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9905B1 - 비동기식 전송모드 가상 채널 교환기의 호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비동기식 전송모드 가상 채널 교환기의 호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9905B1
KR0169905B1 KR1019960034664A KR19960034664A KR0169905B1 KR 0169905 B1 KR0169905 B1 KR 0169905B1 KR 1019960034664 A KR1019960034664 A KR 1019960034664A KR 19960034664 A KR19960034664 A KR 19960034664A KR 0169905 B1 KR0169905 B1 KR 0169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reference value
call reference
crv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4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5367A (ko
Inventor
김응하
오문균
Original Assignee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준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준,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60034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9905B1/ko
Publication of KR19980015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5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9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99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74Address processing for routing
    • H04L45/745Address table lookup; Address filt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25Routing or path finding in a switch fabric
    • H04L49/256Routing or path finding in ATM switching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가상 채널(VC) 교환기에서의 호(Call)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교환기내에 임의대로 순서없이 들어오는 발신호를 유일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하고, 발신호의 정보를 발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내에 최적의 방법으로 저장하고, 이 정보를 신속하게 탐색하고 삭제시킴으로써 실질적으로 발신호에 대한 처리 시간을 줄일 수가 있고, 착신호에 대한 호 참조 값(CRV) 할당 방식을 통해서 착신호를 유일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해서, 이 정보를 신속하게 탐색하고 삭제시킴으로써 실질적으로 착신호에 대한 처리 시간을 줄여 궁극적으로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가상 채널(VC) 교환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가상 채널(VC) 교환기의 호(Call) 관리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가상 채널(VC) 교환기 시스템의 구조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가상 채널(VC) 교환기의 관련 블럭간의 구성 및 메시지 흐름의 구성도.
제3a 내지 제3g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가상 채널(VC) 교환기의 호 관리 기능에 대한 전체적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 : 제1, 제2비동기식 전송모드 국부교환 부속시스템(ALS)
110,210 : 제1, 제2인터페이스 모듈(IM)
111,211 : 제1, 제2인터페이스 모듈 제어기능(IMCF)
120,220 : 제1, 제2호 연결제어 처리기(CCCP)
121,221 : 제1, 제2사용자 프로토콜 접속함수(UPIF)
122,222 : 제1, 제2사용자 프로토콜 제어함수(UPCF)
123,223 : 제1, 제2스위치 연결자원 처리기능(SLRHF)
124,224 : 제1, 제2사용자망 인터페이스 연결자원 처리기능(ULRHF)
125,225 : 제1, 제2비동기식 전송모드 국부교환 부속시스템 번호번역기능 (NTLF)
300 : 비동기식 전송모드 중앙교환 부속시스템(ACS)
310 : 연산 유지 처리기(OMP)
311 : 제3비동기식 전송모드 중앙교환 부속시스템 번호번역기능(NTCF)
본 발명은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가상 채널(VC) 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교환기에서의 호(Call)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음성 교환기나 협대역 종합 정보 통신망(Narrow Bandwidth 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N-ISDN) 교환기에서는 각 단말기가 교환기와의 사이에 링크로 일대일로 직접 연결되어 있어 단말기의 가입자 번호와 물리적인 번호가 일대일로 대칭되어 물리적으로 호(Call; 전파 통신에서 송신국을 명확하게 하고, 송신하려는 상대국을 지정하기 위해 행하는 특정한 송신)의 구별이 가능했다.
그러나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가상 채널(VC) 교환기는 호에 대한 트래픽(traffic)의 다중화 효과를 높이기 위해 교환기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링크에 다수의 단말기(terminal)가 연결되어 다수의 호가 설정되도록 구현되어 있다.
그래서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가상 채널(VC) 교환기에서는 단말기의 가입자 번호와 물리적인 번호가 일대일로 대칭이 되지않아 물리적으로 호의 구별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호의 구별을 위하여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가상 채널(VC) 교환기에서는 호 참조 값(CRV:Call Reference Value)을 가지고 각각의 호를 구별하도록 되어 있다.
이 호 참조 값(CRV)은 발신 단말기인 경우에는 단말기 자체에서 호 참조값(CRV)을 생성하여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가상 채널(VC) 교환기에 호 설정 요구를 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착신 단말기인 경우에는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가상 채널(VC) 교환기에서 호 참조 값(CRV)을 생성하여 착신 단말기로 호 설정 요구를 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발신 단말기에서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가상 채널(VC) 교환기로 전송한 호 설정 요구 메시지안에 포함되어 있는 호 참조 값(CRV)만 가지고는 호의 구별이 가능하지가 않다.
그 이유는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가상 채널(VC) 교환기에는 155Mbps를 지원하는 고속 가입자 보드에 연결된 링크는 1개이고, 45Mbps를 지원하는 중속 가입자 보드에 연결된 링크는 3개 그리고 2Mbps를 지원하는 저속 가입자 보드에 연결된 링크는 72개가 있기 때문이다.
이때 호 참조 값(CRV)은 한 링크내에서는 유일(unique)하지만, 다른 링크에도 똑같은 호 참조 값(CRV)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호 참조 값(CRV)만을 가지고는 호를 구별할 수가 없기 때문에 호를 구별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이 필요하였다.
그래서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가상 채널(VC) 교환기에서는 발신 호에 대해서 호 참조 값(CRV) 뿐만 아니라 다른 정보를 추가하여 각 발신 호를 구별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방법이 필요하였다.
또한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가상 채널(VC) 교환기에서 수신한 발신 호의 호 참조 값(CRV)은 일정한 순서대로 들어오는 것이 아니라 임의대로 순서없이 들어오기 때문에 임의대로 순서없이 들어오는 호 참조 값(CRV)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이 절대적으로 필요하였다.
한편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가상 채널(VC) 교환기에서는 착신 호 설정을 위하여 호 참조 값(CRV)을 직접 만들어 할당해 주어야 하는데, 이 호 참조 값(CRV)이 각 호를 구별할 수 있도록 유일하면서도 효율적으로 관리되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가상 채널(VC) 교환기에서는 호를 유일하게 구별해주면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가상 채널(VC) 교환기내에서 임의대로 들어오는 발신 호에 대한 호 참조 값(CRV)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호 관리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실질적인 호 처리 시간을 줄여 교환기의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가상 채널(VC) 교환기에서의 호(Call) 관리방법은, 새로운 호 참조 값(CRV) 삽입시에 호가 해제되어 생긴 빈 공간이 있는 경우에는 그 빈 공간에 삽입하도록 하고, 빈 공간이 없는 경우에는 현재 호 참조 값(CRV)이 저장되어 있는 맨 끝 위치의 바로 다른 위치에 삽입하도록 하는 효율적인 호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발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온 호 설정 메시지는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가상 채널(VC) 교환기의 링크와 가입자 모듈을 거쳐 호 처리 프로세서에서 수행되고 있는 호 처리 프로세스에 전달된다.
하지만 호 처리 프로세스에서는 착신된 호 설정 메시지내의 호 참조 값(CRV)만을 가지고는 그 호와 관련된 가입자 번호를 유일하게 구별할 수가 없다.
그 이유는 한 링크내에서 호 참조 값(CRV)은 유일하지만, 다른 링크내에도 동일한 호 참조 값(CRV)이 존재할 수 있어 호 참조 값(CRV)만 가지고는 유일하게 호를 구별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호 처리 프로세스에서는 호를 구별하기 위하여 호 참조 값(CRV)뿐만 아니라 호 설정 메시지가 전달된 링크번호와, 가입자 모듈 번호, 그리고 물리적인 링크내의 논리적으로 나뉘어진 신호 가상 경로 및 신호 가상 채널을 조합하여 각각의 호를 구별하는 방법이 요구되었다.
그리고 호 참조 값(CRV)들은 일정한 순서대로 들어오는 것이 아니라 임의대로 순서없이 들어온다.
또한 호는 수시로 설정되었다 해제되었다 하기 때문에 임의대로 순서없이 들어오는 호 참조 값(CRV)을 들어오는 순서대로 호 참조 값(CRV) 테이블내에 첫 번째 위치부터 하나씩 삽입을 한다.
그런데 계속해서 삽입 위치를 증가시켜 삽입하는 것이 아니라 호 참조 값(CRV)이 저장되어 있는 맨 끝 위치의 값하고 실제로 호 참조 값(CRV)이 저장되어 있는 갯수가 같지 않을때에는 호 참조 값(CRV)이 저장되어 있는 첫 번째 위치부터 맨 끝 위치 사이에 호가 해제되어 호 참조 값(CRV)이 저장될 수 있는 빈 공간이 있다는 경우이다.
따라서 새로운 호 참조 값(CRV) 삽입시에 가장 끝 위치에 존재해 있는 호 참조 값(CRV)의 위치 다음에 삽입하는 것이 아니라, 호가 해제되어 생긴 빈 공간에 삽입하도록 한다.
반면에 빈 공간이 없는 경우에는 현재 호 참조 값(CRV)이 저장되어 있는 맨 끝 위치의 바로 다음 위치에 삽입하도록 하는 효율적인 호 관리방법이 요구되었다.
상기와 같은 삽입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호 참조 값(CRV) 테이블내에서 해당 호 참조 값(CRV)을 탐색하거나 삭제시에도 첫 번째 호 참조 값(CRV)이 저장된 위치부터 맨 끝에 위치한 호 참조 값(CRV)이 저장되어 있는 위치의 범위까지만 찾게 되어 해당 기능의 처리 속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호 처리 프로세스에서는 착신 단말기에 호 설정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호 참조 값(CRV)을 할당해 주어야 하는데, 이 호 참조 값(CRV)은 호 처리 프로세스에서 직접 관리하기 때문에 일정한 순서대로 계속해서 호 참조 값(CRV) 테이블에 호 참조 값(CRV)을 할당해 주는 호 관리방법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착신 호에 대해 이러한 호 참조 값(CRV) 삽입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호 참조 값(CRV) 탐색 및 삭제시에 호 참조 값(CRV)만 가지고도 처리할 수가 있어 해당 기능의 처리 속도를 높일 수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가상 채널(VC) 교환기내에서 임의대로 순서없이 들어오는 발신 호에 대한 호 참조 값(CRV)을 유일하게 구별하면서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또한 착신 호에 대한 호 참조 값(CRV)을 유일하게 생성시켜 주면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호 관리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여러 링크를 통해 임의대로 순서없이 들어오는 발신 호를 해당 가입자 번호와 일대일로 대칭되도록 유일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발신 호의 호 참조 값(CRV) 및 착신 호의 호 참조 값(CRV)을 호 참조 값(CRV) 테이블내에서 삽입과 탐색 및 삭제의 처리 시간을 줄임으로써 실질적인 호 처리 시간을 줄여 교환기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가상 채널(VC) 교환기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상기의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가상 채널(VC) 교환기는 발신측의 제1비동기식 전송모드 국부교환 부속시스템(ATM Local Switching Subsystem, ALS)(100)과, 수신측의 제2비동기식 전송모드 국부교환 부속시스템(200)과, 비동기식 전송모드 중앙교환 부속시스템(ATM Central Switching Subsystem, ACS)(3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비동기식 전송모드 국부교환 부속시스템(100)은 호와 연결 기능을 수행하는 발신측의 제1호 연결 제어 처리기(Call and Connection Control Processor, CCCP)(120)와, 착신측의 제2호 접속 제어 처리기(220)과, 가입자 정합 기능을 수행하는 발신측의 제1접속 모듈(Interface Module, IM)(110)과, 착신측의 제2접속 모듈(21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비동기식 전송모드 중앙교환 부속시스템(300)은 운용과 보전, 과금과 통계 및 운용자 정합 기능을 수행하는 연산 유지 처리기(Operation and Maintenance Processor, OMP)(310)로 구성된다.
상기에 따라 호 처리가 수행되는데 필요한 각 블럭들의 기능을 살펴보면, 제1, 제2사용자 프로토콜 접속기능(User Protocol Interface Function, UPIF)(121)(221)은 사용자 단말과 신호 프로토콜의 정합 기능과 착신된 신호 메시지를 호 처리 내부 시그널로 변환하여 제1, 제2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ser Protocol Control Function, UPCF)(122)(222)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122)(222)은 제1, 제2사용자 프로토콜 접속기능(121)(221)으로부터 시그널을 착신하여 호와 연결 기능을 수행하는 호 처리 블럭으로 호와 연결의 설정 및 해제 기능과 발신 호에 대한 호 참조 값(CRV)을 호 참조 값(CRV) 테이블에서 탐색하기에 최적의 조건으로 저장하고, 신속하게 탐색과 삭제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착신 호에 대한 호 참조 값은 각각의 호를 구별할 수 있도록 유일하게 할당하고 할당된 호 참조 값(CRV)을 호 참조 값(CRV) 테이블에서 탐색하기에 최적의 조건으로 저장하고 신속하게 탐색하고 삭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1, 제2사용자 망 인터페이스 연결자원 처리기능(UNI Link Resource Handling Function, ULRHF)(124)(224)은 사용자 단말과 교환기 사이의 사용자 망 인터페이스(User Network Interface, UNI) 링크 자원 및 사용자 망 인터페이스(UNI) 대역폭을 관리하는 블럭이다.
그리고 제1, 제2스위치 연결자원 처리기능(Switch Link Resource Handling Function, SLRHF)(123)(223)은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가상 채널(VC) 교환기에서 서브시스템간의 스위치 링크 자원을 관리하는 블럭이다.
또한, 제1, 제2비동기식 전송모드 국부교환 부속시스템 번호번역기능(Number Translation ALS Function, NTLF)(125)(225)과, 비동기식 전송모드 중앙교환 부속시스템 번호번역기능(Number Translation ACS Function, NTCF)(311)은 번호 번역의 기능을 수행하는 블럭이다.
그리고 제1, 제2접속모듈 제어기능(Interface Module Control Function, IMCF)(111)(211)은 가입자 링크를 정합하는 기능과 입력된 셀 헤더의 입력 가상 경로 및 가상 채널을 출력 가상 경로 및 가상 채널로 변환하는 기능과 스위치 경로 지정(routing; 메시지 또는 전화의 호출이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도록 통신 경로를 할당하는 것) 정보를 부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의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가상 채널(VC) 교환기의 관련 블럭간의 구성 및 메시지 흐름의 구조도이다.
상기의 구조를 보면, 발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온 호 설정 메시지를 제1사용자 프로토콜 접속기능(User Protocol Interface Function, UPIF)(121)이 수신하면 호 처리 내부 시그널인 호 설정 시그널을 발신 주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main)에 전송을 한다.
이때 발신 주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main)에서는 수신된 호 설정 시그널과 함께 수신된 메시지내에 호 참조 값(CRV)을 주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main)에서 관리하는 발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에 저장을 하게 되는데, 그 호 참조 값(CRV)을 저장하기 전에 현재 발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내에 저장되어 있는 호 참조 값(CRV)의 갯수가 발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의 최대 저장갯수를 넘었는지를 확인한다.
만일 호 참조 값(CRV)의 갯수가 발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의 최대 저장갯수를 넘었다면 호를 더 이상 진행하지 않고, 호 해제 완료 시그널을 제1사용자 프로토콜 접속기능(UPIF)(121)에게 전송을 하면 제1사용자 프로토콜 접속기능(UPIF)(121)은 발신 단말기에게 호 해제 메시지를 전송한다.
반면에 호 참조 값(CRV)의 갯수가 발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의 최대 저장갯수를 넘지 않았으면 호 참조 값(CRV)과, 링크번호와, 가입자 모듈 번호, 그리고 신호 가상 경로 및 신호 가상 채널과 똑같은 것이 발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확인해서 만일 같은 것이 존재하면 제1사용자 프로토콜 접속기능(UPIF)(121)으로 호 해제 완료 시그널을 전송하고, 같은 것이 존재하지 않으면 발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내에 맨 끝에 저장되어 있는 호 참조 값(CRV) 위치의 값과 실제로 발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내에 저장되어 있는 호 참조 값(CRV) 갯수의 값을 비교한다.
만일 두 값이 같지 않으면 호 참조 값(CRV)이 저장되어 있는 첫 번째 위치부터 맨 끝 위치 사이에 호 참조 값(CRV)이 저장될 수 있는 빈 공간이 있다는 경우이기 때문에 호 설정 시그널과 함께 수신된 호 참조 값(CRV)을 발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의 첫 번째 위치부터 제일 먼저 있는 빈 공간에 현재 공간의 사용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사용중으로 표시하고 호 참조 값(CRV)을 삽입하도록 한다.
반면에 두 값이 같아 호 참조 값(CRV)이 저장되어 있는 첫 번째 위치부터 마지막 위치까지 빈 공간이 없는 경우에는 현재 호 참조 값(CRV)이 저장되어 있는 맨 끝 위치의 바로 다음 위치에 사용여부 플래그와 호 참조 값(CRV)을 삽입하도록 한다.
그런다음 발신 주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main)에서 이 참조 값(CRV)에 해당되는 호를 유일하게 구별하기 위하여 호 설정 메시지가 수신된 링크번호와, 가입자 모듈 번호, 그리고 신호 가상 경로 및 신호 가상 채널을 발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에 함께 저장한다.
그리고 나서 발신 주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main)은 발신 자식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child) 프로세스를 생성시킨다.
상기의 프로세스를 생성시킨 후 생성시킨 프로세스를 발신 자식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child) 프로세스 값을 발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에 저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발신에 대한 호 관리가 끝나면 생성된 발신 자식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child) 프로세스에서는 발신호 처리를 위해서 제1사용자 망 인터페이스 연결자원 처리기능(UNI Link Resource Handling Function, ULRHF)(124)과, 제1스위치 연결자원 처리기능(Switch Link Resource Handling Function, SLRHF)(123)을 호출하고, 제1인터페이스 모듈 제어기능(Interface Module Control Function IMCF)(111)에게 연결 설정 요구 시그널을 전송하여 발신호 처리와 관련된 자원을 점유한다.
그리고 점유한 다음에 착신 주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main)으로 호 설정 시그널을 전송한다.
상기의 착신 주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main)에서 호 설정 시그널을 수신하면 착신호를 구별할 수 있도록 유일한 호 참조 값(CRV)을 할당한다.
할당하는 방식은 1부터 시작해서 하나씩 증가시켜서 호 참조 값(CRV)의 최대값인 224까지의 값을 갖도록 하는데 호 참조 값(CRV)이 계속 증가되어서 호 참조 값(CRV)의 최대값을 넘는 호 참조 값(CRV)은 1부터 다시 호 참조 값(CRV)을 할당하게 하였다. 따라서 호 참조 값(CRV)은 호 참조 값(CRV)의 최대값을 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결정된 호 참조 값(CRV)을 가지고 착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내에서 발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에 발신 호 참조 값(CRV)을 저장하는 방법과 같이 현재 착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내에 저장되어 있는 호 참조 값(CRV) 중에 맨 끝에 저장되어 있는 호 참조 값(CRV) 위치의 값과 실제로 착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내에 저장되어 있는 호 참조 값(CRV) 갯수의 값을 비교한다.
상기의 비교한 두 값이 같지 않으면, 착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에 첫 번째 위치부터 제일 먼저 있는 빈 공간에 현재 공간의 사용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사용중으로 표시하고 할당된 호 참조 값(CRV)을 삽입하도록 한다.
반면에 두 값이 같은 경우에는 현재 호 참조 값(CRV)이 저장되어 있는 맨 끝 위치의 바로 다음 위치에 플래그를 사용중으로 표시하고 할당된 호 참조 값(CRV)을 삽입하도록 한다.
호 참조 값을 삽입한 후, 착신측 주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main)에서는 할당된 호 참조 값(CRV)을 가지고 착신 단말로 호 설정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관련된 링크번호와, 가입자 모듈 번호 그리고 신호 가상 경로 및 신호 가상 채널을 착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에 저장한다.
그리고 나서 착신 주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main)은 착신 자식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child) 프로세스를 생성시킨다.
그리고 생성시킨 착신 자식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child) 프로세스 값을 착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에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착신에 대한 호 관리가 끝나면 생성된 착신 자식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child) 프로세스에서는 착신호 처리를 위해서 제2사용자 망 인터페이스 연결자원 처리기능(224)과, 제2스위치 연결자원 처리기능(223)을 호출하고, 제2인터페이스 모듈 제어기능(211)에게 연결 설정 요구 시그널을 전송하여 착신호 처리와 관련된 자원을 점유한 다음에 제2사용자 프로토콜 접속기능(221)으로 호 설정 시그널을 전송한다. 이때 제2사용자 프로토콜 접속기능(221)은 호 설정 시그널을 수신하면 해당 착신 단말로 호 설정 메시지를 전송한다.
한편 발신 단말이나 착신 단말로부터 어느 쪽이든 다 호 해제 메시지를 제1, 제2사용자 프로토콜 접속기능(121)(221)이 수신할 수 있는데 발신측에 있는 제1사용자 프로토콜 접속기능(121)이 발신 단말로부터 호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면, 발신 자식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child) 프로세스 호 해제 시그널을 전송한다.
그리고 발신 자식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child) 프로세스가 호 해제 시그널을 수신하면, 발신 자식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child) 프로세스 제1사용자 망 인터페이스 연결자원 처리기능(124)과 제1스위치 연결자원 처리기능(123)을 호출하고, 제1인터페이스 모듈 제어함수(111)에게 연결 해제 요구 시그널을 전송하여 착신호 처리와 관련된 자원을 해제한 다음에 착신 자식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child) 프로세스로 호 해제 시그널을 전송한다.
또한 발신 주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main)에게 발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내에서 해당 호 삭제 요구를 하게 된다.
이때 호 참조 값(CRV) 테이블에서 호 삭제는 발신 자식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child) 프로세스에서 요구한 호 참조 값(CRV)과, 링크번호와, 가입자 모듈 번호, 그리고 신호 가상 경로 및 신호 가상 채널과 동일한 것을 발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내에서 처음부터 맨 끝에 저장되어 있는 호 참조 값(CRV) 위치 사이에서만 탐색한다.
상기의 탐색을 통하여 동일한 것이 있으면 사용여부 플래그를 비사용으로 표시하고 호 참조 값(CRV)과, 링크번호와, 가입자 모듈 번호, 그리고 신호 가상 경로 및 신호 가상 채널을 초기값으로 변경하여 다른 호 설정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호 해제 시그널을 수신한 착신 자식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child)은 제2사용자 망 인터페이스 연결자원 처리기능(ULRHF)(224)과, 제2스위치 연결자원 처리기능(SLRHF)(223)을 호출하고, 제2인터페이스 모듈 제어기능(211)에게 연결 해제 요구 시그널을 전송하여 착신호 처리와 관련된 자원을 해제한 다음에 제2사용자 프로토콜 접속기능(221)으로 호 해제 시그널을 전송하고 착신 주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main)에게 착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내에서 해당 호 삭제 요구를 하게 된다.
이때 착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에서 호 삭제는 착신 주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main)에서 각각의 호에 대해 유일하게 호 참조 값(CRV)을 생성하여 주었기 때문에 자식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child)에서 요구한 호 참조 값(CRV)만을 가지고 상기의 호 참조 값(CRV)과 동일한 것을 착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내에서 처음부터 맨 끝에 저장되어 있는 호 참조 값(CRV) 위치 사이에서만 탐색한다.
탐색을 통해 동일한 것이 있으면, 사용여부 플래그를 비사용으로 표시하고 호 참조 값(CRV)과, 링크번호와, 가입자 모듈 번호, 그리고 신호 가상 경로 및 신호 가상 채널을 초기값으로 변경하여 다른 호 설정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3a 내지 제3g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가상 채널(VC) 교환기의 호 관리기능에 대한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상기 흐름도에 따라 제2사용자 프로토콜 접속기능(221)이 발신 단말로부터 호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면(1) 제2사용자 프로토콜 접속기능(221)은 호 설정 시그널을 제2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222)으로 전송한다(2).
만일 제2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222)이 호 설정 시그널을 착신하면(3), 시그널과 함께 수신된 메시지내에 호 참조 값(CRV)을 발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에 저장하기전에 현재 발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내에 저장되어 있는 호 참조 값(CRV) 저장갯수와 발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의 최대 저장갯수를 비교한다(4).
비교한 결과 호 참조 값(CRV) 저장갯수가 최대 저장갯수보다 많으면 제2사용자 프로토콜 접속기능(221)으로 호 해제 완료 시그널을 전송하고(5), 호 해제 완료를 착신한 제2사용자 프로토콜 접속기능(6)은 발신 단말로 호 해제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7).
그러나 비교한 결과 호 참조 값(CRV) 저장갯수가 최대 저장갯수보다 많지 않으면 호 참조 값(CRV)과 호 설정 메시지가 전달된 가입자 모듈번호와, 링크번호와, 신호 가상 경로 및 신호 가상 채널의 동일한 것이 발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내에 존재하는지를 비교한다(8).
비교결과 똑같은 것이 존재하게 되면, 제2사용자 프로토콜 접속기능(221)으로 호 해제 완료 시그널을 전송하고(5), 호 해제 완료를 착신한 제2사용자 프로토콜 접속기능(6)은 발신 단말로 호 해제 메시지를 전송한다(7).
반면에 비교결과 똑같은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발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내에 맨 끝에 존재해 있는 호 참조 값(CRV)의 위치값과 실제로 발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내에 저장되어 있는 호 참조 값(CRV) 갯수의 값을 비교한다(9).
비교한 결과 두 값이 같지 않으면, 발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내에서 첫 번째 위치에서부터 제일 먼저 있는 빈 공간을 찾는다(10).
그러나 비교한 결과 두 값이 같으면, 발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내에 맨 끝에 위치한 호 참조 값(CRV)의 다음에 위치한 공간을 선택한다(11).
상기의 공간을 선택한 후 선택된 공간을 구성하는 필드중에 하나인 사용여부 플래그를 사용중으로 변경하고(12), 호 참조 값(CRV)과 가입자 모듈번호와, 링크번호와, 그리고 신호 가상 경로 및 신호 가상 채널을 저장한다(13).
그 다음에 발신 자식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child) 프로세스를 생성시키고(14), 생성된 자식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child) 프로세스값을 발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에 저장한다(15).
그리고 나서 발신 자식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child)은 발신호 처리를 위해서 관련된 자원을 점유한 다음(16), 착신 주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main)으로 호 설정 시그널을 전송한다(17).
반면에 착신 주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main)은 호 설정 시그널을 수신하면(18), 할당할 호 참조 값(CRV)과 호 참조 값(CRV)의 최대값을 비교한다(19).
비교한 결과 최대값보다 크면, 호 참조 값(CRV)에 1을 할당한 호 참조 값(CRV)을 사용하고(20), 최대값보다 크지 않으면, 할당할 그 호 참조 값(CRV)을 사용한다(21).
그 다음에 할당받은 호 참조 값(CRV)을 착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내에 저장하기 전에 현재 착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내에 저장되어 있는 호 참조 값(CRV)의 저장갯수와 착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의 최대 저장갯수를 비교한다(22).
비교한 결과 호 참조 값(CRV) 저장갯수가 최대 저장갯수보다 많으면, 발신 자식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child)으로 호 해제 완료 시그널을 전송하고(23), 호 해제 완료 시그널을 착신한 발신 자식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child)(24)은 발신호 처리와 관련된 자원을 해제한다(25).
한편, 발신 주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main)에게 발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에서 해당 호에 관련된 정보 삭제를 요구하면(26), 발신 주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main)은 발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에서 발신 자식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child)에서 요구한 호 참조 값(CRV)과, 가입자 모듈번호와, 링크번호와, 그리고 신호 가상 경로 및 신호 가상 채널과 똑같은 위치의 공간을 찾아서(27) 사용여부 플래그를 비사용으로 변경한다(28).
그리고 호 참조 값(CRV)과, 가압자 모듈번호와, 링크번호와, 그리고 신호 가상 경로 및 신호 가상 채널을 초기값으로 변경하고(29), 제2사용자 프로토콜 접속기능(UPIF)(221)으로 호 해제 완료 시그널을 전송한다(30).
이때 호 해제 완료 시그널을 착신한 제2사용자 프로토콜 접속기능(31)은 발신 단말로 호 해제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32).
그러나 결과가 호 참조 값(CRV) 저장갯수가 최대 저장갯수보다 많지 않으면 호 참조 값(CRV)과 호 설정 메시지를 전달할 가입자 모듈번호와, 링크번호와, 그리고 신호 가상 경로 및 신호 가상 채널이 착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내에서 똑같은 것이 존재하는지를 비교한다(33).
비교한 결과 똑같은 것이 존재하게 되면, 발신 자식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child)으로 호 해제 완료 시그널을 전송하고(23), 호 해제 완료 시그널을 수신한 발신 자식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child)(24)은 발신호 처리와 관련된 자원을 해제한다(25).
그리고 발신 주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main)에게 발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에서 해당 호에 관련된 정보 삭제를 요구하면(26), 발신 주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main)은 발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에서 발신 자식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child)이 요구한 호 참조 값(CRV)과, 가입자 모듈번호와, 링크번호, 그리고 신호 가상 경로 및 신호 가상 채널과 똑같은 위치의 공간을 찾아서(27) 사용여부를 플래그를 비사용으로 변경한다(28).
그리고 호 참조 값(CRV)과, 가입자 모듈번호와, 링크번호와, 신호 가상 경로 및 신호 가상 채널를 초기값으로 변경하고(29), 제2사용자 프로토콜 접속기능(221)으로 호 해제 시그널을 전송한다(30).
이때 호 해제 시그널을 착신한 제2사용자 프로토콜 접속기능(31)은 발신 단말로 호 해제 메시지를 전송한다(32).
하지만 결과가 똑같은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착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내에 맨 끝에 존재해 있는 호 참조 값(CRV)의 위치값과 실제로 착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내에 저장되어 있는 호 참조 값(CRV) 갯수의 값을 비교한다(34).
비교한 결과 두 값이 같지 않으면, 착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내에서 첫 번째 위치에서부터 제일 먼저 있는 빈 공간을 찾는다(35).
그러나 비교한 결과가 두 값이 같으면, 착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내의 맨 끝에 위치한 호 참조 값(CRV)의 다음에 위치한 공간을 선택한다(36).
그래서 선택된 공간에 있는 사용여부 플래그를 사용중으로 변경하고(37), 호 참조 값(CRV)과, 가입자 모듈번호와, 링크번호, 그리고 신호 가상 경로 및 신호 가상 채널을 저장한다(38).
저장 후 착신 자식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child) 프로세스를 생성시키고(39), 생성된 자식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child) 프로세스값을 착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에 저장한다(40).
그리고 나서 착신 자식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child)은 착신호 처리를 위해서 관련된 자원을 점유한 다음(41), 제2사용자 프로토콜 접속기능(UPIF)(221)으로 호 설정 시그널을 전송한다(42).
이때 호 설정 시그널을 수신한 제2사용자 프로토콜 접속기능(43)은 착신 단말로 호 설정 메시지를 전송한다(44).
한편, 제2사용자 프로토콜 접속기능(220)이 발신 단말로부터 호 해제 메시지를 착신하면(45), 발신 자식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child)으로 호 해제 시그널을 전송한다(46).
그리고 발신 자식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child)은 호 해제 시그널을 수신하면(47) 발신호 처리와 관련된 자원을 해제하고(48), 착신 자식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child)으로 호 해제 시그널을 전송한다(49).
한편 발신 주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main)에게 발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에서 해당 호에 관련된 정보 삭제를 요구하면(50), 발신 주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main)은 발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에서 발신 자식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child)이 요구한 호 참조 값(CRV)과, 가입자 모듈번호와, 링크번호, 그리고 신호 가상 경로 및 신호 가상 채널과 똑같은 위치의 공간을 찾아서(51) 사용여부 플래그를 비사용으로 변경한다(52).
그리고 호 참조 값(CRV)과, 가입자 모듈번호와, 링크번호와, 신호 가상 경로 및 신호 가상 채널을 초기값으로 변경한다(53).
변경 후 발신 자식 사용자 제어기능(UPCFchild)은 제2사용자 프로토콜 접속기능(221)으로 호 해제 완료 시그널을 전송하고(54), 호 해제 완료 시그널을 착신한 제2사용자 프로토콜 접속기능(221)은 발신 단말로 호 해제 완료 시그널을 전송한다(56).
상기의 호 해제 시그널을 착신한 착신 자식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child)(57)은 착신호 처리와 관련된 자원을 해제하고(58), 제2사용자 프로토콜 접속기능(221)으로 호 해제 시그널을 전송한다(59).
이때 호 해제 시그널을 착신한 제2사용자 프로토콜 접속기능(60)은 호 해제 메시지를 착신 단말로 전송한다(61).
상기의 호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62) 착신 단말은 호 해제 처리를 하고 제2사용자 프로토콜 접속기능(UPIF)(221)으로 호 해제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63).
호 해제 완료 메시지를 착신한 사용자 프로토콜 접속기능(64)은 호 해제 완료 시그널을 착신 자식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child)으로 전송한다(65).
상기의 호 해제 완료 시그널을 착신한 착신 자식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child)(66)은 착신 주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main)에게 착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에서 해당 호에 관련된 정보 삭제를 요구한다(67).
삭제 요구를 받은 착신 주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main)은 착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에서 착신 자식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child)이 요구한 호 참조 값(CRV)과 똑같은 위치의 공간을 찾아서(68) 사용여부 플래그를 비사용으로 변경하고(69) 호 참조 값(CRV)과, 가입자 모듈번호와, 링크번호, 그리고 신호 가상 경로 및 신호 가상 채널을 초기값으로 변경하고(70), 착신 자식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PCFchild)은 착신호 해제를 모두 끝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하는 본 발명은,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가상 채널(VC) 교환기에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 번째, 임의대로 순서없이 들어오는 발신호를 유일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하고, 발신호의 정보를 발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내에 최적의 방법으로 저장하고, 또한 이 정보를 신속하게 탐색하고 삭제시킴으로써 실질적으로 발신호에 대한 처리 시간을 줄일 수 있어 궁극적으로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가상 채널(VC) 교환기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둘째로, 착신호에 대한 호 참조 값(CRV) 할당방식을 통해서 착신호를 유일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하였고, 이 할당받은 호 참조 값(CRV)과 착신호에 대한 정보를 착신 호 참조 값(CRV) 테이블내에 최적의 방법으로 저장하고, 이 정보를 신속하게 탐색하고 삭제시킴으로써 실질적으로 착신호에 대한 처리 시간을 줄일 수 있어 궁극적으로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가상 채널(VC) 교환기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Claims (6)

  1.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가상 채널(VC) 교환기내에서 임의대로 들어오는 발신호에 대한 호 참조 값(CRV)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호 관리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호 처리 시간을 줄여 교환기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호 관리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로부터 호 설정 메시지의 수신과 호 시그널의 전송과 호 참조 값의 저장갯수와 최대 저장갯수와의 비교와 호 참조 값 테이블내에 동일호의 존재여부와 호 참조 값 위치 범위 내의 빈공간 선택을 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 수행 후, 선택된 공간을 구성하는 필드의 하나인 사용여부 플래그를 사용중으로 변경하고 호 참조 값을 발신 호 참조 값 테이블에 저장하고 발신 호처리 프로세스를 생성한 후 생성된 프로세스 값을 발신 호 참조 값에 저장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수행 후, 발신 호 처리를 위해 관련 자원을 점유한 다음 착신 호처리 프로세스 설정 시그널 전송과 착신 호처리 프로세스에서 할당할 호 참조 값과 호 참조 값의 최대값을 비교하여 비교값이 최대값보다 크지 않으면 착신 호 참조 값 테이블내에 동일 호의 존재여부를 판단하여 존재하지 않으면 호 참조 값의 위치값과 착신 호 참조 값 테이블내에 저장되어 있는 호 참조 값 갯수의 값을 비교하여 호 참조 값의 위치할 공간을 찾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수행 후, 선택된 공간에 있는 사용여부 플래그를 사용중으로 변경하고 착신 호 참조 값 테이블에 호 참조 값을 저장하고 착신 호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그 값을 착신 호 참조 값 테이블에 저장하고 착신호 관련 자원을 점유하여 호 설정 시그널을 착신단말로 전송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 수행 후, 상기 호 참조 값 저장갯수와 착신 호 참조 값 테이블의 최대 저장갯수를 비교하여 그 결과가 최대값 보다 크면 호 해제 완료 시그널을 발신 호처리 프로세스로 전송하고 발신 호와 관련된 자원을 해제하며 해당 호에 관련된 정보를 발신 호 참조 값 테이블에서 삭제하기 위하여 사용여부 플래그를 비사용으로 변경하고 호 참조 값 및 관련정보를 초기값으로 변경한 다음호 해제 완료 시그널을 발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 수행 후, 발신 단말로부터 호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면 발신호와 관련된 자원의 해제와 정보 삭제 요구와 사용여부 플래그를 비사용으로 변경하고 호 참조 값 및 관련 정보를 초기값으로 변경하고 착신 호처리 프로세스로 호 해제 시그널을 전송한 다음 발신 단말로 호 해제 완료 시그널을 전송하는 제6단계와, 상기 제6단계 수행 후, 착신 호처리 프로세스에서 호 해제 시그널을 수신하여 착신호와 관련된 자원을 해제하고 호 해제 시그널을 착신 단말로 전송하고 착신 단말은 호 해제 시그널을 수신하여 호 해제를 처리한 후 호해제 시그널을 전송하고 착신 호처리 프로세스는 호 해제 완료 시그널을 수신하면 착신 호 참조 값 테이블에서 호 참조 값과 같은 위치의 공간을 찾아서 사용여부를 플래그를 비사용으로 변경하고 호 참조 값 등 관련정보를 모두 초기 값으로 변경하고 착신호 해제를 모두 끝내는 제7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교환기의 호(Call) 관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호 참조 값(CRV) 테이블을 호 참조 값과, 가입자 모듈번호와, 링크번호와 신호 가상 경로 및 신호 가상 채널 그리고 발신호 및 착신호 프로세스 값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교환기의 호(Call) 관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발신호 정보 및 착신호 정보를 호 참조 값(CRV) 테이블에 저장시 호 참조 값 테이블내에서 실질적으로 저장된 호 참조 값 저장갯수와 맨 끝에 위치한 호 참조 값의 위치 값과 비교하여 저장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교환기의 호(Call) 관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착신호를 유일하게 구별하여 주기 위하여 호 참조 값을 1부터 시작해서 224까지 할당한 다음 호 참조 값의 범위를 넘으면 1부터 다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교환기의 호(Call) 관리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호 참조 값 테이블에서 발신호 정보의 탐색 및 삭제 기능을 수행할 경우는 호 참조 값과 가입자 모듈번호와, 링크번호와, 신호 가상 경로 및 신호 가상 채널을 가지고 동일한 것을 찾고, 착신호 정보의 탐색 및 삭제 기능을 수행할 경우는 호 참조 값만을 가지고 찾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교환기의 호(Call) 관리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는 호 참조 값 테이블에 최대 저장갯수를 넘은 상태에서 새로운 호 요구가 왔을 때 그 호에 대해서 바로 호 해제를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교환기의 호(Call) 관리방법.
KR1019960034664A 1996-08-21 1996-08-21 비동기식 전송모드 가상 채널 교환기의 호 관리방법 KR0169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4664A KR0169905B1 (ko) 1996-08-21 1996-08-21 비동기식 전송모드 가상 채널 교환기의 호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4664A KR0169905B1 (ko) 1996-08-21 1996-08-21 비동기식 전송모드 가상 채널 교환기의 호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367A KR19980015367A (ko) 1998-05-25
KR0169905B1 true KR0169905B1 (ko) 1999-02-01

Family

ID=19470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4664A KR0169905B1 (ko) 1996-08-21 1996-08-21 비동기식 전송모드 가상 채널 교환기의 호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990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367A (ko) 199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24038C (en) Atm network externally controlled for network resource reservation of end-to-end switched virtual connection
KR100270640B1 (ko) 원격통신망내에서호출접속의설정을제어하기위한장치및방법
US5416771A (en) Signaling method for packet network and system
JPH1084349A (ja) ネットワーク接続品質制御方式
KR0169905B1 (ko) 비동기식 전송모드 가상 채널 교환기의 호 관리방법
KR0175485B1 (ko) 완전 분산형 비동기전달모드 교환 시스템에서 재시도를 이용한 경로 제어 방법
KR100294045B1 (ko) 부하분배 및 평형을 위한 비동기 전송 모드 시그널링 호 설정 방법
KR100236956B1 (ko) 다단 스위치 구조를 갖는 비동기전달모드 교환 시스템에서 데이타베이스 원격 접근을 이용한 경로설정 제어방법
KR0153926B1 (ko) 완전 분산형 에이티엠 교환 시스템에서 링크 그룹핑 알고리즘을 이용한 발신 및 착신측 경로 제어 방법
JP3251677B2 (ja) 通信制御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KR0175484B1 (ko) 완전 분산형 비동기전달모드 교환 시스템에서의 대역예약을 이용한 경로제어방법
KR100236954B1 (ko) 다단 스위치 구조를 갖는 비동기전달모드 교환 시스템에서 분산 경로설정 제어방법
KR0121766B1 (ko) 완전 분산형 비동기 전달모드(atm) 교환 시스템에서의 점대점 양방향 경로 제어 방법
KR19980055541A (ko) Atm망에서 pvc 동적 설정/해제 방법
KR100237396B1 (ko)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 시스템을 위한 중앙집중 경로제어 방법
KR100247042B1 (ko) 주소 변환 서버를 이용한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치의 부하배분 방법
JP3538018B2 (ja) 通信網
KR100346848B1 (ko)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시스템에서 점대다중점 출중계호의 제공방법
JP2845189B2 (ja) Atm交換網呼受付制御方法とその装置
KR930010297B1 (ko) 특수호의 통화로 제어 방법
KR100465428B1 (ko) 이동 전화 교환 시스템의 톤 자원 관리 방법
KR100231702B1 (ko) 다단 구조의 스위치를 갖는 atm 교환 시스템에서 순차적 경로 제어방법
JP3471614B2 (ja) 回線選択方式
KR100205026B1 (ko) 비동기 전달모드 교환기에서의 가입자 호/연결 설정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55406A (ko) 에이티엠 스위치의 피브이씨 대역 변경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