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5672B1 - 코안다나선류 유닛 - Google Patents

코안다나선류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5672B1
KR0165672B1 KR1019900014277A KR900014277A KR0165672B1 KR 0165672 B1 KR0165672 B1 KR 0165672B1 KR 1019900014277 A KR1019900014277 A KR 1019900014277A KR 900014277 A KR900014277 A KR 900014277A KR 0165672 B1 KR0165672 B1 KR 0165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clined surface
coanda
circumferential end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4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9691A (ko
Inventor
기요시 호리이
가꾸지 오오수미
Original Assignee
기요시 호리이
가꾸지 오오수미
도오아 기까이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요시 호리이, 가꾸지 오오수미, 도오아 기까이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기요시 호리이
Publication of KR910019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9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5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5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58Devices for accelerating or decelerating flow of the materials; Use of pressure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DFLUID DYNAMICS, i.e. METHODS OR MEANS FOR INFLUENCING THE FLOW OF GASES OR LIQUIDS
    • F15D1/00Influencing flow of fluids
    • F15D1/0015Whirl chambers, e.g. vortex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 Pipeline Systems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코안다나선류유닛은, 말단의 유입구와, 전기한 유입구의 반대쪽 외주끝 위의 직립 또는 경사면, 및 커플링플랜지를 보유하는 제1유닛과, 유출구와, 전기한 유출구(4)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보유하며, 전기한 제1유닛의 외주끝 위의 직립 또는 경사면에 대향하여 코안다슬릿을 형성하는 내주끝 위의 곡면 또는 경사면과, 전기한 내주끝 위의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부터 전기한 유출구쪽을 향해 원추형상으로 테이퍼진 경사면과, 외주끝면 위의 환형홈, 및 커플링플랜지를 보유하는 제2유닛과, 전기한 제1유닛의 외주끝 위의 직립 또는 경사면과 전기한 제2유닛의 외주끝면위의 환형옴을 덮는 통기부와, 전기한 제1 및 제2유닛의 커플링플랜지와 밀착하여 전기한 통기부와 연통하는 통기분포실을 형성하는 양끝을 보유하는 제거가능한 외주관유닛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코안다나선류 유닛
제1도는 (a) (b) (c)는 각각 본 발명의 코안다나선류 유닛의 좌측면도, 평면도, 우측면도,
제2도는 제3도는 각각 제1도(b)의 X-X선 단면도와 Y-Y 선 단면도,
제4도는 본발명의 코안다나선류 유닛을 사용하는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제1유닛 B : 제2유닛
C : 제3유닛 1 : 유입구
2,6,7 : 경사면 3,9 : 커플링플랜저
4 : 유출구 5 : 코안다 슬릿
8 : 환형홈 10 : 통기분포실
11 : 통기부 12 : 도관
13 : 통로 14 : 조인트 박스
15 : 가요성 호오스 16 : 코안다나선류 유닛
17 : 공기필터 18 : 개폐밸브
19 : 압력게이지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코안다나선류 유닛(coanda spiral flow unit)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스공급, 혼합, 분리뿐아니라, 원료반송, 건조 및 반응처리의 작업에 유동시스템 유닛으로서 유용하며, 제조 및 보수유지가 용이한 새로운 코안다나선류 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에 의하여, 종래의 난류 또는 층류개념과는 전혀 다르게, 가스, 분말제, 섬유, 케이블 또는 기타 원료의 고속운반을 가능케 하는 나선류생성 및 응용에 대하여 여러 가지 제안이 행하여져 왔다.
유체현상으로서의 코안다 효과를 사용하며, 종래의 코안다효과의 응용에 의해서는 창안되지 못했던, 독특한 현상인 장거리나선류가 실용의 처리기술로서 확립되었다.
코안다나선류는, 축류(axial flow)와 축류주위의 유동사이에, 속도 및 밀도가 크게 다른 특징이 있어, 급격한 속도분포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코안다나선류의 난류도(turbulent degree)는 난류의 0.2보다 절반 이하인 0.09를 나타내어, 코안다나선류는 난류와는 크게 다른 조건에 있음을 나타내며, 더욱이 축방향벡터와 반경방향벡터의 합성에 의해 독특한 나선류로서 형성된다.
이러한 코안다나선류는, 파이프내에서 파이프축에 집중하는 유동으로, 난류도가 적고, 피운반물(conveyed object)의 자동진동에 기인한 심한 충돌 및 접촉을 방지할 수 있는 우수한 특징을 보유하고 있다.
코안다나선류 생성장치는 처리기술에 적용시키기 위해 필수적이다.
지금까지, 여러 가지 구조의 코안다나선류 유닛이 제공되어 왔는데, 예를 들어 2개의 유닛이 접속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구조의 유닛을 보유하는 코안다나선류 유닛을 가공 및 제조하기는 상당히 어려웠으며, 0.01정도의 소망의 나선류를 얻기 위해서 조립작업시에 코안다 슬릿간극(slit clearance)을 제어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현장에서 코안다나선류 유닛을 수시로 조립하여 사용하기가 사실상 불가능 하였다.
따라서, 공장 또는 건설현장 등과 같은 사용장소에서 수시로 조립될 수 있으며, 코안다슬릿간격의 조절이 용이한 새로은 코안다나선류 유닛의 실현이 강하게 요망되어 왔다.
본 발명은, 제조 및 보수유지가 용이한 새로운 코안다나선류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한 설명에 의해 명백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코안다나선류 유닛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a) (b) (c) 및 제2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코안다나선류 유닛은, 제1유닛(A)과, 제2유닛(B)과, 제1 및 제2유닛(A) (B)을 부분적으로 덮어 그들은 연결하는 외주관 유닛(C)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유닛(A)은, 말단의 유입구(1)와, 유입구(1)의 반대쪽 외주끝 위의 경사면(2) 또는 직립면과, 커플링플랜지(3)를 보유한다. 제2유닛(B)은, 유출구(4)와, 전기한 유출구(4)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보유하고 경사면(2) 혹은 제1유닛(A)의 외주끝 위의 직립면과 대향하여 코안다 슬릿(5)을 형성하는 내주끝 위의 경사면(6) 또는 곡면과, 전기한 내주끝 위의 경사면(6) 또는 곡면으로부터 전기한 유출구(4)쪽을 향해 원추형상으로 테니퍼진 경사면(7)과, 외주끝면 위의 환형홈(8) , 및 커플링 플랜지(9)를 보유한다.
제1유닛(A) 및 제2유닛(B)의 형태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코안다나선류 유닛에는 양 유닛(A) (B)을 연결하기 위한 나사부 또는 볼트부가 없다.
따라서, 외주끝 위의 경사면(2) 또는 직립면과, 내주끝 위의 경사면(6) 또는 곡면, 및 환현홈(8)을 제작하기가 대단히 용이하게되므로, 그들의 치수정도 및 표면조도가 현저하게 증가될 수 있다. 외주관유닛(C)는 제1유닛(A)과 제2유닛(B)을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장치로서, 코안다슬릿(5)의 특정간극을 고정밀도로 할 수 있다.
전기한 유닛(C)의 양끝은 제1유닛(A)의 커플링플랜지(3) 및 제2유닛(B)의 커플링플랜지(9) 각각에 밀착항, 2개의 유닛 (A)(B)를 연결한다.
제2도 및 제3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외주관유닛(C)는, 제2유닛(B)의 외주끝면에 설치된 환형홈(8)을 덮어서 압축가스를 공급하는 통기부(11)와 연통하는 통시분포실(10)을 형성하여, 전기한 통기부(11)로부터 압축가스를 도관(12)을 경유하여 통기분포실(12)에 공급한다.
제1유닛(A), 제2유닛(B), 및 외주과유닛(C)사이의 연결은, 커플링플랜지(3) (9)에서의 나사체결에 의해 용이하게 행하여 질 수 있다.
나사체결에 의하여, 압축공기가 그곳으로부터 분출되는 코안다슬릿(5)의 간격은 특정간격으로 설정될 수 있다.
외주관 유닛(C)은 제1유닛(A)과 제2유닛(B)으로부터 제거 가능하며, 미리 설계되어 특정의 코안다 슬릿(5)을 형성하는 여러 가지 종류의 제1유닛(A), 제2유닛(B), 및 외주관유닛(C)가 사용가능하다.
이러한 것은, 종래의 코안다나선류 유닛의 경우에 조립시에 코안다슬릿(5)이 조정되는 어려움을 제거하여, 현장에서 수시로 유닛을 조립할 수 있게 하여, 편의성과 처리정도 및 효율을 현저하게 개선시킨다.
상술한 바와같이, 외주관 유닛(C)에는 도관 (12)이 설치되므로, 압축가스가 통기분포실(10)에서 균등하게 공급될 수 있어, 종래유닛에서의 균등한 압력공급의 문제점도 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안다나선류 유닛에 있어서는, 종래처럼 약 2-10kg/cm2의 압력으로 압축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압축기 및 가스봄베(gas bomb)가 사용될 수 있어, 원로 및 물품을 고속으로 운반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25-30m의 광섬유나 다른 케이블을 수초 내지 수분내에 관을 통해 통과시킬 수 있으며, 약 150m의 케이블도 통과시킬 수도 있다.
또한, 금속, 세라믹스, 중합체, 또는 기타 분말제의 분류뿐아니라, 고속운반, 건조 및 반응도 수행될 수 있다.
[예 1]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코안다나선류 유닛을 유입구(1)의 내경이 33mm, 유출구(4)의 내경이 21mm, 외주관(C)의 재경이 38mm이고 그 길이가 56mm, 코안다슬릿(5)의 간극이 0.18mm로 제조되었다.
이와같은 유닛은 제조하기가 용이하였으며, 코안다슬릿(5)은 우수한 정도(精度)를 나타내었다.
[예 2]
예 1에서 제조된 유닛을 사용하여, 제4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l1=5m, l2=5m, l3=5m, l4=10m로 이루어진 전체길이 25m인 통로(13)를 통해 폴리에틸렌로우프를 통과시켰다.
통로(13)로서는 직경 22mm인 CD파이프가 사용되었으며, 폴리에틸렌로우프의 직경은 3mm이 있다.
통로(13)는 조인트박스(14)에서 가요성호오스(15)에 접속되고, 전기한 가요성호오스(15)에 전술한 코안다나선류 유닛(16)이 연결되었다.
가요성호오스(15)는 1.5m이 있다.
코안다나선류유닛(16)에는, 공기필터(17)와 개폐밸브(18), 및 압력게이지 (19)가 설치되었다.
압축기를 사용하여 압축공기가 공급되었다.
압력이 6kg/cm2인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케이블을 수초동안에 25m길이의 통로(13)를 통해 통과시킬 수 있었다.
관통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되었다.
제2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코안다나선류 유닛(16)의 제2유닛 내벽면의 경사각과, 내주끝 위의 경사면(6)의 경사각은 60。로 설정되었다.
150kg/cm2의 N2가스봄베를 사용하여 유사한 작업이 수행되면, 6kg/cm2의 압력으로 매우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었다. 더욱이, 연결단자가 있는 직경2.8mm의 광케이블도, 내경 22mm이고 길이 25mm인 통로를 통해 통과되었다. 케이블에 아무런 손상을 입히지 않고 관통작업이 약 2분내에 행하여 질 수 있었다.
[예 3]
예 1에서 제조된 코안다나선류 유닛을 사용하여, 평균입자크기가 2mm인 실리카입자가 운반되었다.
3kg/cm2의 압축공기압력으로, 30m 길이의 통로를 통해 실리카 입자의 원활한 움반이 실행되었다.
실리카입자의 내벽에 대한 충돌 또는 마찰이 실제로 없음을 알 수 있었다.
1회 통과후의 수분율은 최초값의 70%로 저감되어, 건조효과도 양호하였다.
코안다슬릿의 0.24mm인, 예 1의 것과는 다은 코안다나선류 유닛이 사용되면, 바람직한 운반 및 건조효과가 얻어졌다.
본 발명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장치는 유닛의 크기, 코안다슬리간극, 압축가스압력, 통로의 내경 및 길이에 따라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2)

  1. 말단의 유입구(1)와, 전기한 유입구(1)의 반대쪽 외주끝 위의 직립 또는 경사면(2), 및 커플링플랜지(3)를 보유하는 제1유닛(A)과, 유출구(4)와, 전기한 유출구(4)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보유하며, 전기한 제1유닛(A)의 외주끝위의 직립 또는 경사면(2)에 대향하여 코안다슬릿(5)을 형성하는 내주끝 위의 곡면 또는 경사면(6)과, 전기한 내주끝 위의 곡면 또는 경사면(6)으로부터 전기한 유츨구(4)쪽을 향해 원추형상으로 테이퍼진 경사면(7)과, 외주끝면 위의 환형홈(8), 및 커플링 플랜지(9)를 보유하는 제2유닛(B)과, 전기한 제1유닛(A)의 외주끝 위의 직립 또는 경사면(2)과 전기한 제2유닛(B)의 외주끝면 위의 환형홈(8)을 덮는 통시부(11)와, 전기한 제1 및 제2유닛(A)(B)의 커플링플랜지(3)(9)와 밀착하여 전기한 통기부(11)와 연통하는 통기분포실(10)을 형성하는 양끝을 보유하는 제거가능한 외주관유닛(C)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안다나선류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외주관유닛(C)에는 압축공기를 균등하게 공급하는 도관(12)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안다나선류 유닛.
KR1019900014277A 1990-05-18 1990-09-10 코안다나선류 유닛 KR01656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28289A JP2517779B2 (ja) 1990-05-18 1990-05-18 コアンダスパイラルフロ―ユニット
JP2-128289 1990-05-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9691A KR910019691A (ko) 1991-12-19
KR0165672B1 true KR0165672B1 (ko) 1998-12-01

Family

ID=14981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4277A KR0165672B1 (ko) 1990-05-18 1990-09-10 코안다나선류 유닛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456931B1 (ko)
JP (1) JP2517779B2 (ko)
KR (1) KR0165672B1 (ko)
CN (1) CN1022230C (ko)
AU (1) AU640943B2 (ko)
CA (1) CA2024857C (ko)
DE (1) DE6902660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3695B2 (ja) * 1991-11-28 1998-09-24 清之 堀井 通線装置
DE10001717C1 (de) 2000-01-18 2001-04-26 Xcellsis Gmbh Brennstoffzellensystem
DE102004007104A1 (de) 2004-02-13 2005-08-25 Ballard Power Systems Ag Coanda-Strömungsverstärker,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Coanda-Strömungsverstärkers und mit einem Coanda-Strömungsverstärker ausgestattetes Brennstoffzellensystem
CN101318594B (zh) * 2007-06-06 2012-09-26 贵阳铝镁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使粉状物料从稀相输送向浓相输送转化的方法及装置
CN108386393B (zh) * 2016-08-01 2019-05-28 西南大学 一种适合低温条件下使用的空气放大器的工作方法
CN106743674B (zh) * 2017-02-28 2022-12-23 中国空气动力研究与发展中心高速空气动力研究所 一种将固体粉末送入高速气流的装置
CN108980121B (zh) * 2018-06-26 2019-08-27 湖南人文科技学院 一种双向进气型气力提升泵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44069A (en) * 1921-06-18 1923-02-06 Ottawa Silica Co Flow accelerator for pipe-line sand conveyers
US2310265A (en) * 1939-09-18 1943-02-09 Robert P Sweeny Pneumatic conveying apparatus
GB994811A (en) * 1962-08-12 1965-06-10 Zippel Richar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nveying fibres
DE1263658B (de) * 1964-02-20 1968-03-21 Hoelter H Foerderduese fuer den untertaegigen Bergbau
DE1431782A1 (de) * 1965-09-06 1968-11-28 Hermann Schmidt Vorrichtung zum pneumatischen Foerdern von Schuettgut
AU494235B2 (en) * 1976-03-05 1977-09-08 Roy Hillis Franklin Propulsive device
JPS55167930U (ko) * 1979-05-17 1980-12-03
JP2506108B2 (ja) * 1987-04-20 1996-06-12 住友石炭鉱業株式会社 多段コアンダスパイラルフロ−生成装置
FR2637880A1 (fr) * 1988-10-14 1990-04-20 Goavec Sa Impulseur pour installation de transport pneumatique de produits pulverulents
SE462796B (sv) * 1989-01-11 1990-09-03 Abb Stal Ab Ejektor med perifer tillfoersel av drivg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229190A (en) 1991-11-21
CA2024857A1 (en) 1991-11-19
KR910019691A (ko) 1991-12-19
DE69026606D1 (de) 1996-05-23
AU640943B2 (en) 1993-09-09
EP0456931B1 (en) 1996-04-17
CN1022230C (zh) 1993-09-29
CN1056738A (zh) 1991-12-04
CA2024857C (en) 1996-07-16
DE69026606T2 (de) 1996-09-12
JPH0423736A (ja) 1992-01-28
EP0456931A1 (en) 1991-11-21
JP2517779B2 (ja) 1996-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4129A (en) Production efficient venturi insert
US4411388A (en) Apparatus for conveying lightweight particulate matter
US5118226A (en) Method for passing a cable, a wire or an optical fiber through a passage
US6749374B1 (en) Flow development chamber for creating a vortex flow and a laminar flow
US5429156A (en) Pneumatic transmission apparatus
JPH0660640B2 (ja) 管路に螺旋流体流を生成させる装置
KR0165672B1 (ko) 코안다나선류 유닛
JPH03244895A (ja) エルボ
US5188868A (en) Method for coating surfaces of a powdered material by directing coating material into coanda spiral flow of powdered material
US3973802A (en) Conveyor line fluidizer
US466853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fusion bonded powder coatings to the internal diameter of tubular goods
JP2506108B2 (ja) 多段コアンダスパイラルフロ−生成装置
JPS62264120A (ja) 固体粒子の輸送方法
JPH0423039B2 (ko)
US6254335B1 (en) Device for admixing a first fluid into a second fluid
JPS6326046B2 (ko)
JPS63150500A (ja) 二重筒コアンダスパイラルフロ−装置
US3425749A (en) Conveyor pipe re-entrainment apparatus
JP2544372B2 (ja) 局所除塵方法
JP2506107B2 (ja) コアンダスパイラルフロ−制御装置
JP2599133B2 (ja) コアンダスパイラルフロー生成装置
JP2588206B2 (ja) 通線方法
JPS63310420A (ja) 空気輸送装置
JP2643987B2 (ja) 流体輸送装置
JPH051224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