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3399B1 - 장애자용 브레이크 록 장치 - Google Patents

장애자용 브레이크 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3399B1
KR0163399B1 KR1019960017695A KR19960017695A KR0163399B1 KR 0163399 B1 KR0163399 B1 KR 0163399B1 KR 1019960017695 A KR1019960017695 A KR 1019960017695A KR 19960017695 A KR19960017695 A KR 19960017695A KR 0163399 B1 KR0163399 B1 KR 0163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hand control
lock
lever
control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7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4424A (ko
Inventor
최상대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17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3399B1/ko
Publication of KR970074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4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3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33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60T7/10Disposition of hand control
    • B60T7/102Disposition of hand control by means of a tilting lever
    • B60T7/104Disposition of hand control by means of a tilting lever with a lock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1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n ultimate actuato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자용 브레이크 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장애자의 신체적 조건을 감안하여 신호대기 혹은 지속적인 정차시에 브레이크를 수직식 핸드 콘트롤 시스템에 적용되는 핸드 콘트롤 레버를 이용하여 록(lock)상태로 유지 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핸드 콘트롤 레버(21)의 하단이 회전중심점을 이루도록 힌지(25)로 결합되는 레버 브래킷(22)의 일측에 상기 회전중심점과 동일반경을 가지며 그 내측에 세레이션(35)이 형성된 록 플레이트(23)를 설치하고, 핸드 콘트롤레버의 노브(26) 일측에는 브레이크 록 스위치(28)를 설치하며, 핸드 콘트롤 레버의 중간에는 브레이크 록 스위치의 전원인가에 따라 록 플레이트의 세레이션에 걸릴 수 있는 록 핀(36)을 갖는 전기액튜에이터(24)를 설치한 것이다.

Description

장애자용 브레이크 록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적용대상이 되는 수직식 핸드 콘트롤 시스템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세예의 브레이크 록 장치 사시도.
제3도는 그 요부 종단면도.
제4도는 그 록 플레이트와 록 핀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제5도는 종래의 수평식 핸드 콘트롤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핸드 콘트롤 레버, 22:레버 브래킷,
23:록 플레이트, 24:전기액튜에이터,
25:힌지, 26:노브,
28:브레이크 록 스위치, 31:세레이션,
36:록 핀, 37:로드(rod),
38:안내파이프, 39:솔레노이드,
40,40',40:슬롯
본 발명을 장애자용 브레이크 록 장치(Brake lock device for a Handicapped person)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에서 장애자를 위하여 제동페달과 가속페달을 핸들을 이용하여 작동시키는 장치는 핸들이 수평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다고하여 일명 수평식 핸드콘트롤시스템(Horizontal hand control system )이라고 하고 있다.
이 수평식 핸드 콘트롤 시스템은 제5도와 같이 조향 칼럼(51)에 클램프(52)를 설치하고, 이 클램프(52)에 레버(54)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 레버(54)는 손잡이(53)를 가지고 조향컬럼(51)의 후방에서 가로질러 위치하며 회전축(55)을 레버(54)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클램프(52)의 베어링(56)상에 축설치한 것이며, 레버(54)의 회전축(55)양측에는 로드(57,57')의 상단을 각각 힌지결합하고, 로드(57,57')의 하단은 각각 제동페달(58)과 가속페달(59)에 클램프를 이용하여 연결시킨 것이다.
이에 따라 손잡이(53)를 아래로 내리면(A방향)레버(54)가 회전축(55)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로드(57)는 A방향으로 내려가 제동페달(58)을 누르게 되고, 동시에 로드(57')는 A'방향으로 올라가 가속페달(59)을 완전히 복귀시키게 된다. 반면에, 손잡이(53)를 위로 올리면 (B방향) 레버(54)가 회전축(55)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로드(57)는 B방향으로 올라가 제동페달(58)을 완전히 복귀시키게 되고, 동시에 로드(57')는 B'방향으로 내려가 가속페달(59)를 누르게 된다. 즉, 다시말해 손잡이를 내리면 제동되고, 손잡이를 올리면 가속되는 현상이 되는 식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시스템에 있어서는 레버가 가로방향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레버작동시 레버가 실내 전방의 크래쉬 패드와 운전자 사이에서 서로 간섭을 발생하게 되고,도어 내측과도 간섭을 일으키며, 이로 인해 장애자의 운전에 장애를 유발하게 되고, 제동시 스트로크가 부족하여 제동성능을 만족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그래서, 이번에 본인이 개발한 것이 일명 수직식 핸드 콘트롤 시스템(Vertical hand control system)인데, 이는 제1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제동부스터(11)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제동페달 힌지(6)에 결합되는 제동페달(1)과, 일단이 상기 제동페달 힌지(6)에 동축으로 결합되고 중간에 상기 제동페달(1)을 누를 수 있는 댐퍼 브래킷(15)이 용접되며 타단이 작동대(16)와 힌지핀(17)으로 결합되는 제동페달 작동레버(2)와, 차체에 고정되는 힌지 브래킷(18)에 힌지핀(19)으로 결합되는 가속페달(3)과, 이 가속페달(3)과 상기 제동페달(1)사이에서 상기 제동페달 작동레버(2)에 연동하여 상기 가속페달(3)을 가속상태로 당길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가속페달 작동암(4)으로 구성시킨 것이다.
따라서, 작동대(16)를 전방(D방향)으로 움직이면 제동페달 작동레버(2)가 제동패달 힌지(6)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댐퍼 브래킷(15)이 제동페달(1)을 눌러 제동이 달성되고, 작동대(16)를 후방(E방향)으로 움직이면 제동페달 작동레버(2)가 제동페달 힌지(6)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가속페달 작동암(4)을 당기게 되고 이에 따라 가속페달(3)의 케이블(21)측이 당겨지므로 가속이 실현된다.
상기 작동대는 기종 차량의 사이드 브레이크 레버가 장착되는 부위의 근방에 설치되는 핸드 콘트롤 레버에 의하여 당겨지거나 밀리도록 하고 있는 바, 이러한 핸드 콘트롤 레버는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에 하단이 회전중심점이 되도록 힌지 결합되어 있고, 상부에는 노브가 부착되며 중간에는 수직식 핸드 콘트롤 시스템의 작동대가 힌지결합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에서 간과하고 있는 부분은 장애자가 신호대기 혹은 지속적인 정차를 위해 핸드 콘트롤 레버를 계속 당기고 있게 하거나 주차 브레이크 레버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렇게 되면 장애자에 따라서는 그조작이 매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장애자의 신체적 조건을 감안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애자의 신체적 조건을 감안하여 신호대기 혹은 지속적인 정차시에 브레이크를 록(lock)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장치를 수직식 핸드 콘트롤 시스템에 적용되는 핸드 콘트롤 레버에 장착시키는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핸드 콘트롤 레버의 하단이 회전중심점을 이루도록 힌지로 결합되는 레버 브래킷의 일측에 상기 회전중심점과 동일반경을 가지며 그 내측에 세레이션이 형성된 록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상기 핸드 콘트롤 레버의 노브 일측에는 브레이크 록 스위치를 설치하며, 상기 핸드 콘트롤 레버의 중간에는 상기 브레이크 록 스위치의 전원인가에 따라 상기 록 플레이트의 세레이션에 걸릴 수 있는 록 핀을 갖는 전기액튜에이터를 설치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따라, 핸드 콘트롤 레버를 후방으로 당기면 힌지를 회전중심점으로 회전하여 수직식 핸드 콘트롤 시스템을 제동상태로 작동시키게 되는데 , 이러한 상태에서 브레이크 록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전기액튜에이터에 전원이 인가되어 록 핀이 록 플레이트의 세레이션에 걸리게 되므로 제동상태는 계속 유지되고, 브레이크 록 스위치를 복귀시키면 상기 록 핀도 복귀하므로 브레이크의 록상태를 해제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2도 및 제3도에 있어서, 부호 21을 핸드 콘트롤 레버이고, 22는 레버 브래킷, 23은 록 플레이트, 24는 전기액튜에이터이다.
핸드 톤트롤레버(21)는 하단이 레버 브래킷(22)과 힌지(25)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있다. 즉, 힌지(25)는 핸드 콘트롤 레버(21)의 하단에 용접된 아이부(eye part)로서, 이 아이부가 레버 브래킷(22)의 양측에 너트(29)로 체결되는 볼트(30)의 몸통에 컬러와 부시를 사이에 두고 결합된 것이다.
상기 핸드 콘트롤 레버(21)의 상단에는 노브(26)가 설치되어 있고, 노브(26) 일측의 절곡부에는 스위치 노브(27)를 갖는 브레이크 록 스위치(28)가 설치되어 있으며, 중간에는 전기액튜에이터(24)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전기 액튜에이터(24)가 설치된 부근인 핸드 콘트롤 레버(21)의 측단부에는 작동대(31)의 단부에 용접된 포크(32)가 힌지핀(33)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레버 플레이트(22)는 차체(예:콘솔 박스 옆)에 결합되는 고정브래킷(34)이 저면에 용접된 것으로서, 양측이 말려올라가 있고, 이렇게 말려올라간 부분의 중앙에 상기한 바와같이 힌지(25)가 구성된 것이다.
록 플레이트(23)는 핸드 콘트롤 레버(21)와 일정간격 떨어진 지점에서 레버 브래킷(22)의 측면 절곡부 양쪽에 용접되는 것으로서, 힌지(25)의 중심축과 동일한 반경을 갖는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록 플레이트(23)의 힌지(25)측 내면에는 세레이션(3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세레이션(35)은 제2도의 좌측이 전방이라고 할 때 록 플레이트(23)의 전방에 해당하는 2분의 1구간에만 형성되어 있다.
전기액튜에이터(24)는 핸드 콘트롤 레버(21)의 중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브레이크 록 스위치(28)의 전원인가에 따라 작동되고, 이 작동에 따라 상기 록 플레이트(23)의 세레이션(35)에 걸릴 수 있는 록 핀(36)을 보유하고 있는 로드(37)가 안내파이프(38)에서 상하로 안내되도록 설치된 솔레노이드(39)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에서 솔레노이드(39)는 핸드 콘트롤 레버(21)면에 스크류로 고정되어 있고,
안내파이프(38)을 핸드 콘트롤 레버(21)면에 용접되어 있다.
또, 록 핀(36)은 로드(37)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록 핀(36)의 양단은 안내파이프(38)의 양측에 형성된 슬롯(40,40')을 따라 상하로 안내되도록 끼워져 있고, 이 록 핀(36)의 일단은 록 플레이트(230의 내측에, 타단을 핸드 콘트롤 레버(21)에 형성된 슬롯(40)에 끼워져 있다. 이에 따라 록 핀(36)을 핸드 콘트롤 레버(21)의 슬롯(40)과 안내파이프(38)의 슬롯(40,40') 및 록 플레이트(23)의 내측 사이에서 동시에 상하로 안내되며 움직이게 된다. 부호41은 본 발명의 브레이크 록 장치에서 노브(26)와 브레이크 스위치(28)을 제외한 외부에 씌워지는 부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례의 작용을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브레이크 록 스위치(28)의 노브(27)를 ON상태로 전환하면 솔레노이드(39)가 작동하여 로드(37)가 위로 당겨지면서 록 핀(36)이 같이 올라온다.
반면에, 브레이크 록 스위치(28)의 스위치 노브(27)를 OFF 상태로 전환하면 솔레노이드(39)가 작동하지 않아 로드(37)가 밑으로 복귀하게 되면서 록 핀(36)이 같이 내려간다.
상기 록 핀(36)은 제4도와 같이 핸드 콘트롤 레버(21)이 전후방르로 회전되지 않고 있는 때에는 기준선(C)상의 P0지점에 와 있다가 핸드 콘트롤 레버(21)를 B방향으로 젖히게 되면 P1지점으로 이동하여 제동상태로 전환되는 것으로서, 제동완료선(C')에 이를 때에 제동이 완료된다. A방향으로 전환될 때에는 가속상태로 전환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동완료선(C')에서 브레이크 록 스위치(28)를 ON으로 작동시키면 록 핀(36)이 P1지점에서 P2지점으로 이동하여 록 플레이트(23)의 세레이션(35)에 걸리게 되고, 브레이크 록 스위치(28)를 OFF로 전환시키면 상기의 역순으로 록 핀(36)이 이동한다.
따라서 핸드 콘트롤 레버(21)를 후방(B)으로 당기면 힌지(25)를 회전중심점으로 회전하여 전기한 수직식 핸드 콘트롤 시스템을 제동상태로 작동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브레이크 록 스위치(28)을 작동시키면 솔레노이드(39)에 전원이 인가되어 록 핀(36)이 록 플레이트(23)의 세레이션(35)에 걸리게 되므로 제동상태는 계속 유지되고, 브레이크 록 스위치(28)를 복귀시키면 상기 록 핀(36)도 복귀하므로 브레이크의 록상태는 해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을 본 발명은 장애자의 신체적 조건을 감안하여 신호대기 혹은 지속적인 정차시에 주차 브레이크를 사용하지 않고도 브레이크를 핸드 콘트롤 레버를 사용하여 록(lock)상태로 간단하게 전환하여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핸드 콘트롤 레버의 하단이 회전중심을 이루도록 힌지로 결합되는 레버 브래킷의 일측에 상기 회전중심점과 동일반경을 가지며 그 내측에 세레이션이 형성된 록 플레이트를 설치하고,상기 핸드 콘트롤 레버의 노브 일측에는 브레이크 록 스위치를 설치하며, 상기 핸드 콘트롤 레버의 종간에는 상기 브레이크 록 스위치의 전원인가에 따라 상기 록 플레이트의 세레이션에 걸릴 수 있는 록 핀을 갖는 전기액튜에이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자용 브레이크 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레이션은 록 플레이트의 전방에 해당하는 2분의 1구간에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르로하는 장애자용 브레이크 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액튜에이터는 상기 브레이크 록 스위치의 전원인가에 따라 작동되고, 이 작동에 따라 상기 록 플레이트의 세레이션에 걸릴 수 있는 록 핀을 보유하고 있는 로드가 안내파이프에서 상하로 안내되도록 설치된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장애자용 브레이크 록 장치.
KR1019960017695A 1996-05-23 1996-05-23 장애자용 브레이크 록 장치 KR0163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7695A KR0163399B1 (ko) 1996-05-23 1996-05-23 장애자용 브레이크 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7695A KR0163399B1 (ko) 1996-05-23 1996-05-23 장애자용 브레이크 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4424A KR970074424A (ko) 1997-12-10
KR0163399B1 true KR0163399B1 (ko) 1998-12-01

Family

ID=19459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7695A KR0163399B1 (ko) 1996-05-23 1996-05-23 장애자용 브레이크 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339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4424A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32261B2 (ja) 自動車の縦運動及び横運動を制御するための操作素子装置
EP1795411B1 (en) Electric parking brake
US4991699A (en) Parking brake apparatus
KR0163399B1 (ko) 장애자용 브레이크 록 장치
KR102627204B1 (ko) 운전 보조 장치
KR100223471B1 (ko) 장애자용 제동 및 가속페달 조정장치
JPH1081244A (ja) 自動車の少なくとも縦運動を制御するための操作素子装置
JPH0425407Y2 (ko)
JPH03276850A (ja) 小型電動車
DE19533235A1 (de) Pedal zum Betätigen einer Kraftfahrzeugbremse
KR100511857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페달 시스템
KR101460701B1 (ko) 장애인용 차량 운전 보조장치
JPS5939072Y2 (ja) 車速制御装置
JPH0241072Y2 (ko)
JPH0243791Y2 (ko)
KR100214716B1 (ko) 자동차의 운행 제어시스템
JPH0484412U (ko)
KR920001044Y1 (ko) 자동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KR900004453Y1 (ko) 진동로울러의 비상 정지 장치
KR0178649B1 (ko) 주차브레이크의 페달식 조작장치
JP3509434B2 (ja) 小型電動車
JPH0635067U (ja) フォークリフト
KR980007755U (ko) 차량용 풋 파킹 브레이크의 릴리스레버구조
ES2128194A1 (es) Aleron perfeccionado para automoviles.
KR0125692Y1 (ko) 자동차의 파킹브레이크 조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