이 전향되게하여 압축시스템(64)이 방사상 내측으로 변형되어 광화이버(98)와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한다.
제2c도에서 보인 두 단말부재의 조립시에 압축시스템(64)이 단공(112)을 향하여, 그리고 접속부(104)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압축되고 계속하여 화이버(98)측을 향하여 방사상 내측방향으로 압축된다. 이와같이 내외부부재(60)(62)는 실린더내에서 작용하는 피스턴과 같이 작용하여 압축시스템의 부재를 화이버(98)측으로 압축시킨다.
동시에, 턱(82)의 후측부인 내부부재(60)의 대경부는 내부부재(60)의 부분(80)와 외부부재(62) 사이에 압축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파지편(114)이 케이블(120)측으로 편향되게 한다.
내부부재(60)는 파지부재(114)의 후측면이 외부부재(62)의 후측면부와 정렬될때까지 외측부재(62)에 대하여 신축이동된다. 고정요구와 고정링의 시스템을 이용하는 단말부의 실시형태에서, 부재(60)(62)는 고정요구와 고정링이 정렬될때까지 신축이동되며, 이 싯점에서 고정링이 확장되어 요구에 결합된다.
조립된 압축시스템(64)은 화이버(98)를 축방향으로나 방사상방향으로 고정위치에 화이버(98)를 고정지지하기 위하여 비버퍼형 광화이버(98)를 기계적으로 결합한다. 전방부분(96)내에 형성된 통로(90)에는 압축시스템을 정밀한 위치에 정밀배치시키도록 압축시스템의 전방측으로 돌출된 광화이버선단부가 최소간극을 두고 삽입된다. 또한 압축작용파지편(114)은 버퍼형 크래드 광화이버(84)을 조립된 단말부재(60)(62)에 고정한다. 광화이버(98)의 돌출부분은 공지된 바와 같이 케이블(84)의 단말처리를 완료하도록 연마되고 마무리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단말부(12)의 최종조립후에 슬리이브(도시하지 않았음)가 버퍼형 광케이블(84)상에 배치되어 그 일부가 외부단말부재(62)의 팽경부(106)와 요구(108)상에 연장되고 광화이버 케이블(84)의 자켓트 상에 연장된다. 이 슬리이브는 배치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조립과정에서는 부재(60)(62)의 축방향 신축결합만이 요구되며 일측부재를 타측부재에 대하여 또는 광화이버에 대하여 나선결합 또는 회전결합이 요구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노출된 화이버(98)가 받게되는 힘 또는 스트레스는 압축시스템(64)에 의한 방사상 압축력 뿐이다.
제6도와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공구(10)의 한 실시형태를 보인 것으로, 고정부재(14)의 조오부재(22)내에 단말부(12)가 배치되는 것을 보인 것이다. 고정부재(14)와 구동부재(16)의 상대운동은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위치선정부재(18)에 의하여 제어된다.
조오부재(22)는 전방정렬가이드(24), 후방정렬가이드(38)와, 제1공작물(30)과 이 제1공작물(30)에 부분적으로 조립된 제2공작물(3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사이에 형성된 공간부(28)를 포함한다. 전방정렬가이드(24)는 안내슬로트(26)을 포함한다. 제9도에 상세히 도시한 이 안내슬로트(26)는 장방형의 형태이고 조오부재(22)의 상부면측으로 개방된 단부를 갖는다. 안내슬로트(26)가 제2공작물(32)의 선단부를 저지하도록 배설되어 있다.
제7도에 도시된 후방정렬가이드(38)는 제1공작물(30)의 후측면이 삽입되는 후방좌부면(36)을 제공한다. 구동부재(16)에 의하여 동심원상으로 그리고 동축상으로 발생된 힘이 단말부(12)가 뒤틀리지 않고 공작물을 신축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후방좌부면은 공작물축선(144)에 대하여 90°의 각도를 이룬다. 또한 후방정렬가이드(38)는 조립된 공작물(30)(32)로부터 연장된 케이블(84)이 지날 수 있게 된 화이버출구 슬로트(40)를 포함한다. 도시된 화이버출구슬로트(40)는 조오부재(22)의 상부면측으로 개방된 단부를 갖는다.
제6도와 제10도의 구동부재(16)는 선택된 힘의 특성, 예를들어 선택된 힘대거리비를 발생하는 탄성부재(150)와, 이러한 힘의 특성을 공작물에 전달하는 플런저부재(48)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서, 탄성부재(150)는 압축스프링, 특히 디스크스프링이다. 제2a도-제2c도에 도시된 단말부(12)에 공구(10)를 이용하게 위하여, 탄성부재(150)는 0.030인치의 이동거리에 대하여 150파운드의 일정한 힘을 발생한다. 단일의 디스크 스프링 또는 일련의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전문가는 디스크스프링을 병렬로 적층하면 디스크의 힘이 가산되고 디스크를 직렬로 적층하면 디스크의 전체이동 거리가 길어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구체화된 디스크스프링은 디스크두께에 무부하높이의 비율이 약 1.4-1.6사이이다. 특히 구체화된 디스크스프링은 이러한 비율이 1.5이고 외경 18㎜×내경 6.2㎜×높이 0.4㎜의 크기이다. 이러한 디스크의 힘의 특성은 75%와 100%의 편향에서 31파운드이고 75% 편향으로부터 100% 편상시의 총 이동거리는 0.0059인치이다.
단말부에 요구된 힘과 이동거리는 경험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발생된 힘은 제2공작물(32)에 대한 제1공작물(30)의 이동함수인 저항력에 대하여 충분히 단말부(12)를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이용하기 위하여 요구된 이동거리에 대한 힘의 특성을 갖는 탄성부재(150)는 5개의 디스크스프링을 병렬로 적층하고 이와같이 적층된 5개의 스프링적층체를 직렬로 조립하며 이러한 조립체를 총편향량에서 60%까지 압축하여 구동부재(160)의 통공(44)내에 배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총평향량의 60%까지 사전에 압축하므로서 최소의 우선이동에도 요구된 일정한 힘의 특성이 발휘될 수 있다.
비록 예시된 탄성부재(15)가 압축스프링, 즉 디스크스프링을 이용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전문가라면 요구된 일정한 힘의 특성이 제공될 수 있는 다른 전기-기계, 공압 또는 수압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탄성부재(150)에 의하여 발생된 힘을 전달하는 플런저부재(48)는 전형적으로 제2공작물(32)의 선단부를 이동 및 복귀가능하게 결합하는 조오부재(52)와, 연속조립단계의 종료시에 탄성부재(150)의 반발시 플런저부재(48)가 축방향 전방으로 지나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플랜지(50)를 포함한다. 플런저부재(48)는 상기 언급된 스프링조립체의 좌부를 제공하는 좌부판(152)에 연결된다.
제11도와 제12도는 단말부(12)의 조립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구(10')를 보인 것이다. 제6도와 제10도의 공구(10)와는 대조적으로 공구(10')의 플런저부재(48')는 직접 제2공작물(32')에 결합하지 않고 공구(10')의 부재(14')(16')가 공통축선을 중심으로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제11도와 제12도는 전방정렬부재를 포함하지 아니한다. 중간플런저부재(154)가 제1공작물(32')에 형성된 위부턱과 플런저(48') 사이에 압축결합되어 탄성부재(150')에 의하여 발생된 힘을 공작물(32')에 전달한다. 축선을 중심으로하여 부재(14')(16')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중간플런저부재(154)의 제1단부는 반구형의 형태를 갖는 것이 좋다. 이러한 반구형 형태는 플런저부재(48')의 표면(160)과 중간플런저부재(154)사이에 연속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중간플런저부재(154)의 제2단부는 중간플런저부재(154)가 제2공작물(32')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조오부재(158)를 포함한다. 또한 고정부재(14')는 광케이블(84')이 관통연장되고 내부 제1공작물(30')의 배면단부가 압축되게 착설되는 벽 또는 접속부(156a)를 구성하는 프레임과 함께 부분적으로 조립된 단말부공작물(30')(32')를 지지고정한다. 예시된 프레임은 공간부(28')를 둘러싸고 있으며 내부 플런저(154)가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착설된 통공내에 제2공작물(32')의 선단부가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잇 실시형태에 대한 나머지 부분의 구조와 기능은 제6도와 제10도에서 설명된 것과 같다.
제13도와 제14도는 고정부재(14'')에 단말부(12)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게 되어 있는 슬라이딩 지지체(200)가 착설된 공구(10'')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것이다. 지지체(200)은 단말부축선(92'')을 따라 고정부재상에서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지지체는 전방정렬부재(202), 후방제2공작물지지체(204)와 베이스(206)를 포함한다. 후방정렬가이드(208)는 계속하여 제1공작물(30'')의 배면부가 삽입되는 후방좌부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서 나머지 부분의 구조와 기능은 선행실시형태와 같다.
제6도와 제10도, 그리고 제11도와 제12도는 단말부(12)가 제1공작물(30)과 제2공작물(32)을 포함하는 상기 언급된 본 발명 장치의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실시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한 방법을 보인 것이다. 제6도와 제11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제2공작물(32)과 조립된 제1공작물(30)은 고정부재(14)에 이동 및 복귀 가능하게 고정된다. 제1 및 제2공작물(30)(32)의 상대위치는 제2a도에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바와 유사하다. 공작물을 신축이동시키기 위하여 제1공작물(30)과 제2공작물(32)은 플런저부재(48)의 종축선과 동축상인 진로를 따라 선택적으로 정렬되고 배치된다.
다음 단계에서, 플런저부재(48)와 중간플런저부재(154)의 조오부재(52)(158)는 각각 제2공작물(32)에 결합한다. 제2공작물(32)과 조오부재(52)(158) 사이의 초기접촉으로 제1공작물은 후방좌부면(36)에 이동하여 접촉된다. 이러한 초기 접촉후에 단말부(12)는 제2b도에서 보인 상태가 된다.
제1공작물(30)에 대하여 제2공작물(23)이 선택된 거리를 이동하는 것은 탄성부재(150)에 의하여 제공된 일정한 힘을 이용하여 계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선택된 일정한 힘이 가하여지는 것은 단말부가 제2c도에 도시되고 설명된 바와 같이 완전히 조립될 때까지 계속된다.
단말부(122)의 후조립과정은 화이버의 절단단계와 광택처리 단계를 포함한다. 전형적인 후조립방법은 본 출원인이 발표한 OPTICAL CBLE TERMINATION PROCEDURES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으며, 본문에서도 인용된다. 이에 기술된 바와 같이, 화이버는 노출된 화이버부부분에 선을 그어 표시하고 화이버를 그 축선을 따라 당기어 낸 다음 절단하여 절단과정이 수행된다. 그리고 절단된 화이버의 단말부선단이 광택처리기에 삽입되어 예를들어 산화알루미늄의 형태인 연마필름을 통하여 통과하도록하므로서 화이버의 마면이 광택처리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화이버의 단말부 단부와 마면은 적당한 연마기의 선택으로 광학적으로 평면을 이루거나 선택된 반경을 갖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언급된 실시에 의하여 일정하고 선택된 최대값을 갖는 압축력을 가하므로서 제2a도-제2c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광화이버단말부를 조립하기 위한 힘을 얻을 수 있다. 이 힘은 광화이버를 요구된 정도까지 이를 초과하지 않고 결합될 수 있도록 단말부의 압축시스템(64)이 변형될 때까지 단말부의 내외측부분이 함께 신축가능하게 미끄럼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 힘은 단말부의 두 부분이 단말부의 배면단부에서 파지부재(114)를 버퍼형 케이블에 충분히 압축토록 결합되게 한다.
제15도-제19도는 힘의 특성이 선택된 최대값으로 증가되고 충분히 낮은 값으로 감소되게 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경우를 보인 것이다. 힘의 최대값은 요구된 바와 같이 최적한 광화이버단말처리가 이루어지고 다른 광화이버케이블과 다른 단말부와의 협동이 이루어지도록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를 위하여 제15도에 도시된 수동공구는 링크(216)로 힌지 연결된 두 핸들(212)(214)을 갖는 통상의 플라이어형 클램프구조를 갖는다. 암(218)이 핸들(212)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제2암(220)이 타측핸들(214)로부터 힌지연결부(222)로 연장되며 암(218)과 연결되는 힌지연결부(224)를 갖는다. 고정부재(226)는 암(218)으로 도시된 일측 암의 단부에서 힌지연결부(228)에 의하여 착설되어 있다. 이 공구(210)의 구동부재(230)는 힌지연결부(232)에 의하여 타측암(220)의 단부에 착설된다. 각 클램프 암(218)(220)는 단부가 양갈래로 나누어져 이에 각각 고정부재(226)와 구동부재(23)가 삽입된다. 또한 제15도에서, 슬라이드 바아(234)가 일측단부에서 고정부재에 고정되고 고동부재(230)에 형성된 슬로트형 트랙(236)에 미끄럼 운동가능하게 착설된다. 이 슬라이드바아와 트랙은 직선형이고 공구가 단말부(240)를 조립하는 축선(238)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핸들(212)(214)을 함께 움직이면 고정부재(226)와 구동부재(230)가 함께 이동하는 기계적인 잇점을 갖는다. 이러한 운동중에 트랙(236)을 따라 바아(234)가 미끄럼운동하므로 고정부재와 구동부재는 상대측에 대하여 동일한 각도방향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된 상태가 유지된다. 요구된 경우에 공구(210)에는 이 공구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지될 수 있도록 하나이상의 통상적인 스프링(도시하지 않았음)이 결합될 수 있다.
핸들(212)의 단부측인 고정부재(226)의 상측부는 구동부재(230)로부터의 단부측, 즉 제15도의 좌측부에 직립정지부(224)를 갖는다. 이 정지부(244)는 제7도에서 보인 후방정렬가이드(38)의 슬로트(40)와 유사하게 조립되는 단말부(240)로부터 연장된 광화이버케이블(242)이 자유롭게 삽입될 수 있는 슬로트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재는 축선(238)을 따라 정지부와 정렬된 크래들(246)에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착설된다. 이 크래들은 축선(238)을 따라 운동토록 고정부재의 상측부에 형성된 슬라이드트랙(250)에 미끄럼 운동가능하게 착설되는 베이스(248)를 갖는다. 또한 이 크래들은 한쌍의 직립좌부단(252)(254)를 갖는다. 이 좌부단은 고정거리를 두고 서로 떨어져 있으며 축선(238)의 방향으로 제2a도-제2c도에서 언급된 단말부재(62)와 같은 외측단말부재가 삽입지지될 수 있도록 요구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특정시시예에서, 전방좌부단(254)에는 단말부재(62)의 전방외측면(94)(제2a도)가 삽입지지된다. 후방좌부단(252)에는 상기 외측면의 중앙부(110)를 약간 벗어나 이 단말부재(62)가 결합지지된다.
조립될 단말부(240)는 크래들이 정지부(244)로부터 원격한 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때에 크래들좌부단(252)(254)에 결합된다. 공구의 연속작동으로 크래들은 정지부(244)에 내측단말부재(60)의 배면단부가 접속토록 후측으로 미끄럼 이동한다. 크래들(246)과 정지부(244)를 갖는 공구(210)의 고정부재(226)는 슬라이디 지지체(200)와 후방정렬가이드(208)를 갖는 제13도에서 보인 공구(10'')의 고정부재(14'')와 동일하다.
또한 제15도는 공구(210)의 구동부재(230)에 축선(238)을 따라 롯드형 램(258)이 돌출된 것을 보이고 있다. 이 램의 구동면에는 중앙공(258a)이 요입형성되어 있다. 이 램은 공구가 폐쇄되어 구동부재(230)가 고정부재측으로 향할 때에 고정부재의 크래들(246)에 착설된 단말부로부터의 돌출된 광화이버의 선단부가 상기 중앙공에 자유롭게 삽입토록 구동부재상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공구(210)가 폐쇄될 때에 램의 구동면이 크래들의 전방좌부단에 접속결합된다. 계속적인 폐쇄운동으로 램은 축선(238)을 따라 이동하여 크래들을 후측으로 이동시키고 내측 단말부재가 정지부(244)에 접속되게 하므로서 크래들의 전방좌부단은 외측단말부재가 내측부재와 충분히 신축이동토록 외측단말부재에 대하여 가압된다.
구동부재(230)의 힘해제기구(260)는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공구의 폐쇄시에 구동부재의 운동이 램에 결합되게 한다. 이 해제기구는 핸들을 오무릴 때에 해제기구는 구동부재로부터 램을 분리한다. 이러한 결합 및 분리접속점에서, 램의 힘은 제로로 떨어지고 램이 고정부재에 착설된 단말부에는 힘을 가하지 않는다. 공구(210)에서 발생되어 단말부에 전달되는 힘은 요구된 최대의 힘으로 단말부재를 통과하여 광화이버의 기계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선택된 레벨에서 힘이 해제되므로서 단말부가 과잉압축되는 것이 방지되어 단말주의 압축시스템이 광화이버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한다.
도시된 해제기구(260)가 이동하여 램을 분리하는 힘의 레벨은 공구의 구동부재(230)에 접근가능한 나선형 부재(262)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도시된 해제기구는 선택된 스프링의 압축에 의하여 일어나는 해제시의 선택된 최대의 힘을 발생하는 형태의 것이다. 이와같이 해제기구는 스프링의 편향량에 대하여 일정하고 반복적인 힘을 발생하는 스프링구조를 이용한다.
특히, 제15도와 제16도에서, 이 기구(260)은 구동부재의 프레임(268)에 형성된 개붕공간부(266)에 착설되는 추력동체(264)를 이용한다. 일련의 디스크스프링 형태로 도시된 압축스프링시스템(270)은 프레임에 접속된 압력판(271)과 추력동체의 배면단부사이에서 부분압축하에 공간부내에 착설된다. 도시된 추력동체는 원통형의 형태이고 축방향배면단부에서 스프링 시스템(270)에 접속되며, 이로써 축방향 선단부는 평상시 스프링의 탄력에 의하여 프레임 전면부재(272)에 대하여 축방향의 전방으로 가압된다.
제16도와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력동체는 램(258)이 미끄럼 운동토록 착설되는 중앙축방향통로(274)를 갖는다. 램의 이 통로(274)에 평행한 추력동체의 제2통공(276)에는 조절핀(278)이 미끄럼 운동토록 착설된다. 횡방향 통로가 추력동체의 외면으로부터 조절통로(276)을 가로질러 축방향으로 향하는 통로사이의 웨브(282)를 통하여 연장되어 있다. 이 통로에는 폴(284)이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착설되어 있다.
도시된 램(258)은 원통형 롯드의 형태이고 그 선단부에 근접한 위치에 화이버 삽입공(258a)이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그 후단부로부터 근접한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절결부(28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는 그 축방향 선단부에 경사진, 즉 대각선방향으로 연장된 캠면(286a)을 가지며 그 축방향 후단부에는 방사상으로 연장된 정지면(286b)을 갖는다. 이들 면사이에서 절결부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으로 폴(284)의 일측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롯드(258)의 원통형 면에는 얕은 횡방향 슬로트(258b)가 형성되어 있다. 추력동체에 고정된 고정핀(288)이 슬로트(258b)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추력동체에 대하여 램(258)의 축방향운동을 제한한다. 램의 길이는 고정부재상에 착설된 크래들에 충분히 결합토록 추력동체의 후단부로부터 프레임부재를 통하여 구동부재(230)를 지나 연장되어 있다.
도시된 조절핀(278)은 축방향으로 연속하여 반원통형 폴결합부(290), 직경이 작으며 둘레에 코일스프링(294)이 삽입되어 있는 단축부(292)와, 나선단부 고정부(296)를 갖는다. 단부고정부는 스프링(294)의 압축력에 대항하여 칼라(295)내에서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칼라는 그 외부나선에 의하여 구동부재(230)의 프레임(268)에 착설되어 있다. 단부고정부(296)에는 너트나 다른 나선조절부재(262)가 나선결합된다.
조절핀의 폴결합부(290)는 일부절결되어 축방향 선단부에 방사상으로 연장된 반원형 정지벽(290b)를 갖는 절결부(290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290a)는 축방향 램(290c)을 형성하도록 결합부(290)를 절결해 내어 그 후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폴(284)은 비교적 짧은 직각원통형의 형태이며 대각선방향의 캠면(284a)(284b)이 양단부에서 직경의 반까지 연장되어 있다. 두 캠면은 서로 보상적인 형태로 이들이 상대측을 향하여 경사져 있으며 각 단부의 동일한 직경방향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폴은 축방향의 중앙부를 중심으로하는 단부대칭형이다.
폴의 캠면(284a)(284b)가 램절결부의 캠면(286a)은 각 부재의 원통축선에 대하여 45°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제16도, 제17도와 제18도에서, 조립된 해제기구(260)는 추력동체(264)의 통로(274)내에 이동가능하게 착설되고 횡방향 슬로트(258)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핀(288)으로 고정된 램(258)을 갖는다. 추력동체(264)는 프레임(268)의 개방공간부(266)에 착설되고 제15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스프링시스템(270)으로 압축되며, 램(258)은 축선(238)을 따라 연장토록 프레임부재(272)의 통로를 통하여 연장된다. 이 램(258)은 횡방향통로(280)를 향하여 절결부(286)가 배치되도록 회전된다.
램(258)은 이 램의 후단부와 축방향 단축사이에 단부디스크가 접하고 있는 푸쉬롯드(300)에 의하여 제18도에서 보인 위치에 대해 축방향 전방으로 탄지되어 있다. 코일스프링(302)이 단축둘레에 착설되고 단부디스크와 프레임(268)의 배면부재(306)에 고정된 플러그(304) 사이에서 압축된다. 플러그는 스프링(302)이 착설되는 칼라를 가지며 단부벽을 통하여 연장된 축방향 중앙공을 가지고 그 내부에서 푸쉬롯드(300)의 단축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플러그(304)의 중앙공, 코일스프링(302)과 푸쉬롯드(300)의 단축은 축선(238)을 따라 정렬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압축스프링(302)은 푸쉬롯드(300)를 밀어 램(258)이 프에미(268)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전방으로 탄지되게 한다.
폴(284)은 횡방향 통로내에 이동가능하게 착설되고 캠면(284a)(284b)이 전방으로, 즉 제18도의 상대측으로 향할 수 있도록 회전된다. 폴은 각 통로(274)(276)으로 돌출되게 축방향으로 배치되며 램 통로(274)의 한 캠면은 램절결부(286)의 캠면(286a)과 접하도록 배치된다. 다른 캠면은 조절통로(276)내에 놓여 방사상 단부면(284d)이 조절핀의 절결부(290a)에 형성된 평면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조절핀은 추력동체의 통로(276)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램(258)에 평행하게 프레임전면부재(272)의 통로를 통하여 연장된다. 조절핀은 회전되어 절결부(290a)와 탭(290c)의 평면부가 폴을 향하여 배치된다.
조절핀(278)은 압축코일스프링(294)에 의하여 프레임(268)에 대해 축방향 후방으로 탄지된다. 이 스프링은 핀단축부(292)의 둘레에 연장되고 프레임전면부재(272)에 고정된 칼라(295)와 핀의 환상턱사이에서 압축된다. 환상턱은 단축부(292)와 폴결합부(290) 사이의 직경차이로 형성된다. 핀(278)의 폴결합부(290)가 추력동체내에서 축방향으로 배치되는 위치는 핀의 나선고정부(296)에 대하여 너트(262)를 회전시켜 조절될 수 있다. 이후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위치조절은 해제기구가 이동하는 즉 해제되는 힘의 레벨을 선택한다.
해제기구(260)는 램(258)을 고정하여 추력동체(264)와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18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고정위치에 있는 폴(284)과 결합한다. 구동부재프레임(268)에 결합된 스프링시스템(270)에 결합된 추력동체(264)에 의하여 램(258)에 가하여진 축방향의 힘이 스프링시스템을 선택된 편향량까지 충분히 편향시킬 때에 폴(284)이 램으로부터 분리되고 제19도에서 보인 해제위치로 이동한다. 이로써 폴은 추력동체와 함께 축방향으로 운동하는 램을 해제하고 구동부재가 램에 가하는 힘은 공구의 선택된 폐쇄이동중에 제로값으로 떨어진다.
이와같이, 공구(210)는 스프링시스템(270)이 압축되는 거리를 조절하므로서 광화이버코넥터에 가하여지는 힘을 조절한다. 전형적으로 스프링은 평방인치당 파운드의 압축력의 스프링상수로 탄설된다. 스프링상수는 코일스프링의 경우와 같이 일정하거나 대부분 디스크스프링의 경우와 같이 비선형이다. 본 발명의 공구는 스프링이 압축되어 그 압축거리(x)로서 파운드의 힘(g)이 산출되는 한선형 또는 비선형의 스프링과 결합될 수 있다. 이와같은 경우에 고품위의 디스크스프링이 좋다.
공구(210)의 작동은 스프링(270)을 압축하는 단일장치로서 추력동체(264)와 램(258)의 운동에 따라 좌우된다. 부하가 램에 가하여지고 폴(284)을 통하여 추력동체에 전달된다. 폴과 램의 접촉면은 모두 이들의 직경방향 중심축선에 대하여 45°의 각도로 경사져 있다. 이러한 각도는 폴에 가하여진 힘이 두성분으로 나누어지도록 하며 이때에 일측 힘의 성분은 램에 가하여지는 힘의 방향과 동일하고 타측 힘의 성분은 램에 가하여지는 힘에 수직인 방향으로 향한다. 이 힘이 폴에 가하여져 이 폴이 램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한다. 추력동체가 이동할 때에 스프링시스템을 압축한다.
폴(284)은 조절핀(278)에 의하여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조절핀은 램에 부하가 가하여지는 동안에 출력동체와 함께 이동되지 아니한다. 조절핀은 조절너트(262)를 통하여 추력동체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다. 공구가 무부하 상태에 있을 때에 폴의 평단부면은 조절핀의 절결부(290a)에 형성된 평면부에 접한다. 램에 부하가 가하여질 때에, 램과 폴, 그리고 추력동체는 조절핀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폴의 평단부면(284d)이 조절핀에 형성된 절결부(290a)의 후단부를 지날 때에 폴이 측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되어 램과 스프링 시스템에 무부하상태가 된다. 폴이 해제될 때에 추력동체의 범위에 대한 조절로 해제전에 램에 가하여질 수 있는 최대의 힘을 조절할 수 있다. 공구(210)의 조절핀은 고정되어 램이 적어도 125-135파운드의 선택된 값에서 압력을 해제할 수 있다.
특히, 제18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통상적으로 힘이 가하여지는 상태에서, 조절핀(278)의 절결부(290a)는 폴단부면(284d)에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으로 폴은 화살표(310)를 따라 좌측으로 이동된 통로(276)내의 위치에 고정되며, 이때에 폴의 캠면(284a)은 램의 캠면(286a)에 접한다. 이러한 결합으로 램이 추력동체(264)와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토록 고정될 수 있다.
스프링시스템(270)이 제18도에서 보인 초기상태로부터 부하하에 압축될 때에 추력동체(264)는 개방공간부(266)에서 축방향 후측으로 이동한다. 이와같이, 추력동체(264)는 프레임(268)에 착설된 조절핀(278)에 대하여 축방향 후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이러한 이동으로 폴은 조절핀(278)에 대하여 후측으로 미끄럼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폴 단부면(284d)은 계속하여 핀(278)에 형성된 폴결합부(290)의 절결부(290a)에 접속하여 있으며, 폴은 제18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램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스프링 시스템(270)이 더욱 압축되면 폴단부면(284d)이 절결부(290a)의 후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폴캠면(284b)이 핀에 형성된 절결부(290a)의 배면측 변부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할 때에 화살표(310)를 따라 우측으로 이동한다(제18도와 제19도). 폴의 이러한 점진이동중에 폴캠면(284a)은 램캠면(286a)에 계속하여 접하고 있다. 그러나, 추력동체의 선택된 축방향이동으로 스프링시스템(270)의 압축시에 폴(284)이 조절핀에 형성된 절결부(290a)의 축선을 따라 후측으로 이동하고 램통로로부터 제18도와 제19도의 우측으로 화살표(310)를 따라 이동하여 램(258)으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폴은 제19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해제상태가 된다.
공구(210)는 부하가 해제될 때에 램탄지스프링(302)과 조절핀을 탄지하는 스프링(294)의 작용으로 제18도에서 보인 정상상태로 복귀한다. 스프링(302)은 추력동체(264)에 대하여 램의 축방향 전방으로 탄지되고, 이와같은 경우에 화살표(310)를 따라 폴의 좌측방향운동을 제18도에서 보인 위치에서 차단하지 않는다. 스프링(294)이 조절핀(278)을 축방향 후측으로 탄지하고 핀부분(290)과 폴캠면(284b)의 결합으로 폴은 좌측, 즉 제18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평상시 힘이 가하여지는 상태로 이동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목적들을 충분히 달성함을 알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접착제를 필요로 하지 않고 기계적인 힘으로 광화이버 케이블의 단만부를 조립하는 장치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장치와 방법은 광투과통로에 손상을 주지 않고 광화이버에 단말부를 기계적으로 고정하는 선택적인 힘을 제공한다. 이 힘은 최대값을 갖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서 이 힘은 최대값 이하이다. 즉, 일정한 최대값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힘은 현저히 낮은 값으로 떨어진다. 즉 요구된 최대값에 이르렀을 때에 자동적으로 해제된다.
본 발명은 그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상기 언급된 구성이나 단계에 변경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첨부도면과 이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을 위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신축가능하게 상호결합하는 공작물을 조립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접착이 요구되지 않는 단일케이블단부를 조립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PCT 하의 W0 91/01013으로 공개된 WIPO 국제출원공보에는 이러한 형태의 광화이버케이블단말장치와 방법이 기술되어 있는 바, 이 공보의 내용이 본 발명에서 인용된다.
광화이버통신케이블의 분야에서는 케이블단말부분의 조립을 위하여 비파괴력을 발생할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특히 요구된 장치는 광화이버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또한 그 광투과성을 떨어뜨리지 않고 광전도성 케이블의 부분을 연결하기 위하여 단말부를 조립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장치는 화이버의 정렬과 단말부내에서의 간격유지에 요구된 조건을 충분히 만족시켜야 한다.
전형적으로 광화이버통신용으로 사용되는 케이블은 광학적으로 절연물질인 코아 크래드(core clad)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광투과성 유리광섬유를 포함한다. 이러한 크래딩으로 유리코아를 보호하고 광코아로부터 광선의 분산을 방지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광화이버는 케이블의 단말처리시에 그대로 놓아두거나 제거할 수 있는 플라스틱물질로 된 보호용 외부버퍼를 갖는다. 미세한 미크론크기의 직경을 갖는 광화이버는 케이블단말의 조립중에 이들에 가하여지는 힘에 대하여 특히 민감하다.
화이버단말조립체를 선택된 크기로 변형 또는 압축시키기 위한 여러가지 시스템이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시스템에 있어서는 광화이버와 그 단말부가 지나치게 압축되거나 변형되어 화이버와 단말부가 파손되거나 그 밖에 손상을 입게되므로서 광투과성이 떨어지는 결점이 있다. 다른 한편으로 충분한 힘이 가하여지지 않는 경우 단말부의 조립이 불완전하여 광화이버사이에 불필요한 움직임에 있게 된다. 전형적으로 이들 문제점은 허용공차가 아주 작게 단말부 및 조립공구를 제작하므로서 치유될 수 있다. 그러나 근접허용공차 제작방법에 있어서는 단말처리와 공구에 소요되는 비용이 필요이상으로 상승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택된 힘을 가하여 화이버광케이블의 단말부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부 또는 케이블에 파손 또는 파괴적인 힘이 가하여지는 위험이 없이 화이버광케이블단말부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작이 경제적이고 사용하기에 용이하며 신뢰가능하고 일정한 힘을 가할 수 있는 특징으로 갖는 화이버광케이블단말부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방법들은 이후에 부분적으로 명백하게 나타내고 설명될 것이다.
상기 언급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장치는 고정부재, 구동부재와, 이들 고정부재의 구동부재를 선택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1공작물과 제2공작물을 한 진로를 따라 상대측에 대하여 배치시켜 이를 제1 및 제2공작물을 상호결합되게 조립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을 제공한다.
전형적으로 고정부재는 일반적으로 직선형인 진로를 따라 제1공작물을 선택된 정렬상태가 유지되고 위치가 선정될 수 있도록 이동 및 복귀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조오(jaw) 부재를 포함한다. 구동부재는 고정부재의 조오부재에 고정된 제1공작물과 부분적으로 조립되는 제2공작물과 이동 및 복귀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구동부재는 단말부를 상호결합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제1공작물에 대하여 제2공작물을 이동시킨다. 전형적으로 안내부재는 고정부재와 구동부재를 선택된 위치에 놓이도록 하고 이들을 요구된 진로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고정부재와 구동부재의 배치완료시, 즉 폐쇄시에 제1공작물의 제2공작물과 충분히 조립된다.
특히, 고정부재는 제1공작물이 이동 및 복귀 가능하게 삽입되는 조오부재를 포함한다. 좋기로는, 조오부재가 제1공작물이 배치될 수 있는 크래들(cradle)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 크래들부분에는 제1공작물과 부분적으로 조립된 제2공작물이 삽입된다. 일반적으로 조오부재의 전방부는 제1공작물의 선단이 삽입되는 안내 슬로트를 포함한다. 또한 조오부재는 제2공작물이 이동 및 복귀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게 배설된 후방좌부면을 포함한다. 이 후방좌부면에 형성된 슬로트를 단말부의 고정시 신호전도체, 예를 들어 광화이버의 출구가 된다.
제2공작물을 이동 및 복귀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게된 구동부재는 선택된 특성의 힘을 제공할 수 있게 배설된 탄성작용부재를 포함한다. 구동부재에 의하여 제공된 힘의 특성은 제1공작물에 대하여 선택된 진로, 좋기로는 직선형의 진로를 따라 제2공작물을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서, 구동부재에 의하여 제공된 힘의 특성은 일정하고 약간 크지 않는 한 제1공작물에 대하여 제2공작물의 이동결과로서 발생되는 저항력과 같은 것이 좋다. 이 실시형태에서 구동부재의 힘의 특성은 선택된 이동시에 전반적으로 일정하다. 구동부재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서, 구동부재는 제2공작물에 이동 및 복귀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조오부재를 갖는 플런저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구동부재는 압축스프링에 접촉하는 플린저부재와, 제2공작물에 이동 및 복귀가능하게 결합하는 조오부재로 구성된 중간플런저부재를 포함한다.
고정부재와 구동부재가 선택된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것이 안내부재이다. 이 안내부재는 고정부재와 구동부재가 일반적으로 직선형인 진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서, 안내부재는 대향되게 배치된 한쌍의 평행한 안내레일을 포함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고정부재 또는 구동부재 중의 하나가 정지위치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부재가 레일을 따라 미끄럼운동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고정부재와 구동부재는 공통축선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대측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언급된 실시에 있어서, 그 실시방법에 따라, 제1공작물은 조오부재에 의하여 이동 및 복귀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진로를 따라 선택된 정렬과 배치가 이루어진다. 제1공작물과 부분적으로 조립된 제2공작물은 구동부재에 의하여 이동 및 복귀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2공작물은 선택된 힘의 특성을 가지고 제1공작물에 대하여 이동된다.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 힘은 선택된 이동시에 전반적으로 일정하다.
제1 및 제2공작물은 화이버광케이블이 놓이는 연송통로를 구성한다. 화이버광케이블은 버퍼형이거나 비버퍼형일 수 있다. 통로를 통하여 연장된 화이버의 일부는 제1 및 제2공작물사이에 배치된 압축시스템에 의하여 둘러싸인다. 이 압축시스템은 방사상내측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고정부재에 대한 구동부재의 작동으로 제1 및 제2공작물의 신축가능한 상호결합 및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신축형 상호결합으로 압축시스템은 광화이버를 지지하고 고정결합토록 압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와 방법을 이용하여 조립된 단말부에 고정된 광화이버의 노출 연결단부가 공지의 기술에 따라 연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와 방법은 광화이버단말부를 조립하기 위한 힘의 특성을 발전시켜 선택된 최대값에 이르렀을 때에 낮은 값으로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선택된 힘의 최대값은 단말부에서 기계적인 화이버결합압축시스템을 충분히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해제특성은 광화이버가 손상입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징과 이후 설명되는 다른 특징들이 한 실시형태에서 일정한 특성을 갖는 힘을 이용하여 화이버광케이블을 조립하기 위한 고도의 신뢰성을 갖는 장치와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이 힘은 선택된 최대값을 갖는다. 본 발명은 경제적으로 실시될 수 있어 기존의 실시방법과 그 구조에 비하여 비교적 적은 비용이 소요될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내구성을 가지고 정밀하며 신뢰가능하게 화이버광케이블에 단말부를 고정하는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나, 본 발명장치와 방법의 특징은 다른 화이버나 와이어에도 유리하게 이동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Claims (10)

  1. 제1 및 제2공작물을 갖는 광화이버의 단말부를 조립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진로를 따라 선택된 위치에 제1공작물을 이동 및 복귀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구성되고 제1공작물을 상기 진로를 따라 연장되어 광화이버가 지지되게 착설되는 중앙공을 가지며 제1공작물이 제2공작물과의 선택된 신축조립시에 광화이버를 기계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상기 고정수단이 제2공작물과 신축가능하게 결합토록 배향된 제1공작물을 고정하며, 상기 고정수단에 고정된 제1공작물과 부분적으로 신축가능하게 조립된 제2공작물을 이동 및 복귀가능하게 결합하고 두 공작물의 신축결합조립을 위하여 상기 고정수단에 고정된 제1공작물에 대하여 상기 진로를 따라 부분적으로 신축가능하게 조립된 제2공작물을 이동시켜 제1공작물의 중앙공에 광화이버를 고정하기 위한 구동수단이 구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수단은 공작물의 상대이동을 위하여 선택된 최대값의 힘을 제공토록 배설된 구동부재를 포함하여 공작물의 상기 상대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기 결합중에 상기 진로에 대하여 상기 고정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을 선택된 위치에 배치되게 하는 수단이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조립장치.
  2.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이 상기 신축이동시 선택된 일정상 한값을 갖는 힘으로 상기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된 제1공작물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신축가능하게 조립된 제2공작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이 선택된 최대값에 이르렀다가 그 이하의 값으로 자동해제되는 힘으로 상기 고정수단에 고정된 제1공작물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신축가능하게 조립된 제2공작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이 선택된 최대값으로부터 그 이하의 값으로 상기 힘을 해제하기 위한 힘-해제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청구범위 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이 상기 힘을 발생하여 이 힘의 값에 해당하는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탄력작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힘해제수단은 상기 힘을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탄력작용수단의 선택된 이동에 응답하는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청구범위 4항에 있어서, 상기 힘해제수단이 힘을 가하는 상태와 힘을 해제하는 상태에 놓일 수 있고 힘을 가하는 상태로부터 힘을 해제하는 상태로 이동하는 폴이동작용을 갖도록 배설된 폴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광화이버단말부가 제1 및 제2공작물에 착설되고 상기 진로를 따라 착설된 광화이버의 둘레에 배치된 압축부재를 가지고 공작물이 완전히 신축조립시에 광화이버에 고정결합토록 압축부재를 압축하여 상기 구동부재가 압축부재에 제한된 압축력만을 가하는 최대값의 상기 힘을 발생하기 위한 힘제한 수단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1 및 제2공작물을 갖는 광화이버 단말부를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진로를 따라 선택된 위치에 고정수단에 의하여 제1공작물을 이동 및 복귀 가능하게 고정하는 단계로 구성되고 제1공작물은 상기 진로를 따라 연장되어 광화이버가 지지되게 착설되는 중앙공을 가지며 제1공작물이 제2공작물과의 선택된 신축조립시에 광화이버를 기계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상기 고정수단이 제2공작물과 신축가능하게 결합토록 배향된 제1공작물을 고정하여 구동수단에 의하여 상기 고정수단에 고정된 제1공작물과 부분적으로 신축가능하게 조립된 제2공작물을 이동 및 복귀가능하게 결합하여 두 공작물의 상기 고정수단에 고정된 제1공작물에 대하여 상기 진로를 따라 부분적으로 신축조립된 제2공작물을 이동시켜 제1공작물의 중앙공에 광화이버를 고정하는 단계, 공작물의 상기 상대이동을 위하여 선택된 최대값의 힘을 제공하는 단계와, 공작물의 상기 상대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기 결합과정중에 상기 진로에 대하여 상기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을 선택된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조립방법.
  9. 청구범위 8항에 있어서, 광화이버단말부가 제1 및 제2공작물에 착설되고 상기 진로를 따라 착설된 광화이버의 둘레에 배치된 압축부재를 가지고 공작물이 완전한 신축조립시 광화이버와 결합되게 압축부재를 압축하며 상기 결합 및 힘제공단계가 압축부재에 제한된 압축력을 가하는 최대값을 갖는 상기 힘을 발생하기 위한 힘제한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청구범위 9항에 있어서, 상기 힘제한단계가 상시 선택된 최대값에 이르렀을 때에 그 이하의 값으로 상기 힘을 해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10701590A 1990-03-13 1991-03-11 코넥터 조립방법과 장치 KR01699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57,676 1976-02-12
US657676 1984-10-04
US492933 1990-03-13
US07/492,933 US5102211A (en) 1990-01-22 1990-03-13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or assembly
US07/657,676 US5113474A (en) 1990-03-13 1991-02-19 Method and apparatus for mechanical connector assembly
US492,933 1991-02-19
PCT/US1991/001626 WO1991014191A2 (en) 1990-03-13 1991-03-11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or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1845A KR920701845A (ko) 1992-08-12
KR0169947B1 true KR0169947B1 (ko) 1999-05-01

Family

ID=27050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701590A KR0169947B1 (ko) 1990-03-13 1991-03-11 코넥터 조립방법과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113474A (ko)
EP (1) EP0471838B1 (ko)
JP (1) JP2987641B2 (ko)
KR (1) KR0169947B1 (ko)
AT (1) ATE153143T1 (ko)
CA (1) CA2055488A1 (ko)
DE (1) DE69126074T2 (ko)
WO (1) WO199101419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882B1 (ko) * 1992-12-29 1995-05-15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광섬유 결선용 광커넥터의 저접속 손실을 위한 조립시스템의 회전 및 정렬장치
US5381500A (en) * 1993-10-12 1995-01-10 The Whitaker Corporation Metal insert and buffer retention plunger
US5414790A (en) * 1993-11-09 1995-05-0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ctuation tool and cap for fiber optic connector
US5455880A (en) * 1993-12-01 1995-10-03 Spectran Specialty Optics Co. Optical fiber cable connector assembly
US5563974A (en) * 1994-12-30 1996-10-0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ool for connector with cleaved optical fiber
US5934137A (en) * 1998-05-08 1999-08-10 Capewell Components Company Compression assembly tool
US6112404A (en) * 1998-07-07 2000-09-05 Capewell Components Company, Llc Radial taper tool for compressing electrical connectors
US6340249B1 (en) 1999-09-13 2002-01-22 Alcoa Fujikura Limited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securing fiber optic cable to connector
US6439780B1 (en) * 2000-08-31 2002-08-27 Corning Cable Systems Llc Field-installable fiber optic ribbon connector and installation tool
US6808416B2 (en) 2002-04-04 2004-10-26 Yazaki North America, Inc. Coaxial cable connector
US6820326B1 (en) 2002-10-05 2004-11-23 Capewell Components Company, Llc Compression assembly tool with multiple split bases
US7210327B1 (en) 2004-12-08 2007-05-01 Capewell Components Company, Llc Reduced actuation force compression assembly tool
US7466891B2 (en) * 2006-06-13 2008-12-16 Panduit Corp. Activation tool for a fiber optic connector
WO2008150978A2 (en) * 2007-06-01 2008-12-11 The Siemon Company Termination tool with longitudinal and transverse crimping capabilities
JP6426145B2 (ja) 2013-03-21 2018-11-21 コーニング リサーチ アンド ディヴェロップメント コーポレイション 外被付きケーブル用光コネクタ
JP5952326B2 (ja) * 2013-06-28 2016-07-13 Toto株式会社 光レセプタクル
CN110646895B (zh) * 2014-12-26 2021-12-28 阿卡西亚通信有限公司 光插座及光收发器
CN104777582B (zh) * 2015-04-22 2017-10-20 杭州无创光电有限公司 一种光纤镜位移补偿器
US10663679B2 (en) 2016-09-20 2020-05-26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Assembly tool and optical fiber connector assembly method
WO2022219834A1 (ja) * 2021-04-16 2022-10-20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の製造工具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84891B2 (en) * 1984-04-19 1989-06-08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Optical fiber material having optical fiber tightly held by wrapping material
US4834488A (en) * 1985-10-07 1989-05-30 Lee Ho Shang Fiberoptic switch
US4840450A (en) * 1988-02-03 1989-06-20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optical fiber end positioning for laser injection
FR2629925B1 (fr) * 1988-04-11 1992-02-07 Cabloptic Sa Embout porte-filtre optique et procede pour immobiliser une fibre optique dans un tel embout
US4941727A (en) * 1988-08-05 1990-07-17 Hughes Aircraft Company Crimpable fiber optic terminus
US4946247A (en) * 1988-09-29 1990-08-07 Fibercom, Inc. Fiber optic bypass switch
US4856186A (en) * 1988-11-04 1989-08-15 Amp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ation of crimp height
US4958900A (en) * 1989-03-27 1990-09-25 General Electric Company Multi-fiber holder for output coupler and methods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153143T1 (de) 1997-05-15
EP0471838A1 (en) 1992-02-26
JPH06501562A (ja) 1994-02-17
DE69126074D1 (de) 1997-06-19
CA2055488A1 (en) 1991-09-14
WO1991014191A3 (en) 1991-10-31
WO1991014191A2 (en) 1991-09-19
US5113474A (en) 1992-05-12
KR920701845A (ko) 1992-08-12
EP0471838B1 (en) 1997-05-14
JP2987641B2 (ja) 1999-12-06
DE69126074T2 (de) 1997-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9947B1 (ko) 코넥터 조립방법과 장치
US5943460A (en) Adhesiveless fiber optic connector, and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erminating a fiber optic cable to an adhesiveless fiber optic connector
DE60125292T2 (de) Ein im Feld montierbarer faseroptischer Bandkabelstecker und Installationswerkzeug
US5732175A (en) Connecting system for fiber optic termination
US508880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rminating a fiber-optic cable without adhesive
US5142602A (en) Fiber optic connectors
US4435038A (en) Connector for use in butt splicing two optical fibres
US5414790A (en) Actuation tool and cap for fiber optic connector
GB1602587A (en) Connector for sumultaneous end-to-end connection of groups of seven optical fibres
US5668904A (en) Fiber optic cable connector apparatus and method
WO1998036304A9 (en) Adhesiveless fiber optic connector and an apparatus for terminating fiber optic cable to an adhesiveless connector
US4964690A (en) Pin-and-socket connector for light wave conductors
US520888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rminating a fiber-optic cable without adhesive
US4416506A (en) Apparatus for splicing fiber optic waveguides
GB2113866A (en) Opical fibre connector having double diameter rods
JPH03503687A (ja) 光ファイバ・ジョーコネクタ
US510221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or assembly
US4718745A (en) Optical fiber connector
US4005522A (en) Method of connecting two optical fibres in end to end relationship
JPH0475483B2 (ko)
JPH02236509A (ja) 光ファイバ組付方法及び組付装置
US4004446A (en) Tool for preforming a section of a tubular connector
JP2593551B2 (ja) 多心光ファイバ一括接続用コネクタ
JPS63271404A (ja) 光コネクタの切替え方法及び切替え装置
JPS61252510A (ja) 光フアイバ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