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9946B1 - 코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및 에틸렌과 에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의 블렌드로 만들어진 개질된 엘라스토머 조성물 - Google Patents

코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및 에틸렌과 에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의 블렌드로 만들어진 개질된 엘라스토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9946B1
KR0169946B1 KR1019980025206A KR19980025206A KR0169946B1 KR 0169946 B1 KR0169946 B1 KR 0169946B1 KR 1019980025206 A KR1019980025206 A KR 1019980025206A KR 19980025206 A KR19980025206 A KR 19980025206A KR 0169946 B1 KR0169946 B1 KR 0169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divalent radical
copolyester
ethylene
ethyl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5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디이 골더 마이클
Original Assignee
윌리엄 비이 해리스
획스트 세라니이즈 코오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7/350,232 external-priority patent/US5039744A/en
Application filed by 윌리엄 비이 해리스, 획스트 세라니이즈 코오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윌리엄 비이 해리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9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9946B1/ko

Links

Landscapes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바람직하게는 폴리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같은 다른 열가소성 중합체로 더 개질된 단편화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공중합체 및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블렌드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코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및 에틸렌과 에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의 블렌드로 만들어진 개질된 엘라스토머 조성물
본 발명은 개질된 열가소성 코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에 관한 것이다.
단편화된 열가소성 코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는 장쇄 글리콜 및 프탈산으로부터 유도되는 장쇄 에스테르 단위 및 단쇄 글리콜 및 프탈산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쇄 에스테르 단위의 반복 중합체를 포함하며, 미국 특허 제 3,651,014호, 제 3,763,109호 및 제 4,355,155호와 같은 특허에 기술되어 있다.
단편화된 열가소성 코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는, 다른 조성물과 블렌딩되어 특수목적 용도를 위해 그들의 성질이 개질된다.
예를 들어, 단편화된 열가소성 코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는 저분자량 에폭사이드와 블렌딩되어, 미국 특허 제 3,723,568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용융 안전성이 개선되었다.
단편화된 열가소성 코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는, 미국 특허 제 3,963,801호 및 제 4,010,222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와 블렌딩되어 용융 강도 및 블로우 성형 가공성이 개선되었다.
미국 특허 제 4,247,427호는 단편화된 열가소성 코폴리에스테르 및 저 분자량 중합체의 블렌드로부터 만들어지는 고온 용융 접착제 조성물을 기술한다.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모던 플라스틱스 인사이클로피디어(Mordern Plastics Encylopedia)에 폴리올레핀 중 가장 약하고, 가장 유연한 것으로서 기술되었다. 이들 공중합체는 다른 폴리올레핀류, 예컨대, 저 밀도 폴리에틸렌과 종종 블렌딩되어, 두 중합체의 많은 최상의 성질을 갖는 중간-탄성생성물을 생성한다.
높은 내충격성 중합체 블랜드는, 미국 특허 제 3,578,729호 및 제 3,591,659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선형의 포화 폴리에스테르와 혼합된 에틸렌-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로부터 만들어진다.
미국 특허 제 3,937,757호에는 개선된 내 트래킹성을 갖는 성형 조성물이 기술되어 있으며, 그러한 조성물은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올레핀과 폴리 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블렌드이다.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블렌드를 기술하는 다른 특허로는 미국 특허 제3,953,394호 및 제 4,324,869호가 있다.
연구 및 개발 노력은, 개선된 성질 및 경제적 이점을 갖는 중합체 블렌드를 개발하는 것에 대해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은 열가소성 코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가지 양상에 있어서, 본 발명은 열가소성 코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및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블렌드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 본 발명은 다른 열가소성 중합체로 더 개질된 열가소성 코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및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블렌드를 포괄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A) 약 50 내지 약 95중량%의 단편화된 열가소성 코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및 (B) 20 내지 30 중량% 에틸 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정상적으로 고형 공중합체인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약 5 내지 약 50중량%로 구성되며, 이때, 상기 중량%는 (A) 및 (B)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단편화된 열가소성 코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는 에스테르 결합을 통해 꼬리에 머리가 연결된 다수의 반복 단쇄 에스테르 단위 및 장쇄 에스테르 단위로 구성된다.
장쇄 에스테르 단위는 하기 구조식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또는
단쇄 에스테르 단위는 하기 구조식 중 적어도 하나로 나타내어진다.
상기식들에는, G는 약 400이상의 분자량 및 약 55℃ 이하의 융점을 갖는 장쇄 중합체 글리콜로부터 말단 히드록실기를 제거한 후에 남아 있는 이가 라디칼이고; R1은 테레프탈산으로부터 카르복시기를 제거한 후 남아 있는 이가 라디칼이고, R2는 이소프탈산으로부터 카르복실기를 제거한 후 남아 있는 이가 라디칼이다.
D1은 1,4-부탄디올로부터 히드록실기를 제거한 후 남아 있는 이가 라디칼이고, D2는 1,4-부텐디올로부터 히드록실기를 제거한 후 남아있는 이가 라디칼이다.
열가소성 코폴리에스테르 내 단쇄 에스테르 단위는 상기 코폴리에스테르의 약 25내지 약 95중량%를 제공한다.
코폴리에스테르 내 단쇄 에스테르 단위의 약 50내지 약 100중량%가 동일하다.
본 발명의 단편화된 열가소성 코폴리에스테르, 에틸렌 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블렌드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메틸 메타크릴레에트-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같은 세번째 성분을 첨가시켜서 더 개질시킬 수 있다.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블렌드르 가소화하여 일정하거나 증가된 용융흐름 및 감소된 굴곡 탄성율을 초래한다.
다른 개질제를 첨가하면 블렌드의 내 충격성, 유연성이 모두 개선된다.
본 발명에 유용한 열가소성 코폴리에스테를 엘라스토머는, 미국 특허 제 3,651,014호 및 제 4,355,155호에 상세히 기술된다.
열가소성 코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중합체 쇄 내 단위에 적용되는 용어 장쇄 에스테르 단위는 디카르복실산과 장쇄 글리콜의 반응 생성물을 말한다.
상기 장쇄 에스테르 단위는 상기(a) 및 (b)로 확인된 구조물에 해당한다.
장쇄 글리콜은 말단(또는 가능한한 거의 말단) 히드록시기 및 약 400 이상 및 약 600 내지 약 6,000의 분자량을 갖는 중합체 글리콜이다.
일반적으로, 코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쇄 글리콜은, 폴리(옥시알킬렌)글로콜 또는 폴리(옥시 알킬렌)글리콜 및 디카르복실산의 글리콜 에스테르이다.
중합체 쇄 내 단위에 적용되는 용어 단쇄 에스테르 단위 는 약 550이하의 분자량을 갖는 중합체 쇄 단위 또는 저 분자량 화합물을 말한다.
이들은 저 분자량 디올(약 250이하 분자량)과 디카르복실산을 반응시켜 상기(c), (d), (e) 및 (f)로서 확인된 구조물에 해당하는 반복 단위를 형성함으로써 제조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디카르복실산은 디카르복실산의 축합 중합 등가물, 즉, 그들의 에스테르 또는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 예컨대, 산 염화물, 무수물 또는 글리콜과의 중합 반응에서 디카르복실산과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작용하는 기타 유도체를 포함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코폴리에스테르는 서로 다른 (a) 하나 이상의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들의 등가물, (b) 하나 이상의 장쇄 글리콜 및 (c) 하나 이상의 저 분자량 디올을 중합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중합반응은 통상적인 절차에 의해, 예컨대 벌크로 또는 하나 이상의 단량체를 용해시키는 용매 매질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코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디카르복실산은 약 300미만의 분자량을 갖는다.
이들은 방향족, 지방족 또는 지환족일 수 있다.
이들 디카르복실산은 중합 반응을 간섭하지 않는 임의 치환기를 함유할 수 있다.
유용한 디카르복실산의 예로는, 오르토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이벤조산, 비스(p-카르복시페닐)메탄, p-옥시(p-카르복실페닐)벤조산, 에틸렌 비스(p-옥시벤조산)1,5-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2,7-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페난트랄렌 디카르복실산, 4,4-설포닐 이 벤조산 등 뿐아니라, C1-C10알킬 및 그들의 다른 고리 치환 유도체, 예컨대 할로, 알콕시 또는 아릴 유도체가 있다.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이 존재한다면, 히드록시산, 예컨대 p(베타-히드록시에톡시)벤조산이 사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유용한 디카르복실산은 세바크산, 1,3-또는 1,4-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아디프산, 글루타르산, 숙신산, 옥살산, 아젤라산, 푸마르산, 4-시클로헥센-1,2-디카르복실산, 피멜산, 수베르산, 2,2,3,3-테트라메틸숙신산 등이 있다.
바람직한 디카르복실산은 8 내지 16개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방향족,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및 아디프산이다.
특히 바람직한 디카르복실산은 테레프탈산 및 아소프탈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혼합물의 약 1 내지 약 20중량%가 이소프탈산이 테레프탈산과 이소프탈산의 혼합물은 보다 낮은 굴곡 탄성율의 화합물이 요구될 때 사용된다.
코폴리에스테르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쇄 글리콜은 약 400 내지 약 6,000의 분자량, 약 55℃ 이하의 융점 및 2.0과 같거나 그 보다 큰 산소에 대한 탄소의 비율을 갖는다.
유용한 장쇄 글리콜은 알칼렌기가 2 내지 10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에틸렌 옥사이드, 1,2-알킬렌 옥사이드, 1,2-부틸렌 옥사이드 및 1,2-헥실렌 옥사이드와 같은 1,2-알킬렌 옥사이드로부터 유도된 것들을 포함한다.
다른 유용한 장쇄 글리콜은 에틸렌 옥사이드와 1,2-프로필렌 옥사이드의 랜덤 또는 블럭 공중합체이다.
바람직한 장쇄 글리콜은 테트라히드로푸란으로부터 유도된 포릴(옥시 테트라메틸렌)글리콜이다.
특히 바람직한 장쇄 글리콜은 약 1000의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글리콜이다.
코폴리에스테르의 단쇄 에스테르 단위를 형성하기 위해 반응하는 유용한 저 분자량 디올은,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4-부탄디올, 1,4-부텐디올, 1,6-헥사메틸렌 글리콜, 디히드록시시클로헥산, 시클로헥산 디메탄올, 레조르시놀, 히드로퀴논, 1,5-디히드록시 나프탈렌, 비스페놀A 등과 같은 디올을 포함한다.
디올의 등가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 예컨대, 에틸렌 옥사이드 또는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도 유용하다.
바람직한 디올로는 1,4-부탄디올 및 1,4-부텐디올 또는 그 둘의 혼합물이 있다
그러한 바람직한 혼합물은, 혼합물의 약 10-약4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0내지 약 30중량%가 1,4-부텐디올인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를 생성하는데 있어서, 단일 장쇄 글리콜 또는 글리콜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글리콜의 혼합물이 사용될 경우, 중합체 쇄내에 하나 이상의 G 단위가 존재할 것이며, 상이한 장쇄 단위의 수가 비례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도, 장쇄 글리콜은 적어도 하나의 저분자량 디올 및 적어도 하나의 디카르복실산과 반응하여, 장쇄 및 단쇄 에스테르 단위가 에스테르 결합을 통해 머리-꼬리가 연결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를 형성한다.
단일 저 분자량 디올 대신에 그런 디올이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고, 단일 장쇄 글리콜 대신에 그런 화합물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단일 저 분자량 디카르복실산 대신에 두 개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나타낸 구조식에서 문자 G는 단일 장쇄 글리콜의 잔기 도는 여러가지 다른 글리콜의 잔기를 나타내고, 문자 D1및 D2는 하나 또는 여러가지 저 분자량 디올의 잔기를 나타내며, 문자 R1 및 R2는 하나 또는 여러가지 디카르복실산의 잔기를 나타낼 수 있다.
단쇄 에스테르 단위는 단일 저 분자량 디올과 단일 저 분자량 디카르복실산의 반응 생성물이며, 코폴리에스테르의 약 25 내지 약 95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45 내지 약 65중량%를 공헌해야 하며, 총 단쇄 에스테르 단위의 약 50 내지 약 100중량%가 동일한 것이 중요하다.
보통은 이들 단위는 중합체 주쇄 전반에 걸쳐 통계적으로 분포된다.
코폴리에스테르 약 150 내지 약 260℃, 바람직하게는 약 225 내지 약 260℃에서, 잘 공지된 축합 중합 조건 하에서, 상기 성분들로부터 제조된다.
보통, 본 발명에서 유용한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23℃에서 약 0.91 내지 약 0.94gm/cc의 밀도를 갖고, 에틸 아크릴레이트 약 2 내지 약 30중량%를 함유하는 에틸렌과 에틸아크릴레이트의 고형 공중합체이다.
미국 특허 제 2,953,541호는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상세히 기술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A) 단편화된 열가소성 코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약 50 내지 약 95중량% 및 (B) 에틸 아크릴레이트 2 내지 30 중량%를 함유하는 정상적으로 고형 공중합체인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블렌드 약 5 내지 약 50중량%로 만들어지며, 이때 상기 중량%는 (A) 및 (B) 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세번째 성분, 예컨대 아크릴 중합체로 개질될 수 있다.
단편화된 열가소성 코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및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블렌드의 약 30중량% 이하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대체될 수 있다.
단편화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공중합체 및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블렌드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바람직하게는 단독 또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함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개질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및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블렌드 내 단편화된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약 85중량% 이하가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 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혼합물로 대체될 수 있으며, 단편화된 열가소성 엘라스트머 및 폴리 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양은 블렌드의 50중량% 이상이며, 총 조성물의 적어도 15중량%는 단편화된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과립 또는 분말 형태의 중합체 성분은 텀블 블렌딩된 후, 단일 스크루우 또는 이중 스크루 압출기 상에서 용융화합된다.
그후, 블렌드는 시험 견본으로 사출성형된다.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부 및 퍼센트(%)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중량부 및 중량%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코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물리적 성질 및 조성 자료는 하기한 바와 같다.
코폴리 에스테르는 경질의 단편 내에 1,4-부텐디올(B2D) 및 1,4-부탄디올(B1D)을 몰비 B2D/(B1D + B2D) = 0.25로 함유한다.
[실시예 1]
표 1 내 기술된 코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A를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바케리트 에틸렌 코폴리머 DPDA-6182 내츄럴-유니온 카바이드 코오포레이션)와 텀블 블렌딩시키고, 215.6℃(420℉), 200RPM에서 이중 스크루우 압출기 상에서 용융 화합시키고, 215.6℃에서 시험 바아로 사출 성형 시켰다.
용융 흐름 속도 값(MFR)을 ASTM-D-1238에 따라 측정했으며, 굴곡 탄성율을 ASTM D 790에 따라 측정했다.
이들 시험의 결과를 하기 표에 기록했다.
이러한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는 것처럼,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코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를 가소화시켜, 일정하거나 증가된 용융 흐름 및 감소된 굴곡 탄성율을 초래한다.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설린(Surlyn), 듀폰트로부터 중화된 에틸렌-아크릴 산 공중합체에 의해 대체된 조성물은(미국 특허 제 3,963,801호에 기술됨), 높은 용융 점도를 갖거나 전혀 가소화되지 않은 블렌드를 생성시킨다.
[실시예 2]
용융 화합의 온도가 249℃(480℉)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 기술된 절차를 사용하여, 표 1에 기술된 코폴리에스테르 A 및 B, 실시예 1에 기술된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EA), 및 0.75의 고유 점도를 갖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로부터 성형 조성물을 제조했다.
조성 자료 및 시험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ASTM D-256에 따라 노치드 이조드 충격 시험을 수행했다.
본 실시예에 의해 예증된 대로 EEA는 두 일정한 코폴리에스테르/PBT비율(예컨대 2A 대 2B 대 2E 및 2C 대 2D) 및 PBT/(EFA + 코폴리에스테르)비율(예컨대 2B 대 2C 대 2E)에서 조성물을 유연하게 만든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기술된 절차를 사용하여 표 1에 기술된 코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A, 실시예 2에 기술된 PBT, 실시예 1에 기술된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PMMA) (플랙시클라스 (Plexiglas)WM100 롬 앤드 하드 캄파니)로부터 성형 조성물을 제조했다.
조성 자료 및 시험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또한 코폴리에스테르 A, PMMA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고무질 아크릴레이트 코어 및 단단한 쉘을 갖는 코어-쉘 개질제 KM 330-롬 앤드 하드 캄파니로부터 성형 조성물을 제조했다.
이들 실시예들은 코폴리에스테르 및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 폴리메틸메타크릴리에트를 부가함에 의해 얻은 내충격성에 있어서의 향상을 예증하고 있다.
실시예 3E와 비교된 실시예 3C 는 코어-쉘 충격 개질제가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대치되는 경우 얻어진 내충격성의 향상을 나타내고 있다.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쉘을 갖는 코어-쉘 개질제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 보다 적합한 것이므로 보다 높은 내충격성을 초래한다고 기대될 것이다.
[실시예 4]
실시예 2에 기술된 절차를 사용하여, 표 1 에 기술된 코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A, 실시예 2에 기술된 포릴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실시예 1에 기술된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미국 특허 제 4,304,709호에 기술된 대로 제조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MBS)-칸 에이스(Kane Ace) B-56(카네가푸쉬 캐미컬 인더스트리 Co.) 및 메타브렌 C-223(MT 케미컬)으로부터 성형 조성물을 제조했다.
조성 자료 및 시험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이들 실시예들은 충분한 양의 코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가 블렌드 내에 있다면 낮은 굴고 탄성율을 갖는 내충격성 조성물이 얻어질 수 있다고 나타낸다.
[실시예 5]
실시예 2에 기술된 절차를 사용하여, 실시예 A에 기술된 코폴리에스테르A, 실시예 2에 기술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실시예 1의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실시예 4의 MBS 중합체(메타브렌)로부터 성형 조성물을 제조했다.
조성 자료 및 시험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유용한 탄성중합체인 물질에 있어서, 파단시 그 인장 연신율은 적어도 200% 여야만 한다.
표 6에 나타난 자료로부터 볼 수 있는 것처럼, 코폴리에스테르 농도가 15%보다 작은 경우, 파단시 열등한 연신율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원칙, 바람직한 실시 양태 및 작용 방식은 상기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여기서 보호하고자 하는 본 발명은 한정하는게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공개된 특별한 형태로 제한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취지 및 영역에서 벗어나는 일없이 당업자들에 의해 변경 및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Claims (5)

  1. (A) 에스테르 결합을 통해 꼬리에 머리가 연결된 다수의 반복 장쇄 에스테르 단위 및 단쇄 에스테르 단위로 구성된 단편화된 열가소성 코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50 내지 95중량%; 및 (B) 20 내지 30중량%의 에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고형 공중합체인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5 내지 50중량%로 구성되며, 이때 상기 중량%는 (A) 및 (B)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며, 상기 장쇄 단위는 하기 구조식 중 하나 이상으로 나타내어지고:
    상기 단쇄 에스테르 단위는 하기 구조식 중 하나 이상으로 나타내어 지며;
    (상기 식들에서, G는 400 이상의 분자량 및 55℃ 이하의 융점을 가지는 장쇄 중합체 글리콜로부터 말단 히드록실기를 제거한 후에 남아 있는 이가 라디칼이고; R1은 테레프탈산으로부터 카르복실기를 제거한 후 남아있는 이가 라디칼이고; R2는 이소프탈산으로부터 카르복실시를 제거한 후 남아있는 이가 라디칼이고, D1은 1,4-부탄디올로부터 히드록실기를 제거한 후 남아 있는 이가 라디칼이고, D2는 1,4-부텐디올로부터 히드록실기를 제거한 후 남아 있는 이가 라디칼이다.) 상기 단쇄 단편의 양은 코폴리에스테르의 25 내지 95중량%이며, 단쇄 에스테르 단위의 50내지 100중량%가 동일한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에 있어서, (A)와 (B)의 혼합물의 30중량% 이하가, 같은 중량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대체되는 조성물.
  2. (A) 에스테르 결합을 통해 꼬리에 머리가 연결된 다수의 반복 장쇄 에스테르 단위 및 단쇄 에스테르 단위로 구성된 단편화된 열가소성 코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50 내지 95중량% 및 (B) 20 내지 30중량%의 에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고형 공중합체인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5 내지 50중량%로 구성되며, 이때 상기 중량%는 (A) 및 (B)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며, 상기 장쇄 단위는 하기 구조식 중 하나 이상으로 나타내어지고:
    상기 단쇄 에스테르 단위는 하기 구조식 중 하나 이상으로 나타내어 지며;
    (상기 식들에서, G 는 400이상의 분자량 및 55℃ 이하의 융점을 가지는 장쇄 중합체 글리콜로부터 말단 히드록실기를 제거한 후에 남아 있는 이가 라디칼이고; R1은 테레프탈산으로부터 카르복실기를 제거한 후 남아있는 이가 라디칼이고, R2는 이소프탈산으로부터 카르복실기를 제거한 후 남아있는 이가 라디칼이고, D1은 1,4-부탄디올로부터 히드록실기를 제거한 후 남아 있는 이가 라디칼이고, D2는 1,4-부텐디올로부터 히드록실기를 제거한 후 남아 있는 이가 라디칼이다.) 상기 단쇄 단편의 양은 코폴리에스테르의 25 내지 95중량%이며, 단쇄 에스테르 단위의 50 내지 100중량%가 동일한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에 있어서, 단편화된 코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85중량% 이하가, 폴리알킬렌 테레프탄레이트로 대체되는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인 조성물.
  4. (A) 에스테르 결합을 통해 꼬리에 머리가 연결된 다수의 반복 장쇄 에스테르 단위 및 단쇄 에스테르 단위로 구성된 단편화된 열가소성 코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50 내지 95중량%; 및 (B) 20 내지 30중량%의 에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고형 공중합체인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5 내지 50중량%로 구성되며, 이때 상기 중량%는 (A) 및 (B)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며, 상기 장쇄 단위는 하기 구조식 중 하나 이상으로 나타내어지고;
    상기 단쇄 에스테르 단위는 하기 구조식 중 하나 이상으로 나타내어 지며;
    (상기 식들에서 G는 400이상의 분자량 및 55℃ 이하의 융점을 가지는 장쇄 중합체 글리콜로부터 말단 히드록실기를 제거한 후에 남아 있는 이가 라디칼이고; R1은 테레프탈산으로부터 카르복실기를 제거한 후 남아 있는 이가 라디칼이고, R2는 이소프탈산으로부터 카르복실기를 제거한 후 남아 있는 이가 라디칼이고; D1은 1,4-부탄디올로부터 히드록실기를 제거한 후 남아 있는 이가 라디칼이고, D2는 1,4-부텐디올로부터 히드록실기를 제거한 후 남아 있는 이가 라디칼이다.) 상기 단쇄 단편의 양은 코폴리에스테르의 25 내지 95중량%이며, 단쇄 에스테르 단위의 50 내지 100중량%가 동일한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에 있어서, 단편화된 코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85중량% 이하가 포릴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로 대체되며, 단편화된 코폴리에스테르 에랄스토머 및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양이 총 블렌드의 50중량% 이상이고 총 조성물의 15중량% 이상이 코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인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인 조성물.
KR1019980025206A 1989-05-11 1998-06-30 코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및 에틸렌과 에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의 블렌드로 만들어진 개질된 엘라스토머 조성물 KR01699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350,232 US5039744A (en) 1989-05-11 1989-05-11 Elastomer compositions made from blends of copolyester elastomers and copolymers of ethylene and ethyl acrylate
US350,232 1989-05-11
KR1019900006628A KR0169724B1 (ko) 1989-05-11 1990-05-10 코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및 에틸렌과 에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의 블렌드로 만들어진 엘라스토머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6628A Division KR0169724B1 (ko) 1989-05-11 1990-05-10 코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및 에틸렌과 에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의 블렌드로 만들어진 엘라스토머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69946B1 true KR0169946B1 (ko) 1999-03-30

Family

ID=26628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5206A KR0169946B1 (ko) 1989-05-11 1998-06-30 코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및 에틸렌과 에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의 블렌드로 만들어진 개질된 엘라스토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994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6692A (en) High strength, reduced heat distortion temperature thermoplastic composition
EP0268287A2 (en) Polyester resin composition
EP0111810A2 (en) High strength, reduced heat distortion temperature thermoplastic composition
CA1109179A (en)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
EP0235871A2 (en) Polyester compositions
JPH05194829A (ja) 改良耐衝撃性をもつ耐溶剤性ポリカーボネート−ポリエステルブレンド
JPH0449579B2 (ko)
JPS63258946A (ja) ポリエステルをベ−スとする耐衝撃性組成物およびその製法
KR0169724B1 (ko) 코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및 에틸렌과 에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의 블렌드로 만들어진 엘라스토머 조성물
US5349007A (en) Lightweight thermoplastic polyester molding compositions, methods of making the same and molded articles formed thereof
US5218043A (en) Polyarylene sulfide resin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920004813B1 (ko)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0169946B1 (ko) 코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및 에틸렌과 에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의 블렌드로 만들어진 개질된 엘라스토머 조성물
JP7183536B2 (ja) ポリエステルエラストマーを溶着する成形体用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複合成形体
JPH0585581B2 (ko)
JPH0232143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5179163A (en) Elastomer compositions made from blends of copolyester elastomers and copolymers of ethylene and ethyl acrylate
JPS61252268A (ja) ポリカ−ボネ−ト組成物
JPH02272059A (ja)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ポリエステル及び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を含むポリマー混合物及びそれから成形された物品
JPH0629362B2 (ja) ポリエ−テルエステルブロツク共重合体成形用組成物
JP6911382B2 (ja) ポリエステルエラストマーを溶着する成形体用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複合成形体
EP0397491A2 (en) Blends of copolyester elastomers and chlorinated polyethylene
JPH07188523A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2013529247A (ja)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エラストマー組成物
JP7074055B2 (ja) ポリエステルエラストマーを溶着する成形体用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複合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