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8597B1 - 비디오 트리거 보드 - Google Patents

비디오 트리거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8597B1
KR0168597B1 KR1019950024509A KR19950024509A KR0168597B1 KR 0168597 B1 KR0168597 B1 KR 0168597B1 KR 1019950024509 A KR1019950024509 A KR 1019950024509A KR 19950024509 A KR19950024509 A KR 19950024509A KR 0168597 B1 KR0168597 B1 KR 0168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ynchronization
carrier
color
trig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4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4131A (ko
Inventor
이철호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24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8597B1/ko
Publication of KR970014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4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8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85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8Sepa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from pictur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측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포착하기 위하여 입력되는 신호원이 비디오 신호인 경우에 지정하는 라인, 필드, 프레임을 트리거할 수 있는 비디오 트리거 보드에 관한 것으로, 버퍼(210)를 통해 필터링되어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의 트리거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도록 동기신호를 분리하는 동기신호분리부(220)와, 버퍼(210)를 통해 필터링되어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의 색부반송파를 일정시간 지연시켜 구형파 펄스로 처리하는 색부반송파처리부(240)와, 상기 색부반송파처리부(240)에서 처리된 구형파 펄스와 동기발생부(260)에서 발생된 색부반송파를 비교하는 색부반송파비교부(250)와, 상기 동기신호분리부(220)에서 입력된 신호와 색부반송파비교부(250)에서 입력된 신호의 위상을 조정하여 동기시점을 결정하는 동기시점조정부(230)와, 상기 동기시점조정부(230)에서 조정된 동기신호에 의해 수평동기(HD), 수직동기(VD), 필드(FLD), old필드(FLD1), 라인선택(LALT), 색부반송파(Csub)신호를 발생하는 동기발생부(260)와, 상기 동기발생부(260)에서 발생된 신호를 카운팅하여 트리거신호를 출력하는 트리거부(270)를 구비하여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의 색부반송파 위상과 기준신호에 의해 동기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색부반송파의 위상을 비교하여 동기를 맞추어 일정한 비디오 신호의 라인을 반복적으로 트리거시켜 특정신호의 선택입력이 가능하고 동일구간의 반복적인 신호와 특정영역의 원샷 트리거 신호의 출력이 가능하며 특정필드의 라인 구간에 트리거 펄스를 발생하여 데이터 구분이 가능한 비디오 트리거 보드를 제공하여 계측기가 데이터를 정확하게 포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비디오 트리거 보드
제1도는 종래의 트리거 보드를 보인 일예시 구성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트리거 보드를 보인 구성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버퍼 120 : 트리거제어부
121 : D/A변환부 122 : 인터페이스
130 : 램프(LAMP) 140 : 비교기
141 : D/A변환부 150 : 클럭발생부
160 : 제어부 170 : 앤드회로
180 : A/D변환부 190 : 램(RAM)
210 : 버퍼 220 : 동기신호분리부
230 : 동기시점조정부 240 : 색부반송파처리부
250 : 색부반송파비교부 260 : 동기발생부
270 : 트리거부
본 발명은 계측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포착하기 위한 데이터 포착 시스템(Data Acquisition System)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력되는 신호원이 비디오 신호(Video Signal)인 경우에 지정하는 라인(Line), 필드(Field), 프레임(Frame)을 트리거(Trigger)할 수 있도록 된 비디오 트리거 보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의 색부반송파(Color Sub Carrier) 위상(Phase)과 기준신호에 의해 동기발생부(Sync Generator)에서 발생되는 색부반송파의 위상을 비교하여 동기를 맞추어 일정한 비디오 신호의 라인을 반복적으로 트리거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 색부반송파(Color Sub Carrier)는 다단변조를 시행할 경우 최후의 변조에 사용되는 변조신호를 만들기 위한 각 단의 반송파를 말한다.
종래에는 데이터를 포착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벨 트리거 방식을 사용하여 복합적으로 입력되는 영상신호(TRG)는 버퍼(110)를 경유하여 필터링되어 감쇄현상이 방지된 트리거 신호가 트리거제어부(120)에 입력된다.
또한 컴퓨터에 설정된 디지털 값의 트리거 신호가 인터페이스(122)와 D/A변환부(121)를 경유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트리거제어부(120)에 입력된다.
상기 트리거제어부(120)는 버퍼(110)와 D/A변환부(121)에서 입력된 트리거 신호를 비교 정형하여 구형파 신호를 램프(130)에 출력한다.
상기 램프(130)는 트리거제어부(120)에서 입력된 구형파 신호에 의해 톱니파 신호를 발생시켜 비교기(140)의 일측단자에 출력한다.
이때 롬(142)에 저장된 톱니파 신호도 D/A변환부(141)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비교기(140)의 타측단자에 입력된다.
상기 비교기(140)는 램프(130)에서 입력된 톱니파 신호와 롬(142)에 저장된 디지털 신호의 데이터가 D/A변환부(141)를 경유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입력되는 기준신호의 톱니파를 비교하여 이들 신호가 일치하면 상기 비교기(140)는 로우신호를 출력하며, 클럭발생부(150)에서 발생되고 클럭에 의해 출력되는 구형파 펄스와 제어부(16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앤드회로(170)를 경유하여 앤드되어 A/D변환부(180)에 입력된다.
상기 A/D변환부(180)는 앤드회로(170)에서 입력되는 신호와 입력단(input)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제어부(160)에 입력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입력된 신호에 의해 클럭발생부(150)를 제어하여 구형파 펄스의 트리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트리거 방식은 레벨 트리거 방식으로서 비디오 신호가 입력될 때에 트리거가 되기는 하지만 비디오 신호(Video Signal)의 일정한 라인(Line)이나 필드(Field), 프레임(Frame)을 구분하여 트리거(Trigger)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제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의 색부반송파 위상과 기준신호에 의해 동기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색부반송파의 위상을 비교하여 동기를 맞추어 일정한 비디오 신호의 라인을 반복적으로 트리거시켜 특정신호의 선택입력이 가능하고 동일구간의 반복적인 신호와 특정영역의 원샷 트리거 신호의 출력이 가능하며 특정필드의 라인 구간에 트리거 펄스를 발생하여 데이터 구분이 가능한 전용 비디오 트리거 보드를 제공하여 계측기가 데이터를 정확하게 포착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계측시스템의 트리거보드에 있어서, 버퍼(210)를 통해 필터링되어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의 트리거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도록 동기신호를 분리하는 동기신호분리부(220)와, 상기 버퍼(210)를 통해 필터링되어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의 색부반송파를 일정시간 지연시켜 구형파 펄스로 처리하는 색부반송파처리부(240)와, 상기 색부반송파처리부(240)에서 처리된 구형파 펄스와 동기발생부(260)에서 발생된 색부반송파를 비교하는 색부반송파비교부(250)와, 상기 동기신호분리부(220)에서 입력된 신호와 색부반송파비교부(250)에서 입력된 신호의 위상을 조정하여 동기시점을 결정하는 동기시점조정부(230)와, 상기 동기시점조정부(230)에서 조정된 동기신호에 의해 수평동기(HD), 수직동기(VD), 필드(FLD), old필드(FLD1), 라인선택(LALT), 색부반송파(Csub) 신호를 발생하는 동기발생부(260)와, 상기 동기발생부(260)에서 발생된 신호를 카운팅하여 트리거신호를 출력하는 트리거부(27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트리거 보드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에 의거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트리거 보드의 구성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는 버퍼(210)를 경유하여 필터링되어 감쇄현상이 방지된 후 동기신호분리부(220)와 색부반송파처리부(240)에 각각 분기되어 입력된다.
상기 동기신호분리부(220)에 입력된 복합영상신호는 내부의 BRF(Band Rejection Filtor)를 거쳐 일정시간(예:250㎱)동안 지연된 후 특정대역(예:3.58㎒∼4.43㎒)의 신호를 제거하고 트리거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는 동기신호를 분리하여 동기시점조정부(230)에 입력된다.
한편, 색부반송파처리부(240)에 입력된 복합영상신호는 내부의 밴드패스필터(BPF)를 통해 필터링된 크로마(Chroma)신호만 입력되므로 부반송파(Sub Carrier)가 연속적인 사인파로 발생된다.
이때 동기신호분리부(220)의 BRF를 거친 신호는 250㎱가 지연되므로 색부반송파비교부(250)에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 BPF를 경유하여 필터링될 때 일정시간(예:250㎱)의 지연시간을 준다.
상기 색부반송파처리부(240)는 크로마(Chroma)신호에 의해 부반송파(Sub Carrier)가 연속적인 사인파로 발생되어 이의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구형파 펄스로 정형되어 색부반송파비교부(250)에 입력된다.
상기 색부반송파비교부(250)는 색부반송파처리부(240)에서 입력된 구형파 펄스와 동기발생부(260)에서 발생되어 입력되는 색부반송파(Csub)의 구형파 펄스(예:3.58 or 4.43㎒)를 비교하게 된다. 상기 색부반송파비교부(250)는 상기 색부반송파처리부(240)에서 입력되느 구형파 펄스의 위상과 상기 동기발생부(260)에서 입력되는 구형파 펄스의 위상이 동일하면 로우신호를 발생시켜 동기시점조정부(230)에 출력하고, 상기 색부반송파비교부(250)는 색부반송파처리부(240)에서 입력되는 구형파 펄스의 위상과 동기발생부(260)에서 입력되는 구형파 펄스의 위상이 동일하지 않으면 하이신호를 발생시켜 동기시점조정부(230)에 출력한다.
따라서 동기시점조정부(230)는 부품소자의 열적잡음으로 인한 구형파 펄스의 변동이나 또는 색부반송파비교부(250)의 출력이 하이신호로 발생될 때 VRI(Vertial Reset Input)신호가 펄스로 발생되면 동기발생부(260)의 발생기(Generator)가 초기화(Reset)되어 신호들이 새롭게 발생한다.
이때, 동기발생부(260)의 색부반송파(Csub)가 상기 색부반송파비교부(250)로 입력되면서 색부반송파처리부(240)이 출력신호와 상기 동기신호분리부(220)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의 동기를 맞추게 된다.
따라서 동기발생부(260)는 수평동기(HD), 수직동기(VD), 필드(FLD), old필드(FLD1), 라인선택(LALT), 색부반송파(Csub)신호를 발생하여 동기시점조정부(230)에서 출력되는 신호인 VRI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수평동기(HD), 수직동기(VD), 필드(FLD), old필드(FLD1), 라인선택(LALT), 색부반송파(Csub)신호를 트리거부(270)에 출력한다.
상기 트리거부(270)는 전단의 동기발생부(260)에서 입력되는 각 신호들을 카운팅하여 각 NTSC, PAL, SECAM 모드에 따른 필드 및 라인에 대한 최종 출력신호인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트리거부(270)는 제어부에서 버스접속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원에 의해 버퍼에 저장하는 기능과 PC로 전송하는 기능을 병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의 색부반송파 위상과 기준신호에 의해 동기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색부반송파의 위상을 비교하여 동기를 맞추어 일정한 비디오 신호의 라인을 반복적으로 트리거시켜 특정신호의 선택입력이 가능하고 동일구간의 반복적인 신호와 특정영역의 원샷 트리거 신호의 출력이 가능하며 특정필드의 라인구간에 트리거 펄스를 발생하여 데이터 구분이 가능한 비디오 트리거 보드를 제공하여 계측기가 데이터가 정확하게 포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계측시스템의 트리거보드에 있어서, 버퍼(210)를 통해 필터링되어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의 트리거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도록 동기신호를 분리하는 동기신호분리부(220)와, 상기 버퍼(210)를 통해 필터링되어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의 색부반송파를 일정시간 지연시켜 구형파 펄스로 처리하는 색부반송파처리부(240)와, 상기 색부반송파처리부(240)에서 처리된 구형파 펄스와 동기발생부(260)에서 발생된 색부반송파를 비교하는 색부반송파비교부(250)와, 상기 동기신호분리부(220)에서 입력된 신호와 색부반송파비교부(250)에서 입력된 신호의 위상을 조정하여 동기시점을 결정하는 동기시점조정부(230)와, 상기 동기시점조정부(230)에서 조정된 동기신호에 의해 수평동기(HD), 수직동기(VD), 필드(FLD), old필드(FLD1), 라인선택(LALT), 색부반송파(Csub)신호를 발생하는 동기발생부(260)와, 상기 동기발생부(260)에서 발생된 신호를 카운팅하여 트리거신호를 출력하는 트리거부(27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트리거보드.
KR1019950024509A 1995-08-09 1995-08-09 비디오 트리거 보드 KR0168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4509A KR0168597B1 (ko) 1995-08-09 1995-08-09 비디오 트리거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4509A KR0168597B1 (ko) 1995-08-09 1995-08-09 비디오 트리거 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131A KR970014131A (ko) 1997-03-29
KR0168597B1 true KR0168597B1 (ko) 1999-03-20

Family

ID=19423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4509A KR0168597B1 (ko) 1995-08-09 1995-08-09 비디오 트리거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859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131A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94691B (fi) Kellosignaalin generointijärjestelmä
JPH01231492A (ja) マイクロプロセッサのタイミングをビデオ信号に合せる方法
US5063438A (en) Three dimensional encoding system for color television
CN1078839A (zh) 同步信号发生装置
JPH10210321A (ja) 画像部分と予め定めた非画像部分とを有するビデオ信号を処理する装置
JP3457034B2 (ja) 適応型2次元輝度/色信号分離装置
JPH07105963B2 (ja) 非標準信号検出器
EP0854646A2 (en) Digital automatic gain control (AGC) circuit
KR0168597B1 (ko) 비디오 트리거 보드
CN1189041C (zh) 数字彩色信号再现电路
KR20060052037A (ko) 영상 신호 처리 회로
JP2529288B2 (ja) 映像信号サンプリングクロック発生装置
KR950000207Y1 (ko) 텔레비젼 수상기의 인터리이브 검출회로
KR920001109B1 (ko) Vdp정지신호 검출회로
JP3271290B2 (ja) 同期分離回路
JP2576269B2 (ja) Ntsc信号/pal信号判定回路
KR0124842Y1 (ko) 복합영상신호의 동기신호분리방법 및 장치
KR920001108B1 (ko) 디지탈 텔리비젼에 있어서 주사선 적응형 자동색 조절방식
JP2963915B2 (ja) 同期分離回路
KR930002110B1 (ko) 디지탈 영상처리 시스템의 클램프회로
KR0158410B1 (ko) 동기신호 분리시스템
KR100555455B1 (ko) 동기신호 분리장치 및 방법
JP2563952B2 (ja) 輝度信号色信号分離装置
KR940000413Y1 (ko) 휘도 및 색신호 분리회로
JPH0244972A (ja) 両極性同期信号分離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