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6191B1 - 엔진기동 시퀀스 공용회로 - Google Patents

엔진기동 시퀀스 공용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6191B1
KR0166191B1 KR1019950069235A KR19950069235A KR0166191B1 KR 0166191 B1 KR0166191 B1 KR 0166191B1 KR 1019950069235 A KR1019950069235 A KR 1019950069235A KR 19950069235 A KR19950069235 A KR 19950069235A KR 0166191 B1 KR0166191 B1 KR 0166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relay
engine
governo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9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4979A (ko
Inventor
한재천
남석렬
Original Assignee
석진철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진철,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석진철
Priority to KR1019950069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6191B1/ko
Publication of KR970044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4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6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61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4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 F02D41/26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using computer, e.g. microprocessor
    • F02D41/28Interface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 F02D41/06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for star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수동선택스위치(90)로부터 전원(P24)이 입력되면서 상용전원의 정전 및 복전의 상태를 감지하는 상용전원 감지회로(100)와, 이 상용전원 감지회로(100)와 병렬로 연결되면서 기계식 조속기에 대해 기동을 수행함과 더불어 기동의 반복을 수행하는 기계식 조속기 기동회로(110), 상기 자동·수동선택스위치(90)로부터 전원(P24)이 입력되면서 조속기의 속도상태를 검출하는 조속기 속도검출회로(120), 상기 자동·수동선택 스위치(90)로부터 전원(P24)이 입력되면서 조속기의 정지 제어를 수행하는 기계식 조속기 정지회로(130)를 구비하여 구성된 엔진 시동정지회로(140)와; 이 엔진 시동정지회로(140)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전기식 조속기에 대해 기동 및 정지를 수행하는 전기식 조속기 신호연계회로(150)와, 이 전기식 조속기 신호연계회로(150)로부터의 기동 및 정지신호를 전달하는 전기식 조속기 신호전달회로(160) 및, 상기 엔진 시동정지회로(140)의 조속기 속도 점검출회로(120)에 의해 제어되는 아이들 신호회로(170)로 구성된 보조 PCB회로(180)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엔진기동 시퀀스 공용회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기동 시퀀스 공용회로도.
제2도는 종래 기계식 조속기(governor)를 이용한 엔진기동 시퀀스회로도.
제3도의 (a)는 종래 전기식 조속기의 엔진 시동정지회로도.
제3도의 (b)는 종래 전기식 조속기의 신호 전달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로연결계전기 4 :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
5 : 정지신호 감지계전기 14 : 저속도 신호계전기
19 : 엔진운전신호용 계전기 27 : 상용전원 감지회로
90 : 자동·수동선택스위치 92 : 시작키스위치
94 : 기동전동기 100 : 상용전원 감지회로
110 : 기계식 조속기(governor) 기동 회로
120 : 조속기 속도검출회로 130 : 기계식 조속기 정지회로
140 : 엔진 시동정지회로 149 : 시작푸시버튼
150 : 전기식 조속기 신호연계회로 160 : 전기식 조속기 신호전달회로
170 : 아이들(idle) 신호회로 180 : 보조 PCB회로
27T : 상용전원 정전감지타이머 62T1 : 상용전원 복전감지타이머
4T1 :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의 동작시간 설정타이머
4T2 :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의 휴지시간 설정타이머
48T : 기동실패 누적시간 설정타이머
5T : 정지시간 설정타이머 5E : 수동버튼
5S : 엔진정지 솔레노이드 5X : 엔진정신 신호용 계전기
88X : 엔진기동신호용 계전기
본 발명은 엔진기동 시퀀스 공용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엔진발전기의 운전반에 있어서 엔진의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조절하는 기계식 조속기(governor)와 전기식 조속기에 대한 기동 및 정지회로를 공용화하여 집적화함으로써 운전과 점검 및 보수의 문제점이 개선됨과 더불어 운전반이 호환성을 갖도록 된 엔진기동 시퀀스 공용회로에 관한 것이다.
제2는 종래 기계식 조속기를 이용한 엔진기동 시퀀스회로도로, 먼저 상용전원(208V 내지 220V)이 입력되고, 엔진기동신호가 발생하는 경우에 자동·수동선택스위치(590)가 자동으로 선택되면, 상기 전원(P24)이 자동·수동선택스위치(590)의 자동단자와, 상용전원 감지계전기(27)의 b접점 및, 상용전원 정전감지타이머(27T)로 이루어진 회로로 인가되어 상기 상용전원 정전감지타이머(27T)가 동작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용전원 정전감지타이머(27T)의 a접점이 온상태로 됨으로써 상기 전원(P24)이 상기 상용전원 정전감지타이머(27T)의 a접점과, 회로연결계전기(1) 및, 저속도 신호계전기(14)의 b접점으로 이루어진 회로로 인가되어 상기 회로연결계전기(1)가 동작되게 된다.
이후, 상기 회로연결계전기(1)의 a접점이 온상태로 됨으로써 상기 전원이(P24)이 시작푸시버튼(549)과, 회로연결계전기(1)의 a접점, 기동실패 누적시간 설정타이머(48T) 및, 저속도 신호계전기(14)의 b접점으로 이루어진 회로로 인가되어 상기 기동실패 누적시간 설정타이머(48T)가 동작되게 된다. 상기 기동실패 누적시간 설정타이머(48T)는 소정 시간후 동작되어 상기 기동실패 누적시간 설정타이머(48T)의 b접점이 오프상태로 되게 된다.
다음에, 상기 전원이(P24)이 상기 기동실패 누적시간 설정타이머(48T)의 b접점과, 회로연결계전기(1)의 a접점,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의 동작시간 설정타이머(4T1)의 b접점 및,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로 이루어진 회로로 인가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전원(P24)이 상기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의 동작시간 설정타이머(4T1)의 b접점과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로 이루어진 회로와 병렬로 연결된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의 휴지시간 설정타이머(4T2)의 b접점과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의 동작시간 설정타이머(4T1)로 이루어진 회로로 인가되게 된다.
한편, 기동실패시 상기 전원(P24)이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의 b접점과, 회로연결계전기(1)의 a접점 및,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의 휴지시간 설정타이머(4T2)로 이루어진 회로로 인가되어 상기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의 휴지시간 설정타이머(4T2)가 동작되게 된다.
이후, 상기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가 동작되게 되어 상기 전원(P24)이 상기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의 a접점을 통해 키스위치, 예컨대 엔진시동스위치로 입력됨으로써 기동전동기(94)가 구동되어 엔진이 기동되게 된다.
이와 같이, 기계식 조속기의 엔진기동회로는 엔진이 기동되게 되면, 저속도 신호계전기(14)가 과잉시동(over cranking)이 발생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된다.
제3도의 (a)는 종래 전기식 조속기의 엔진 시동정지회로도이고, 제3도의 (b)는 종래 전기식 조속기의 신호전달회로도인 바, 이와 같은 전기식 조속기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엔진을 기동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엔진 운전중에도 전기식 조속기의 전원이 계속 인가되게 된다. 또한 연료공급밸브의 솔레노이드에도 전원이 계속 인가되게 해야 한다. 상기 연료공급밸브의 솔레노이드가 여자되지 않게 되면, 엔진이 정지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3도의 (b)에 나타낸 단자(6)와 단자(4) 및 단자(7)는 종래 엔진제어반의 단자이고, 상기 단자는 전원단자, 기동단자, 연료공급 및 시퀀스 전원단자를 나타낸다. 상기 단자가 종래 엔진제어반과 분리되어 부가 설치되는 발전기 제어반에 연결되게 되면, 기계식 조속기의 시퀀스로 설계된 운전반과 호환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기계식 조속기와 전기식 조속기에 대해 기동 및 정지 시퀀스를 공용화하기 위해 전기식 조속기를 적용한 운전반에 제3도에 나타낸 회로와 같이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와, 엔진기동신호용 계전기(19)를 여자하기 위한 계전기(88X), 엔진기동신호용 계전기(19)를 여자하기 위한 계전기(88X)의 동작시간 설정타이머(88T), 엔진기동신호용 계전기(19)를 여자하기 위한 계전기(88X)의 휴지시간 설정타이머(88TX), 기동실패 누적시간 설정타이머(48T), 저속도 신호계전기(14), 엔진운전신호용 계전기(19)의 설정타이머(19T) 및, 엔진운전신호용 계전기(19, 19X, 19X1)와 같은 타이머와 계전기를 이용하여 시퀀스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회로의 구성이 복잡하게 되게 된다.
따라서, 발전기 운전반, 예컨대 제어반에 대해 호환성이 없게 되어 이중 제작되게 되거나 관리가 상당히 어렵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엔진 발전기의 운전반에 있어서 엔진의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조절하는 기계식 조속기(governor)와 전기식 조속기에 대한 기동 및 정지회로를 공용화하여 집적화함으로써 운전과 점검 및 보수의 문제점이 개선됨과 더불어 운전반이 호환성을 갖도록 된 엔진기동 시퀀스 공용회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수동선택스위치로부터 전원이 입력되면서 상용전원의 정전 및 복전의 상태를 감지하는 상용전원 감지회로와, 이 상용전원 감지회로와 병렬로 연결되면서 기계식 조속기에 대해 기동을 수행함과 더불어 기동의 반복을 수행하는 기계식 조속기 기동회로, 상기 자동·수동선택스위치로부터 전원이 입력되면서 조속기의 속도상태를 검출하는 조속기 속도검출회로, 상기 자동·수동선택스위치로부터 전원이 입력되면서 조속기의 정지제어를 수행하는 기계식 조속기 정지회로를 구비하여 구성된 엔진 시동정지회로와; 이 엔진 시동정지회로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전기식 조속기에 대해 기동 및 정지를 수행하는 전기식 조속기 신호연계회로와, 이 전기식 조속기 신호연계회로로부터의 기동 및 정지신호를 전달하는 전기식 조속기 신호전달회로 및, 상기 엔진 시동정지회로의 조속기 속도점검출회로에 의해 제어되는 아이들 신호회로로 구성된 보조 PCB회로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엔진 발전기의 기계식 조속기와 전기식 조속기에 대해 기동 및 정지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용전원 감지회로는 상용전원의 입력 상태를 감지하는 상용전원 감지계전기와, 이 상용전원 감지계전기에 의해 제어되는 상용전원 정전감지타이머 및, 상기 상용전원 감지계전기와 저속도 신호계전기에 의해 제어되는 상용전원 복전감지타이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기계식 조속기 기동회로는 상기 상용전원 정전감지타이머에 의해 제어되는 회로연결계전기와, 이 회로연결계전기와 동작시간 설정타이머에 의해 제어되는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 상기 회로연결계전기와 휴지시간 설정타이머에 의해 제어되는 동작시간 설정타이머, 상기 회로연결계전기와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에 의해 제어되는 휴지시간 설정타이머 및, 상기 회로연결계전기에 의해 제어되는 기동실패 누적시간 설정타이머로 구성된 회로; 이 회로와 직렬로 연결된 저속도 신호계전기의 b접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기계식 조속기 정지회로는 상기 상용전원 복전감지타이머와 정지시간 설정타이머에 의해 제어되는 정지신호 감지계전기와, 수동운전시 선택되는 수동버튼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전기식 조속기 신호연계회로는 상기 엔진 시동정지회로로부터의 정지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엔진정지 솔레노이드 및 엔진정지 신호용 계전기와, 수동선택단자로부터 전원이 입력되는 시작푸시버튼, 시작키스위치의 단자로부터 전원이 입력되는 스위치, 이 스위치에 의해 여자되는 엔진기동신호용 계전기 및, 이 엔진기동신호용 계전기와 엔진정지신호용 계전기에 의해 여자되는 엔진운전신호용 계전기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전기식 조속기 신호전달회로는 단자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엔진정지신호용 계전기의 b접점과, 이 b접점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엔진정지신호용 계전기의 a접점, 이 a접점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엔진운전신호용 계전기의 a단자 및, 이 a접점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단자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아이들 신호회로는 단자와 단자간에 저속도 신호계전기의 시간설정타이머의 b접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엔진 시동정지회로는 기계식 조속기의 엔진정지시 연료조절밸브 솔레노이드의 통전시스템과 비통전시스템에 관계없이 연료를 차단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엔진발전기의 운전반에 있어서 엔진의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조절하는 기계식 조속기와 전기식 조속기에 대한 기동 및 정지회로를 공용화하여 집적화함으로써 운전과 점검 및 보수의 문제점이 개선됨과 더불어 운전반이 호환성을 갖게 된다.
이하,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기동 시퀀스 공용회로도로, 상기 회로는 자동·수동선택스위치(90)로부터 전원(P24)이 입력되면서 상용전원의 정전 및 복전의 상태를 감지하는 상용전원 감지회로(100)와, 이 상용전원 감지회로(100)와 병렬로 연결되면서 기계식 조속기에 대해 기동을 수행함과 더불어 기동의 반복을 수행하는 기계식 조속기 기동회로(110), 상기 자동·수동선택스위치(90)로부터 전원(P24)이 입력되면서 조속기의 속도상태를 검출하는 조속기 속도검출회로(120), 상기 자동·수동선택스위치(90)로부터 전원(P24)이 입력되면서 조속기의 정지제어를 수행하는 기계식 조속기 정지회로(130)를 구비하여 구성된 엔진 시동정지회로(140)와; 이 엔진 시동정지회로(140)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전기식 조속기에 대해 기동 및 정지를 수행하는 전기식 조속기 신호연계회로(150)와, 이 전기식 조속기 신호연계회로(150)로부터의 기동 및 정지신호를 전달하는 전기식 조속기 신호전달회로(160) 및, 상기 엔진 시동정지회로(140)의 조속기 속도점검출회로(120)에 의해 제어되는 아이들 신호회로(170)로 구성된 보조 PCB회로(18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엔진 발전기의 기계식 조속기와 전기식 조속기에 대해 기동 및 정지가 수행되게 된다.
또한, 상기 상용전원 감지회로(100)는 상용전원의 입력상태를 감지하는 상용전원 감지계전기(27)와, 이 상용전원 감지계전기(27)에 의해 제어되는 상용전원 정전감지타이머(27T) 및, 상기 상용전원 감지계전기(27)와 저속도 신호계전기(14)에 의해 제어되는 상용전원 복전감지타이머(62T1)로 구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기계식 조속기 기동회로(110)는 상기 상용전원 정전감지타이머(27T)에 의해 제어되는 회로연결계전기(1)와, 이 회로연결계전기(1)와 동작시간 설정타이머(4T1)에 의해 제어되는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 상기 회로연결계전기(1)와 휴지시간 설정타이머(4T2)에 의해 제어되는 동작시간 설정타이머(4T1), 상기 회로연결계전기(1)와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에 의해 제어되는 휴지시간 설정타이머(4T2) 및, 상기 회로연결계전기(1)에 의해 제어되는 기동실패 누적시간 설정타이머(48T)로 구성된 회로(109); 이 회로(109)와 직렬로 연결된 저속도 신호계전기(14)의 b접점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기계식 조속기 정지회로(130)는 상기 상용전원 복전감지타이머(62T1)와 정지시간 설정타이머(5T)에 의해 제어되는 정지신호 감지계전기(5)와, 수동운전시 선택되는 수동버튼(5E)을 구비하여 구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전기식 조속기 신호연계회로(150)는 상기 엔진시동정지회로(140)로부터의 정지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엔진정지 솔레노이드(5S) 및 엔진정지신호용 계전기(5X)와, 수동선택단자로부터 전원(P24)이 입력되는 시작푸시버튼(149), 시작키스위치(92)의 단자(C)로부터 전원(P24)이 입력되는 스위치(SSW1), 이 스위치(SSW1)에 의해 여자되는 엔진기동신호용 계전기(88X) 및, 이 엔진기동신호용 계전기(88X)와 엔진정지신호용 계전기(5X)에 의해 여자되는 엔진운전신호용 계전기(19)를 구비하여 구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전기식 조속기 신호전달회로(160)는 단자(6)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엔진정지신호용 계전기(5X)의 b접점과, 이 b접점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엔진정지신호용 계전기(19)의 a접점, 이 a접점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엔진운전신호용 계전기(88X)의 a단자 및, 이 a접점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단자(4)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아이들 신호회로(170)는 단자(20)와 단자(21)간에 저속도 신호계전기(14)의 시간설정타이머(14T)의 b접점이 설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엔진 시동정지회로(140)는 기계식 조속기의 엔진정지시 연료조절밸브 솔레노이드의 통전시스템과 비통전시스템에 관계없이 연료를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먼저, 기계식 조속기에 있어서 엔진기동신호가 발생하는 경우에 자동·수동선택스위치(90)가 자동으로 선택되면, 상기 전원(P24)이 자동·수동선택스위치(90)의 자동단자와, 상용전원 감지계전기(27)의 b접점 및, 상용전원 정전감지타이머(27T)로 이루어진 회로로 인가되어 상기 상용전원 정전감지타이머(27T)가 동작됨으로써 상용전원에 대해 정전감지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용전원 정전감지타이머(27T)의 a접점이 온상태로 됨으로써 상기 전원(P24)이 상기 상용전원 정전감지타이머(27T)의 a접점과, 회로연결계전기(1) 및, 저속도 신호계전기(14)의 b접점으로 이루어진 회로로 인가되어 상기 회로연결계전기(1)가 동작되게 된다.
이후, 상기 회로연결계전기(1)의 a접점이 온상태로 되어 상기 전원이(P24)이 회로연결계전기(1)의 a접점과,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의 동작시간 설정타이머(4T1)의 b접점,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 및, 저속도 신호계전기(14)의 b접점으로 이루어진 회로로 인가됨으로써 상기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가 동작되어 기동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의 동작에 의해 상기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의 a접점이 이 온상태로 됨으로써 상기 전원(P24)이 상기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의 a접점과, 시작키스위치(92)의 단자(C) 및, 기동전동기(94)로 이루어진 회로로 인가되게 되어 상기 기동신호가 전달되게 된다.
또한, 상기 엔진기동신호가 반복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전원(P24)이 회로연결계전기(1)의 a접점과,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의 휴지시간 설정타이머(4T2)의 b접점,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의 동작시간 설정타이머(4T1) 및, 저속도 신호계전기(14)로 이루어진 회로로 인가되어 상기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의 동작시간 설정타이머(4T1)가 동작됨으로써 동작시간이 설정되게 된다.
이후, 상기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의 동작시간 설정타이머(4T1)가 동작된 후 상기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가 오프상태로 되어 기동전동기(94)가 휴기상태로 되고,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의 휴지시간 설정타이머(4T2)가 온상태로되어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에 대해 휴지시간이 설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의 휴지시간 설정타이머(4T2)가 동작된 후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의 동작시간 설정타이머(4T1)는 오프상태로 되고,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는 온상태로 되어 처음 기동시와 같은 기동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엔진정지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전원(P24)이 상기 상용전원 감지계전기(27)의 a접점과, 상용전원 복전감지타이머(62T1) 및, 저속도 신호계전기(14)로 인가되어 상기 상용전원 복전감지타이머(62T1)가 동작됨으로써 상용전원에 대해 복전감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 전원(P24)이 상기 상용전원 복전감지타이머(62T1)의 a접점과, 엔진정지신호 전달계전기(5) 및, 정지시간 설정타이머(5T)의 b접점으로 이루어진 회로로 인가되어 상기 엔진정지신호 전달계전기(5)가 동작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P24)이 상기 엔진정지신호 전달계전기(5)의 a접점과, 보조 PCB회로(180)와 연결된 엔진정지 솔레노이드(5S)로 인가되어 상기 엔진정지 솔레노이드(5S)의 동작에 의해 엔진이 정지되게 된다.
한편, 기계식 조속기에 있어서 엔진기동신호가 발생하는 경우에 자동·수동선택스위치(90)가 수동으로 선택되면, 상기 전원(P24)이 자동·수동선택스위치(90)의 수동단자와, 저속도 신호계전기(14)의 b접점, 시작키스위치(92)의 단자(B), 시작키스위치(92)의 단자(C) 및, 기동전동기(94)로 인가되어 상기 기동전동기(94)가 기동되게 된다.
또한, 엔진정지신호가 발생하게 하는 경우, 수동버튼(5E)을 누르면, 상기 전원(P24)이 상기 수동버튼(5E)과, 엔진정지신호 전달계전기(5) 및, 정지시간 설정타이머(5T)의 b접점으로 이루어진 회로로 인가되어 상기 엔진정지신호 전달계전기(5)가 동작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P24)이 상기 엔진정지신호 전달계전기(5)의 a접점과, 보조 PCB회로(180)와 연결된 엔진정지 솔레노이드(5S)로 인가되어 상기 엔진정지 솔레노이드(5S)의 동작에 의해 엔진이 정지되게 된다.
한편, 전자식 조속기에 있어서 엔진기동신호가 발생하는 경우에 자동·수동선택스위치(90)가 자동으로 선택되면, 상기 전원(P24)이 자동·수동선택스위치(90)의 자동단자와, 상용전원 감지계전기(27)의 b접점 및, 상용전원 정전감지타이머(27T)로 이루어진 회로로 인가되어 상기 상용전원 정전감지타이머(27T)가 동작됨으로써 상용전원에 대해 정전감지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용전원 정전감지타이머(27T)의 a접점이 온상태로 됨으로써 상기 전원(P24)이 상기 상용전원 정전감지타이머(27T)의 a접점과, 회로연결계전기(1) 및, 저속도 신호계전기(14)의 b접점으로 이루어진 회로로 인가되어 상기 회로연결계전기(1)가 동작되게 된다.
이후, 상기 회로연결계전기(1)의 a접점이 온상태로 되어 상기 전원이(P24)이 회로연결계전기(1)의 a접점과,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의 동작시간 설정타이머(4T1)의 b접점,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 및, 저속도 신호계전기(14)의 b접점으로 이루어진 회로로 인가됨으로써 상기 상기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가 동작되어 기동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의 동작에 의해 상기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의 a접점이 이 온상태로 됨으로써 상기 전원(P24)이 상기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의 a접점과, 시작키스위치(92)의 단자(C) 및, 기동 전동기(94)로 인가되게 된다.
이 때, 스위치(SSW1)가 온상태로 선택되면, 상기 기동전동기(94)의 단자(C)로부터의 전원(P24)이 보조 PCB회로(180)의 스위치(SSW1)와, 전기식 조속기의 엔진기동신호용 계전기(88X)로 이루어진 회로로 인가되어 기동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기식 조속기의 엔진기동신호용 계전기(88X)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전기식 조속기의 엔진기동신호용 계전기(88X)의 a접점이 온상태로 되어 상기 전원(P24)이 상기 전기식 조속기의 엔진기동신호용 계전기(88X)의 a접점과, 엔진기동신호용 계전기(19) 및, 엔진정지신호용 계전기(5X)의 b접점으로 이루어진 회로로 인가됨으로써 상기 엔진기동신호용 계전기(19)가 동작되어 전기식 조속기 및 연료밸브 구동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이후, 상기 엔진기동신호용 계전기(19)의 동작에 의해 상기 엔진기동신호용 계전기(19)의 a접점이 온상태로 되어 상기 전원(P24)이 상기 엔진기동신호용 계전기(19)의 a접점과, 엔진기동신호용 계전기(19) 및, 엔진정지신호용 계전기(5X)의 b접점으로 인가되어 상기 엔진기동신호용 계전기(19)가 자기유지되게 된다.
또한, 상기 엔진기동신호가 반복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전원(P24)이 회로연결계전기(1)의 a접점과,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의 휴지시간 설정타이머(4T2)의 b접점,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의 동작시간 설정타이머(4T1) 및, 저속도 신호계전기(14)로 이루어진 회로로 인가되어 상기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의 동작시간 설정타이머(4T1)가 동작됨으로써 동작시간이 설정되게 된다.
이후, 상기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의 동작시간 설정타이머(4T1)가 동작된 후 상기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가 오프상태로 되어 기동전동기(94)가 휴기상태로 되고,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의 휴지시간 설정타이머(4T2)가 온상태로되어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에 대해 휴지시간이 설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의 휴지시간 설정타이머(4T2)가 동작된 후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의 동작시간 설정타이머(4T1)는 오프상태로 되고,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는 온상태로 되어 처음 기동시와 같은 기동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엔진정지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전원(P24)이 상기 상용전원 감지계전기(27)의 a접점과, 상용전원 복전감지타이머(62T1) 및, 저속도 신호계전기(14)로 인가되어 상기 상용전원 복전감지타이머(62T1)가 동작됨으로써 상용전원에 대해 복전감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 전원(P24)이 상기 상용전원 복전감지타이머(62T1)의 a접점과, 엔진정지신호 전달계전기(5) 및, 정지시간 설정타이머(5T)의 b접점으로 이루어진 회로로 인가되어 상기 엔진정지신호 전달계전기(5)가 동작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P24)이 상기 엔진정지신호 전달계전기(5)의 a접점과, 보조 PCB회로(180)의 전기식 조속기의 엔진정지신호용계전기(5X)로 인가되어 상기 전기식 조속기의 엔진정지신호용 계전기(5X)가 동작되게 된다.
다음에, 상기 전기식 조속기의 엔진정지신호용 계전기(5X)의 여자에 의해 전기식 조속기 신호전달회로(160)의 엔진정지신호용 계전기(5X)의 b접점이 오프상태로 되어 엔진정지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전기식 조속기와 연료 밸브로 구동신호가 차단되어 엔진이 정지되게 된다.
한편, 전기식 조속기에 있어서 엔진기동신호가 발생하는 경우에 자동·수동선택스위치(90)가 수동으로 선택되면, 상기 전원(P24)이 자동·수동선택스위치(90)의 수동단자와, 보조 PCB회로(180)의 시작푸시버튼(149), 스위치(SSW1) 및, 전기식 조속기의 엔진기동신호용 계전기(88X)로 인가되어 상기 엔진기동신호용·계전기(88X)가 동작되게 된다.
이후, 상기 엔진기동신호용 계전기(88X)의 동작에 의해 상기 엔진기동신호용 계전기(88X)의 a접점이 온상태로 되어 전원(P24)이 상기 엔진기동신호용 계전기(88X)의 a접점과, 전기식 조속기의 엔진운전신호용 계전기(19), 엔진정지신호용 계전기(5X)의 b접점으로 인가되어 상기 엔진운전신호용 계전기(19)가 동작됨으로써 전기식 조속기와 연료밸브가 구동되게 된다.
또한, 엔진정지신호가 발생하게 하는 경우, 수동버튼(5E)을 누르면, 상기 전원(P24)이 상기 수동버튼(5E)과, 엔진정지신호 전달계전기(5) 및, 정지시간 설정타이머(5T)의 b접점으로 이루어진 회로로 인가되어 상기 엔진정지신호 전달계전기(5)가 동작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P24)이 상기 엔진정지신호 전달계전기(5)의 a접점과, 보조 PCB회로(180)의 엔진정지신호용 계전기(5X)로 인가되어 상기 엔진정지신호용 계전기(5X)의 동작에 의해 전기식 조속기 신호전달회로(160)의 엔진정지신호용 계전기(5X)의 b접점이 오프상태로 됨으로써 전기식 조속기와 연료밸브로 구동신호가 차단되어 엔진이 정지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에 의해 기계식 조속기의 연료차단 시스템인 연료조절밸브 솔레노이드를 비통전하는 일반 시스템과 통전하는 시스템에 모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발전기의 운전반에 있어서 엔진의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조절하는 기계식 조속기와 전기식 조속기에 대한 기동 및 정지회로를 공용화하여 집적화함으로써 운전과 점검 및 보수의 문제점이 개선됨과 더불어 운전반이 호환성을 갖게 된다.

Claims (8)

  1. 자동·수동선택스위치(90)로부터 전원(P24)이 입력되면서 상용전원의 정전 및 복전의 상태를 감지하는 상용전원 감지회로(100)와, 이 상용전원 감지회로(100)와 병렬로 연결되면서 기계식 조속기에 대해 기동을 수행함과 더불어 기동의 반복을 수행하는 기계식 조속기 기동회로(110), 상기 자동·수동선택스위치(90)로부터 전원(P24)이 입력되면서 조속기의 속도상태를 검출하는 조속기 속도검출회로(120), 상기 자동·수동선택스위치(90)로부터 전원(P24)이 입력되면서 조속기의 정지제어를 수행하는 기계식 조속기 정지회로(130)를 구비하여 구성된 엔진 시동정지회로(140)와; 이 엔진 시동정지회로(140)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전기식 조속기에 대해 기동 및 정지를 수행하는 전기식 조속기 신호연계회로(150)와, 이 전기식 조속기 신호연계회로(150)로부터의 기동 및 정지신호를 전달하는 전기식 조속기 신호전달회로(160) 및, 상기 엔진 시동정지회로(140)의 조속기 속도점검출회로(120)에 의해 제어되는 아이들 신호회로(170)로 구성된 보조 PCB회로(18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엔진 발전기의 기계식 조속기와 전기식 조속기에 대해 기동 및 정지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기동 시퀀스 공용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전원 감지회로(100)는 상용전원의 입력상태를 감지하는 상용전원 감지계전기(27)와, 이 상용전원 감지계전기(27)에 의해 제어되는 상용전원 정전감지타이머(27T) 및, 상기 상용전원 감지계전기(27)와 저속도 신호계전기(14)에 의해 제어되는 상용전원 복전감지타이머(62T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기동 시퀀스 공동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식 조속기 기동회로(110)는 상기 상용전원 정전감지타이머(27T)에 의해 제어되는 회로연결계전기(1)와, 이 회로연결계전기(1)와 동작시간 설정타이머(4T1)에 의해 제어되는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 상기 회로연결계전기(1)와 휴지시간 설정타이머(4T2)에 의해 제어되는 동작시간 설정타이머(4T1), 상기 회로연결계전기(1)와 엔진기동 신호전달계전기(4)에 의해 제어되는 휴지시간 설정타이머(4T2) 및, 상기 회로연결계전기(1)에 의해 제어되는 기동실패 누적시간 설정타이머(48T)로 구성된 회로(109); 이 회로(109)와 직렬로 연결된 저속도 신호계전기(14)의 b접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기동 시퀀스 공동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식 조속기 정지회로(130)는 상기 상용전원 복전감지타이머(62T1)와 정지시간 설정타이머(5T)에 의해 제어되는 정지신호 감지계전기(5)와, 수동운전시 선택되는 수동버튼(5E)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기동 시퀀스 공동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식 조속기 신호연계회로(150)는 상기 엔진시동정지회로(140)로부터의 정지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엔진정지 솔레노이드(5S) 및 엔진정지신호용 계전기(5X)와, 수동선택단자로부터 전원(P24)이 입력되는 시작푸시버튼(149), 시작키 스위치(92)의 단자(C)로부터 전원(P24)이 입력되는 스위치(SSW1), 이 스위치(SSW1)에 의해 여자되는 엔진기동신호용 계전기(88X) 및, 이 엔진기동신호용 계전기(88X)와 엔진정지신호용 계전기(5X)에 의해 여자되는 엔진운전신호용 계전기(19)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기동 시퀀스 공동회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식 조속기 신호전달회로(160)는 단자(6)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엔진정지신호용 계전기(5X)의 b접점과, 이 b접점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엔진정지신호용 계전기(19)의 a접점, 이 a접점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엔진운전신호용 계전기(88X)의 a단자 및, 이 a접점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단자(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기동 시퀀스 공동회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 신호회로(170)는 단자(20)와 단자(21)간에 저속도 신호계전기(14)의 시간 설정타이머(14T)의 b접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기동 시퀀스 공동회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시동정지회로(140)는 기계식 조속기의 엔진정지시 연료조절밸브 솔레노이드의 통전 시스템과 비통전시스템에 관계없이 연료를 차단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기동 시퀀스 공동회로.
KR1019950069235A 1995-12-30 1995-12-30 엔진기동 시퀀스 공용회로 KR0166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9235A KR0166191B1 (ko) 1995-12-30 1995-12-30 엔진기동 시퀀스 공용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9235A KR0166191B1 (ko) 1995-12-30 1995-12-30 엔진기동 시퀀스 공용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4979A KR970044979A (ko) 1997-07-26
KR0166191B1 true KR0166191B1 (ko) 1999-01-15

Family

ID=19448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9235A KR0166191B1 (ko) 1995-12-30 1995-12-30 엔진기동 시퀀스 공용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619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4979A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4389B1 (ko) 엔진 자동시동 방법 및 장치
US4160916A (en) Engine stop-start electrical circuit
US4201517A (en) Automatic control selector for a compressor system
US6683436B2 (en) Self-starting motor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engine
JPH0610432B2 (ja) エンジン式車両における燃料遮断装置
KR0166191B1 (ko) 엔진기동 시퀀스 공용회로
JPH08336779A (ja) 電動工具用制御装置
US4298114A (en) Control circuit for a press
KR100958743B1 (ko) 비상 안전 기능을 갖는 차량 전력공급 제어장치
KR100345562B1 (ko) 2단 출발시 에어콘 순간 멈춤장치
JP2521265B2 (ja) ポンプ駆動装置
KR920008771Y1 (ko) 공기압축기의 운전제어회로
JP2521266B2 (ja) ポンプ駆動装置
JP2521264B2 (ja) ポンプ駆動装置
JP2001016897A (ja) シーケンサで制御される複数電動機の再起動回路
JPS58158355A (ja) ロケツトの点火制御装置
JPS5818558A (ja) エンジン自動停止始動装置
JPH073018Y2 (ja) エンジン始動回路のスイツチ接点保護装置
JPH056184Y2 (ko)
JPH0213732Y2 (ko)
KR0111963Y1 (ko) 펌프
KR100203500B1 (ko) 발전기의 비상정지회로
KR100812458B1 (ko) 차량의 시동 장치
JPH0333198Y2 (ko)
JPS61244868A (ja) 車両用イグニツシヨ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