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6747B1 - 기록 바이어스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기록 바이어스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6747B1
KR0166747B1 KR1019950021798A KR19950021798A KR0166747B1 KR 0166747 B1 KR0166747 B1 KR 0166747B1 KR 1019950021798 A KR1019950021798 A KR 1019950021798A KR 19950021798 A KR19950021798 A KR 19950021798A KR 0166747 B1 KR0166747 B1 KR 0166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signal
recording
audio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1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7800A (ko
Inventor
강용진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21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6747B1/ko
Publication of KR970007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6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67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5/027Analogue recording
    • G11B5/03Biasing

Landscapes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신호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록시 오디오신호의 AM변조파의 크기에 따라 주파수특성등이 최적이 되도록 가변저항기를 이용했던 종래에 비해, 본 발명은 가변저항기를 이용하지 않고 다수개의 다이오드의 드롭전압을 트랜지스터의 스위칭동작을 이용하여 마이콤에서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오디오신호 기록시 오디오헤드의 기록전압 조정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변조파의 전압크기에 따라 마이콤에서 기준값의 범위내에 최적의 주파수특성을 갖도록 기록 바이어스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는 잇점을 제공한다. 또한, 오디오헤드의 수명의 오래되어 헤드 임피던스가 변하게 되는 경우 자동으로 변환된 임피던스를 검출하여 적절하게 조정하여 줌으로써 기기의 수명을 연장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기록 바이어스 조정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 바이어스 조정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OSC부 13 : 오디오 IC
15 : 고역통과필터(HPF) 17 : 증폭부(AMP)
18 : A/D변환부 19 : 마이콤
20 : 바이어스조절수단 L : 인덕터
C : 콘덴서 D1, D2, D3 : 다이오드
Q1, Q2, Q3, Q4, Q5, Q6, Q7, Q8 : 트랜지스터
본 발명은 오디오신호처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디오신호의 진폭변조(AM; Amplitude Modulation)시 변조파의 크기에 따라 주파수특성등이 최적이 되도록 기록 바이어스를 조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디오신호를 기록하는데 사용하는 바이어스(bias)방법으로 진폭변조방식을 채택한다. 이러한 진폭변조(AM)방식으로 자기테이프에 신호를 기록할 때, 반송파를 신호파형으로 진폭변조하여 테이프에 기록한다. 오디오헤드는 테이프에 오디오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항상 일정한 전류가 흘러야 안정된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나, 헤드에 흐르는 전류에 변화가 생기면, 기록시 테이프에 자화가 잘 일어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테이프의 자화를 가장 잘 일어나게 하는 전류값이 헤드에 흐르도록 생산라인에서 조정해 주어야 한다. 여기서, 헤드에 흐르는 최적 전류(optimum current)값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 헤드의 임피던스가 크면, 헤드에 흐르는 전류는 최적전류값보다 작게 흐르게 되고, 헤드의 임피던스가 작으면, 헤드에 흐르는 전류는 최적전류값보다 크게 흐른다. 그러므로, 헤드의 임피던스(impedence)의 크기에 따라 헤드에 흐르는 전류값이 달라지게 되고, 이에 따라 테이프의 자화도 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테이프에 기록되는 주파수 특성이 변하게 되고, 왜곡(distortion)이 생기기 때문에 생산라인에서 미리 헤드에 흐르는 전류를 일정하게 조정해 주어야 한다. 종래에는 이런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가변저항기(VR ; Variable Resistor)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가변저항기를 사용하여 조정할 경우 조정오차가 생길 수 있으며, 세트를 구성한 다음에 헤드에 이상이 생겨 헤드의 임피던스가 변하는 경우에 헤드에 흐르는 전류를 조정하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트랜지스터의 스위치동작을 통해 다수개의 다이오드의 드롭전압을 마이콤에서 조절하여 발진기(OSC; oscillator)의 출력전압을 조정해줌으로써 기록시 오디오헤드의 임피던스조정이 가능한 기록 바이어스 조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오디오헤드를 구비한 자기기록재생장치의 오디오신호처리에 있어서,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변조파를 생성하여 상기 오디오헤드로 기록전압을 공급하는 OSC부, 상기 오디오헤드를 통과한 기록전압의 크기를 검출하여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바이어스조절수단으로 출력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값을 조절하여 상기 OSC부로 출력하는 바이어스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기록바이어스 조정장치에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 바이어스 조정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을 간단히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기록바이어스 조정장치는 기록하기 위한 기록전압을 변조파로 생성해 내는 발진부(oscillator; 이하, OSC부라 함)(11)를 구비한다. 또한 이후 설명될 바이어스조정수단(20)을 구비한다. 도면에 미도시된 키입력부로부터 인가되는 레코딩제어신호(REC CTL)는 제8트랜지스터(Q8)의 베이스단에 인가되고, OSC부(11)를 구동시키는 레코딩전원(REC B+)은 인덕터(L)와 콘덴서(C)로 이루어진 전원정류필터를 거쳐 제7 트랜지스터(Q7)로 인가된다. 오디오헤드(12)는 OSC부(11)로부터 인가되는 변조파에 의해 오디오신호를 테이프에 기록한다. 여기서, 오디오신호의 입력표시는 생략하였다. 오디오헤드(12)를 통과한 변조파의 주파수는 고역통과필터(High Pass Filter; 이하, HPF라 함)(15)로 인가된다. 또한, 오디오헤드(12)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는 저항(R)을 거쳐 오디오IC(13)로 인가된다. 오디오IC(13)는 마이콤(19)의 기록제어신호를 접지시킨다. 증폭부(17)는 HPF(15)의 후단에 연결되어 HPF(15)로부터 인가되는 소정 주파수를 증폭한다. A/D변환부(18)는 증폭부(17)에서 증폭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한다.
마이콤(19)은 변환된 디지탈신호를 인가받아 기저장하고 있는 오디오헤드의 임피던스값과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따라 제2, 제4, 제6트랜지스터(Q2, Q4, Q6)로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바이어스조절수단(20)은 마이콤(19)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동작을 통해 OSC부(11)의 출력전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마이콤(19)과 OSC부(11)사이에 연결된다. 바이어스조절수단(20)을 구성하는 제1, 제2, 제3다이오드(D1, D2, D3)는 직렬로 연결된다. 그리고, 이러한 다이오드들(D1, D2, D3)의 양단에는 제1, 제3, 제5트랜지스터(Q1, Q3, Q5)들이 연결된다. 상술한 트랜지스터들(Q1, Q3, Q5)의 베이스단에는 제2, 제4, 제6트랜지스터(Q2, Q4, Q6)가 각각 연결되어 마이콤(19)의 제어하에 온/오프 스위칭동작을 수행한다.
제1도에서, 레코딩제어신호(REC CTL)는 제8트랜지스터(Q8)의 베이스단에 인가되고, OSC부(11)를 구동시키는 레코딩전원(REC B+)은 인덕터(L)와 콘덴서(C)로 이루어진 전원정류필터에 의해 정류된 뒤 제7트랜지스터(Q7)로 인가된다. OSC부(11)는 레코딩전원(REC B+)을 인가받아 항상 일정한 전압을 오디오헤드(12)로 출력한다. 이때, OSC부(11)는 항상 일정한 전압을 오디오헤드(12)로 출력하지만, 오디오헤드(12)의 임피던스에 따라 실제오디오헤드(12)에 흐르는 전류는 달라질 수 있다. 즉, 오디오헤드를 통과한 접점 a의 전압과 오디오헤드를 통과하기 전의 전압은 서로 달라질 수 있다. 고역통과필터(15)는 오디오헤드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중 실제기록하고자 하는 신호의 주파수인 70㎑성분만을 검출한다. 증폭부(17)는 고역통과필터(15)로부터 인가받은 신호를 소정 크기로 증폭한다, A/D변환부(18)는 인가받은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여 마이콤(19)으로 전달한다. 마이콤(19)은 기록 바이어스를 조정하기 위한 소정 기준전압값을 기저장하고 있다.
먼저, 오디오헤드(12)를 지난 접점'a' 의 전압값과 기저장된 기준전압값을 비교한 결과, 접점 'a'의 전압값이 중앙치에 해당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겠다. 마이콤(19)은 제2, 제4트랜지스터(Q2, Q4)를 온(ON)시키고 제6트랜지스터(Q6)를 오프(OFF)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제2, 제4트랜지스터(Q2, Q4)의 각각의 콜렉터단에 베이스가 연결된 제1, 제3트랜지스터(Q1, Q3)는 온(ON)되어 제1, 제2다이오드(D1, D2)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다. 하지만, 제6트랜지스터(Q6)의 콜렉트단에 베이스단이 연결된 제5트랜지스터(Q5)는 오프(OFF)된다. 따라서, 제3다이오드(D3)에 대한 드롭전압이 생기게 된다. 그러므로, 실제OSC부(11)로 인가되는 전원은 레코딩전원(REC B+)에서 제3다이오드(D3)의 드롭전압(0.7V)을 감산한 값(REC B+-0.7V)이 된다. OSC부(11)는 이 신호를 오디오헤드(12)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레코딩전원이 9V일 때, 임피던스가 중앙치일 경우, 레코딩전원(REC B+)에서 제3다이오드(D3)의 드롭전압을 감산한 값(9V-0.7V)인 8.3V가 OSC부(11)로 인가되고, 오디오헤드(12)는 8.3V의 기록전압을 인가받는다.
그 다음, 접점'a'의 전압값과 기준전압값을 비교한 결과, A/D변환부(18)로부터 인가받은 전압값이 최대치(max)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경우를 설명하겠다. 이때, 마이콤(19)은 제4트랜지스터(Q4)를 온(ON)시키고 제2, 6트랜지스터(Q2, Q6)는 오프(OFF)시키라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제4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단에 베이스가 연결된 제3트랜지스터(Q3)는 온(ON)되어 제2다이오드(D2)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다. 하지만, 제2, 6트랜지스터(Q2, Q6)의 콜렉트단에 베이스단이 각각 연결된 제1, 5트랜지스터(Q1, Q5)는 오프(OFF)된다. 따라서, 제1, 3다이오드(D1, D3)에 대한 드롭전압이 생기게 된다. OSC부(11)에 인가되는 전원은 REC B+-0.7V-0.7V이 된다. 그러므로, OSC부(11)의 출력전압값은 감소되어 오디오헤드(12)에 흐르는 전류값도 감소된다. 첨부한 도면에서는 3개의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였지만, 다이오드의 드롭전압이 0.2V인 게르마늄을 사용하여 수량을 늘리면, 좀 더 세분화하여 전류의 조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오디오신호처리장치에서, 다수개의 다이오드와 다수개의 트랜지스터로 바이어스조절수단을 구성하여 오디오신호의 진폭변조(AM ; Amplitude Modulation)시 변조파의 전압크기에 따라 마이콤에서 기준값의 범위내에 최적의 주파수특성을 갖도록 기록 바이어스를 조정하는 잇점을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오디오헤드의 수명의 오래되어 헤드 임피던스가 변하게 되는 경우 자동으로 변환된 임피던스를 검출하여 적절하게 조정하여 줌으로써 기기의 수명을 연장할 수도 있다.

Claims (4)

  1. 오디오헤드를 구비한 자기기록재생장치의 오디오신호처리에 있어서,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변조파를 생상하여 상기 오디오헤드로 기록전압을 공급하는 OSC부; 상기 오디오헤드를 통과한 기록전압의 크기를 검출하여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바이어스조절수단으로 출력하는 제어수단; 소정의 드롭전압을 갖는 다이오드가 직렬로 다수개 연결되고, 다이오드의 양단에는 트랜지스터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상기 전압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값이 적응적으로 가변되도록 하는 바이어스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기록 바이어스 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오디오헤드로부터 검출된 신호의 필요 성분만을 추출하는 고역통과필터; 상기 고역통과필터를 통과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 상기 A/D변환부로부터의 신호를 인가받아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바이어스조절수단으로 출력하는 마이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바이어스 조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바이어스조절수단 사이에는 인덕터와 콘덴서로 이루어진 전원정류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바이어스 조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들은 상기 트랜지스터의 온/오프동작에 따라 도통/불통되어 발생되는 드롭전압을 상기 OSC부로 인가함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값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바이어스 조정장치.
KR1019950021798A 1995-07-22 1995-07-22 기록 바이어스 조정장치 KR0166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1798A KR0166747B1 (ko) 1995-07-22 1995-07-22 기록 바이어스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1798A KR0166747B1 (ko) 1995-07-22 1995-07-22 기록 바이어스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800A KR970007800A (ko) 1997-02-21
KR0166747B1 true KR0166747B1 (ko) 1999-03-20

Family

ID=19421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1798A KR0166747B1 (ko) 1995-07-22 1995-07-22 기록 바이어스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67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5020A (ko) * 2017-12-01 2019-06-11 에이치에스디엔진 주식회사 인덕티브 센서의 단선 검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3661B1 (ko) * 1997-12-27 2001-04-02 윤종용 부품장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5020A (ko) * 2017-12-01 2019-06-11 에이치에스디엔진 주식회사 인덕티브 센서의 단선 검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800A (ko) 199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1609A (en) Semiconductor laser drive circuit with peak detection and control
JP3049734B2 (ja) 高周波増幅回路
US5450036A (en) Power amplifier circuit for audio signal and audio device using the same
US4896372A (en) Pulse width modulator for AM-RF transmitter
JPH02166636A (ja) レーザ駆動回路
KR0166747B1 (ko) 기록 바이어스 조정장치
US5508658A (en) Power amplifier circuit for audio signal and audio device using the same
US5218489A (en) Auto tracking apparatus for video tape recorder
US4987501A (en) Amplifying device
US5701103A (en) Amplifying circuit with DC voltage feedback to base terminal for magnetic record and playback apparatus
US4133010A (en) Sound recording apparatus
US4868691A (en)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US3524017A (en) Record amplifier-driver for continuously driving analog recorder heads with an optimum record current during the life of the head
CA1048640A (en) Power supply circuit
JPH06314936A (ja) オーディオ信号電力増幅回路およびこれを用いるオーディオ装置
JPH0785404A (ja) 磁気抵抗効果再生装置
JPH0856127A (ja) オーディオ信号電力増幅回路およびこれを用いるオーディオ装置
SU163158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магнитной записи аналогового сигнала
SU1606997A1 (ru) Устройство магнитной записи с динамическим подмагничиванием
JP3714650B2 (ja) ビデオ機器のコントロール信号再生回路
JP2737681B2 (ja) 磁気記録装置
KR0112697Y1 (ko) 오디오장치의 음량제한회로
JP3164136B2 (ja) オーディオ信号電力増幅回路およびこれを用いるオーディオ装置
JP2000341347A (ja) Ask変調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通信装置
KR20000044158A (ko) 셋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자동이득제어 방법 및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