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3120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3120B1
KR0163120B1 KR1019960005997A KR19960005997A KR0163120B1 KR 0163120 B1 KR0163120 B1 KR 0163120B1 KR 1019960005997 A KR1019960005997 A KR 1019960005997A KR 19960005997 A KR19960005997 A KR 19960005997A KR 0163120 B1 KR0163120 B1 KR 0163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er
cold air
chamber
refrigerator
evap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5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4947A (ko
Inventor
토시마사 이마이즈미
Original Assignee
사토 후미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토 후미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사토 후미오
Publication of KR960034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4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3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31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being formed of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1Removal by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0Refrigerator top-coo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ometry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기실에서 생성한 냉기를 냉장실 및 냉동실을 경유한 후 다시 냉각기실로 되돌리는 순환하는 구성의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증발기를 박형화하고 공가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며, 냉각기시리(14)내에서 냉기가 생성되면 이 냉기는 냉각기실(14)에서 냉장실 및 냉동실에 공급되고, 냉동실내의 함유수분량이 적은 냉기는 개구(31b)를 통하여 냉각기실(14) 내에 되돌아가며, 핀피치가 조밀한 냉동실용 증발기(22)와 열교환되어 효율좋게 냉각되고, 또한 냉장실내의 함유수분량이 많은 냉기는 개구(32b)를 통하여 냉각기실(14)내에 되돌아가고, 핀치치가 넓은 냉장실용 증발기(21)와 열교환되며, 냉장실용 증발기(21)에 성에가 부착되고, 따라서 증발기(26)에 의한 냉기의 냉각효율이 향상하므로 증발기(26)가 박형화되며, 냉장고의 공간효율이 향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냉동사이클 유닛의 횡단면도.
제2도는 냉장실용 증발기 및 냉동실용 증발기를 나타내는 상면도.
제3도는 냉장실용 증발기 및 냉동실용 증발기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4도는 냉동사이클의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측면도.
제6도는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정면도.
제7도는 냉기덕트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8도는 기계실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종단측면도.
제9도는 냉동사이클 유닛을 나타내는 종단정면도.
제10도는 전기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
제11도는 콤프레서 및 유리관 히터의 운전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제1도 상당도.
제13도는 종례예를 나타내는 제9도 상당도.
제14도는 제1도 상당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냉장고 본체 11e : 냉장실
11g : 냉동실 14 : 냉각기실
16 : 냉동사이클 17 : 콤프레서
21 : 냉장실용 증발기(제1냉각기) 22 : 냉동실용 증발기(제2냉각기)
24a',24b' : U벤트부 26 : 증발기(냉각기)
28a : 냉기송풍구(냉기토출구) 31 : F냉기회수덕트(제2냉기회수덕트)
31b : 개구(제2냉기유입구) 32 : 개구(제1냉기유입구)
34 : 제어장치(증발제어수단) 37 : 유리관 히터(제1열원)
38 : 유리관 히터(제2열원)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냉각기실에서 생성한 냉기를 냉장실 및 냉동실을 경유한 후 다시 냉각기실로 되돌리는 순환하는 구성의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에 있어서는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장고 본체(1)의 상면에 냉동사이클 유닛(2)을 배치한 형태의 냉장고(이하, 콤프-탑형 냉장고라 함)가 있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냉동 사이클 유닛(2)내에 냉각기실(3) 및 기계실(4)이 형성되고, 냉각기실(3)내에 냉각기(3a)가 수용되어 있으며, 냉각핀장치가 작동하면 냉각기실(3) 내에서 생성된 냉기가 냉기공급덕트를 통하여 냉장고 본체(1)내의 냉장실 및 냉동실에 공급되고, 냉장고내를 냉각한 후, 각 실에서 냉기 회수덕트(5)를 통하여 냉각기실(3)로 되돌아온다.
제14도는 냉각기(3)의 종래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부호 '6a'는 냉장실에서 되돌아가는 공기(이하 R리턴에어라고 함(화살표 R로 나타냄))가 나오는 냉기유입구, 부호 '6b'는 냉동실에서 되돌아가는 공기(이하 F리턴에어라고 함(화살표 F로 나타냄))가 나오는 공기유입구이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냉각기(3a)의 상류부분의 핀피치(P)를 나머지 부분보다 크게 설정하므로써 함유수분량이 많은 R리턴에어에 대응하고, 냉각기(3a)의 성에부착악화를 방지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 구성은 냉각기(3a) 상류부분의 핀피치(P)가 크기 때문에 냉각면적을 확보해야 하므로 냉각기(3a)가 대형화되어 왔다. 따라서 냉장고의 공간효율이 나빠지고, 특히 콤프레서형 냉장고와 같이 냉동사이클 유닛(2)이 외형상 눈에 띄는 형태는 상품화가 곤란했다. 게다가 냉장고 본체(1)나 냉동 사이클 유닛(2)을 소정의 제품높이(부착 공간이나 물류문제로 제약되는 값)내에서 구성하면, 냉장고 본체(1)의 내용적이 감소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실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냉각기의 소형화에 따른 공간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냉장실, 냉동실, 냉매유로 형성체 및 상기 유로형성체 부착되어 소정의 피치로 배열된 핀을 갖고 상기 냉장실 및 냉동실에 공급하는 냉기를 생성하는 냉각기를 수용한 냉각기실을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실은 상기 냉장실 및 냉동실에 각각 연이어 통하고, 상기 냉각기에서 생성된 냉기를 토출하는 냉기 토출구, 상기 냉장실에서 나오는 냉기를 냉각기실로 되돌리는 제1냉기유입구, 냉동실에서 나오는 냉기를 냉각기실로 되돌리는 제2냉기유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냉각기는 제1냉기유입구에서 유입하는 냉기를 냉각하는 제1냉각기와 상기 제2냉기유입구에서 유입하는 냉기를 냉각하는 제2냉각기로 구성하고, 상기 제1냉각기핀의 피치는 상기 제1냉각기를 통과하는 냉기류의 상류부분에 배열되는 제1냉각기핀의 피치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냉장실 및 냉동실에서 나오는 냉기를 합류시키고, 이 냉기류에 대해서 상류측에 위치하는 제1냉각기와, 하류측에 위치하는 제2냉각기로 이루어지는 냉각기를 구성하며, 이 제2냉각기의 핀의 피치를 상기 제1냉각기를 통과하는 냉기류의 상류부분에 배열되는 핀의 피치보다도 작게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제1 및 제2냉각기에 끼인 성에를 각각 제거하는 제1 및 제2열원과 이 열원의 발열을 제어하는 발열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1열원을 콤프레서의 1사이클마다 발열시키는 구성이다. 또한 발열제어수단은 제2열원을 소정시간을 두고 발열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제1 및 제2냉각기는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하고, 상기 냉각기를 포함하는 냉동사이클수단을 냉장고 본체의 상부에 배치한다.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된 제1냉각기 및 제2냉각기에 있어서의 냉매유로 형성체는 각각 U벤트부를 갖고,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상기 1냉각기의 U벤트부는 냉기류에 대해서 번갈아서 배치된다.
냉각기실에서 생성된 냉기는 냉각기실에서 냉장실 및 냉동실에 공급된다. 그리고 냉동실내의 냉기(함유수분량이 적은 것)는 제2냉기유입구를 통과하여 냉각기실내에 유입하고, 핀피치가 조밀한 제2냉각기를 통과하여 열교환한다.
또한, 냉장실내의 냉기(함유 수분량이 많은 것)는 제1냉기유입구를 통하여 냉각기실 내에 유입하고, 핀피치가 넓은 제1냉가기와 열교환한다. 이 때 되돌아가는 냉기중의 수분이 제1냉각기에 성에가 되어 부착한다. 따라서 냉동실내 및 냉장실내의 냉기가 각각 제2 및 제1냉각기와 열교환하고, 특히 저온의 냉동실 냉기는 핀피치 밀도가 높고 열교환능력이 큰 제2냉각기를 통과하지만, 함유 수분량이 적어서 성에부착이 적기 때문에 핀피치가 조밀해도 되고, 냉각기의 냉각효율이 향상하기 때문에 냉각기가 소형화되므로, 그 결과 냉장고의 공간효율이 향상한다.
냉장실내의 냉기와 냉장고내의 냉기는 각각 덕트를 통하여 제1 및 제2냉기유입구에서 따로따로 제1냉각기와 제2냉각기로 되돌아간 경우에는 냉장실내의 냉기와 냉동실내의 냉기를 명확하게 구별하여 냉각기에 되돌릴 수 있기 때문에 냉각기에 의한 냉기의 냉각효율이 한층 향상한다.
그리고, 냉장실내의 냉기 및 냉장실내의 냉기를 합류하고, 이 냉기류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핀피치가 넓은 제1냉각기와 유입된 냉기를 열교환하여 제1냉각기에 성에를 부착시키며, 그 후에 제2냉각기를 통과한 냉기를 하류측에 위치하는 핀피치가 좁은 제2냉각기를 열교환하는 경우에는 냉각기가 소형화되며, 냉장고의 공간효율이 향상한다.
성에가 끼기 쉬운 제1냉각기를 제1열원에 의해 가열하여 부착한 성에를 융해하고, 또 큼프레서의 1사이클마다 제1열원을 발열시키기 때문에 제1냉각기가 매회 성에를 제거한다. 따라서 제1냉각기의 성에부착 악화가 방지되고, 냉각효율도 향상한다. 또한 제2냉각기를 가열하는 제2열원은 소정시간을 두고 발열하기 때문에 제2냉각기가 부주의하게 가열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냉각효율이 한층 향상한다.
제1냉각기 및 제2냉각기가 수평방향으로 배열되기 때문에 제1냉각기 및 제2냉각기를 상하방향으로 배치한 경우에 비해서 냉각기가 박형화된다.
콤프레서, 냉각기를 포함하는 냉동사이클을 냉장고 본체의 상부에 배치하여 콤프레서형 냉장고로 한 경우에는 박형화 냉장고의 실현에 매우 유리하다.
제1냉각기의 U벤트부에 근접하는 측의 제2냉각기의 U벤트부를 어긋나게 배치하고, 제1냉각기의 U벤트부 상호간에 제2냉각기의 U벤트부가 삽입된 형태로 하므로써 냉각기의 폭치수를 줄일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11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5도에 있어서, 냉장고 본체(11)는 전면이 개구하는 상자형상을 이루고 있고, 합성수지제의 내부상자(11a)의 외측에 강판제의 외부상자(11b)를 조합시키고, 내부상자(11a)와 외부상자(11b) 사이에 우레탄 발포재 등의 단열재(11c)를 주입발포하여 충전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냉장고 본체(11)의 냉장고 안(11d)은 상측에서 순서대로 냉장실(11e), 냉동실(11g), 야채실(11h)이 형성되어 있다. 이 냉장실(11e), 냉동실(11g), 야채실(11h)은 냉장고 안(11d)을 칸막이벽(11i)으로 구획하여 형성한 것으로, 냉장실(11e)의 전면개구부는 냉장고 본체(11)에 축으로 지지된 문(12a)에 의해 덮여 있다. 또한, 냉동실(11g)은 냉장고 본체(11)의 전면 개구부를 폐쇄하는 문(12b, 12c)에 의해 덮이고, 야채실(11h)은 냉장고 본체(11)의 전면 개구부를 폐쇄하는 문(12d)에 의해 덮여 있다. 또한, 냉장실(11e)내의 바닥부에는 냉각(chilled)실(11f)이 설치되어 있다.
문(12b, 12c, 12d)에는 용기(11k, 11m, 11n)가 설치되고, 각 용기(1k, 11m, 11n)의 측면에는 레일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레일부재는 냉장고 본체(11)의 내벽에 자유롭게 꺼낼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문(12b~12d)을 꺼내면 문(12b, 12c, 12d)과 함께 용기(11k, 11m, 11n)가 꺼내어진다.
냉장고 본체(11)의 상면에는 상자형상의 냉동사이클 유닛(13)이 설치되어 있고,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동사이클 유닛(13)내의 우측에는 단열벽(14a)으로 둘러싸인 냉각실(14)이 형성되고, 좌측에는 기계실(1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계실(15)내에는 냉동사이클수단(16)을 구성하는 콤프레서(17), 콘덴서(18), 드라이어(19)(제4도 참조). 캐필러리 튜브(20)(제4도 참조)가 수용되고, 냉각기실(14)내에는 제1냉각기에 상당하는 냉장실용 증발기(21) 및 제2냉각기에 상당하는 냉동실용 증발기(22)가 수용되어 있다.
냉동사이클수단(16)의 콤프레서(17), 콘덴서(18), 드라이어(19), 캐필러리튜브(20), 냉장실용 증발기(21), 냉동실용 증발기(22)는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닫힘루프형상으로 접속되어 있고, 냉동사이클수단(16)내를 냉매가 순환하므로써 냉기가 생성된다. 또한 냉장실용 증발기(21)와 냉동실용 증발기(22) 사이에는 기체ㆍ액체분리기(23)가 접속되어 있다. 이 기체ㆍ액체분리기(23)는 콤프레서(17)에 접속되어 있고, 냉장실용 증발기(21)를 통과한 냉매는 기체ㆍ액체 분리되고, 분리된 기체형상의 냉매가 콤프레서(17)에 되돌려진다.
제2도는 냉장실용 증발기(21) 및 냉동실용 증발기(22)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장실용 증발기(21) 및 냉동실용 증발기(22)는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파이프(24a, 24b)에 판형상의 핀(25a, 25b)을 여러장 배열고착하여 구성되고, 각 파이프(24a, 24b)는 복수의 U벤트부(24a', 24b')를 갖는 꾸불꾸불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냉장실용 증발기(21) 및 냉동실용 증발기(22)는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U벤트부(24a', 24b')가 겹치지 않도록 냉매의 유통방향(제2도의 상하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가 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도의 부호(26)는 냉장실용 증발기(21)와 냉동실용 증발기(22)로 구성되는 증발기(냉각기에 상당함)를 나타낸다.
냉장고 본체(11)의 배부 단열벽(11j)에는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냉기 덕트(2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냉장고 본체(11)의 상벽 및 냉각기실(14)의 바닥벽에는 냉기유출덕트(28)가 매설되어 있다. 이 냉기유출덕트(28)는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기토출구에 상당하는 냉기송풍구(28a)가 냉각기실(14)의 중앙부에 개구하고, 그 냉기유출구(도시하지 않음)가 냉기덕트(27)에 개구하고 있다.
냉기덕트(27)내에는 제7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우단부에 위치하여 냉각핀위치(29)가 수용되어 있다. 이 냉각핀위치(29)는 축류핀(29a)과 냉각핀모터(29b)와 케이싱(29c)으로 구성된 것으로, 그 중앙선(α1)이 증발기(26)의 중심선(α2)(제2도 참조)에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냉각핀위치(29)가 작동하면 냉각기실(14)내의 냉기가 냉기송풍구(28a)에서 냉기유출덕트(28)를 통하여 냉기덕트(27)내에 흡인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냉장고본체(11)의 배부단열벽(11j)에는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중앙부에 위치하여 냉기덕트(30a)(이하 R냉기덕트(30a)라고 함)가 매설되어 있다. 이 R냉기덕트(30a)는 냉기덕트(27) 및 냉장실(11e)에 통하여 있고, 냉기덕트(27)내에 유입한 냉기는 R냉기덕트(30a)에서 냉장실(11e)내에 공급된다. 또한 냉장고 본체(11)의 배부 단열벽(11j)에는 그 좌부에 위치하여 냉기덕트(이하 F냉기덕트(30b)라고 함)가 매설되어 있다. 이 F냉기덕트(30b)는 냉기덕트(27) 및 냉동실(11g)에 통하여 있고, 냉기덕트(27)내에 유입된 냉기는 F냉기덕트(30b)에서 냉동실(11g)에 공급된다.
냉장고 본체(11)의 배부 단열벽(11j)에는 중앙부보다 약간 좌측에 위치하여 T냉기덕트(30c)가 매설되어 있다. 이 냉기덕트(30c)(이하 C냉기덕트(30c)라고 함)는 냉기덕트(27) 및 냉각실(11f)에 통하여 있고, 냉기덕트(27)내에 유입한 냉기는 C냉기덕트(30c)에서 냉각실(11f)에 공급된다. 또한 냉장고 본체(11)의 배부 단열벽(11j)에는 냉장실(11e) 및 야채실(11h)에 통하는 냉기덕트(30d)(이하 R/V냉기덕트(30d)라고 함)가 설치되어 있고, 냉장실(11e) 및 냉각실(11f)에 공급된 냉기는 R/V 냉기덕트(30d)를 통하여 야채실(11h)에 공급된다.
냉장고 본체(11)의 배부 단열벽(11j) 및 냉각기실(14)의 단열벽(14a)에는 그 우단부에 위치하여 냉기회수덕트(31)(이하 F냉기덕트(31)라고 함)가 매설되어 있다. 이 F냉기회수덕트(31)는 제2냉기회수덕트에 상당하는 것으로, 한쪽 개구(31a)가 냉동실(11g)내에 위치하고,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냉기유입구에 상당하는 다른쪽 개구(31b)가 냉각기실(14)의 전방부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냉동실(11g)에 공급된 냉기는 F냉기회수덕트(31)의 개구(31a)를 통해 F냉기회수덕트(31)내에 흡인되고, 개구(31b)를 통해 냉각기실(14)내에 되돌려진 후, 냉동실용 증발기(22)와 열교환된다. 또한 제1도 및 제2도의 화살표 A는 F냉기회수덕트(31)의 개구(31b)를 통해 냉각기실(14)내에 되돌려지는 F리턴에어의 유통방향으로 나타낸다.
냉장고 본체(11)의 배부 단열벽(11j) 및 냉각기실(14)의 단열벽(14a)에는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부보다 약간 우측에 위치하고 냉기회수덕트(32)(이하 V냉기회수덕트(32)라고 함)가 매설되어 있다. 이 V냉기회수덕트(32)는 제1냉기회수덕트에 상당하는 것이고, 한쪽 개구(32a)가 야채실(11h)내에 위치하고,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냉기유입구에 상당하는 다른쪽 개구(32b)가 냉각기실(14)의 전방부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야채실(11h)에 공급된 냉기는 V냉기회수덕트(32)의 개구(32a)를 통해 V냉기회수덕트(32)내에 흡인되고, 개구(32b)를 통해 냉각기실(14)내에 되돌려진 후 냉장실용 증발기(21)와 열교환된다. 또한, 제1도 및 제2도의 화살표 B는 V냉기회수덕트(32)의 개구(32b)를 통해 냉각기실(14)내에 되돌려지는 R리턴에어의 유통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냉장실(11e), 냉각실(11f), 야채실(11h)에서 되돌려지는 R리턴에어의 함유수분량이 비교적 많기 때문에 R리턴에어가 나오는 냉장실용 증발기(21)는 성에가 부착하기 쉽다. 따라서,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냉장실용 증발기(21)의 핀(25a) 상호의 피치(Pr)는 R리턴에어의 상류측을 넓게 하여 성에에 의한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하여 차례로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R리턴에어의 상류측(냉장실용 증발기(21)의 전방부)의 핀피치를 'Pr1', 냉장실용 증발기(21)의 중앙부의 핀치를 'Pr2', R리턴에어의 하류측(냉장실용 증발기(21)의 후부)의 핀피치를 'Pr3'로 하면 'Pr1Pr2Pr3' 라는 관계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냉동실(11g)은 용적면에서 작고, 또한 문(12b, 12c)의 개방빈도도 냉장실(11e)에 비해 적기 때문에 냉동실(11g)에서 되돌려지는 F리턴에어의 함유수분량이 비교적 적다. 이 때문에 냉동실용 증발기(22)는 성에가 끼기 어렵다. 따라서, 냉동실용 증발기(22)는 핀(25b)상호의 피치(Pf)가 Pr3로 동일레벨로 설정되고, 핀(25b)이 조밀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는 'Pf=Pr3' 로 했는데, 문개폐회수, 식품차 등에 의해서는 'PfPr3' 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냉동실(11g)내에는 제10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동실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센서(33a)(이하 F온도센서(33a)라고 함)가 설치되고 F온도센서(33a)는 제어장치(34)에 접속되어 있다. 이 제어장치(34)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주로 구성된 것으로, 제어장치(34)에는 콤프레서(17), 냉각핀 모터(29b)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장치(34)는 F온도센서(33a)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콤프레서(17) 및 냉각핀모터(29b)를 구동제어하는 것에 따라 냉동실(11g)에 대한 냉기공급량을 조절하고, 냉동실(11g)내를 소정온도로 유지한다.
냉기덕트(27)내에는 제7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댐퍼장치(3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댐퍼장치(35)는 댐퍼(35a)(이하 R댐퍼(35a)라고 함) 및 댐퍼(35b)(이하 C댐퍼(35b)라고 함)를 갖는 것으로, 제10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댐퍼모터(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는 댐퍼구동기구(36)에 연결되고, 댐퍼구동기구(36)는 제어장치(34)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냉장실(11e)내에는 냉장실(11e)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센서(33b)(이하 R온도센서(33b)라고 함)가 설치되고, R온도센서(33b)는 제어장치(34)에 접속되어 있고, 제어장치(34)는 R온도센서(33b)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R댐퍼(35a)를 구동제어하는 것에 따라 R냉기덕트(30a)의 입구개구율을 조절한다. 이것에 의해 냉장실(11e)에 대한 냉기동급량이 조절되고, 냉장실(11e)내가 소정온도로 유지된다.
냉각실(11f)내에는 온도센서(33c)(이하 C온도센서(33c)로 함)가 설치되고, C온도센서(33c)는 제어장치(34)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장치(34)는 C온도센서(33c)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C댐퍼(35b)를 구동제어하는 것에 따라 C냉기덕트(30c)의 입구개구율을 조절한다. 이것에 의해 냉각실(11f)에 대한 냉기공급량이 조절되고 냉각실(11f)내가 소정온도로 유지된다.
냉장실용 증발기(21) 및 냉동실용 에버포레이터(22)의 하측에는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열원으로서의 유리관 히터(37) 및 제2열원으로서의 유리관 히터(3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유리관 히터(37,38)는 냉장실용 증발기(21)에 끼인 성에 및 냉동실용 증발기(22)에 끼인 성에를 융해하기 위한 것이고, 제10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열제어 수단에 상당하는 제어장치(34)에 접속되어 있다.
냉각기실(14)내에는 제10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장실용 증발기(21)의 온도를 검출하는 증발기용 온도센서(39a)(이하 R증발기용 온도센서(39a)라고 함)가 설치되어 있다. 이 R증발기용 온도센서(39a)는 성에 제거시에 마지막까지 성에가 남기 쉬운 냉장실용 증발기(21)의 상부에 배치된 것으로, 제어장치(34)에 접속되어 있다.
제11a도는 콤프레서(17)의 운전타이밍을 나타내고, 제11b도는 R유리관 히터(37)의 운전타이밍을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서 제어장치(34)는 콤프레서(17)가 꺼질 때마다(콤프레서(17)의 1사이클마다) 유리관 히터(37)에 전기를 통하게 하고, 유리관 히터(37)를 발열시킨다. 그리고 R증발기용 온도센서(39a)의 검출신호가 소정온도에 달하면 유리관 히터(37)를 단전한다.
냉각기실(14)내에는 제10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동실용 증발기(22)의 온도를 검출하는 F증발기용 온도센서(39b)가 설치되어 있다. 이 F증발기 온도센서(39b)는 성에제거시에 마지막까지 성에가 남기 쉬운 냉동실용 증발기(22)의 상부에 배치된 것으로, 제어장치(34)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장치(34)는 냉동사이클수단(16)의 운전시간을 누계하고, 제11c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시간에 달하면 유리관 히터(38)에 전기를 통하게 하고, 유리관 히터(38)를 발열시키며, F온도센서(39b)의 검출신호가 소정온도에 달하면 F유리관 히터(38)를 단전한다.
냉동사이클(16)에는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장실용 증발기(21)에 대해서 병렬적으로 바이패스로(16a)가 설치되고, 이 바이패스로(16a)에는 전자밸브(16b)가 끼워져 있다. 그리고, 전자밸브(16b)는 제어장치(34)에 접속되어 있고(제10도 참조), 제어장치(34)는 냉장실용 증발기(21)를 성에를 제거하고 있는 경우(유리관 히터(37)에 전기를 통하게 할 때) 전자벨브(16b)를 개방한다. 따라서 냉장실용 증발기(21)의 성에제거시에 콤프레서(17)가 운전되어도 냉장실용 증발기(21)에 대해서 냉매가 공급되지 않고 냉동실용 증발기(22)에만 공급된다.
또한, 제어장치(34)는 냉장실용 증발기(21)를 성에를 제거하고 있지 않은 경우(유리관 히터(37)에 전기를 끊을 때) 전자밸브(16b)를 폐쇄하고 냉장실용 증발기(21) 및 냉동실용 증발기(22)의 쌍방에 냉매를 공급한다.
냉각기실(14)내에는 제9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장실용 증발기(21) 및 냉동실용 증발기(22)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여 사각추형상의 드레인팬(40)이 설치되어 있고, 냉장실용 증발기(21) 및 냉동실용 증발기(22)에서 적하하는 성에제거수는 드레인팬(40)에 의해 모아진다. 또한 냉장고 본체(11)의 배부 단열벽(11j)에는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수호스(41)가 매설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배수호스(41)는 제9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레인팬(40)의 배수관(40a)에 접속되어 있고, 드레인팬(40)에 의해 모아진 서리제거수는 배수관(40a)을 통하여 배수호스(41)내에 유입된다.
냉장고 본체(11)의 바닥부에는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발접시 수용실(42)이 설치되고, 증발접시 수용실(42)내에는 합성수지제의 증발접시(43)가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배수호스(41)의 하단부는 냉장고 본체(11)의 배부 단열벽(11j)을 관통하여 증발접시(43)를 향하고, 배수호스(41)내에 유입된 서리제거수는 증발접시(43)내에 공급된다. 또한, 배수호스(41)는 제7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각핀 장치(29)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기계실(15)내에는 제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팬장치(44)가 수용되어 있다. 이 팬장치(44)는 축류팬(44a), 팬모터(44b), 케이싱(44c)으로 구성된 것이고, 팬장치(44)가 작동하면 화살표 C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계실(15)내에 외부공기가 흡인되고, 콘덴서(18) 및 콤프레서(17)에 상기 순수로 외부공기가 공급된다. 또한 팬모터(44b)는 제어장치(34)에 접속되어 있고(제10도 참조), 제어장치(34)에 의해 구동제어된다. 또한, 부호 '45'는 냉동사이클 유닛(13), 냉동사이클 수단(16), 드레인팬(40), 팬장치(44)로 구성되는 냉각유닛, 부호 '45a'는 냉각유닛(45)의 전측을 덮는 커버부재를 나타낸다.
냉장고 본체(11)의 배부 단열벽(11j)에는 팬장치 덕트(46)가 매설되어 있다. 이 팬송풍덕트(46)는 합성수지 등의 비흡수성 재료로 구성된 것으로,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온풍유입구(46a)가 기계실(15)의 배부 왼쪽 모서리에 개구하고,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온풍유출구(46b)가 증발접시 수용실(42)의 배부 상부 왼쪽 모서리에 개구하고 있다. 그리고 팬장치(44)에 의해 생성된 온풍은 팬송풍덕트(46)를 통하여 증발접시 수용실(42)의 배부 왼쪽 모서리에 공급된다.
증발접시 수용실(42)의 전면 개구부에는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부재(47)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부재(47)에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증발접시 수용실(42)의 배부 왼쪽 모서리에 공급된 온풍은 화살표 D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발접시(43)의 수면상을 전방으로 흘러서 배출구에서 외부로 방출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냉동실(11g)내의 온도가 상승하면, 제어장치(34)가 F온도센서(33a)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온도 상승을 검출하고, 콤프레서(17) 및 냉각팬모터(29b)를 작동시킨다. 그렇게 하면 냉동사이클(16) 중에 봉입된 냉매가 고온고압상태로 압축되고, 콘덴서(18)에 공급된다. 그리고 콘덴서(18)에 의한 냉매의 응축, 드라이어(19)에 의한 냉매의 함유수분량, 캐필러리 튜브(20)에 의한 액냉매의 압력강하 및 유량조절이 순차 실시되고, 압력강하 및 유랑조절이 실시된 냉매가 냉장실용 증발기(21)에 공급된다.
냉장실용 증발기(21)에 냉매가 공급되면, 이 냉매는 냉각팬장치(29)에 의해 화살표 B방향으로 유통하고 있는 공기에서 열을 빼앗아 냉기를 생성한다. 다음에 냉장실용 증발기(21)를 통과한 냉매가 기체ㆍ액체 분리기(23)에 공급되고, 기체ㆍ액체 분리기(23)에 의해 기체ㆍ액체 분리된다. 그리고 분리된 기체상의 냉매는 콤프레서(17)로 돌어간다(가스 인젝션). 또한, 기체ㆍ액체 분리기(23)에 의해 분리된 액체상의 냉매는 냉동실용 증발기(22)에 공급되고, 냉각팬장치(29)에 의해 화살표 A방향으로 유통하고 있는 공기에서 열을 빼앗아 냉기를 생성한다.
냉장실용 증발기(21) 및 냉동실용 증발기(22)에 의해 냉기가 생성되면, 우선 냉각기실(14)안에서 냉기유출덕트(28)를 통하여 냉기덕트(27)내에 냉기가 송풍된다. 다음에 R냉기덕트(30a), F냉기덕트(30b), C냉기덕트(30c), R/V 냉기덕트(30d)를 통하여 냉장실(11e), 냉각실(11f), 냉동실(11g), 야채실(11h)에 냉기가 공급되고, F냉기회수덕트(31) 및 V냉기회수덕트(32)를 통하여 냉각기실(14)내에 냉기가 되돌아간다. 또한, 이 상태는 제어장치(34)가 R온도센서(33b) 및 C온도센서(33c)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R댐퍼(35a) 및 C댐퍼(35b)를 구동제어하고, 냉장실(11e) 내 및 냉각실(11f)내를 소정온도로 유지하고 있다.
F냉기회수덕트(31)를 통하여 냉각기실(14)내에 되돌린 F냉기리턴에어(함유수분량이 적은 것)는 냉동실용 증발기(22)와 열교환된다. 또한 V냉기회수덕트(32)를 통하여 냉각기실(14)내에 되돌린 R리턴에어(함유수분량이 많은 것)는 냉장실용 증발기(21)와 열교환된다. 따라서 냉장실용 증발기(21)에 집중적으로 성에가 끼이고, 냉동실용 증발기(22)에는 성에가 끼기 어려워진다.
이상의 동작을 반복하는 동안에 냉동실(11g)내의 온도가 저하하면 제어장치(34)는 F온도센서(33a) 및 R온도센서(33b)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온도저하를 검출하고, 콤프레서(17) 및 냉각팬모터(29b)를 정지시키고, 유리관 히터(37)를 발열시킨다. 그렇게 하면 냉장실용 증발기(21)에 끼인 성에가 용해하고, 냉장실용 증발기(21)로부터 드랜팬(40)에 성에제거수가 흘러내려 배수호스(41)를 통하여 증발접시(43)내에 저장된다.
이 상태에서 팬장치(44)가 작동하면 우선 기계실(15)내에 외부공기가 흡인되고, 이 외부공기가 콘덴서(18) 및 콤프레서(17)에 의해 가열되며, 온풍이 생성된다. 다음에 이 온풍이 팬송풍덕트(46)를 통하여 증발접시 수용실(42)에 공급되고, 증발접시(43)의 수면상을 전방으로 흘러 카바부재(47)의 배출구에서 외부로 방출된다.
그리고, 증발접시(43)의 수면상을 흐르는 온풍에 위해 증발접시(43)내의 성에제거수가 증발하고, 온풍과 함께 배출구에서 배출된다. 이 후 냉장실용 증발기(21)에 부착한 성에가 충분하게 제거되고, 냉장실용 증발기(21)의 온도가 상승하면 제어장치(34)는 냉장실용 증발기용 온도센서(39a)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냉장실용 증발기(21)의 온도상승을 검출하고, 유리관 히터(37)를 단전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냉동실(11g)내의 냉기(함유수분량이 적은 냉기)를 핀피치(Pf)가 조밀한 냉동실용 증발기(22)와 열교환시키므로써 작은 외형치수로 효율좋은 큰 냉각성능이 얻어지고, 냉장실(11e)내의 냉기(함유수분량이 많은 냉기)를 핀피치(Pr)가 넓은 냉장실용 증발기(21)와 열교환시키므로써 냉장실용 증발기(21)에 성에가 끼는 구성으로 했다. 이 때문에 증발기(26)에 의한 냉각효율이 향상하고, 증발기(26)가 박형화되기 때문에 냉동사이클 유닛(13) 및 냉각유닛(45)도 박형화되고, 그 결과 냉장고의 공간효율이 향상한다.
이것과 함께 성에가 끼는 현상에 의해 효과를 발휘할 수 없는 오프셋핀(파이프(24a, 24b)에 뒤에 부착되는 형태의 핀)을 성에부착량이 적은 냉동실용 증발기(22)에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냉각능력을 한층 향상시키고 및 냉동사이클 유닛(13), 냉각유닛(45)을 한층 박형화 할 수 있다.
또한, 냉장실(11e)내의 냉기를 독립한 V냉기회수덕트(32)를 통하여 냉장실용 증발기(21)와 열교환시키고, 냉동실(11g)내의 냉기를 독립한 F냉기회수덕트(31)를 통하여 냉동실용 증발기(22)와 열교환시키는 구성으로 했다. 따라서 함유수분량이 많은 R리턴에어와 함유수분량이 적은 F리턴에어를 명확하게 구별하여 증발기(26)에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증발기(26)에 의한 냉기의 냉각효율이 한층 향상한다.
또한, 냉장실용 증발기(21)를 통과한 냉기 및 냉동실용 증발기(22)를 통과한 냉기를 냉기송풍구(28a)내에서 유출시키고, 냉기송풍구(28a)를 통과하여 냉장실(11e) 및 냉동실(11f)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했다. 따라서 각 증발기(21, 22)를 통과한 냉기에 대해서 별개의 냉기송풍구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서 냉기송풍구(28a)의 점유공간이 저감된다. 게다가 냉장실용 증발기(21)를 통과한 비교적 온도가 높은 냉기와 냉동실용 증발기(22)를 통과한 저온냉기를 혼합하여 냉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성에제거운전에 따른 온도영향이 적은 냉장실용 증발기(21)를 콤프레서(17)의 1사이클마다 성에를 제거하는 구성으로 했다. 이 때문에 냉장실용 증발기(21)의 성에부착악화가 확실하게 방지되기 때문에 냉장실용 증발기(21)의 핀피치(Pr1~Pr3)를 한층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냉장실용 증발기(21)가 대폭으로 소형화(박형화)된다.
또한, 냉동사이클(16)에 바이패스로(16a)를 설치하고, 냉장실용 증발기(21)의 성에제거시에 전자밸브(16b)를 개방하는 구성으로 된다. 이 때문에 냉장실용 증발기(21)의 성에제거시에 콤프레서(17)가 운전되어도 냉장실용 증발기(21)에 대해서 냉매가 공급되지 않고, 냉동실용 증발기(22)에만 냉매가 공급된다. 따라서 냉장실용 증발기(21)를 매회 성에제거하는 구성이어도 필요량의 냉기를 확실하게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성에가 부착하기 어려운 냉동실용 증발기(22)를 소정시간을 두고 성에제거하는 구성으로 했다. 이 때문에 냉동실용 증발기(22)가 부주의하게 가열되는 일이 없어지기 때문에 냉각성능이 향상한다.
또한, 냉동사이클(16)을 냉장고 본체(11)의 상부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본 발명이 콤프레서형 냉장고에 적용되게 한다. 이 때문에 콤프-탑형 냉장고와 같이 냉동사이클 유닛(13), 냉각유닛(45)이 눈에 띄는 형태라도 냉동사이클 유닛(13), 냉각유닛(45)이 박형화되고, 설치공간이나 물류문제에서 제약받는 제품높이가 차지하는 냉동사이클수단(16)의 높이가 감소되기 때문에 냉장고 내(11d)의 내용적이 증가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26)의 박형화가 제품을 전개한 이상 매우 유리하게 된다.
또한, 냉장실용 증발기(21) 및 냉동실용 증발기(22)를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하는 구성으로 했다. 이 때문에 냉장실용 증발기(21) 및 냉동실용 증발기(22)를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하는 경우에 비하여 증발기(26) 및 냉각유닛(45)이 박형화된다.
또한, 냉장실용 증발기(21)의 U벤트부(24a') 및 냉동실용 증발기(22)의 U벤트부(24b')를 어긋나게 하여 배치하는 구성으로 했다. 이 때문에 냉장실용 증발기(21) 및 냉동실용 증발기(22)의 치수(좌우방향)가 작아지고, 냉장고의 공간효율이 향상한다.
또한, 냉장실용 증발기(21)를 통과한 냉매를 기체액체 분리기(23)에 공급하고, 분리된 기체상의 냉매를 콤프레서(17)에 되돌리는 구성으로 했다. 이 때문에 가스 인젝션화가 가능하게 되고, 냉동사이클(16)의 냉각 능력이 향상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제12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 다른 부재에 대해서만 설명을 한다. 냉각기실(14)내에는 냉장실용 증발기(21)와 냉동실용 증발기(22) 사이에 칸막이벽(14b)이 설치되어 있고, V냉기회수덕트(32)의 개구(32b)에서 되돌아온 냉기는 화살표 E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장실용 증발기(21)를 경유하여 냉동실용 증발기(22)에 공급된 후, 냉기송풍구(28a)내에 유입한다.
또한, F냉기회수덕트(31)는 V냉기회수덕트(32)의 도중부위에 합류하고, 냉동실(11g)내의 냉기는 F냉기회수덕트(31)에서 V냉기회수덕트(32)를 통하여 냉각기실(14)내에 되돌아 오게 된다. 또한 냉가유출덕트(28)의 냉기송풍구(28a)는 냉동실용 증발기(22)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야채실(11h)내의 냉기, 냉동실(11g)내의 냉기, 냉장실(11e)내의 냉기는 V냉기회수덕트(32)의 개구(32b)를 통과하여 냉각기실(14)내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이 냉기는 핀피치(Pr)가 넓은 냉장실용 증발기(21)와 열교환시킨다. 이 때에는 냉장실용 증발기(21)에 성에가 낀다. 그 후에 냉기를 핀피치(Pf)가 조밀한 냉동실용 증발기(23)와 열교환되어 효율좋게 냉각된다. 따라서 증발기(26)에 의한 냉기의 냉각효율이 향상하기 때문에 증발기(26)가 박형화되며, 그 결과 냉장고의 공간효율이 향상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냉장실용 증발기(21) 및 냉동실용 증발기(22)를 좌우방향으로 나란하게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전후방향으로 나란하게 하거나 또는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냉각핀장치(29)를 냉기덕트(27)내에 배치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냉각기실(14)내의 배부에 배치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증발접시(43)를 냉장고 본체(11)의 바닥부에 설치하고, 핀송풍덕트(46)를 통하여 증발접시(43)에 온풍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기재실(14)내에 증발접시(43)를 수용함과 동시에 냉동사이클(16)에 방열파이프를 접속하고, 이 방열파이프의 열에 의해 증발접시(43)를 가열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장고는 이하의 효과를 나타낸다.
냉동실내의 냉기를 핀피치가 조밀한 제2냉각기와 열교환시키고, 냉장실내의 냉기를 핀피치가 넓은 제1냉각기와 열교환시키는 구성으로 했다. 이 때문에 냉각기에 의한 냉기의 냉각효율이 향상하기 때문에 냉각기가 소형화되며, 그 결과 냉장고의 공간효율이 향상한다.
냉장실내의 냉기 및 냉동실내의 냉기를 독립한 냉기회수덕트를 통하여 냉각기와 열교환시키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냉각기에 의한 냉기의 냉각효율이 한층 향상한다.
냉동실내의 냉기 및 냉장실내의 냉기를 합류시키고, 이 냉기를 피치가 넓은 제1냉각기와 열교환시킨 후, 핀피치가 조밀한 제2냉각기와 열교환시키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냉각기가 소형화되고, 그 결과 냉장고의 공간효율이 향상한다.
콤프레서의 1사이클마다 제1냉각기를 성에제거하는 구성으로 하므로써 제1냉각기의 성에부착악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냉각성능이 향상한다. 제2냉각기를 시간간격을 두고 성에제거하는 구성으로 하여 냉각효율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제1냉각기 및 제2냉각기를 수평방향으로 배열하여 냉각기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콤프레서, 냉각기를 포함하는 냉동사이클수단을 냉장고 본체의 상부에 배치하여 콤프레서형 냉장고로 한 경우에는 박형화 냉장고의 실현에 매우 유리하다.
제1냉각기의 U벤트부에 근접하는 측의 제2냉각기의 U벤트부를 어긋나게 하여 배치하는 구성으로 했다. 이 때문에 냉각기의 치수가 소형화 된다.

Claims (12)

  1. 냉장실, 냉동실, 냉매유로 형성체 및 이 유로형성체에 부착되어 소정의 피치로 배열된 핀을 갖고 상기 냉장실 및 냉동실에 공급하는 냉기를 생성하는 냉각기를 수용한 냉각기실을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실은 상기 냉장실 및 냉동실에 각각 연이어 통하고, 상기 냉각기에서 생성된 냉기를 토출하는 냉기 토출구, 상기 냉장실에서 나오는 냉기를 냉각기실로 되돌리는 제1냉기유입구, 냉동실에서 나오는 냉기를 냉각기실로 되돌리는 제2냉기유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냉각기는 제1냉기유입구에서 유입하는 냉기를 냉각하는 제1냉각기와 상기 제2냉기유입구에서 유입하는 냉기를 냉각하는 제2냉각기로 구성하고, 상기 제1냉각기핀의 피치는 상기 제1냉각기를 통과하는 냉기류의 상류부분에 배열되는 제1냉각기핀의 피치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냉장실에서 제1냉기유입구에서 냉기를 공급하는 제1냉기 회수덕트와, 냉동실에서 제2냉기유입구에 냉기를 공급하는 제2냉기 회수덕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제2냉각기에 끼인 성에를 제거하는 제1열원과, 제2냉각기에 끼인 성에를 제거하는 제2열원과, 상기 제1열원 및 상기 제2열원을 발열제어하는 증발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이 발열제어수단은 콤프레서의 1사이클마다 상기 제1열원을 발열시키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발열제어수단은 제2열원을 소정시간을 두고 발열시키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제1냉각기 및 제2냉각기가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제1냉각기 및 제2냉각기에 있어서의 냉매유로 형성체는 각각 U벤트부를 갖고, 근접하는 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냉각기의 U벤트부와 제2냉각기의 U벤트부는 냉기류에 대해서 번갈아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를 포함하는 냉동사이클수단이 냉장고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냉장실, 냉동실, 냉매유로 형성체 및 이 유로형성체에 부착되어 소정피치로 배열된 핀을 갖고 상기 냉장실 및 냉동실에 공급하는 냉기를 생성하는 냉각기를 수용한 냉각기실을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실은 상기 냉장실 및 냉동실에 각각 연이어 통하고, 상기 냉각기에서 생성된 냉기를 토출하는 냉기토출구와, 상기 냉장실 및 냉동실에서 나오는 냉기를 상기 냉각기실로 되돌리는 냉기유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냉각기는 상기 냉기유입구에서 유입하는 냉기류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제1냉각기와 냉기류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제2냉각기로 구성되고, 이 제2냉각기의 핀 피치는 상기 제1냉각기를 통과하는 냉기류의 상류부분에 배열되는 핀피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제1냉각기에 끼인 성에를 제거하는 제1열원과, 제2냉각기에 끼인 성에를 제거하는 제2열원과, 상기 제1열원 및 상기 제2열원을 발열제어하는 발열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이 발열제어수단은 콤프레서의 1사이클마다 상기 제1열원을 발열시키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발열제어수단은 제2열원을 소정시간을 두고 발열시키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8항에 있어서, 제1냉각기 및 제2냉각기가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냉동사이클이 냉장고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19960005997A 1995-03-08 1996-03-08 냉장고 KR01631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048784 1995-03-08
JP7048784A JPH08247622A (ja) 1995-03-08 1995-03-08 冷蔵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947A KR960034947A (ko) 1996-10-24
KR0163120B1 true KR0163120B1 (ko) 1999-01-15

Family

ID=12812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5997A KR0163120B1 (ko) 1995-03-08 1996-03-08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08247622A (ko)
KR (1) KR0163120B1 (ko)
CN (1) CN1105278C (ko)
TW (1) TW3685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501B1 (ko) * 2001-10-04 2007-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연속냉각이 가능한 냉장고
TW200710358A (en) * 2005-06-28 2007-03-16 Toshiba Kk A refrigerator
CN102706023B (zh) * 2011-09-06 2014-11-05 合肥雪祺电气有限公司 一种冰箱翅片蒸发器的布局结构
JP2018048798A (ja) * 2016-09-16 2018-03-29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WO2019197031A1 (en) * 2018-04-12 2019-10-17 Carrier Corporation Refrigerated sales cabine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28B2 (ja) * 1987-02-27 1995-01-11 株式会社東芝 冷蔵庫用冷凍サイクル
DE3925676A1 (de) * 1989-08-03 1991-02-07 Fritz Schweikle Kuehlvitr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5278C (zh) 2003-04-09
KR960034947A (ko) 1996-10-24
CN1158975A (zh) 1997-09-10
JPH08247622A (ja) 1996-09-27
TW368595B (en) 1999-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2458B2 (en) Ice making unit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523251B1 (ko)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2627719B1 (ko) 냉장고
EP0715137B1 (en) Cool air discharge controller for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30101371A (ko) 냉장고
KR100584271B1 (ko) 냉장실 도어에서의 제빙 냉기 유로 구조
WO2012008092A1 (ja) 冷蔵庫
KR100621235B1 (ko)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의 제빙용 냉기 유로 구조
JPH1114230A (ja) 冷蔵庫
KR100348068B1 (ko) 냉장고의 제어방법
KR20060007245A (ko) 냉장고의 제빙 제어 장치
KR0163120B1 (ko) 냉장고
JP2005172303A (ja) 冷蔵庫
CN102345959B (zh) 冰箱
KR100431480B1 (ko) 냉장고
KR100451341B1 (ko)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
JPH08247618A (ja) 冷蔵庫
CN209910241U (zh) 冰箱
KR100377254B1 (ko) 냉동냉장고
JP2005241139A (ja) 冷蔵庫
US8534091B2 (en) Refrigerator related technology
CN221324836U (zh) 风道系统和冰箱
KR100597292B1 (ko) 냉장고
JP2002340465A (ja) 冷蔵庫
TWI658245B (zh)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