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7191B1 - 엘리베이터의 마스터 군관리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마스터 군관리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7191B1
KR0167191B1 KR1019950058750A KR19950058750A KR0167191B1 KR 0167191 B1 KR0167191 B1 KR 0167191B1 KR 1019950058750 A KR1019950058750 A KR 1019950058750A KR 19950058750 A KR19950058750 A KR 19950058750A KR 0167191 B1 KR0167191 B1 KR 0167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ontroller
performance
elevato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8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2188A (ko
Inventor
왕광식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50058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7191B1/ko
Publication of KR970042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2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7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71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66B1/2458For elevator systems with multiple shafts and a single car pe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53Procedure or protocol for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3Other aspects of the evaluation meth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시스템에서 엘리베이터의 성능평가를 그룹제어기에 한정하지 않고 모든 엘리베이터에 대한 성능평가로 확대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구룹제어기로 국한되던 운행성능의 평가를 건물 전체로 확대해석함으로서 보다 현실에 적합한 승강기 제어시스템의 성능평가를 가능하게 하고, 그룹제어기간의 효율적인 관계 형성을 통한 건물내 승강기 제어기의 종합적인 성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그룹제어기간의 상호 교류를 필요로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고, 데이터의 입출력을 마스터제어기와 수행하고, 그룹제어기와의 데이터 교류는 마스터제어기가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함을 극소화할 수 있고, 그룹제어기가 수행하던 주변장치의 제어기능을 마스터제어기가 수행함으로써 그룹제어기에 집중되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그룹의 성능을 수집하여 건물내에 설치된 모든 그룹제어기의 운행성능을 근간으로 각 그룹에 소속되는 승강기와 각 그룹의 서비스층 등 승강기 제어시스템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스펙들을 건물의 상황이 변화함에 따라 자동적으로 변경함으로써 그룹제어기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건물내에 설치된 승강기 제어시스템의 종합적인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마스터 군관리 제어 장치 및 방법
제1도는 일반적인 군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인 전체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에서 그룹제어기의 상세 블록도.
제3도는 일반적인 군관리 시스템에서의 스펙변경에 대한 신호 흐름도.
제4도는 일반적인 군관리 시스템에서의 건물내 승강기 운행결과 분석에 대한 신호 흐름도.
제5도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마스터 군관리 제어 장치에 대한 전체 블록도.
제6도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마스터 군관리 제어 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시 블록도.
제7도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마스터 군관리 제어 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시 블록도.
제8도는 제5도에서 마스터제어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블록도.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한 송수신 대기버퍼의 포맷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의한 송신대기 임시버퍼의 포맷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의한 각 그룹의 성능 저장 테이블.
제12도는 본 발명에 의한 각 그룹의 소속호기 저장 테이블.
제13도는 본 발명에 의한 각 호기의 소속 가능한 그룹 정의 테이블.
제14도는 본 발명에 의한 각 그룹의 서비스 가능층 테이블.
제15도는 본 발명에 의한 각 그룹의 서비스층 테이블.
제16도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마스터 군관리 제어방법에 대한 전체적인 신호 흐름도.
제17도는 본 발명에 의한 성능수집 테이블의 관리 신호 흐름도.
제18도는 본 발명에서 운행스펙 변경에 대한 신호 흐름도.
제19도는 본 발명에 의한 수신데이터 처리에 대한 신호 흐름도.
제20도는 본 발명에 의한 송수신대기버퍼의 관리 신호 흐름도.
제2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수신대기버퍼의 관리 신호 흐름도.
제2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수신대기버퍼의 일치레코드 검색 신호 흐름도.
제23도는 본 발명에 의한 통신 ID할당 신호 흐름도.
제24도는 본 발명에서 데이터 송신 제어에 대한 신호 흐름도.
제25도는 본 발명에서 데이터 수신 제어에 대한 신호 흐름도.
제2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운행스펙변경 상태진단 신호 흐름도.
제27도는 본 발명에서 운행성능평가에 의한 그룹의 운행대수 변경폭 설정신호 흐름도.
제28도는 본 발명에서 운행성능평가에 의한 그룹의 운행층수 변경폭 설정신호 흐름도.
제29도는 본 발명에 의한 운행성능 수집주기 제어 신호 흐름도.
제30도는 본 발명에 의한 운행성능 평가주기 제어 신호 흐름도.
제3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쓰기 신호 흐름도.
제3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마스터제어기의 전이 신호 흐름도.
제3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마스터제어기의 운선순위 테이블.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ND1A : 마스터제어기 NDIB-NDIG : 그룹제어기
ND2A : 주변장치부 ND2B,ND2C : 데이타처리용 모니터
ND2D,ND2E : 화상처리용 모니터 ND2F : 마우스
ND2G : 키보드 ND2H : 외부메모리
ND2I : 스피커 ND2J : 프로세스부
ND2K : 그룹제어기 관리부 ND2L : 화성처리 제어기
ND2M : 보드 확장부 ND2N : I/O카드
ND2O : 주변장치 제어기 ND2P : 외부장치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스템에서 엘리베이터의 성능평가를 그룹제어기에 한정하지 않고 모든 엘리베이터에 대한 성능평가로 확대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그룹제어기내에서의 운행 최적화는 제한된 최적화에 그치게 되는 것을 감안하여 건물내에 설치된 모든 그룹제어기의 종합적인 평가를 위한 그룹 제어기간의 연관성의 최적화, 건물 전체에 대한 운행효율평가라는 두가지 요구를 충족시키도록 하고,이를 위해 기존의 군관리 시스템을 그룹제어기로 설정하고 건물내의 모든 승강기의 운행상태를 총괄적으로 지휘하는 엘리베이터의 마스터 군관리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엘리베이터(승강기)의 운행제어에 있어서는 건물 전체의 엘리베이터를 고려하지 않고 각 그룹단위로 성능의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즉, 서비스층의 변경이나 분할급행, 기준층 복귀운전 등은 각 그룹의 사항에 따라 수행되었다. 뿐만 아니라 스펙의 변경을 위해서는 한 건물내에 설치된 각 그룹의 기계실을 이동하면서 각 그룹의 운전스펙을 변경하여야 하였고, 건물에 설치된 승강기의 최적화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각 그룹에 데이터 수집기를 연결하여 각 그룹으로 부터 수집된 운행성능을 사람의 수작업에 의해 종합하고, 이를 근거로 엘리베이터의 설치상태의 좋고 나쁨을 평가하도록 되어 있었다.
뿐만 아니라, 건물내에 설치된 그룹제어기의 일관된 기동을 요구하는 기능들(분할급행 등)은 그룹제어기간의 데이터 교류가 없으므로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는 주요 요소가 되었고, 화상, 음성정보 서비스등의 건물 전체의 일관된 제어를 요구하는 기능들을 제고하는데 있어서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각 그룹제어기의 상위 객체로 마스터 제어기를 두고, 이 마스터 제어기로 하여금 각 그룹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마스터 제어기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각 그룹 제어기의 데이터 요구를 통신라인을 통하여 수행하고, 각 그룹제어기의 운행성능을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저장하여 두고,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학습하도록 함으로써 서비스층, 운행대수 등, 시스템의 운행성능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를 최적화하고 수집된 그룹의 운행성능을 종합으로 건물전체의 운행성능을 저장하여 둠으로써 건물내에 설치된 승강기의 현재 효율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에 즉각적으로 응답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마스터 제어기는 건물 전체에서 공용적으로 이용될 화상정보 서비스, 음성정보 서비스 등의 기능을 총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건물내에 설치된 각 그룹제어기의 주변장치 수행시간, 수행주기등의 가변적인 정보에 대한 시스템의 일관성을 제공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마스터 제어기의 기능에 의해 건물내에 설치된 승강기의 운행효율이 증가하고 대고객의 신뢰도도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제1도는 일반적인 군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인 전체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기의 구조는 N개의 그룹제어기(SDIA-SDID)를 운영하고 있고, 전체 K대수의 승강기를 운행중인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제2도는 제1도에서 그룹제어기의 상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그룹제어기(OD2A)는 운행스펙(OD2D), 교통류관리 및 홀부름 할당부(OD2B), 입출력(I/O)제어부(OD2C)로 구성되며, 그 운행스펙(OD2D)에는 승강기의 운행방법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예로써, 서비스할 층이 어떤 층들인지, 서비스 가능한 승강기가 몇대인지 어떤 부름종류를 수용할 수 있는지, 분할급행은 언제 어떻게 수행할 것인지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이다. 교통류관리 및 홀부름 할당부(OD2B)에서는 앞으로 발생할 홀부름에 대하여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교통류를 학습하는 교통류 학습부(OD2E), 학습된 교통류를 이용하여 발생되리라고 예측되는 홀부름 및 승하차인수를 추론하는 교통류예측부(OD2F), 그룹내에 포함된 각 승강기의 상태를 감시하고 각 승강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유지하는 그룹제어기 상태판별부(OD2H), 상기 그룹제어기 상태판별부(OD2H)에서 구해진 각 승강기의 상태와 상기 교통류 예측부(OD2F)에서 구해진 예측결과를 이용하여 발생한 홀부름을 특정 승강기에 할당하는 홀부름 할당부(OD2G)로 구성되었다. 또한, 상기 입출력 제어부(OD2C)에서는 승강기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역할과 외부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며, 이는 승강기로 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룹제어기의 요청에 의해 승강기로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승강기 신호처리부(OD21), 승강장으로 부터 데이터를 수신받고 그룹제어기의 요청에 의해 승강장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승강신호 처리부(OD2K), 사용자 인터페이스(OD2L)나 대기승객 검출장치(OD2M)의 신호를 수신하고 그룹제어기의 요청에 의해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OD2L)나 대기승객 검출장치(OD2M)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외부장치 관리부(OD2J)로 구성된다. 상기 대기승객 검출장치(OD2M)는 승강기와 승강장에 설치된 씨씨디(CCD)카메라로 부터 입력된 화상정보를 이용하여 대기중인 승객수 및 승강기내에 탑승중인 승객의 수를 검출하여 그룹제어기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OD2L)는 그룹제어기에 특정의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그룹제어기의 특정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읽어볼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로서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군관리 시스템의 작용을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건물 전체의 운행결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제4도에 도시된 승강기 운행결과 분석루틴을 통하여 된다. 즉, OS2A단계에서는 그룹1에 사용자 인터페이스(OD2L)을 연결시켜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OD2L)를 통해 그룹제어기에 데이터 수집을 요구할 수 있게 되고, 그 그룹제어기는 수집장치의 요구에 의해 그룹제어기내의 데이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OD2L) 장치로 전송하는 기능과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OD2L)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기록 요구를 그 그룹제어기의 해당 영역에 기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후, 그룹제어기1(OD1A)의 결과를 수집한 후 그룹제어기2-그룹제어기N(OD1D)까지의 모든 과정에 대해 상기의 과정을 수행한 다음 OS2G단계에서 수집주기가 경과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수집주기가 경과된 것으로 판단되면 각 그룹이 운전결과를 취합하고(OS2H), 건물내 승강기의 운행결과를 분석(OS2I)하여 운행결과에 문제가 있을 경우에는 이에 대한 해결책을 강구(OS2J)하여 스펙변경(OS2K)을 수행한다.
상기의 스페변경은 상기에서 언급된 사용자 인터페이스(OD2L)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하게 되는데, 그 과정을 제3도에서 보여주고 있다. 즉, 스펙변경이 필요한지를 확인하여(OS1A) 스펙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제4도에서 도출된 변경사항을 그룹제어기에 반영하기 위한 영역, 구조와 내용을 정의하고(OS1B), 모든 그룹변경이 종료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종료되지 않았으면 해당 그룹으로 이동하여(OS1C)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OD2L) 장치를 연결하고 이를 통해 변경내용을 그룹제어기에 기록한다.(OS1E)
이와 같은 종래의 군관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승강기의 운행제어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목적은 사용자를 가장 빠른 시간내에 원하는장소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서비스 개념은 특정한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건물내 승강기를 이용하는 모든 사용자들에 대한 서비스를 의미하는 것이다. 예로써, 어떤 건물에 3개의 그룹제어기가 운행되고 있는 경우, 그룹제어기1에서는 서비스효율이 아주 양호하고, 그룹제어기2에서는 보통이며, 그룹제어기3에서는 아주나쁘다고 가정한다. 이와 같은 경우 단순히 평균적인 관점에서 3개의 그룹을 평가하면 적당하다는 결과가 도출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상황은 바람직하지 않다. 왜냐하면 그룹제어기3을 주로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상당한 불편을 감수해야 하기 때문에 이를 단순 평가로 결론지를을 수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그룹1-그룹3까지의 각각의 서비스 효율이 적당하다로 판단될 수 있도록 스펙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건물내에 설치된 그룹제어기간에는 시간의 일치성을 필요로 하는 기능들이 다수 존재하는데 종래의 시스템에 있어서는 제어가 각각의 그룹제어기에서 수행됨으로 인하여 일관성을 유지할 수 없었다. 예로써, 그룹제어기1에서는 분할급행(예:출근시)이 수행되는데, 그룹제어기2과 그룹제어기3에서는 분할급행이 수행되지 않아 사용자들의 혼돈을 초래할 것이다.
이러한 서비스 효율의 균형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각 그룹제어기의 성능을 수집분석하여야 하는데, 종래의 건물내 승강기 운행결과 분석 처리루틴에서는 각 그룹의 운전결과 취합(OS2H)→건물내 승강기 운행결과 종합평가(OS2I)→문제 발생기 해결책 강구(OW2J)→스펙변경수행(OS2K)의 과정이 사용자의 수작업에 의해 수행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동작업은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건물의 구조나 용도가 변경됨에 따라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건물의 용도나 구조가 변경되는 경우 사람에 의해 그룹제어기의 스펙이 변경되는 방식은 정확하지 않을 수 있고, 즉각적으로 발생하지 않을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건물내에 설치된 승강기 제어시스템의 효율이 저하됨을 의미한다. 종래에 있어서는 건물내 승강기 운행결과 분석과정에서 문제가 발생될 경우 스펙변경절차를 거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해당 그룹으로의 이동을 필요로 하면 변경내용 기록작업을 위해서는 모든 그룹제어기에 대해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 갱신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그에 따른 불편함이 초래될 뿐더러 입력 오류에 의한 운전스펙의 오류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펙변경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건물내에 일괄적 수행을 요구하는 분할급행, 정보안내 등의 기능을 마스터제어기를 통해 수행하도록 하며, 사용자로부터 요구되는 승강기 시스템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요구에 즉각적으로 대응하는 엘리베이터의 마스터 군관리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마스터 군관리 제어 방법은 승강기의 군관리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NS1A,NS1B)과, 성능평가를 수행하는 과정(NS1C-NS1H)과, 각 그룹의 운행성능을 수집하는 과정(NS1I-NS1K)과, 운행성능 수집/평가주기를 제어하는 과정(NS1L-NS1M)과, 시스템의 백업처리를 수행하는 과정(NS1Z)으로 이루어지며, 통신관련 타스크, 운행성능 데이터 수집 타스크, 운행성능 데이터 평가 및 운행스펙변경, 주변장치 관리 타스크는 멀티 타스킹으로 동시에 기동된다.
제5도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마스터 군관리 제어 장치에 대한 전체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그룹제어기(ND1B_ND1G)를 총괄제어하는 마스터 제어기(ND1A)를 추가하여 구성하였다.
제8도는 제도에서 마스터 제어기(ND1A)의 내부 구성을 보인 상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한 다수의 모니터(ND2B-ND2C)를 구비하고, 화상처리의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다수의 화상처리용 모니터(ND2D-ND2E)를 구비하며, 주변기기로서 마우스(ND2F), 키보드(ND2G), 외부 메모리(ND2H), 스피커(ND2I)등을 구비하여 운행정보나 각종 제어명령의 입출력을 담당하는 주변장치부(ND2A)와, 그룹제어기 관리부(ND2K), 화상처리 제어기(ND2L), 주변장치들과의 접속을 위한 주변장치 제어기(ND2O), 외부장치(ND2P)와의 통신을 위한 입출력(I/O)카드(ND2N), 보드확장을 위한 보드확장부(ND2M)을 구비하여 엘리베이터의 군관리를 위한 각종 운행정보 및 제어명령을 처리하는 프로세스부(ND2J)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원격감시 등을 구비하여 스펙변경 등을 설정하기 위한 외부장치(ND2P)로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제9도 내지 제3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룹제어기(ND1B-ND1G)에는 승강기1-승강기K까지의 승강기 중 자신이 속한 승강기만을 등록하는 각 그룹의 소속 승강기 저장 테이블이 유지됨으로써 승강기1-승강기K까지 승강기들은 자신이 속한 그룹제어기의 제어를 받게 된다. 상기 마스터 제어기(ND1A)에는 송수신 대기 버퍼, 송수신대기 임시버퍼, 각 그룹의 성능저장 테이블, 각 그룹의 소속 승강기 저장 테이블, 각 승강기의 소속 가능 그룹 정의 테이블, 각 그룹의 서비스 가능 테이블, 각 그룹이 서비스층 테이블과 건물 전체의 스펙이 유지되는데, 상기 각부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송수신 대기버퍼는 마스터제어기(ND1A)내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의 입출력을 처리하기 위한 버퍼이고, 이의 구조는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여기서, 최종목적지정보:최정적으로 데이터가 송신되어야 할 노드를 지정한다.(통시에서는 각 그룹제어기, 주변장치 혹은 마스터제어기를 노드로 칭한다.)
통신 식별번호(ID):통신이 진행중인 동안에 해당 통신 데이터레코드를 특정짓는 구별값이다. 주변장치와 마스터제어기, 그룹제어기들은 통신ID의 영역을 할당받아 사용하기 때문에 동일한 ID가 있을 수 없다.
데이터 영역:데이터를 읽거나 쓰기가 발생되는 영역이다. 데이터 영역이 그룹제어기의 ID이면 그룹제어기에 데이터를 쓰거나 그룹제어기에서 데이터를 읽어오는 기능을 수행하며 마스터제어기, 주변장치라면 상기의 작업이 해당 장치에서 일어나게 된다.
주소:지정된 데이터 영역내에서 데이터의 읽기, 쓰기가 발생한 위치를지정한다.
정보영역: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하여 약속된 정보를 기록하는 장소이며, 유동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대기상태:데이터를 송신한 후 기다리는 상태를 가르키며, 인식하지 못한상태(NOACK)이면 데이터 송신후 응답을 기다리지 않고, 인식상태(ACK)이면 응답이 올때까지 기다린다.
송수신 대기 임시버퍼는 송수신 대기버퍼를 관리하기 위한 임시버퍼로서 그 구조는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
각 그룹의 저장테이블은 각 그룹의 운행성능을 평가하여 건물 전체의 승강기 제어전략을 변경하거나, 사용자로 부터 건물 전체에 대한 성능열람을 요구받는 경우 즉각적으로 결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유지되며, 이의 구조는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성능 수집/평가 주기정보 테이블은 각 그룹의 운행스펙을 최적화하기 위한 운행성능의 수집 및 평가를 수행하는 시간, 주기 등의 환경정보를 저장하는 테이블이다. 성능수집 주기정보는 수집주기형식(일정시간 경과 후 기동하는 반복식, 특정 시간에 기동하는 고정식, 사용자가 직접 성능수집을 시행할 것을 지정하는 직접식), 주기값(반복식에서는 반복주기, 고정식에서는 특정 시간값), 성능수집 테이블의 수(메모리를 얼마나 확보하여 수집하고자 하는 운행성능 레코드의 갯수를 얼마나 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기타 정보로 구성된다. 평가주기정보는 평가주기형식(일정시간 주기로 기동되는 반복식, 특정 시간에 기동되는 고정식, 운행성능 테이블이 가득찬 경우에 수행되는 완료식, 사용자에 의해 강제 수행되는 직접식), 평가 주기값(반복식은 반복되는 주기값, 고정식은 특정 시간값), 기타 정보로 구성된다.
각 승강기의 소속가능 그룹 정의 테이블은 운행성능 평가 후 건물 전체의 승강기 제어전략 변경요구가 발생할 경우 각각의 승강기가 특정 그룹에 소속될 수 있는지를판단하기 위한 자료로서 이용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를 이용하여 승강기의 소속 그룹을 정의하는 경우 소속 승강기를 잘못 지정하는 경우-물리적으로 지정한 그룹에 소속될 수 없는 경우(승강기1을 그룹1에 편입하고자 할때 건물상황이 그룹1의 위치와 승강기1의 위치가 너무 먼 경우가 잘못된 대표적인 경우임)에 사용자가 잘못 입력하였음을 알려줄 수 있는 기초정보로 사용된다.
각 그룹의 서비스 가능층 테이블은 각각의 그룹제어기가 물리적으로 서비스 가능한 층을 정의하는 테이블이다. 건물의 운행성능을 평가하여 각 그룹의 서비스영역을 변경할 필요성이 있을때 각 그룹의 서비스 가능한 층인지를 평가하여 각 그룹의 서비스층을 조정한다. 뿐만 아니라 사용작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하여 각 그룹의 서비스층을 변경할때 실수로 승강기가 도착할 수 없는 층을 서비스층으로 설정하는 경우 설정할 수 없는 층임을 알려주기 위한 기초정보로 이용된다. 각 그룹의 서비스 가능층 테이블의 구조는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각 그룹의 서비스층 테이블은 각각의 그룹제어기가 서비스중인 현재의 층 정보를 저장하는 테이블이다. 각 그룹내에 유지되는 서비스 가능층 정보는 마스터제어기내에 유지되는 각 그룹의 서비스층 테이블의 정보와 동일하다. 이 정보는 운행성능을 평가하여 서비스층을 변경하고자 할때 서비스층을 변경하기 위한 기초정보로 이용되며, 그 구조는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건물 전체의 스펙은 건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위한 구조체이다. 승강기의 운행전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건물의 특징요소들이 저장되는 영역이다. 승강기의 운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특정 요소로는 회의실, 식당층 등의 층정보와 VIP층등 서비스 효율의 극대화가 요구되는 층 등의 정보가 저장된다.
제16도는 본 발명 마스터 제어기의 기능 구현을 위한 전체적인 신호 흐름을 보여주고 있는데, 먼저, 데이터 수신단계(NSIA)의 처리동작을 제25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수신완료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NS10A) 설정되어 있으면, 현재 수신한 데이터와 수신대기버퍼에 기록된 레코드 중 동일한 통신 ID를 가진 레코드가 있는지를 검사(NS10B)하게 되는데, 이 조건에 만족된다면 수신한 데이터를 이전에 마스터 제어기(ND1A)에서 송신한 것임을 알 수 있고, 수신대기 레코드에 저장되어 있었다는 것은 마스터 제어기(ND1A)가 전송한 노드에서 수신에 대한 응답을 기다리고 있었음을 의미하며, 이 과정은 제22도 수신대기 버퍼의 일치레코드 검색 신호 흐름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후, 수신데이터처리단계(NS10C)에서는 수신된 데이터를 제19도와 같은 처리과정을 통해 처리한 다음 수신완료 플래그를 해제하여(NS10D) 데이터 수신제어부가 다른 노드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그러나, 상기 수신완료 플래그 설정검사단계(NS10A)에서 수신완료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데이터 수신중인지를 확인하여(NS10E) 데이터 수신중으로 판단되면 수신중인 데이터를 대기임시버퍼에 저장한다(NS10), 이후, 수신한 데이터의 길이가 수신해야할 데이터의 길이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여 일치하면 즉, 원하는 만큼의 데이터를 모두 수신하였으면 수신완료 플래그를 설정하여(NS10H) 상기 단계(NS10A-NS10D)를 반복 수행한다.
상기 수신대기 버퍼의 일치레코드 검색단계(NS10B)를 제22도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일차적으로 모든 수신대기 버퍼의 검색이 종료되었는지를 확인하여(NS7A) 완료되지 않았으면 현재 수신대기 버퍼의 통신 ID와 수신한 데이터의 통신 ID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NS7B), 모든 검사가 종료되었으면 일치하는 통신 ID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하여 수신 레코드 일치플래그를 해제하고(NS7C) 복귀한다.
그러나, 상기 통신 ID의 비교검사를 수행하는 단계(NS7B)에서 일치하는 통신 ID가 있는 경우에는 현재 검색중이던 수신데이터 레코드의 ID를 일치 레코드 ID에 저장하고(NS7D), 수신 레코드 일치 플래그를 설정(NS7E)한 후 복귀한다.
상기 제25도의 수신데이터 처리 수행단계(NS10C)에서는 다른 노드로 부터 송신되어 온 수신데이터를 분석하여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이미 기록된 데이터 읽어내어 송신측으로 재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단계로서 이 처리과정을 제19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수신데이터의 분석단계(NS4A)에서는 데이터 영역, 최종 목적지, 기록할 위치 등을 수신한 데이터에서 추출한다. 제22도의 수신대기버퍼의 일치레코드 검색과정에서 구해진 수신레코드 일치 플래그의 값을 판정하여(NS4B) 수신레코드 일치 플래그가 설정되었으면 상기 수신데이터 분석단계(NS4A)에서 추출된 최종 목적지가 마스터 제어기(ND1A)인가를 판단한다(NS4C).
상기의 판단결과 최종 목적지가 마스터제어기(ND1A)이면 일치 레코드의 대기상태를 인식하지 않은 상태(NOACK)로 설정(NS4H)하게 되는데, 왜냐하면 마스터제어기(ND1A)가 송신한 자료에 대한 응답을 받은 것이므로 다시 데이터를 송신할 필요가 없음을 나타내기 위해서이다. 이후, 수신대기 버퍼에서 일치 레코드 ID에 저장되는 레코드를 삭제(NS4I)하게 되는데, 이는 3번 레코드가 수신한 데이터와 통신 ID가 동일하였다면 일치레코드는 3을 저장하고 있고, 이 과정에서 수신 대기 버퍼의 레코드 3을 삭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데이터의 읽기/쓰기를 판별하고(NS4J), 데이터의 읽기/쓰기를 수행(NS4K)하는데, 이 단계(NS4K)에서는 수신 데이터 분석에서 구해진 기록할 위치 등의 정보가 이용하게 되며, 이때는 대기상태를 인식하지 않은 상태(NOACK)이므로 그대로 복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에서 최종 목적지가 마스터제어기(ND1A)가 아닌 것으로 판명되면 수신한 데이터는 마스터제어기(ND1A)로 특정 모드에서 데이터를 요청하였는데, 그 요청한 데이터가 마스터제어기(ND1A) 이외의 모드였으므로 마스터제어기(ND1A)는 데이터 요구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내부적 처리를 통하여 요청한 데이터가 존재한 노드로 데이터 송신을 재수행하였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수신한 레코드를 최종 목적지로 전송할 필요가 있다. 이 과정은 수행하기 위해 일치 레코드를 송신 대기 임시버퍼로 복사하고(NS4D), 송신대기 임시버퍼의 데이터 영역을 최종목적지로 변경(NS4E)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송신대기 임시버퍼의 데이타 영역을 최종 목적지로 지정하면 데이터 송신 제어부에서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 노드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때문에 궁극적으로는 최초로 마스터제어기(ND1A)에 데이터를 요구했던 노드로 데이터가 송신된다.
이후, 송신 대기 임시 버퍼 저장 플래그를 설정하고(NS4F:데이터 송신제어부에 이 레크드를 송신해 줄 것을 알림), 상기 마스터제어기(ND1A)는 다른 노드로 부터 전송되어 온 데이터 요구를 완벽하게 수행하였기 때문에 자신의 수신 버퍼에서 일치레코드를 삭제하고 복귀한다(NS4G).
그러나, 상기 수신레코드 일치플래그 설정 확인단계(NS4B)에서 수신 레코드 일치플래그가 설정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데이터 요구 영역을 판별하고(NS4G), 데이터 영역이 마스터제어기(ND1A)인가를 검사한(NS4N). 그 검사결과 마스터제어기(ND1A)로 판명되면 데이터의 읽기/쓰기를 판별(NS4J)한 후 데이터의 읽기/쓰기를 수행하고(NS4K), 수신한 데이터가 응답을 요구했는지를 판단하여(NS4L) 응답을 요구했으면 데이터의 읽기/쓰기과정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통신규격에 맞도록 변형하여 송신데이터를 작성(NS4M)한 다음 통신 ID를 할당하고(NS4O), 송신대기 임시버퍼를 작성(NS4P)함과 아울러 송신대기 저장플래그를 설정하여(NS4Q) 데이터 송신을 최초로 수행하였던 노드로 응답 데이터를 재 송출한다.
그러나, 상기 검사단계(NS4N)에서 데이터 영역이 마스터제어기(ND1A)가 아닌 것으로 판명되면 다른 노드의 데이터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상기 단계(NS4O-NS4Q)를 통해 데이터가 존재하는 노드로 송신할 것이다. 이 과정의 데이터 요구가 완전하게 성공하기 위해서는 상기 플래그 설정확인단계(NS4B)→일치레코드의 최종목적지 확인단계(NS4C)→일치레코드 복사단계(NS4D)를 다시 통과해야 된다.
상기에서 언급된 데이터 읽기/쓰기영역은 운행성능이나 건물의 배치구조, 기타 건물에 설치된 승강기에 대한 정보 등 마스터제어기(ND1A)내에 존재한 데이터를 읽거나 갱신하는 모든 작업이 이루어지는 영역이다. 데이터 쓰기의 과정을 제3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일차적으로 데이터의 종류를 판별할 필요가 있다. 그룹의 성능 데이터이면(NS16A), 성능 수집 테이블의 관리를 기동하고, 모든 그룹의 일괄동작이 필요한 정보인가를 판단하여(NS16C) 수신한 데이터를 모든 그룹제어기(ND1B-ND1G)로 전송하고(NS16D:이 정보의 대표적인 예는 분할 급행이다), 성능 수집/평가주기 정보인가?를 판단하여(NS16F) 해당 정보이면 제11도의 성능 수집/평가 주기정보 테이블에 수신한 내용을 기록하고(NS16F), 이외의 경우이면 주소와 데이터의 길이 등을 판단하여 데이터를 해당 위치에 기록한다(NS16G).
데이터 송신단계(NS1B)는 마스터제어기(ND1A)로 부터 외부 노드로 전송되는 모든 데이터들을 관리하는 단계로서 이는 제24도와 같은 처리과정을 통해 구현된다.
데이터 송신의 일차 단계는 다른 타스크에서 송신을 요구한 데이터가 있는지를 검사하는 것이다. 이는 송신대기버퍼의 관리 과정이며(NS9A), 송신 대기버퍼가 비어 있는가를 검사한다(NS9B:비어 있다면 송신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그 결과 송신 대기버퍼가 비어 있지 않으면 송신 대기 버퍼의 레코드1을 송신한다(NS9C).
상기 송신 대기 버퍼의 레코드의 대기상태가 인지상태(ACK)이면 송신 대기버퍼의 요구데이터 저장영역1을 수신대기 임시버퍼에 저장한다(NS9F). 수신 대기 버퍼저장 플래그 설정 및 수신대기 버퍼 관리를 수행하고(NS9G:수신대기 버퍼의 관리부는 기 작성한 수신대기 임시버퍼를 수신대기 버퍼에 저장하고, 이는향후 제25도의 수신대기 버퍼의 일치레코드 검색(NS10B)시에 사용된다), 현재 송신 대기 버퍼의 ID(현재 송신대기버퍼의 ID는 송신대기버퍼의 저장된 송신을 기다리고 있는 레코드의 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현재 송신 대기버퍼의 ID가 5라면 송신대기 버퍼의 관리부에서는 다음에 입력되는 송신요구 데이터를 6번째 레코드에 기록하여 두고 앞으로 여섯번의 송신이 일어난 후 입력된 데이터를 송신한다.)를 1감소시킨다(NS9H).
송신대기버퍼의 요구데이터 저장영역1을 클리어시킨다(NS9I). 송신 대기버퍼의 요구데이터 저장영역2-N까지를 한 칸씩 앞으로 당긴다(NS9J). 상기 단계(NS9F-NS9G)는 응답을 기다리는 상태로 대기하고 있음을 의미하고, 데이터 통신이 종결되는 시점은 제19도의 수신데이터 처리 루틴에 기술된 과정이 수행되는 시점이다.
제21도의 수신대기버퍼의 관리 루틴은 데이터 송신 제어부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고 응답을 기다릴 필요성이 있는 송신 레코드들이 저장되어 향후 데이터 수신제어부에서 데이터를 수신하였을때 송신되었던 레코드의 응답이 돌아온 경우에만 데이터 통신이 완벽하게 종료되었음을 알기 위해 응답을 기다리는 데이터 레코드 테이블을 관리, 유지하는 루틴이다.
수신대기 버퍼의 관리는 첫째, 수신대기버퍼의 저장플래그가 설정되었는지를 검사한다(NS6A:이때 수신 대기버퍼 저장플래그는 제24도의 NS9F단계에서 설정된다). 현재 수신 대기버퍼의 ID(현재 입력되는 레코드가 기록될 위치를 저장하는 변수)가 최대 수신 대기버퍼의 ID(수신 대기버퍼에 저장 가능한 레코드의 수)보다 큰가를 검사하여(NS6B:이 조건이 만족되면 수신 대기버퍼가 가득찼음을 나타낸다). 만족하면 현재 수신 대기버퍼의 ID를 0으로 설정한다(NS6C). 현재 수신 대기버퍼의 ID를 1증가시키고(NS6D), 현재 수신 대기버퍼 ID가 지적하는 레코드에 수신대기 버퍼의 내용을 저장한다.
성능평가(NS1C-NS1H)의 처리과정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성능평가주기인지를 검사하여(NS1C) 성능평가의 주기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성능평가를 수행하지 않는다. 그러나 성능평가의 주기로 판단되면 제26도의 운행스펙 변경상태 진단 처리루틴을 통해 운행스펙을 변경할 필요성이 있는지를 검사한다(NS1D). 그 진단결과 운행스펙 변경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으면(NS1E), 운행스펙을 변경한다(NS1F). 이 운행스펙의 변경은 제18도의 운행스펙 변경루틴에 도시된 순서대로 진행된다.
상기의 운행스펙 변경이 종료되면 각각의 그룹제어기(ND1B-ND1G)의 운행스펙의 변경사항을 송신하여 그룹제어기(ND1B-ND1G)들과 마스터제어기(ND1A)의 운행스펙의 일관성을 유지한다(NS1G). 다음으로, 기 수집된 모든 성능평가 데이터들이 이용되었기 때문에 제11도 각 그룹의 성능저장 테이블을 클리어시킨다(NS1H).
운행스펙 변경상태 진단단계(NS1D)의 처리과정을 제26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NS11A단계에서는 상태진단을 위해 이용되는 값들을 초기화 한다. NS11B의 단계에서는 모든 그룹의 운행성능을 종합하여 그룹들의 운행성능의 평균치를 구한다. NS11C의 단계에서는 모든 그룹에 대해 운행성능 상태진단이 수행되는지를 검사하여 완료되었으면 운행스펙의 변경을필요로 하는 그룹제어기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운행스펙변경 플래그를 해제하고 복귀한다(NS11D).
모든 그룹에 대해 수행되지 않았다면, 평가성능을 평균성능과 현재 평가그룹의 성능차이의 절대치로 설정하고(NS11E), 평가성능이 특정값 이상이면 상기 NS11C-NS11F의 반복문을 완료하고 운행스펙변경 플래그를 설정(NS11G)한 후 복귀한다.
상기에서 평균치와 대상 그룹의 운행성능의 차가 일정치 이상이라는 것은 각 그룹제어기(ND1B-ND1G)의 운행성능이 유사하지 못하고, 좋고 나쁨이 뚜렷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상태를 각 그룹제어기(ND1B-ND1G)의 운행성능의 차이가 적은 운행스펙으로 변경할 필요성이 있다.
운행스펙 변경과정을 제18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승강기 대수의 변경폭을 설정하고(NS3A:제27도의 운행스펙 변경 신호흐름도 참조), 각 그룹의 승강기 대수의 변경폭을 이용하여 소속 그룹에서 변경하고자 하는 승강기를 설정한다(NS3B). 상기 소속 그룹의 변경 승강기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제12도와 같은 각 그룹의 소속 승강기 저장 테이블을 참조하여 현재 그룹에 소속되어 있는 승강기들을 인식한 후 승강기 대수 변경폭 중에서 음이되는 승강기들 중, 승강기 대수의 변경폭이 양이 되는 그룹에 추가될 수 있는 승강기를 제13도와 같은 각 승강기의 소속 가능 그룹의 정의 테이블을 참조하여 결정한다.
이때, 승강기 대수의 변경폭이 양의 값이 된다는 것은 그룹에 속하는 승강기의 수를 늘려야 하고, 승강기 대수의 변경폭이 음의 값이 된다는 것은 그룹에 속하는 승강기 대수를 줄임을 의미한다.
최종적으로 결정된 소속 그룹 변경 승강기들을 마스터 제어기(ND1A)내에 유지되고 있는 제12도와 같은 각 그룹의 소속 승강기 저장 테이블에 기록한다(NS3C). 이후, 운행 대수가 변경되었는지를 판단(NS3D)하여 변경되었으면 복귀하고, 운행 대수가 변경되지 않았으면 각 그룹제어기(ND1B-ND1G)의 운행층의 변경을 시도한다(NS3E-NS3G).
제28도의 변경폭 설정루틴을 통해 각 그룹의 운행층 변경폭을 결정하고(NS3E), 제15도와 같은 각 그룹의 서비스층 테이블을 참조하여 각 그룹의 운행서비스층을 파악한다. 각 그룹의 운행층 정보에 구해진 운행층 변경폭을 적용하여 변경 가능한 운행층 후보들을 선택하게 되는데, 이때, 운행층 변경폭이 양의 값이 된다는 것은 해당 그룹의 운행층수가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반대로 운행층 수의 변경폭이 음의 값이 된다는 것은 운행층수가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운행층 수의 변경폭이 음의 값이 되는 그룹제어기의 현재 서비스층을 대상으로 제14도와 같은 각 그룹의 서비스 가능층 테이블을 이용하여 운행층 변경폭이 양의 값이 되는 그룹에 속해질수 있는지를 결정하여 최종적인 각 그룹의 운행층을 결정한다(NS3F).
각 그룹의 변경된 운행층 정보를 마스터제어기(ND1A)내의 제15도와 같은 각 그룹의 서비스층 테이블에 기록하고(NS3G), 변경된 사항을 그룹제어기(ND1B-ND1G)로 전송하여 마스터제어기(ND1A)와 그룹제어기(ND1B-ND1G)가 유지하는 서비스층 정보를 일관화 한다.
각 그룹의 운행대수 변경폭 설정과정을 제27도의 운행성능 평가에 의한 그룹의 운행대수 변경폭 설정루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운행대수의 변경폭을 결정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변수들의 값을 초기화 하고 (NS12A), 모든 그룹에 대해 NS12C-NS12D의 과정이 수행되는가를 검사하여 모든 그룹에 대해 수행되었으면 NS12E의 과정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운행성능의 합에 각 그룹의 운행성능의 합과 해당 그룹의 운행대수의 곱을 더하여 운행성능의 합으로 설정한다(NS12C).
운행대수의 합에 현재대상 그룹의 운행대수를 더하여 운행대수의 합으로 설정한다. 상기의 반복문이 끝나는 시점에서 운행성능의 합에는 모든 그룹의 운행대수×운행성능, 운행대수의 합에는 모든 그룹의 운행대수의 합이 구해진다. 한대당 운행성능은 운행성능의 합을 운행대수의 합으로 나눈 값으로 설정하고(NS12E), 모든 그룹에 대해(NS12F) 운행대수의 변경폭을 설정한다.
여기서, 운행대수의 변경폭은, {(한대당 운행성능-현대 대상 그룹의 운행성능)×현대 대상 그룹의 운행대수}/한대당 운행성능으로 구해진다.
상기의 식에서 현재 평균으로 설정된 한대당 운행대수보다 초과되는 부분을 평균적인 운행성능에 비하여 우수한 값이므로 이 값을 평균 운행성능보다 낮은 효율을 갖는 그룹으로 이전시키겠다는 것인데, 이동시킬 수 있는 단위가 승강기이므로 한대당 운행성능을 나누어 운행대수의 변경폭을 결정한다.
예:A그룹:100(3대) B그룹:50(3대) C그룹:10(3대)
운행성능의 합 = 100 × 3 + 50 × 3 + 10 × 3 = 480
운행대수의 합 = 9대
한대당 운행성능 = 53
A그룹의 운행대수 변경폭 = {(53-100) × 3}/53 = -2.6으로 계산
따라서, A그룹은 약 2대정도의 승강기를 다른 그룹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C그룹은 평균값보다 적은 값이 나타나기 때문에 운행대수 변경폭이 양으로 나타난다. 이에 따라 A그룹에 속한 두 승강기가 C그룹으로 이동한다. 이때, 조건으로 제시되는 것이 제11도와 같은 각 승강기의 소속 가능 그룹 정의 테이블에 A그룹의 두 승강기가 C그룹에 속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각 그룹의 운행층수 변경폭 설정과정은 제28도의 운행성능 평가에 의한 그룹의 운행층 변경폭 설정루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운행층수의 변경폭을 설정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변수들의 값을 초기화 하고(NS13A), 모든 그룹에 대해 NS13C-NS13D의 과정이 수행되었는지를 검사하여 모든 그룹에 대해 수행되었으면 NS13E의 과정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운행성능의 합에 각 그룹의 운행성능의 합과 해당 그룹의 운행층수의 곱을 더하여 운행성능의 합으로 설정한다(NS13C).
운행층수의 합에 현재 대상 그룹의 운행층수를 더하여 운행층수의 합으로 설정한다. 상기의 반복문이 끝나는 시점에서 운행성능의 합에는 모든 그룹의 운행층수×그룹의 운행성능, 운행층수의 합에는 모든 그룹의 운행층수의 합이 구해진다. 한층당 운행성능은 운행성능의 합을 운행층수의 합으로 나눈 값으로 설정하고(NS13E), 모든 그룹에 대해(NS13F) 운행층수의 변경폭을 설정하게 되는데, 이 운행층수의 변경폭은, {(한층당 운행성능-현대 대상 그룹의 운행성능]×현재 대상 그룹의 운행층수}/한층당 운행성능으로 구해진다.
상기의 식에서 현재 평균 설정된 한대당 운행층수보다 초과되는 부분은 평균적인 운행성능보다 낮은 효율을 갖는 그룹으로 이전시키겠다는 것인데, 이동시킬 수 있는 단위가 층이므로 한층당 운행성능을 나누어 운행층수의 변경폭을 결정한다.
성능수집과정은 제16도의 NS1I-NSIK의 과정에 의해 수행된다. 먼저, 성능수집 주기인가를 판단하여(NS1I) 성능수집주기이면 그룹의 성능요구 통신데이터를 작성한다(NS1J). 이때, 각각의 송신은 성능데이터를 수신하여야 완료되므로 대기상태를 인식상태(ACK)로 설정하여 둔다. 다음으로 송신대기버퍼 저장 플래그를 설정하여 작성한 성능데이터 요구를 그룹제어기(ND1B-ND1G)로 송신하도록 한다(NS1K). 실제적인 성능수집은 데이터가 수신되는 시점에서 발생되므로 제19도와 같은 수신데이터 처리루틴에서 발생하며, 그 경로는 NS4A→NS4B(인식대기상태(ACK)였기 때문에 데이터 송신부에서 수신대기버퍼에 등록되어 있음)→NS4C→NS4H→NS4I→NS4J→NS4K(데이터 읽기/쓰기수행부에서 제17도와 같은 성능수집테이블의 관리수행)→NS4L(기 설정단계에서 인식하지 않은상태(NOACK)로 설정(NS4H)→복귀로 된다.
제17도와 같은 성능수집테이블관리 루틴에서는 수신된 데이터가 성능수집데이터인 경우에 제19도와 같은 수신데이터 처리루틴의 NS4K단계에서 데이터 읽기/쓰기를 효출하면 쓰기작업이 발생하므로 제31도와 같은 데이터 쓰기루틴이 수행되고, NS16A단계에서 성능데이터임이 입증되어 NS16B에서 성능수집테이블의 관리 루틴을 호출함으로써 수행된다.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그룹제어기(ND1B-ND1G)의 ID를 결정하고(NS2A), 해당 그룹의 성능저장테이블의 클리어플래그가 설정되었는지를 검사하여(NS2B) 설정되었으면 제11도와 같은 그룹의 성능저장 테이블 중 그룹 ID에 해당되는 테이블을 주기1-주기D까지 클리어하고(NS2C), 해당 그룹의 현재주기 ID를(제11도 각 그룹의 성능저장 테이블에서 해당 그룹의 결과 저장리스트중 몇번째 레코드인지를 결정하는 값, 만약 수신된 그룹의 ID가 2이고, 현재 주기 ID가 3이라면 수신된 결과는 그룹의 2의 결과 리스트 중 주기 3의 영역에 저장된다.) 0으로 설정한다(NS2D).
수신된 데이터에서 성능데이터를 추출하고(NS2E)(수신된 데이터에는 통신을 위한 여러가지 정보들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자료의 추출이 필요하다.) 해당 그룹의 현재 주기 ID가 최대 주기 ID보다 큰가를 검사한다(NS2F). 만약, 크다면 더 이상 저장할 영역이 없으므로 복귀하고, 그렇지 않다면 해당 그룹의 현재 주기 ID를 1증가시키고(NS2G)(저장할 위치를 결정하고) 성능데이터 추출과정(NS2E)에서 추출한 결과를 현재 주기 ID에 기록한다(NS2H).
현재 주기 ID에 포함된 각 그룹제어기(ND1B-ND1G)의 운행결과가 수집되었는지를 확인하여(NS21) 모든 그룹의 현재 주기에서의 운행결과가 수집된 것으로 판명되면 각 그룹제어기(ND1B-ND1G)의 운행결과를 종합하여 건물의 운행결과를 생성한다(NS2J). 추출된 건물의 운행결과를 제11도와 같은 각 그룹의 성장 저장 테이블의 최하단에 있는 건물의 전체 결과 평가 리스트상에 현재 주기 해당하는 부분에 기록한다(NS2K).
운행성능 평가 주기 제어과정을 제30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여기서, 기동시간은 제11도와 같은 성능 수집/평가 주기정보 테이블의 기타정보에 포함된다.
평가 주기형식이 반복식인 경우, 현재 시간이 기동시간과 기동시간+주기값 사이에 있으면 현재 그룹의 평가 주기 플래그를 설정하고(NS15X), 그렇지 않으면 평가 주기플래그를 해제한다(NS15Y). 평가 주기플래그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기동시간에 주기시간을 더하여 기동시간에 기록하여 두는 방식으로(NS15I) 다음 기동시간을 설정하여 둔다.
평가주기형식이 고정식인 경우(NS15D), 현재시간과 기동시간이 일치하면 평가주기 플래그를 설정하고(NS15X), 그렇지 않으면 평가주기 플래그를 해제한다(NS15Y).
평가주기형식이 완료식인 경우(NS15F), 성능수집테이블에 해당 그룹의 모든 주기의 값이 수집된 경우에는 평가주기플래그를 설정하고(NS15X),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평가주기 플래그를 해제한다(NS15Y).
평가주기형식이 직접식인 경우(NS15H), 이는 사용자가 강제로 현재의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평가주기 플래그를 요청한 경우로서 이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평가주기 플래그를 설정하고(NS15X),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해제한다(NS15Y).
운행성능 수집주기 제어과정을 제29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든 그룹에 대하여 운행성능 수집주기가 수행되었는가를 검사하여(NS14A), 그렇지 않으면 수집주기 형식에 따라 아래와 같이 수집주기를 제어한다.
수집주기형식이 반복식인 경우, 현재시간이 기동시간과 기동시간+주기값 사이에 있으면 현재 그룹의 평가주기 플래그를 설정하고(NS14X), 그렇지 않으면 평가주기 플래그를 해제한다(NS14Y). 평가주기 플래그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기동시간에 주기시간을 더하여 기동시간에 기록해 두는 방식(NS14GX)으로 다음 기동시간을 설정하여 둔다.
수집주기형식이 고정식인 경우(NS14D), 현재시간과 기동시간이 일치하면 평가주기 플래그를 설정하고(NS14X), 그렇지 않으면 평가주기 플래그를 해제한다(NS14Y).
수집주기형식이 직접식인 경우(NS14F), 이는 사용자가 강제로 현재의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평가주기 플래그를 요청한 경우로써 이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평가주기 플래그를 설정하고(NS14X),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해제한다(NS14Y).
시스템 백업모드시 모든 마스터제어기에서는 제32도와 같은 마스터제어기의 전이 루틴이 기동상태에 있게 된다. 이 과정은 현재 기동중인 마스터 제어기가 다운(down)되는 경우 즉, 현재 기동중인 마스터 제어기에 고장이 발생하여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다른 마스터 제어기를 기동하기 위한 처리과정이다.
우선, 테이블 인덱스를 0으로 설정함으로써(NS17A) 제33도와 같은 마스터제어기의 우선순위 테이블을 검색할 인덱스를 초기화 한다. 다음으로 제33도와 같은 우선순위 테이블에서 기동중인 마스터제어기의 모드값을 구해내고(NS17A:상기 테이블에서는 노드 001이 기동중으로 표시), 이 노드가 액티브상태에 있는지 확인한다(NS17C). 기동중이라면 다른 마스터 제어기가 기동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 과정이 종료하고 복귀한다.
모든 테이블이 검색되었는가를 검사하여(NS17D) 검사되었다고 판단되면 지금까지의 과정에서 후보 마스터 제어기가 없었다는 결론에 도달하므로 마스터제어기의 다운처리(고정처리)를 수행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현재 검색중인 레코드의 노드 ID와 이 프로그램이 가동중인 마스터제어기의 노드값이 동일한지를 비교한다(NS17E). 그 결과 노드값이 같은 것으로 판명되면 현재 대기중인 마스터제어기 중에서 현재 프로그램이 기동중인 마스터제어기가 가장 우선순위가 높기 때문에 마스터제어기의 모든 역할을 이어받고, 자신이 기동 마스터제어기가 되었음을 다른 대기중인 마스터 제어기에 알려준다(NS17F).
이 과정에서 대기중인 다른 마스터제어기들의 마스터제어기의 우선순위 테이블의 기동중인 마스터제어기가 바뀌게 된다.노드의 ID가 다르다면 테이블 인덱스를 1 증가시킨다(다음 레코드를 검색할 준비를 한다). 상기 예에서 노드 5인 마스터 제어기는 마스터 제어기1과 마스터제어기 3이 다운된 경우에 기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보인 제5도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제6도에 있어서는 제33도 마스터제어기의 우선순위 테이블에 기록된 레코드가 하나쁜이며, 자기자신 뿐이기 때문에 다운되는 경우 대기중인 백업 시스템이 자동으로 기동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제7도에서와 같이 마스터제어기를 구성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전체 N개의 그룹 제어기 중 최대 N개까지의 마스터제어기가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기동중인 마스터제어기가 다운되는 경우에도 대기중인 백업시스템에 새로운 마스터제어기가 자동적으로 선정되어 기동된다.
한편,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제5도의 마스터제어기(ND1A)의 기능을 1-N대의 그룹제어기에 추가하고(1대나 모든 그룹제어기는 특수한 경우임), 스위치나 통신용 소프트웨어를 통해서 1-N대의 그룹제어기내에 있는 마스터제어기기의 기능만을 이용하고 선택된 그룹제어기에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 다른 그룹제어기로 하여금 마스터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제7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성능평가/주기형식 테이블에 있어서 각 그룹제어기별로 정의된 성능수집주기정보 테이블을 하나만 작성하여 모든 그룹제어기에 적용하는 방식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그룹제어기로 국한되던 운행성능의 평가를 건물 전체로 확대해석함으로써 보다 현실에 적합한 승강기 제어시스템의 성능평가를 가능하게 하고, 그룹제어기간의 효율적인 관계 형성을 통한 건물내 승강기 제어기의 종합적인 성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그룹제어기간의 상호 교류를 필요로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고, 데이터의 입출력을 마스터제어기와 수행하고, 그룹제어기와의 데이터 교류는 마스터제어기가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함을 극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그룹제어기가 수행하던 주변장치의 제어기능을 마스터제어기가 수행함으로써 그룹제어기에 집중되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그룹의 성능을 수집하여 건물내에 설치된 모든 그룹제어기의 운행성능을 근간으로 각 그룹에 소속되는 승강기와 각 그룹의 서비스층 등 승강기 제어시스템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스펙들을 건물의 상황이 변화함에 따라 자동적으로 변경함으로써 그룹제어기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건물내에 설치된 승강기 제어시스템의 종합적인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나 대기승객 검출장치를 마스터제어기에 접속함으로써 사용대수의 감소로 인한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건물내의 설치된 승강기의 운행을 제어하는 군관리 장치에 있어서, 각 그룹 제어기의 상위개체로서 그룹제어기를 총괄적으로 관리하는 마스터제이기를 이용하는 수단과; 상기 마스터제어기를 이용하여 건물내의 승강기 운행정보를 분석하는 수단; 외부장치와 그룹제어기의 통신을 상기 마스터제어기에서 제어하는 수단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마스터 군관리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마스터제어기는 통신을 제어하기 위하여 송수신 대기버퍼를 이용하는 수단과; 데이터 송수신의 적절한 처리를 위하여 송수신 대기버퍼를 이용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마스터 군관리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마스터제어기는 별도로 설치하여 계층구조를 형성하는 수단과, 특정의 그룹 제어기에 병합하여 사용하는 수단; 다수의 그룹제어기에 기능을 병합하여 특정의 조작에 의해 하나가 이용되도록 하는 수단과; 기동중인 마스터제어기가 다운되는 경우 다른 그룹에 병합된 그룹제어기가 자동적으로 기동되게 하는 수단과; 자동적인 기동을 위해 우선순위 정보를 이용하는 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제어장치.
  4. 건물내에 설치된 그룹제어기의 상위개체로서 그룹제어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그룹제어기로 부터 운행성능을 수집하는 과정과; 수집된 운행성능을 이용하여 각 그룹의 운행스펙을 최적화하는 과정과; 최적화에 수반되는 운행성능 수집테이블을 관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마스터 군관리 제어장법.
  5. 제4항에 있어서, 수집된 운행성능을 평가하여 각 그룹제어기의 운행대수와 운행층수를 변경할 폭을 결정하는 단계와; 결정된 변경폭과 결정 제약조건으로 이용되는 서비스 가능층, 소속 가능 호기의 테이블을 조합하여 최종적인 운행스펙을 생성하는 단계와; 변경된 정보를 각각의 그룹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마스터 군관리 제어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운행성능 수집과정은 운행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운행성능 수집 주기정보를 이용하는 단계와; 운행성능 수집주기 정보에 의하여 그룹제어기의 운행성능의 수집을 개시하는 단계와; 운행성능의 평가를 위해 운행성능 평가 주기정보를 이용하는 단계와; 운행성능 평가 주기정보를 근거로 하여 그룹제어기의 운행성능의 평가를 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마스터 군관리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운행성능 평가 주기정보를 이용하는 단계는 외부장치를 이용하여 운행성능 평가 주기정보를 수정하는 단계와; 운행성능을 수집하기 위한 운행성능 수집주기정보를 수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마스터 군관리 제어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운행성능 수집 주기정보를 이용하는 단계는 운행성능을 수집하기 위한 조건을 제시하는 테이블에 있어서 수집조건을 각각의 그룹제어기마다 제공하는 단계와; 공통된 하나의 조건 테이블을 제공하여 모든 그룹에 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마스터 군관리 제어방법.
KR1019950058750A 1995-12-27 1995-12-27 엘리베이터의 마스터 군관리 제어 장치 및 방법 KR0167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8750A KR0167191B1 (ko) 1995-12-27 1995-12-27 엘리베이터의 마스터 군관리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8750A KR0167191B1 (ko) 1995-12-27 1995-12-27 엘리베이터의 마스터 군관리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188A KR970042188A (ko) 1997-07-24
KR0167191B1 true KR0167191B1 (ko) 1998-12-01

Family

ID=19445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8750A KR0167191B1 (ko) 1995-12-27 1995-12-27 엘리베이터의 마스터 군관리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71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36892A (zh) * 2013-10-08 2016-06-01 奥的斯电梯公司 电梯控制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36892A (zh) * 2013-10-08 2016-06-01 奥的斯电梯公司 电梯控制系统
CN105636892B (zh) * 2013-10-08 2018-08-10 奥的斯电梯公司 电梯控制系统
US10308476B2 (en) 2013-10-08 2019-06-04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ontrol system having controller in communication with power provi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188A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4392A (en) Work flow system for task allocation and reallocation
US6477563B1 (en) Agent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same
US6557122B1 (en) Notification system for informing a network user of a problem in the network
US5963546A (en) Method of searching for available path in mesh architecture
KR0167191B1 (ko) 엘리베이터의 마스터 군관리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4859883A (zh) 一种检修机器人多机协作控制方法、系统及储存介质
US2002005290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JPH0695997A (ja) ヒューマンインターフェイスシステム
JP2008009496A (ja) 保守サービス運用システムおよび保守サービス運用方法
CN100396061C (zh) 一种用状态机对异步操作进行控制的方法
CN107265212B (zh) 群管理电梯装置以及呼叫登记装置的功能变更方法
WO2021166468A1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制御方法
JP2008135054A (ja) ワークフロー管理方法及びその実施システム
KR102003640B1 (ko) 지능형 이정표 시스템
JP3688471B2 (ja) エージェント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用ソフトウェア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712648B2 (ja) エレベータ群管理学習制御装置
JPH10207847A (ja) 分散システムにおける自動負荷分散方式
JP4690799B2 (ja) エレベータ群管理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群管理方法
EP0918293A2 (en) Integrated retrieval system, integrated retrieval method and media recorded with integrated retrieval program in distributed file system
US7003557B1 (en) Method and system for racing control of operations in system management
CN117555462B (zh) 车载终端的控制方法、车载终端的控制装置及存储介质
CN110329859B (zh) 基于乘客乘梯习惯的电梯控制系统
WO2023281833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サーバおよび情報提示装置
EP1076852B1 (en) Remote computing
JP2806141B2 (ja) ホットスタンバイ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