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5698B1 - Ic tester - Google Patents

Ic tes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5698B1
KR0165698B1 KR1019940028971A KR19940028971A KR0165698B1 KR 0165698 B1 KR0165698 B1 KR 0165698B1 KR 1019940028971 A KR1019940028971 A KR 1019940028971A KR 19940028971 A KR19940028971 A KR 19940028971A KR 0165698 B1 KR0165698 B1 KR 0165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electrically connected
under test
t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89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50014899A (en
Inventor
도루 쓰노
쓰네히코 오노
도시히로 이시다
히데오 도이
겐지 우다
기요아키 고야마
마사히로 이시바시
시게루 누마자와
무네오 이시바치
다이스케 다니무라
아키토시 구마다
Original Assignee
미가와 에이지
요꼬가와 덴끼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93282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198493B2/en
Priority claimed from JP529626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213970A/en
Priority claimed from JP06103649A external-priority patent/JP3106454B2/en
Application filed by 미가와 에이지, 요꼬가와 덴끼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미가와 에이지
Publication of KR950014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8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5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5698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17Testing of digital circuits
    • G01R31/3172Optimisation aspects, e.g. using functional pin as test pin, pin multiplex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17Testing of digital circuits
    • G01R31/31712Input or output aspects
    • G01R31/31713Input or output interfaces for test, e.g. test pins, buff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AREA)

Abstract

[목적]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서, 여러개의 레벨신호를 출력하는 IC의 시험이 단시간에 고정밀도로 행하여 질 수 있는 IC 테스터를 실현하는데 있다.[Objective] It is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to realize an IC tester that can be tested with an IC that outputs multiple level signals with high accuracy in a short time.

[구성] 여러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IC 를 시험하는 IC 테스터에 있어서 피시험 IC에 시험신호를 입력하는 신호발생부와 피시험 IC의 출력계통에 접속되는 핀엘렉트로닉스부와, 이 핀엘렉트로닉스부로부터의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부와, 이 선택부의 출력신호를 샘플링하여 디지탈적으로 입력하는 디지타이져와 이 디지타이져의 데이터에 의거해서 측정처리를 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Configuration] In an IC tester for testing ICs that output various levels of signals, a signal generator for inputting a test signal to the IC under test, a pin electronics portion connected to the output system of the IC under test, and this pin electronics And a selector for selecting a signal from the input, a digitizer for sampling and digitally input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selector, and a data processor for performing measurement processing based on the data of the digitizer.

Description

IC 테스터IC tester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제1도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챠트.2 is a timing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FIG.

제3도는 본 발명의 IC 테스터의 테스트헤드 부분에 수용되는 전기회로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3 is a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circuit accommodated in a test head portion of the IC te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본 발명의 IC 테스터 본체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4 is a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IC tester mai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제4도의 핀 엘렉트로닉스부(30)에 사용되고 있는 감쇠기(31)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FIG. 5 is a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attenuator 31 used in the pin electronic portion 30 of FIG.

제6도는 제5도의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6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of FIG.

제7도는 교정동작을 설명하는 도면.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alibration operation.

제8도는 입력용량의 교정을 하는 장치의 기타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apparatus for calibrating an input capacitance.

제9도는 가변용량부의 다른 구체적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9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specific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variable capacitance portion.

제10도는 시험시에 있어서의 가변용량 다이오드(D1, D2)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s D1 and D2 during the test. FIG.

제11도는 가변용량 다이오드(D1, D2)의 역바이어스 전압-용량특성을 도시한 도면.11 shows reverse bias voltage-capacitance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s D1 and D2.

제12도는 가변용량 다이오드(D1, D2)의 입력용량과 입력전압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12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put capacitance and the input voltage of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s D1 and D2.

제13도는 역바이어스 전압이 상이할때의 입력용량과 입력전압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13 is a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n input capacitance and an input voltage when the reverse bias voltages are different.

제14도는 기타의 가변용량부를 도시한 구성도.1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other variable capacitance portion.

제15도는 입력용량의 교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치의 실시예르 도시한 구성도.FIG. 15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n apparatus that does not require calibration of input capacitance. FIG.

제16도는 제어부(15)의 제어신호와 전원부(14)가 출력하는 전압과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FIG. 16 is a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15 and a voltage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14. FIG.

제17도는 종래의 액정 단계조절구동용 IC 테스터의 한 예의 블록도.17 is a block diagram of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liquid crystal step control driving IC tester.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DUT 2 : 디지탈 드라이버1: DUT 2: Digital Driver

3 : 전원회로 4 : 측정회로3: power supply circuit 4: measuring circuit

5 : 제어부 6 : 신호발생부5 controller 6 signal generator

10 : DFC 11 : 파형발생부10: DFC 11: waveform generator

12 : 파형측정부 13 : 계측연산부12: waveform measurement unit 13: measurement operation unit

14 : 전원부 15 : 제어부14: power supply unit 15: control unit

20, 30 : 핀엘렉트로닉스부 21 : 신호변환부20, 30: pin electronics 21: signal converter

31, 35 : 감쇠기 32, 34, 42 : 버퍼앰프31, 35: attenuator 32, 34, 42: buffer amplifier

33, 501 : D/A변환부 40 : 스캐너, 멀티플렉서부33,501: D / A converter 40: scanner, multiplexer

41 : 아나로그 멀티플렉서 50 : 스캔 콘트롤부41: analog multiplexer 50: scan control unit

51 : 카운터부 52 : 카운터 콘트롤부51: counter unit 52: counter control unit

60 : 디지타이져(WFD부) 61 : A/D 변환부60: digitizer (WFD unit) 61: A / D conversion unit

62, 100 : 메모리 63 : 콘트롤부62, 100: memory 63: control unit

70 : 데이터 처리부(DSP부) 71 : 데이터 메모리70: data processing unit (DSP unit) 71: data memory

72 : DSP 73 : 코드메모리72: DSP 73: code memory

80 : 테스트시스템 콘트롤러(TSC) 81 : 모듈콘트롤러부80: test system controller 81: module controller

82 : 메인 CPU 90 : 퍼포먼스 보드82: main CPU 90: performance board

91 : 신호 변환부 310 : 가변용량 다이오드(D1, D2)91: signal conversion unit 310: variable capacitance diodes (D1, D2)

331 : D/A 변환기 332 : 오퍼레이셔널 엠플이파이어331: D / A converter 332: Operational Amplifier

333 : 반전엠프 502 : 비교기333: inverting amplifier 502: comparator

600 : 디지탈펑크션 모듈(DFC) C1∼C5 : 콘덴서600: Digital Function Module (DFC) C1 to C5: Capacitor

DUT : 액정단계조절 구동용 IC DNL : 미분직선성DUT: Liquid Crystal Phase Control Driving IC DNL: Differential Linearity

EA, EB : 진폭 INL : 적분직선성EA, EB: Amplitude INL: Integral linearity

L1, L2 : 코일 R1, R2 : 저항L1, L2: coil R1, R2: resistance

SW : 스위치SW: switch

본 발명은 여러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IC, 즉 액전단계조절 구동용 IC 를 테스트하는 IC 테스터에 관한 것이며, 상세히는 고속, 고정밀도의테스트를 할 수 있는 신규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 tester for testing ICs for outputting various levels of signals, i.e., an IC for driving the liquid crystal phase control,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vel apparatus capable of high-speed and high-precision testing.

제17도는 종래의 액정단계조절 구동용 IC를 테스트하는 IC 테스터의 한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Fig. 1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IC tester for testing a conventional liquid crystal phase control driving IC.

제17도에서, 1은 피시험 IC가 되는 액정단계조절 구동용 IC(이하 DUT라 한다)이며, 액정 패널을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함에 있어서, 수평구동에 사용하는 아나로그 스위치방식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DUT(1)는 예로서 160계통의 출력을 갖추고 있으며, 예컨데 3비트의 표시 데이터를 입력하여, 그 표시데이터의 비트의 8개 종류의 조합에 의거해서 액정을 구동하기 위한 8전압 레벨중으로부터 대응하는 한 레벨을 각 출력계통에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본 예에서는, 액정은 8단계 조절 표시되게 된다. 2는 디지탈 드라이버로서, 테스트용의 3비트의 표시 데이터나 데이터 입력제어 신호등을 DUT(1)에 공급한다. 3은 액정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회로이며, 본 예에서는 전압레벨이 다른 8계통의 전원전압을 공급한다. 4는 측정회로이며, 각 출력계통의 출력레벨을 개별적으로 병열로 판정하기 위하여, 각 출력계통에 각각 비교기가 설치되어 있다. 5는 제어부이며, 디지탈 드라이버(2) 및 측정회로(4)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하면서 각부를 제어한다.In Fig. 17,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liquid crystal phase control driving IC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UT) to be an IC under test, and shows an example of an analog switch system used for horizontal driving in driving an active matrix of a liquid crystal panel. . The DUT 1 has, for example, 160 system outputs, for example, inputs 3 bits of display data, and operates from 8 voltage levels for driving a liquid crystal based on a combination of eight types of bits of the display data. A corresponding level is selectively output to each output system. In this example, the liquid crystal is displayed with eight levels of adjustment. 2 is a digital driver, which supplies three bits of display data for test, a data input control signal, and the like to the DUT 1. 3 is a power supply circuit for driving the liquid crystal, and in this example, 8 power supply voltages having different voltage levels are supplied. 4 is a measurement circuit, and a comparator is provided in each output system, in order to determine the output level of each output system individually in parallel. 5 is a control part, and controls each part, receiving data between the digital driver 2 and the measurement circuit 4. As shown in FIG.

이와같은 구성에서는 DUT(1)은, 전원회로(3)로부터 가하여지고 있는 전원전압을 제어부(5)의 제어에 의거해서 디지탈 드라이버(2)로부터 입력되는 표시데이터에 따라서 선택하여 각 출력계통에 동시에 병열로 출력한다. 측정회로(4)는, 제어부(5)의 제어에 의거해서 DUT(1)의 출력전압이 디지탈 드라이버(2)로부터 출력되고 있는 표시데이터에 대응한 소정의레벨로 되고 있는가 여부를 측정하여 제어부(5)에 출력한다. 이와 같은 측정을 전 레벨에 대하여 행하고, 제어부(5)는 이들 측정결과에 의거해서 DUT(1)의 양ㆍ불량을 판별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구성에 의하면, DUT로부터 출력되는 전압레벨에 따라서 비교기의 기준레벨을 변화시키지 않으면 안되며, 회로구성 및 제어가 번잡하게 된다.In such a configuration, the DUT 1 selects the power supply voltage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circuit 3 in accordance with the display data input from the digital driver 2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 and simultaneously outputs the respective output systems. Output in parallel. The measurement circuit 4 measures whether the output voltage of the DUT 1 is at a predetermined level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data output from the digital driver 2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 and then controls the control unit ( Output to 5). Such measurement is performed for all levels, and the control unit 5 determines the quantity and defect of the DUT 1 based on these measurement results. However, according to such a conventional configuration, the reference level of the comparator must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voltage level output from the DUT, resulting in complicated circuit configuration and control.

그리고, 측정분해능은 비교기의 성능에 제한되므로, 단계조절수가 증가되면 높은 분해능은 얻기 어렵다.And, since the measurement resolution is limited to the performance of the comparator, high resolution is difficult to obtain when the number of step adjustments is increased.

또, DUT의 각 출력계통에 각각 개별적으로 측정회로를 접속하고 있으므로, 장치규모가 대형이 되어 코스트가 높아진다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easurement circuits are individually connected to the respective output systems of the DUT,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apparatus size becomes large and the cost increases.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며, 그 목적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여러 레벨신호를 출력하는 IC의 시험이 단시간에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는 IC 테스터를 실현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d its object is to realize an IC tester which can be tested with high accuracy in a short time by a test of an IC which outputs various level signals with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IC를 시험하는 IC 테스터에 있어서, 피시험 IC에 시험신호를 입력하는 신호발생부와, 상기 피시험 IC의 출력계통에 접속되는 핀엘렉트로닉스부와, 이 핀엘렉트로닉스부로부터의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부와, 이 선택부의 출력신호를 샘플링하여 디지탈적으로 입력하는 디지타이져와, 이 디지타이져의 데이터에 의거해서 측정처리를 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C tester for testing an IC that outputs various levels of signals, wherein the signal generator is configured to input a test signal to an IC under test, and is connected to an output system of the IC under test. A pin electronics unit, a selector for selecting a signal from the pin electronics unit, a digitizer for sampling and digitally inputting an output signal of the selector, and data for measurement processing based on the data of this digitizer A processing unit is provided.

피시험 IC는 신호발생기로부터 입력되는 시험신호에 의거하여 소정의 아나로그 출력신호를 각 출력계통에 출력한다. 이들 피시험 IC의 각 출력계통의 아나로그 출력신호는 핀엘렉트로닉스부와 선택부를 통해서 디지타이져에 선택적으로 입력된다. 디지타이져는 선택부의 아나로그 신호를 샘플링하여 디지탈적으로 입력한다. 데이터 처리부는 디지타이져에 의해서 입력된 측정데이터에 의거해서, 측정대상 IC의 양,불량 판정이나 각종의통계 연산등의 측정 처리를 한다.The IC under test outputs a predetermined analog output signal to each output system based on the test signal input from the signal generator. The analog output signal of each output system of the IC under test is selectively input to the digitizer through the pin electronics section and the selector section. The digitizer samples the analog signal of the selector and inputs it digitally. Based on the measurement data input by the digitizer, the data processing unit performs measurement processing such as the quantity of the measurement target IC, the defect determination, or various statistical calculations.

[실시예]EXAMPLE

이하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using the drawings.

제1도는 본 발명의한 실시예의 블록도이며, 제17도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있다. 제1도에서 6은 신호발생부이며, DUT(1)가 아나로그 스위치 방식의 경우에는 단계조정 구동용의 시험신호로서 제17도의 디지탈 드라이버(2)와 마찬가지로 가령 제2a도와 같은 3비트의 파형데이터나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DUT(1)가 아나로그 오퍼레이션 앰플이파이어 방식인 경우에는 제2b도와 같은 아나로그 데이터 및 도시하지 않은 샘플폴드제어신호 등을 출력한다. 40은 선택부인 스캐너(멀티플랙서부)이며, DUT(1)의 출력계통에 핀엘렉트로닉스부(30)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고, 어느 한계통의 제2c도와 같은 출력 VOUT를 선택적으로 디지타이져(60)로서 사용하는 A/D 변환기에 출력한다. 디지타이져(60)는 이 스캐너(40)의 출력신호를 샘플링하여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처리부(70)로서 사용하는 디지탈 시그널 프로세서로 송출한다. 데이터처리부(70)는 디지타이져(60)의 출력데이터에 의거하여 각종의 측정처리를 한다. 또 신호 발생기(6)는 스캐너(40), 디지타이져(60) 및 데이터처리부(70)를 동기시켜 작동시키기 위한 타이밍 신호도 공급하고 있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parts identical to those in FIG. In FIG. 1, 6 is a signal generator, and when the DUT 1 is an analog switch type, it is a test signal for step adjustment driving, similar to the digital driver 2 of FIG. 17, for example, a 3-bit waveform as shown in FIG. Data or control signals are output, and when the DUT 1 is an analog operation ampoule system, it outputs analog data as shown in FIG. 2B and a sample fold control signal (not shown). 40 is an optional scanner (multiplexer section), which is connected to the output system of the DUT 1 via the pin electronics unit 30, and selectively digitizes the output V OUT equal to the second c degree of any limit cylinder. Output to the A / D converter used as). The digitizer 60 samples the output signal of this scanner 40, converts it into a digital signal, and sends it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used as the data processing unit 70. The data processing unit 70 performs various measurement processing based on the output data of the digitizer 60. The signal generator 6 also supplies a timing signal for operating the scanner 40, the digitizer 60, and the data processor 70 in synchronization.

이와같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such a device will be described.

제2도는 앞서 설명과 같이 DUT(1)의 입력과출력의 관계를 한예를 도시하는 타이밍챠트이다. 제2a도는 DUT(1)가 아나로그 스위치 방식의 경우에 신호발생부(6)로부터 입력되는 3비트의 파형데이터(D0∼D2)를 나타내며, 제2b도는 DUT(1)가 아나로그 오퍼레이션 엠플이파이어 방식인 경우에 신호발생부(6)로부터 입력되는 아나로그 데이터를 나타내고, 제2c도는 이들 파형데이터(D0∼D2)나 아나로그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의 DUT(1)의 출력전압 VOUT의 변화상태이며, R, G, B의 3계통 출력을 순차로 스캐너(40)로 변환해서 측정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2도에서 64단계조절 출력을 1단계 조절 /㎲의 시간관계로 입력한 것으로하면, R, G, B의 3계통의 64단계조절 출력을 약 12.5㎲로 입력할 수가 있다.2 is a timing 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put and the output of the DUT 1 as described above. FIG. 2A shows the 3-bit waveform data D 0 to D 2 input from the signal generator 6 in the case where the DUT 1 is an analog switch system, and FIG. 2B shows that the DUT 1 performs analog operations. The analog data input from the signal generator 6 in the case of the muffler type is shown. FIG. 2C shows the output of the DUT 1 when these waveform data D 0 to D 2 or analog data are input. The example is a state in which the voltage V OUT is changed and the three system outputs of R, G, and B are sequentially converted into the scanner 40 and measured. In FIG. 2, when the 64-step adjustment output is input in a time relationship of 1-step adjustment / ㎲, the 64-step adjustment output of three systems of R, G, and B can be input as about 12.5 1.

그리고 스캐너(40)에 의한 DUT(1)의 출력계통의 선택모드로서는As the selection mode of the output system of the DUT 1 by the scanner 40,

① 제2c도에 도시하는 출력전압 VOUT를 일정한 값으로 유지한 상태로 순차 출력계통을 변환하여서 선택하는 방법① A method of converting and selecting the output system sequentially while maintaining the output voltage V OUT shown in FIG. 2C at a constant value.

② 각 출력계통 마다에 제2c도 와 같이 출력전압 VOUT를 0으로부터 최대 레벨까지 변화시키고서 다음 출력계통으로 변환하는 방법 등의 두가지가 있으며, 어느 선택 모드의 경우도 최종적으로는 각 출력 계통마다 단계조절수에 따르는 여러 측정데이터가 입력된다.② For each output system, there are two ways to change the output voltage V OUT from 0 to the maximum level and convert to the next output system as shown in Fig. 2c. Several measurement data are entered according to the step adjustment number.

디지타이져(60)는 이와같은 스캐너(40)의 선택모드와는 관계없이, 스캐너(4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전압 VOUT를 디지탈 신호를 변환하여 데이터처리부(70)로 송출한다. 그리고, 샘플링에 있어서는 각 출력계통의 각 출력전압 레벨에 대해서 각각 여러번 행하도록 한다.The digitizer 60 converts the output voltage V OUT output from the scanner 40 to the data processing unit 70 regardless of the selection mode of the scanner 40 as described above. In the sampling, each output voltage level of each output system is performed several times.

이 결과, 데이터 처리부(70)에는 각 출력계통마다에 각 단계조절 출력압력에 대한 여러 측정데이터가 입력되게 된다. 데이터 처리부(70)는 이와같이 하여 입력된 측정데이터에 의거해서 각종의 연산처리를 실행한다. 연산처리의 종류는 크게는 측정데이터 자체의 평균화나 히스토그램화 등의 통계적 처리에 관계하는 것과, 통계적 처리결과에 의한 측정데이터를 취하는 DUT(1)의 특성평가에 관계하는 것으로 나누어진다.As a result, the data processor 70 receives various measurement data for each step control output pressure for each output system. The data processing unit 70 executes various arithmetic processing based on the measured data input in this way. The types of arithmetic processing are largely related to statistical processing such as averaging or histogramming the measurement data itself, and to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UT 1 taking measurement data based on statistical processing results.

이들 특성평가 항목으로서는 각 출력계통의 단선의 유무, 각 출력계통간의 단계조절 출력전압의 분산, 적분 직선성(INL), 미분 직선성(DNL), γ보정량, 변환에 따르는 상승이나 하강특성등이 있다. DUT(1)의 양ㆍ불량 판정에 있어서는 예로서 데이터 처리부(70)에 사전에 각 특성 평가항목의 허용범위 데이터를 격납하여 두고, 측정결과가 허용범위 내인가 아닌가에 의해서 판정할 수가 있다.These characteristics evaluation items include the presence or absence of disconnection of each output system, the dispersion of the step-control output voltage between each output system, the integral linearity (INL), the differential linearity (DNL), the γ compensation amount, and the rising and falling characteristics resulting from the conversion. have. In the determination of the quality and defect of the DUT 1, for example, the data processing unit 70 stores the allowable range data of each characteristic evaluation item in advance, and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measurement result is within the allowable range.

이와같이 구성하므로서 종래에 비하여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고속으로 고정밀도의 각종 특성평가를 할 수 있다.In this way, high-precision various characteristic evaluation can be performed at high speed with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그리고 제1도에서는 측정계통이 1계통뿐인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같은 측정계통을 R, G, B의 3색 각각에 형성하므로서 컬러 표시용 구동 IC의 테스트를 효율적으로 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와같이 여러 계통의 측정계를 형성하므로서 R, G, B 상호간의 크로스토오크나 간섭상태 등도 측정 가능하다.In FIG. 1, an example in which only one measurement system is used has been described, but the same measurement system is formed in each of three colors of R, G, and B, so that the test of the color display driver IC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measure crosstalk or interference between R, G, and B by forming measurement systems of various systems.

또, DUT가 아나로그 오퍼레이션 방식에서는 단계조절의 분해능은 무단계로 되므로, 상기의 실시예에 의한 테스트장치의 효과가 유효하게 발휘된다. 즉 DUT의 출력전압은 입력되는 아나로그 화상신호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아나로그 화상신호의 주기에 비하여 충분히 짧은 샘플링 주기로 디지타이즈하므로서, 아나로그 화상신호와 각 출력계통의 출력전압과의 대응관계를 고속, 고분해능, 고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발생부로부터 DUT에 입력하는 아나로그 화상신호 파형을 연구하므로서, 직선성 테스트나 왜곡 테스트 등 종래의 비교기 방식으로는 불가능하였던 아나로그적인 각종의 측정도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resolution of the step adjustment becomes stepless in the analog operation method of the DUT, the effect of the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is effectively exhibited. That is, the output voltage of the DUT continuously changes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analog picture signal. Therefore, by digitizing with a sampling period sufficiently shorter than the period of the analog image signal,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analog image signal and the output voltage of each output system can be measured at high speed, high resolution, and high accuracy. By studying the analog image signal waveforms input from the signal generator to the DUT, various analog measurements, which were not possible with conventional comparator methods such as linearity test and distortion test, can be performed.

다음에 IC 테스터에 구체적 구성을 이하에 설명한다.Next,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IC tester will be described below.

제3도는 본 발명의 IC 테스터의 테스트헤드 부분에 수용되는 전기회로의구체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circuit accommodated in the test head portion of the IC te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본 발명의 IC 테스터 본체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IC tester mai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에서 20은 핀엘렉트로닉스부이며, 신호발생부인 디지탈 펑크션모듈(이하 DFC라고 약함과 동시에, 도시는 생략)등과 DUT(1)와의 인터페이스가 되며, 드라이버, 비교기 등을 가지고 있다.In Fig. 3, 20 is a pin electronics unit, which is a digital function module (hereinafter, abbreviated as DFC and not shown), which is a signal generator, and interfaces with the DUT 1, and has a driver and a comparator.

핀엘렉트로닉스부(30)은, DUT(1)의 출력핀과 선택부인 멀티플렉서부(40)와의 인터페이스이다. 핀엘렉트로닉스부(30)는 DUT(1)를 접속하거나 하지 않는 릴레이(RL1, RL2)을 통해서, 각각 감쇠기(31), 부하저항(R)에 접속된다. 감쇠기(31)는 버퍼엠프(32)를 통해서, 멀리플렉서부(40)에 접속된다.The pin electronics section 30 is an interface between the output pin of the DUT 1 and the multiplexer section 40 serving as the selection section. The pin electronics unit 30 is connected to the attenuator 31 and the load resistor R, respectively, via relays RL1 and RL2 that do not connect the DUT 1. The attenuator 31 is connected to the multiplexer section 40 through the buffer amplifier 32.

부하저항(R)은 핀엘렉트로닉스부(20)의 공통의 DC측정부(도시생략)에 접속된다.The load resistor R is connected to a common DC measuring unit (not shown) of the pin electronics unit 20.

멀티플렉서(40)는 아나로그ㆍ멀티플렉서(41)와 버퍼앰프(42)로 구성되어 있다.The multiplexer 40 is composed of an analog multiplexer 41 and a buffer amplifier 42.

50은 스캔ㆍ콘트롤부이며, 아나로그ㆍ멀티플렉서(41)의 제어를 한다. 스캔ㆍ콘트롤부(50)는 카운터부(51)와 카운터 콘트롤부(52)로 구성되며, DFC가 출력하는 디지탈 패턴에 동기한 카운터ㆍ클록에 의해서 지정한 핀의 신호만을 순차로, 핀 번호의 상승순, 하강순에서 임의로 아나로그ㆍ멀티플렉서(41)에 의하여 신호를 선택한다.Reference numeral 50 denotes a scan controller, which controls the analog multiplexer 41. The scan / control section 50 is composed of a counter section 51 and a counter control section 52. Only the signals of the pins designated by the counter clock synchronized with the digital pattern output by the DFC are sequentially raised. The signal is selected by the analog multiplexer 41 arbitrarily in descending order.

제4도에서 디지타이져(60)는 웨이브폼 디지타이져(이하 WFD부라고 약한다)가 사용되고 있으며, 제3도의 아나로그ㆍ멀티플렉서(41)에 의해서 선택된 출력신호를 버퍼앰프(42)를 통해서 샘플링하여 디지탈적으로 입력한다. WFD부(60)는 A/D변환부(61)와 메모리(62)와 콘트롤부(63)로 구성된다. 그리고 콘트롤부(63)에 의하여 제어된 A/D변환부(61)에 의해서 아나로그ㆍ멀티플렉서(41)에 의거 선택된 출력계통의 출력신호를 디지탈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메모리(62)에 격납한다. 또 디지탈 패턴과 동기가 가능하며, DUT(1)가 신호를 출력하고나서의 지정시간후에 전압측정을 실현하고 있다. 그리고 필요한 부분만을 메모리(62)에 격납하고 있으므로, DUT(1)의 출력핀이 여러개의 핀(200핀 이상등)이라도, 대용량의 메모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In FIG. 4, a waveform digitiz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WFD section) is used as the digitizer 60. The output signal selected by the analog / multiplexer 41 of FIG. 3 is sampled through the buffer amplifier 42. To enter. The WFD unit 60 is composed of an A / D conversion unit 61, a memory 62, and a controller 63. The A / D converter 61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63 converts the output signal of the output system selected by the analog multiplexer 41 into digital data and stores it in the memory 62. . Synchronization with a digital pattern is possible, and voltage measurement is realized after a designated time after the DUT 1 outputs a signal. Since only the necessary portion is stored in the memory 62, even if the output pin of the DUT 1 is several pins (200 pins or more), a large capacity memory is not required.

데이터 처리부인 DSP부(70)는 메모리(62)에 격납되는 데이터에 의거해서 측정처리를 한다. DSP부(70)는 데이터메모리(71)와 DSP(72)와 코드메모리(73)로 구성된다.The DSP unit 70, which is a data processing unit, performs measurement processing based on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62. The DSP unit 70 is composed of a data memory 71, a DSP 72, and a code memory 73.

80은 테스트시스템 콘트롤러(이하 TSC라고 약함)이며, 모듈콘트롤러부(81)와 메인 CPU(82)로 구성된다.80 is a test system controller (hereinafter, abbreviated as TSC) and is composed of a module controller unit 81 and a main CPU 82.

모듈콘트롤러부(81)는 WFD부(60)와 DSP부(70)와의 제어를 행한다.The module controller unit 81 controls the WFD unit 60 and the DSP unit 70.

메인 CPU(82)는 장치 전체의 제어를 행한다.The main CPU 82 controls the entire apparatus.

이와같은 장치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such a device is described below.

DFC로부터 핀엘렉트로닉스부(20)의 드라이버를 통해서, 제2a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은 디지탈 패턴이 DUT(1)의 각 입력핀에 입력된다. DUT(1)는 디지탈 패턴에 의거해서 각 출력핀으로부터 제2c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은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출력신호는 핀엘렉트로닉스부(30)를 통해서, 멀티플렉서브(40)에 입력된다. 멀티플렉서부(40)는 스캔ㆍ콘트롤부(50)에 의하여 제어된 순으로 DUT(1)의 출력계통을 선택한다. 그리고 WFD부(60)는 멀티플렉서부(40)로부터의 신호를 A/D변환부(61)에 의해서 변환하고, 메모리(62)에 디지탈의 데이터로서 기어시킨다. 메모리(62)로부터 다이내믹메모리 엑세스콘트롤러(도시생략)를 통해서 메모리(71)로 데이터가 옮겨진다. DSP(72)는 데이터 메모리(71)로부터 데이터를 꺼내어, 코드메모리(73)에 지정된 측정처리를 한다. 측정처리는 예로서 데이터를 큰 순서, 작은 순서로 분류한다. 그리고 메인 CPU(82)가 모듈ㆍ콘트롤러(81)를 통해서 DSP부(70)가 처리한 결과를 받아, 처리결과에 의거해서 DUT(1)가 출력한 신호가 규정 전압내에 들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Through the driver of the pin electronics unit 20 from the DFC, a digital pattern as shown in FIG. 2A is input to each input pin of the DUT 1. The DUT 1 outputs a signal as shown in FIG. 2C from each output pin based on the digital pattern. The output signal is input to the multiplexer 40 through the pin electronic unit 30. The multiplexer section 40 selects the output system of the DUT 1 in the order controlled by the scan / control section 50. The WFD unit 60 converts the signal from the multiplexer unit 40 by the A / D conversion unit 61, and causes the memory 62 to gear as digital data. Data is transferred from the memory 62 to the memory 71 through a dynamic memory access controller (not shown). The DSP 72 extracts data from the data memory 71 and performs measurement processing designated by the code memory 73. The measurement process, for example, classifies the data into large order and small order. The main CPU 82 receives the result processed by the DSP unit 70 through the module controller 81, and determines whether the signal output from the DUT 1 is within the specified voltage based on the processing result. .

이와같이 신호발생기는 디지탈 신호만을 출력하는 DFC도 혹은 아나로그 신호만을 출력하는 장치도 상관없다.In this way, the signal generator may be a DFC outputting only a digital signal or a device outputting only an analog signal.

그리고, 이상의 장치에서의 입력용량 교정에 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Then, the input capacitance calibration in the above apparatus will be described below.

제5도는 제4도의 핀엘렉트로닉스부(30)에 사용되고 있는 감쇠기(31)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attenuator 31 used in the pin electronic portion 30 of FIG.

도면에서 10은 DFC로서 타이밍 제네레이터와 패턴제네레이터와 패턴 메모리와 페일(fail)메모리로 구서오디며, 각종 디지탈 신호를 출력한다. 90은 교정시에 장착되는 퍼포먼스 보드이며, 전기적으로 DFC(10와 핀엘렉트로닉스부(30)에 접속된다. 시험시에는 퍼포먼스 보드(90)를 분리하고, DUT를 접속하는 퍼포먼스 보드를 바꾼다. 100은 메모리이며, TSC(80)가 최종적으로 조정을 한 교정치를 격납한다.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10 denotes a DFC as a timing generator, a pattern generator, a pattern memory, and a fail memory, and outputs various digital signals. 90 is a performance board mounted during calibration,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FC 10 and the pin electronics unit 30. During the test, the performance board 90 is disconnected and the performance board connecting the DUT is replaced. Is a memory, and stores the calibration value finally adjusted by the TSC 80.

퍼포먼스보드(90)에서, 91은 신호변환부이며, DFC(10)로부터의 디지탈 신호를 상승특성이 양호한 큰 진폭의 신호로 변환하여 각 핀엘렉트로닉스부(30)에 부여한다.In the performance board 90, 91 is a signal conversion section, and the digital signal from the DFC 10 is converted into a large amplitude signal having a good synergistic characteristic and applied to each pin electronic section 30.

감쇠기(31)에서 C1은 콘덴서이며, 저항(R1)에 병열로 접속된다. 310은 가변용량부인 가변용량 다이오드이며, 저항(R1)의 다른 일단과 접지전위 전위점과의 사이에 설치된다.In the attenuator 31, C1 is a condenser and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resistor R1. 310 is a variable capacitance diode which is a variable capacitance portion and is provid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resistor R1 and the ground potential potential point.

그리고 버퍼앰프(32)는 일단이 저항(R1)에 접속되고 저항(R1)으로부터의 파형을 출력한다. 33은 D/A 변환부이며, TSC(80)에 의하여 가변용량 다이오드(310)에 부여하는 역바이어스전압을 출력한다.One end of the buffer amplifier 32 is connected to the resistor R1 and outputs a waveform from the resistor R1. 33 denotes a D / A converter, which outputs a reverse bias voltage applied to the variable capacitor diode 310 by the TSC 80.

여기에서 교정을 하는 신호발생부는 DFC(10)와 신호변환부(21)로 구성되며, 용량 조정수단을 WFD부(60)와 DSP부(70)와 TSC(80)와 D/A변환부(33)이다.Here, the signal generator to be calibrated is composed of a DFC (10) and a signal converter 21, the capacitance adjusting means is WFD 60, DSP 70, TSC 80 and D / A converter ( 33).

이와같은 장치의 교정의 동작을 이하에서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calibration of such a device is described below.

제6도는 제5도의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6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of FIG.

제7도는 교정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alibration.

제7a도는 가변용량 다이오드(310)의 보상과소인 경우, 제7b도는 가변용량 다이오드(310)의 보상과대의 경우이다.FIG. 7A is a case of compensating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 310, and FIG. 7B is a case of compensating excessive compensation of the variable capacitor diode 310. FIG.

TSC(80)는 멀티플렉서부(40)에 CH1의 핀엘렉트로닉스부(30)를 선택시킨다. 그리고 CH1의 핀엘렉트로닉스부(30)의 D/A변환부(33)에 최소의 역바이어스전압을 출력시킨다. 또 DFC(10)에 디지탈신호를 출력시켜서 신호변환부(91)로부터 핀엘렉트로닉스부(30)에 신호를 부여한다. 그리고 WFD부(60)는 핀엘렉트로닉스부(30), 멀티플렉서부(40)를 통한 신호를 측정한다. DSP부(70)는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A시점에서의 진폭(EA)과 B시점에서의 진폭(EB)로부터 δ(=EA-EB)를 연산한다.The TSC 80 selects the multiplexer 40 to select the pin electronics 30 of CH1. The minimum reverse bias voltage is output to the D / A converter 33 of the pin electronics unit 30 of CH1. In addition, a digital signal is output to the DFC 10 to provide a signal from the signal converter 91 to the pin electronics 30. The WFD unit 60 measures signals through the pin electronic unit 30 and the multiplexer unit 40. The DSP unit 70 calculates δ (= EA-EB) from the amplitude EA at time A and the amplitude EB at time B as shown in FIG.

그리고 EAEB일때, 즉 제7b도일때, 보상이 과대하므로 가변용량 다이오드(310)의 용량을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가변용량 다이오드(310)에 부여하는 역바이어스 전압을 작게하면 용량이 커진다. 그러나 D/A변환부(33)는 최소의 전압치를 가변용량 다이오드(310)에 부여하고 있으므로 이 이상용량을 크게할 수는 없다. 따라서 오퍼레이터에게 교정이 실패임을 통지한다.In the case of EAEB, that is, in FIG. 7B, the compensation is excessive, so the capacitance of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 310 must be increased. To this end, the capacitance is increased when the reverse bias voltage applied to the variable capacitor diode 310 is reduced. However, since the D / A converter 33 gives the minimum voltage value to the variable capacitor diode 310, this abnormal capacitance cannot be increased. Thus notifying the operator that the calibration has failed.

EAEB일때에는 D/A변환부(33)에 최대의 역바이어스 전압을 가변용량 다이오드(310)에 출력한다. 그리고 EAEB일때 즉, 제7a도일때 보상이 과소하므로 가변용량 다이오드(310)의 용량을 작게하지 않으면 안된다.In the case of EAEB, the maximum reverse bias voltage is output to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 310 by the D / A converter 33. In the case of EAEB, that is, the compensation is too small in FIG. 7A, the capacitance of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 310 must be reduced.

그러기 위해서는 상기와 역으로 가변용량 다이오드(310)에 부여하는 역바이어스전압을 크게 하면 용량이 작아진다.To this end, if the reverse bias voltage applied to the variable capacitor diode 310 is increased inversely to the above, the capacitance becomes small.

그러나 D/A변환부(33)는 최대의전압치를 가변용량 다이오드(310)에 부여하고 있으므로 이 이상 용량을 작게할 수는 없다.However, since the D / A converter 33 gives the maximum voltage value to the variable capacitor diode 310, it is impossible to reduce the capacitance.

따라서 오퍼레이터에게 교정이 실패임을 통지한다.Thus notifying the operator that the calibration has failed.

EAEB일때는 다음 작동을 한다.In EAEB, the following operations are performed.

TSC(80)는 D/A변환부(33)가 출력가능한 역바이어스 전압의 중간의 전압을 출력시킨다.The TSC 80 outputs a voltage in the middle of the reverse bias voltage that the D / A converter 33 can output.

그리고 핀엘렉트로닉스부(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멀티플렉서부(40)를 통해서 WFD부(60)에서 측정하고, DSP부(70)에 의해서 δ를 구하여 δ≤±1(계산기의 2진수의 값)인가여부를 확인한다. δ≤±1인때에는 TSC(80)는 중간의 전압치를 교정치로서 기억한다. 그리고 δ≤±1 이외일때에는 TSC(80)는 A시점과 B시점의 진폭이 제7a도인가 제7b도인가를 구한다.Then, the signal output from the pin electronics unit 30 is measured by the WFD unit 60 through the multiplexer unit 40, δ is obtained by the DSP unit 70, and δ ≦ ± 1 (binary value of the calculator). Check whether it is approved. When? ≤ ± 1, the TSC 80 stores the intermediate voltage value as a correction value. When the time is other than δ ≦ ± 1, the TSC 80 determines whether the amplitudes of the time A and the time B are 7a or 7b.

EAEB 일때, 즉, 제7b도일때 보상이 과대하므로 가변용량 다이오드(310)의 용량을 크게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D/A변환부(33)의 전압치를 작게하면 된다.In the case of EAEB, that is, in FIG. 7B, the compensation is excessive, so the capacitance of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 310 must be increased. Therefore, the voltage value of the D / A converter 33 may be reduced.

EAEB 일때, 즉 제7a도일때, 보상이 과소하므로 가변용량 다이오드(310)의 용량을 작게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D/A 변환부(33)의 전압치를 크게하면 된다.In the case of EAEB, that is, in FIG. 7A, since the compensation is too small, the capacitance of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 310 must be reduced. Therefore, the voltage value of the D / A converter 33 may be increased.

상기에 의해서 TSC(80)는 EAEB일때는 D/A변환부(33)가 출력할 수 있는 전압의 중간치와 최소 전압치와의 중간의 전압치를 출력시킨다. EAEB일때에는 D/A변환부(33)가 출력할 수 있는 전압의 중간치와 최대 전압치와의 중간의 전압치를 출력시킨다.By the above, the TSC 80 outputs the voltage value between the middle voltage of the D / A converter 33 and the minimum voltage value when the EAEB is used. In the case of EAEB, the D / A converter 33 outputs the voltage value between the middle voltage and the maximum voltage value that can be output.

그리고 각각 핀엘렉트로닉스부(30)로부터 출력되는신호를 멀티플렉서부(40)를 통해서 WFD부(60)로 측정하고 DSP부(70)에 의하여 δ를 구하여 δ≤±1인가의 여부를 확인한다. δ≤±1인 때에는, TSC(80)는 전압치를 교정치로서 기억한다. δ≤±1이외인 때에는, TSC(80)는 A시점과 B시점과의 진폭이 제7a도인가 제7b도인가를 다시 구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하여, 바이너리 서치를 행한다.Then, the signals output from the pin electronics unit 30 are measured by the WFD unit 60 through the multiplexer unit 40, and δ is obtained by the DSP unit 70 to check whether δ ≦ ± 1. When? ≤ ± 1, the TSC 80 stores the voltage value as a correction value. When?? +1, the TSC 80 calculates again whether the amplitude of the A time point and the B time point is in FIG. 7a or 7b. Then, binary search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이상의 바이너리 서치를 δ≤±1까지 행한다. TSC(80)는 가변용량 다이오드(310)에 부여하는 역바이어스 전압치를 기억한다The above binary search is performed up to? The TSC 80 stores the reverse bias voltage value applied to the variable capacitor diode 310.

그리고 TSC(80)는 CH2의 핀엘렉트로닉스부(30)를 멀티 플렉서부(40)에 의하여 선택하고, 최소전압과 최대전압을 가변용량 다이오드(310)에 부여하여, 교정실패로 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바이너리 서치에 의하여 가변용량 다이오드(310)에 부여하는 역바이어스 전압치를 구하여 기억시킨다.The TSC 80 selects the pin electronics 30 of CH 2 by the multiplexer 40, and applies a minimum voltage and a maximum voltage to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 310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 calibration failure occurs. do. The reverse bias voltage value applied to the variable capacitor diode 310 is obtained and stored by the binary search.

이와같은 동작을 256CH의 핀엘렉트로닉스부(30)까지 반복하고, 모든 핀엘렉트로닉스부(30)에 대한 교정이 종료되면, 메모리(100)에 모든 핀엘렉트로닉스부(30)에 대한 교정치, 즉 역바이어스 전압치를 격납한다.This operation is repeated to the pin electronics unit 30 of 256CH, and when the calibration for all the pin electronics units 30 is completed, the calibration values for all the pin electronics units 30 in the memory 100, In other words, the reverse bias voltage value is stored.

이와같이 가변용량 다이오드(310)의 용량을 조정하므로서 핀마다 분산이 없고 입력용량의 교정이 자동적으로 행하여지므로, 고속으로 고정밀도의 시험을 할 수 있다.By adjusting the capacitance of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 310 in this way, there is no dispersion for each pin and calibration of the input capacitance is performed automatically, so that a high precision test can be performed at high speed.

이상과 같이 입력용량의 교정을 하는 장치의 기타 실시예를 이하에서 설명한다.Other embodiments of the apparatus for calibrating the input capacitanc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제8도는 입력용량의 교정을 하는 장치의 기타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제5도와 동일한 것은 동일부호를 붙인다.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apparatus for calibrating an input capacitanc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in FIG.

도면에서 501은 D/A변환부이며, 소망하는 2종류의 전압을 출력한다. 502는 비교기이며, 멀티플렉서부(40)가 선택한 핀엘렉트로닉스부(30)가 출력하는 신호와 D/A변환부(501)가 출력하는 전압과 비교하여 비교결과를 출력한다. 600은 DFC이며, 소망하는 타이밍으로 비교기(502)의 비교결과를 기억한다.In the figure, 501 is a D / A conversion section, and outputs two kinds of desired voltages. 502 is a comparator, and compares the signal output from the pin electronics 30 selected by the multiplexer 40 with the voltage output from the D / A converter 501 to output a comparison result. 600 is a DFC and stores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comparator 502 at a desired timing.

여기에서 용량조정수단은 D/A변환부(33, 501)와 비교기(502)와 DFC(600)와 TSC(80)로 구성된다.Here, the capacity adjusting means is composed of the D / A converters 33 and 501, the comparator 502, the DFC 600, and the TSC 80.

이와같은 장치의 동작은 멀티플렉서부(40)에 의하여 교정을 하는 핀엘렉트로닉스부(30)를 선택한다. 그리고 DFC(10)로부터 디지탈 신호를 신호변환부(91)를 통해서 핀엘렉트로닉스부(30)에 입력한다. 비교기(502)는 핀엘렉트로닉스부(30)가 출력하는 신호와 D/A변환부(501)가 출력하는 전압을 비교한다. DFC(600)는 비교기(502)의 비교결과를 격납한다. TSC(80)는 DFC(600)에 격납된 비교결과에 의하여 D/A 변환부(33)가 출력하는 전압을 올릴것인가 내릴 것인가를 결정한다. 즉, 비교결과에 의하여 제7a도의 경우라고 판단되면 TSC(80)는 D/A변환부(33)의 전압을 크게 한다. 그리고 제7b도의 경우로 판단되면, TSC(80)는 D/A변환부(33)의 전압을 작게 한다. D/A변환부(501)가 출력하는 2종류의 저압사이에 핀엘렉트로닉스부(30)가 출력하는 신호가 들어올때까지 상기 동작을 반복한다. 그리고 재차 멀티플렉서부(40)에 의하여 다른 핀엘렉트로닉스부(30)를 선택하여, 이상의 동작을 행한다. 이와같이 핀엘렉트로닉스부(30)의 입력용량의 교정을 한다.The operation of such a device selects the pin electronics portion 30 to be calibrated by the multiplexer portion 40. The digital signal from the DFC 10 is input to the pin electronics 30 through the signal converter 91. The comparator 502 compares the signal output from the pin electronics unit 30 with the voltage output from the D / A converter 501. The DFC 600 stores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comparator 502. The TSC 80 determines whether to increase or decrease the voltage output by the D / A converter 33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stored in the DFC 600. 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ase of FIG. 7A is determined by the comparison result, the TSC 80 increases the voltage of the D / A converter 33.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ase of FIG. 7B, the TSC 80 makes the voltage of the D / A converter 33 small. The above operation is repeated until a signal output from the pin electronics unit 30 is input between two types of low voltages output from the D / A converter 501. The other pin electronics 30 are again selected by the multiplexer 40 to perform the above operation. In this way, the input capacitance of the pin electronics unit 30 is calibrated.

또 제8도의 장치에서 멀티플렉서부(40)를 설치하는 구성이 아니라 D/A변환부(501)와 비교기(502)를 핀엘렉트로닉스부(30)마다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 모든 비교기(502)로부터의 출력을 DFC(600)로 받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In the apparatus shown in FIG. 8, the D / A converter 501 and the comparator 502 are provided for each of the pin electronics 30 instead of the multiplexer 40. The comparator 502 The output from the DFC 600 may be configured.

더 자세히는 가변용량부의 구체적 구성을 이하에 도시한다.In more detail,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variable capacitance portion is shown below.

제9도는 가변용량부의 다른 구체적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specific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variable capacitance portion.

도면에서 11은 신호발생부인 파형발생부이며, 파형신호를 발생한다.In FIG. 11, the waveform generator is a signal generator, and generates a waveform signal.

감쇠기(31)에 있어서 제1의 저항(R1)은 일단에 DUT(1) 혹은 파형 발생부(11)로부터의 파형신호가 입력된다. 그리고 DUT(1)의 시험을 행하는 경우는 스위치(SW)가 개방되어 있다.In the attenuator 31, the waveform signal from the DUT 1 or the waveform generator 11 is input to the first resistor R1 at one end. When the DUT 1 is tested, the switch SW is open.

또 입력용량의 교정을 하는 경우에는 DUT(1)가 분리되고 있으며 스위치(SW)가 접속되고 파형 발생부(2)가 저항(R1)에 접속된다. 콘덴서(C1)는 저항(R1)에 병렬로 접속된다.When the input capacitance is calibrated, the DUT 1 is disconnected, the switch SW is connected, and the waveform generator 2 is connected to the resistor R1. The capacitor C1 i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resistor R1.

D1은 제1의 가변용량 다이오드이며, 캐소우드가 콘덴서(C2)를 통해서 접지 전위점에 접속되고 아노우드가 저항(R1)의 다른 일단에 접속되어있다. 그리고 콘덴서(C2)는 캐소우드와 접지전위점과의 사이에 발생한 전류의 료류성분을 접지전위전으로 흘리고 있다. D2는 제2의 가변용량 다이오드이며, 아노우가 콘덴서(C3)를 통해서 접지전위점에 접속되고, 캐소우드가 저항(R1)의 다른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콘덴서(C3)는 아노우드와 접지전위점과의 사이에 발생한 전류의 교류성분을 접지 전위점에 흘리고 있다. 제2의 저항(R2)은 일단이 저항(R1)의 다른 일단에 접속되고, 다른 일단이 접지전위점에 접속되고 있다.D1 is a first variable capacitance diode, the catho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ground potential point through the capacitor C2 and the ano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esistor R1. The condenser C2 flows the current flow component of the current generated between the cathode and the ground potential point to the ground potential. D2 is a second variable capacitance diode, whose anode is connected to the ground potential point via a capacitor C3, and the cathode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esistor R1. The capacitor C3 flows the AC component of the current generated between the anode and the ground potential point to the ground potential point. One end of the second resistor R2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esistor R1,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ground potential point.

12는 파형측정부이며, 버퍼앰프(32)의 다른 일단에 접속되고 저항(R1)과 버퍼앰프(32)를 통한 파형을 측정한다. 연산수단인 TSC(80)는 파형측정부(12)에 의한 측정결과를 기초로 하여 최적인 가변용량 다이오드(D1, D2)에 부여하는 역바이어스치를 구한다. 기억부인 메모리(100)는 TSC(80)가 구한 역바이어스치를 기억한다. D/A변환부(33)는, TSC(80)가 구한 역바이어스치에 의거해서, 가변용량 다이오드(D1)의 캐소우드에 플러스의 전압을 부여하고, 가변용량 다이오드(D2)의 아노우드에 마이너스의 전압을 부여한다.12 is a waveform measuring unit,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uffer amplifier 32 and measures the waveform through the resistor R1 and the buffer amplifier 32. The TSC 80, which is an arithmetic means, calculates an inverse bias value applied to the optimum variable capacitance diodes D1 and D2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by the waveform measuring unit 12. The memory 100 serving as the storage unit stores the reverse bias value obtained by the TSC 80. The D / A converter 33 applies a positive voltage to the cathode of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 D1 based on the reverse bias value obtained by the TSC 80, and gives the anode of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 D2 to the anode. Give negative voltage.

D/A변환부(33)에서 331은 D/A변환기이며, TSC(80)로 구한 역바이어스치를 전압으로 변환한다. 여기에서 D/A변환기 (331)는 0∼5V가지 출력 가능한 것으로 한다. 332는 오퍼레이셔널 앰플이파이어이며 D/A변환기(331)로부터의 저압과 오프세트전압(여기에서는 10V로 한다)에 의하여 가산을 하여, 가변용량 다이오드(D2)의 아노우드에 마이너스의 전압을 부여한다. 333은 반전 앰프이며, 오퍼레이셔널 앰플이파이어(332)로부터의 출력을 반전시켜서 플러스의 전압을 가변용량 다이오드(D1)의 캐소우드에 부여한다.In the D / A converter 33, 331 is a D / A converter, and converts the reverse bias value obtained by the TSC 80 into a voltage. The D / A converter 331 is assumed to be capable of outputting 0 to 5V. 332 denotes an operational amplifier, which is added by the low voltage from the D / A converter 331 and the offset voltage (here, 10V), and a negative voltage is applied to the anode of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 D2. Grant. 333 is an inverting amplifier, which inverts the output from the operational amplifier 332 and applies a positive voltage to the cathode of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 D1.

여기에서 가변용량부는 가변용량 다이오드(D1, D2)이며 용량 조정수단은 파형 측정부(12)와 TSC(80)와 A/D변환부(33)이다. 또, 도면에서는 핀엘렉트로닉스부(30)는 하나만 도시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DUT(1)의 핀마다 설치되어 있다.Here, the variable capacitors are the variable capacitor diodes D1 and D2, and the capacitance adjusting means is the waveform measuring unit 12, the TSC 80, and the A / D conversion unit 33. In addition, although only one pin electronic part 30 is shown in figure, in fact, it is provided for every pin of the DUT1.

그리고 핀엘렉트로닉스부(30)를 멀티플렉서부가 선택하여 파형측정부(12)가 측정을 한다.The multiplexer section selects the pin electronics section 30 and the waveform measuring section 12 performs the measurement.

이와같은 장치의 입력용량의 자동교정 동작으 이하에 설명한다.The automatic calibration operation of the input capacitance of such a device is described below.

DUT(1)가 분리된 상태에서 스위치(SW)를 접속한다. 파형발생부(11)가 4각형파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파형측정부(12)가 저항(R1)과 버퍼앰프(32)를 통과한 4각형파 신호를 측정한다. TSC(80)가 측정결과를 기초로 소망하는입력용량이 얻어지는 가변용량 다이오드(D1, D2)의 역바이어스치를 구하고 D/A변환기(331)에 역바이어스치에 의거한 디지탈치를 보낸다. 또 메모리(100)에 역바이어스치를 기억시킨다. D/A변환기(331)는 디지탈치를 전압치로 한다. 그리고 오퍼레이셔널 엠플이파이어(332)는 D/A변환기(331)로부터의 전압과 오프세트 전압과의 가산을 한다. 여기에서는 -10∼15V의 출력전압이 얻어진다. 이 전압을 가변용량 다이오드(D2)의 아노우드에 부여한다. 반전앰프(333)에 의하여 오퍼레이셔널 앰플이파이어(332)의 출력전압을 반전시켜서, +10∼+15V의 전압을 가변용량 다이오드(D1)의 캐소우드에 부여한다. 가변용량 다이오드(D1, D2)는 각각 역바이어스 전압을 받아서 용량을 변화시킨다.The switch SW is connected while the DUT 1 is disconnected. The waveform generator 11 outputs a square wave signal. The waveform measuring unit 12 measures the square wave signal passing through the resistor R1 and the buffer amplifier 32. The TSC 80 obtains the reverse bias value of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s D1 and D2 from which the desired input capacitance is obtained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and sends the digital value based on the reverse bias value to the D / A converter 331. In addition, the reverse bias value is stored in the memory 100. The D / A converter 331 uses digital values as voltage values. The operational amplifier 332 then adds the voltage from the D / A converter 331 to the offset voltage. Here, an output voltage of -10 to 15V is obtained. This voltage is applied to the anode of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 D2. The inverting amplifier 333 inverts the output voltage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332 and applies a voltage of +10 to + 15V to the cathode of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 D1.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s D1 and D2 receive reverse bias voltages, respectively, to change capacitance.

이상의 동작을 반복하여 소망하는 특성을 얻는다. 그리고 다음번에 입력용량의 교정을 할때에는, 메모리(100)로부터 소망하는 특성이 얻어지는 바이어스치로 교정을 한다.The above operation is repeated to obtain desired characteristics. The next time the input capacitance is calibrated, the calibration is performed with a bias value from which the desired characteristic is obtained from the memory 100.

그리고 교정이 종료되면 DUT(1)를 접속해서, DUT(1)의 시험을 한다.When the calibration is completed, the DUT 1 is connected and the DUT 1 is tested.

다음에 시험시에 있어서의 가변용량 다이오드(D1, D2)의 동작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s D1 and D2 during the test will be described.

제10도는 시험시에 있어서의 가변용량 다이오드(D1, D2)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s D1 and D2 during the test.

예로서 가변용량 다이오드(D1)의 캐소우드에 ±10V가 부여되고, 가변용량 다이오드(D2)에 -10V가 부여되어서 입력용량이 교정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직류 중첩파형이 저항(R1)에 입력되고, 파형을 증폭하는 엠프에 입력되기전의 감쇄된 파형을 파형 A, B로 한다.For example, ± 10 V is applied to the cathode of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 D1 and −10 V is applied to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 D2, so that the input capacitance is corrected. The attenuated waveform before the DC superimposed waveform is input to the resistor R1 and input to the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waveform is referred to as waveforms A and B. FIG.

여기에서 제11도에 가변용량 다이오드(D1, D2)의 역바이어스 전압-용량 특성을 도시한다.11 shows reverse bias voltage-capacitance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s D1 and D2.

파형이 입력되어 있지 않을때, 가변용량 다이오드(D1, D2)는 어느것이나 10V의 역바이어스전압이 걸려 있으므로, 용량은, 제11도에서 17pF가 된다. 합계하면 용량은 34pF가 된다.When no waveform is input, since both of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s D1 and D2 are subjected to a reverse bias voltage of 10 V, the capacitance becomes 17 pF in FIG. In total, the capacity is 34 pF.

파형이 입력되어 파형 A로 되었을때, 파형 A가 2V인 경우의 가변용량 다이오드(D1)의 용량은 역바이어스전압이 8V이므로 제11도에서 20pF가 된다. 그리고 가변용량 다이오드(D2)의 용량은 역바이어스전압이 12V이므로, 제11도에서 15pF가 된다. 가변용량 다이오드(D1, D2)의 용량 합계는 35pF가 되므로 합계로서는 거의 용량은 변화하지 않는다.When the waveform is input and becomes the waveform A, the capacitance of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 D1 when the waveform A is 2V becomes 20pF in FIG. 11 because the reverse bias voltage is 8V. In addition, since the reverse bias voltage is 12V, the capacitance of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 D2 becomes 15 pF in FIG. Since the total capacitance of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s D1 and D2 is 35 pF, the capacitance hardly changes as a sum.

따라서 직류 중첩 파형이 입력되어도 입력 용량은 나빠지지 않고, 파형 A, B의 실선과 같이 특성이 좋은 파형이 얻어진다.Therefore, even when the DC superimposed waveform is input, the input capacitance does not deteriorate, and a waveform having good characteristics such as solid lines of waveforms A and B is obtained.

그러나 가변용량 다이오드(D2)만으로 입력용량을 조정한 경우에는, 파형 A, B는 파선과 같이 되어 버린다. 즉, 입력되는 파형의 전압변화로 가변용량 다이오드(D2)의 용량이 입력용량을 조정하였을 때보다, 파형 A일때에는 용량이 작아지고, 보상이 과대하게 된다. 파형 B일때에는 가변용량 다이오드(D1)의 용량이 커지고, 보상이 과소하게 된다.However, when the input capacitance is adjusted only by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 D2, the waveforms A and B become like broken lines. That is, when the capacitance of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 D2 adjusts the input capacitance due to the voltage change of the input waveform, the capacitance becomes smaller when the waveform is A, and the compensation is excessive. In the case of waveform B, the capacitance of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 D1 becomes large, and the compensation becomes too small.

이와같이 가변용량 다이오드(D1)의 캐소우드에 플러스의 전압을 부여하고, 가변용량 다이오드(D2)의 아노우드에 마이너스의 전압을 부여하였으므로 시험시에 직류중첩 파형이 입력된 경우에도 입력용량을 악화시키지 않고 시험을 할 수 가 있다.In this way, a positive voltage is applied to the cathode of the variable capacitor diode D1 and a negative voltage is applied to the anode of the variable capacitor diode D2, so that the input capacitance is not deteriorated even when a DC overlapping waveform is input during the test. You can test without it.

그리고 과전류가 입력된 경우에도 가변용량 다이오드(D1)혹은 가변용량 다이오드(D2)에 과전류가 흐르므로, 과전류에 대한 버퍼앰프(32)의 부호회로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Since overcurrent flows through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 D1 or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 D2 even when the overcurrent is input,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code circuit of the buffer amplifier 32 for the overcurrent.

또한 가변용량 다이오드(D1)는 플러스의 과전압으로부터 버퍼엠프(32)를 보호하고, 가변용량 다이오드(D2)는 마이너스의 과전압으로부터 버퍼엠프(32)를 보호하므로 과전압에 대한 버퍼엠프(32)의 보호회로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In addition,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 D1 protects the buffer amplifier 32 from positive overvoltage, and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 D2 protects the buffer amplifier 32 from negative overvoltage, thereby protecting the buffer amplifier 32 against overvoltage.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circuit.

이하에 실제의 가변용량 다이오드(D1, D2)의 합계의 입력용량과 입력전압과의 관계를 설명한다.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put capacitance of the sum of the actual variable capacitance diodes D1 and D2 and the input voltage will be described below.

제12도는 가변용량 다이오드(D1, D2)의 합계의 입력용량과 입력전압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12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put capacitance of the sum of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s D1 and D2 and the input voltage.

도면에서 Vin은 저항(R1)에 입력하는 입력전압, Va는 가변용량 다이오드에 부여하는 역바이어스전압, Ca는 입력전압 Vin이 0일때의 가변용량 다이오드(D1, D2)의 입력용량이다. 그리고 Cb는 입력전압 Vin 이 V일때의 가변용량 다이오드(D1)의 입력용량, 혹은 입력된 전압 Vin 이 -V일때의 가변용량 다이오드(D2)의 입력용량이다. CC는 입력전압 Vin이 V일때의 가변용량 다이오드(D2)의 입력용량, 혹은 입력전압 Vin이 -V일때의 가변용량 다이오드(D1)의 입력용량이다.In the drawing, Vin denotes an input voltage input to the resistor R1, Va denotes a reverse bias voltage applied to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 and Ca denotes an input capacitance of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s D1 and D2 when the input voltage Vin is zero. Cb is the input capacitance of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 D1 when the input voltage Vin is V, or the input capacitance of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 D2 when the input voltage Vin is -V. C C is the input capacitance of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 D2 when the input voltage Vin is V, or the input capacitance of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 D1 when the input voltage Vin is -V.

입력전압 Vin이 0일때의 가변용량 다이오드(D1, D2)의 합계의 용량은 2Ca이다. 그리고 입력전압 Vin이 ±V일때의 가변용량 다이오드(D1, D2)의 합계의 입력용량은 Cb+CC이다.When the input voltage Vin is zero, the total capacity of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s D1 and D2 is 2Ca. When the input voltage Vin is ± V, the total input capacitance of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s D1 and D2 is Cb + C C.

여기에서 제12도로부터 분명한 바와같이 입력전압 Vin이 변화하면 합계의 용량은 약간 상이하게 되나, 대략 동일하게 된다. 또 입력전압 Vin이 변화하는 범위를 작게하면, 합계의 용량의 변화량은 작아져서 보다 더 특성이 양호한 시험을 할 수 있다.Here, as is apparent from FIG. 12, when the input voltage Vin changes, the total capacitance is slightly different, but is approximately the same. In addition, if the range in which the input voltage Vin changes is small, the amount of change in the total capacitance becomes small, so that a test having better characteristics can be performed.

그래서 역바이어스 전압이 상이할때의 입력용량과 입력전압의 관계를 제13도에 도시한다. 제12도와 동일한 것은 동일 부호를 붙인다.Therefore, Fig. 13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put capacitance and the input voltage when the reverse bias voltages are different. The same thing as FIG. 12 attaches | subjects the same code | symbol.

여기에서 V1V2V3(V1, V2, V3: 정수)의 관계를 가진다.Here, V 1 V 2 V 3 (V 1 , V 2 , V 3 : integer) has a relationship.

도면에서 분명한 바와같이, 역바이어스 전압이 커지면 입력전압 Vin이 변화 하여도 가변용량 다이오드(D1, D2)의 합계의 입력용량은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As is apparent from the figure, when the reverse bias voltage increases, the input capacitance of the sum of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s D1 and D2 hardly changes even when the input voltage Vin changes.

따라서 역바이어스 전압을 크게 설정하면 입력전압이 변화하여도 보다 특성이 좋은 시험을 할 수 가 있다.Therefore, if the reverse bias voltage is set large, better characteristics can be tested even if the input voltage changes.

기타의 가변 용량부를도시한 구성도를 제14도에 도시한다.1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variable capacitor.

제9도와 동일한 것은 동일부호를 붙인다.The same symbols as in Fig. 9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면에서 D3은 제1의 가변용량 다이오드이며 아노우드가 접지전위점에 접속되고 캐소우드가 저항(R1)의 다른 일단에 콘덴서(C4)를 통해서 접속되고 있다. D4는 제2의 가변용량 다이오드이며 캐소우드가 접지전위점에 접속되고, 아노우드가 저항(R1)의 다른 일단에 콘덴서(C5)를 통해서 접속되고 있다. 여기에서 콘덴서(C4, C5)는 직류성분을 커트하고 있다. 그리고 전압공급부로부터 가변용량 다이오드(D3)의 캐소우드에 코일(L1)을 통해서 플러스의 전압을 부여하고, 가변용량 다이오드(D4)의 아노우드에 코일(L2)을 통해서 마이너스의 전압을 부여한다. 여기에서 코일(L1, L2)은 교류성분을 커트하고 있다. 파형의 입력부분을 이와같은 구성으로 하므로서, 같은 효과를 얻는다. 그리고 제9도의 장치의 가변용량 다이오드와 제14도의 장치의 가변용량 다이오드와의 조합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예로서 가변용량 다이오드(D1)와 가변용량 다이오드(D4)에 의하여 구성된다.In the figure, D 3 is the first variable capacitance diode, and the anode is connected to the ground potential point and the cathode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esistor R1 through the capacitor C4. D4 is the second variable capacitance diode, the cathode is connected to the ground potential point, and the anode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esistor R1 through the capacitor C5. Here, the capacitors C4 and C5 cut the direct current component. A positive voltage is applied to the cathode of the variable capacitor diode D3 through the coil L1 from the voltage supply unit, and a negative voltage is applied to the anode of the variable capacitor diode D4 through the coil L2. Here, the coils L1 and L2 cut the AC component. By configuring the input portion of the waveform in such a configuration,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Also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bination of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 of the device of FIG. 9 and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 of the device of FIG. For example,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 D1 and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 D4 are configured.

또 가변용량부는 스위치 캐패시터, 즉 주파수로 용량을 변화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 여러개의 콘덴서를 선택하여 변환해서 용량을 변화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The variable capacitor may be configured to change the capacitance with a switch capacitor, that is, a frequency. In addition, a configuration may be employed in which a plurality of capacitors are selected and converted to change the capacitance.

또, 이상과 같은 입력용량의 교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치에 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In addition, the apparatus which does not require correction of the above input capacitance is demonstrated below.

제15도는 입력용량의 교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FIG. 1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apparatus that does not require calibration of the input capacitance.

도면에서 핀엘렉트로닉스부(30)에서의 34는 버퍼앰프이며, DUT(1)가 출력하는 신호를 입력한다. 35는 감쇠기이며, 저저항으로 구성되고, 버퍼앰프(34)로부터의 신호를 감쇄시킨다.In the drawing, 34 in the pin electronics unit 30 is a buffer amplifier and inputs a signal output from the DUT 1. 35 is an attenuator, is made of low resistance, and attenuates the signal from the buffer amplifier 34.

13은 시험부인 계측연산부이며 감쇠기(35)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DUT(1)의 시험을 한다. 14는 전원부이며 DUT(1)가 출력하는 신호의 출력전압범위에 대응하는 전압을 버퍼앰프(34)에 부여한다. 15는 제어부이며, DUT(1)에 대응하여 전원부(14)에 전압을 출력시킨다. 그리고 전원부(14)가 버퍼앰프(34)에 부여하는 전위의 중간점 전위치(電位置)를 계측 연산부(13)에 부여한다.13 is a measurement operation unit which is a test unit and tests the DUT 1 by a signal from the attenuator 35. Numeral 14 denotes a power supply unit and applies 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output voltage range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DUT 1 to the buffer amplifier 34. 15 is a control part, and outputs a voltage to the power supply part 14 in correspondence with the DUT 1. Then, the power supply unit 14 provides the measurement computing unit 13 with the midpoint front position of the potential applied to the buffer amplifier 34.

감쇠기(35)에 있어서 저항 R3, R4는 수백 Ω의 저항이다. 저항 R3은 일단이 버퍼앰프(34)에 접속하고, 다른 일단이 계측연산부(13)에 접속한다. 저항 R4는 일단이 저항 R3의 다른 일단에 접속하고, 다른 일단을 접지시킨다.In the attenuator 35, the resistors R3 and R4 are resistors of several hundreds of kΩ. One end of the resistor R3 is connected to the buffer amplifier 34,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measurement operation unit 13. The resistor R4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esistor R3, and the other end is grounded.

여기에서 제9도와 마찬가지로, 도면에서는 핀엘렉트로닉스부(30)는 하나만 도시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DUT(1)의 핀마다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핀엘렉트로닉스부(30)를 멀티플렉서부가 선택하여 계측연산부(13)가 측정을 행한다.Here, similarly to FIG. 9, in the drawing, only one pin electronic unit 30 is shown, but is actually provided at each pin of the DUT 1. The multiplexer section selects the pin electronics section 30, and the measurement calculation section 13 performs the measurement.

이와같은 장치의 동작을 이하에서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such a device is described below.

제16도는 제어부(15)의 제어신호와 전원부(14)가 출력하는 전압과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5 and a voltage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14.

여기에서 DUT(1)로서 출력전압이 ±10V, 0∼+20V, -20∼0V의 3종류 액정드라이버를 고착하여 본다.Here, as the DUT 1, three types of liquid crystal drivers having an output voltage of ± 10 V, 0 to +20 V, and -20 to 0 V are fixed.

① 출력전압이 ±10V인 경우.① Output voltage is ± 10V.

제어부(15)는 제어신호 CTRL2, CTRL1이 각각 0, 0의 신호를 전원부(14)에 부여하고 계측연산부(13)에 중간점 전위치 0V를 통지한다. 전원부(14)는 -15V, +15V의 전압을 버퍼앰프(34)에 부여한다. 이에 의하여 버퍼앰프(34)는 -15V∼+15V의 범위의 신호를 입력할 수가 있다. 실제로는 약 ±12V의 전압을 입력할 수가 있다. 그리고 신호발생부(도시생략)로부터 DUT(1)에 신호를부여하고, DUT(1)가 입력신호에 대응한 신호를 출력한다. 계측연산부(13)가 이 신호를 버퍼엠프(34)와 감쇠기(35)를 통하여 계측하고, 계측결과와 중간점 전위치에 의거해서 연산을 하여 DUT(1)의 양,불량 판정을 한다.The control part 15 gives the power supply part 14 the signals 0 and 0 of control signals CTRL2 and CTRL1, respectively, and notifies the measurement calculation part 13 to 0V of the intermediate point all positions. The power supply unit 14 applies a voltage of -15V and + 15V to the buffer amplifier 34. As a result, the buffer amplifier 34 can input a signal in the range of -15V to + 15V. In practice, you can input a voltage of about ± 12V. A signal is supplied from the signal generator (not shown) to the DUT 1, and the DUT 1 output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The measurement operation unit 13 measures this signal through the buffer amplifier 34 and the attenuator 35, and performs calculation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and all positions of the intermediate point to determine the quantity and defect of the DUT 1.

②출력전압이 0∼±20V인 경우.② When output voltage is 0 ~ ± 20V.

제어부(15)는 제어신호(CTRL2, CTRL1)가 각각 0, 1인 신호를 전원부(14)에 부여하고 계측연산부(13)에 중간점 전위치 +10V를 통지한다. 전원부(14)는 -5V, +25V의 전압을 버퍼앰프(34)에 부여한다. 이에 의하여 버퍼앰프(34)는 -5∼+25V의 범위의 신호를 입력할 수가 있다. 실제로는 약 -2∼22V의 전압을 입력할 수가 있다. 마찬가지로 신호발생부로부터 DUT(1)에 신호를 부여하고, DUT(1)가 입력신호에 대응한 신호를 출력한다. 계측연산부(13)가 이 신호를 버퍼앰프(34)와 감쇠기(35)를 통해서 계측하고, 계측결과와 중간점 전위치에 의거해서 연산을 하여 DUT(1)의 양ㆍ불량 판정을 한다.The control part 15 gives the power supply part 14 the signal whose control signals CTRL2 and CTRL1 are 0 and 1, respectively, and informs the measurement calculation part 13 of the intermediate point whole position + 10V. The power supply unit 14 applies a voltage of -5V and + 25V to the buffer amplifier 34. As a result, the buffer amplifier 34 can input a signal in the range of -5 to + 25V. In practice, a voltage of about -2 to 22V can be input. Similarly, a signal is supplied from the signal generator to the DUT 1, and the DUT 1 output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The measurement operation unit 13 measures this signal through the buffer amplifier 34 and the attenuator 35, and performs calculation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and all positions of the midpoint, and determines whether the DUT 1 is good or bad.

③ 출력전압이 -20∼0V인 경우.③ When output voltage is -20 ~ 0V.

제어부(15)는 제어신호 CTRL2, CTRL1이 각각 1, 0의 신호를 전원부(14)에 부여하고 중간점 전위치 -10V를 통지한다. 전원부(14)는 -25V, +5V의 전압을 버퍼앰프(34)에 부여한다. 이에 의하여 버퍼엠프(34)는 -25∼+5V의 범위의 신호를 입력할 수가 있다. 실제로는 약 -22∼2V의 전압을 입력할 수가 있다. 마찬가지로 신호발생부로부터 DUT(1)에 신호를 부여하고, DUT(1)가 입력신호에 대응한 신호를 출력한다. 계측연산부(13)가 이 신호를 버퍼엠프(34)와 감쇠기(35)를 통해서 계측하고 계측결과와 중간점 전위치에 의거해서 연산을 하여 DUT(1)의 양,불량 판정을 한다.The control part 15 gives the power supply part 14 the signal of control signals CTRL2 and CTRL1 to 1 and 0, respectively, and notifies the intermediate point all position -10V. The power supply unit 14 applies a voltage of -25V and + 5V to the buffer amplifier 34. As a result, the buffer amplifier 34 can input a signal in the range of -25 to + 5V. In practice, a voltage of about -22 to 2V can be input. Similarly, a signal is supplied from the signal generator to the DUT 1, and the DUT 1 output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The measurement operation unit 13 measures this signal through the buffer amplifier 34 and the attenuator 35, and performs calculation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and all positions of the midpoint, and determines the quantity and defect of the DUT 1.

이와같이 DUT(1)의 종류에 따라서 전원부(14)가 버퍼앰프(34)에 전압을 부여하므로, 버퍼엠프(34)의 능력을 풀로 활용할 수가 있으며, 감쇠기(35)를 버퍼엠프(34)의 후단에 설치할 수가 있다. 즉, 수백 Ω정도의 저저항으로 감쇠기(35)를 구성할 수가 있으므로 감쇠기(35)의 주위에 부유용량이 수 pF있어도, 감쇠기(35)의 저항과 부유용량으로 구성되는 CR회로의 시정수는 수백 ns가 되어 DUT(1)로부터의 신호의 세플링 타임이나 주파수 특성에 실용상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용량 보정이 불필요하게 되고, 고정밀도의 시험을 행할 수가 있다.In this way, since the power supply unit 14 applies the voltage to the buffer amplifier 34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UT 1, the capacity of the buffer amplifier 34 can be utilized to the full, and the attenuator 35 is the rear end of the buffer amplifier 34. Can be installed on That is, since the attenuator 35 can be formed with a low resistance of several hundreds of microseconds, even if there are several pF of floating capacitance around the attenuator 35, the time constant of the CR circuit composed of the resistance of the attenuator 35 and the floating capacitance is It becomes several hundred ns, and does not have a practical influence on the sampling time and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signal from the DUT 1. Therefore, capacity correction is unnecessary, and a high precision test can be performed.

그리고 실시예에서 측정연산부(13)는 A/D 변환기로 DUT(1)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고 A/D변환기로부터의 데이터와 중간점 전위치에 의거해서 DUT(1)가 소망전압을 출력하고 있는지 판정을 하는 구성, 즉 디지타이져와 데이터 처리부로 구성되는데, 비교기에 의해서 소망하는 전압과 비교하여 판정하는 시험부의 구성도 무방하다.In the embodiment, the measurement operation unit 13 inputs a signal from the DUT 1 to the A / D converter, and the DUT 1 outputs a desired voltage based on the data from the A / D converter and all positions of the intermediate point. It is constituted by a digitizer and a data processing unit, and a configuration of a test unit that determines a comparison with a desired voltage by a comparator.

이상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a)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여러개의 레벨신호를 출력하는 피시험 IC의 시험이 단시간에 고정밀도로 행하여 질 수 있는 IC 테스터를 실현할 수가 있다.(a) An IC tester can be realized in which a test of an IC under test that outputs multiple level signals in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can be performed with high accuracy in a short time.

(b) 가변용량의 용량을 조정하므로서 핀마다의 분산이 없고, 입력용량의 교정이 자동적으로 가능하므로 고속으로 고정밀도의 시험을 할 수 있다.(b) By adjusting the capacity of the variable capacitor, there is no dispersion for each pin and calibration of the input capacitor is possible automatically, so that high precision test can be performed at high speed.

(c) 피시험 IC의 종류에 따라서 전원부가 버퍼앰프에 전압을 부여하고, 버퍼앰프의 후단에 저저항으로 구성되는 감쇠기를 설치하였으므로 용량보정이 불필요하여 고정밀도의시험을 할 수가 있다.(c) According to the type of IC under test, the power supply unit applies a voltage to the buffer amplifier, and an attenuator composed of low resistance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buffer amplifier.

(d) 전압에 의하여 용량을 변화시키는 제1의 가변용량 다이오드와 제2의 가변용량 다이오드를 설치하였으므로, 측정시에 직류 중첩파형이 입력된 경우에도 주파수 특성을 악화시키지 않고 피시험 IC의 시험을 할 수 있다.(d) Since the first variable capacitor diode and the second variable capacitor diode whose capacitance is changed by voltage are provided, the test of the IC under test can be performed without deteriorat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even when the DC superimposed waveform is input at the time of measurement. can do.

Claims (7)

복수의출력단이 여러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IC를 시험하는 IC 테스터에 있어서, 피시험 IC의 입력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피시험 IC에 시험신호를 출력하는 신호발생부와, 상기 피시험 IC의 출력계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핀엘렉트로닉스부와, 이 핀엘렉트로닉스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핀엘렉트로닉스부로부터의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부와, 이 선택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선택부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샘플링하여 디지탈적으로 입력하는 디지타이져와, 이 디지타이져에 접속되고 디지타이져의 출력데이터에 의거해서 측정처리를 하는 데이터처리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테스터.An IC tester for testing an IC in which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output signals of various levels, the IC tester comprising: a signal generator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of an IC under test and outputs a test signal to the IC under test, and the output of the IC under test A pin electronics sec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ystem, a selection sec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in electronics section, for selecting a signal from the pin electronics section, and an output from the selection sec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lection section An IC tester comprising: a digitizer for sampling and digitally inputting a signal; and a data processor connected to the digitizer and performing measurement processing based on output data of the digitizer. 제1항에 있어서, 핀엘렉트로닉스부는 피시험 IC의 출력단으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는 신호경로마다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가변용량부를 가지며, 신호발생부로부터의 파형신호를 상기 피시험 IC로부터의 신호대신에, 상기 신호경로에 입력함과 동시에, 파형신호를 측정하고, 측정결과를 기초로 상기 가변용량부의 용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이로 하는 IC테스터.2. The pin electronics un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in electronics unit has a variable capacitor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signal path for inputting a signal from the output terminal of the IC under test, and the waveform signal from the signal generator is replaced with the signal from the IC under test. And measuring the waveform signal at the same time as inputting to the signal path, and adjusting the capacitance of the variable capacitance part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제1항에 있어서, 핀엘렉트로닉스부는 입력단이 피시험 IC의 출력단마다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피시험 IC가 출력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버퍼앰프와 저저항으로 구성되고, 버퍼앰프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버퍼앰프로부터의 신호를 감쇄시키는 감쇠기를 가지며, 상기 버퍼앰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피시험 IC가 출력하는 신호의 출력전압 범위에 대응하는 동작전압을 상기 버퍼앰프에 부여하는 전원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테스터.2. The pin electronics un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in electronics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IC under test, and comprises a buffer amplifier and a low resistance for inputting a signal output from the IC under test,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buffer amplifier. And an attenuator for attenuating the signal from the buffer amplifier, and having a power supply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uffer amplifier and applying an operating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output voltage range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IC under test to the buffer amplifier. IC tester. 복수의 출력단이 여러개의 레벨신호를 출력하는 IC를 시험하는 IC 테스터에 있어서, 피시험 대상 IC의 디지탈 신호가 입력되는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디지탈 신호를 출력하는 제1의 핀엘렉트로닉스부와, 상기 피시험 IC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피시험 IC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감쇄시키는 제2의 핀엘렉트로닉스부와, 상기 제1의 핀엘렉트로닉스부가 출력하는 디지탈 신호에 동기해서 상기 제2의 핀엘렉트로닉스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의 핀엘렉트로닉스부로부터의 신호를 선택하는 멀티플렉서부와, 이 멀티플렉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멀티플렉서부로부터의 신호를샘플링하여 디지탈적으로 입력하는 디지타이져부와, 이 디지타이져부에 접속되고 디지타이져부로부터의 데이터에 의거해서 신호 처리를 하는 디지탈 시그널 프로세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테스터.An IC tester for testing an IC in which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output several level signals, the IC tester comprising: a first pin electronic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a terminal to which a digital signal of an IC under test is input and outputting a digital signal; And a second pin electronics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IC under test and attenuating a signal output from the IC under test, and a second signal in synchronization with a digital signal output by the first pin electronics portion. A multiplexer sec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in electronics se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selecting a signal from the second pin electronics sect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ultiplexer section to sample and digitally input a signal from the multiplexer section. Digital signal connected to the digitizer section and performing signal processing based on data from the digitizer section An IC tester having a processor unit. 피시험 IC의 시험을 행하는 IC 테스터에 있어서, 상기 피시험 IC의 입력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파형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와, 상기 피시험 IC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는 신호경로마다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가변 용량부와, 이 가변용량부의 용량을 조정하는 용량조정수단을 설치하고, 신호발생부로부터의 파형신호를 상기 피시험 IC로부터의 신호 대신에 상기 신호경로에 입력함과 동시에, 파형신호를, 측정하여 측정결과를 기초로 상기 가변용량부의 용량을 용량조정수단에 의해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테스터.An IC tester for testing an IC under test,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of the IC under tes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waveform signal and each signal path for inputting a signal from the IC under test. And a capacitance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capacitance of the variable capacitance portion, inputting the waveform signal from the signal generation portion to the signal path instead of the signal from the IC under test, and simultaneously receiving the waveform signal. And measuring and adjusting the capacity of the variable capacitance part by a capacity adjusting means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제5항에 있어서, 가변용량부는 피시험 IC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는 신호경로와 아노우드가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전지전위점과 캐소우드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의 가변용량 다이오드와, 파시험 IC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는 신호경로와, 캐소우드가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전지전위점과 아노우드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의 가변용량 다이오드를 가지며, 용량조정 수단이 측정결과를 기초로 제1의 가변용량 다이오드와 제2의 가변용량 다이오드에 소망하는 역바이어스전압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테스터.6. The variable capacitance unit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variable capacitance unit comprises: a first variable capacitance di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ignal path for inputting a signal from an IC under test and an anod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 battery potential point and a cathode; A signal path for inputting a signal from the IC and a second variable capacitance di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thod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potential point and the anode; An IC tester characterized by applying a desired reverse bias voltage to a variable capacitor diode and a second variable capacitor diode. 피시험 IC의 시험을 행하는 IC테스터에 있어서, 입력단이 상기 피시험 IC의 출력단만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피시험 IC가 출력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버퍼앰프와, 저저항으로 구성되고, 상기 버퍼앰프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버퍼앰프로 부터의 신호를 감쇄시키는 감쇠기와, 이 감쇠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감쇠기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피시험 IC의 시험을 행하는 시험부와, 상기 버퍼앰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피시험 IC가 출력하는 신호의 출력전압 범위에 대응하는 동작전압을 버퍼앰프에 부여하는 전원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테스터.In an IC tester for testing an IC under test, an input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ly an output terminal of the IC under test, a buffer amplifier for inputting a signal output from the IC under test, and a low resistance. An attenua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attenuator, the attenuator for attenuating a signal from the buffer amplifier, an attenua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ttenuator, and performing a test of the IC under test by a signal from the attenuator; And a power supply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uffer amplifier to supply an operating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output voltage range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IC under test.
KR1019940028971A 1993-11-24 1994-11-05 Ic tester KR016569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328293A JP3198493B2 (en) 1993-11-24 1993-11-24 IC tester
JP93-293282 1993-11-24
JP5296268A JPH06213970A (en) 1992-11-30 1993-11-26 Ic tester
JP93-296268 1993-11-26
JP94-103649 1994-05-18
JP06103649A JP3106454B2 (en) 1994-05-18 1994-05-18 IC tes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4899A KR950014899A (en) 1995-06-16
KR0165698B1 true KR0165698B1 (en) 1999-03-20

Family

ID=27310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8971A KR0165698B1 (en) 1993-11-24 1994-11-05 Ic tes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5698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4899A (en) 199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0271B2 (en) Pin electronics interface circuit
US6804620B1 (en) Calibration method for system performance validation of automatic test equipment
US6870359B1 (en) Self-calibrating electrical test probe
KR100485739B1 (en) Testing method and testing device for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US4772948A (en) Method of low cost self-test in a video display system system
US7859268B2 (en) Method of testing driving circuit and driving circuit for display device
US7489123B2 (en) Calibration control for pin electronics of automatic testing equipment
US7616147B2 (en) Analog-to-digital converter
US6972755B2 (en) Driver circuit for a display device
US5642300A (en) Precision voltage/current/power source
US7180314B1 (en) Self-calibrating electrical test probe calibratable while connected to an electrical component under test
US20060273811A1 (en) Using an active load as a high current output stage of a precision pin measurement unit in automatic test equipment systems
CN114839423A (en) Voltage amplitude detection method, detection system and device
KR0165698B1 (en) Ic tester
EP0431560A2 (en) AC evaluation equipment for an IC tester
US20040085059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accurate high speed wide range current measurement in automated testing equipment
KR100248918B1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output resistance of driver ic
JP3083033B2 (en) measuring device
WO2012137708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inspecting same
US5194818A (en) Risetime and falltime test system and method
US6285206B1 (en) Comparator circuit
JP3106454B2 (en) IC tester
JPH11326441A (en) Semiconductor testing device
JP3198493B2 (en) IC tester
JP3554767B2 (en) Semiconductor test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1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