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9380B1 - 피크-보텀 홀드회로 - Google Patents

피크-보텀 홀드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9380B1
KR0169380B1 KR1019950032443A KR19950032443A KR0169380B1 KR 0169380 B1 KR0169380 B1 KR 0169380B1 KR 1019950032443 A KR1019950032443 A KR 1019950032443A KR 19950032443 A KR19950032443 A KR 19950032443A KR 0169380 B1 KR0169380 B1 KR 0169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data
peak
input
enabl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2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7476A (ko
Inventor
정우민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32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9380B1/ko
Publication of KR970017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7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9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93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Optical detector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37A/D conversion, D/A conversion, sampling, slicing and digital quantisation or adjusting parameter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anipulation Of Puls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Compact Disk Player)의 RF(Radio Frequence : 고주파) 신호를 디지탈로 처리하기 위한 디지탈 피크-보텀 홀드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의 구성은, 컴팩트디스크의 정보를 읽어서 고주파신호를 출력하는 광검출기 및 상기의 고주파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디지탈로 변환하여 제1데이타 SD7:0를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로 구성된 입력수단; 상기의 제1데이타 SD7:0 및 클럭신호를 수신하여 시스템 클럭신호 WCK에 동기시켜 출력하는 제2데이타 P7:0과 시스템클럭 WCK의 한주기만큼 지연시켜 제3데이타 F7:0를 출력하는 제1지연수단; 상기의 제1지연수단의 출력 제2데이타 P7:0 및 제3데이타 F7:0를 비교하는 비교수단; 상기의 비교수단의 출력을 시스템클럭 WCK의 한주기만큼 지연하는 제2지연수단; 과 비교수단의 출력과 제2지연수단의 출력을 수신하여, 피크인에이블 신호 또는 보텀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 상기의 제1지연수단의 출력 제2데이타 F7:0를 래치하고, 상기 제어수단의 출력인 피크인에이블 신호 또는 보텀인에이블 신호가 활성화 될 때, 피크데이타 POUT7:0 또는 보텀데이타 BOUT7:0를 홀드출력하는 피크-보텀 출력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발명의 효과는, 종래의 아날로그 피크-보텀 홀드회로가 칩 외부에 장착되는 용량이 큰 커패시터들 때문에 커지는 레이아웃의 크기를 줄이고, 칩내의 저항과 커패시터에 의한 특성변화를 막을 수 있는 안정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크-보텀 홀드회로
제1도는 종래의 아날로그 피크-보텀 홀드회로이고,
제2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피크-보텀 홀드회로의 구성도이고,
제3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피크-보텀 홀드회로이고,
제4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피크-보텀 홀드회로의 제어수단 회로이고,
제5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크와 보텀 이벤트 발생의 예이고,
제6도는 이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글리치제거수단의 회로이고,
제7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타이밍도이다.
이 발명은 피크-보텀 홀드회로(Peak Bottom Holder)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컴팩트디스크 플레이어(Compact Disk Player)의 고주파(Radio Frequence: RF) 신호를 디지탈로 처리하기 위한 디지탈 피크-보텀 홀드회로에 관한 것이다.
컴팩트디스크 플레이어(CDP)는 반도체 레이저인 광빔으로 컴팩트디스크에 초점을 맞추는 포커스서보(FOCUS SERBO)와 나선형으로 기록된 신호트랙에 광빔을 추종시키는 트랙킹서보(TRACKING SERBO)에 의해서 디스크상의 데이타를 읽는다. 즉 디스크 표면에 광빔을 쏴서 그 반사된 광량을 가지고 데이타가 실린 피트(Pit)들의 크기와 유부를 나타내게 되며, 이러한 신호를 고주파신호(RF)라 한다. 또한 이 고주파신호에는 데이타의 정보뿐만이 아니라 디스크상의 결함 유무를 나타내는 디펙트(DEFECT) 신호와 트랙킹 점프시 발생하는 미러(MIRROR)신호까지 함께 실려 있어서, 이 고주파신호를 처리함으로써 컴팩트디스크 플레이어에서 디펙트 처리 및 미러 처리까지 할 수 있게 된다. 디펙트신호는 컴팩트디스크에 지문이나 큰 상처로 인한 결함에 의해 광빔이 제대로 반사되지 않고 어둡게 나타나게 되고, 미러신호는 나선형 트랙사이의 빈 공간으로 광빔의 반사가 정상신호보다 밝게 나타나는 부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종래의 아날로그 피크-보텀 홀드회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종래의 아날로그 피크-보텀 홀드회로이다.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아날로그 피크-보텀 홀드회로의 구성은, 컴팩트디스크의 정보를 읽어서 고주파신호를 출력하는 광검출기(11); 상기 광검출기(11)로부터 고주파신호를 수신하여 그 위상을 반전시키고, 크기를 2배로 증폭하는 위상반전증폭기(AMP)(12); 상기 위상반전증폭기(12)의 출력에서 피크(PEAK)를 검출하기 위한 정방향다이오드(13); 상기 위상반전증폭기(12)의 출력에서 보텀(BOTTOM)을 검출하기 위한 역방향 다이오드(14); 상기의 정방향다이오드에 의해 검출된 피크를 홀드하기 위한 제1커패시터(15); 상기의 역방향다이오드에 의해 검출된 보텀을 홀드하기 위한 제2커패시터(16); 상기 홀드된 신호를 처리하여, 홀드된 피크데이타(POUT)와 홀드된 보텀데이타(BOUT)를 출력하기 위한 피크-보텀 홀드블럭(17); 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종래의 아날로그 피크-보텀 홀드회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광검출기(11)에 의해 컴팩트디스크로부터 입력되는 고주파신호(RF)는 위상반전증폭기(12)에 의해 그 위상이 반전되고, 크기는 2배로 증폭된다. 이러한 반전과 증폭된 고주파신호를 정방향 다이오드(13)와 역방향 다이오드(14)에 의해 고주파신호의 피크(Peak) 성분과 보텀(Bottom) 성분을 각각 검출하고, 이렇게 검출한 신호를 제1커패시터(15)와 제2커패시터(16), 그리고 피크-보텀 홀드회로(26)에 의해 각각 홀드시켜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고주파신호가 아날로그적으로 처리되고, 용량이 큰 커패시터인 제1커패시터(15)와 제2커패시터(16)로 인해 커패시터들이 칩 내부에 설계되지 못하고 칩 외부에 따로 장착되게 된다. 또한 회로내의 커패시터들과 저항으로 인해 다소 특성에 변화를 가져와 시스템적으로 안정성을 크게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아날로그로 처리되던 피크-보텀 홀드회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패시터와 저항의 특성 변화를 막고, 칩 외부에 장착되는 커패시터와 이로 인해 생기는 단자(Pin)들을 없애서 부품수를 줄이며,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디지탈 피크-보텀 홀드회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컴팩트디스크의 정보를 읽어서 고주파신호를 출력하는 광검출기(11) 및 상기의 고주파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디지탈로 변환하여 제1데이타 (SD7:0)를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로 구성된 입력수단(10); 상기의 제1데이타(SD7:0) 및 시스템 클럭신호(WCK)를 수신하여 시스템 클럭신호(WCK)에 동기시켜 제2데이타(P7:0)를 출력하고, 시스템클럭(WCK)의 한주기만큼 지연시켜 제3데이타(F7:0)를 출력하는 제1지연수단(20); 상기의 제1지연수단(20)의 출력들을 수신하여, 제2데이타(P7:0)와 제3데이타(F7:0)를 비교하는 비교수단(30); 상기의 비교수단(30)의 출력을 시스템클럭(WCK)의 한주기만큼 지연하는 제2지연수단(40); 상기의 비교수단(30)의 출력과 제2지연수단(40)의 출력을 수신하여, 피크인에이블신호 또는 보텀인에이블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50); 상기의 제1지연수단(20)의 출력인 제2데이타(F7:0)를 래치하고, 상기 제어수단(50)의 출력인 피크인에이블신호 또는 보텀인에이블신호가 활성화 될 때, 피크데이타(POUT7:0) 또는 보텀데이타(BOUT7:0)를 홀드출력하는 피크-보텀 출력수단(60); 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피크-보텀 홀드회로의 구성도이고, 제4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피크-보텀 홀드회로의 제어수단 회로이고, 제5도는 이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글리치제거수단의 회로이고, 제7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타이밍도이다.
첨부한 제3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피크-보텀 홀드회로의 구성은, 컴팩트디스크의 정보를 읽어서 고주파신호를 출력하는 광검출기(11) 및 상기의 고주파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디지탈로 변환하여 제1데이타 (SD7:0)를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로 구성된 입력수단(10); 시스템클럭(WCK)과 리셋신호(PRB), 그리고 상기 입력수단(10)의 출력 제1데이타 (SD7:0)를 수신하여 그대로 통과시켜 출력하는 제2데이타(P7:0)와 일정시간이상 지연시켜 출력하는 제3데이타(F7:0)를 출력하는 제1지연수단(20); 상기의 제2데이타(P7:0)와 제3데이타(F7:0)를 비교하여 제3데이타(F7:0)가 제2데이타(P7:0)보다 클 때는 양비교출력(POF)을 출력하고, 제3데이타(F7:0)와 제2데이타(P7:0)의 크기가 같을 때는 등비교출력(EQ)을 출력하며, 그리고 제3데이타(F7:0)가 제2데이타(P7:0)보다 작을 때는 음비교출력(POP)을 출력하는 비교수단(30); 상기의 3가지 비교출력신호 양비교출력(POF), 등비교출력(EQ), 음비교출력(POP)을 수신하여, 시스템클럭(WCK)과 동기시켜 일정시간 이상 지연시켜 각각 제1출력(FF0), 제2출력(FF1), 제3출력(FF2)을 출력하는 제2지연수단(40); 상기의 비교수단(30)의 출력 양비교출력(POF), 등비교출력(EQ), 음비교출력(POF)과 상기의 제2지연수단(40)에 의해 지연된 3가지 신호 제1출력(FF0), 제2출력(FF1), 제3출력(FF2)을 입력으로 하여, 제1피크인에이블신호(P_CON)와 제1보텀인에이블신호(B_CON)를 출력하는 제어수단(50); 상기 제어수단(50)의 출력에 포함되어 있는 글리치를 제거하기 위해, 제1피크인에이블신호(P_CON)를 입력단, 반전클럭(WCKB)을 클럭단, 제2피크인에이블신호(PE)를 출력단으로 하는 제1플립플롭(DFF1)과 제1보텀인에이블신호(B_CON)를 입력단, 반전클럭(WCKB)을 클럭단, 제2보텀인에이블신호(BE)를 출력단으로 하는 제2플립플롭(DFF2)으로 구성되어, 시스템클럭(WCK)을 반전시킨 반전클럭(WCKB)에 동기시켜 글리치를 제거하는 글리치제거수단(80);
상기 글리치제거수단(80)의 출력 제2피크인에이블신호(PE)와 제2보텀인에이블신호(BE)가 활성화될 때, 래치하고 있던 상기 제1지연수단(20)의 제3데이타(F7:0)를 피크데이타(POUT7:0) 또는 보텀데이타(BOUT7:0)로 출력시키거나, 상기 인에이블신호가 모두 비활성화될 때는 홀드시키는 피크-보텀 출력수단(60);으로 이루어진 다.
그리고, 제1지연수단(20), 제2지연수단(40), 제어수단(50), 피크-보텀 출력수단(60)은 리셋신호(PRB)에 의해 초기화시킬 수 있다.
상기의 제어수단(50)은 다음과 같은 이벤트발생 알고리듬을 따른다.
제6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회로의 이벤트 발생의 예이다.
샘플링되어 들어오는 고주파신호를 디지탈적으로 처리하는 피크-보텀 홀드회로에 있어서, 상기 회로를 구현하는 알고리듬은 다음과 같다. 제6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8비트 디지탈값인 제1데이타(D0), 제2데이타(D1), 제3데이타(D2)가 순서적으로 입력된다고 가정하고, 먼저 제1데이타(D0)와 제2데이타(D1)의 크기를 비교한다. 이러한 비교를 통해 D0 D1, D0 = D1, D0 D1인 3가지의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2데이타(D1), 제3데이타(D2)의 크기를 비교하면, D1 D2, D1 = D2, D1 D2인 3가지의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각각 발생한 3가지의 경우를 조합하면 표1과 같은 9가지의 경우가 되고, 그 각각에 이벤트를 줄 수가 있다.
제6도를 참조로 하여, 입력되는 데이타는 표1에서 처럼 3가지 데이타를 비교하면 상기의 9가지 형태중 하나가 되는데, 보텀(BOTTOM)이 되는 경우는 D0 D1, D1 D2인 ③과 D0 D1 = D2인 ②의 경우이고, 피크(PEAK)가 되는 경우는 D0D1D2인 ⑦과 D0D1=D2인 ⑧의 경우이다. 이 경우에서 ④와 ⑥은 제4데이타(D3)를 고려하여 이벤트가 될 수도 있고 안될 수도 있으므로 이벤트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게 된다. 즉 제1데이타(D0), 제2데이타(D1), 제3데이타(D2)를 처음 비교하여 이벤트를 판정하고, 다음 이벤트판정은 제2데이타(D1)가 제1데이타(D0), 제3데이타(D2)가 제2데이타(D1), 제4데이타(D3)를 제3데이타(D2)로 하여 이벤트를 판정하기 전까지는 이벤트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게 된다. 이러한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이전의 데이타와 현재 데이타간의 크기를 비교하는 방법을 회로적으로 나타내어 제4도와 같은 디지탈 피크-보텀 홀드회로의 제어수단을 구성할 수가 있다.
상기의 제어수단(50)은 제5도를 참고로 하여 제1, 제2배타논리합회로와 제1, 제2논리곱회로로 구성되며, 상기의 비교수단(30)의 출력 양비교출력(POF)을 PP0, 등비교출력(EQ)을 PP1, 음비교출력(POF)을 PP2로 하고, 상기의 제1배타논리합회로(XOR1)는 상기의 비교수단(30)의 출력들 중 등비교출력(PP1)과 음비교출력(PP2)을 수신하고, 상기의 제2배타논리합회로(XOR2)는 상기의 비교수단(30)의 출력들중 양비교출력(PP0)과 등비교출력(PP1)을 수신하고, 상기의 제1논리곱회로(AND1)는 상기의 제2지연수단(40)의 출력들중 제1출력(FF0)을 제1입력, 제2출력(FF1)의 반전입력을 제2입력, 제3출력(FF2)의 반전입력을 제3입력, 상기의 양비교출력(PP0)의 반전입력을 제4입력, 상기의 제1배타논리합회로(XOR1)의 출력을 제5입력으로 수신하여 제1보텀인에이블신호(B_CON)를 출력하고, 상기의 제2논리곱회로(AND2)는 상기의 제2지연수단(40)의 출력들중 제2출력(FF1)을 제1입력, 상기의 제2배타논리합회로(XOR2)의 출력을 제2입력, 상기의 음비교출력(PP2)의 반전출력을 제3입력, 상기의 제3출력(FF3)을 제4입력, 상기의 제1출력(FF0)의 반전출력을 제5입력으로 수신하여 제1피크인에이블신호(P_CON)를 출력한다. 결국, 상기의 알고리듬에 따라 하드웨어적으로 처리되어, 상기의 비교수단(30)의 3가지 신호 양비교출력(PP0), 등비교출력(PP1), 음비교출력(PP2)과 상기의 제2지연수단(40)에 의해 지연된 3가지 신호 제1출력(FF0), 제2출력(FF1), 제3출력(FF2)을 입력으로 하여, 제1피크인에이블신호(P_CON)와 제1보텀인에이블신호(B_CON)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의 알고리듬에 의해 피크나 보텀 이벤트를 판정하기 위한 디지탈 피크-보텀 홀드회로의 제어수단(제4도)의 회로구성은, 피크인에이블신호를 판정하는 수단과 보텀인에이블 신호를 판정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며, 피크인에이블을 판정하는 수단은 상기의 표1의 ⑦과 ⑧의 경우에 피크인에이블신호를 출력하며, 보텀인에이블을 판정하는 수단은 ②와 ③의 경우에 보텀인에이블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제4도를 참고로 하여, 디지탈 피크-보텀 홀드회로의 제어수단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제2데이타(P7:0)와 제3데이타(F7:0)를 3개씩 비교하고, 상기의 이벤트 판정방법에 의해 피크나 보텀이 되는 경우에만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 이외의 경우는 데이타를 그대로 홀드시키게 된다.
상기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피크와 보텀 홀드회로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상기의 제1지연수단(20)은 고주파신호를 출력하는 광검출기(11) 및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로 구성된 입력수단(10)을 통해서 8비트 디지탈 신호인 제1데이타(SD7:0)를 수신하고, 시스템클럭(WCK)에 동기시켜서 리셋입력(PRB)이 없을 때 제2데이타(P7:0)와 지연된 제3데이타(F7:0)를 출력시키는데, 즉 피크 및 보텀인에이블신호를 만들기 위해 제2데이타(P7:0)를 비교수단(30)으로 출력하고, 시스템클럭(WCK)의 한주기만큼 지연된 제3데이타(F7:0)를 비교수단(30)과 피크-보텀 출력수단(60)으로 출력한다.
상기의 비교수단(30)은 상기의 제1지연수단에 의해 출력된 제2데이타(P7:0)와 시스템클럭(WCK)의 한주기만큼 지연된 제3데이타(F7:0)를 각각 비교하여 시스템클럭(WCK)의 한주기만큼 지연된 제3데이타(F7:0)가 제2데이타(P7:0)보다 작을 때는 양비교출력(POF)을, 제2데이타(P7:0)가 제3데이타(F7:0)와 같을 때는 등비교출력(EQ)을, 그리고 제3데이타(F7:0)가 제2데이타(P7:0)와 작을 때는 음비교출력(POP)을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3가지 데이타를 이벤트를 판정하기 위해 제2지연수단(40)과 제어수단(50)으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의 제2지연수단(40)은 상기의 비교수단(30)에 의해 출력된 양비교출력(POF), 등비교출력(EQ), 음비교출력(POP)을 시스템클럭(WCK)에 동기시켜서 리셋입력(PRB)이 없을 때, 음비교출력(POP)을 제1출력(FF0), 등비교출력(EQ)을 제2출력(FF1), 양비교출력(POP)을 제3출력(FF2)으로 각각 한 클럭씩 지연시켜서 출력한다.
상기의 제어수단(50)은 비교수단(30)의 출력 양비교출력(POF)을 PP0, 등비교출력(EQ)을 PP, 음비교출력(POP)을 PP2로 하고, 제2지연수단(40)에 의해 출력된 제1출력(FF0), 제2출력(FF1), 제3출력(FF3)과 함께 상기 표1의 이벤트 발생 알고리듬에 의한 피크이벤트 ⑦과 ⑧, 보텀이벤트 ②와 ③일 경우에만 인에이블신호를 출력하게 되는데 피크이벤트일 경우 제1피크인에이블신호(P_CON)를 출력하고, 보텀이벤트일 경우에는 제1보텀인에이블신호(B_CON)를 출력하며, 이 이외의 경우는 홀드시킨다.
글리치제거수단(80)은 상기 제어수단(50)의 출력 제1피크인에이블신호(P_CON)와 제1보텀인에이블신호(B_CON)가 글리치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스템클럭(WCK)을 인버터(70)를 통해서 반전시킨 후에 제1피크인에이블신호(P_CON)와 제1보텀인에이블신호(B_CON)를 동기시키는 클럭으로 사용하고, 리셋입력이 비활성화될 때 글리치가 제거된 제2피크인에이블신호(PE)와 제2보텀인에이블신호(BE)를 출력한다.
피크-보텀 출력수단(60)은 제1지연수단(20)에서 일정시간 이상 지연된 제3데이타(F7:0)를 글리치제거수단(80)에서 출력된 제2피크인에이블신호(PE)와 제2보텀인에이블신호(BE)에 의해 래치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즉 제2피크인에이블신호(PE)에 동기시켜서 래치된 피크데이타(POUT7:0)를 출력하거나, 제2보텀인에이블신호(BE)에 동기시켜서 래치된 보텀데이타(BOUT7:0)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제2피크인에이블신호(PE)나 제2보텀인에이블신호(BE)가 비활성화될 경우에는 홀드시킨 출력을 그대로 출력하게 된다.
제7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피크-보텀 홀드회로의 동작타이밍도이다.
상기의 여러 수단들과 이벤트 발생 알고리듬에 의해서 제2피크인에이블신호(PE)가 발생하는 경우는 표1의 ⑦과 ⑧이며, 이를 제7도의 피크데이타(POUT7:0)에 도시하였고, 제2보텀인에이블신호(BE)가 발생하는 경우는 표1의 ②, ③ 이며, 이를 제7도의 보텀데이타(BOUT7:0)에 각각 도시하였다. 상기한 제2피크인에이블신호(PE)에 의해 피크홀드된 피크데이타(POUT7:0)와, 제2보텀인에이블신호(BE)에 의해 보텀홀드된 보텀데이타(BOUT7:0)를 출력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이 발명의 효과는, 종래의 아날로그 피크-보텀 홀드회로가 칩 외부에 장착되는 용량이 큰 커패시터들 때문에 커지는 레이아웃의 크기를 줄이고, 칩 내부의 저항과 커패시터에 의한 특성변화를 막을 수 있는 안정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컴팩트디스크의 플레이어의 피크-보텀 홀드회로에 있어서, 컴팩트디스크의 정보를 읽어서 고주파신호를 출력하는 광검출기 및 상기의 고주파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디지탈로 변환하여 8비트의 제1데이타, 제2데이타, 제3데이타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로 구성된 입력수단; 상기의 제1데이타, 제2데이타, 제3데이타를 순차적으로 수신하여 각각 클럭신호에 동기시켜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제4데이타, 제5데이타, 제6데이타와 각각 클럭신호의 한주기만큼 지연시켜 순차적으로 제7데이타, 제8데이타, 제9데이타를 출력하는 제1지연수단; 상기의 제4데이타와 제7데이타, 제5데이타와 제8데이타, 제6데이타와 제9데이타를 각각 비교하여, 제7, 제8, 제9데이타가 제4, 제5, 제6데이타보다 크면 양비교출력, 같으면 등비교출력, 작으면 음비교출력을 출력하는 비교수단; 상기의 양비교출력, 등비교출력, 음비교출력을 클럭신호의 한주기만큼 각각 지연하여 제1출력, 제2출력, 제3출력을 출력하는 제2지연수단; 상기의 양비교출력, 등비교출력, 음비교출력과 제1출력, 제2출력, 제3출력을 수신하여, 상기의 제4, 제5, 제6데이타의 출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피크인에이블 신호 또는 보텀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 상기의 제1지연수단의 출력들인 제4데이타, 제5데이타, 제6데이타를 래치하고, 피크인에이블 신호 또는 보텀인에이블 신호가 활성화될 때, 상기의 래치한 데이타를 피크데이타(POUT7:0) 또는 보텀데이타(BOUT7:0)로 출력하는 피크-보텀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피크-보텀 홀드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피크인에이블 신호 및 보텀인에이블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글리치를 제거하기 위해, 입력단은 피크인에이블 신호를 수신하고, 클럭단은 상기의 클럭신호를 반전시킨 반전클럭을 수신하여 글리치가 제거된 피크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제1플립플롭과, 입력단은 보텀인에이블 신호를 수신하고, 클럭단은 상기의 반전클럭을 수신하여, 글리치가 제거된 보텀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제2플립플롭으로 구성된 글리치제거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피크-보텀 홀드회 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제어수단은, 상기의 등비교출력과 음비교출력을 수신하는 제1배타논리합회로와, 상기의 양비교출력과 등비교출력을 수신하는 제2배타논리합회로와, 상기의 제1출력을 제1입력, 상기의 제2출력의 반전입력을 제2입력, 상기의 제3출력의 반전입력을 제3입력, 상기의 양비교출력의 반전입력을 제4입력, 상기의 제1배타논리합회로의 출력을 제5입력으로 수신하여 보텀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제1논리곱회로와, 상기의 제2출력을 제1입력, 상기의 제2배타논리합회로의 출력을 제2입력, 상기의 음비교출력의 반전출력을 제3입력, 상기의 제3출력을 제4입력, 상기의 제1출력의 반전출력을 제5입력으로 수신하여 피크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제2논리곱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피크-보텀 홀드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제어수단은 상기의 비교수단의 출력들 중 양비교출력이 로우논리값, 등비교출력과 음비교출력이 서로 다른 논리값, 상기의 제2지연수단의 출력들중 제1출력이 하이논리값, 제2출력이 로우논리값, 제3출력이 로우논리값일 때만 보텀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의 비교수단의 출력들중 양비교출력과 등비교출력이 서로 다른 논리값, 음비교출력이 로우논리값, 상기의 제2지연수단의 출력들중 제1출력이 로우논리값, 제2출력이 로우논리값, 제3출력이 하이논리값일 때만 피크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피크-보텀 홀드회로.
KR1019950032443A 1995-09-28 1995-09-28 피크-보텀 홀드회로 KR0169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2443A KR0169380B1 (ko) 1995-09-28 1995-09-28 피크-보텀 홀드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2443A KR0169380B1 (ko) 1995-09-28 1995-09-28 피크-보텀 홀드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7476A KR970017476A (ko) 1997-04-30
KR0169380B1 true KR0169380B1 (ko) 1999-03-20

Family

ID=19428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2443A KR0169380B1 (ko) 1995-09-28 1995-09-28 피크-보텀 홀드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938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7476A (ko) 1997-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5348B2 (en) Information playback apparatus with an unusual waveform circuit
KR100260549B1 (ko)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리드채널회로
US6728180B1 (en) Blank detection circuit and method therefor
KR0169380B1 (ko) 피크-보텀 홀드회로
JP2005011506A (ja) 二進データ検出装置および方法
JP2005063510A (ja) ディフェクト検出装置
JPH11195276A (ja) 同期検出装置及びそれを採用する光ディスク再生装置
NL1020242C2 (nl)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genereren van een RF signaal en stuursignalen in een systeem met optische schijf.
JP2003187533A (ja) 期待値生成ユニット及びデータ再生装置
KR100205380B1 (ko) 트랙킹 에러 검출회로
KR100194221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에러 보상형 데이터 재생장치
KR0163911B1 (ko) 미러와 디펙트 출력보강회로
JPH10198981A (ja) 光学的情報再生装置
US8254221B2 (en) Circuit for generating tracking error signal
US751204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tracking error signal in an optical disc drive
KR100585055B1 (ko) 광학 시스템의 디펙트 검출장치 및 방법
KR100585093B1 (ko) 광 디스크 장치의 워블 검출 시스템의ADIP(Address in pre-groove)신호 검출회로 및 검출방법
US20060104177A1 (en) Defect detection circuit
US7272087B2 (en) Circuit and method for detecting address in pre-groove (ADIP) signal in wobble detection system of optical disc apparatus
KR950003172B1 (ko) 광디스크 결함의 디지탈 검출회로
JP2901726B2 (ja) 読取情報信号の波形変換回路
KR100233112B1 (ko)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디지탈 볼륨 조정회로
JPH08195037A (ja) 光ディスク及び記録情報再生装置の評価装置
US20060104179A1 (en) White dot out detecting device
KR100564538B1 (ko) 롬계열시스템에서메모리지터제거기능을갖는오디오버퍼링장치및그의메모리지터제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