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6306B1 - 보조제동등 - Google Patents

보조제동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6306B1
KR0166306B1 KR1019950059923A KR19950059923A KR0166306B1 KR 0166306 B1 KR0166306 B1 KR 0166306B1 KR 1019950059923 A KR1019950059923 A KR 1019950059923A KR 19950059923 A KR19950059923 A KR 19950059923A KR 0166306 B1 KR0166306 B1 KR 0166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vehicle
controller
bulk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9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7587A (ko
Inventor
이창구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59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6306B1/ko
Publication of KR970037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7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6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63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B60Q1/441Electric switches operable by the driver's ped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2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for reverse dr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보조제동등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 전방상단에 회전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벌크의 불빛을 투과시키는 적색플레이트와, 이 적색플레이트가 회동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부여하여 모터, 이 모터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이 컨트롤러에 후진기어의 감지신호를 전달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브레이크등 작동시에는 통상적인 보조제동등의 기능을 함과 동시에 차량 후진시에는 점등된 벌크의 불빛이 적색플레이트를 거치지 않고 직접 차량후방을 비추게는 보조후진등의 기능도 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보조제동등
제1도는 차량의 후부에 보조제동등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제동등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제동등의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20 : 적색플레이트
30 : 회전축 40 : 모터
50 : 벌크 A : 차량
본 발명은 보조제동등(Stop Lamp)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후진기어를 넣을 경우에도 벌크가 점등되도록 하고 하우징 전면에 적색풀레이트를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하여, 후진기어를 넣을 때 벌크의 불빛이 상기 적색플레이트를 거치지 않고 직접 차량 후방으로 비추게 하는 보조후진등을 기능이 부가된 보조제동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후면에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을 때 적색등이 켜져 후방에 위치된 차량에게 앞 차량의 정지신호를 전달하게 되는 제동등과 함께 후진기어를 넣을 흰색등이 켜져 후방을 비추는 후진등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제동등은 차체의 후방에 비교적 낮게 설치되어 있어 후방에 위치한 차량의 운전자로 하여금 앞 차량의 정지 신호를 빨리 식별하지 못하여 접촉사고를 유발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접촉사고를 줄이기 위하여 차량의 후방 윈드 실드글래스 중앙 하단에 제동등과 함께 점등되도록 보조제동등을 설치하여 후방에 위치한 차량의 운전자로 하여금 보다 정확하게 정지 신호의 식별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접촉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한 후진등은 차량의 밑부분에 위치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차량이 후진할 경우 후진등이 차량 밑부분만을 비추게 되어 운전자의 시선을 후방멀리는 볼 수 없었다. 즉, 운전자는 야간에 차량을 후진시킬 때 대부분이 고개를 돌리고 후방을 확인하면서 차량을 후진시키게 되므로, 후진등의 불빛만으로 후방의 시계성을 확보하는데는 많은 한계가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이 후진등이 차량의 밑부분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차량 후진할 경우 상기 후진등으로는 경고등으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였으므로 후진시 안전사고의 발생요인이 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브레이크 작동시에는 제동등과 함께 점등되어 보조제동등으로 사용되고, 후진시에는 램프에서 불빛이 차량 후방을 비추도록 하여 야간에 후방의 시계성을 향상시키도록 된 보조제동등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우징 전방상단에 회전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벌크의 불빛을 투과시키는 적색플레이트와, 이 적색플레이트가 회동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부여하여 모터, 이 모터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이 컨트롤러에 후진 기어의 감지신호를 전달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조제동등은 브레이크 작동시에는 보조제동등의 기능을 하고, 차량 후진시에는 점등된 벌크의 불빛이 접차량후방을 비추는 보조후진등의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A)의 후방 윈드실드글래스에 보조제동등의 하우징(10)이 설치되어 있고, 이 하우징(10) 전면은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 내부에는 회전축(30)을 매개로 적색플레이트(2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30)은 모터(40)에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램프하우징(10)의 후면에는 브레이크를 밟을 때 점등되는 벌크(5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벌크(50)는 브레이크를 밟거나 후진기어가 들어갈 때에는 항상 점등되도록 되어 있다.
즉, 적색플레이트(20)는 램프하우징(10) 상단부에 회전축(30)을 매개로 일측선단이 삽입고정되어 상기 모터(4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축(30)과 일체로 수직, 수평상태로 회동하면서 벌크(50)의 불빛을 투과시키거나 투과되지 않고 직접 하우징(10)을 거치면서 차량 후방을 비추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모터(40)는 센서의 감지에 신호를 받는 컨트롤러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는 후진기어가 들어감과 동시에 감지되도록 되어 있다.
즉 후진기어가 들어가면, 센서의 감지신호를 컨트롤러가 받아 모터(40)를 정회전시키고, 이 모터(40)에 회전력을 받은 회전축(30)은 수직상태의 적색플레이트(20)를 수평상태로 회동시키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후진기어가 빠질 경우는 컨트롤러는 모터(40)를 역회전하도록 제어하여 적색플레이트(20)가 원래상태로 회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보조제동등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직선 주행을 하다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게되면, 보조제동등은 하우징(10) 후방의 벌크(50)가 점등되고, 이 벌크(50)의 불빛은 전방의 적색플레이트(20)를 투과하면서 하우징(10) 외부로 적색빛을 발하게 되어 통상의 보조제동등 기능을 하게된다.
만약 차량을 후진시키기 위해 후진기어를 넣게 되면, 후진기어를 감지하도록 하는 센서로부터 감지량을 전달받은 컨트롤러가 모터(40)를 구동시키고, 상기 모터(40)가 회전축(30)을 회전시켜 벌크(50)를 가리고 있던 적색플레이트(20)를 수직상태에서 수평상태로 만들므로써 벌크(50)의 밝은 불빛이 그대로 차량 후방을 밝게 비추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보조제동등에 의하면, 브레이크등 작동시에는 보조제동등의 기능을 하고, 차량 후진시에는 점등된 벌크의 불빛이 적색플레이트를 거치지 않고 직접 차량 후방을 비추는 보조후진등의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야간에 차량이 후진할 경우는 보조후진등이 차량 후방을 밝게 비추는 보조후진등 기능을 하게되므로 운전자가 야간에 차량후진시에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하우징 전방상단에 회전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벌크의 불빛을 투과시키는 적색플레이트와, 이 적색플레이트가 회동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부여하여 모터, 이 모터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이 컨트롤러에 후진기어의 감지 신호를 전달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보조제동등.
KR1019950059923A 1995-12-28 1995-12-28 보조제동등 KR0166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9923A KR0166306B1 (ko) 1995-12-28 1995-12-28 보조제동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9923A KR0166306B1 (ko) 1995-12-28 1995-12-28 보조제동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7587A KR970037587A (ko) 1997-07-24
KR0166306B1 true KR0166306B1 (ko) 1998-12-15

Family

ID=19445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9923A KR0166306B1 (ko) 1995-12-28 1995-12-28 보조제동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630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7587A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71542A1 (en) Anti-collision safety system for vehicle
KR0166306B1 (ko) 보조제동등
KR102130627B1 (ko) 자동차의 야간주차 조명장치 및 그 조명방법
KR970065132A (ko) 자동차 전조등의 회동장치
KR100822548B1 (ko) 퍼들램프 기능을 겸비한 리어뷰램프를 구비한 사이드미러
KR100311953B1 (ko) 차량의주행방향보조조명등
KR200324257Y1 (ko) 측면램프를 갖는 자동차
KR19980024391U (ko) 자동차용 변속레버
KR0123538Y1 (ko) 브레이크 램프 밝기 조절장치
KR102585734B1 (ko) 차량용 사이드 미러
KR102275451B1 (ko) 자동차의 유턴 지시 시스템
KR0168532B1 (ko) 커브길 안개등 점등장치
KR200421686Y1 (ko) 후방등을 겸비한 측면 깜박이
CN214822898U (zh) 一种车辆制动警示装置及机动车辆
KR0165794B1 (ko) 자동차용 보조 조명장치
KR0113599Y1 (ko) 자동차의 스티러링휠의 작동시 안개등 연동장치
JPH10151988A (ja) 車両用ドアの後方警告灯
KR0130814Y1 (ko) 자동차의 후진경고장치
KR0173410B1 (ko) 후시경 각도 자동 조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950008720Y1 (ko) 자동차의 측방향용 보조라이트장치
KR970010344A (ko) 자동차의 좌우깜박이 자동 작동장치
JP3067647U (ja) 自動回転カ―ライト
JPH0519244Y2 (ko)
JPS6371445A (ja) 自動車の尾灯制御回路
KR980001390A (ko) 차량의 사각지대 자동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