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3238B1 - 호스 클램프 - Google Patents

호스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3238B1
KR0163238B1 KR1019950051485A KR19950051485A KR0163238B1 KR 0163238 B1 KR0163238 B1 KR 0163238B1 KR 1019950051485 A KR1019950051485 A KR 1019950051485A KR 19950051485 A KR19950051485 A KR 19950051485A KR 0163238 B1 KR0163238 B1 KR 0163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circular ring
shape
main body
ring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1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5741A (ko
Inventor
마사히로 아이하라
히로시 사쿠라다
이동아
Original Assignee
이동아
유신정밀공업주식회사
히로시 사쿠라다
닛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아, 유신정밀공업주식회사, 히로시 사쿠라다, 닛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동아
Priority to KR1019950051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3238B1/ko
Publication of KR970045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5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3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32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10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pivoting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4Clamps with pivoted ja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1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a substantially-radial tightening or secur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 체결력을 합리적으로 강화할 수 있으며, 또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호스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그 구성은 원형 고리형상으로 된 클램프 본체(1)의 양단부(1a),(1b)에 서로 교차하는 1쌍의 돌편 (2),(4)을 형성하여 이 각 돌편(2),(4)을 접근시킨면 원형고리형상으로 된 클램프 본체(1)의 지름이 넓어지고, 각 돌편(2),(4)의 접근을 해제하면 원형고리형상으로 된 클램프 본체(1)의 지름이 좁아지는 호스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원형고리형상으로 된 클램프 본체(1)의 외측둘레에 나선형상으로 감긴 탄성보강체(5)를 끼워 부착함으로써, 원형고리형상으로 된 클램프 본체(1) 전체에 대해서는 물론, 가이드 홈이나 좁은 폭치수 등으로 인하여 체결력의 저하가 우려되는 부위에 대해서도 탄성보강체(5)의 존재로 그 체결력을 효과적으로 강화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탄성보강체(5)를 끼워 부착하는 경우에는 종래와 같은 대형 장치나 지그를 사용하지 않아도 탄성보강체(5)의 나선형상을 이용하여 상기 탄성보강체(5)를 원형 고리형상으로 된 클램프 본체(1)의 외측둘레에 나사식으로 결합하기만 하면 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호스 클램프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호스 클램프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탄성보강체를 나타낸 정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탄성보강체를 원형고리형상으로 된 클램프 본체의 외측둘레에 끼워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4도의 (a)도 및 (b)도는 탄성보강체를 원형고리형상으로 된 클램프 본체의 외측둘레에 끼워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도는 정면도, (b)도는 평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호스 클램프를 탄성보강체가 끼워 부착된 상태로 나타낸 평면도.
제6도의 (a)도 내지 (d)도는 본 발명에 적용된 탄성보강체의 여러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원형고리형상으로 된 클램프 본체
1a : 원형고리형상으로 된 클램프 본체의 일단부
1b : 원형고리형상으로 된 클램프 본체의 타단부
2 : 일단부측에 형성된 돌편 3 : 가이드 홈
4 : 타단부측에 형성된 돌편 5,5a,5b : 탄성보강체
본 발명은 고무호스류를 접속파이프의 단부에 체결고정하는 호스 클램프로서, 특히 그 체결력을 강화한 호스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일반적인 호스 클램프는 1장의 금속평판재를 구부려서 형성하여 그 원형고리형상으로 된 클램프 본체의 일단부측에 외측으로 구부린 돌편을 형성함과 아울러 이 돌편에서 원형고리형상으로 된 클램프 본체에 걸쳐서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타단부측에는 상기 가이드 홈 내를 이행(移行)할 수 있는 좁은 폭치수를 부여하여 그 선단가장자리에 마찬가지로 외측으로 구부린 돌편(4)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호스 클램프를 사용할 때에는, 예를 들면, 플라이어(plier) 등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서로 교차하는 상기 1쌍의 돌편을 접근시켜 원형고리형상으로 된 클램프 본체의 지름을 넓히면서 체결대상이 되는 고무호스 위에 외측에서 끼운 후, 상기 각 돌편의 접근을 해제하면 폭이 작은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홈 내를 이행하여 원형고리형상으로 된 클램프 본체의 지름을 좁힘으로써 고무호스가 자동적으로 체결된다.
그러나, 상기 호스 클램프에 있어서 그 체결력을 강화하고자 할 경우에는 일단 판두께를 두껍게 하면 되지만, 판두께를 너무 두껍게 하면 원형고리형상으로 된 클램프 본체의 지름을 넓혔을 대에 소성변형을 일으킬 우려가 크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매우 곤란하다.
또한, 원형고리형상으로 된 클램프 본체의 일단부측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타단부측은 이에 대응하여 폭이 작게 되어 있는 관계로, 이 양부위에서는 필연적으로 판의 폭이 감소하여 체결력이 저하될 우려도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일본국 실용신안공보 소52-16436호에 나타낸 강화형 호스 클램프가 제안되어 있다.
이 강화형 호스 클램프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내측 클램프체와 외측 클램프체를 구비하는 이중구조로 되어 있으며, 전자의 내측 클램프체는 금속평판재를 원형고리형상으로 구부려서 형성하여 그 양단부에 통상 일반적인 것과 동일한 1쌍의 돌편을 형성하고, 후자의 외측 클램프체도 역시 금속평판재를 원형고리형상으로 구부려서 형성하는데, 내측 클램프체와 같은 돌편은 형성하지 않고 단순히 그 양단부를 맞닿도록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실제로 사용할 때에는 내측 클램프체의 외측둘레에 외측 클램프체를 그 지름을 약간 넓힌 상태로 겹쳐서 끼워 부착하면, 나머지는 상기한 호스 클램프와 마찬가지로 플라이어 등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내측 클램프체의 각 돌편을 접근시킴으로써 내측 클램프체 및 외측 클램프체의 지름을 동시에 넓힐 수 있고, 반대로 각 돌편의 접근을 해제함으로써 내측 클램프체 및 외측 클램프체의 지름을 동시에 좁힐 수 있게 됨과 아울러, 고무호스를 체결고정한 상태에서는 외측 클램프체의 체결력을 내측 클램프체에 가하여 상기 내측 클램프체로 고무호스를 체결하기 때문에 클램프 전체의 체결력이 강화되어 고무호스의 강한 체결고정 상태를 보장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강화형 호스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이중구조를 채택한 것은 채결력의 강화에는 확실히 효과가 있을지 모르지만, 그 반면 형태가 상이한 내측 클램프체 및 외측 클램프체를 별도로 형성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금형비나 재료비가 크게 상승함은 말할 필요도 없으며, 특히 내측 클램프체에 외측 클램프체를 그 지름을 약간 넓힌 상태로 겹쳐서 끼워 부착하기 위한 장치나 지그가 상당히 대형화되기 때문에 자연히 클램프 자체의 비용이 상승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상기 이중구조하에서는 내측 클램프체 및 외측 클램프체에 굽힘응력(bending stress)을 분산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강화형 호스 클램프가 지니고 있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형고리형상으로 된 클램프 본체의 양단부에 서로 교차하는 1쌍의 돌편을 형성하여 당해 각 돌편을 접근시키면 원형고리형상으로 된 클램프 본체의 지름이 넓어지고, 각 돌편의 접근을 해제하면 원형고리 형상으로 된 클램프 본체의 지름이 좁아지는 호스 클램프를 전제로 하여, 상기 원형고리형상을 된 클램프 본체의 외측둘레에 나선형상으로 감긴 탄성보강체를 끼워 부착하는 구성을 채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호스 클램프에 있어서는 원형고리형상으로 된 클램프 본체 전체에 대해서는 물론, 가이드 홈이나 좁은 폭치수 등으로 인하여 체결력의 저하가 우려되는 부위에 대해서도 탄성보강체의 존재로 그 채결력을 효과적으로 강화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탄성보강체를 끼워 부착하는 경우에는 종래와 같은 대형 장치나 지그를 사용하지 않아도 탄성보강체의 나선형상을 이용하여, 상기 탄성보강체를 원형고리형상으로 된 클램프 본체의 외측둘레에 나사식으로 결합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끼워 부착할 수 있게 되므로, 호스 클램프 자체의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제1실시예에 관한 호스 클램프부터 설명하면, 이 호스 클램프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미 설명한 통상의 일반적인 것과 마찬가지로 1장의 금속평판재를 구부려서 형성하여 원형고리형상으로 된 클램프 본체(1)의 일단부 (1a)측에 외측으로 구부린 돌편(2)을 형성함과 아울러, 이 돌편(2)에서 원형고리 형상으로 된 클램프 본체(1)에 걸쳐서 가이드 홈(3)을 형성하고, 타단부(1b)측에는 상기 가이드 홈(3) 내를 이행할 수 있는 좁은 폭치수를 부여하여 그 선단가장 자리에는 외측으로 구부린 돌편(4)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된 것을 그 전제로 하고 있으나, 주된 특징은 원형고리형상으로 된 클램프 본체(1)의 외측둘레에 나선형상으로 감긴 탄성보강체(5)를 끼워 부착한 것이다.
이것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나선형상으로 감긴 탄성보강체(5)는 그 단면이 사각형 도는 원형이나 그 외의 다른 형상으로 된 금속제 스프링선재(예를들면, S-D60C) 등으로 성형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 2회, 정확하게는 1과 5/6회 감은 것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 회수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판의 폭 등을 고려하여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
단, 탄성보강체(5)를 감는 회수는 적어도 그 중앙부분이 상기 돌편(2)의 트인구멍 내측을 통과하여 원형고리형상으로 된 클램프 본체(1)의 지름을 넓히거나 좁힐 때 원형고리형상으로 된 클램프 본체(1)에서 빠질 염려가 없고, 또한 원형고리형상으로 된 클램프 본체(1)의 타단부(1b)가 일단부(1a)의 가이드 홈(3) 내를 이행할 때 돌편(4)을 포함하여 상기 타단부(1b)의 이행을 저해하지 않도록 설정하여야 한다. 또, 그 내경은 원형고리형상으로 된 클램프 본체(1)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관한 호스 클램프를 조립할 경우에는, 탄성보강체(5)가 나선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대형 장치나 지그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그 나선형상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탄성보강체(5)를 원형고리형상으로 된 클램프 본체(1)의 외측둘레에 나사식으로 결합하는 것만으로 원형고리형상으로 된 클램프 본체(1)에 탄성보강체(5)를 간단하게 끼워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탄성보강체(5)를 끼워 부착한 상태에 있어서는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결력의 저하가 우려되는 부위, 즉 가이드 홈(3)을 형성하는 일단부(1a)의 양측 가장자리나 폭이 좁은 타단부(1b)에 대해서도 반드시 탄성보강체(5)의 일부가 긴밀하게 탄성압접 된다.
따라서, 그 사용시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통상의 일반적인 것과 마찬가지로 플라이어 등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서로 교차하는 상기 1쌍의 돌편(2), (4)을 접근시켜 원형고리형상으로 된 클램프 본체(1)의 지름을 넓히면서, 체결대상이 되는 고무호스 위에 외측에서 끼운 후, 각 돌편(2), (4)의 접근을 해제하면 폭이 좁은 타단부(1b)가 가이드 홈(3) 내를 이행하여 원형고리형상으로 된 클램프 본체(1)의 지름을 좁힘으로써 고무호스가 자동적으로 체결되게 된다.
그리고, 원형고리형상으로 된 클램프 본체(1)의 지름을 넓히거나 좁힐 때에는 나선형상으로 감긴 탄성보강체(5)도 이에 대응하여 지름을 넓히거나 좁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으나, 특히 원형고리형상으로 된 클램프 본체(1)의 지름을 넓힐 때에는 그 진원도(眞圓度)가 탄성 보강체(5)에 의하여 유지된다.
또한, 고무호스의 체결고정상태에 있어서는 원형고리형상으로 된 클램프 본체(1)에 대해서는 물론, 특히 상기한 체결력의 저하가 우려되는 부위에 대해서도 탄성보강체(5)의 일부가 긴밀하게 탄성압접되어 그 체결력을 효과적으로 강화하게 되므로 고무호스의 균일하면서 강한 체결고정상태를 보장할 수 있다.
이어서, 제2실시예에 관한 호스 클램프를 설명하면, 상기 제1실시예가 약 2회 감긴 1개의 탄성보강체(5)를 사용한 것임에 비하여, 이 제2실시예에서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에서 감은 방향이 상이한 2개의 탄성보강체(5A),(5B)를 사용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보강체(5A),(5B)는 약1회 감았다는 점 외에는 상기 제1실시예의 조건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관한 호스 클램프를 조립할 경우에도, 그 나선형상을 이용하여 각 탄성보강체(5A),(5B)를 원형고리형상으로 된 클램프 본체(1)의 외측둘레에 각각의 외측을 통하여 나사식으로 결합하는 것만으로 2개의 탄성보강체 (5A),(5B)를 간단하게 끼워 부착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원형고리형상으로 된 클램프 본체(1) 전체의 체결력의 강화에 더하여 각 탄성보강체 (5A),(5B)가 체결력의 저하가 우려되는 부위, 즉 가이드 홈(3)을 형성하는 일단부(1a)의 양측 가장자리나 폭이 좁은 타단부(1b)에 탄성압접되어, 상기 각 부위의 체결력도 효과적으로 강하하게 되므로 역시 고무호스의 균일하면서 강한 체결고정상태를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상기 각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탄성보강체 (5),(5A),(5B)에 모두 적용되는 것으로, 냉간가공(冷間加工)으로 성형하여 그 단면형상, 내경, 감은 회수를 적절히 변경하면 호스 클램프 자체의 체결력의 강화량을 용이하게 조정할수 있고, 또한 각 탄성보강체 (5),(5A),(5B)의 내경과 원형고리형상으로 된 클램프 본체(1)의 외경의 차에 의해서도 체결력의 강화량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체결력을 합리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보강체는 나선형상으로 성형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이 자체로도 비용의 저렴화를 기대할 수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으며, 특히 원형고리형상으로 된 클램프 본체의 외측둘레에 끼워 부착할 때에는 종래와 같은 대형 장치나 지그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그 형상을 이용하여 나사식으로 결합하기만 하면 되므로, 이 점에서도 호스 클램프 자체의 비용을 저렴화하는 데 크게 공헌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원형고리형상으로 된 클램프 본체에 대해서는 굽힘응력을 분산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가공성도 양호해진다.

Claims (3)

  1. 원형고리형상으로 된 클램프 본체(1)의 양단부에 서로 교차하는 1쌍의 돌편(2), (4)을 형성하여, 상기 각 돌편(2),(4)을 접근시키면 원형고리형상으로 된 클램프 본체(1)의 지름이 넓어지고, 각 돌편(2),(4)의 접근을 해제하면 원형고리형상으로 된 클램프 본체(1)의 지름이 좁아지는 호스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원형고리형상으로 된 클램프 본체(1)의 외측둘레에 나선형상으로 감긴 탄성보강체(5)를 끼워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보강체(5)를 좌우에서 감은 방향이 상이한 2개의 탄성보강체 (5A),(5B)로 형성한 것을 특지으로 하는 호스 클램프.
  3.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보강체 (5),(5A),(5B)를 그 단면이 사각형 또는 원형이나 그 외의 다른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클램프.
KR1019950051485A 1995-12-18 1995-12-18 호스 클램프 KR0163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1485A KR0163238B1 (ko) 1995-12-18 1995-12-18 호스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1485A KR0163238B1 (ko) 1995-12-18 1995-12-18 호스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5741A KR970045741A (ko) 1997-07-26
KR0163238B1 true KR0163238B1 (ko) 1999-03-30

Family

ID=19441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1485A KR0163238B1 (ko) 1995-12-18 1995-12-18 호스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323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5741A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60751B1 (de) Rohrschelle, insbesondere Rohrkupplung
GB2036158A (en) Hose clamp
JPH03209090A (ja) 弾性的伸縮可能性を有するクランプバンドおよび弾性的な伸縮可能性を与えるための方法
KR101269686B1 (ko) 호스용 클램프
JPH06330913A (ja) バンドクランプ部品の構造
KR0163238B1 (ko) 호스 클램프
US5375299A (en) Clamping device
EP2615351B1 (de) Vorrichtung zur Kältedämmung
US5144726A (en) Clamp having a reserve of capacity
KR100321614B1 (ko) 호스 체결용 클램프
JP3362327B2 (ja) ホースクランプ
JP2002181269A (ja) 楕円ホースの連結部分の固定用クランプ
DE10359799A1 (de) Schlauchkupplung
JP2001041373A (ja) 伸縮管継手
JP4265185B2 (ja) 配管固定具
JP4178047B2 (ja) 鉄筋の端部定着装置
KR200421736Y1 (ko) 클램핑 밴드
KR0131622Y1 (ko) 호스류의 위치고정클립
JPH09126372A (ja) 締め付けバンド
KR960006305Y1 (ko) 스프링 클램프
JPH09317944A (ja) 車両用エンジンの配管類のクランプ
JPH0334547Y2 (ko)
KR200257855Y1 (ko) 체결밴드
US4475277A (en) Method of making hose construction
JPH09152064A (ja) 配管ク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