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9639B1 - 광섬유를 이용한 자동차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광섬유를 이용한 자동차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9639B1
KR0169639B1 KR1019960011898A KR19960011898A KR0169639B1 KR 0169639 B1 KR0169639 B1 KR 0169639B1 KR 1019960011898 A KR1019960011898 A KR 1019960011898A KR 19960011898 A KR19960011898 A KR 19960011898A KR 0169639 B1 KR0169639 B1 KR 0169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redetermined
housing
lamp
optical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1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9570A (ko
Inventor
강명환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11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9639B1/ko
Publication of KR970069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9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9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96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33Seats; Arm rests; Head re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6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3/235 - F21S43/25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7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200/0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200/1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of light guides of the optical fibres type
    • F21V2200/17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of light guides of the optical fibres type characterised by the admission of light into the gu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21W2103/35Brake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6/00In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광 섬유를 이용한 자동차 조명장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후방 콤비네이션 램프를 슬림형으로하여 차체 디자인을 보다 심플하게 하고 빛을 발생하는 수단이 기존의 램프위치에 설치되지 않고 차체내의 공간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조명장치를 제공하고자 함.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하우징의 내부에서 전송된 빛을 발광 시키는 발광부재와, 점등수단을 가지면서 발생된 빛을 전송가능하게 집속시키는 점등부재와, 상기 점등부재와 발광부재 사이에 연결되는 광전송부재를 이용한 조명장치.
[발명의 중요한 용도]
자동차 램프에 적용할 경우 효과적임.

Description

광섬유를 이용한 자동차 조명장치
본 발명은 광 섬유를 이용한 자동차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후방 차체의 코너부분에 설치되는 콤비네이션 램프가 갖는 하우징의 두께를 보다 얇게하여 측면 하우징의 처리라든가 차체, 바디의 설계가 용이해지며 궁극적으로 대부분의 램프수단을 정해진 일정위치에 설치된 점등수단에서 빛의 전송이 가능하게하여 램프의 설치 위치에서의 하우징구조가 극히 단순화 할 수 있고 후진등이라든가 브레이크 등의 콘트롤이 종합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램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에 따른 종래 콤비네이션 램프의 일예를 단면도로서 나타내고 있다. 즉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조는 램프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을 커버하면서 빛의 주사방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내측면을 따라 렌즈를 형성한 투광부재(102)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발광되는 점등수단(103)과, 상기 하우징(100)의 내면에 설치된 파라볼라(Parabola) 반사경(10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전원공급단자(105)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므로서 점등수단(103)이 발광되고 이를 일정한 주사 방향을 형성한 투광부재(102)를 통하여 외부로 발광되게 하므로서 후진등이라든가 브레이크등으로서 운전석의 스위칭에 따라 개폐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램프구조는 파라볼라 반사경(104)의 일정한 깊이로 인해 램프 하우징(100)과 그에 부속되는 투광부재(102)등의 구조가 커질 수밖에 없었고, 사이드램프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이어지는 일체형 램프를 형성하기 때문에 크고 굵은 하우징과 이에 결합되는 투광커버의 형태가 세련된 디자인을 형성하기 어려워 차체의 이 부분 형상이 투박해지게 되어 배광 휠링이 좋지 않은 등의 뒤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점등수단이 일정전압만이 가능한 전구를 사용해야하고 약간의 전원 공급 라인상의 문제(다른 장치에서의 이상증세로 인해 전구가 끊어지는 등의문제)가 있을 경우에는 쉽게 휠라멘트가 끊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이와같은 반사경이 갖는 구조적인 문제점으로 인해 금형 제작상의 처리가 용이하지 않았으며 배광 휠링 등에도 영향을 주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슬림형의 램프 커버부재와 하우징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발광수단이 하나의 집합 위치에서 모든 조명수단의 제어가 가능하게 한 조명수단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와같은 슬림형의 램프 하우징과 투광커버를 제공함과 동시에 발광 및 제어가 별도의 집합 위치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광섬유를 이용한 빛 전송수단을 이용한 조명수단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램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커버하면서 빛의 주사방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내측면을 따라 렌즈를 형성한 투광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전송된 빛을 발광 시키는 발광부재와, 점등수단을 가지면서 발생된 빛을 전송가능하게 집속시키는 점등부재와, 상기 점등부재와 발광부재 사이에 연결되는 광전송부재를 포함하여 점등부재와 램프 하우징 사이의 길이가 자유로워지게한 구조에 의하여 달성 가능하다.
특히 램프 하우징과 이에 결합되는 투광부재를 슬림형(박막형)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되며, 점등부재는 하우징과 소켓을 이루어지고 하우징의 일측으로 상기 광 전송부재의 광 입력부가 연결되게하여 점등 조작이 램프 구성 위치에 굳이 없어도 되므로 별도의 위치에서 집합 조작 가능하게 되며, 발광부재가 격자형 플레이트를 형성하므로서 보다 얇아지게 되어 램프를 포함한 차체, 바디부분이 보다 세련된 디자인으로 제작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 일반적인 후방 콤비네이션 램프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 후방 콤비네이션 램프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램프 단선 표시 장치를 나타낸 요부 확대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인 램프 단선 표시 장치의 요부 확대 측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인 램프 단선 표시 장치의 실시 예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자동차 실내 독서등을 나타낸 정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인 자동차 실내 독서등의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램프 하우징 2 : 투광부재
3 : 발광부재 4 : 점등부재
5 : 광 전송 부재 6 : 볼록 렌즈
7 : 고정 수단 8 : 회전 힌지
21 : 렌즈 31 : 격자형 플레이트
41 : 점등수단 42 : 하우징
43 : 소켓 51 : 광 입력부
52 : 출력단 53 : 내열 튜브
54 : 화이버 글래스 61 : 표시부 하우징
62 : 삽입공 63 : 고정 수단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중 제2도는 본 발명 후방 콤비네이션 램프의 종단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크게 램프 하우징과, 투광부재와, 발광부재와, 점등부재와, 광 전송부재로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램프 하우징(1)은 종래 알려져온 어떠한 램프 하우징 보다 훨씬 얇아진다. 즉 그 이유는 램프 하우징(1)내부에 공간 폭을 두껍게 해야되는 반사경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상기 투광부재(2)는 상기 램프 하우징(1)의 전면을 커버하면서 빛의 주사방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내측면을 따라 렌즈(21)를 형성한다.
상기 발광부재(3)는 상기 램프 하우징(1)의 내부에서 전송된 빛을 발광 시키는 기능을 가지며 격자형 플레이트(31)를 형성하여서 된다. 점등부재(4)는 점등수단(41)을 가지면서 발생된 빛을 전송가능하게 집속시키는 구조로서 이 집속된 빛이 입력되는 광 전송 부재(5)와 연결된다. 이 점등부재(4)는 하우징(42)과 소켓(43)을 이루어지고 하우징(42)의 일측으로 상기 광 전송부재(5)의 광 입력부(51)가 연결되게 하여서 된다.
상기 광 전송부재(5)는 상기 점등부재(4)와 발광부재(3) 사이에서 발광된 빛을 전송하는 화이버 글래스(54)가 사용되며, 출력단(52)에는 단순한 빛을 분산 출력시키는 격자형 플레이트(31)가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이와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운전석에서는 스위칭 수단이 구성되게 하고 이 스위칭 수단은 다시 트랭크내부 혹은 차체등의 보다 불필요한 공간부분에 위치하면서 점등수단(41) 및 하우징(42)과 소켓(43)을 구비한 상태에서 광 전송 부재(5)의 입력단이 연결된 점등부재(4)에 연결되고 입력단(51)이 연결된 광 전송 부재(5)는 내열튜브(53)로서 커버한 화이버 글래스(54)로서 상기한 격자형 플레이트(31)에 연결된다.
따라서 램프 하우징(1)과 투광부재(2)내에 위치한 격자형 플레이트(31)가 아주 얇은 구조이므로 그에 따른 램프 하우징(1)과 투광부재(2)도 얇게 형성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램프 하우징(1)과 이에 결합되는 투광부재(2)를 슬림형(박막형)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되어 램프를 포함한 차체, 바디부분이 보다 세련된 디자인으로 제작 가능하게 되며, 점등부재는 하우징과 소켓을 이루어지고 하우징의 일측으로 상기 광 전송부재의 광 입력부가 연결되게하여 점등 조작이 램프 구성 위치에 구애받지 않아도 되므로 별도의 위치에서 집합 조작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첨부도면 제3도와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자동차에 부착된 각종 램프의 단선 유무를 운전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램프 작동 표시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종래의 램프 작동 표시 장치가 기존의 차량에 실시함에 있어서 전기적 장치나 기타 센서 등을 이용하는 관계로 설치하는데에 따른 소비자의 경제적인 부담이나 오작동시 수리하는데에 불편함을 겪던 것을 해소하기 위한 표시 수단을 갖는 자동차용 램프 작동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크게 램프 작동 유무를 나타내는 볼록렌즈(6)와, 볼록 렌즈(6)를 연결하도록 길다랗게 형성된 광 전송 부재(5)와, 볼록 렌즈(6)를 둘러 싸고 있는 표시부 하우징(61)과, 상기 볼록 렌즈(6)와 광 전송 부재(5)가 이어지도록 표시부 하우징(61)에 구비된 삽입공(62)과,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첨부 도면 제5도와 같이 상기 표시부 하우징(61)을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고정 결합시키도록 형성된 고정 수단(63)이 구비되어 있다.
램프(100)로부터 송출된 빛은 광 전송 부재(5)의 끝단에 위치해 있는 송출부에서 광 전송 부재(5)의 내면을 따라 굴절을 반복하면서 최종적 목적지인 볼록 렌즈(6)로 전송되기 시작한다.
볼록 렌즈(6)에 도달한 빛은 이곳에서 응집된후 운전자가 느끼기에 충분한 광도로 발산되므로 운전자는 이를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램프의 작동 유무를 인지하게 된다.
첨부 도면 제6도와 제7도는 자동차 실내의 독서등에 광전송 부재를 응용하여 자동차 뒷 좌석의 탑승자가 신문이나 잡지를 볼 때 독서등의 위치를 자유로이 변환시켜 안락한 자세에서 독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한 광 전송 부재를 이용한 시이트 내장형 독서등의 정면도와 확대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는 전구에서 발생되는 빛을 전송하는 광 전송 부재(5)와, 상기 광 전송 부재(5)로부터 전송된 빛을 응집 발광시키는 볼록 렌즈(6)와, 회전 힌지(8)가 구비된 램프부 하우징과, 시이트 등받이 후면에 고정 견착시키는 고정 수단(7)이 구비되어 있다.
전원선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전구에 불이 들어오게 된다. 이 전구에서 방출되는 빛은 램프부 하우징에 일정길이로 삽입된 광전송 부재(5)의 끝단으로 일부 도달하게 되는데 이 빛은 광 전송 부재(5)의 내면을 따라 계속적으로 굴절되면서 볼록 렌즈(6)까지 도달하여 여기에서 응집 발산하게 된다.
램프부 하우징에 형성되어 이것을 시이트 등받이 후면에 고정 견착시키기 위해 구비된 고정 수단(7)은 수평방향으로 자유로운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회전이 가능한 힌지(8)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탑승자는 자유로이 원하는 위치에 본 발명인 독서등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그동안 반사경의 기능상의 구조때문에 폭이 크고 넓은 형태의 램프 하우징을 차량의 코너부분에 위치시킨 상태로 설계 제작함에 따른 디자인의 투박함을 슬림형의 램프 하우징으로 정교하게 되어 한결 세련된 디자인의 차량 외부 디자인을 제공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빛을 전송하기 위한 광 전송수단이 일정 위치에서 빛을 점등시킨 뒤 램프 하우징까지 전송하게 되어 빛을 발생하는 위치를 굳이 램프에 국한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전구를 발광 시키는 위치를 차체내의 불필요한 공간에서 처리 가능하게하여 트렁크의 내측벽을 훨씬 유용하게 디자인 할 수 있게 되었으며, 전구 교체가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전구의 설치 위치가 훨씬 안정적이어서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자동차 램프 장치에 있어서, 램프 하우징(1); 상기 램프 하우징(1)의 내부에서 전송된 빛을 발광 시키는 발광 부재 및 볼록 렌즈(3)(6); 소정의 광을 전송하는 소정 길이의 광 전송 부재(5); 상기 광 전송 부재(5)의 손상을 막도록 외면을 감싸고 있는 내열 튜브(53); 및 소정의 점등수단(41)을 가지며, 이 점등수단(41)에서 발생한 빛을 전송가능 하도록 집속시켜서, 소정의 광 입력부(51)를 통하여 상기 광 전송 부재(5)로 출력하는 소정의 점등부재(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섬유를 이용한 자동차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하우징(1)은 램프 하우징(1)의 전면을 커버하면서 빛의 주사방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내측면을 따라 소정의 렌즈(21)를 형성한 투광부재(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섬유를 이용한 자동차 조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 렌즈(6)는 자신과 상기 광전송 부재(5)가 서로 이어지도록 삽입공(62)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고정, 결합시킬 수 있는 소정의 고정수단(63)을 가지고 있는 소정의 표시부 하우징(61)에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섬유를 이용한 자동차 조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전송 부재(5)는 자동차 시이트 등받이 후면에 견착시키는 고정 수단(7)과 이 고정 수단(7)에 의하여 지지되는 소정의 회전 힌지(8)를 가지는 소정의 램프부 하우징과 접속되도록 구성되며, 또한, 상기 광 전송 부재(5)의 다른 한 쪽단은 상기 볼록 렌즈(6)에 연결되어 독서등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섬유를 이용한 자동차 조명장치.
KR1019960011898A 1996-04-19 1996-04-19 광섬유를 이용한 자동차 조명장치 KR0169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1898A KR0169639B1 (ko) 1996-04-19 1996-04-19 광섬유를 이용한 자동차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1898A KR0169639B1 (ko) 1996-04-19 1996-04-19 광섬유를 이용한 자동차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9570A KR970069570A (ko) 1997-11-07
KR0169639B1 true KR0169639B1 (ko) 1999-01-15

Family

ID=19456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1898A KR0169639B1 (ko) 1996-04-19 1996-04-19 광섬유를 이용한 자동차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96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22022B2 (en) 2017-07-06 2019-03-05 Valeo North America, Inc. Covered fiber bundle for lighting modul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22022B2 (en) 2017-07-06 2019-03-05 Valeo North America, Inc. Covered fiber bundle for lighting modu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9570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9933B2 (ja) 車両用灯具
US7482547B2 (en) Push button switch with backlight function
KR20090126190A (ko) 자동차 후방 콤비네이션 램프의 측방-적재된 led 모듈
KR20090126189A (ko) 자동차 후방 콤비네이션 램프의 후방 적재된 led 모듈
WO2009110476A1 (ja) 照明装置
JP5246930B2 (ja) ドアミラー用のターンランプ
JP2011183958A (ja) 車両用サンバイザ
KR0169639B1 (ko) 광섬유를 이용한 자동차 조명장치
JP2010052443A (ja) 車両用ランプおよび車両用ランプが組込まれたドアミラー
US7008098B2 (en) Vehicle headlamp assembly with lampshade and lighting circuit separately mounted to reflector
JP5329872B2 (ja) 車両用ランプおよび車両用ランプが組込まれたドアミラー
WO2023083150A1 (zh) 用于车辆的贯穿灯和具有它的车辆
KR100865007B1 (ko) 사이드미러용 방향지시등
JP4755850B2 (ja) 携帯型led照明灯装置
CN219550355U (zh) 照明灯和车辆
JP2004299611A (ja) 後視鏡装置
CN213810434U (zh) 一种灯体总成及具有该灯体总成的灯组
KR101211466B1 (ko) 자동차의 발광 인사이드 핸들
KR0135546Y1 (ko) 자동차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KR101357959B1 (ko) 차량의 실내조명모듈
JPH11211202A (ja) リモコン発光装置
JP2007214094A (ja) 車両用マーカーランプ
KR100461136B1 (ko) 차량의 후방램프 지지구조
KR101564308B1 (ko) 차량용 엘이디 조명장치
KR101300356B1 (ko) 차량의 실내조명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