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4453Y1 - 진동로울러의 비상 정지 장치 - Google Patents

진동로울러의 비상 정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4453Y1
KR900004453Y1 KR2019870015823U KR870015823U KR900004453Y1 KR 900004453 Y1 KR900004453 Y1 KR 900004453Y1 KR 2019870015823 U KR2019870015823 U KR 2019870015823U KR 870015823 U KR870015823 U KR 870015823U KR 900004453 Y1 KR900004453 Y1 KR 9000044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emergency stop
vibration roller
driving
driv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58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6704U (ko
Inventor
김석환
Original Assignee
김오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오순 filed Critical 김오순
Priority to KR20198700158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4453Y1/ko
Publication of KR8900067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7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44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4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95Selector apparatus with mechanisms to return lever to neutral or datum position, e.g. by return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312/00Driving activities
    • F16H2312/18Strong or emergency brak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진동로울러의 비상 정지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비상정지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일부를 절개한 저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비상정지장치의 내부구조의 측면 설명도.
제4도는 제3도의 요부 사시도.
제5도는 레버커넥타 및 브레이크아암을 제4도와 다른 방향으로 본 사시도.
제6도 본 고안의 비상정지장치를 실시한 진동로울러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진동로울러 5 : 장치대
8 : 가이드핸들 10 : 주행레버
20 : 보조레버
본 고안은 로면의 돌출부를 다지는 진동로울러의 전후진시에 있어서 이를 운행하는 인명과 시설물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비상정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진동로울러는 차량후방에 돌출시킨 장치대에서 차량의 전진, 정지 및 후진의 변환을 주관하는 주행레버를 설치하고 또 주행방향을 결정하는 가이드핸들을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 진동로울러는 작업자가 주행레버를 조작하거나 가이드핸들로서 차량의 진행방향을 유도하기 때문에 장치대는 작업자의 허리부근에 위치하는 것이여서 진동로울러의 후진시에는 작업자가 장치대와 벽등의 장애물 사이에 끼어서 압박되는 사고가 발생하고 또 장애물이 없을 경우에도 부주의로서 장치대에 밀려 넘어져 로울러에 깔리는 사고가 발생한다. 또한 진동로울러가 급경사면에 진입되어 앞으로 넘어지면 작업자의 손이 주행레버에 닿지 못하여 진동로울러가 폭주하는 사고도 발생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사고를 예방하는 비상정지장치로서는 주행레버의 작동방향을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하되 그 레버의 손잡이를 레버가 후진 위치에 있을때에는 손잡이 끝이 장치대보다 뒷쪽으로 나와있게끔 하고 정지위치에 있을때에는 손잡이 끝이 장치대 끝과 동일선상에 위치하게끔 꺽어 형성한 것이 있다.
그러나 이 구조는 차량의 후진시에 조작레버 손잡이가 작업자의 몸에 접근할때까지는 정지하지 않으며, 주행관성으로서 필요한 시간에 정지되지 않는 결점이 있으며, 또한 작업자가 조작레버 손잡이에 닿지 않고 넘어지는 경우는 정지되지 않는 결점이 있다.
또 진동로울러가 앞으로 조급하게 기울어지는 경우에는 장치대의 조작 레버 손잡이에 작업자의 손이 닿지 않으므로 역시 차량의 폭주되는 결점은 방지할 수 없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비상정지장치의 문제점을 제거코자한 것으로서 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후방에 돌출시킨 장치대에 전진, 정지, 후진, 변환을 주관하는 주행레버를 설치하고 또 장치대 후단에 가이드핸들을 설치한 공지의 진동로울러에 있어서, 주행레버를 항상 중립 위치로 복귀하게끔 주행레버의 고정 및 해제를 수행하는 보조레버를 주행레버와 연계하여 설치하여 이 보조레버는 주행중 운전자가 진동로울러의 주행레버를 제어할 수 없는 돌발사고가 발생시 중립위치로 변환시켜 진동로울러를 정지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의 비상정지장치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6도는 본 고안의 비상정지장치가 적용되는 공지의 진동로울러의 측면도인데 진동로울러(1)는 로울러부(2)를 가지는 차량본체(3) 및 차량후방에 유도관(4)을 통하여 설치한 장치대(5)로서 구성된 것이며, 이 장치대(5) 끝에는 막대 모양의 가이드핸들(8)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장치대(5)내에는 주행레버(10) 및 기타 운전에 필요한 레버 즉 진동을 개시하기 위한 진동레버(9)등이 축설된다.
본 고안의 이러한 공지의 진동로울러(1)의 장치대(5)에 비상정지장치를 설치한 것으로서 장치대(5)의 안내홈(7a)내에 슬라이딩되게 축설된 주행레버(10) 및 그 레버를 고정 및 해제하는 보조레버(20)로 구성되나 보조레버(20)가 진동로울러의 동작중 주행레버(10)의 기 선택된 전진 및 후진 위치가 운전자의 조작없이 중립위치로 환원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는 보조레버(20)와 연계되며 장치대(5)의 하단에 위치한 브레이크 기구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는 주행레버(10) 끝을 장치대(5)내에 핀(P1)으로서 축설한 레버 커넥터(11)에 부착하는 것으로서 커넥터(11)이 주행레버(10)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하고, 또한 차량구동용의 유압 모터(도시없음)의 전진, 정지, 후진, 변환용 밸브에 연결되는 로드(12)를 이 레버 커넥터(11)의 연결편(11b)에 핀(P3)으로 축설하는 것으로서 주행레버(10)를 앞으로 밀면 차량의 전진을, 중립 위치에서는 정지를 뒤로 당김으로서 후진동작을 행하게 된다. (제3도 및 제4도 참조)
레버 커넥터(11)의 하단면(1k)이 시이소오 모양으로 변환되게끔 압축코일 스프링(16)(17)(18)으로서 윗쪽으로 탄설한 승강판(13)을 밀접시키고 이 승강판(13)은 가이드축(14) 및 (15)로서 장치대 밑판(6)위에 승강자재되게 부착하며 하단면(11C)의 각도를 그 끝단면이 승강판(13)과 전체면적이 접촉할때에 주행레버(10)가 중립위치로 되게 설정한다. (제3도 및 제4도 참조)
또한 레버 커넥터(11)의 측면 아래에 부채모양의 브레이크판(11d)이 나와있게 설치하고 (제5도 참조) 이 브레이크판(11d)의 브레이크면을 장치대 밑판(6)에 뚫은 틈새(6a)를 통해 장치대 밑판(6) 뒷면에 노출시킨다. (제2도 및 제3도 참조)
장치대 밑판(6) 뒷면에는 이 브레이크판(11d)를 사이에 끼어 브레이크판을 압착하기 위한 브레이크아암(24) 및 브레이크 받침(25)를 설치한다.
브레이크아암(24)는 핀(P4)로서 한끝을 장치대 밑판(6)에 축설하는 것으로서 브레이크판(11d)에 대하여 패드면(24a)이 접촉 또는 이탈되게 하고 브레이크 받침(25)은 한쪽 끝에 돌설된 축(26)을 장치대 밑판(6)에 고정된 베어링(27)에 끼워 왕복될 수 있게 하고 그 사이에 접시형 스프링군(28)을 끼워 적당한 압력을 가지고 브레이크판(11d)에 대하여 패드면(25a)이 접촉되게 한다. (제2도 참조)
이 경우 브레이크 받침(25)의 압력은 브레이크아암(24)의 패드면(24a)이 브레이크판(11d)에 접촉될때, 주행레버(10)의 중립위치로의 자연적 복귀력에는 저항하나, 조종자에 의한 주행레버(10)의 슬라이딩은 방해하지 않을 정도로 브레이크판(11d)이 접촉되게끔 조정 및 설정된다.
상기 브레이크아암(24)의 일측에는 레버작용으로 브레이크판(11d)에 패드면(24a)을 압압시키기 위한 캠(23)을 배치하고 이 캠(23)에는 장치대 밑판(6)에서 장치대 윗판(7)까지 수직으로 삽입된 축(21)이 끼워져 고정된다. (제3도 및 제4도)
그리고 이 축(21)의 상하 2개소에 아암(20a) 및 (20b)를 고정하고 이 두개의 아암은 슬라이딩 회전되면 가이드 핸들(8)에 도달하는 길이로 설정하고, 양 아암끝을 가이드핸들(8)에 결합가능하게 손잡이(20C)로서 연결하여 보조레버(20)을 구성한다. (제4도 참조)
또한 이 축(21)에는 일단은 장치대 윗판(7)에 타단은 아암(20a)에 고정된 코일 비틀림(22)를 밖에 끼워 보조레버(20)가 가이드핸들(8)과 결합 또는 이탈되는 방향으로 탄발되게끔 설치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첨부 도면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주행레버(10)의 손잡이부(10a)를 레버가 후진위치에 있을때에 손잡이끝이 장치대보다 후방으로 나와 있게하고 정지위치에 있을때는 손잡이 끝이 장치대 후단과 동일선상에 위치하게끔 후방으로 꺽어 형성하며, 또한 장치대 윗판(7)에 주행레버(10)의 슬라이딩 방향을 안내하는 안내홈(7a)을 설치하고 이 안내홈을 주행레버가 정지위치일때에는 크랭크 중간부에 위치하는형으로 한다. (제1도 참조)
이는, 주행레버(10)은 차량 전후방향 뿐만 아니라 좌우방향으로도 슬라이딩할 필요가 있으므로, 레버커넥터(11)에 좌우방향으로 홈(11a)를 설치하고 이 홈내에 핀(P2)로서 주행레버(10)를 축설하여 좌우방향으로도 슬라이딩을 자유롭게 할 수 있게 한 구조인 것이다. (제4도 및 제5도 참조)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비상정지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A : 진동로울러(1)의 주행개시전에 압축코일(16)에 의해 탄설된 승강판(13)으로서 레버커넥터(11)의 하단면(11C)이 전체 면접촉상태로 압압되어 주행레버(10)는 중립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제4도의 상태)
B : 다음에 보조레버(20)을 손잡이(20C)가 가이드핸들(8)에 감싸져 결합할때까지 당기면 축(21)에 끼워진 캠(23)이 회전됨으로 브레이크아암(24)이 브레이크판(11d)을 밀착시켜 주행레버(10)가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브레이크판(11d)을 밀착시키는 힘보다 세게 주행레버(10)을 전진 또는 후진위치로 강압적으로 움직이면(제3도는 후진 상태를 표시함)이 밀착된 압력은 승강판(13)의 상승에 의한 주행레버(10)의 중립위치 복귀력에 이기고 있는 것이므로 주행레버(10)에서 손을 떼어도 주행레버는 주행 위치로 멈추어 있다.
C : 그리고 보조레버(20)를 당기는 것을 해제하면 이 레버는 코일 비틀림 스프링(22)으로서 당초 위치로 복귀하여 브레이크아암(24)에 의한 브레이크판(11d)을 밀착시키는 힘이 해제되어, 승강판(13)에 대하여 시이소 모양으로 경사하고 있던 레버커넥터 하단면(11C)이 승강판(13)이 상승되면서 회전되어 면접촉부위까지 압압되어 주행레버(10)가 중립상태로 되돌아가서 결과적으로 진동로울러(1)의 주행이 중지되는 것이다.
즉, 진동로울러의 주행중 당겨잡고 있던 보조레버(20)을 어떠한 돌발상황에 의해 놓게 되면 보조레버(20)는 코일 스프링(22)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게 되고 동시에 보조레버(20)의 끝단에 위치한 캠(23) 또한 브레이크아암(24)을 압착하고 있던 것을 해제시켜 줌으로서 승강판(13)의 상승을 유도시키게 되고 승강판(13)은 상단에 위치한 커넥터(11)의 시이소오형 하단면(11C)이 회전되어 면 접촉되도록 압축코일 스프링(16)(17)에 의해 상승되므로 결과적으로 주행레버(10)이 중립위치로 자동으로 이동되어 진동로울러의 로울러부(2)의 회전력이 제어되어 정지되는 것이다.
한편, 실시예에서는 브레이크받침(25)을 설치하고 접시형 스프링으로서 적당한 압력을 가지고 항시 브레이크판(11d)에 압압되어 있으므로 주행레버(10)의 중립위치으로의 급격한 복귀가 마찰력으로서 완화하게 된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1) 보조레버를 잡고 있을 경우만 진동로울러의 주행이 유지되고, 놓으면 자동적으로 정지하는 것이므로, 위험시에는 손을 떼는 인간의 본능에 합치하여 확실한 비상정지가 얻어진다.
2) 작업자가 조작레버에 닿지 않고 넘어지는 경우에서도 확실한 비상정지가 얻어진다.
3) 종래장치는 장치대가 작업자의 배부분에 접근하여서부터 작용하는 것인데 본 고안의 장치는 그 이전에 작동함으로 관성이 있어도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4) 진동로울러가 홈이나 경사면에 빠져 앞으로 급격하게 넘어진 경우에는 장치대에 작업자의 손이 닿지 않게 됨으로 보조레버를 놓게되어 종래 장치와 달리 확실한 정지가 보장된다.
5) 보조레버를 진동로울러의 주행 수단으로 하는 가이드핸들과 결합하여 잡는 구조이므로, 주행레버외에 보조레버가 있어도 주행 작업상 번거롭지 않고 인간공학적으로 우수하다.
또한 실시예의 특유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6) 보조레버에 의하여 주행레버의 조여부쳐지는 힘을 주행레버의 중립위치로의 복귀력에는 저항되게 하나, 조정자에 의한 주행레버의 슬라이딩은 방해하지 않을 정도로 설정하고 있으므로, 안전장치를 실시한 상태에 있어도 자유로운 주행레버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7) 브레이크받침을 설치하여 적당한 압력을 가지고 항시 브레이크판을 압압하고 있으므로, 주행레버의 중립위치으로의 급격한 복귀에 의한 충격이 방지된다.
8) 주행레버의 손잡이부를 레버가 후진위치에 있을 때에는 손잡이 끝이 장치대보다 후방으로 나와 있게끔 하고, 정지위치에 있을 때에는 손잡이부 끝이 장치대 후단과 동일선상에 위치하게끔 후방으로 꺽어 형성시킨 것이므로 후진시에 있어서의 주행레버가 작업자에 맞닿을 때의 정지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3)

  1. 차량후방에 돌출시킨 장치대(5)에 슬라이딩으로서 차량의 전진, 정지, 후진, 변환을 수행하는 주행레버(10)을 축설하고 장치대 후단에 가이드핸들(8)을 설치한 진동로울러(1)에 있어서, 이 주행레버(10)를 항시 중립위치로 복귀하게끔 탄설하고 이 주행레버의 조임 및 해제를 수행하는 보조레버(20)을 설치하여 조임시에는 일단에 설치한 손잡이(20C)가 가이드핸들(8)에 결합하게끔 하고 해제시에는 이탈하게끔 장치대에 슬라이딩되게 탄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로울러의 비상정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보조레버(20)에 의하여 주행레버(10)가 조여부치는 힘을 주행레버(10)의 중립 위치로의 복귀력에는 저항하나 조종자에 의한 주행레버(10)의 슬라이딩은 방해하지 않을 정도로 설정한 진동로울러의 비상정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주행레버(10)의 슬라이딩방향을 차량전후방향으로 하고 그 레버의 손잡이부(10a)를 레버(10)가 후진위치에 있을때에는 손잡이부(10a) 끝이 장치대(5)보다 후방에 나와있게끔 하고 정지위치에 있을때에는 손잡이부(10a) 끝이 장치대(5) 후단과 동일선상에 위치하게끔 후방으로 꺽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로울러의 비상정지장치.
KR2019870015823U 1987-09-16 1987-09-16 진동로울러의 비상 정지 장치 KR9000044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5823U KR900004453Y1 (ko) 1987-09-16 1987-09-16 진동로울러의 비상 정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5823U KR900004453Y1 (ko) 1987-09-16 1987-09-16 진동로울러의 비상 정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704U KR890006704U (ko) 1989-05-15
KR900004453Y1 true KR900004453Y1 (ko) 1990-05-21

Family

ID=19268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5823U KR900004453Y1 (ko) 1987-09-16 1987-09-16 진동로울러의 비상 정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44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2312A (ko) * 2001-12-21 2003-06-27 주식회사 나노테크닉스 자동 우유 공급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2312A (ko) * 2001-12-21 2003-06-27 주식회사 나노테크닉스 자동 우유 공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704U (ko) 198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58536A (en) Cable control system
JPH01244950A (ja) 車両用の手動ブレーキ組立体
US2112607A (en) Lever mechanism
KR900004453Y1 (ko) 진동로울러의 비상 정지 장치
US4372178A (en) Operating force transmitting apparatus
KR102627204B1 (ko) 운전 보조 장치
JPH0578460B2 (ko)
JPH0128089Y2 (ko)
US4675485A (en) Handgrip having dead-man-switch action for construction equipment
US4106601A (en) Control device
US2200878A (en) Clutch-operated control
JPS605048Y2 (ja) 振動ロ−ラ−の非常停止装置
JP2521551Y2 (ja) 転圧機械の制動装置
JPH0247058Y2 (ko)
JPH01119437A (ja) アクセル機能を有すブレーキ装置
CN2059138U (zh) 机动车辆刹车、油门踏板一体化装置
US3419116A (en) Device for operating the control of both brake and accelerator of an automobile by single pedal
KR100397855B1 (ko) 풋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
KR0163399B1 (ko) 장애자용 브레이크 록 장치
SE9103821L (sv) Pedalanordning foer motorfordon
JPH029384Y2 (ko)
KR880000346Y1 (ko) 자동차 가속페달과 브레이크페달의 겸용 기능을 가진 페달장치
JPH021198Y2 (ko)
US2148499A (en) Locking device
JPS598926Y2 (ja) 移動車におけるブレ−キ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