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6848B1 -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시스템에서 점대다중점 출중계호의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시스템에서 점대다중점 출중계호의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6848B1
KR100346848B1 KR1019990025992A KR19990025992A KR100346848B1 KR 100346848 B1 KR100346848 B1 KR 100346848B1 KR 1019990025992 A KR1019990025992 A KR 1019990025992A KR 19990025992 A KR19990025992 A KR 19990025992A KR 100346848 B1 KR100346848 B1 KR 100346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going
leaf
call
point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5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5191A (ko
Inventor
김정윤
송호영
김승희
주성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19990025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6848B1/ko
Publication of KR20010005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5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8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7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biological materials, plants or microorg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70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602
    • B01D2257/708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80Employing electric, magnetic, electromagnet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01D2259/804UV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TM 교환시스템에서 점대다중점 출중계호의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가입자 호와 중계 호를 처리하는 ALS/가입자와 ALS/중계선으로 분류된 ATM 국부 교환 부 시스템과 ATM 중앙 교환 부 시스템의 두 부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ATM 교환 시스템에서 점대다중점 출중계호의 제공을 위해 점대다중점 출중계호의 프로세스에서 첫 번째 리프를 설정하는 과정, 상기 점대다중점 출중계호의 프로세스에 리프가 하나만 있을 경우 이를 해제하는 과정, 하나의 출중계 리프를 설정한 후 다른 리프를 추가하는 과정 및 상기 점대다중점 출중계호 프로세스에 두 개 이상의 출중계 리프가 있을 경우 리프를 삭제하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점대다중점 출중계호의 설정, 유지 그리고 해제 기능에 있어서 한 개의 점대다중점 출중계호 프로세스만 생성하여 다수의 출중계 리프를 연결할 수 있으므로 프로세서의 메모리 사용을 감소할 수 있으며, 테이블을 이용하여 출중계 리프 식별자를 생성하고 삭제하므로 리프 식별자를 관리하기가 용이하고, 또한 동일한 출중계 링크를 통과하는 다수개의 리프에 대하여 한번만 가상 채널과 대역폭을 할당하고 해제하므로 망 자원의 효율성과 호 처리 기능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에 따라서 멀티캐스팅 서비스에 적용할 때 그 효과가 극대화 된다.

Description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시스템에서 점대다중점 출중계호의 제공방법{Method for Supporting Point-to-Multipoint Trunk Call in ATM Switching System}
본 발명은 비동기 전송모드(Asynchronous Transfer Mode, 이하 ATM라 칭함) 교환시스템에서 점대다중점 출중계호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중계선 신호방식(B-ISUP) 기반의 발신 ATM 교환시스템에서 발신 가입자가 요구하는 호를 설정하기 위하여 다른 ATM 교환시스템으로 착신될 수 있도록 하는 출중계호 제공 방법 중에서 특히 점대다중점 호의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점대점 출중계호의 제공 방법은 먼저 발신 사용자가 서로 틀리며, 다른 가상 채널을 할당해야 하고 각각의 호 설정 요구 횟수에 따라서 교환시스템의 대역폭을 매번 점유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동일한 출중계 링크를 사용하는 호에 대하여 가상 채널과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멀티캐스팅(Multicasting)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점대다중점 출중계호 제공방법을 창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점대다중점 출중계호는 루트(Root)라고 불리는 동일한 발신 사용자가 리프(Leaf)라고 불리는 여러 착신 사용자 사이에서 호를 설정하는 것으로서 동일한 출중계 링크를 사용하는 경우에 동일한 가상 채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첫 번째 호에 할당하는 대역폭을 그 후에 설정되는 호에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점대다중점 출중계호의 프로세스에 첫 번째 리프를 설정하는 과정, 상기 점대다중점 출중계호의 프로세스에 리프가 하나만 있을 경우 이를 해제하는 과정, 하나의 출중계 리프를 설정한 후 다른 리프를 추가하는 과정 및 상기 점대다중점 출중계호 프로세스에 두 개 이상의 출중계 리프가 있을 경우 리프를 삭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ATM 교환시스템의 전체 구조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ATM 교환시스템의 호처리 블록 구성도,
도 3a 에서 3j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점대다중점 출중계호 제공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ATM 국부 교환 부 시스템 110 : ALS/가입자
111, 121 : ATM 교환 망 모듈 111a, 121a: ATM 교환 하드웨어
112, 122 : 호 처리 프로세서 113 : 가입자 인터페이스 모듈
114 : 가입자 호 처리부 115 : 가입자 링크 자원 관리부
116, 126 : 국번 번역부
117, 127 : 스위치 링크 자원 관리부
120 : ALS/중계선 123 : 중계선 정합모듈
124 : 중계선 호 처리부 125 : 중계선 링크 자원 관리부
200 : ATM 중앙 교환 부 시스템 210 : 중앙 교환 하드웨어
220 : 운용보전 프로세서 230 : 번호 번역부
240 : 루트 제어부 250 : 운용보전부
260 : 입출력 장치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ATM 교환시스템의 전체 구조도로서, 가입자 호와 인터페이스를 처리하는 ALS/가입자(ALS/Subscriber, 이하 ALS/S라 칭함)(110)와 ALS/중계선(ALS/Trunk, 이하 ALS/T라 칭함)(120)으로 분류된 ATM 국부 교환 부 시스템(ATM Local Switching Subsystem, 이하 ALS라 칭함)(100)과 ATM 중앙 교환 부 시스템(ATM Central Switching Subsystem, 이하 ACS라 칭함)(200) 두 부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상기 ALS/S(110)는 ATM 셀의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는 ALS 교환 하드웨어(ALSSwitch Hardware, 이하 ASWH라 칭함)(111a), 여러 개의 ASWH를 포함하는 ATM 교환 망 모듈(ATM Switch Network Module, 이하 ASNM라 칭함)(111), 주로 호 처리 블록과 같은 소프트웨어 블록들이 탑재된 호 처리 프로세서(Call and Connection Control Processor, 이하 CCCP라 칭함)(112) 그리고 가입자 정합 모듈(Subscriber Interface Module, 이하 SIM라 칭함)(113)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ALS/T(120)는 ASWH(121a), ASNM(121), CCCP(122) 그리고 중계선 정합 모듈(Trunk Interface Module, 이하 TIM라 칭함)(123)로 구성된다.
ACS는 ASWH를 연결하는 중앙 교환 하드웨어(Central Switch Hardware, 이하 CSWH라 칭함)(210), 여러 CSWH를 포함하는 상호 교환 망 모듈(Inter-Switch Network Module)(211) 그리고 주로 유지 보수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블록이 탑재되는 운용보전 프로세서(Operation and Maintenance Processor, 이하 OMP라 칭함)(220)로 구성된다.
한편 상호 운용 모듈 정합(Inter-Module Interface)은 모듈간의 인터페이스를 정의한다.
점대점 출중계호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주요 호 처리 소프트웨어 블록의 구성은 도 2 와 같다.
상기 도 2는 다른 교환기로 발신하거나 착신하는 중계호의 설정, 유지 및 해제를 담당하는 중계선 호처리부(Network Protocol Control Function, 이하 NPCF라 칭함)(124), 중계선 링크의 자원과 가상 채널을 할당하고 삭제하는 중계선 링크 자원 관리부(Network Link Resource Handling Function, 이하 NLRHF라 칭함)(125),ATM 어드레스의 국번 번역을 담당하는 국번 번역부(Number Translation Library Function, 이하 NTLF라 칭함)(126) 및 내부 스위치의 경로 설정과 스위치 링크의 대역폭을 할당하는 스위치 링크 자원 관리부(Switch Link Resource Handling Function, 이하 SLRHF라 칭함)(127)으로 이루어진 ALS/T(120)와, 가입자의호의 설정, 유지 그리고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가입자 호처리부(User Service Protocol Function, 이하 USCF라 칭함)(1143), 가입자 링크의 자원과 가상 채널을 할당하고 삭제하는 가입자 링크 자원 관리부(User Link Resource Handling Function, 이하 ULRHF라 칭함)(1154), NTLF(1165) 및 SLRHF(1176)을 구비한 ALS/S(110) 및 ATM의 어드레스 번호를 번역하는 번호 번역부(Number Translation Control Function, 이하 NTCF라 칭함)(230), 다른 교환시스템으로 나가는 출중계 루트(Route)를 할당하고 대역을 관리하는 루트 제어부(Route Control Function, 이하 RTCF라 칭함)(240), 내부 및 외부 링크의 상태, 스위치 상태를 관리하는 운용보전부(Operation and Maintenance Module, 이하 OAM라 칭함)(250)로 구성된다.
도 3a 에서 3j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점대다중점 출중계호 제공 흐름도로서, 상기 도 3a 에서 도 3c 는 점대다중점 출중계호의 첫 번째 리프를 설정하는 순서도이며, 제 3d 에서 도 3e 는 점대다중점 출중계호 프로세스에 리프가 하나만 있을 때의 해제 순서도이다.
먼저 중계선 호 처리 블록(NPCF)이 유휴 상태(S100)에서 가입자 호 처리 블록(USCF)으로부터 점대다중점 출중계호를 요구하는 IAMsgm_int 메시지를수신하면(S101) 이 메시지를 분석하여 점대다중점 출중계호의 설정, 유지 그리고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점대다중점 출중계호 프로세스를 생성하고 출중계 연결 링크 식별자(Outgoing Connection Link Identifier, 이하 OCLID라 칭함)와 출중계 리프 식별자(Outgoing Leaf Identifier, 이하 OLID라 칭함)를 할당하며(S102), 생성된 점대다중점 출중계호 프로세스는 NLRHF 블록을 호출하여 출중계 링크의 자원을 할당하고(S103) SLRHF 블록을 호출하여 내부 스위치의 경로를 설정하고 대역폭을 할당하며(S104) 상기 IAMsgm_int 메시지에 대하여 지금까지 수행한 결과에 대한 응답처리로서 USCF SwLinkInfoRP 메시지를 송신하고(S105) 다음 교환시스템(Succeeding Switching System)으로 출중계호를 계속 진행하기 위하여 초기 주소메시지(Initial Address Message, 이하 IAM라 칭함)를 송신하고(S106) IAM 메시지의 응답인 IAM 응답 메시지(IAM Acknowledge Message, 이하 IAA라 칭함)를 대기한다(S107).
메시지 대기상태(S107)에서 다음 교환기로부터 IAA 메시지를 수신하면(S108) 출중계 링크의 중계선 정합모듈에 ATM 셀 경로 및 대역폭을 통보하고(S109) 응답 메시지(Answer Message, 이하 ANM라 칭함)를 대기한다(S110).
상기 ANM 메시지 대기 상태(S110)에서 다음 교환기로부터 출중계호의 설정을 요구하는 IAMsgm_int 메시지의 응답으로서 호 설정요구가 완료되었음을 통보하는 ANM 메시지를 수신하면(S111), 이 사실을 가입자 호 처리 블록에게 알리기 위하여 연결완료(Connect_int) 메시지를 송신하며(S112), 발신 가입자가 요구한 호가 완료되었음을 표시하는 통화 중 상태(S113)로 천이된다.
이때부터 발신 사용자인 루트(Root)는 착신 가입자에게 ATM 셀을 전달할 수있고 멀티캐스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멀티캐스팅 서비스가 종료된 후 통화 중 상태인 점대다중점 출중계 프로세스가 가입자 호 처리 블록으로부터 연결되어 있는 출중계호의 해제를 요구하는 해제 요구(Release_int) 메시지를 수신하면(S114) 출중계 링크의 중계선 정합 모듈에게 셀 경로 해제 및 대역폭 삭제를 요구하고(S115) 내부스위치의 경로해제와 대역폭을 반환하기 위하여 SLRHF 블록을 호출하고(S116), 출중계 루트(Route)에 할당된 부 루트와 대역폭을 해제하기 위하여 RTCF 블록을 호출하고(S117), 출중계 링크의 자원을 반환하기 위하여 NLRHF 블록을 호출하며(S118), 다음 교환기로 호의 해제를 요청하기 위하여 해제(REL) 메시지를 송신하고(S119) 이 메시지의 응답인 해제완료(Release Complete, 이하 RLC라 칭함) 메시지를 대기한다(S120).
RLC 메시지 대기상태(S120)에서 다음 교환기로부터 RLC 메시지를 수신하면(S121) 출중계 연결 링크 식별자와 출중계 리프 식별자를 반환하고 점대다중점 출중계호 프로세스를 종료하고(S122) 유휴 상태의 중계선 호 처리 블록인 유휴상태로 된다.
다음으로, 도 3f 에서 도 3h 는 하나의 출중계 리프를 설정한 후 다른 리프를 추가하는 순서도이고, 도 3i 에서 3j 는 점대다중점 출중계호 프로세스에 두 개 이상의 출중계 리프가 있을때의 리프를 삭제하는 순서도이다.
먼저 리프를 추가하는 순서는 점대다중점 출중계호 프로세스가 ANM 메시지 대기 상태 또는 통화중 상태(S200)에서 USCF로부터 출중계 리프의 추가를 요구하는 추가요구(AddIAM_int) 메시지를 수신하면(S201), 출중계 리프 식별자를할당하고(S202) AddIAM_int 메시지의 응답으로 응답(SwLinkInfoRP) 메시지를 송신하며(S203) 다음 교환기로 리프의 추가룰 요청하는 IAM 메시지를 송신하고(S204) IAA 메시지를 대기한다(S205).
IAA 메시지 대기상태(S205)에서 IAA 메시지를 수신하고(S206) ANM 메시지 대기상태로 된다(S207).
ANM 메시지 대기상태(S207)에서 다음 교환기로부터 출중계 리프의 추가가 완료되었음을 통보하는 ANM 메시지를 수신하면(S208) 이 사실을 USCF 블록으로 알리기 위해 연결완료(Connect_int) 메시지를 송신하고(S209) 출중계 리프의 추가가 완료되었음을 표시하는 통화중 상태로 된다(S210).
이후의 동일한 출중계 링크에 대한 리프의 추가는 상기 점대다중점 출중계호 프로세스가 ANM 메시지 대기 상태 또는 통화중 상태(S200)에서부터 상기 출중계 리프의 추가가 완료되었음을 표시하는 통화중 상태(S210)의 순서를 반복하여 수행된다.
두개 이상의 출중계 리프가 점대다중점 출중계 프로세스에 존재하는 경우의 삭제 순서는, 먼저 출중계 리프가 통화중 상태(S210)에서 USCF로부터 리프의 삭제를 요구하는 Release_int 메시지를 수신하여 USCF로부터 리프의 삭제를 요구하는 Release_int 메시지를 수신하면(S211) 다음 교환기 리프의 삭제를 요구하는 REL 메시지를 송신하고(S212) REL 메시지의 응답인 RCL 메시지를 대기한다(S213).
또한 RCL 메시지 대기 상태(S213)에서 RCL 메시지를 수신하면(S214) 출중계 리프 식별자를 점대다중점 출중계호 프로세스에게 반환하며(S215) 유휴 상태의 출중계 리프(S216) 상태가 된다.
상위의 리프 삭제 절차는 점대다중점 출중계호 프로세스에 리프가 두개 이상이 존재할 때 반복하여 사용하며, 점대다중점 출중계호 프로세스에 리프가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의 리프 해제는 상기 발신 가입자가 요구한 호가 완료되었음을 표시하는 통화 상태(S113)에서 Release(REL) 메시지의 응답인 Release Conplete(RLC) 메시지의 대기(S120) 절차와 Release Complete(RLC) 메시지 대기(S120)에서 부터 중계선 호 처리 블록(NPCF)의 유휴 상태(S100)의 절차와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점대다중점 출중계호의 설정, 유지 그리고 해제 기능에 있어서 한 개의 점대다중점 출중계호 프로세스만 생성하여 다수의 출중계 리프를 연결할 수 있으므로 프로세서의 메모리 사용을 감소할 수 있으며, 테이블을 이용하여 출중계 리프 식별자를 생성하고 삭제하므로 리프 식별자를 관리하기가용이하다.
또한 동일한 출중계 링크를 통과하는 다수개의 리프에 대하여 한번만 가상 채널과 대역폭을 할당하고 해제하므로 망 자원의 효율성과 호 처리 기능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에 따라서 멀티캐스팅 서비스에 적용할 때 그 효과가 극대화 된다.

Claims (5)

  1. 가입자 호와 중계 호를 처리하는 ALS/가입자와 ALS/중계선으로 분류된 ATM 국부 교환 부 시스템과 ATM 중앙 교환 부 시스템의 두 부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ATM 교환 시스템에서 한 개의 프로세서만 생성하고 테이블을 이용하여 다수의 리프를 관리하는 점대다중점 출중계호의 제공을 위해,
    점대다중점 출중계호의 프로세스에 첫 번째 리프를 설정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점대다중점 출중계호의 프로세스에 리프가 하나만 있을 경우 이를 해제하는 제 2 과정과;
    하나의 출중계 리프를 설정한 후 다른 리프를 추가하는 제 3 과정; 및
    상기 점대다중점 출중계호 프로세스에 두 개 이상의 출중계 리프가 있을 경우 리프를 삭제하는 제 4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교환시스템에서 점대다중점 출중계호의 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과정은,
    중계선 호 처리 블록이 유휴상태에서 가입자 호 처리 블록으로 부터 수신한 점대다중점 출중계호 요구 메시지 분석 후 점대다중점 출중계호 프로세스를 생성하고 출중계 연결 링크 식별자 및 출중계 리프 식별자를 할당하는 제 1 단계와;
    생성된 점대다중점 출중계호 프로세스가 중계선 링크 자원 관리부를 호출하여 출중계 링크의 자원을 할당하고 스위치 링크 자원 관리부를 호출하여 내부 스위치의 경로를 설정하고 대역폭을 할당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점대다중점 출중계호 요구 메시지에 대한 응답처리로 가입자 호 처리부로 수행결과 응답 처리 메시지를 송신한 후 교환시스템으로 출중계호의 진행을 위해 초기주소 메시지를 송신하고 초기주소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대기하는 제 3 단계와;
    메시지 대기상태에서 다음 교환기로부터 초기주소 메시지를 수신하면 출중계 링크의 중계선 정합모듈에 ATM 셀 경로 및 대역폭을 통보하고 응답 메시지를 대기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응답 메시지 대기상태에서 다음 교환기로부터 호가 설정되었음을 통보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 사실을 가입자 호 처리부로 알리기 위해 연결완료 메시지를 송신하고 발신 가입자가 요구한 호가 완료되었음을 표시하는 통화중 상태가 되는 제 5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교환시스템에서 점대다중점 출중계호의 제공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과정은,
    통화 중 상태에서 점대다중점 출중계 프로세스가 가입자 호 처리부로부터 출중계호 해제요구 메시지를 수신하여 출중계 링크의 중계선 정합 모듈에게 셀 경로 해제 및 대역폭 삭제를 요구하는 제 1 단계와;
    셀 경로 해제 및 대역폭 삭제 요구 후 내부스위치의 경로해제와 대역폭 반환을 위해 스위치 링크 자원 관리부를 호출하고, 출중계 루트에 할당된 부 루트와 대역폭 해제를 위해 루트 제어부를 호출하고, 출중계 링크의 자원 반환을 위해 중계선 링크 자원 관리부를 호출하는 제 2 단계와;
    다음 교환기로 상기 호의 해제 요청을 위해 해제 메시지를 송신하고 응답메시지인 해제완료 메시지를 대기하는 제 3 단계와;
    해제완료 메시지 대기상태에서 다음 교환기로부터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면 출중계 연결 링크 식별자와 출중계 리프 식별자를 반환하고 점대다중점 출중계호 프로세스를 종료한 후 유휴 상태의 중계선 호 처리부인 유휴상태가 되는 제 4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교환시스템에서 점대다중점 출중계호의 제공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과정은,
    점대다중점 출중게호 프로세스가 응답메시지 대기상태 또는 통화중 상태에서 가입자 호 처리부로부터 출중계 리프의 추가를 요구하는 추가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 출중계 리프 식별자를 할당하고 추가요구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여 다음 교환기로 리프의 추가를 요청하는 요구메시지를 송신하고 초기요구 메시지의 응답 메시지를 대기한 후 제 1 단계와;
    상기 초기요구 메시지의 응답 메시지 대기상태에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응답 메시지 대기상태가 되는 제 2 단계와;
    상기 응답 메시지 대기상태에서 다음 교환기로부터 출중계 리프의 추가가 완료되었음을 통보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 수신 사실을 가입자 호 처리부로 알리기 위해 연결요구 메시지를 송신하고 출중계 리프의 추가가 완료되었음을 표시하는 통화중 상태가 되는 제 3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교환시스템에서 점대다중점 출중계호의 제공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과정은,
    출중계 리프가 통화중 상태에서 가입자 호 처리부로부터 리프의 삭제를 요구하는 해제요구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가입자 호 처리부로부터 리프의 삭제를 요구하는 해제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해제요구 메시지 수신 후 다음 교환기 리프의 삭제를 요구하는 해제 메시지를 송신하고 해제 메시지의 응답인 해제완료 메시지를 대기하는 제 2 단계와;
    해제완료 메시지 대기 상태에서 해제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출중계 리프 식별자를 점대다중점 출중계호 프로세스에게 반환하고, 유휴 상태의 출중계 리프 상태로 되는 제 3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교환시스템에서 점대다중점 출중계호의 제공방법.
KR1019990025992A 1999-06-30 1999-06-30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시스템에서 점대다중점 출중계호의 제공방법 KR100346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992A KR100346848B1 (ko) 1999-06-30 1999-06-30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시스템에서 점대다중점 출중계호의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992A KR100346848B1 (ko) 1999-06-30 1999-06-30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시스템에서 점대다중점 출중계호의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5191A KR20010005191A (ko) 2001-01-15
KR100346848B1 true KR100346848B1 (ko) 2002-08-01

Family

ID=19598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5992A KR100346848B1 (ko) 1999-06-30 1999-06-30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시스템에서 점대다중점 출중계호의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684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5191A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26447C (en) Distributed network control and fabric application interface
JPH1013534A (ja) 通信網の制御装置
EP096365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erencing in an expandab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S7548550B1 (en) Intelligent peripheral concentrator
KR100346848B1 (ko)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시스템에서 점대다중점 출중계호의 제공방법
KR940008778B1 (ko) 전전자 교환기의 No.7 신호방식 메시지 전달부와 사용자부의 정합 방법
KR0121766B1 (ko) 완전 분산형 비동기 전달모드(atm) 교환 시스템에서의 점대점 양방향 경로 제어 방법
KR100291594B1 (ko) 비동기전달모드 가상 채널 교환시스템에서 루트에 의한 점대다중점 호설정 방법
KR100205027B1 (ko)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 사용자부 중계호 제공방법
KR100236954B1 (ko) 다단 스위치 구조를 갖는 비동기전달모드 교환 시스템에서 분산 경로설정 제어방법
KR100237396B1 (ko)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 시스템을 위한 중앙집중 경로제어 방법
JP2635581B2 (ja) 情報通信ネツトワーク
KR100262944B1 (ko) 망-망접면에서입중계호제어절차를이용한가상통로의제공방법
KR0173378B1 (ko)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 시스팀에서 입중계 중계선 호제공 방법
KR0123255B1 (ko) 완전 분산형 에이티엠(atm) 교환 시스템에서의 점대점 단방향 경로 제어 방법
KR100194627B1 (ko) 착신측 사용자-망 접면에서 사용자-사용자 교환 가상 경로 연결의 제공 방법
JP2962960B2 (ja) Atm交換機におけるコネクション・レス型通信方式
KR100232878B1 (ko) 비동기모드망의 망서비스에서 동적 대역폭 활용방법
KR100265856B1 (ko) 망-망접면에서출중계호제어절차를이용한가상통로의제공방법
KR0169905B1 (ko) 비동기식 전송모드 가상 채널 교환기의 호 관리방법
KR0169251B1 (ko) 비동기 전송 모드 가상 채널 교환기에서 인터페이스 모듈 제어기 재시동에 의해 발생된 호 해제 방법
JP2000124919A (ja) Atmシグナリング装置及びatmシグナリング方法
KR970000676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넘버7(No.7) 신호방식 종합정보 통신망 사용자부와 애널로그 가입자와의 정합방법
JPS6346046A (ja) バ−スト通信制御方式
KR0152234B1 (ko) 집중형 액세스 노드 시스템의 호 중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