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7193B1 - 승강기 감시 제어기의 영상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승강기 감시 제어기의 영상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7193B1
KR0167193B1 KR1019950067404A KR19950067404A KR0167193B1 KR 0167193 B1 KR0167193 B1 KR 0167193B1 KR 1019950067404 A KR1019950067404 A KR 1019950067404A KR 19950067404 A KR19950067404 A KR 19950067404A KR 0167193 B1 KR0167193 B1 KR 0167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image
color
data
in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7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2200A (ko
Inventor
전성호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50067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7193B1/ko
Priority to SG1996011722A priority patent/SG75805A1/en
Priority to CN96116738A priority patent/CN1160323A/zh
Publication of KR970042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2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7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71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Landscapes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 감시 제어기의 영상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 기술은 단지 승강기 자체의 고장이나 운행에 대한 감시만을 수행하였기 때문에 승강기 내부에서 발생한 사고에 대해서는 승강기 내의 비상 호출 버튼을 눌러 관리실과 인터폰을 통한 음성 통화 이외에는 아무런 조치를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승강기 내부의 상황을 감시할 수 있도록 영상 입력 장치를 부착하여 승강기 내부에 발생한 상황에 대해 정확, 신속한 조처를 취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그 영상 입력 장치의 취득 영상을 압축 처리하고 특정 위치에 저장함으로써 특정 호기에 대한 임의의 정보를 한번에 판독할 수 있도록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은 승강기 내부에 설치된 영상 입력 장치를 통하여 승강기 내부의 상황을 항상 감시할 수 있으며, 입력 장치의 조작에 따라 영상 입력 장치에서 취득하는 영상을 감시 장치 안의 기억 매체에 저장하거나 출력 장치에 표시할 수도 있기 때문에 승강기 내부에서 발생한 사건에 대해 결정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비상 상황에 신속,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다.

Description

승강기 감시 제어기의 영상 처리 방법
제1도는 종래의 승강기 감시 제어기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승강기 감시 제어기의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타스크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통신 처리를 위한 신호 흐름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데이터 베이스의 영역 할당을 보인 예시도.
제6도는 제3도의 데이터 처리를 위한 신호 흐름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영상 처리를 위한 신호 흐름도.
제8도는 제7도에서 영상 압축을 위한 신호 흐름도.
제9도는 제8도에서 사전 영상 압축을 위한 신호 흐름도.
제10도는 제8도에서 유사성 및 중복성 데이터 제거를 위한 신호 흐름도.
제11도는 제8도에서 압축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신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 중앙 처리부 211 : 씨피유(CPU)
212 : 메모리 213 : 통신 카드
220 : 감시 장치 230a∼230n : 통신 인터페이스부
240a∼240n : 승강기 제어부 270a∼270n : 영상 처리부
280a∼280n : 승강기 290a∼290n : 영상 입력부
본 발명은 승강기 감시 제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씨(PC) 상에서 직렬 통신을 이용한 정보 전송으로 승강기의 운전을 가능하도록 하고 승강기 내부를 영상으로 표시하여 효율적인 감시 및 보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승강기 감시 제어기의 영상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급속도로 발진하고 있는 피씨(PC) 분야와 그에 부응하는 응용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편리성, 안전성, 확장성 및 보안 기능등 다기능을 가진 승강기 제어 장치를 요구하는 고객의 욕구가 증대하고 있다.
종래의 승강기 감시 제어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 승강기마다 승강기 제어부(140a∼140n)를 장착하고 관리실에 있는 중앙 처리부(110)와 상기 승강기 제어부(140a∼140n)간의 직렬 데이터 통신을 담당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30a∼130n)를 접속하여 구성된다.
상기 중앙 처리부(110)는 감시 장치(120)에 승강기 제어부(140a∼140n)의 운행 상태를 표시하고 입력부(150)를 통해 제어를 수행하며 출력부(160)로 이력에 관한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씨피유(CPU)(111), 메모리(112)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130a∼130n)와의 직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카드(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같은 종래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 승강기 제어부(140a∼140n)의 운행 상태 데이터가 각 통신 인터페이스부(130a∼130n)를 통하여 수치 단위로 변화되면 중앙 처리부(110)에 내장된 통신 카드(113)는 그 수치 단위로 변환된 값을 씨피유(CPU)(111)로 송신한다.
이에 따라, 씨피유(111)는 데이터 버스와 어드레스 버스를 통해 통신 카드(113)로 부터 송신된 수치를 재가공한 후 메모리(112)에 각종 고장, 운행 감시, 제어 이력 및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감시 장치(120)로 승강기 상태 정보를 출력하여 감시 기능을 실시하도록 한다.
한편, 각종 관제 및 입력 장치를 통한 제어는 감시 장치(120)에서 특별한 상황을 발생시켜 중앙 처리부(110) 내의 통신 카드(113)를 통해 승강기 제어부(140a∼140n)를 조작함에 의해 실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단지 승강기 자체의 고장이나 운행에 대한 감시만을 수행하였기 때문에 승강기 내부에서 발생한 사고에 대해서는 승강기 내의 비상 호출 버튼을 눌러 관리실과 인터폰을 통한 음성 통화 이외에는 아무런 조치를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즉, 실제 상황을 보지 못하는 상태에서 음성 통화만으로는 발생한 사고에 대한 대응 능력과 판단이 떨어지기 때문에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비상 호출 버튼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인 경우에는 아무런 조치도 취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승강기 내부의 상황을 감시할 수 있도록 영상 입력 장치를 부착하여 승강기 내부에 발생한 상황에 대해 정확, 신속한 조처를 취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그 영상 입력 장치의 취득 영상을 압축 처리하고 특정 위치에 저장함으로써 특정 호기에 대한 임의의 정보를 한번에 판독할 수 있도록 창안한 승강기 감시 제어기의 영상 처리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승강기 감시 제어기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처리부(210)에 접속된 각각의 통신 인터페이스부(230a∼230n)에 각각의 승강기 제어부(240a∼240n)가 접속됨과 아울러 각각의 영상 처리부(270a∼270n)가 접속되고 상기 각각의 영상 처리부(270a∼270n)에 각각의 승강기(280a∼280n) 내부 천정에 설치된 해당 영상 입력부(290a∼290n)가 접속되어 구성하게 된다.
상기 각각의 영상 처리부(270a∼270n)는 각각의 영상 입력부(290a∼290n)에서 수신한 영상을 특정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그 값을 각각의 통신인터페이스부(230a∼230n)에 전송하게 된다.
상기 중앙 처리부(210)는 통신 카드(213)가 각 통신 인터페이스부(230a∼230n)와 직렬 접속되고 그 통신 카드(213)는 데이터 버스와 어드레스 버스를 통해 씨피유(CPU)(211)에 접속되며 그 씨피유(211)에는 각종 고장, 운행 감시, 제어 이력과 상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212)가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중앙 처리부(210)에는 제어 및 프로그램 운용과 관리를 위한 입력부(250)와, 각 승강기(280a∼280n)의 운행 상태 정보 및 내부 상황을 화면상에 출력하기 위한 감시 장치(220), 그리고 각종 이력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260)가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엘리베이터 운전을 시작하면 중앙 처리부(210)는 씨피유(211)가 통신 카드(213)을 통해 각각의 통신 인터페이스부(230a∼230n)에 각각의 승강기(280a∼280n) 운행을 위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각각의 통신 인터페이스부(230a∼230n)가 각각의 승강기 제어부(240a∼240n)에 제어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승강기 제어부(240a∼240n)는 각각의 승강기(280a∼280n)의 운전을 제어하면서 상기 각각의 승강기(280a∼280n)의 운전 상태를 통신 인터페이스부(230a∼230n)에 전송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승강기(280a∼280n) 내에 부착된 영상 입력부(290a∼290n)에서 수신된 영상을 전송받은 영상 처리부(270a∼270n)는 특정한 형태로 변환한 값을 통신 인터페이스부(230a∼230n)에 각기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통신 인터페이스부(230a∼230n)가 승강기 제어부(240a∼240n)에서 전송된 운전 상태 정보와 영상 처리부(270a∼270n)에서 전송된 영상 정보를 통신 카드(213)을 통해 씨피유(211)에 전송하면 상기 씨피유(211)는 승강기(280a∼280n)의 운행 상태 정보를 감시 장치(220)에 표시하게 된다.
또한, 씨피유(211)는 각각의 승강기(280a∼280n)의 운행 이력 및 운행시의 내부상황을 출력부(260)에 출력하게 된다.
상기에서 중앙 처리부(210)에는 다른 타스크와 서로 연관 관계를 가지면서 자기 나름대로의 독특한 기능을 수행하는 7개의 타스크가 존재하는데, 이의 구성은 제3도와 같으며, 각 타스크의 기능은 아래와 같다.
통신 타스크(t1)는 각 통신 인터페이스부(230a∼230n)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상태 정보 수집 타스크(t3)와 영상 정보 수집 타스크(t2)는 통신 타스크(t1)을 통해 승강기(280a∼280n)의 운행 상태 정보 즉, 운전 방향, 위치, 이상 상태등과 상기 승강기(280a∼280n) 내부의 영상 정보등을 수집하여 데이터 베이스(ta)의 해당하는 위치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 가공 타스크(t4)는 데이터 베이스(ta)에 격납된 상태 정보 및 영상 정보를 감시 장치(220)에 그래픽으로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로 가공하는 기능을 가진다.
출력 처리 타스크(t5)는 출력부(260)에 각종 이력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화면 처리 타스크(t6)는 승강기(280a∼280n)의 운행 상태 정보 및 영상 정보등을 감시 장치(220)에 그래픽으로 표시한다.
제어 데이터 처리 타스크(t7)는 입력 장치(1f)를 이용하여 승강기 제어 신호를 통신 타스크(t1)로 전달하여 승강기(280a∼280n)의 운전 제어를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에서 데이터 베이스(ta)는 각 타스크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의 입출력을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갖는 타스크들은 크게 통신 처리 부분과 데이터 처리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점선 영역(310) 안의 타스크들이 통신과 관련된 타스크들이며, 이점 쇄선 영역(320) 안의 타스크들이 데이터 처리에 관련된 타스크들이다.
상기에서 제3도의 점선 영역(310) 즉, 통신 타스크(t1)와 그 타스크의 관련된 다른 타스크(영상정보 수집 타스크(t2), 상태 정보 수집 타스크(t3), 제어 데이터 처리 타스크(t7)들간의 통신 처리는 제4도의 신호 흐름과 동일하게 수행된다.
먼저, 승강기(280a∼280n)와 통신 인터페이스부(230a∼230n)를 통해 중앙 처리부(210)가 정상적으로 통신을 수행하고 있을 때 제어 데이터인지 검사하는 과정(S4b)을 수행한다.
이때, 검사한 데이터가 제어 데이터라면 통신 카드(213)로 제어 데이터 처리 타스크(t7)에서 가동한 제어 데이터를 송출하는 단계(S4c)를 수행하고, 영상 정보 데이터로 인식되면(S4d) 영상 정보 수집 타스크(t2)에서 가공한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ta)의 영역중 수신된 호기에 해당되는 영역에 저장(S4f)한 후 복귀(S4g)한다.
그리고, 영상 정보 데이터도 인식하지 못한 경우 데이터 베이스(ta)에 저장된 내용이 다른지 검사하는 과정(S4e)을 수행하여 내용이 변경되었으면 그 내용을 데이터베이스(ta)의 영역중 수신된 호기에 해당되는 영역에 저장(S4f)한 후 복귀(S4g)한다.
이때, 수신 내용의 변경이 없는 경우에는 바로 복귀(S4g)한다.
상기에서 데이터 베이스(ta)의 영역 분할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베이스(ta)의 내부에 각 호기마다 상태 정보 데이터의 영상 정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있으며, 각 정보가 저장될 위치는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3도에서 이점 쇄선 영역(320) 즉, 데이터 베이스(ta)와 이를 이용하는 데이터 가공 타스크(t4), 출력 처리 타스크(t5), 화면 처리 타스크(t6) 간의 데이터 처리는 제6도의 신호 흐름과 동일하게 수행된다.
먼저, 중앙 처리부(210)내에서 주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기동되고 있을 때 입력부(250)를 통해 임의의 승강기에 대한 상태 정보 또는 영상 정보의 데이터 요구가 있을 때까지 대기하는 과정(S6b)을 수행한다.
이때, 요구 신호가 입력되면 그 해당 승강기의 통신 상태가 정상인지를 검사(S6c)하여 통신 상태가 정상인 경우 다시 영상 정보 데이터 신호인가를 검사(S6d)하게 된다.
만일, 영상 정보 데이터 신호라면 압축된 영상을 감시 장치(220)에 표시하기 위하여 데이터 가공 타스크(t4)에서 압축을 해제(S6e)하고, 그 다음 단계로 현재 영상을 출력부(260)로 전송하기를 원하는지를 검사(S6g)하여 출력을 원한다면 출력 처리 타스크(t5)에서 가공한 데이터를 상기 출력부(260)로 출력하게 된다.(S6i).
그리고, 현재 영상의 출력을 원하지 않는다면 현재 영상을 메모리(212)에 저장하기를 원하는지 검사(S6h)하며, 현재 영상의 저장을 원한다면 데이터 가공 타스크(t4)에서 영상을 가공하여 상기 메모리(212)에 저장(S6i)한 후 화면 처리 타스크(t6)에서 가공한 데이터를 감시 장치(220)에 표시(S6L)하고 데이터 베이스(ta)에 변경된 데이터를 저장(S6n)한 후 복귀(S6o)한다.
만일, 현재 영상을 저장하기를 원하지 않는다면 화면 처리 타스크(t6)에서 가공한 영상을 감시 장치(220)에 표시(S6l)한 후 데이터 베이스(ta)에 변경된 데이터를 저장(S6n)하고 복귀(S6o)한다.
또한, 영상 정보 데이터 요구 신호가 아니라 상태 정보 요구 신호라면 수신된 데이터의 변경 유무를 조사(S6f)하여 변경되지 않은 데이터가 수신되었다면 바로 복귀(S6o)하며, 통신이 정상적일 때 데이터가 변경되었다면 요구한 데이터에 해당하는 승강기의 승강기 제어부로 송출(S6k)하고 그 데이터는 요구한 데이터에 해당하는 상태 정보 화면을 감시 장치(220)로 출력(S6m)하며 데이터 베이스(ta)에 저장(S6n)한 후 바로 복귀한다(S6o).
상기와 같이 중앙 처리부(210)가 동작할 때 영상 처리부(270a∼270n)와 영상 입력부(290a∼290n)간의 영상 처리 과정은 제7도의 신호 흐름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먼저, 영상 입력부(290a∼290n)와 영상 처리부(270a∼270n)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을 때, 연속적인 영상 입력은 영상 처리부(270a∼270n)에서 과부하를 발생시킬 소지가 있으므로 시간적인 간격을 두고 영상을 입력받는다(S7b).
만약, 영상을 입력받을 시간이 되었다면 영상 입력부(290a∼290n)를 통하여 영상을 입력받고(S7c), 그 영상 처리부(270a∼270n)에서 영상 압축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입력된 영상을 압축(S7d)한 후 그 압축된 영상을 영상 처리부(027a∼270n)에 저장(S7e)하고 복귀(S7f)하게 된다.
상기에서 영상 정보 데이터의 용량은 상태 정보 데이터보다 상당히 방대하므로 직렬 통신을 통한 데이터의 처리 방식으로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효율적인 통신을 위하여 효과적인 압축 방식을 사용하여 영상 정보 데이터를 극소량화한 후 그 압축된 데이터를 송출하여야 한다.
제8도는 제7도에서 입력 영상의 압축 과정에 따른 신호 흐름도이다.
먼저, 영상이 정확하게 입력되었을 때 사전 영상 압축 과정(S8b)을 수행하여 압축의 효과를 향상시키고 사전 압축된 영상의 유사한 부분과 중복된 부분을 제거(S8c)한 후 최종적으로 영상을 압축(S8d)하고 복귀(S8e)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에서 기술한 내용중 사전 영상 압축 과정(S8b)은 제9도에서, 유사성 및 중복성 제거 과정(S8c)은 제10도에서, 최종 영상 압축 과정(S8d)은 제11도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영상 입력부(290a∼290n)에서 감지할 수 있는 물체의 미세한 부분은 인간의 시각으로 감지할 수 있는 부분보다 매우 세밀하게 정확하다.
즉, 물체의 미세한 부분의 차이가 인간의 시각으로 거의 감지하지 못하기 대문에 영상의 인접한 기본 단위(픽셀)간의 컬러는 동일한 컬러로 감지하게 된다.
따라서, 사전 영상 압축은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서로 인접한 필셀은 같은 컬러로 변화한 후 입력 영상을 인간이 인지할 수 있는 영상 수준으로 압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극대화하기 위한 사전 영상 압축 알고리즘은 제9도와 같은 신호 흐름에 의해 수행되어진다.
먼저, 영상이 정확히 입력되었고 입력된 영상의 가로와 세로 크기를 산출한 후 사전 영상 압축 알고리즘을 시작하기 위한 변수들을 초기화하는 과정(S9b)을 수행한다.
이때, 변수(i)를 입력 영상의 세로 크기와 비교하는 과정(S9c)을 수행하여 적은 값을 가진다면 변수(j)와 입력된 가로 크기를 비교하는 과정(S9d)을 수행하고, 큰 값은 가진다면 입력된 영상에 대한 사전 영상 압축 처리가 종결되었음을 의미하므로 복귀(S9i)하게 된다.
그리고, 변수(i)의 값이 입력 영상의 세로 크기보다 작을 때 변수(j)를 입력 영상의 가로 크기와 비교하는 과정(S9d)을 수행하여 적은값을 가진다면 좌표(i,j)(i+1,j)(i+1, j+1)의 컬러를 읽어 들인다(S9e).
이때, 읽어 들인 4점의 컬러중 가장 많은 분포를 가지는 컬러를 '대표 컬러'로 지정하고 그 대표 컬러의 값을 읽혀진 4개의 좌표에 해당되는 내부 메모리의 위치에 저장(S9f)하게 된다.
이 후, 내부 메모리에 저장이 완료되었으면 변수(j)의 값을 2만큼 증가(S9g)시키고 변수(j)와 영상의 가로 크기를 비교하는 과정(S9d)을 시행하게 된다.
만일, 변수(j)의 값이 영상의 가로 크기보다 크다면 입력된 영상중 (i)번째와 (i+1)번째의 라인에 해당되는 픽셀을 모두 분석하여 그 두 라인에 대한 압축을 종료 하였다는 의미이므로 분석한 다음 라인 즉,(i+2)번째 라인으로 이동하도록 변수(i)의 값을 2만큼 증가시키고 변수(j)의 값은 1로 초기화(S9g)한 후 변수(i)와 영상의 세로 크기를 비교하는 과정(S9c)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사전 영상 압축을 통하여 압축된 영상 데이터중 유사성이나 중복성이 있는 데이터를 선별하여 제거하는 과정은 제10도의 신호 흐름과 동일하게 수행되어진다.
즉, 인접한 픽셀간의 컬러값이 서로 비슷하다면 동일한 컬러값으로 변환하여 효율적인 압축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사전 영상 압축된 영상 데이터가 정확하게 입력이 되었을 때 데이터의 유사한 부분과 중복된 부분을 제거하기 위한 변수의 초기화하는 과정(S10b)을 수행한다.
이때, 변수(i)와 사전 압축된 영상의 세로 크기와 비교(S10c)하여 만일, 변수(i)의 값이 크다면 영상 데이터의 유사성과 중복성 부분을 모두 제거하였다는 의미이므로 이 알고리즘을 종결하는 복귀(S10i) 과정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변수(i)의 값이 사전 압축된 영상의 세로 크기보다 적고 변수(j)의 값이 사전 압축된 영상의 가로 크기와 비교(S10d)하여 적다면 좌표(i,j)(i+1,j)의 컬러값을 읽어 들이는 과정(S10e)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읽어 들인 좌표(i,j)(i+1,j)의 컬러값이 서로 비슷하다면 동일한 컬러로 인식하여 좌표(i,j)의 컬러값을 좌표(i,j)(i+1,j)의 컬러값으로 내부 메모리에 저장(S10g)한다.
이 후, 내부 메모리에 컬러값의 저장이 완료되었으면 변수(j)의 값을 1만큼 증가(S10g)시키고 변수(j)와 사전 압축된 영상의 가로 크기를 비교하는 과정(S10d)을 수행한다.
만약, 변수(j)의 값이 사전 압축된 영상의 가로 크기보다 크다면 (i)번째 라인에 해당하는 픽셀들의 유사성과 중복성이 제거되었음을 의미하므로 다음 분석할 (i+1)번째 라인으로 옮기고 변수(j)를 1로 초기화(S10h)한 후 변수(i)와 사전 압축된 영상의 세로 크기를 비교하는 과정(S10c)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유사성과 중복성이 제거되면 영상 데이터를 최종적으로 압축하는 동작을 제11도의 신호 흐름과 같이 수행하게 된다.
즉, 이전까지 계속 변화되고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컬러값과 그 컬러가 나타난 횟수를 계산하여 영상 처리부(270a∼270n)의 내부 메모리에 최종적으로 저장하는 알고리즘이다.
먼저, 유사성과 중복성이 제거된 영상이 정확하게 입력되었을 때 최종 영상 압축을 위한 변수들을 초기화하는 과정(S11b)을 수행한다.
이때, 변수(i)와 입력된 영상의 세로 크기와 비교(S11c)하여 만약, 변수(i)의 값이 크다면 최종 영상 압축이 완료되었음을 의미하므로 알고리즘의 종결하는 과정(S11K)을 수행하게 된다.
만일, 변수(i)의 값이 입력 영상의 세로 크기보다 적을 경우 변수(j)의 값을 영상의 가로 크기와 비교하는 과정(S11d)을 수행하여 적다면 좌표(i,j)의 컬러값을 읽어서(S11e) 현재 설정되어 있는 대표 컬러와 값이 같은지 비교하는 과정(S11f)을 수행한다.
그리고, 읽은 컬러값이 대표 컬러와 동일하다면 대표 컬러가 현재 이 좌표까지 사용되고 있다는 의미이므로 대표 컬러의 사용 횟수를 1만큼 증가시키는 과정(S11g)을 수행하게 된다.
만약, 읽은 컬러값과 대표 컬러의 값이 동일하지 않다면 이때까지의 대표 컬러의 값과 대표 컬러의 사용 횟수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좌표(i,j)의 대표 컬러값을 새로운 대표 컬러값으로 지정하고, 그 대표 컬러의 사용 횟수를 0으로 초기화(11h)한 후 변수(j)의 값을 1만큼 증가시키는 과정(S11i)을 수행한 후 변수(j)와 영상의 가로 크기를 비교하는 과정(S11h)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변수(j)의 값이 영상의 가로 크기보다 적다면 i번째 라인의 데이터가 최종적으로 압축이 되었음을 의미하므로 변수(i)의 값을 1만큼 증가시키고 변수(j)는 1로 초기화하는 과정(S11j)을 수행한 후 변수(i)와 영상이 세로 크기를 비교하는 과정(S11c)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승강기 내부에 설치된 영상 입력장치를 통하여 승강기 내부의 상황을 항상 감시할 수 있으며, 입력 장치의 조작에 따라 영상 입력 장치에서 취득하는 영상을 감시 장치 안의 기억 매체에 저장하거나 출력 장치에서 표시할 수도 있기 때문에 승강기 내부에서 발생한 사건에 대해 결정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어 비상 상황에 신속,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승강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상황을 감시할 수 있으므로 방범 및 보안 기능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대 이상의 승강기에 영상 입력 장치와 영상 처리 장치를 구비하여 승강기 운행 상태의 감시 및 제어를 수행함은 물론 승강기의 내부 상황을 감시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기 감시 방법에 있어서, 일정 시간마다 영상을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취득한 영상 데이터를 대표 컬러값으로 재가공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재가공한 압축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여 유사성 또는 중복성을 가진 데이터를 선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처리된 영상 데이터의 상태를 판별하여 상태 정보와 영상 정보를 특정 위치에 저장하는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감시 제어기의 영상 처리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제2단계는 임의의 부분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읽어 가장 많은 분포를 갖는 컬러를 대표 컬러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감시 제어기의 영상 처리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제3단계는 이전 좌표의 컬러와 현재 좌표의 컬러를 비교하여 비슷하면 이전 좌표의 컬러를 현재 좌표의 컬러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감시 제어기의 영상 처리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제4단계는 현재 좌표의 컬러가 현재 설정된 대표 컬러와 동일하면 현재 좌표의 컬러를 대표 컬러로 지정함과 아울러 대표 컬러의 사용횟수를 1 증가시키고, 동일하지 않으면 현재 좌표의 컬러를 새로운 대표 컬러로 지정한 후 상기 동작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감시 제어기의 영상 처리 방법.
KR1019950067404A 1995-12-29 1995-12-29 승강기 감시 제어기의 영상 처리 방법 KR0167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7404A KR0167193B1 (ko) 1995-12-29 1995-12-29 승강기 감시 제어기의 영상 처리 방법
SG1996011722A SG75805A1 (en) 1995-12-29 1996-12-14 Image processing method for supervisory controller of elevator
CN96116738A CN1160323A (zh) 1995-12-29 1996-12-25 用于电梯监视控制器的图像处理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7404A KR0167193B1 (ko) 1995-12-29 1995-12-29 승강기 감시 제어기의 영상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200A KR970042200A (ko) 1997-07-24
KR0167193B1 true KR0167193B1 (ko) 1998-12-01

Family

ID=19447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7404A KR0167193B1 (ko) 1995-12-29 1995-12-29 승강기 감시 제어기의 영상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0167193B1 (ko)
CN (1) CN1160323A (ko)
SG (1) SG7580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38906A (zh) * 2015-12-17 2016-03-30 西安建筑科技大学 一种主动安全型电梯监控器及方法
WO2019164176A1 (ko) 2018-02-26 2019-08-29 (주) 엘지화학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57836B2 (ja) * 2007-05-11 2011-08-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
CN104418200B (zh) * 2013-09-04 2017-03-01 东芝电梯株式会社 电梯的监视控制系统及监视控制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38906A (zh) * 2015-12-17 2016-03-30 西安建筑科技大学 一种主动安全型电梯监控器及方法
WO2019164176A1 (ko) 2018-02-26 2019-08-29 (주) 엘지화학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200A (ko) 1997-07-24
CN1160323A (zh) 1997-09-24
SG75805A1 (en) 2000-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68464A1 (en) System for delivering images, program for delivering images, and method for delivering images
CN112929377B (zh) 用于对等服务器网络的视频负载均衡系统
US8624978B2 (en) Network camera management system and network camera management method
CN111831485B (zh) 数据恢复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KR0167193B1 (ko) 승강기 감시 제어기의 영상 처리 방법
KR100238453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JP2833960B2 (ja) ネットワークの監視情報収集方式
CN110738466A (zh) 一种园区管理系统和方法
JP2010074527A (ja) 監視制御装置及び監視システム
CN114034972B (zh) 基于图像数据的智能电缆故障确定方法和装置
CN111891869B (zh) 基于云平台的可视化救援系统
CN110708505B (zh) 视频告警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07249759A (ja) 監視システム
WO2019181992A1 (ja) 水処理設備のメンテナンス支援装置及びメンテナンス支援システム
JP3831132B2 (ja) プラント監視システム
CN111263124A (zh) 高安全性的电站运维虚拟显示图像生成方法、存储介质、虚拟显示服务器及虚拟显示系统
CN217985239U (zh) 一种智能监控系统
JP2003208218A (ja) 監視制御システム
JP7246215B2 (ja) プラント監視サーバ、プラント監視システム、プラント監視方法およびプラント監視プログラム
CN212623703U (zh) 显示屏监控装置及显示屏监控芯片、显示屏监控器
JPH0723481A (ja) 監視制御装置
JPH05204783A (ja) 運用監視システム
CN117676129A (zh) 一种视频流分析方法、系统、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3449137A (zh) 人脸前端设备的人脸图像显示方法、设备及存储介质
JPH0869586A (ja) ビルオートメーショ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