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8802B1 - 종합정보통신망교환기의 부재중 안내방법 - Google Patents

종합정보통신망교환기의 부재중 안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8802B1
KR0168802B1 KR1019960009618A KR19960009618A KR0168802B1 KR 0168802 B1 KR0168802 B1 KR 0168802B1 KR 1019960009618 A KR1019960009618 A KR 1019960009618A KR 19960009618 A KR19960009618 A KR 19960009618A KR 0168802 B1 KR0168802 B1 KR 0168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message
digital
guide
ca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9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8428A (ko
Inventor
조승환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09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8802B1/ko
Priority to NO971223A priority patent/NO971223L/no
Priority to DE19712273A priority patent/DE19712273A1/de
Priority to GB9706493A priority patent/GB2311908B/en
Priority to CN97104579A priority patent/CN1108690C/zh
Priority to US08/829,384 priority patent/US5937039A/en
Publication of KR970068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8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8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88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04Q11/0428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e. systems for transmission of different types of digitised signals, e.g. speech, data, telecentral, television signals
    • H04Q11/0435Details
    • H04Q11/0457Connect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3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3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 H04M3/533Voice mai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096Digital subscrib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03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09Apparatus individually associated with a subscriber line, line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096Digital apparatus individually associated with a subscriber line, digital line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03Mem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06Microprocessor, CPU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75Graphical user interface [GUI], WWW interface, visual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76Common channel signaling, CCS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04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09ISD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16Code signals, frame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405Dual frequency signaling, DTM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75Othe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206User-to-user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377Recorded announ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피호출측 가입자가 부재중인 경우에 호출측 가입자에게 피호출측 가입자가 부재중임을 안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국설교환기에 접속된 호출측 가입자의 전화기상에 디지탈국선을 수용하는 종합정보통신망(ISDN)교환기에 접속된 피호출측 가입자가 부재중임을 나태내는 안내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디지탈국선을 통해 국설교환기에 접속되며, 액정표시기(LCD)와 다수의 기능버튼을 가지고 있는 디지탈전화기를 내선으로 접속하고 있는 ISDN교환기에서의 부재중 안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ISDN교환기의 어느 한 내선이 호출될 시 이 호출된 내선이 부재중 안내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확인된 경우 상기 호출된 내선을 호출한 호출측으로 소정의 안내메시지를 송신하여 호출측 디지탈전화기의 LCD상에 상기 송신된 안내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 피호출측 가입자가 부재중임을 안내한다. 상기 ISDN교환기는 가입자의 각종 상황에 따른 부재이유를 나타내는 다수의 안내메시지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가입자는 부재하기 전에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안내메시지중 부재이유를 나타내는 안내메시지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부재이유를 나타내는 안내메시지가 설정되고 부재중 안내모드로 설정된 디지탈전화기가 호출되면, ISDN교환기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안내메시지중 미리 설정된 안내메시지를 메모리로부터 읽어들인다. 그러한 후에 호출측으로 상기 읽어들인 안내메시지를 송신하여 호출측 디지탈전화기의 LCD상에 피호출 가입자의 부재이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종합정보통신망(ISDN)의 디지탈전화기.

Description

종합정보통신망교환기의 부재중 안내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종합정보통신망교환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부재중 안내동작을 위해 제1도의 메모리에 구조되는 등록테이블 및 등록된 부재중 안내메시지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부재중 안내모드를 등록 및 해제하는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부재중 안내모드의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부재중 안내메시지를 변경하는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부재중 안내모드의 동작시 호출측과 피호출측간에 주고받는 시그날링메시지를 보여주는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부재중 안내모드의 동작시 피호출측에서 호출측으로 송출되는 경보메시지(ALERT MSG)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 메모리 104 : 중앙처리장치
106,108 : 디지탈전화기 110 : 가입자접속부
112 : 톤발생기 114 : 복합주파수발생기
116 : 디지탈국선접속부 118 : 아날로그국선접속부
120 : 스위칭회로
본 발명은 피호출측 가입자가 부재중인 경우에 호출측 가입자에게 피호출측 가입자가 부재중임을 안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탈 국선을 수용하는 종합정보통신망(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교환기에서 호출측 가입자의 전화기상에 피호출측 가입자가 부재중임을 나태내는 안내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부재중 안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재중인 가입자에게 전화를 걸게 되면 호출측 가입자는 피호출측 가입자와 통화를 할 수 없다. 그러므로 피호출측 가입자와 통화를 하기 위해서는 호출측 가입자는 반드시 피호출측 가입자에게 다시 전화를 걸어야만 한다. 이때 피호출측 가입자가 장시간 부재중이면 호출측 가입자가 반복적으로 전화를 걸더라도 호출측 가입자와 통화를 할 수 없는 불편함을 겪을 것이다. 특히 급박한 일로 피호출측 가입자에게 전화를 거는 경우에는 피호출측 가입자가 장시간 부재중이라면 호출측 가입자는 피호출측 가입자가 왜 부재중인지 알지 못하는 답답함을 느끼면서도 반복적으로 전화를 걸게 되는 불편함을 겪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가입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안된 것이 소위 자동응답(Automatio Response) 또는 부재중 안내라는 기능이다.
이러한 기능은 통상의 일반전화기에 채택되어 호출측 가입자가 부재중인 피호출측 가입자에게 전화를 거는 경우에 피호출측 가입자가 부재중이라는 사실을 메시지로서 호출측 가입자에게 안내한다. 이에 따라 호출측 가입자는 부재중인 피호출측 가입자에게 전화를 거는 경우에도 어떠한 이유로 피호출측 가입자가 부재중인지 알 수 있으므로, 호출측 가입자가 왜 부재중인지 알지 못하는 답답함을 느끼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언제 전화를 다시 걸어야 하는지도 알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받게 된다.
피호출측 가입자가 부재중이라는 사실을 알리는 메시지(이하 부재중 안내메시지라 칭함)는 일반적으로 음성으로 제공된다. 그러나 키폰(Key Phone)이나 디지폰(Digital Phone)(이하 디지탈전화기라 통칭함)과 같이 액정표시기(Liquid Crystal Display)를 구비하며 다수의 기능버튼을 가지는 전화기가 도입되면서 부재중 안내메시지를 호출측 가입자의 디지탈전화기의 LCD상에 표시시켜주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방법은 본원 출원인에 의해 1988년 12월 31일자로 출원된 후 1992년 2월 1일자로 공고된 대한민국 특허공고번호 제92-1001호 제목 전자식 간이교환기 및 사설교환기에서의 부재중 안내방법하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상기 92-1001특허에 개시된 방법에 따르면, 교환기내의 어느 한 가입자가 부재중인 다른 가입자를 호출할 시 부재중 안내메시지가 자신의 디지탈전화기의 LCD상에 표시되므로 호출측 가입자는 피호출측 가입자가 부재중임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어떠한 이유로 피호출측 가입자가 부재중인지도 알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받는다. 그러나 상기 92-1001특허는 교환기내에서 동작을 그 기술의 범주로 하기 때문에 내선가입자에 대한 부재중 안내메시지가 국선가입자에게 안내되거나 국선가입자에 대한 부재중 안내메시지가 내선가입자에게 안내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왜냐하면, 상기 92-1001특허에 개시되어 있는 교환기는 단지 아날로그국선만을 수용하는 교환기이기 때문이다.
한편 현재 ISDN이 보편화되면서 아날로그교환기를 대신한 ISDN교환기가 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ISDN교화기는 음성, 비디오, 데이타 등에 대한 서비스도 제공하며, 구성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아날로그교환기와 같이 아날로그국선을 통해 국설교환기에 연결될 뿐만 아니라 디지탈국선을 통해서도 국설교환기에 연결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ISDN교환기에서도 부재중 안내메시지가 제공되도록 한다면 가입자들은 보다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ISDN교환기에서 피호출측 가입자가 부재중임을 안내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국설교환기측의 가입자가 부재중인 ISDN교환기의 가입자에게 전화를 거는 경우에 국설교환기측의 가입자에게 부재중임을 안내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ISDN교환기측의 가입자가 국설교환기에 연결된 다른 ISDN측의 부재중인 가입자에 전화를 거는 경우에 ISDN교환기측의 가입자에게 부재중임을 안내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지탈국선을 통해 국설교환기에 접속되며, LCD와 다수의 기능버튼을 가지고 있는 디지탈전화기를 내선으로 접속하고 있는 ISDN교환기에서의 부재중 안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견지(Aspect)에 따르면, ISDN교환기의 어느 한 내선이 호출될 시 이 호출된 내선이 부재중 안내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확인된 경우 상기 호출된 내선을 호출한 호출측으로 소정의 안내메시지를 송신하여 호출측 디지탈전화기의 LCD상에 상기 송신된 안내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 피호출측 가입자가 부재중임을 안내한다.
상기 ISDN교환기는 가입자의 각종 상황에 따른 부재이유를 나타내는 다수의 안내메시지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가입자는 부재하기 전에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안내메시지중 부재 이유를 나타내는 안내메시지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부재 이유를 나타내는 안내메시지가 설정되고 부재중 안내모드로 설정된 디지탈 전화기가 호출되면, ISDN교환기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안내메시지중 미리 설정된 안내메시지를 메모리로부터 읽어들인다. 그러한 후에 호출측으로 상기 읽어들인 안내메시지를 송신하여 호출측 디지탈전화기의 LCD상에 피호출측 가입자의 부재이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때 호출측이 국선측이면 상기 읽어들인 안내메시지를 디지탈국선의 디(D)채널을 통해 송신한다. 그러면 국설교환기는 디지탈국선의 디채널을 통해 송신된 안내메시지를 호출측 디지탈전화기의 LCD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와 달리 호출측이 내선측이면 ISDN교환기는 상기 읽어들인 안내메시지를 호출측 내선으로 송신하여 호출측 디지탈전화기의 LCD상에 안내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견지에 따르면, 어느 한 ISDN교환기의 내선이 부재중인 다른 한 ISDN교환기의 내선을 호출하는 경우에 호출측 디지탈전화기의 LCD상에 부재중인 피호출측 가입자의 부재이유를 나타내는 안내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상기 ISDN교환기들 각각은 디지탈국선을 통해 국설교환기에 접속되며, LCD와 다수의 기능버튼을 가지고 있는 디지탈전화기를 내선으로 접속하고 있다. 또한 ISDN교환기들 각각은 다수의 안내메시지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가지고 있다. 제1 ISDN교환기의 제1내선이 제2 ISDN교환기의 제2내선에 의해 호출되면, 제1 ISDN교환기는 상기 제1내선이 부재중 안내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제1내선이 부재중 안내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제1 ISDN교환기는 자신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안내메시지중 제1내선의 가입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안내메시지를 읽어들인다. 상기 안내메시지는 제1내선의 가입자가 부재전에 자신의 부재이유를 알리기 위해 설정하는 메시지이다. 제1 ISDN교환기가 읽어들인 안내메시지를 디지탈국선의 디채널을 통해 국설교환기로 송신하면, 국설교환기는 상기 송신된 안내메시지를 디지탈국선의 디채널을 통해 제2 ISDN교환기로 송신하여 호출측인 제2내선의 디지탈전화기의 LCD상에 부재중인 피호출측 가입자의 부재이유를 나타내는 안내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피호출측 가입자가 부재하기 이전에 자신의 부재이유를 나타내는 안내메시지를 미리 설정하고 자신의 디지탈전화기를 부재중 안내모드로 설정하게 되면, 이후에 자신이 호출되더라도 호출측 가입자는 피호출측 가입자가 왜 부재중인지를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칩설계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ISDN교환기는 디지탈전화기(키폰 또는 디지폰)(106,108)로부터 시그날링데이타를 입력하거나 디지탈전화기(106,108)로 시그날링데이타를 인가하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104)를 적어도 포함한다. 상기 디지탈전화기(106,108)는 송수화부(A)와, LCD(B)와, 다수의 기능버튼(C)들로 이루어지며, ISDN교환기의 내선을 구성한다. 메모리(102)는 중앙처리장치(104)에 의해 제어되며, ISDN교환기의 각종 동작을 위한 시스템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각종 동작시 처리되는 데이타들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10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위한 다수의 안내메시지들이 저장된다. 이러한 안내메시지는 피호출측 가입자의 각종 상황에 따른 부재이유를 나타내는 메시지이다. 가입자접속부(110)는 중앙처리장치(104)로부터의 시그날링데이타를 해당하는 디지탈전화기로 인가하고, 어느 한 디지탈전화기로부터의 시그날링데이타를 인가받아 중앙처리장치(104)로 제공한다. 스위칭회로(120)는 중앙처리장치(104)에 의해 제어되어 내선들간의 통화로 및 내선과 국선간의 통화로를 형성한다. 톤발생기(112)는 중앙처리장치(104)에 의해 제어되어 스위칭회로(120)에 의해 형성된 통화회로로 톤을 공급한다. 복합주파수(Dual Tone Multi Frequency)발생기(114)는 중앙처리장치(104)가 메모리(102)로부터 다이얼디지트를 읽어들여 인가할 시 이에 해당하는 복합주파수를 발생한다. 디지탈국선접속부(116)는 디지탈국선(L1)과 스위칭회로(120)를 인터페이싱하며, 아날로그국선접속부(118)는 아날로그국선(L2)과 스위칭회로(120)를 인터페이싱한다. 상기 디지탈국선(L1)과 아날로그국선(L2)은 각각 국설교환기(Central Office)에 접속된다.
제1도에서 디지탈국선접속부(116)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통상의 아날로그교환기를 구성한다. 즉, 통상의 아날로그교환기는 메모리(102), 중앙처리장치(104), 디지탈전화기(106,108), 가입자접속부(110), 톤발생기(112), 복합주파수발생기(114), 스위칭회로(120), 그리고 아날로그국선접속부(118)로 구성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교환기는 이러한 아날로그교환기에 디지탈국선접속부(116)가 추가되어 이루어지는 ISDN교환기이다.
ISDN교환기의 특징적인 요소인 디지탈국선접속부(116)는 BRI(Basic Rate Interface) 또는 PRI(Primary Rate Interface)로 구현될 수 있다. BRI는 두개의 B채널과 하나의 D채널로 구조되며, 2B+D로 나타내어진다. PRI는 30개의 B채널과 하나의 D채널로 구조되며, 30B+D로 나타내어진다. 여기서 2B채널은 두채널의 음성 또는 데이타를 제공하는 채널을 의미하고, 30B채널은 30개 채널의 음성 또는 데이타를 제공하는 채널을 의미한다. 그리고 D채널은 국설교환기와 ISDN교환기간에 주고받는 시그날링메시지를 제공하는 채널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ISDN교환기에서 피호출측 가입자가 부재중임을 호출측 가입자에게 안내한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기술과 달리 국설교환기측의 가입자가 부재중인 ISDN교환기내의 가입자를 호출한 경우에도 호출측인 국설교환기측의 가입자에게 피호출측 가입자가 부재중임을 나타내는 안내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은 크게 3가지의 동작, 즉 피호출측 가입자에 대한 안내메시지를 등록 및 설정하는 동작과, 등록된 안내메시지를 상황에 맞게 변경하는 동작과, 부재중 안내모드시(피호출측 가입자가 부재시) 미리 설정된 특정의 안내메시지를 서비스하는 동작으로 구분된다.
본 발명에 따른 3가지의 동작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부재중 안내모드의 동작을 위해 제1도의 메모리(102)에 구조되는 등록테이블을 보여주는 제2도(a)와, 등록된 부재중 안내메시지의 일예를 보여주는 제2도(b)를 설명한다.
제2도에서, 부재중 안내메시지를 등록하기 위한 테이블은 1바이트의 OUTSTAT영역과, 1바이트의 MSG-NO영역과, GUIDE-MSG영역으로 구조된다. OUTSTAT영역에는 소정의 디지탈전화기가 부재중 모드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값이 저장된다. 그러므로 OUTSTAT영역에 저장된 값을 확인함으로써 가입자가 부재중인지 여부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OUTSTAT영역에 2의 값이 저장되어 있다면 해당하는 디지탈전화기는 부재중 모드로 설정된 것이고, 이 디지탈전화기의 가입자는 부재중이다. MSG-NO영역에는 소정의 디지탈전화기가 부재중 모드로 설정된 경우, 이 디지탈전화기의 가입자가 어떠한 이유로 부재중인지를 알려주는 안내메시지의 번호가 저장된다. GUIDE-MSG영역은 각종의 부재상황을 나타내는 다수의 안내메시지가 저장되는 영역으로, 이 영역에 저장되는 안내메시지의 길이 및 갯수는 디지탈전화기(106,108)에 실장된 LCD의 종류 및 ISDN교환기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디지탈전화기(106,108)에 실장된 LCD가 16컬럼이라고 가정하고, 이에 대응하여 각 안내메시지의 길이가 16문자인 경우를 예로하여 설명한다. GUIDE-MSG영역에 저장된 각 안내메시지의 마지막 부분에는 각 메시지의 끝을 나타내는 1바이트의 문자 EOM(End Of Message)가 부가된다.
지금, 제1도의 디지탈전화기(106)의 가입자가 점심을 먹으러 나가기 위해 자신의 전화기를 부재중 안내모드를 설정하고자 한다고 가정한다.가입자가 전화기상의 다수의 버튼들중 부재중 안내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키(이하 부재키라 칭함)를 누르면, 중앙처리장치(104)는 제3도의 302단계에서 이를 확인한 후 304단계에서 전화기가 이미 부재중 안내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이때 전화기가 이미 부재중 안내모드로 설정되었었다면, 322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04)는 전화기의 부재중 안내모드를 해제한다. 부재중 안내모드의 해제는 가입자가 부재중으로부터 되돌아와서 부재키를 한번 더 누르는 경우에 해당한다.
그러나 부재중 안내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았다면, 306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04)는 제2도(b)와 같은 형태로 메모리(102)에 저장되어 있는 최초 번호의 안내메시지(안내메시지1)를 읽어들여 디지탈전화기(106)의 LCD상에 디스플레이시킨다. 이에 따라 가입자는 최초 안내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된 최초 번호의 안내메시지는 가입자의 부재이유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가입자가 다음 번호의 안내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한 키(이하 진행키라 칭함)를 누르면, 중앙처리장치(104)는 310단계 및 312단계를 거쳐 314단계에서 메모리(102)에 저장되어 있는 다음 번호의 안내메시지(안내메시지2)를 읽어들여 디지탈전화기(106)의 LCD상에 디스플레이시킨다. 이러한 동작은 가입자가 부재이유를 나타내는 안내메시지를 선택할 때까지 반복된다.
자신의 부재이유를 나타내는 안내메시지(안내메시지4)가 디지탈전화기(106)의 LCD상에 디스플레이될 때 가입자가 이 안내메시지를 설정하기 위한 선택키를 누르면, 중앙처리장치(104)는 308단계에서 이를 확인한 후 316단계에서 메모리(102)의 OUTATAT영역에 2값을 저장함으로써 디지탈전화기(106)를 부재중 안내모드로 설정한다. 다음에 318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04)는 메모리(102)의 MSG-NO영역에 선택된 안내메시지의 번호 4를 저장함으로써 선택된 안내메시지를 등록한다. 이때 등록된 안내메시지는 가입자의 부재이유에 해당하는 OUT TO LUNCH이다. 그 다음에 중앙처리장치(104)는 320단계에서 톤발생기(112)를 이용하여 톤을 생성한후 가입자에게 확인음을 송출함으로써 부재중 안내모드가 설정되었고 가입자의 부재이유를 나타내는 안내메시지가 등록되었음을 알려준다.
상기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처리흐름을 통해 디지탈전화기(106)가 부재중 안내모드로 설정되었다면, 이후에 이 디지탈전화기(106)가 호출될 시 호출측으로 이미 등록되어있는 안내메시지가 송신되어 호출측 가입자에게 안내된다. 이러한 부재중 안내메시지가 호출측 가입자에게 안내되는 동작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흐름을 통해 수행된다.
상기 부재중 안내모드로 설정된 디지탈전화기(106)가 착신중이면 중앙처리장치(104)는 제4도의 402단계에서 이를 확인하고, 404단계에서 착신중인 내선이 부재중 안내모드로 설정되어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착신중인 디지탈전화기(106)는 이미 부재중 안내모드로 설정되었으므로, 중앙처리장치(104)는 404단계의 확인동작을 종료하고, 406단계에서 호출한 상대방이 국선측인지 아니면 내선측인지를 검사한다. 이때 호출한 상대방이 국선측이라면 중앙처리장치(104)는 408단계내지 412단계의 동작을 수행하고, 호출한 상대방이 내선측이라면 중앙처리장치(104)는 414단계 내지 418단계의 동작을 수행한다.
호출한 상대방이 국선측이면 408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04)는 아날로그국선인지 아니면 디지탈국선인지를 확인한다. 호출한 상대방이 아날로그국선측인 경우는 등록된 아날로그교환기의 송신이 불가능하므로 그 처리동작을 종료한다. 그러나 호출한 상대방이 디지탈국선측이면 410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04)는 등록된 안내메시지를 메모리(102)로부터 읽어들이고, 412단계에서 이 읽어들인 안내메시지를 디지탈국선(L1)의 D채널을 통해 송신한다. 이렇게 송신된 안내메시지는 국설교환기에 접속된 디지탈전화기나 국설교환기에 접속된 ISDN교환기의 디지탈전화기의 LCD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이에 따라 디지탈전화기(106)의 가입자를 호출한 국설교환기측의 가입자는 자신의 전화기상에 디스플레이된 안내메시지로부터 피호출측 가입자가 어떠한 이유로 부재중인지 알 수 있다.
호출한 상대방이 내선측이면 414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04)는 호출측이 디지탈전화기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호출측이 디지탈전화기가 아니라면 등록된 안내메시지를 송신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 처리동작을 종료한다. 그러나 호출한 상대방이 디지탈전화기이면 416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04)는 등록된 안내메시지를 메모리(102)로부터 읽어들이고, 418단계에서 이 읽어들인 안내메시지를 호출측 디지탈전화기의 LCD상에 디스플레이시킨다. 이에 따라 디지탈전화기(106)의 가입자를 호출한 내선가입자는 자신의 전화기상에 디스플레이된 안내메시지로부터 피호출측 가입자가 어떠한 이유로 부재중인지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피호출측 가입자가 부재하기 이전에 자신의 부재이유를 나타내는 안내메시지를 미리 설정하고 자신의 디지탈전화기를 부재중 안내모드로 설정하게 되면, 이후에 자신이 호출되더라도 피호출측 가입자가 왜 부재중인지를 나타내는 메시지가 호출측 가입자에게로 제공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부재중 안내메시지를 변경하는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러한 부재중 안내메시지 변경처리동작은 ISDN교환기의 MMC(Man Machine Communication)모드에서 수행된다.
ISDN교환기의 관리자가 이미 등록되어 있는 안내메시지의 변경을 위해 MMC모드에서 안내메시지 변경을 위한 ID(Identification)을 입력하면, 중앙처리장치(104)는 502단계에서 ISDN교환기가 MMC모드임을 확인하고 504단계에서 안내메시지 변경을 위한 ID가 입력되었음을 확인한다. MMC모드와 안내메시지 변경을 위한 ID가 입력된 것으로 확인되면, 506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04)는 메모리(102)에 저장되어 있는 안내메시지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 다음에 이 디스플레이된 안내메시지 리스트로부터 관리자가 변경하고자 하는 안내메시지의 번호를 선택하면, 중앙처리장치(104)는 508단계에서 이를 확인하고 510단계에서 선택된 번호의 안내메시지를 삭제한다. 이때 관리자가 새로운 안내메시지를 입력하면, 중앙처리장치(104)는 514단계에서 안내메시지의 마지막을 알려주는 문자 EOM이 입력되었는지 확인될 때까지 512단계에서 새로운 안내메시지를 입력한다. 새로운 안내메시지를 모두 입력한 후에 중앙처리장치(104)는 516단계에서 입력한 안내메시지를 메모리(102)에 등록하고, 518단계에서 새로운 안내메시지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된 안내메시지 리스트에는 새로운 안내메시지가 포함된다.
이후에 관리자가 디스플레이된 새로운 안내메시지 리스트중 변경을 위한 안내메시지의 번호를 다시 선택하면, 중앙처리장치(104)는 상기 508단계 내지 518단계의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선택된 안내메시지를 변경한다. 그러나 새로운 안내메시지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 후에도 관리자에 의해 변경을 위한 안내메시지의 번호가 선택되지 않으면 안내메시지 변경동작을 종료한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부재중 안내모드의 동작시 호출측(국설교환기)과, 피호출측(ISDN교환기)간에 주고받는 시그날링메시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6도의 S1단계에서 국설교환기측의 어느 한 가입자가 ISDN교환기의 어느 한 내선을 호출하면, S2단계에서 국설교환기는 콜셋업메시지(CALL_SETUP_MSG)를 피호출측인 ISDN교환기로 송신한다. 이 콜셋업메시지는 전화를 걸기 위한 라인설정을 위한 메시지로, 일반적으로 전화를 걸때 사용하는 메시지이다. 상기 콜셋업메시지를 수신한 ISDN교환기는 이에 대한 응답신호로서 S3단계에서 셋업승인메시지(SETUP_ACK_MSG)를 국설교환기로 송신한다. 또한 S4단계에서 ISDN교환기는 호출된 내선에 링을 올려준다. 다음에 S5단계에서 ISDN교환기는 피호출 내선에 링이 울리고 있다는 것을 호출측에 알려주는 경보메시지(ALERT_MSG)를 디지탈국선의 D채널을 통해 국설교환기측으로 송신한다. 이러한 경보메시지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구조되는데, 이때 피호출 내선이 부재중 안내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경보메시지에는 부재중 안내메시지가 포함되게 된다.
제7도(a)는 경보메시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MSG-ID는 메시지의 종류를 나타내며, CONNECT_ID는 접속중인 호를 관리하는 독특한 번호로서 호가 동시에 여러개 존재할 때 해당 호를 지정하는 특수번호이며, UUI는 가입자와 가입자간의 시그날링으로 상대방에게 전달하고 싶은 어떤 정보가 있을 때 전달되는 정보이다. 제7도(b)는 제6도의 S4단계에서 링이 울린 피호출 내선이 부재중 안내모드로 설정된 경우에 제6도의 S5단계에서 국설교환기측으로 송신되는 경보메시지이다. 피호출 내선의 가입자가 점심을 먹으로 나갔기 때문에 피호출 내선의 부재중 안내모드로 설정된 경우에 경보메시지의 UUI영역에는 피호출 내선의 가입자의 부재이유를 나태내는 안내메시지 OUT OF LUNCH가 실리게 된다.
제6도의 S4단계에서 링이 울린 피호출 내선이 부재중 안내모드로 설정되어 있는경우(CASE1), 국설교환기는 제7도(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구조된 경보메시지를 ISDN교환기로부터 디지탈국선의 D채널을 통해 수신한 후 S6단계에서 이 수신된 경보메시지내의 안내메시지를 호출측 디지탈전화기의 LCD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달리 제6도의 S4단계에서 링이 울린 피호출 내선이 부재중 안내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CASE2)에 S6단계에서 피호출측 가입자가 수화기를 들어 응답하면, ISDN교환기는 S7단계에서 링이 울리는 피호출내선이 응답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인 접속메시지(CONNECT_MSG)를 디지탈국선의 D채널을 통해 국설교환기측으로 송신한다. 그러면 S8단계에서 국설교환기는 접속메시지를 수신하였음을 나타내는 접속응답메시지(CONNECT_ACK_MSG)를 디지탈국선의 D채널을 통해 ISDN사설교환기측으로 송신하여 통화동작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피호출측 가입자가 부재하기 이전에 자신의 부재이유를 나타내는 안내메시지를 미리 설정하고 자신의 디지탈전화기를 부재중 안내모드로 설정하면, 국설교환기에 접속된 호출측 가입자가 피호출측 가입자를 호출하는 경우에 호출측 가입자에게 피호출측 가입자가 부재중임을 나타내는 안내메시지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호출측 가입자는 피호출측 가입자가 어떠한 이유로 부재중인지를 알 수 있으며, 또한 언제 전화를 다시 거는 경우에 피호출측 가입자와 통화를 할 수 있는지도 알 수 있는 잇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8)

  1. 디지탈국선을 통해 국설교환기에 접속되며, 액정표시기와 다수의 기능버튼을 가지고 있는 디지탈전화기를 내선으로 접속하고 있는 종합정보통신망교환기의 부재중 안내방법에 있어서: 상기 종합정보통신망교환기의 어느 한 내선이 호출될 시 이 호출된 내선이 부재중 안내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부재중 안내모드 확인과정과; 상기 호출된 내선이 부재중 안내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호출된 내선을 호출한 호출측으로 소정의 안내메시지를 송신하여 호출측 디지탈전화기의 액정표시기상에 상기 송신된 안내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안내메시지 송신과정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중 안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합정보통신망교환기는 다수의 안내메시지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내메시지 송신과정은; 상기 호출된 내선이 부재중 안내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안내메시지중 미리 설정된 안내메시지를 읽어들이는 제1과정과, 상기 호출된 내선을 호출한 호출측으로 상기 읽어들인 안내메시지를 송신하여 호출측의 디지탈전화기상에 상기 송신된 안내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제2과정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중 안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메시지 송신과정은; 상기 호출된 내선을 호출한 호출측이 국선인지 아니면 내선인지를 검사하는 제3과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중 안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은; 상기 호출된 내선을 호출한 호출측이 국선인 경우 상기 메모리로부터 읽어들인 안내메시지를 상기 디지탈국선의 소정 채널을 통해 송신하여 상기 국설교환기에 접속된 디지탈전화기의 액정표시기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중 안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된 내선을 호출한 호출측이 국선인 경우 상기 메모리로부터 읽어들인 안내메시지를 상기 디지탈국선의 디채널을 통해 송신하여 상기 국설교환기에 접속된 디지탈전화기의 액정표시기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중 안내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은; 상기 호출된 내선을 호출한 호출측이 내선인 경우 상기 메모리로부터 읽어들인 안내메시지를 호출측의 내선으로 송신한 후 해당하는 내선의 디지탈전화기의 액정표시기상에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중 안내방법.
  7. 디지탈국선을 통해 국설교환기에 각각 접속되며; 각각이 액정표시기와 다수의 기능버튼을 가지고 있는 디지탈전화기를 내선으로 접속하고 있으며, 각각이 다수의 안내메시지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가지는 제1종합정보통신망교환기 및 제2종합정보통신망교환기의 부재중 안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종합정보통신망교환기의 제1내선이 상기 제2종합정보통신망교환기의 제2내선에 의해 호출될 시 상기 제1내선이 부재중 안내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부재중 안내모드 확인과정과; 상기 제1내선이 부재중 안내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종합정보통신망교환기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안내메시지중 미리 설정된 안내메시지를 읽어들이는 안내메시지 읽음과정과; 상기 제1종합정보통신망교환기는 상기 읽어들인 안내메시지를 상기 디지탈국선을 통해 상기 국설교환기로 송신하고, 상기 국설교환기는 상기 송신된 안내메시지를 상기 디지탈국선을 통해 상기 제2종합정보통신망교환기로 송신하여 상기 제2내선의 디지탈전화기의 액정표시기상에 상기 송신된 안내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안내메시지 디스플레이과정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중 안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종합정보통신망교환기는 상기 읽어들인 안내메시지를 상기 디지탈국선의 디채널을 통해 상기 국설교환기로 송신하고, 상기 국설교환기는 상기 송신된 안내메시지를 상기 디지탈국선의 디채널을 통해 상기 제2종합정보통신망교환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중 안내방법.
KR1019960009618A 1996-03-30 1996-03-30 종합정보통신망교환기의 부재중 안내방법 KR0168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9618A KR0168802B1 (ko) 1996-03-30 1996-03-30 종합정보통신망교환기의 부재중 안내방법
NO971223A NO971223L (no) 1996-03-30 1997-03-17 Fremgangsmåte for utsending av fraværsmeldinger fra ISDN sentral-system
DE19712273A DE19712273A1 (de) 1996-03-30 1997-03-24 Verfahren zum Aussenden von Abwesenheitsmitteilungen in einem ISDN-Vermittlungssystem
GB9706493A GB2311908B (en) 1996-03-30 1997-03-27 Method for sending out absence messages from ISDN exchange system
CN97104579A CN1108690C (zh) 1996-03-30 1997-03-28 从综合业务数字网交换系统发送留言的方法
US08/829,384 US5937039A (en) 1996-03-30 1997-03-31 Method for sending out absent messages from ISDN exchang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9618A KR0168802B1 (ko) 1996-03-30 1996-03-30 종합정보통신망교환기의 부재중 안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8428A KR970068428A (ko) 1997-10-13
KR0168802B1 true KR0168802B1 (ko) 1999-02-01

Family

ID=19454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9618A KR0168802B1 (ko) 1996-03-30 1996-03-30 종합정보통신망교환기의 부재중 안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937039A (ko)
KR (1) KR0168802B1 (ko)
CN (1) CN1108690C (ko)
DE (1) DE19712273A1 (ko)
GB (1) GB2311908B (ko)
NO (1) NO971223L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157B1 (ko) * 2002-05-22 2009-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화기의 부재상황 알림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0944B1 (en) * 1997-12-17 2001-10-30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for adding context to communications
US6229878B1 (en) * 1998-01-21 2001-05-08 Lucent Technologies, Inc. Telephone answering method and apparatus
DE19808941C2 (de) * 1998-03-03 2001-11-29 Siemens Ag Übertragung von Namensinformationen über das öffentliche Euro-ISDN-Netz
US20010026609A1 (en) * 1999-12-30 2001-10-04 Lee Weinstein Method and apparatus facilitating the placing, receiving, and billing of telephone calls
GB2365257B (en) 2000-07-28 2003-03-12 Data Information Systems Ltd Telephone status/availability system
KR20020092419A (ko) * 2001-02-06 2002-12-11 다께다 기꾸오 착신불능 안내시스템 및 방법
KR100854709B1 (ko) * 2001-11-14 2008-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화 단말기의 부재중 안내 메시지 등록 방법
US7010288B2 (en) * 2002-05-06 2006-03-07 Cingular Wireless Ii,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utomatic response to a telephone call
US20090037178A1 (en) * 2007-07-30 2009-02-05 Mittal Yogesh K Answer an incoming voice call without requiring a user to speak
DE202009014826U1 (de) 2009-11-03 2011-03-17 Westfalia-Automotive Gmbh Verbindungseinrichtung für eine Anhängekupplung oder einen Lastenträger
CN105554219B (zh) * 2015-12-11 2018-08-21 上海市共进通信技术有限公司 基于voip终端的自动外出提示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1549A (ja) * 1985-03-04 1986-09-06 Toshiba Corp 電話端末メツセ−ジ通信方式
US5001709A (en) * 1988-02-09 1991-03-19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JPH0229148A (ja) * 1988-07-19 1990-01-31 Hitachi Ltd 電話呼出方式
US4922490A (en) * 1988-08-08 1990-05-01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Telephone station set
US4899358A (en) * 1988-08-08 1990-02-06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At&T Bell Laboratories Call announcement arrangement
US5119415A (en) * 1988-08-24 1992-06-02 Hitachi, Ltd. Method of displaying called party information on calling party terminal and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method
US5305097A (en) * 1989-12-20 1994-04-19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ng apparatus having a calling party number display device
US5138655A (en) * 1990-02-17 1992-08-11 Canon Kabushiki Kaisha Telephone apparatus capable of setting card unit therein
EP0450550A3 (en) * 1990-04-02 1993-07-07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electronic notebook and telephone exchange related to the same
CA2044068C (en) * 1990-06-08 1995-02-14 Kazuo Nakano Telephone system with message recording function
US5278896A (en) * 1990-06-13 1994-01-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utomatic answering telephone apparatus
FI94581C (fi) * 1991-02-12 1995-09-2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Järjestelmä yhteystietojen välittämiseksi automaattisesti matkapuhelinverkossa tai vastaavassa
US5533104A (en) * 1991-06-24 1996-07-02 Weiss; Mark H. Telephone answering device and method
JP2971625B2 (ja) * 1991-07-04 1999-11-08 株式会社東芝 電子交換機における切断理由設定方式
CA2073555C (en) * 1991-07-10 1996-12-31 Takahiro Endo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JP2994090B2 (ja) * 1991-07-10 1999-12-27 株式会社東芝 パーソナル通信システム
CA2100139C (en) * 1992-09-29 1997-02-18 William Walter Demlow Information display provided to calling party
US5436963A (en) * 1992-12-30 1995-07-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elephone answering method and apparatus
KR950016161A (ko) * 1993-11-17 1995-06-17 김광호 사설교환 시스템의 부재중 메세지 표시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157B1 (ko) * 2002-05-22 2009-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화기의 부재상황 알림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971223D0 (no) 1997-03-17
GB2311908A (en) 1997-10-08
NO971223L (no) 1997-10-01
CN1166743A (zh) 1997-12-03
US5937039A (en) 1999-08-10
GB9706493D0 (en) 1997-05-14
KR970068428A (ko) 1997-10-13
DE19712273A1 (de) 1997-11-06
CN1108690C (zh) 2003-05-14
GB2311908B (en) 1998-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47372C (en) Interface for a data telephone and data terminal in a digital telephone system
US5283824A (en) Calling line identification
EP0590862B1 (en) Information display provided to calling party
US5119415A (en) Method of displaying called party information on calling party terminal and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method
US6560317B1 (en) Receiving call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a telecommunications device for the deaf
GB2224181A (en) Telephone system
KR0168802B1 (ko) 종합정보통신망교환기의 부재중 안내방법
JPH02194768A (ja) ファクシミリ装置間の管理情報通信方法
KR100267853B1 (ko) 종합정보통신망교환기의호출자별부재중안내방법
KR100247030B1 (ko) 디지털 통신망에서 호출자정보 안내방법
KR100239175B1 (ko) 전화기에서 착신 정보를 등록된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
JP3033668B2 (ja) 交換機又はボタン電話機のisdnマルチライン回線における発着信方法
KR100397343B1 (ko) 간이교환기시스템의 발신자 자동 리다이얼링방법
JP2843554B2 (ja) 着信端末についての情報を発信端末に表示する方法とその装置、並びに交換機
JP2851876B2 (ja) 着信端末についての情報を発信端末に表示する方法、並びに通信システム、交換機および端末装置
AU708663B2 (en) A telephone arrangement
KR100206172B1 (ko) 내선 자동접속 기능을 가지는 키폰시스템의 음성 부재메시지 안내방법
JP2905288B2 (ja) 電話端末
EP1006705A1 (en) Private telecommunications switching system and method of establishing a connection
KR100267849B1 (ko) 알투신호를적용한자동전용네트워크다이얼링방법
JP3123570B2 (ja) 通信端末
JPH10294794A (ja) 着信端末についての情報を発信端末に表示するシステムと着信端末についての情報を発信端末に表示する方法、並びに発信端末装置、加入者端末、着信装置および加入者端末装置
JPS63144645A (ja) メモ通信方式
JPH01216659A (ja) 通信端末装置
KR20000046380A (ko) 변경된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안내방송하는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