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1766B1 - 완전 분산형 비동기 전달모드(atm) 교환 시스템에서의 점대점 양방향 경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완전 분산형 비동기 전달모드(atm) 교환 시스템에서의 점대점 양방향 경로 제어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766B1
KR0121766B1 KR1019940033162A KR19940033162A KR0121766B1 KR 0121766 B1 KR0121766 B1 KR 0121766B1 KR 1019940033162 A KR1019940033162 A KR 1019940033162A KR 19940033162 A KR19940033162 A KR 19940033162A KR 0121766 B1 KR0121766 B1 KR 0121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information
als
originating
path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3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7799A (ko
Inventor
정지훈
김승희
김한경
Original Assignee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40033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1766B1/ko
Publication of KR960027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7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7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30Routing of multiclass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14Routing performance; Theoretical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74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measures in reaction to resource unavailability
    • H04L47/741Holding a request until resources become avail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용량 완전 분산형 ATM 교환 시스템 내부에서의 점대점 양방향 경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발신 ALS는 파라미드를 설정하고 발신측 송신(Tx) 링크를 찾고 연결 경로 정보를 추출하여 착신측으로 전송하면서 착신측 순방향 경로 설정을 요구하는 제1단계(1 내지 4) ; 착신 ALS는 피라미터를 설정하고 착신측 수신 링크를 찾고 순방향 경로 정보를 추출하여 발신측으로 전송하면서 착신측 순방향 경로 설정 처리 완료를 통보하는 제2단계(5 내지 12, 8') ; 상기 발신 ALS는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순방향 경로 정보를 파일링한 후에 셀 처리 블록으로 순방향 경로 정보를 전송하는 제3단계(13 내지 17) ; 상기 착신 ALS는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착신측 송신 링크를 역방향 경로 정보를 추출하여 착신측으로 전송하면서 발신측 역방향 경로 설정을 요구하는 제4단계(18 내지 21) ; 상기 발신 ALS는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발신측 수신 링크를 찾고 역방향 경로 정보를 추출하여 착신측으로 전송하면서 발신측 역방향 경로 설정 완료를 통보하는 제5단계(22 내지 29.25') ; 및 상기 착신 ALS는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역방향 경로 정보를 파일링한 후에 셀 처리 블럭으로 역방향 경로 정보를 전송하는 제6단계(30 내지 33)를 포함하여 효율적으로 점대점 분리형 양방향 경로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완전 분산형 비동기 전달모드(ATM) 교환 시스템에서의 점대점 양방향 경로 제어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환전 분산형 ATM 교환 시스템의 구조도.
제2도는 완전 분산형 ATM 교환 시스템에 실장되는 소프트웨어 블록의 구조도.
제3도는 ATM 셀과 교환 시스템 내부 셀의 구조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양방향 경로 제어 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양방향 경로 제어 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4 : 교환 서브 시스템 35 : 중앙 집중 서브 시스템
본 발명은 대용량 완전 분산형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교환 시스템에서 발신 가입자로부터 착신 가입자까지의 서비스 연결을 위한 점대점 양방향 경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대역 종합정보통신 서비스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대용량 ATM 교환 시스템은 필수적이며, 또한 고속의 데이타 처리와 스위칭이 실행되는 대용량 ATM 교환 시스템은 필수적이며, 또한 고속의 데이타 처리와 스위칭이 실행되는 대용량 ATM 교환 시스템에서는 효율적인 점대점 양방향 경로 설정 기능이 핵심 기술로서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ATM 교환 시스템이 구성되는 방법에 따라 효율적인 점대점 양방향 경로 설정 기능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완전 분산형 ATM 교환 시스템에서는 각 링크 등의 망 자원이 가입자 정합 서브 시스템(ALS-S : STM Local Subsystem-Subscriber Type) 또는 중계선 정합 서브 시스템(ALS-T : ATM Local Subsystem-Trunk Type)별로 분산 관리되고, 중앙 집중 서브 시스템(ACS : ATM Central Subsystem)에는 서비스 제어 및 망 자원 제어, 그리고 망 자원 관리에 필요한 기능이 배제되어 있으므로 각 가입자/중계선 정합 모듈별로 분산된 점대점 양방향 경로 제어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시스템을 대용량으로 확장했을 경우에도 효율적인 점대점 양방향 경로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는 알고리즘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단방향 서비스의 경우 발신 가입자로부터 착신 가입자까지의 단방향 경로 설정 뿐만 아니라, 양방향 경로 설정이 필요한 서비스의 경우 발신 가입자에서 착신 가입자쪽으로의 순방향 경로 및 착신 가입자로부터 발신 가입자까지의 역방향 경로를 포함한 양방향 경로를 설정하는 방법도 필요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위에는 언급한 대용량 완전 분산형 ATM 교환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점대점 분리형 양방향 경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발법은,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서브 시스템 단위인 ALS(ATM Local Subsystem)와 상기 서브 시스템들을 상호 접속시키는 중앙 집중 모듈인 ACS(ATM Central Subsystem)를 구비하는 완전 분산형 ATM 교환 시스템에 적용되는 점대점 양방향 경로 제어 방법에 있어서, 발신 ALS는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발신측 인터-모듈 링크를 찾고 연결 경로 정보를 추출하여 착신측으로 전송하면서 착신측 순방향 경로 설정을 요구하는 제1단계 ; 착신 ALS는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착신측 수신 링크를 찾고 순방향 경로 정보를 추출하여 발신측으로 전송하면서 착신측 순방향 경로 설정 처리 완료를 통보하는 제2단계 ; 상기 발신 ALS는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순방향 경로 정보를 파일링한 후에 셀 처리 블럭으로 순방향 경로 정보를 전송하는 제3단계 ; 상기 착신 ALS는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착신측 송신링크를 역방향 경로 정보를 추출하여 착신측으로 전송하면서 발신측 역방향 경로 설정을 요구하는 제4단계 ; 상기 발신 ALS는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발신측 수신 링크를 찾고 역방향 경로 정보를 추출하여 착신측으로 전송하면서 발신측 역방향 경로 설정 처리 완료를 통보하는 제5단계 ; 및 상기 착신ALS는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역방향 경로 정보를 파일링한 후에 셀 처리 블럭으로 역방향 경로 정보를 전송하는 제6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서브 시스템 단위인 ALS(ATM Local Subsystem)와 상기 서브 시스템들을 상호 접속시키는 중앙 집중 모듈인 ACS(ATM Central Subsystem)를 구비하는 완전 분산형 ATM 교환 시스템에 적용되는 점대점 양방향 경로 제어 방법에 있어서, 발신 ALS는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발신측 인터-모듈 송신 링크를 찾고 순/역방향 경로 정보를 추출하여 착신측으로 전송하면서 착신측 순방향 경로 설정을 요구하는 제1단계 ; 착신 ALS는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착신측 수신 링크와 순/역방향 경로 정보를 추출하여 역방향 경로 정보를 파일링하고 역방향 입력 셀 처리 블럭으로 역방향 경로 정보를 전송한 후에 상기 추출 정보를 발신 측으로 전송하면서 착신측 순방향 경로 설정처리 완료를 통보하는 제2단계 ; 및 상기 발신 ALS는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순방향 경로 정보를 파일링한 후에 순방향 입력 셀 처리 블럭으로 순방향 경로 정보를 전송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완전 분산형 ATM 교환 시스템의 구조도로서,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서브 시스템 단위인 ALS(ATM Local Subsystem)(34)로 분산되어 있으며, 각 분산된 서브 시스템들은 중앙 집중 모듈인 ACS(ATM Central Subsystem)(35)를 통해 상호 접속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가입자로 부터 호 요구가 발생할 때 ALS 내의 가입자 정합 모듈인 BSIM (Broa dband Subscriber Interface Module) 또는 NSIM (Narrow band Subscriber Interface Module)에 의해 감지되며, 가입자 신호 셀(Signalling Cell)이 신호 메시지(IPC Message)로 바꾸고, 155Mbps 가입자 인터페이스(BSIM)를 통해서 들어온 신호 셀과 중저속 가입자 인터페이스(NSIM)를 통해서 들어오는 신호 셀은 ASCM(Access Switching Control Module) 내의 BPALH(Broadband Subscriber ATM Layer Block)을 거쳐 신호 처리 모듈인 AASHH(All Signalling Handler Block)으로 전달된다.
155Mbps 가입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신호 셀이 들어오는 경우에 BSIM의 물리계층 하드웨어인 BSPLH(Broadband Subscriber Physical Layer Block)와 ATM 계층 처리 하드웨어인 BSALH(Broadband Subscriber ATM Layer Block)을 거쳐 ASNM(Access Switching Network Module)에 있는 ALIH(Access Link Interface Block)와 ASWH(Access Swich Block)을 거쳐 ASCM에 존재하는 신호 처리 블록인 AASHH로 전달된다. 중저속 가입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 셀이 들어오는 경우에는 두 가지 인터페이스가 동시에 존재한다. DS1E급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입자 신호 셀이 들어오는 경우에는 DS1E급 링크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LSIH(Low Speed Interface Block)를 통하고, DS3급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가입자 신호 셀이 들어오는 경우에는 DS3급 링크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MSIH(Medium Speed Interface Block)를 통해 전달된다. 이 후, 중저속 가입자 신호 셀을 멀티플렉싱하는 MMDXH (Medium Speed Multiplexing and Demultiplexing Block)를 통해서 ALIH, ASWH 및 ASCM의 BP ALH 를 통해 AASHH로 전달된다.
발신 ALS 내의 ASCM에 있는 SCPH(Subscriber Call Processor Block)에서는 신호셀을 보낸 가입자에게 VPCI (Virtual Path Connection Identifier)/ VCI (Vir -tual Channel Identifier) 및 가입자 라인쪽의 대역을 할당하고, 착신 ALS를 판단한 후에 착신 ALS 내의 ACSM과 연동하여 발신 가입자로 부터 ALIH, 발신 ALS의 스위치인 ASWH(Aaccess Switch Hardware), CLIH(Central Link Interface Block), CSWH(Central SWitch Hardware) 및 착신 ALS의 스위치인 ASWH를 거쳐 착신 가입자까지 발착신 가입자간의 경로를 설정한다.
각 모듈에는 공통적으로 물리 계층 처리를 위한 BSPLH (Broadband Subscri ber Physical Layer Hardware), ATM 계층 처리를 위한 BSALH(Broadband Subscriber ATM Layer Hardware), ATM 적용 계층 처리를 위한 AASHH(ATM Adaptation Layer Signalling Hardware)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블럭들이 BSIM, NSIM, ASCM 및 OMCM에 존재한다. 그리고, 155Mbps 가입자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BSIM과 중저속 가입자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NSIM에는 UPCH (Usage Parame ter Parameter Control Block)가 있고, 이 블록에서는 사용자가 신고한 셀 전송률을 준수하는지를 감시하는 사용자 셀 파라미터 제어가 수행된다.
그리고, OMCM 내의 OMPH(Operation and Maintenance Processor Block)는 시스템 운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시스템 내부의 운용과 보전에 관련된 일을 수행하고, ALS와 ACS 내에 존재하는 NSM(Network Synchronization Module)은 외부로 부터 전해져 오는 타이밍 관련 신호를 받아서 시스템 자체적으로 사용할 로컬타이밍 (LocalTiming) 관련 신호를 만들어내고, ACS내부의 NSM에 있는 NSHH( Network Synchronization Handler Block)는 ALS의 LTGH로부터 타이밍 관련 신호를 수신하여 ACS내의 모든 시스템에 타이밍 관련신호를 분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2도는 호/서비스 처리를 위한 ASCM 내의 소프트웨어의 블럭 수조도이다.
가입자로 부터 신호 셀이 들어올 경우에 BSIM의 물리 계층 처리 블록인 BSPLH ATM 계층 처리 블록인 BSALH를 거쳐서 신호 메시지로 변환되고, 변환된 신호 메시지는 스위치를 통해서 신호 처리 모듈인 SCM의 신호 처리 ATM 계층 처리 블록인 BSALH, ALL계층처리 블록인 AASLH, 신호메시지 인터페이스 블럭인 BSIH (Broadband Signalling Interface Block)를 거쳐 AAL 계층의 기능 중 SSCF (Servi ce Spedific Coordination Function) 기능을 수행하는 BSSCF(Broadband SSCF)로 전달된다. 전달된 신호 셀은 ASCM으로 전달되어 실제적인 호/서비스 처리가 이루어진다.
ASCM 내부의 SCPH에는 Q..2931의 신호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가입자의 점대점 호/서비스의 처리를 수행하는 SSCF(Subscriber Service Control Block), B-ISUP 신호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중계선의 호/서비스 처리를 수행하는 TSCF(Trunk Ser viceControlBlock), 가입자의 점대다중점 호/서비스처리를 수행하는 MCSCF (Multi Cast Service Control Block)이 존재한다. 호 제어 공통 블럭은 가입자로부터 발생된 호/서비스의 요구를 수락할 것인지 기각할 것인지를 망자원의 상태에 따라 결정하고 가입자에게 전송 대역과 채널을 할당하는 CACF(Connection Admission Control Block), 발신 가입자로부터 신호 메시지에 들려오는 착신 가입자의 논리적인 번호(DN : Directory Number)를 물리적인 번호(EN : Equipment Number)로 번역해주는 NTCF(Number Translation Control Block), 발신 가입자로부터 착신 가입자까지의 스위치 경로의 할당과 내부 링크 대역 관리를 수행하는 SRSCF(Self-Routing Switch Control Block), 호제어 관련 공통 라이브러리를 제공하고 제어하는 CPSLF(Call Processing Procedure System Library Block), 호제어 관련 공통 라이브러리를 제공하고 제어하는 CPSLF(Call Processing Procedure System Library Block)를 구비한다.
제3a도는 ITU-T에서 권고한 ATM 셀의 구조도이고, 제3b도는 ATM교환기 내부에서 스위칭을 위한 3 옥텟의 부가 헤더를 포함시킨 내부 셀의 구조도이다.
종합정보통신망(B-ISDN)에서는 모든 정보가 제3A도와 같은 형태의 셀로 전환되어 전송된다. 그렇지만, 제1도에서 제시한 완전 분산형 교환 시스템 내에서 제3a도 형태의 셀 포맷만으로는 교환기 내부에서 스위칭할 수 없으므로, 제3b도와 같이 ITU-T 표준 셀 포맷에 3 옥텟의 부가 헤더를 붙인 형태로 ALS 전단에서 변환되어 교환 시스템 내부로 전달된다. 제3b도의 첫 번째 옥텟의 IC 필드는 현재의 셀이 휴지(Idle) 셀인지 비지(Busy) 셀인지를 구분하는 필드이고, MC 필드는 현재의 셀이 점대점(Point-to-Point) 서비스셀인지 다중(Multicast) 셀인지를 구분하는 필드이고, ASW_ORG 필드는 발신 ALS 내의 ASW에서 스위칭을 위한 라우팅 정보를 나타낸다. 두 번째 옥텟의 CDP 필드는 셀 지연 우선 순위를 표현하는 필드이고, CSW는 ACS 내의 CSW에서 스위칭을 위한 라우팅 정보를 나타낸다. 세 번째 옥텟의 CT 필드는 셀이 신호용 셀인지 사용자의 정보셀인지 셀의 형태를 지정하는 필드이고, ASW_DES 필드는 착신측 ALS 내의 스위칭을 위한 라우팅 정보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교환 시스템 내부에서 스위칭을 위해서는 제3b도 형태의 셀 포맷 중 1,2,3 옥텟의 정보만이 필요하며, 이 정보만을 이용하여 발신측으로 부터 착신측까지 각 서브 시스템을 거쳐 전달이 이루어진다. 또한, 프로세서 간의 통신을 위한 IPC(Imter-Proccessor Communication)의 경우에는 3 옥텟의 정보 중 일부만을 이용하여 임의의 프러세서 또는 컨트롤러부터 임의의 파라미터 또는 컨트롤러로 IPC 셀을 전송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먼저, 대용량 완전 분산형 ATM 교환 시스템에서의 점대점 분리형 양방향 경로 제어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 4a도 내지 제4f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점대점 분리형 양방향 경로 설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점대점 분리형 양방향 경로 설정 방법은 발신측 ALS, 착신측 ALS, 그리고 다시 발신측 ALS로 제어가 옮겨지면서 순방향 경로를 먼저 설정한다. 순방향 경로를 설정한 후 착신 ALS, 발신 ALS, 그리고 다시 착신 ALS로 제어가 옮겨지면서 역방향 경로를 설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순방향 경로 설정시 발신 ALS에서는 Tx 링크만을, 그리고 착신측 ALS에서는 Rx 링크만을 결정하고, 역방향 경로 설정시에는 앞의 순방향 경로 설정시 사용된 발신측 Tx 링크 및 착신측 Rx링크와는 완전히 독립적으로 착신 ALS에서는 Tx 링크만을, 그리고 발신 ALS에서는 Rx 링크만을 결정하여 순방향 경로 때 사용되는 발신측 Tx 링크 및 착신측 Rx 링크 쌍과 역방향 경로 때 사용되는 착신측 Tx 링크 및 발신측 Rx 링크이 쌍이 복합형 양방향 경로 설정 방법과는 달리 완전히 독립적이다.
제4a도는 발신 처리 기능 I로서, 발신 처리를 하기 위해서는 호/서비스가 요구되는 대역의 양(BW), i번째 Tx 링크의 사용 가능 대역의 양(AvailBW(i)tx), 임의의 ALS에 소속된 인터-모듐 송신(inter-module Tx) 링크의 개수(N), 발신 가입자의 물리적인 주소(Source) 등의 파라미터가 필요하다(1). 앞에서 설명한 4개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발신 ALS에 속한 인터-모듈 송신(inter-module Tx) 링크의 가용성을 조사하여, 호/서비스가 요구하는 대역을 만족하는 발신측 인터-모듈 송신(inter-module Tx) 링크를 모두 찾아내서 각 인터-모듈 송신(inter module Tx) 링크 식별자(id)를 AvailTx(k)k≤N라는 변수에 할당하고, 찾아진 인터-모듈 송신(inter module Tx) 링크의 개수를 Max_k라는 변수에 할당해 놓는다(2). 호 또는 서비스가 요구하는 대역을 만족하는 발신측 인터-모듈 송신(inter-module Tx) 링크를 모두 찾은 후 발신측의 형상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억세스(access)하여 순방향 경로 정보 중 발신 ASW의 목적지 주소(ASW_ORG(f))를 각 AvailTx(k){1≤k≤Max_k} 링크별로 찾아낸다(3). 발신 ALS에 소속되어 있는 링크중 호/서비스가 요구하는 대역을 만족하는 발신측 인터-모듈 송신(inter-module Tx) 링크와 각 링크의 순방향 경로 정보중 발신 ASW의 목적지 주소인 ASW_ORG(f)를 각 AvailTx(k){1≤k≤Max_k} 링크별로 찾아낸 후 선택된 발신측 인터-모듈 송신(inter-module Tx) 링크의 식별자(id)인 AvailTx(i){1≤i≤Max_k}, 각 AvailTx(i) 링크의 ASW_ORG(f), 그리고 호/서비스가 요구하는 대역의 양인 BW, 착신 가입자의 물리적 주소(Destination)를 착신측으로 전송하면서 순방향 경로 설정을 요구한다(4).
제4b도는 착신 처리 기능 I로서, 착신 처리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발신 처리 기능 I로부터 받은BW, AvailTx(i){1≤i≤Max_k}, AvailTx(i)의 순방향 경로 정보(ASW_ORG(f)), 데스티네이션(Destination)과 AvailBW(i)rx, N 등은 파라미터가 필요하다. BW는 호/서비스가 요구하는 대역의 양을 나타내고, AvailBW(i)rx는 I번째 Rx 링크의 사용 가능 대역의 양을 나탸내고, N은 임의의 ALS에 소속된 인터-모듈 수신(inter-module Rx)링크의 개수를 나타내며, 데스티네이션(Destination)은 발신 가입자의 물리적인 주소를 나타내며, AvailTx(i){1≤i≤Max_k}는 발신측으로부터 받은 유효 Tx 링크의 식별자(id)를 나타내며, ASW_ORG'(f)는 AvailTx(i)의 순방향 경로 정보를 나타낸다(5). 앞에서 설명한 6개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착신 ALS에 속한 인터-모듈수신(inter-module Rx) 링크의 가용성을 조사하여, 호/서비스가 요구하는 대역을 만족하는 착신측 Rx 링크 하나를 찾아낸 후 그 Rx 링크의 식별자(id)를 AvailRx에 할당한다(6). 그 후 AvailRx에 할당된 휴효한 발신측 Rx 링크 식별자(id)와 발신 처리 기능 I로부터 받은 AvailTx(i){1≤i≤Max_k}를 비교하여 같은 ACS 모듈로 연결된 AvailTx가 있는지 비교한다(7). 같은 ACS 모듈로 연결된 AvailTx(k) 링크가 없을 경우에는 착신측 Rx 링크의 식별자(id)를 분석하여 더 비교할 Rx 링크가 남아 있는지를 비교한다(8). 더 이상 비교할 Rx 링크가 남아 있지 않은 경우에는 경로 설정 불가 처리를 한 후 프로시져를 마감한다(8'). 그렇지만, 더 비교할 Rx 링크가 남아있는 경우에는 착신측 수신 링크를 찾는 단계(6)로 가서 새로운 AvailRx 링크를 찾는다. 한편, 같은 ACS 모듈로 연결된 AvailTx(k) 링크가 있을 경우에는 선택된 Rx 링크인 AvailRx와 AvailTx(k)를 SelectedRx, SelectedTx 변수에 할당하고, 각 링크를 순방향 경로에 사용될 링크로 결정한다(9). 순방향 경로에 사용될 발신측의 Tx 링크(SelectedTx)와 착신측의 Rx 링크(SelectedRx)를 찾은 후 착신측의 형상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억세스(access)하여 순방향 경로 정보(CSW(f), ASW_DES(f)를 찾는다(10). 순방향 경로에 사용될 링크와 그 각각에 해당하는 경로 정보를 찾은 후 발신측 링크 관리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SelectedRx 링크가 BW만큼의 대역을 점유했음을 업데이트(update)한다(11). 발신측 링크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update)한후SelectedRx, Select edTx, 순방향 경로 정보(ASW_ORG(f), CSW(f), ASW_ DES(f))를 발신측으로 전송하면서 착신측 순방향 경로 설정 처리완료를 통보한다(12). 이로써 순방향 경로 설정 처리가 완료된다.
제4c도는 발신 처리 기능 Ⅱ로서, 발신 처리 기능 Ⅱ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착신 처리 기능 I로부터 받은 SelectedTx, SelectedRx, 순방향 경로 정보(ASW_ORG(f), CSW(f), ASW_DES(f)) 및 소오스(Source) 등의 파라미터가 필요하다. SelectedTx는 순방향 경로에 사용될 것으로 선택된 발신 ALS의 Tx링크이고, SelectedRx는 순방향 경로에 사용될 것이로 선택된 착신 ALS의 Rx 링크이다. 순방향 경로 정보는 발신측 스위치의 목적지 주소인 ASW_ORG(f), CSW 내에 존재하는 스위치의 목적지 주소인 CSW(f), 착신측 스위치의 목적지 주소인 ASW_DES(f)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소오스(Source)는 호/서비스 발신 가입자의 물리적인 주소를 나타내고, 앞에서 설명한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순방향 경로 설정처리의 마지막 단계인 발신 처리 기능 Ⅱ를 수행한다(13). 착신측으로부터 받은 SelectedTx를 이용하여 선택된 발신측 Tx가 BW만큼의 대역을 점유했음을 발신측 링크 관리 데이터베이스의 업데이트(Update)한다(14). 그리고, 3 옥텟의 내부 라우팅 부가 헤더에 필요한 정보인 IC, MC, CDP, CT 등의 필드를 각 셀의 형태에 맞도록 채운다. IC는 휴지 셀(Idle-Cell)인지 아닌지를 표시하는 필드이고, MC는 멀티케스트 셀인지 아니면 점대점 서비스 셀인지를 구분하는 필드이고, CDP는 셀의 지연 우선 순위를 표시하는 필드이고, CT는 셀의 타입을 표시하는 필드이다(15). IC, MC, CDP, CT 등의 필드를 채운 완전한 3 옥텟의 부가 헤더가 완성되면 이 정보를 소오스(Source) 정보를 이용하여 발신 가입자쪽의 순방향셀 처리 블록(SIMC_org)쪽으로 순방향 경로 정보로서 전송한다(16). 이로써 순방향 경로 설정을 마치고, 착신 ALS쪽으로 BW, 소오스(Source), 데스티네이션(Destination) 정보를 전송하여 역방향 경로 설정요구를 한다(17).
제4d도는 착신 처리 기능 Ⅱ로서, 착신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BW,AvailBW(i)tx, N, 소오스(Source)등의 파라미터가 필요하다. BW는 호/서비스가 요구하는 대역의 양을 나타내고, AvailBW(i)tx는 I번째 Tx 링크의 사용 가능 대역의 양을 나타내고, N은 임의의 ALS에 소속된 인터-모듈 송신(inter-module Tx) 링크의 갯수를 나타내며, 소오스(Source)는 발신 가입자의 물리적인 주소를 나타낸다(18). 앞에서 설명한 4개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착신 ALS에 속한 인터-모듐 송신(inter-module Tx) 링크의 가용성을 조사하여, 호/서비스가 요구하는 대역을 만족하는 착신측 Tx 링크를 모두 찾아내어 각 인터-모듈 송신(inter-module Tx) 링크 식별자(id)를 AvailTx(k){k≤N}라는 변수에 할당하고, 찾아진 착신측의 인터-모듈 송신(inter-module Tx) 링크의 개수를 Max_k라는 변수에 할당해 놓는다(19). 호 또는 서비스가 요구하는 대역을 만족하는 착신측 Tx 링크를 모두 찾은 후 발신측의 형상 정보 데이타베이스를 억세스(access)하여 역방향 경로 정보 중 착신 ASW의 목적지 주소인 ASW_ORG(b)를 각 AvailTx(k){1≤k≤Max_k} 링크별로 찾아낸다(20). 착신 ALS에 소속되어 있는 링크 중 호/서비스가 요구하는 대역을 만족하는 착신측 Tx 링크의 역방향 경로 정보 중 착신 ASW의 목적지 주소인 ASW_ORG(b)를 각 AvailTx(k) 링크별로 찾아낸 후 선택된 발신측 Tx 링크의 식별자(id)인 AvailTx(i), 각 AvailTx(i) 링크의 ASW_ORG(b), 그리고 호/서비스가 요구하는 대역의 양인 BW, 발신 가입자의 물리적 주소인 소오스(Source)를 발신측으로 전송하면서 역방향 경로 설정을 요구한다(21).
제4e도는 발시 처리 기능 Ⅲ로서, 발신 처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착신 처리 기능 Ⅱ로부터 받은 BW, AvailTx(k){1≤k≤N}, AvailTx(k)의 역방향 경로 정보(ASw_ORG(b)), 소오스(Source)와 AvailBW(i)rx, N 등의 파라미터가 필요하다. BW는 호/서비스가 요구하는 대역의 양을 나타내고, AvailBW(i)rx는 I번째 Rx 링크의 사용 가능 대역의 양을 나타내고, N은 임의의 ALS에 소속된 인터-모듈 수신(inter-module Rx) 링크의 개수를 나타내며, 소오스(Source)는 발신 가입자의 물리적인 주소를 나타내며, AvailTx(k)는 착신측으로부터 받은 유효한 착신측 Tx링크의 식별자(id)를 나타내며, ASW_ORG(b)는 AvailTx(k)의 역방향 경로 정보를 나타낸다(22). 앞에서 설명한 6개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발신 ALS에 속한 인터-모듈 수신(inter-module Rx) 링크의 가용성을 조사하여, 호/서비스가 요구하는 대역을 만족하는 발신측 Rx 링크 하나를 찾아낸 후 그 Rx 링크의 식별자(id)를 AvailRx에 할당한다(23). 그 후 AvailRx에 할당된 유효한 발신측 Rx 링크 식별자(id)와 착신 처리 기능 Ⅱ로부터 받은 AvailTx(k){1≤k≤Max_k}를 비교하여 같은 ACS 모듈로 연결된 AvailTx가 있는지 비교한다(24). 같은 ACS 모듈로 연결된 AvailTx(k) 링크가 없을 경우에는 발신측 Rx 링크의 식별자(id)를 분석하여 더 비교할 발신측 Rx링크가 남아 있는지를 비교한다(25). 더 이상 비교할 발신측 Rx 링크가 남아있지 않은 경우에는 경로 설정불가 처리를 한 후 프로시져를 마감한다(25'). 만일, 더 비교할 Rx 링크가 남아있는 경우에도 발신측 수신 링크를 찾는 단계(23)로 가서 새로운 AvailRx 링크를 찾는다. 한편, 같은 ACS 모듈로 연결된 AvailTx(k) 링크가 있을 경우에는 선택된 발신측 Rx 링크인 AvailRx와 AvailTx(k)를 SelectedRx, SelectedTx 변수에 할당하고, 각 링크를 역방향 경로에 사용될 링크로 결정한다(26). 역방향 경로에 사용될 발신측의 Rx 링크(SelectedRx)와 착신측의 Tx 링크(SelectedTx)를 찾은 후 착신측의 형상 정보 데이타베이스를 억세스(access)하여 역방향 경로 정보(CSW(b), ASW_DES(b))를 찾는다(27). 역방향 경로에 사용될 링크와 그 각각에 해당하는 경로 정보를 찾은 후 발신측 링크 관리 데이타베이스에 SelectedRx 링크가 BW만큼의 대역을 점유했음을 업데이트(update)한다(28). 발신측 링크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update) 한후 SelectedRx, Select edTx,역방향(ASW_ORG(b), ASW_DES))를 발신측으로 전송하면서 발신측 역방향 경로 설정 처리 완료를 통보한다(29).
제4f도는 착신 처리 기능 Ⅲ로서, 발신 처리 기능 Ⅲ로부터 받은 SelectedTx, SelectedRx, 역방향 경로 정보(ASW_ORG(b), CSW(b), ASW_DES(b)) 및 데스티네이션(Destination) 등의 파라미터가 필요하다.
SelectedTx는 역방향 경로에 사용될 것으로 선택된 착신 ALS의 Tx 링크이고, SelectedRx는 역방향 경로에 사용될 것으로 선택된 발신 ALS의 Rx 링크이다. 역방향 경로 정보는 착시측 스위치의 목적지 주소인 ASW_ORG(b), CSW 내에 존재하는 스위치의 목적지 주소인CSW(b), 발신측 스위치의 목적지 주소인 ASW_DES(b)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데이티네이션(Destination)은 호/서비스의 착신 가입자의 물리적인 주소를 나타내고, 앞에서 설명한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역방향 경로 설정 처리의 마지막 단계인 착신 처리 기능 Ⅲ를 수행한다(30). 발신측으로부터 받은 SelectedTx를 이용하여 선택된 Tx가 BW만큼의 대역을 점유했음을 착신측 링크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Update)한다(31). 그리고, 3 옥텟의 내부 라우팅 부가 헤더에 필요한 정보인 IC, MC, CDP, CT 등의 필드를 채운다. IC는 휴지 셀(Idle-Cell)인지 아닌지를 표시하는 필드이고, MC는 멀티게스트 셀인지 아니면 점대점 서비스 셀인지를 구분하는 필드이고, CDP는 셀의 지연 우선 순위를 표시하는 필드이고, CT는 셀의 타입을 표시하는 필드이다(32). IC, MC, CDP, CT 등의 필드를 셀의 형태에 따라 채운 완전한 3 옥텟의 부가 헤더가 완성되면 이 정보를 데스티네이션(Destination) 정보를 이용하여 착신 가입자쪽의 역방향 셀 처리블럭(SIMC_term)쪽으로 역방향 경로 정보로서 전송한다(33). 이로써 순방향과 역방향 경로 설정을 모두 마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대용량 완전 분산형 ATM 교환 시스템에서 효율적으로 점대점 분리형 양방향 경로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대용량 완전 분산형 ATM 교환 시스템에서의 점대점 복합형 양방향 경로 제어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5a도는 발신 처리 기능 I로서, 발신 처리를 위해서는 BW, AvailBW(i)tx, 소오스(Source) 등의 파라미터가 필요하다. BW는 호/서비스가 요구하는 대역의 양을 나타내고, AvailBW(i)tx는 I번째 Tx 링크의 사용 가능 대역의 양을 나타내고, N은 임의의 ALS에 소속된 인터-모듈 송신(inter-module Tx) 링크의 개수를 나타내며, 소오스(Source)는 발신 가입자의 물리적인 주소를 나타낸다(51), 앞에서 설명한 4개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발신 ALS에 속한 인터-모듈 송신(inter-module Tx) 링크의 가용성을 조사하여, 호/서비스가 요구하는 대역을 만족하는 발신측 인터-모듈 송신(inter-module Tx) 링크를 모두 찾아내서 각 인터-모듈 송신(inter-module Tx) 링크 식별자(id)를 AvailTx(k){k≤N}라는 변수에 할당하고, 찾아진 인터-모듈 송신(inter-module Tx) 링크의 개수를 Max_k라는 변수에 할당해 놓는다(25). 호 또는 서비스가 요구하는 대역을 만족하는 발신측 인터-모듈 송신(inter-module Tx) 링크를 모두 찾은 후 발신측의 형상 정보 데이타베이스를 억세스(access)하여 순방향 경로 정보 중 발신 ASW의 목적지 주소인 ASW_ORG(f)를 각 AvailTx(k){k=Max_k} 링크별로 찾아낸다. 또한 선택된 인터-모듈 송신(inter-module Tx) 링크를 Rx 링크로 보아 발신측의 형상 정보 데이타베이스를 억세스(access)하여 역방향 경로 정보 중 착신 ASW의 목적지 주소인 ASW_DES(b), 역방향 경로 정보중 CSW의 경로 정보인 CSW(b)를 찾는다(53). 발신 ALS에 소속되어 있는 링크중 호/서비스가 요구하는 대역을 만족하는 발신측 인터-모듈 송신(inter-module Tx) 링크와 각 링크의 순방향 경로 정보 중 발신 ASW의 목적지 주소인 ASW_ORG(f), 역방향 경로 정보 중 착신 ASW의 목적지 주소인 ASW_DES(b), 역방향 경로 정보중 CSW의 목적지 주소인 CSW(b)를 각 AvailTx(k){k=Max_k} 링크별로 찾아낸 후 선택된 발신측 인터-모듈 송신(inter-module Tx) 링크의 식별자(id)인 AvailTx(i){i=Max_k}, 각 AvailTx(i) 링크의 순방향 ASW_ORG(f), 역방향 CSW(b), 역방향 ASW_DES(b), 그리고 호/서비스가 요구하는 대역의 양인 BW, 착신 가입자의 물리적 주소(Destination)를 착신측으로 전송하면서 양방향 경로설정을 요구한다(54).
제5b도는 착신 처리 기능 I로서, 착신 처리 기능을 위해서는 발신 처리 기능 I로부터 받은 BW, AvailTx(i){1≤i≤Max_k,} AvailTx(i)의 순방향 경로 정보(ASW_ORG(f)), 역방향 경로 정보(ASW_DES(b), CSW(b)), 데스티네이션(Destination)과 AvailBW(i)rx, N 등의 파라미터가 필요하다. BW는 호/서비스가 요구하는 대역의 양을 나타내고, AvailBW(i)rx는 i번째 Rx 링크의 사용가능 대역의 양을 나타내고, N은 임의의 ALS에 소속된 인터-모듈 수신(inter-module Rx) 링크의 개수를 나타내며, 데스티네이션(Destination)은 발신 가입자의 물리적인 주소를 나타내며, AvailTx(i){1≤i≤Max_k}는 발신측으로부터 받은 유효 Tx링크의 식별자(id)를 나타내며, ASW_ORG(f)는 AvailTx(i)의 순방향 경로 정보, ASW_DES(b)와 CSW(b)는 역방향 경로 정보를 나타낸다(55). 앞에서 설명한 6개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착신ALS에 속한 인터_모듈 수신(inter_module Rx) 링크의 가용성을 조사하여, 호/서비스가 요구하는 대역을 만족하는 착신측 Rx 링크 하나를 찾아낸 후 그 Rx 링크의 식별자(id)와 발신 처리 기능 I 로부터 받은 AvailRx에 할당한다(56). 그 후 AvailRx에 할당된 유효한 발신측 Rx 링크 식별자(id)와 발신 처리 기능 I로부터 받은 AvailTx(i){1≤i≤Max_k}를 비교하여 같은 ACS 모듈로 연결된 AvailTx가 있는지 비교한다(57). 같은 ACS 모듈로 연결된 AvailTx(k) 링크가 없을 경우에는 착신측 Rx 링크의 식별자(id)를 분석하여 더 비교할 Rx 링크가 남아 있는지를 비교한다(58). 더 이상 비교할 Rx 링크가 남아있지 않은 경우에는 경로 설정 불가 처리를 한 후 프로시져를 마감한다(58'). 만일, 더 비교할 Rx 링크가 남아 있는 경우에는 착신측 수신 링크를 찾는 단계(56)로 가서 새로운 AvailRx 링크를 찾는다. 한편, 같은 ACS 모듈로 연결된 AvailTx(k) 링크가 있을 경우에는 선택된 Rx 링크인 AvailRx와 AvailTx(k)를 SelectedRx, SelectedTx 변수에 할당되고, 각 링크를 순방향 경로에 사용될 링크로 결정한다(59). 순방향 경로에 사용될 발신측의 Tx 링크(SelectedTx(k))와 착신측의 Rx 링크(SelectedRx)를 찾은 후 착신측의 형상 정보 데이타베이스를 억세스(access)하여 순방향 경로 정보(CSF(f), ASW DES(f))와 역방향 경로 정보(ASW ORG(b))를 찾는다(60). 양방향 경로에 사용될 링크와 그 각각에 해당하는 역/순방향 경로 정보를 찾은 후 발신측 링크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SelectedRx 링크가 BW만큼의 대역을 점유했음을 업데이트(update)한다(61). 그리고, 역방향 3 옥텟의 내부 라우팅 부가 헤더에 필요한 정보인 IC, MC, CDP, CT 등의 필드를 각 셀의 형태에 맞도록 채운다. IC는 휴지 셀(Idle-Cell)인지 아닌지를 표시하는 필드이고, MC는 멀티케스트 셀인지 아니면 점대점 서비스 셀인지를 구분하는 필드이고, CDP는 셀의 지연 우선 순위를 표시하는 필드이고, CT는 셀의 타입을 표시하는 필드이다(62). IC, MC, CDP, CT 등의 필드를 채운 완전한 3 옥텟의 부가 헤더가 완성되면 이 정보를 발신 가입자의 물리 주소(Source) 정보를 이용하여 착신 가입자 쪽의 순방향 셀 처리 블록(SIMC_term)쪽으로 역방향 경로 정보로 전송한다(63). 이 후, 발신측 링크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update)하고, 착신 가입자의 물리 주소(Destination)정보를 이용하여 발신 가입자쪽의 역방향 셀 처리 블럭(SIMC_term)쪽으로 역방향 경로 정보를 전송한 후 SelectedRx, SelectedTx, 순방향(ASW_ORG(f), CSW(f), ASW_DES(f))와 역방향 경로 정보(ASW_ORG(b), CSW(b), ASW_ DES(b))를 발신측으로 전송하면서착신측 양방향 경로 설정 처리 완료를 통보한다(64).
제5c도는 발신 처리 기능 Ⅱ로서, 착신 처리 기능 Ⅰ로부터 받은 SelectedTx, SelectedRx, 순방향 경로 정보(ASW_ORG(f), CSW(f), ASW_DES(f)) 및 발신 가입자의 물리 주소(Source) 파라미터가 필요하다. SelectedTx는 순방향 경로에 사용될 것으로 선택된 발신 ALS의 Tx 링크이고, 또한 역방향 경로에 사용될 Rx 링크이다. SelectedRx는 순방향 경로에 사용될 것으로 선택된 착신 ALS의 Rx 링크이고, 역방향 경로에 사용될 Tx 링크이다. 순방향 경로 정보는 발신측 스위치의 목적지 주소인 ASW_ORG(f), CSW 내에 존재하는 스위치의 목적지 주소인 CSW(f), 착신측 스위치의 목적지 주소인 ASW_DES(f)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소오스(Source)는 호/서비스의 발신 가입자의 물리적인 주소를 나타내고, 앞에서 설명한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순방향 경로 설정 처리의 마지막 단계인 발신 처리 기능 Ⅱ를 수행한다(65). 착신측으로부터 받은 SelectedTx를 이용하여 선택된 발신측 Tx가 BW만큼의 대역을 점유했음을 발신측 링크 관리 데이타베이스 업데이트(Update)한다(66). 그리고, 3 옥텟의 내부 라우팅 부가 헤더에 필요한 정보인 IC, MC, CDP, CT 등의 필드를 각 셀의 형태에 맞도록 채운다. IC는 휴지(Idle-Cell)인지 아닌지를 표시하는 필드이고, MC는 멀티케스트 셀인지 아니면 점대점 서비스 셀인지를 구분하는 필드이고, CDP는 셀의 지연 우선 순위를 표시하는 필드이고, CT는 셀의 타입을 표시하는 필드이다(67). IC, MC, CDP, CT 등의 필드를 채운 완전한 3 옥텟의 부가 헤더가 완성되면 이 정보를 발신 가입자의 물리 주소(Source) 정보를 이용하여 발신 가입자쪽의 순방향 셀 처리 블럭(SIMC_org)쪽으로 순방향 경로 정보로 전송한다(68).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대용량 완전 분산형 ATM 교환 시스템에서 효율적으로 점대점 복합형 양방향 경로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서브 시스템 단위인 ALS(ATM Local Subsystem)와 상기 서브 시스템들을 상호접속시키는 중앙 집중 모듈인 ACS(ATM Central Subsystem)를 구비하는 완전 분산형 ATM 교환 시스템에 적용되는 점대점 양방향 경로 제어 방법에 있어서, 발신 ALS는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발신측 인터-모듈 송신 링크를 찾고 연결 경로 정보를 추출하여 착신측으로 전송하면서 착신측 순방향 경로 설정을 요구하는 제1단계 ; 착신 ALS는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착신측 수신 링크를 찾고 순방향 경로 정보를 추출하여 발신측으로 전송하면서 착신측 순방향 경로 설정 처리 완료를 통보하는 제2단계 ; 상기 발신 ALS는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순방향 경로 정보를 파일링한 후에 셀 처리 블록으로 순방향 경로 정보를 전송하는 제3단계 ; 상기 착신 ALS는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착신측 송신 링크를 역방향 경로 정보를 추출하여 착신측으로 전송하면서 발신측 역방향경로 설정을 요구하는 제4단계 ; 상기 발신 ALS는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발신측 수신 링크를 찾고 역방향 경로 설정을 추출하여 착신측으로 전송하면서 발신측 역방향 경로 설정 처리 완료를 통보하는 제5단계 ; 및 상기 착신 ALS는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역방향 경로 정보를 파일링한 후에 셀 처리 블록으로 역방향 경로 정보를 전송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대점 양방향 경로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호/서비스가 요구하는 대역의 양, i번째 송신 링크의 사용 가능 대역의 양, 임의의 ALS에 소속된 인터-모듈 송신 링크의 개수, 발신 가입자의 물리적인 주소를 설정하는 제7단계 ; 상기 발신 ALS에 속한 인터-모듈 송신 링크의 가용성을 조사하여 호/서비스가 요구하는 대역을 만족하는 발신측 인터-모듈 송신 링크를 찾아내는 제8단계 ; 발신측의 형사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억세스하여 순방향경로 정보 중 발신 ASW의 목적지 주소를 링크별로 찾아내는 제9단계 ; 및 선택된 발신측 인터-모듈 송신 링크의 식별자, 각 인터-모듈 송신 링크의 순방향경로, 호/서비스가 요구하는 제10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대점 양방향 경로 제어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호/서비스가 요구하는 대역의 양, i번째의 수신 링크의 사용 가능 대역의 양, 임의의 ALS에 소속된 인터-모듈 수신 링크의 갯수, 발신 가입자의 물리적인 주소, 발신측으로부터 받은 유효 송신 링크의 식별자, 발신측으로 부터 받은 유효 송신 링크의 식별자의 순방향 경로 정보를 설정하는 제11단계 ; 상기 착신 ALS에 속한 인터-모듈 수신 링크의 가용성을 조사하여 호/서비스가 요구하는 대역을 만족하는 착신측 수신 링크 하나를 찾아낸 후에 ACS 모듈로 연결된 발신측 송신 링크를 찾는 과정을 착신 수신 링크의 끝까지 반복하는 제12단계 ; 발신측 송신 링크를 찾지 못하면 경로 설정 불가 처리를 하고, 발신측 송신 링크가 있으면 찾은 링크를 순방향 경로로 결정한 후에 착신측의 형상 정보 데이타베이스를 억세스하여 순방향 경로 정보를 찾는 제13단계 ; 및 발신측 링크 관리 데이타베이스를 업데이트하고 선택된 송신 링크 정보, 선택된 수신 링크 정보, 및 순방향 경로 정보를 발신측으로 전송하면서 착신측 순방향 경로 설정 처리 완료를 통보하는 제1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대점 양방향 경로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순방향 경로에 사용될 것으로 선택된 상기 발신 ALS의 송신 링크, 순방향 경로에 사용될 것으로 선택된 상기 착신 ALS의 수신 링크, 순방향 경로 정보, 호/서비스의 발신 가입자의 물리적인 주소를 설정하는 제15단계 ; 발신측 링크 관리 데이타베이스를 업데이트한 후에 내부 라우팅 부가헤더에 순방향 경로 정보를 채우는 제16단계 ; 및 부가 헤더에 정보를 발신 가입자의 물리 주소 정보를이용하여 발신 가입자쪽의 셀 철 블록으로 순방향 경로 정보를 전송하면서 착신측 역방향 경로 설정을 요구하는 제1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대점 양방향 경로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호/서비스가 요구하는 대역의 양, i번째 송신 링크의 사용 가능 대역의 양, 임의의 ALS에 소속된 인터-모듈 수신 링크의 갯수, 발신 가입자의 물리적인 주소를 설정하는 제18단계 ; 상기 발신 ALS에 속한 인터-모듈 송신 링크의 가용성을 조사하여 호/서비스가 요구하는 대역을 만족하는 착신측 송신 링크를 찾아내는 제19단계 ; 발신측의 형상 정보 데이타베이스를 억세스하여 역방향 경로 정보 중 발신 ASW의 목적지 주소를 링크별로 찾아내는 제20단계 ; 및 선택된 발신측 송신 링크의 식별자, 각 송신 링크의 역방향 경로, 호/서비스가 요구하는 대역의 양, 발신 가입자의 물리적 주소를 발신측으로 전송하면서 역방향 경로 설정을 요구하는 제21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점대점 양방향 경로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호/서비스가 요구하는 대역의 양, i번째 수신 링크의 사용 가능 대역의 양, 임의의 ALS에 소속된 인터-모듈 수신 링크의 개수, 발신 가입자의 물리적인 주소, 착신측으로 부터 받은 유효 착신측 송신 링크의 식별자, 착신측으로부터 받은 유효 착신측 송신 링크의 식별자의 역방향 경로 정보를 설정하는 제22단계 ; 상기 발신 ALS에 속한 인터-모듈 수신 링크의 가용성을 조사하여 호/서비스가 요구하는 대역을 만족하는 발신측 수신 링크 하나를 찾아낸 후에 ACS 모듈로 연결된 착신측 송신 링크를 찾는 과정을 발신 수신 링크의 끝까지 반복하는 제23단계와 ; 착신측 송신 링크를 찾지 못하면 경로 설정 불가 처리를 하고, 착신측 송신 링크가 있으면, 찾은 링크를 역방향 경로로 결정한 후에 착신측의 형상 정보 데이타베이스를 억세스하여 역방향 경로 정보를 찾는 제24단계 ; 및 발신측 링크 관리 데이타베이스를 업데이트하고 선택된 송신 링크 정보, 선택된 수신 링크 정보, 역방향 경로 정보를 발신측으로 전송하면서 발신측 방방향 경로 설정 처리 완료를 통보하는 제2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대점 양방향 경로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는, 역방향 경로에 사용될 것으로 선택된 상기 착신 ALS의 송신 링크, 역방향 경로에 사용될 것으로 선택된 상기 발신 ALS의 수신 링크, 역방향 경로 정보, 호/서비스의 착신 가입자의 물리적인 주소를 설정하는 제26단계 ; 착신측 링크 관리 데이타베이스를 업데이트한 후에 내부 라우팅 부가 헤더에 역방향 경로 정보를 채우는 제27단계 ; 및 부가 헤더의 정보를 착신 가입자의 물리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착신 가입자쪽의 역방향 셀 처리 블럭으로 역방향 경로 정보를 전송하는 제28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대점 양방향 경로 제어 방법.
  8.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서브시스템 단위인 ALS(ATM Local Subsystem)와 상기 서브시스템들을 상호 접속시키는 중앙 집중 모듈인 ACS(ATM Central Subsystem)를 구비하는 완전 분산형 ATM 교환 시스템에 적용되는 점대점 양방향 경로 제어 방법에 있어서,발신 ALS는 파라메터를 설정하고 발신측 인터-모듈 숭신 링크를 찾고 순/역방향 경로 정보를 추출하여 착신측으로 전송하면서 착신측 순방향 경로 설정을 요구하는 제1단계 ; 착신 ALS는 파라메터를 설정하고 착신측 수신 링크와 순/역방향 경로를 추출하여 역방향 경로 정보를 파일링하고 역방향 입력 셀 처리 블럭으로 역방향 경로 정보를 전송한 후에 상기 추출 정보를 발신측으로 전송하면서 착신측 순방향 경로 설정 처리 완료를 통보하는 제 2 단계 ; 및 상기 발신 ALS는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순방향 경로 정보를 파일링한 후에 순방향 입력 셀 처리 블럭으로 순방향 경로 정보를 전송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대점 양방향 경로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호/서비스가 요구하는 대역의 양, I번째 송신 링크의 사용 가능 대역의 양, 임의의 ALS에 소속된 인터-모듈 송신 링크의 갯수, 발신 가입자의 물리적인 주소를 설정하는 제4단계 ; 상기 발신 ALS에 속한 인터-모듈 송신 링크의 가용성을 조사하여 호/서비스가 요구하는 대역을 만족하는 발신측 인터-모듈 송신 링크를 찾아내는 제5단계 ; 발신측의 형상 정보 데이타베이스를 억세스하여 순방향 경로 정보 중 발신 ASW의 목적지 주소 및 역방향 경로 정보 중 착신 ASW의 목적지 주소와 CSW의 목적지 주소를 링크별로 찾아내는 제6단계 ; 및 선택된 발신측 인터-모듈 송신 링크의 식별자. 각 인터-모듈 송신 링크의 순방향 경로 정보, 역방향 경로 정보, 호/서비스가 요구하는 대역의 양 및 착신 가입자의 물리적 주소를 착신측으로 전송하면서 착신측 순방향 경로 설정을 요구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대점 양방향 경로 제어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호/서비스가 요구하는 대역의 양, I번째 수신 링크의 사용 가능 대역의 양, 임의의 ALS에 소속된 인터-모듈 수신 링크의 갯수, 발신 가입자의 물리적인 주소, 발신측으로부터 받은 유효 송신 링크의 식별자, 발신측으로 부터 받은 유효 송신 링크의 식별자의 순방향 경로 정보의 역방향 경로 정보를 설정하는 제8단계 ; 상기 착신 ALS에 속한 인터- 모듈 수신 링크의 가용성을 조사하여 호/서비스가 요구하는 대역을 만족하는 착신측 수신 링크 하나를 찾아낸 후에 ACS 모듈로 연결된 발신측 송신 링크를 찾는 과정을 착신 수신 링크의 끝까지 반복하는 제9단계 ; 발신측 송신 링크를 찾지 못하면 경로 설정 불가 처리를 하고. 발신측 송신 링크가 있으면 찾은 링크를 순방향 경로로 결정한 후에 착신측의 형상 정보 데이타베이스를 억세스하여 순/역방향 경로 정보를 찾는 제10단계 ; 및 발신측 링크 관리 데이타베이스를 업데이트하고 내부 라우팅 부가 헤더에 역방향 경로 정보를 채운 후에 선택된 송신 링크 정보, 선택된 수신 링크 정보, 순방향 경로 정보, 역방향 경로 정보를 발신측으로 전송하면서 착신측 순방향 경로 설정 처리 완료를 통보하는 제11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대점 양방향 경로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순방향 경로의 상기 발신 ALS의 송신 링크와 역방향 경로의 수신 링크에 사용될 것으로 선택된 링크, 순방향 경로의 상기 착신 ALS의 수신링크와 역방향 링크의 송신 링크로 사용될 것으로 선택된 링크, 순방향 경로 정보, 역방향 경로 정보, 호/서비스의 발신 가입자의 물리적인 주소를 설정하는 제 12단계 ; 발신측 링크 관리 데이타베이스를 업데이트한 후에 내부 라우팅 부가헤더에 순방향 경로 정보를 채우는 제13단계 ; 및 부가 헤더의 정보를 발신 가입자의 물리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발신 가입자쪽의 순방향 셀 처리 블록으로 순방향 경로 정보를 전송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대점 양방향 경로 제어 방법.
KR1019940033162A 1994-12-07 1994-12-07 완전 분산형 비동기 전달모드(atm) 교환 시스템에서의 점대점 양방향 경로 제어 방법 KR0121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3162A KR0121766B1 (ko) 1994-12-07 1994-12-07 완전 분산형 비동기 전달모드(atm) 교환 시스템에서의 점대점 양방향 경로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3162A KR0121766B1 (ko) 1994-12-07 1994-12-07 완전 분산형 비동기 전달모드(atm) 교환 시스템에서의 점대점 양방향 경로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799A KR960027799A (ko) 1996-07-22
KR0121766B1 true KR0121766B1 (ko) 1997-11-20

Family

ID=19400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3162A KR0121766B1 (ko) 1994-12-07 1994-12-07 완전 분산형 비동기 전달모드(atm) 교환 시스템에서의 점대점 양방향 경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17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1579B1 (ko) * 1997-06-30 2000-04-15 윤종용 Atm, 프레임 릴레이, pdh망에서 pvc와 svc의 전체 경로에 대한 정보 추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799A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50819B1 (en) Switching arrangement with broadband and narrowband packet switches
EP0450818A2 (en) Broadband ISDN packet switching arrangements
JPH04290333A (ja) ポイント対マルチポイント接続方式
JPH077505A (ja) パケット通信における私設網構成方式
EP0958683B1 (en) Atm network providing transparently narrowband based telephony services without requiring stm-switching
KR0121766B1 (ko) 완전 분산형 비동기 전달모드(atm) 교환 시스템에서의 점대점 양방향 경로 제어 방법
JP4199929B2 (ja) 電気通信ノードの内部トラフィック
KR0123255B1 (ko) 완전 분산형 에이티엠(atm) 교환 시스템에서의 점대점 단방향 경로 제어 방법
KR100195058B1 (ko) Atm 교환기에 있어서 연결수락 제어방법
AU670662B2 (e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KR100198446B1 (ko) 출중계 중계선에서 사용자-사용자 교환 가상 경로 연결의 제공방법
KR950012324B1 (ko) 부분 집중형 atm 교환 노드의 호설정 방법
KR100198445B1 (ko) 입중계 접속면에서 사용자-사용자 교환 가상 경로 연결의 제공방법
KR100194627B1 (ko) 착신측 사용자-망 접면에서 사용자-사용자 교환 가상 경로 연결의 제공 방법
KR0175485B1 (ko) 완전 분산형 비동기전달모드 교환 시스템에서 재시도를 이용한 경로 제어 방법
KR100262944B1 (ko) 망-망접면에서입중계호제어절차를이용한가상통로의제공방법
KR100294045B1 (ko) 부하분배 및 평형을 위한 비동기 전송 모드 시그널링 호 설정 방법
KR19980055541A (ko) Atm망에서 pvc 동적 설정/해제 방법
KR100265856B1 (ko) 망-망접면에서출중계호제어절차를이용한가상통로의제공방법
KR100291594B1 (ko) 비동기전달모드 가상 채널 교환시스템에서 루트에 의한 점대다중점 호설정 방법
KR970002710B1 (ko) 에이. 티. 엠(atm) 교환시스템에서의 에이. 티. 엠. 적응 부계층(aal)과 호제어 계층간의 정합 방법
KR0175484B1 (ko) 완전 분산형 비동기전달모드 교환 시스템에서의 대역예약을 이용한 경로제어방법
JP2003032294A (ja) パケット伝送網交換ユニット
KR100346848B1 (ko)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시스템에서 점대다중점 출중계호의 제공방법
KR0129560B1 (ko) 비동기 전달 모드(atm) 방식 교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