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6592B1 - 투명체중의 불투명이물 판별장치 - Google Patents
투명체중의 불투명이물 판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66592B1 KR0166592B1 KR1019910025373A KR910025373A KR0166592B1 KR 0166592 B1 KR0166592 B1 KR 0166592B1 KR 1019910025373 A KR1019910025373 A KR 1019910025373A KR 910025373 A KR910025373 A KR 910025373A KR 0166592 B1 KR0166592 B1 KR 01665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aque
- nozzle
- transparent body
- air
- soli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3—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by means of air
- B07C5/367—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by means of air using a plurality of separation means
- B07C5/368—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by means of air using a plurality of separation means actuated independently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Landscapes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컨베이어등의 운반수단으로부터의 낙하도중에 행하는 불투명이물의 판별을 정밀도 높고 정확히 행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낙하하는 투명체(10a) 및 불투명이물(10b)이 레이저광을 가로로 일직선으로 주사하고 그 반사광을 CCD형 이미지센서로 검출하여, 투명체인가 불투명이물인가를 N개씩 구분한 CCD 블록마다 판별하고, 그 판별결과가 불투명 이물로나타난 CCD블록에 대응하는 1개의 노즐블록과 그에 인접하는 노즐블록으로부터 에어를 분사한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불투명 이물(異物) 판별장치의 일예의 전체개요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장치의 벨트 컨베이어와 에어분사장치의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장치의 벨트 컨베이어와 에어분사장치의 측면도.
제4도는 컨베이어 벨트의 확대 단면도.
제5도는 표면에 다수의 요철을 만든 컨베이어 벨트로부터의 낙하궤적을 나타내는 도면.
제6도는 요철을 만들지 않은 컨베이어 벨트로부터의 낙하궤적을 나타내는 도면.
제7도는 가로방향의 요철을 만든 컨베이어 벨트의 평면도.
제8도는 다수의 원형돌기를 지그재그형으로 만든 컨베이어 벨트의 평면도.
제9도는 다수의 경사진 세장(細長)돌기를 만든 컨베이어 벨트의 평면도.
제10도는 에어분사장치의 사시도.
제11도는 제10도의 에어분사장치의 노즐블록의 일부절결사시도.
제12도는 제11도의 노즐블록의 평단면도.
제13도는 제11도의 노즐블록의 수직단면도.
제14도는 제11도의 노즐블록의 정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에 의한 불투명 이물 판별장치의 개요구성의 블록도.
제16도는 제15도의 장치에 있어서, 레이저광에 의한 주사로부터 에어분사에 의한 판별에 이르기까지의 처리를 도해한 모식도(模式圖).
제17도는 이미지 센서 출력의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타이밍 챠트.
제18도는 컴퓨터에서의 처리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컨베이어 벨트 5 : 레이저광 주사장치
6 : CCD카메라 7 : 에어 분사장치
8 : 회수용기 9 : 컴퓨터
10a : 투명체 10b : 불투명이물
12 : 이미지센서 19 : 노즐블록
20 : 전자밸브 21 : 리시버 탱크
27 : 노즐 32 : 2진수화회로
33 : 밸브 콘트롤러
본 발명은 다수의 투명체, 예를 들어 회수된 파유리(cullet)등의 유리조각 중에서 돌이나 도자기 등의 불투명이물을 검출하여 판별하는 투명체중의 불투명이물 판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이와 같은 장치로서 일본국 특개평 3-7554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이미 제안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장치로서는, 투명체중에 불투명이물이 혼재되어 있는 대상물을 컨베이어로 운반하고, 그 컨베이어로부터 분산시켜 낙하시키면서, 직선편광 레이저광선을 가로로 일직선을 주사하고 그 반사광을 편광필터를 사이에 두고 CCD(Charge-Coupled Device)형 이미지센서로 검출하여, 투명체인가 불투명이물인가를 이미지센서의 각 CCD의 출력에 의해 판별한다.
즉, 투명체의 경우에는, 레이저광선의 대부분이 투과되어 근소한 일부분만이 반사되지만, 그 반사광은 직선편광이므로 편광필터에 의해 차단된다. 이에 대하여, 불투명이물의 경우에는, 난반사하여 원편광으로 되어 대부분이 편광필터를 통과하여 CCD에 입광된다. 따라서, CCD의 출력은 투명체의 경우에는 극히 작고, 불투명이물의 경우에는 크게 되기 때문에 그 차이에 의해 투명체와 불투명이물을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불투명이물의 경우에는 컨베이어로부터의 낙하도중에 에어를 분사하여 투명체와 구별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컨베이어 등의 운반수단으로부터의 낙하도중에 행하는 불투명이물의 판별을 정밀하고 확실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투명체중에 불투명이물이 섞여있는 대상물을 운반수단으로 운반하여, 그 운반수단으로부터 분산시켜 낙하시키면서 광선을 가로로 일직선으로 주사하고 그 반사광을 이미지센서로 검출하며, 투명체인가 불투명이물인가를 각 고체촬상소자의 출력에 의해 판별하여, 불투명이물인 경우에는 그 낙하도중에 에어를 분사하여 투명체와 구별하는 투명체중의 불투명이물판별장치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다수의 노즐을 고체촬상소자 N개(단, N은 정의 정수(整數))에 대하여 1개의 비율로 대응시켜 운반수단으로부터의 낙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한 노즐 어레이(array)와; 하나의 에어 공급원과; 각 노즐마다 만들어져 에어공급원으로부터의 에어를 각 노즐로부터 분사할 것인가 아닌가를 절환할 수 있는 벨브와; 고체촬상소자센서로부터의 출력을 검출하여 투명체인가 불투명이물인가를 고체촬상소자 N개마다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그 판별수단의 판별결과가 불투명이물로 나타난 N개의 고체촬상소자에 대응하는 1개의 노즐과 이에 인접한 노즐로부터 에어를 분사하도록 밸브를 제어하는 벨브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노즐 어레이의 노즐은 그 배열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운반수단으로서는 상면에 다수의 요철을 형성한 컨베이어 벨트가 바람직하다.
투명체 및 불투명이물은 운반수단으로부터 가로로 흩어져 낙하하고, 그 낙하도중에 빛의 주사선상을 통과하여 고체촬상소자센서에서 광학적으로 검출되며, 투명체인가 불투명 이물인가, 그리고 주사선상에 구분된 어느 범위를 통과했는가가 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다. 그리하여, 불투명 이물인 경우에는, 그것이 통과한 범위에 대응하는 1개의 노즐뿐 아니라 그에 인접된 노즐로부터도 에어가 분사된다. 따라서, 불투명 이물이 낙하중에 동요되든가 방향을 바꾸어도 그것을 정확히 판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불투명이물 판별장치의 일예의 전체적 개요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 장치는 호퍼(1), 분산피이더(2), 진동기(3), 컨베이어 벨트(4), 레이저광 주사장치(5), CCD카메라(6), 에어분사장치(7), 회수용기(8), 컴퓨터(9)를 구비하고 있다.
파유리등의 투명체중에 돌이나 도자기등의 불투명이물이 혼입되어 있는 다수의 대상물(10)은 호퍼(1)내에 투입되어 진동기(3)로 진동되는 분산피이더위에 분산되면서 운반되어 컨베이어 벨트(4)위에 옮겨 실리고, 다시 그 컨베이어 벨트(4)에 의해 운반되어 끝부분에서 분산되어 낙하한다. 그러한 낙하도중에 레이저광 주사장치(5)에서 가로로 일직선으로 주사되어, 그 반사광이 편광필터(11)를 사이에 두고 CCD 카메라(6)의 CCD형 이미지센서(12)에 의해 검출된다. 그 이미지센서(12)로부터의 출력을 컴퓨터(9)로 해석함으로써, 투명체인가 불투명이물인가가 판별되고, 그 판별결과에 따라 에어분사장치(7)가 컴퓨터(9)에 의해 제어된다. 그리하여 투명체(10a)인 경우에는 그대로 회수용기(8)의 투명체 회수부(8a)에 낙하되는데 대하여, 불투명이물(10b)인 경우에는 에어분사장치(7)로부터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이물회수부(8b)에 낙하한다.
컨베이어 벨트(4)의 표면에는, 제2도 및 제4도에 도시하듯이 그 길이방향(주행방향)으로 길다란 다수의 돌부(13)와 다수의 요홈(14)이 컨베이어 벨트(4)의 너비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4)에 다수의 요철을 형성하는 것은, 대상물(10)이 컨베이어 벨트(4)로부터 분리될 때의 분리성을 좋게함과 동시에 고르지 못한 것을 적게하여 컨베이어 벨트(4)로부터의 대상물(10)의 낙하궤적이 전후로 크게 달라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것이 전후로 크게 달라지면, 레이저광 주사장치(5)와 CCD카메라(6)로 행하는 대상물(10)의 검출 및 에어 분사장치(7)의 에어에 의한 판별을 정확히 할 수 없다.
제4도와 같은 요철을 형성한 컨베이어 벨트(4)로부터의 낙하궤적과, 그것을 형성하지 아니한 평평한 컨베이어 벨트로부터의 낙하궤적을 실험으로 확인한 결과, 요철을 형성한 컨베이어 벨트(4)의 경우에는 제5도에 나타내듯이 대상물(10)은 거의 같은 궤적으로 낙하하는데 대하여, 평평한 컨베이어 벨트의 경우에는 제6도에 나타내듯이 전후로 모두 뿔뿔이 흩어져 낙하한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4)의 요철은 제7도에 나타내듯이 그 너비방향으로 길다란 다수의 돌부(15)와 다수의 요홈(16)을 길이방향으로 번갈아 형성한 것, 제8도에 나타내듯이 다수의 원형돌기(17)를 지그재그로 만든 것, 제9도와 같이 경사지게 끊어진 세장돌부(18)를 다수 만든 것 등이라도 좋다.
에어 분사장치(7)는 제2도 및 제10도에 나타내듯이 가로로 일렬로 나란히 배열된 예를 들어 20개의 노즐블록(19)과, 그 노즐블록(19)에 1대 1의 관계로 대응시키어 마찬가지로 가로로 일렬로 나란히 배열된 동수의 전자밸브(20)와, 이들 전자밸브(20)에 공통된 1개의 리시버 탱크(21)를 베이스(22)위에 배치한 것이다. 그리하여, 그 에어 분사장치(7) 전체는 제3도와 같이 받침대(23)위에 경사지게 설치되고, 컨베이어 벨트(4)로부터 낙하하는 불투명이물(10b)에 대하여 윗쪽으로부터 경사지게 에어를 분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1도 내지 제14도에 노즐 블록(19)의 구조를 도시했다. 각 노즐블록(19)은, 같은 크기의 상하 구형판(矩形板)(24,25)을 중첩시켜 구성되어 있다. 상측의 구형판(24)의 하면 앞부분에는 구형판(24)의 전단면(前端面)에 이르는 낮은 요부(26)가 형성되어 있으나, 하측 구형판(25)에는 이러한 요부가 없고, 이들 상하 구형판(24, 25)을 중첩시켜 요부(26)의 하면을 하측 구형판(25)으로 막음으로써, 노즐 블록(19)의 전단면에 그 배열방향으로 가늘고 긴 노즐(2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 구형판(24)의 하면 뒷부분과 하측 구형판(25)의 상면 뒷부분에는, 각각의 후단면에 이르는 나사부를 가진 반원홈(28, 29)이 형성되어 상하 구형판(24, 25)을 중첩시킴으로써 이들 상하 반원홈(28, 29)이 대응되는 전자밸브(20)와 배관접속하기 위한 접속용 나사구멍(30)을 형성한다. 이 나사구멍(30)은 요부(26)를 통하여 노즐(27)과 연통된다.
리시버 탱크(21)는 도시를 생략한 콤프레셔에 접속되어 있다. 그 리시버 탱크(21)에 비축된 압축공기는 배관을 통하여 20개의 전자밸브(20)에 일제히 공급된다. 따라서, 어느 한 개의 전자밸브가 열리면 그에 대응하는 1개의 노즐블록(19)의 가늘고 긴 노즐(27)로부터 에어가 분사된다.
제15도에 본 실시예의 불투명이물판별장치의 전기적인 개요구성을 도시하였다. 레이저광 주사장치(5)는 레이저광원(28), 회전편향기(29), 동기검출기(30)를 구비하고 있다. 레이저 광원(28)으로부터의 레이저광은 회전편향기(29)의 회전하는 다각형(polygon)거울에서 반사되어 가로로 일직선인 레이저 주사광으로 되어, 레이저광 주사장치(5)로부터 반복적으로 출사된다. 그러한 레이저 주사광은 동기검출기(30)로 검출되고, 그 동기검출기(30)로부터 한번 주사될 때마다 동기신호가 출력된다.
CCD카메라(6)의 이미지센서(12)는 예를 들어 1024개의 CCD를 가로로 일렬로 배열한 소위 1차원 이미지 센서로서, 각 CCD로부터의 출력은 레이저광 주사장치(5)의 동기검출기(30)의 동기신호에 따라 카메라 콘트롤러(31)에 의해 한번 주사될 때마다 출력되고, 2진수화회로(32)에서 일정한 기준치를 기준으로 2진수값 전기신호로 변환된 후 컴퓨터(9)에 입력되어 그 컴퓨터(9)내의 메모리에 기억된다. 각 CCD에서 출력되는 전압은 레이저 주사광이 주사된 대상물(10)이 투명체인가 불투명 이물인가에 따라 다르다. 즉 불투명 이물(10b)로부터의 반사광은 주로 원편광으로 되어 편광필터(11)를 통과하는데 대하여, 투명체(10a)로부터의 반사광(10)은 조금이더라도 대부분이 직선편광으로 편광필터(11)에 의해 차단되므로, 각 CCD의 출력전압은 불투명이물(10b)의 경우가 투명체(10a)의 경우보다도 확실히 높다.
이와 같은 차이는, 같은 투명체 및 같은 불투명 이물이 레이저광 주사장치(5)의 주사를 여러번 받도록 하여, 그 주사회수만큼의 이미지센서(12)의 출력에 대하여 AND논리처리하면 일층 크게된다. 그런 까닭에 본 실시예에서는, 레이저광 주사장치(5)가 2회 주사할 때마다 이미지센서(12)로부터의 2회분의 출력을 2진수화한 후에 AND논리처리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이미지센서(12)의 CCD는 1024개인데 대하여, 에어 분사장치(7)의 노즐블록(19)의 개수는 20개로서 CCD의 수에 비해 훨씬 적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노즐블록 1개에 대하여 CCD를 예를들어 51개씩 대응시켜서 1024개의 CCD를 20개의 블록으로 구분하여, 51개의 CCD로 이루어지는 각 블록마다 투명, 불투명의 판별을 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 경우에 51 × 20〓1020이 되므로, 1024개의 CCD중에서 4개가 남지만, 가로로 일렬로 배열된 CCD중에서 양단의 2개씩의 CCD에 대하여는 그 출력을 취급하지 않고 이들을 제외한 1020개의 CCD출력을 유효한 것으로 한다.
또한, 어떤 하나의 CCD블록에서 불투명 이물인 것으로 판별한 경우, 그 CCD블록에 대응하는 1개의 노즐블록(19)으로부터 에어를 분사할 뿐 아니라, 그 노즐블록(19)에 인접하는 그 양측 2개의 노즐블록(19)으로부터도 에어를 동시에 분사하도록 밸브콘트롤러(33)로 전자밸브를 제어한다.
제16도에 레이저광 주사장치(15)로부터의 레이저광에 의한 투명체(10a) 및 불투명 이물(10b)의 주사와, 첫 번째 주사의 이미지 센서(12)의 CCD군의 출력을 연속하여 나타낸 아날로그신호와, 마찬가지로 2번째 주사의 이미지센서(12)의 CCD군의 출력을 연속하여 나타낸 아날로그 신호와, 이들을 2진수화한 후에 AND처리한 동일 주사 라인에 대한 AND신호와, 상기와 같이 20개로 구분된 CCD블록과, 투명·불투명의 판별결과와, 20개의 전자밸브(20)의 작동유무와, 20개의 노즐블록(19)으로부터의 에어분사의 유무와의 관계를 도시하였다. 또한, 제17도에 첫 번째 주사 그리고 2번째 주사 각각의 이미지센서(12)의 CCD군으로부터의 아날로그신호와, 이들 아날로그신호를 2진수화회로(32)에서 각각 2진수화한 2진수신호와, 그러한 2진수화후에 AND처리한 동일주사라인에 대한 AND신호를 나타내었다.
제18도에 컴퓨터(9)에서 행해지는 투명체인가 불투명이물인가의 판별동작 및 판별동작의 흐름을 도시하였다. 먼저, 스텝(51)의 초기설정에 있어서는 구분하는 CCD블록 1개당의 CCD개수, 즉 1개의 노즐블록(19)마다 대응시켜야 할 CCD의 단위수 N(위의 예에서는 51개)과, AND신호의 폭의 대소에 의해 불투명·투명을 판정할 때의 기준이 되는 기준폭(T)이 설정된다.
그후, 스텝(52)에서 2진수화회로(32)로부터 첫 번째 주사의 2진수신호를 입력시켜 메모리에 기억시키고, 이어서 마찬가지로 2번째 주사의 2진수신호를 입력하여 메모리에 기억시킨 후, 이들을 스텝(54)에서 AND처리한다. 다음에, 동일주사라인에 대하여 스텝(55)에서 각 AND신호의 첫 번째 전이 어드레스(first transition address) 와 마지막 전이 어드레스(last transition address)를 검출한다. 즉, 각 AND신호에 대하여, 그 첫 번째 전이 어드레스와 마지막 전이 어드레스를 가로로 일렬로 배열된 CCD군중의 어느 위치의 CCD에 상당하는가를 검출하여, CCD의 배열순서에 따른 위치를 각 AND신호에 대하여 메모리에 기억한다.
다음의 스텝(56)에서는, 각 AND신호는 구분된 CCD블록가운데 몇번째의 블록으로부터의 것인가, 따라서 몇번째의 노즐블록(19)에 대응하는가를 왼쪽의 AND신호로부터 순차적으로 하나씩 다음과 같은 계산에 의해 구한다. 즉, 지금 첫 번째의 AND신호의 첫 번째 어드레스를 제17도와 같이 D1으로 하면, 이 AND 신호에 대응하는 노즐블록(19)의 순위(X)는 D1과 상기 단위수(N)으로부터 X=(D1/N)+1이 된다. 다만, X는 정의 정수로 한다. 예를 들어 제16도를 예로 들어 N을 상기와 같이 「51」로 하면, D1이 「420」인 경우에는, X는 「9」가 되고, 아홉번째의 노즐블록(19)에 대응하는 것으로 된다.
이어서 스텝(57)에서는 AND신호의 첫 번째 어드레스 사이의 폭(W)을 첫 번째 어드레스와 마지막 어드레스의 사이의 CCD개수를 써서 구한다. 즉, 지금 제16도에서 첫 번째의 AND신호의 첫 번째 어드레스를 상기와 같이 D1, 마지막 어드레스를 L1으로하면, 이 AND신호의 폭(W)은 W=(L1-D1)이된다.
다음에 스텝(58)에서 AND신호의 폭(W)이 상기 기준폭(T)을 넘는가 어떤가 판별하여, 넘었으면 스텝(59)으로 나아가 불투명이물인 것으로 판단하고, 넘지 않았으면 스텝(60)으로 나아가 투명체인 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17도에서 첫 번째의 AND신호와 같이 (L1-D1)T이면 불투명이물, 두 번째의 AND신호와 같이 (L2-D2)T이면 투명체로 된다. 그리하여, 불투명이물인 경우에는 스텝(61)으로 나아가 밸브콘트롤러(33)의 제어에 의해 3개의 전자밸브(20)를 동시에 작동시킨다. 즉, 상기 X번째와 (X-1)번째와 (X+1)번째의 3개의 노블블록(19)에 각각 대응하는 3개의 전자밸브(20)를 열어서, 이들 3개의 노즐블록(19)으로부터 동시에 에어를 분사하여 불투명이물(10b)에 분사하고, 그 불투명이물(10b)을 제3도의 이물회수부(8b)에 낙하시킨다. 제16도의 예에서는 아홉번째의 CCD블록에서 불투명이물로 판단했으므로 아홉번째의 노즐블록(19)뿐 아니라 그 양측에 인접한 여덟 번째 및 열번째의 노즐블록(19)으로부터도 에어를 분사한다.
다음의 스텝(62)에서는 동일주사라인에 대하여 달리 AND신호가 있는가 없는가를 판별하여 있으면 스텝(63)에서 다음의 AND신호에 대하여 그 첫 번째 어드레스와 마지막 어드레스를 메모리로부터 읽어낸 후, 스텝(56)으로부터 스텝(62)까지의 처리를 반복하여 불투명이물(10b)인 경우에 상기와 마찬가지로 에어를 분사한다.
동일주사라인에 대하여 달리 AND신호가 없으면, 스텝(64)에서 레이저 주사정지의 지령이 있는가 없는가 판별하여, 정지지령이 없으면 스텝(52)으로 되돌아가서 다음의 주사에 대하여 마찬가지로 처리를 반복하고 정지지령이 있으면 종료한다.
뿐만 아니라, 이미지센서(10)의 출력을 2진수화한 후, 그 3번째 주사분 이상에 대하여 AND처리를 하면, 투명체와 불투명이물의 식별정밀도를 한층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미지센서(12)로서는 CCD등의 고체촬상소자를 가로로 일렬로 배열한 소위 1차원이미지센서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고체쵤상소자를 매트릭스형으로 배열한 2차원 이미지센서라도 좋다. 더욱이, 상기 예에서는, 불투명이물을 검출한 당해 CCD블록에 대응하는 X번째의 1개의 노즐블록과, 그 좌우양측에 인접하는(X-1)번째와 (X+1)번째의 3개의 노즐블록으로부터 동시에 에어를 분사하도록 했으나, 각 노즐블록의 노즐의 폭을 작게 하고, 다시 예를 들어 (X-2)번째와 (X+2)번째로부터도 동시에 에어를 분사한다든가, AND신호의 폭에 따라 에어를 분사하는 노즐블록의 개수를 바꾸는 등, 에어를 분사하는 노즐블록의 개수는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선에 의한 주사선상을 통과한 대상물이 불투명이물인 경우에는, 통과한 위치에 대응하는 1개의 노즐뿐 아니라, 그에 인접하는 노즐로부터도 에어를 분사하므로, 불투명이물이 낙하중에 동요한다든가 방향을 바꾸어도 그것을 정확히 판별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2항과 같이 노즐을 그 배열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하면, 불투명이물에 대한 에어분사의 지향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청구범위 제3항과 같이 표면에 요철을 가지는 컨베이어 벨트로 대상물을 운반하여, 그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낙하시키면, 그 낙하시의 컨베이어 벨트로부터의 분리성을 좋게 하여 낙하궤적을 거의 같게 할 수 잇고, 이미지센서에 의한 검출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Claims (3)
- 투명체중에 불투명이물이 혼재되어 있는 대상물을 운반수단으로 반송하고, 그 운반수단으로부터 분산되게 낙하시키면서 광선을 가로로 일직선으로 주사하여 그 반사광을 고체촬상소자 센서로 검출하여, 투명체인가 불투명이물인가를 각 고체촬상소자의 출력에 의해 판별하고, 불투명이물인 경우에는 그 낙하도중 에어를 분사하여 투명체와 구별하는 투명체중의 불투명 이물판별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노즐을 상기 고체촬상소자 N개(단, N은 정의 정수)에 대하여 1개의 비율로 대응시켜서 전기 운반수단으로부터의 낙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한 노즐 어레이와; 하나의 에어 공급원과; 각 노즐마다 만들어져 에어공급원으로부터의 에어를 각 노즐로부터 분사할 것인가 아닌가를 절환할 수 있는 밸브와; 고체촬상소자센서로부터의 출력을 검출하여 투명체인가 불투명이물인가를 고체촬상소자 N개마다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그 판별수단의 판별결과가 불투명이물로 나타난 N개의 고체촬상소자에 대응하는 1개의 노즐과 이에 인접하는 노즐로부터 에어를 분사하도록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벨브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체중의 불투명이물 판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전기 노즐을 그 배열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체중의 불투명이물 판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전기 운반수단이 상면에 다수의 요철을 형성한 컨베이어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체중의 불투명이물 판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10025373A KR0166592B1 (ko) | 1991-12-30 | 1991-12-30 | 투명체중의 불투명이물 판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10025373A KR0166592B1 (ko) | 1991-12-30 | 1991-12-30 | 투명체중의 불투명이물 판별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13716A KR930013716A (ko) | 1993-07-22 |
KR0166592B1 true KR0166592B1 (ko) | 1999-05-01 |
Family
ID=19326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10025373A KR0166592B1 (ko) | 1991-12-30 | 1991-12-30 | 투명체중의 불투명이물 판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6659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4281B1 (ko) * | 2007-11-14 | 2009-02-18 |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 신선 편이 채소의 이물질 검출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499924A (zh) * | 2018-12-19 | 2019-03-22 | 安徽捷泰智能科技有限公司 | 色选机用集成一体阀 |
-
1991
- 1991-12-30 KR KR1019910025373A patent/KR016659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4281B1 (ko) * | 2007-11-14 | 2009-02-18 |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 신선 편이 채소의 이물질 검출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13716A (ko) | 1993-07-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273166A (en) | Apparatus for sorting opaque foreign article from among transparent bodies | |
US4376951A (en) | Foreign matter detecting device | |
CA1268836A (en) | Apparatus for detecting defects on a bottle mouth with a screw thread | |
JP3722354B2 (ja) | 粒状物選別方法及び粒状物選別装置 | |
EP2159171B1 (en) | Vibrating feeder, carrying device and inspection device | |
JP2963325B2 (ja) | ガラス選別処理装置及び方法 | |
EP0274463B1 (fr) | Dispositif de tri optique du groisil, c'est-a-dire d'une masse d'elements de verrre de recuperation ayant subi un broyage et comportant des elements infusibles ou refractaires, et installation comprenant de tels dispositifs | |
WO1995004612A1 (en) | Plastic container sorting system and method | |
EP0227404B1 (en) | Sorting | |
US4344520A (en) | Monitoring flow of rod-like articles | |
EP0413522A2 (en) | Detection of opaque foreign articles from among transparent bodies | |
JPH05169037A (ja) | 透明体中の不透明異物分別装置 | |
KR920015388A (ko) | 원통형으로 구성된 펠릿의 표면결함에 대한 검사방법 및 그 장치 | |
KR0166592B1 (ko) | 투명체중의 불투명이물 판별장치 | |
CA2051053A1 (en) | High resolution parts handling system | |
US3758215A (en) | Aerodynamic means for raising and swirling loose objects in empty glass containers and optical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same | |
JP2002263585A (ja) | 粒状体選別装置及び粒状体処理装置 | |
AU654317B2 (en) | Apparatus for sorting opaque foreign article from among transparent bodies | |
JPH1190345A (ja) | 粒状体の検査装置 | |
JPH07121386B2 (ja) | 異物除去装置 | |
JPH06331556A (ja) | 透明体中の不透明異物分別装置 | |
JPH1157628A (ja) | 粒状体の検査装置及び検査システム | |
US6621573B2 (en) | Glass container inspection machine | |
JPH08105840A (ja) | 透明体中の異物除去装置 | |
JP2000197855A (ja) | 粒状物色彩選別方法及び粒状物色彩選別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10622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