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7042B1 - 주소 변환 서버를 이용한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치의 부하배분 방법 - Google Patents

주소 변환 서버를 이용한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치의 부하배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7042B1
KR100247042B1 KR1019970069634A KR19970069634A KR100247042B1 KR 100247042 B1 KR100247042 B1 KR 100247042B1 KR 1019970069634 A KR1019970069634 A KR 1019970069634A KR 19970069634 A KR19970069634 A KR 19970069634A KR 100247042 B1 KR100247042 B1 KR 100247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port
call
address translation
a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9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0507A (ko
Inventor
박찬영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69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7042B1/ko
Publication of KR19990050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0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7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7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50Overload detection or protection within a single switching el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23Errors, e.g. transmission e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78Architectures of resource allocation
    • H04L47/783Distributed allocation of resources, e.g. bandwidth bro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55Prevention, detection or correction of e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09Mapping addresses
    • H04L61/25Mapping addresses of the same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01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accessing one among a plurality of replicated servers
    • H04L67/1034Reaction to server failures by a load balanc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78Traffic aspects, e.g. arbitration, load balancing, smoothing, buffer management
    • H04L2012/568Load balancing, smoothing or sha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TM 스위치에서의 SVC(Switched Virtual Circuit)호 설정시의 주소 변환 서버를 이용한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치의 부하 배분 방법 및 비동기 전송 모드 시스템에 있어서 주소 변환 서버의 메세지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소 변환 서버를 이용한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치의 부하 배분 방법은, 각 ATM 스위치가 사용자로부터 SVC호 요구를 받아서 ATS로 주소 변환 요구 메세지를 보내는 단계, 상기 ATS에서 주소 변환 응답 메세지를 수신하면 상기 주소 변환 응답을 받은 ATM 스위치가 해당 주소로 호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 호 연결이 성공이면 소스쪽 ATM 스위치는 CALL_CONFIRMED 메세지를 ATS로 보내고, 사용자에게 SVC 호 연결 확인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메세지 전송 단계에서 호 연결이 성공하지 못하는 이유가 PORT_FAIL인지를 물어서, PORT_FAIL이면 PORT_FAIL 메세지를 전송하고, 사용자에게 SVC 호 연결 실패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비동기 전송 모드 시스템에 있어서 주소 변환 서버의 메세지 처리 방법은, ATS가 메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세지를 종류별로 구분하여 해당 처리 단계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메세지가 주소 변환 요구 메세지인 경우 처리하는 단계, 상기 메세지가 CALL_RELEASED 메세지인 경우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메세지가 PORT_ALIVE 메세지인 경우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부하 배분 서비스를 사용하는 호 설정에 있어, ATM 스위치와 ATS간에 현 대역폭에 관한 정보와 포트의 상태에 대해 주고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ATS가 사용 가능한 포트중에서 할당된 대역폭이 가장 적은 포트를 할당함으로써 LDG에 속한 여러 링크간의 부하 분배를 실제로 가능하게 하고 장애가 발생된 포트로의 호 설정요구를 미리 차단함으로써 망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쓸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주소 변환 서버를 이용한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치의 부하 배분 방법
본 발명은 주소 변환 서버를 이용한 비동기 전송 모드(Asynchronous Transfer Mode ; ATM) 스위치의 부하 배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ATM 스위치에서의 SVC(Switched Virtual Circuit)호 설정시의 주소 변환 서버를 이용한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치의 부하 배분 방법 및 비동기 전송 모드 시스템에 있어서 주소 변환 서버의 메세지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 Mbps 이상의 고속인 데이터/팩시밀리 통신이라든지 수 MHz 이상의 광대역 TV 화상 통신/고화질 텔레비전(HDTV) 등이 제공 가능한 B-ISDN (Broadband - 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의 통신방식은 ATM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ATM은 고속과 광대역 통신서비스에 대응할 수 있도록 패킷교환방식을 개량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SVC는 ATM에서 사용되는 통신방식 중 하나로 통신개시시에 그때마다 상대를 지정해서 접속하는 방식이고, ATM 망에서 SVC호를 서비스하기 위하여 각 호의 일반적인 주소정보를 ATM망의 내부 주소로 변환시키는 장비로 주소 변환 서버(Address Translation Server ; ATS)가 사용된다. 가입자가 하나의 주소에 여러 개의 물리적 포트를 사용하여, 부하를 분산시키고자 할 때 망에서는 LDG(Load Distribution Group) 서비스를 제공하여, 해당 주소에 대한 호 요구를 위의 여러 물리적 포트들에 분배하는데 종래에는 각 호 요구에 대해 순차적으로 각 물리 포트를 할당하고 있다. 이러한 순차적 할당은 전화망과 같은 시스템에서는 자연적으로 부하 분배(load distribution)가 가능하나 ATM망과 같이 각 호마다 사용하는 대역폭(bandwidth)이 다른 시스템에서는 실질적인 부하 배분(load sharing) 효과를 얻기 어려운 면이 있다. 또한 한 LDG에 속한 여러 물리적 링크(physical link)중 장애가 발생한 링크가 존재할 때 이를 알지 못하여 해당 링크로 호를 할당함으로써 호 설정완료율이 저하되고, 망 자원(network resource)이 필요없이 낭비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ATM 망에서 여러 개의 물리 포트를 하나의 논리적 주소로 사용하는 LDG 서비스에 정확한 부하 배분 기능을 제공하고, 여러 물리 포트중 하나에 문제가 발생할 때, 문제가 발생한 포트에 대해 호를 할당하지 않는 기능을 제공하여 망 자원의 불필요한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주소 변환 서버를 이용한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치의 부하 배분 방법 및 비동기 전송 모드 시스템에 있어서 주소 변환 서버의 메세지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ATM 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ATM 스위치의 동작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소 변환 서버의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User 장비 12 : ATM 교환기
14 : 주소 변환 서버(ATS) 16 : 통신 채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에 따른 주소 변환 서버를 이용한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치의 부하 배분 방법은,
각 ATM 스위치가 사용자로부터 SVC호 요구를 받아서 ATS로 주소 변환 요구 메세지를 보내는 제1단계;
상기 ATS에서 주소 변환 응답 메세지를 수신하면 상기 주소 변환 응답을 받은 ATM 스위치가 해당 주소로 호 연결을 시도하는 제2단계;
호 연결이 성공이면 소스쪽 ATM 스위치는 CALL_CONFIRMED 메세지를 ATS로 보내고, 사용자에게 SVC 호 연결 확인 메세지를 전송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3단계에서 호 연결이 성공하지 못하는 이유가 PORT_FAIL인지를 물어서, PORT_FAIL이면 PORT_FAIL 메세지를 전송하고, 사용자에게 SVC 호 연결 실패 메세지를 전송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연결실패 이유가 PORT_FAIL이 아니면 상기 PORT_FAIL 메세지의 전송없이 사용자에게 SVC호 연결 실패 메세지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동기 전송 모드 시스템에 있어서 주소 변환 서버의 메세지 처리 방법은,
ATS가 메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세지를 종류별로 구분하여 해당 처리 단계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메세지가 주소 변환 요구 메세지인 경우 처리하는 단계;
상기 메세지가 CALL_RELEASED 메세지인 경우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메세지가 PORT_ALIVE 메세지인 경우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세지가 주소 변환 요구 메세지인 경우의 처리 단계는,
현재의 목적지 주소에 할당된 ALIVE 상태의 여러 물리 포트 중 할당된 대역폭이 가장 적은 포트를 선택하는 단계;
주소 변환 응답 메세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송신된 메세지를 수신한 된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메세지가 CALL_CONFIRMED 메세지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메세지가 CALL_CONFIRMED 메세지이면 할당 대역폭을 메세지에 명기된 대역폭으로 대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메세지가 CALL_CONFIRMED 메세지가 아니고 PORT_FAIL 메세지이면 해당 포트를 FAILED 상태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메세지가 CALL_RELEASED 메세지인 경우 처리하는 단계는, 할당대역폭을 메세지에 명기된 대역폭으로 대체시킴으로써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메세지가 PORT_ALIVE 메세지인 경우 처리하는 단계는,
해당 포트를 ALIVE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 및
할당 대역폭을 메세지에 명기된 대역폭으로 대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1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원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ATM 망 구성도로서, 사용자 장비(10)가 있고 SVC를 처리할 수 있는 ATM 스위치(12)와 주소 변환을 할 수 있는 ATS(14)가 있고 각 ATM 스위치(12)에서 ATS(14)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 채널(16)로 이루어져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ATM 스위치의 동작 흐름도이고, 도 3은 주소 변환 서버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원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각 ATM 스위치는 SVC호 요구를 받으면 ATS로 주소 변환 요구 메세지를 보내고, ATS에서 주소 변환 요구 메세지를 받았을 때 현재의 목적지(destination) 주소에 할당된 여러 물리 포트중 할당된 대역폭이 가장 적은 포트로 호가 연결 될 수 있도록 주소 변환 응답을 보낸다. ATS에서 주소 변환 응답을 받은 ATM 스위치는 해당 주소로 호 연결을 시도한다. 호 연결이 성공하면 소스쪽 ATM 스위치는 CALL_CONFIRMED 메세지를 ATS로 보낸다. 이 메세지에는 현재 연결된 호의 목적지 포트(destination port)에 할당된 대역폭이 명기되어 있어 ATS는 해당 포트에 대한 할당 대역폭을 CALL_CONFIRMED 메세지에 명기된 대역폭으로 대체시키고, 연결되어 있던 호가 해제되면 소스쪽 ATM 스위치는 CALL_RELEASED 메세지를 ATS로 보낸다. 이 메세지에는 현재 해제된 호의 목적지 포트(destination port)에 할당된 대역폭이 명기되어 있어 ATS는 해당 포트에 대한 할당 대역폭을 CALL_CONFIRMED 메세지에 명기된 대역폭으로 대체시킨다.
또한 한 가입자 포트가 문제가 발생했을 때, 즉 해당 포트로의 통신이 불가능할 때, 이를 인지한 ATM 스위치는 PORT_FALL 메세지를 ATS로 보낸다. 이를 받은 ATS는 해당 포트의 할당 대역폭을 0으로 사용하고 해당포트의 상태를 FALLED 상태로 바꾸어 이후의 호 요구에 해당하는 포트를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의 문제가 발생한 포트가 다시 사용가능해지면 ATM 스위치는 PORT_ALIVE 메세지를 ATS로 보내어 해당 포트를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 PORT_ALIVE 메세지에는 현재 할당된 대역폭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이를 받은 ATS는 이 대역폭 정보를 해당 포트에 대한 할당 대역폭으로 초기화한다. 이 대역폭이 0보다 큰 값이면 이는 해당 포트에 기존에 연결된 PVC호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은, 부하 배분 서비스를 사용하는 호 설정에 있어, ATM 스위치와 ATS간에 현 대역폭에 관한 정보와 포트의 상태에 대해 주고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ATS가 사용 가능한 포트중에서 할당된 대역폭이 가장 적은 포트를 할당함으로써 LDG에 속한 여러 링크간의 부하 분배를 실제로 가능하게 하고 장애가 발생된 포트로의 호 설정요구를 미리 차단함으로써 망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쓸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각 ATM 스위치가 사용자로부터 SVC호 요구를 받아서 ATS로 주소 변환 요구 메세지를 보내는 제1단계;
    상기 ATS에서 주소 변환 응답 메세지를 수신하면 상기 주소 변환 응답을 받은 ATM 스위치가 해당 주소로 호 연결을 시도하는 제2단계;
    호 연결이 성공이면 소스쪽 ATM 스위치는 CALL_CONFIRMED 메세지를 ATS로 보내고, 사용자에게 SVC 호 연결 확인 메세지를 전송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3단계에서 호 연결이 성공하지 못하는 이유가 PORT_FAIL인지를 물어서, PORT_FAIL이면 PORT_FAIL 메세지를 전송하고, 사용자에게 SVC 호 연결 실패 메세지를 전송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주소 변환 서버를 이용한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치의 부하 배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연결실패 이유가 PORT_FAIL이 아니면 상기 PORT_FAIL 메세지의 전송없이 사용자에게 SVC호 연결 실패 메세지를 전송하는, 주소 변환 서버를 이용한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치의 부하 배분 방법.
  3. ATS가 메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세지를 종류별로 구분하여 해당 처리 단계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메세지가 주소 변환 요구 메세지인 경우 처리하는 단계;
    상기 메세지가 CALL_RELEASED 메세지인 경우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메세지가 PORT_ALIVE 메세지인 경우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동기 전송 모드 시스템에 있어서 주소 변환 서버의 메세지 처리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세지가 주소 변환 요구 메세지인 경우의 처리 단계는,
    현재의 목적지 주소에 할당된 ALIVE 상태의 여러 물리 포트 중 할당된 대역폭이 가장 적은 포트를 선택하는 단계;
    주소 변환 응답 메세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송신된 메세지를 수신한 된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메세지가 CALL_CONFIRMED 메세지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동기 전송 모드 시스템에 있어서 주소 변환 서버의 메세지 처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세지가 CALL_CONFIRMED 메세지이면 할당 대역폭을 메세지에 명기된 대역폭으로 대체하는, 비동기 전송 모드 시스템에 있어서 주소 변환 서버의 메세지 처리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세지가 CALL_CONFIRMED 메세지가 아니고 PORT_FAIL 메세지이면 해당 포트를 FAILED 상태로 변경하는, 비동기 전송 모드 시스템에 있어서 주소 변환 서버의 메세지 처리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세지가 CALL_RELEASED 메세지인 경우 처리하는 단계는, 할당대역폭을 메세지에 명기된 대역폭으로 대체시킴으로써 수행되는, 비동기 전송 모드 시스템에 있어서 주소 변환 서버의 메세지 처리 방법.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세지가 PORT_ALIVE 메세지인 경우 처리하는 단계는,
    해당 포트를 ALIVE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 및
    할당 대역폭을 메세지에 명기된 대역폭으로 대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동기 전송 모드 시스템에 있어서 주소 변환 서버의 메세지 처리 방법.
KR1019970069634A 1997-12-17 1997-12-17 주소 변환 서버를 이용한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치의 부하배분 방법 KR100247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634A KR100247042B1 (ko) 1997-12-17 1997-12-17 주소 변환 서버를 이용한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치의 부하배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634A KR100247042B1 (ko) 1997-12-17 1997-12-17 주소 변환 서버를 이용한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치의 부하배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0507A KR19990050507A (ko) 1999-07-05
KR100247042B1 true KR100247042B1 (ko) 2000-03-15

Family

ID=19527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9634A KR100247042B1 (ko) 1997-12-17 1997-12-17 주소 변환 서버를 이용한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치의 부하배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70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9677A (ja) * 2004-07-22 2006-02-09 Fujitsu Ltd クロス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0507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87077A (en) Dynamic connection mapping in wireless ATM systems
US5504744A (en) Broadband switching network
US6707820B1 (en) Virtual circuit network dynamic channel management
US470034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ariable reliability in a tele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
US5416771A (en) Signaling method for packet network and system
US625320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multimedia information over heterogeneous wide area networks
JP2962276B2 (ja) Atmコネクションレス通信網におけるセッション管理方式及びコネクション管理方式
JP2003324434A (ja) トポロジを確定する装置及びトポロジ情報を通信する方法及び装置
JPH1084349A (ja) ネットワーク接続品質制御方式
US20030099192A1 (en) Method and system for a switched virtual circuit with virtual termination
US5651005A (en) System and methods for supplying continuous media data over an ATM public network
JPH077505A (ja) パケット通信における私設網構成方式
JP3884082B2 (ja) データのブロック転送のための柔軟な帯域幅交渉
JP3457522B2 (ja) パケット通信方法
US6359889B1 (en) Cell switching device for controlling a fixed rate connection
JPH10322367A (ja) Mbeaを利用したatmネットワークのユーザトラフィック制御装置
KR100247042B1 (ko) 주소 변환 서버를 이용한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치의 부하배분 방법
US6785280B1 (en) Mechanism and method dynamically allocating ATM connections between exchanges
KR100304940B1 (ko) 비동기방식의 네트워크 구성 방법
US671793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resource management
KR100294045B1 (ko) 부하분배 및 평형을 위한 비동기 전송 모드 시그널링 호 설정 방법
JP3512629B2 (ja) 帯域共用制御回路と帯域制御回路及び通信システム
KR100198446B1 (ko) 출중계 중계선에서 사용자-사용자 교환 가상 경로 연결의 제공방법
KR19980055541A (ko) Atm망에서 pvc 동적 설정/해제 방법
KR0123255B1 (ko) 완전 분산형 에이티엠(atm) 교환 시스템에서의 점대점 단방향 경로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