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2126B1 - 재생 음원 및 합성 음원을 가진 통합 노래 반주 시스템 - Google Patents

재생 음원 및 합성 음원을 가진 통합 노래 반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2126B1
KR0162126B1 KR1019940004821A KR19940004821A KR0162126B1 KR 0162126 B1 KR0162126 B1 KR 0162126B1 KR 1019940004821 A KR1019940004821 A KR 1019940004821A KR 19940004821 A KR19940004821 A KR 19940004821A KR 0162126 B1 KR0162126 B1 KR 0162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ng
data
song accompaniment
accompaniment
mu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4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2442A (ko
Inventor
마사시 다시로
유지 셈바
Original Assignee
우에시마 세이스케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에시마 세이스케,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에시마 세이스케
Publication of KR940022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2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2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21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5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the accompaniment information being stored on a host computer and transmitted to a reproducing terminal by means of a network, e.g. public telephone lin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 plurality of record carriers or indexed parts, e.g. tracks, thereof, e.g. for 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21Musical libraries, i.e. musical databases indexed by musical parameters, wavetables, indexing schemes using musical parameters, musical rule bases or knowledge bases, e.g. for automatic composing methods
    • G10H2240/125Library distribution, i.e. distributing musical pieces from a central or master librar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21Musical libraries, i.e. musical databases indexed by musical parameters, wavetables, indexing schemes using musical parameters, musical rule bases or knowledge bases, e.g. for automatic composing methods
    • G10H2240/131Library retrieval, i.e. searching a database or selecting a specific musical piece, segment, pattern, rule or parameter se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01Physical layer or hardware aspects of transmission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e.g. voltage levels, bit streams, code words or symbols over a physical link connecting network nodes or instruments
    • G10H2240/241Telephone transmission, i.e. using twisted pair telephone lines or any type of telephone network
    • G10H2240/245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50/00Aspects of algorithms or signal processing methods without intrinsic musical character, yet specifically adapted for or used in electrophonic musical processing
    • G10H2250/541Details of musical waveform synthesis, i.e. audio waveshape processing from individual wavetable samples, independently of their origin or of the sound they represent
    • G10H2250/571Waveform compression, adapted for music synthesisers, sound banks or wavetables
    • G10H2250/591DPCM [delta pulse code modulation]
    • G10H2250/595ADPCM [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Abstract

노래 반주 시스템은 신청 명령에 따라 지정된 노래 반주곡을 생성한다. 노래 반주 시스템은 기록유니트와 재생 음원 유니트로 재생음원 노래 반주장치를 구성하며, 노래 반주곡을 판독가능하게 기록하는 폐쇄 데이타원을 한정하는 기록유니트와 노래 반주곡을 나타내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도록 기록유니트를 판독하는 재생 음원유니트를 구비한다. 시스템은 또한 공급유니트와 합성유니트로 합성노래 반주장치를 구성하며 노래 반주곡을 규정하는 노래데이터를 액세스 가능하게 공급하는 개방데이터원을 한정하는 공급유니트와, 노래 반주곡을 나타내는 오디오신호를 합성하도록 공급된 노래데이터를 처리하는 합성유니트를 구비한다. 폐쇄 및 개방데이터원의 효율적인 사용을 성취하도록 신청 명령에 따라 프레이백 노래 반주장치와 합성노래 반주장치 중 어느한 장치를 선택적으로 작동하도록 통합제어 유니트가 제공된다. 사운드유니트가 재생 음원 노래 반주장치와 합성노래 반주장치중 어느 하나의 작동된 장치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수신한다.

Description

재생 음원 및 합성 음원을 가진 통합 노래 반주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의 통합 노래 반주 시스템을 도시하는 전체 시스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통합 노래 반주 시스템으로 구체화한 통합 제어 장치의 블록도.
제3도는 제1도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
제4도는 제1도 시스템의 상세 구조도.
제5a도 및 제5b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사용된 노래데이터를 도시하는 개략도.
제6도는 각종 데이터 버퍼의 기능 블록도.
제7도는 또 다른 노래데이터 포맷을 도시하는 개략도.
제8도는 폰트 식별 데이터의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
제9도는 MIDI 이벤트(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event)을 실행하는 루틴을 도시하는 도면.
제10도는 MIDI 이벤트와 동기하는 ADPCM 이벤트를 실행하는 루틴을 도시하는 설명도.
제11도는 톤 발생 처리기로부터 백코러스의 공통 음파트를 발생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동작 블록도.
제12도는 톤 발생 처리기 이외에 악구 코러스 데이터(pharse chorus data)를 확장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동작 블록도.
제13도는 피치이동의 과정을 도시하는 동작 블록도.
제14도는 멀티미디어 순서기에 의한 다중 제어기를 도시하는 동작 블록도.
제15도는 신청곡 항목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16도는 소정 노래 반주곡의 중심 피치값의 판단을 도시하는 그래프.
제17도는 자동 이조(移調)의 제1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18도는 자동 이조의 제2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19도는 자동 이조의 제3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20a도 및 제20b도는 워드 문자 옆에 코드명의 디스플레이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21도는 삼중 화면의 중첩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22도는 통신제어 설비를 도시하는 시스템도.
제23도는 합성 노래 반주 장비의 HDD 기억장치와 결합한 포크블 다운 적재기를 도시하는 개략도.
제24도는 차량에 설치된 노래 반주 시스템에 노래데이터를 다운 로딩하는 것을 도시하는 시스템도.
제25도는 제24도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레이저 디스크 체인저 12 : 모니터 CRT
13 : 믹싱 증폭기 14 : 마이크로폰
15 : 스피커 20 : 통합 제어장치
30 : 리모트 호스트 스테이션
본 발명은 마이크로폰으로 픽업된 노래의 생목소리 음부와 함께 동시에 혼합되는 신청곡의 악기 반주음부를 발생하도록 하는 노래 반주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재생 음원 노래 반주 장치 및 합성 음원 노래 반주 장치로 구성된 통합 노래 반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재생 음원 노래 반주 장치에서 사용되는 단순재생용 데이터는 음악 반주 데이터 또는 반주 데이터로 명하고, 합성 음원 노래 반주 장치에서 사용되는 합성용 데이터는 음악 연주 지정 데이터 또는 연주 데이터로 명한다.
노래 반주 장치는 대중화 되어 있으며, 바아 및 클럽에서 뿐만 아니라 노래 반주 박스라고 불리우는 특별 대여룸 및 관광버스와 같은 차량에 설치된다. 종래의 노래 반주 장치는 통상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오디오 정보(즉, 음악 반주 데이터)와 노래 반주곡의 관련 비디오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 유니트와, 노래 반주 노래를 재생하고 이와 함께 노래하는 목소리를 믹싱하는 오디오 유니트와, 배경 화면과 노래 반주곡의 재생에 따라 워드 문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비디오 유니트와, 기록, 오디오 및 비디오 유니트를 제어하는 제어 유니트로 구성된 재생 음원 타입 또는 곡조 재생 타입이다. 최근에, 곡조 합성 타입 또는 곡조 생성 타입의 또 다른 노래 반주 장치가 개발되었으며, 이 장치는 노래 반주곡을 규정하는 노래데이터(즉, 음악 연주 지정 데이터)에 따라 곡조를 합성하는 톤발생기를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합성 노래 반주 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그곳에서 노래데이터를 검색하는 호스트 스테이션에 연결된다.
재생 음원 노래 반주 장치는 폐쇄 또는 분리 데이터원인 기록 유니트를 가지며, 따라서, 재생 음원 노래 반주 장치는 기록 유니트에 저장되지 않은 앤트리되지 않은 노래 반주곡에 대한 신청에 응답할 수 없다. 한편, 합성 노래 반주 장치는 노래하는 사람의 선곡에 따라 소망의 노래데이터를 자유로이 검색하도록 호스트 스테이션의 데이터 베이스에 액세스 가능하다. 합성 노래 반주 장치의 극단의 형태는 모든 신청곡 데이터가 예외없이 호스트 스테이션으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원격통신에 유일하게 종속하는 형태이다. 데이터 통신비용과 매 선곡(신청)시 호스트 스테이션으로의 반복된 액세스에 필요한 시간을 절감하기 위해, 합성 노래 반주 장치의 반자급타입은 재사용을 위해 호스트 스테이션으로부터 공급된 노래데이터를 저장하는 개방 데이터원을 한정하는 기억장치를 가진다.
두타입의 합성 노래 반주 장치를 시장에 내놓는데 있어서, 구형의 재생 노래 반주 장치를 신형의 합성 노래 반주 장치로 완전히 대체하는 것은 신청장치의 사용자와 제작자 모두에게 경제적인 손해를 초래하여 구형 장치를 처분해야 하는 불합리한 결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재생 음원 노래 반주 장치의 구성요소들의 효율적인 사용과, 합성 노래 반주 장치의 순조로운 도입을 허용하는 통합 노래 반주 시스템을 구성하도록 재생 음원 및 합성 노래 반주 시스템을 서로 통합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합 노래 반주 시스템에서 재생 음원 장치로 제공된 폐쇄 데이터원과 합성 노래 반주 장치로 제공된 개방 데이터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합 노래 반주 시스템에서 개방 데이터원의 용이하고 시기 적절한 유지보수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특징에 있어서, 가창자에 의해 소망된 노래 반주곡에 대응하는 신청 명령에 따라 의도된 노래 반주 노래를 발생시키는 노래 반주 시스템은 폐쇄된 데이터원으로 음악반주 데이터를 사전기억하고 음악반주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디오신호를 재생하도록 사전 기억된 음악반주데이터를 판독출력하는 음악재생 수단과, 개방데이터원으로서 음악연주 지정데이터를 기억하고, 음악연주 지정데이터에 따라 오디오신호를 합성하는 음악합성수단과, 신청 명령을 수신하여 신청 명령에 따라 음악재생 수단과, 음악합성수단 중 어느 한 수단을 선택하며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음악 재생수단과 음악합성수단중 선택된 한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음악재생수단과 음악합성수단중 선택된 하나의 수단으로 출력된 오디오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오디오신호에 대응하는 소망의 노래 반주곡을 발생시키는 음악 발생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특징에 있어서, 노래 반주 시스템이 신청 명령에 따라 지정 노래 반주곡을 발생시키는 원격분기와 호스트 스테이션으로 구성된다. 호스트 스테이션은 신청 명령에 따라 노래 반주곡을 지시하는 노래데이터에 전송하는 원격분기와 통신가능한 본래의 데이터 베이스를 가진다. 원격분기는 저장 데이터 파일을 형성하도록 전송된 노래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저장 데이터 파일과 데이터베이스에 무관하게 분리 데이터원을 형성하도록 노래 반주곡을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신청 명령에 응답하여 먼저 분리 데이터원에 액세스한 다음, 지정 노래 반주곡이 분리 데이터원에서 발견되지 않으면 저장 데이터 파일에 액세스하고, 그 다음에 지정 노래 반주곡이 저장 데이터 파일에서 발견되지 않으면 본래의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는 제어수단과, 액세스된 분리 데이터원에 연결가능하며 지정 노래 반주곡을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액세스된 저장데이터 파일과 본래의 데이터 베이스중 어느 하나로부터 노래데이터를 수신하여 지정 노래 반주곡을 합성하도록 노래데이터를 처리하는 합성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3특징에 있어서, 신청 명령에 따라 지정 노래 반주곡을 발생시키는 노래 반주 시스템은 개방 데이터원을 제공하도록 소정 스폿에 설치되어 노래 반주곡을 지정하는 노래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노래데이터의 패키지를 기억하며 기억수단과 결합하도록 소정 스폿에 전달되며 개방 데이터원을 채우기 위해 노래데이터의 패키지를 적재하는 기억수단과, 신청 명령에 따라 개방 데이터원으로부터 노래데이터를 검색하고 지정 노래 반주곡을 나타내는 오디오 신호를 합성하도록 검색된 노래데이터를 처리하는 합성수단과, 오디오신호를 수신하여 지정 노래 반주곡을 발생시키는 음악 발생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특징에 따르면, 음악재생수단 및 음악합성수단은 통합 노래 반주 시스템을 구성하도록 제어수단에 의해 서로 통합된다. 본 발명의 제2특징에 따르면, 합성 노래 반주 장치의 개장 데이터원은 신청 노래 반주곡이 재생 음원 노래 반주 장치의 폐쇄된 데이터원에서 가용하지 않을 때만 액세스된다. 또한, 이러한 경우, 합성 노래 반주 장치의 기억수단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은 반복되는 액세스를 피하도록 호스트 스테이션의 데이터 베이스에 대해 우선순위가 부여된다.
본 발명의 제3특징에 따르면, 분리 포터블 로딩 구현은 원격통신 데이터공급이 가용하지 않을지라도 용이하고 시기적절한 방법으로 노래데이터의 패키지를 개방 데이터원에 적재하도록 이용된다.
이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두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노래 반주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성도이다. 시스템은 레이저 디스크(LD) 체인저(11)와, 모니터CRT(12) 형태의 디스플레이, 믹싱증폭기(13), 마이크로폰(14), 및 한쌍의 스피커(15)를 구비하며, 이들을 곡조재생타입 또는 재생 음원 타입의 통상의 노래 반주 장치(10)를 구성하도록 모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또한 톤발생 처리기를 구비하며 곡조생성타입 또는 합성타입의 또 다른 노래 반주 장치를 기능적으로 구성하도록 모니터 CRT(12)와 믹싱증폭기(13)에 연결되는 통합 제어장치(20)를 구비한다. 이 통합제어 장치는 재생 음원 노래 반주 및 합성 노래 반주의 통합인 통합 노래 반주 시스템을 구축, 제어하기 위하여 재생 음원 타입 노래 반주 장치(10) 일부에 연결된 통합 시스템 명령자로서 동작한다. 원격 호스트 스테이션(30)은 종합정보통신망(ISDN)과 같은 고속 디지털 통신을 통해 통합제어장치(20)에 연결된다. 노래신청 명령을 통합제어 시스템으로 입력하도록 원격제어기(50)가 제공된다.
재생 음원 노래 반주 장치(10)는 LD체인저(11)가 폐쇄된 데이터원으로서 다수의 레이저 디스크(LD)를 구비한 자체 지원 타입이다.
레이저 디스크는 다수의 노래 반주곡 및 연관된 워드 및 배경화면을 기록한다. LD 체인저(11)는 신청 명령에 의해 제어되어 레이저 디스크에 액세스하여 신청 노래 반주곡을 나타내는 오디오신호 AUDIO를 믹싱증폭기(13)에 출력하고 연관된 워드 및 화면을 나타내는 비디오 신호 VIDEO를 출력하는 레이저 디스크를 선택한다. 믹싱 증폭기(13)는 신청곡의 노래 반주와 더불어 마이크로폰(14)으로 픽업된 가창자의 생목소리를 혼합한다. 따라서, 모니터CRT(12)는 가창자의 목소리 성능에 도움을 주도록 신청 노래 반주곡에 연관된 노래워드와 배경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제2도는 통합제어장치(20)의 상세한 내부고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통합제어장치(20)는 일반적으로 재생 음원 및 합성노래 반주장치를 통합제어하는 명령블록(21)과, 합성 노래 반주에서 사용된 노래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파일블록(22)과, 여러기능을 가진 음향/그래픽 블록(23)으로 분할된다. 우선, 명령블록(21)은 수신기(21), 패널인터페이스(21B), 신청제어기(21C), 인디케이터(21D), 구동기(21E), I/O 선택기(21F) 및 액세스 인터페이스(21G)로 구성된다. 수신기(21A)는 원격 제어기(50)에서 명령을 수신한다. 패널 인터페이스(21B)는 통합제어장치(20)의 전면에 설치된 스위치 패널(24, 제1도)로부터 입력된 또 다른 명령어를 받으며, 신청제어기(21C)는 신청된 노래 반주곡의 선택 및/또는 보존을 행하는 다수의 곡신청을 구성하도록 수신기(21A) 및 패널 인터페이스(21B) 중 어느 하나로부터 곡신청의 명령에 따라 동작한다. 인디케이터(21D)는 선택 또는 보존된 노래를 항목 코드로 나타내도록 구동기(21E)로 구동된다. I/O 선택기(21F)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의 입력 및 출력을 선택한다.
데이터 파일블록(22)은 파일 분류기(22A), 통신제어기(22B) 및 데이터 기억부(22C)로 구성된다. 파일분류기(22A)는 신청제어기(21C)로부터 노래 반주곡의 선택 또는 보존된 항목코드를 수신한다. 통신제어기(22B)는 ISDN망(40)을 통해 호스트 스테이션(30)을 통신한다. 데이터 저장부(22C)는 개방 데이터원으로서 데이터 파일을 형성하는 ISDN망(40)을 통해 호스트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된 노래데이터를 저장한다. 동작간 파일분류기(22A)가 요청 제어기(21C)로부터 선택 또는 보존 명령을 수신할 때, 파일 분류기(22A)는 초기에 신청 노래 반주곡의 노래데이터가 기억되는지를 서치하는 데이터 기억장치(22C)에 액세스한다. 기억되었으면 서치된 노래데이터는 판독출력된다.
한편, 기억되어 있지 않으면, 호스트 스테이션(30)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신청된 노래데이터를 받아들이도록 통신제어기(22B)가 작동된다. 데이터 기억부(22C)는 예를 들어 각각의 노래 반주곡이 평균적으로 10킬로바이트의 노래데이터로 지정되었다면 하드 디스크 드라이버(HDD)가 1천곡을 저장할 수 있도록 100메가바이트의 용량을 가진 HDD로 구성된다.
음향/그래픽 블록(23)은 데이터버퍼(23A), 멀티미디어 순서기(23B), 톤발생처리기(23C), 비디오 처리기(23D), 및 비디오 중첩기(VIDEO SUPERIMPOSER)로 구성된다. 데이터 버퍼(23A)는 파일분류기(22A)로부터 공급된 노래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보유한다. 멀티미디어 순서(23D)는 노래데이터에 포함된 이벤트정보에 따른 곡조, 화면 및 부가적인 효과를 포함하는 각종 이벤트를 동기적으로 제어한다. 톤 발생처리기(23C)는 순서기(2B)에 의행 제어하에 노래 반주 노래의 곡조를 합성하는 노래데이터를 처리한다. 비디오 처리기(23D)는 배경화면, 노래워드의 문자를 발생한다. 비디오 중첩기(23E)는 LD체인저(11)에 적재된 배경비디오LD(BFV-LD)에 기록되는 배경 동화면과 같은 또 다른 화면과 함께 비디오 프로세서(23D)의 그래픽 출력을 중첩한다.
명령블록(21)의 I/O 선택기(21F)는 LDCP인저(11)로부터 출력된 재생 음원 오디오와 믹싱증폭기(13)에 전달하도록 톤발생처리기(23C)로부터 출력된 합성오디오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과 같은 노래 반주 연주의 오디오부를 조정한다. 또한 I/O 선택기(21F)는 LD체인저(11)로부터 재생된 비디오 출력과 모니터 CRT(12)에 전달되도록 비디오 중첩기(23E)로부터 발생된 다른 비디오 출력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과 같은 노래 반주 기능의 비디오부를 조정한다. LD체인저(11)가 I/O 선택기(21F)에 연결되지 않으면, 합성 노래 반주 장치와 재생 음원 노래 반주 장치는 서로 기능적으로 독립한다. 합성 및 재생 음원 노래 반주 장치는 통합제어장치(20)에 제공되는 I/O 선택기(21F)와 액세스 인터페이스(21G)에 의하여 서로 통합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통합 노래 반주 시스템에 있어서, 명령블록(21)은 신청곡이 LD체인저(11)의 폐쇄 및 분리 데이터원에 기록되는지에 관해 초기에 체크하기 위해 원격제어기(50)로부터의 곡신청에 따라 동작한다. 즉, 제1우선순위는 LD 체인저(11)에 기록된 오디오 및 비디오원의 효과적인 사용을 위해 재생 음원 노래 반주 장비(10)에 주어진다. LD체인저(11)가 신청 노래 반주곡을 기억하고 있으면, 그의 오디오 및 비디오 출력은 노래 반주 기능을 행하도록 이용된다. 한편, 신청된 노래 반주곡을 LD 체인저(11)에서 찾을 수 없으면, 명령블록(21)은 합성 노래 반주 장치의 노래데이터를 이용하도록 파일 분류기(22A)로 신청 노래 반주곡의 항목코드를 패스한다. 이 경우, 호스트 스테이션(30)의 데이터베이스에 즉시 액세스되는 것이 아니라, 신청곡 데이터가 저장되었는지에 관해 체크되도록 바로 전에 내부데이터 기억장치(22C)에 액세스된다. 신청곡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면, 신청곡 데이터는 곡조합성을 위해 데이터 기억장치(22C)로부터 검색된다. 즉, 제2우선순위는 데이터 기억장치(22C)의 개방 데이터 파일에 주어진다. 또한, 데이터 기억장치(22C)에서 신청곡을 찾을 수 없으면, 호스트 스테이션(30)은 ISDN 망(40)을 통해 신청곡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호출된다.
즉 제3우선순위는 호스트 스테이션의 본래의 데이터베이스에 주어진다. 합성 노래 반주 장치가 데이터 기억장치(22C)와 함께 제공되지 않으면, 호스트 스테이션으로부터 노래데이터 검색은 제2우선순위가 부여된다.
제3도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통합 노래 반주 시스템의 중요 구성요소들간 기능적인 연결관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통합 제어장치(20)는 재생 음원 및 합성노래 반주 장치를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조정기능을 가진 마이크로 컴퓨터 보드(25)를 구비한다. 이 마이크로 컴퓨터(25)는 합성 및 재생 음원 노래 반주 장치가 작동되는지에 관해 판단하도록 데이터 기억장치(HDD)(22C)에 기록된 인덱스 데이터를 서치하는 원격제어기(50)로부터 노래 항목코드의 지정에 따라 동작한다. 합성 노래 반주 장치는 통신망(40)을 통해 오리지날로 전송된 노래데이터를 이용하거나 선택적으로 CD-ROM(41)에 기록된 노래데이터를 이용한다. 한편, 재생 음원 노래 반주 장치는 오토 체인저(11)에 설치되는 레이저 디스크(LD), 콤팩트 디스크(CD), 콤팩트디스크 그래픽스(CDG), 콤팩트 디스크 인터액티브(CDI) 및 CD동화면(CDV 또는 비디오 CD)과 같은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원을 이용한다. 이 실시예에서, 데이터 기억장치(HDD)(22C) 및 비디오 처리기(컴퓨터 그래픽스, CG)(23D)는 합성 노래 반주 서브시스템의 표준규성요소이지만,마이크로 컴퓨터 보드(25)는 나머지 제어기능을 통합하는 커스텀(Custom) 구성요소이다.
이 마이크로 컴퓨터(25)는 통합 반주 노래 시스템의 모델타입과 부합하도록 통합제어장치(20)의 본체에 선택적으로 삽입된 카셋트타입이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보드(25)는 통합노래 반주 시스템의 모델과 부합하도록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프로그램 ROM(도면에 도시안됨)을 제외하고는 표준 구성요소로서 조립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통합 노래 반주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 개시된 실시예는 제1도 내지 제3도에서 명확히 도시되지 않은 부가 구성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면, 중앙처리장치(CPU)(61)는 멀티미디어 순서기(23B)에 설치된 프로그램 ROM에 따라 노래 반주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를 실행하도록 제공된다. 랜덤액세스 메모리(RAM)(62)는 CPU(61)가 노래 반주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를 착수할 때 사용된 작업에어리어를 제공한다. 데이터 및 어드레스 버스라인(63)이 통합 노래 반주 시스템을 구성하도록 여러 구성요소들을 함께 연결한다. 외부 전자악기(42)에 연결되도록 MIDI 인터페이스(64)가 제공된다. MIDI 데이터는 예를 들어 하나의 곡의 인접 곡조 및 박자 사이의 시간 길이인 음표의 지속 기간을 포함한다. 체인저 제어기(65)는 LD체인저(11)를 제어한다. 체인저 제어기(65)는 LD 체인저(11)의 모델타입에 따라 선택된다.
ADPCM 디코더(66)는 멀티미디어 순서기(23B)에서 공급된 콤팩트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적응델타 펄스코드변조(adoptive data pulse code modulation:ADPCM)데이터를 신장하는 비트 변환 및 주파수 변환을 맡도록 제공된다. 피치 시프터(67)는 ADPCM디코더(66)에 연결되어 멀티미디어 순서기(23B)로부터 제공된 키이 정보에 따라 디코드 오디오 신호의 톤피치를 제어한다. 효과믹서(68)는 피치 시프터(67)의 출력과 톤발생 처리기(23C)의 출력을 수신한다. 톤발생 처리기(23C)는 노래 반주곡의 오디오신호를 합성하도록 노래데이터에 의해 구동된 음합성장치로 동작한다. 톤발생처리기(23C)는 MIDI 데이터 및 제어유니트에 의거 곡조를 합성하는 톤발생유니트로 구성된다. 마이크로폰 효과기(69)는 에코, 자극 및 마이크로폰(14)의 출력과 같은 사운드 효과를 준다. 디지털 사운드 필드 처리기(DSP:70)는 사운드 필드효과를 마이크로폰 효과기(69)의 출력과 LD체인저(11)의 오디오 출력에 부여하기 위해 제공된다.
한편, 비디오 처리기(23D)는 디스플레이를 비디오신호를 발생하도록 정지 및 동화면을 나타내는 배경화면정보, 연주곡과 관련된 워드를 나타내는 문자정보를 처리한다. 이 실시예에서, 비디오 처리기(23D)는 두 개의 유니트(23D1, 23D2)로 분할된다. 하나의 비디오 처리기 유니트(23D1)는 비디오신호 VIDEO 1을 출력하는 노래워드를 발생하며, 또다른 비디오 처리기 유니트( 23D2)는 비디오신호 VIDEO 2를 출력하도록 배경화면을 발생한다. LD체인저(11)는 합성 노래 반주 모드로 사용하기 위해 단독 영상정보를 재생하도록 또는 재생 음원 노래 반주 모드로 레이저 디스크에 기록된 노래 반주곡을 재생하도록 동작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합성노래 반주 모드에서, LD체인제(11)는 소정의 레이저 디스크의 소정 프레임에 기록된 정지화면을 나타내거나 소정 프레임에서 시작하는 동화면을 나타내는 비디오신호 VIDEO 0을 출력하도록 톤발생처리기(23C)에 의해 합성된 노래 반주 반주와 동기하여 동작된다. 비디오 중첩기(23E)는 비디오신호 VIDEO 0, VIDEO 1 및 VIDEO 2를 합성화면을 합성하도록 서로 중첩한다.
또한, 포터블 타입의 다운 적재기자 ISDN 망(40)을 사용치 않고 기억장치(HDD)에 노래데이터의 패키지를 적재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들면, 통합노래 반주 시스템이 소정의 유져스폿에 설치되면, 공급기 포터블 다운적재기(71)를 즉시 노래데이터의 패키지를 적재하는 유져 스폿으로 가져간다. 이러한 볼륨 적재를 함으로써, 유져는 ISDN망(40)을 통해 호스트 스테이션(30)과의 오래시간의 통신을 절약할 수 있으며, ISDN망은 노래 데이타의 큰 볼륨을 전송하는데 필요하다.
이후, 도면과 관련하여 여러 형태로 본 발명인 통합노래 반주 시스템의 동작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재생 음원 합성 제어]
원격제어기(50) 또는 스위치패널(24)이 연주되는 노래 반주곡을 지정하도록 작동되면, CPU(61)는 지정된 곡이 제1우선순위로 주어지는 오토 체인저(11)의 LD에서 기록되는지에 관해 체크되도록 데이터 기억장치(22C)에 기억된 인덱스 테이블을 참조한다. 지정곡이 기록되어 있으면, 재생 음원 모드로 지정곡이 LD에서 재생된다. 오토체인저(11)는 DSP(70)를 통해 스피커(15)로 전송된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며, 동시에 비디오 중첩기(23E)의 선택기부를 거쳐 모니터 CRT(12)로 전송된 비디오신호 VIDEO 0을 출력한다. 한편, 가창자의 생목소리는 마이크로폰(14)에 의해 마이크로폰 효과기(64)를 통해 DSP(70)로 공급된 전기신호로 변환된다. 믹싱 증폭기(13)는 스피커(15)가 믹스된 오디오 출력을 발생하도록 반주파트와 음성파트를 혼합한다.
지정된 곡이 LD체이저(11)에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 CPU(61)는 제2우선순위로 주어지는 HDD 기억장치(22C)에 저장된 노래데이터를 서치한다. 지정된 곡이 데이터 기억장치(22C)에 저장되어 있으면, 노래데이터는 RAM(62)에서 검색되어 RAM(62)으로 적재된다. 톤발생처리기(23C)는 노래 반주 연주를 행하도록 음조를 합성하는 노래데이터에 따라 동작한다. 이러한 곡조의 합성은 멀티미디어 순서기(23B)에 의한 제어하에 실행된다.
오디오 파트와 관련하여, 톤발생처리기(23C)는 RAM(62)에서 출력된 디지털 노래데이터에 따라 곡조신호를 연속해서 발생한다. 곡조신호는 효과믹서(68), DSP(70) 및 믹싱 증폭기(13)를 거쳐 스피커(15)로 음향적으로 재생된다. 비디오 파트와 관련하여, 비디오 처리기 유니트(23D1, 23D2)는 노래의 진행과 동기하여 순서기(23B)의 제어하에 노래데이터에 포함된 그래픽정보에 따라 워드문자 및 배경화면을 발생한다. 발생된 워드 문자 및 배경화면은 배경화면을 발생한다. 발생된 워드 문자 및 배경화면은 비디오 중첩기(23E)를 통해 모니터 CRT(12)에 의해 가시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LD체인저(11)에서 발생된 또다른 배경화면은 비디오 중첩기(23E)에 의해 배경화면 및 워드문자에 중첩된다. 워드문자는 디스플레이된 문자의 칼라가 연주자의 목소리 타이밍을 시사하도록 노래의 진행과 동기하여 순차적으로 변환된 모니터CRT(12)에 의해 가변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연주자는 모니터CRT(12)상에 디스플레이된 워드문자에 따라 마이크로폰(14)을 다루면서 노래를 할 수 있다.
지정곡 데이터가 HDD기억장치(22C)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CPU(61)는 제3우선순위로 주어지는 온라인의 호스트 스테이션으로부터 지정곡 데이터를 받도록 통신제어기(22B)를 작동된다. 즉, 호스트 스테이션(30)은 ISDN(40)을 통해 호출되며, 호스트 스테이션(30)이 호출에 응답할 때, 노래항목 코드는 지정곡 데이터를 신청하도록 보내진다.
노래데이터는 재사용을 위해 HDD 기억장치(22C)에 지정된다.
[호스트 스테이션으로 부터의 데이터 전송방법]
합성노래 반주 장치는 제5a도에 도시한 데이터 포맷을 가지는 노래데이터로 구동된다. 노래데이터는 워드 트랙의 헤더 및 순차직렬 트레인, 반주트랙, 디지털 보이스트랙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트랙은 지속기간 및 이벤트의 유사한 대체 배열을 가진다. 노래데이터는 노래데이터의 전송이 최종트랙 수신시 완료되도록 직렬포맷으로 호스트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된다. 따라서, 최종 트랙이 노래 반주 시스템에 의해 수신된 후 노래 반주 연주가 시작된다. 연주자는 노래 반주 연주를 실제로 시작하도록 신청후 일정시간 간격 동안 대기하여야 한다. 예를들면, 전형적인 노래데이터는 워드트랙에서 보이스 트랙까지 100KB 그리고 헤더용 15KB 내지 20 KB의 길이를 가진다. 이러한 노래데이터의 길이는 초당 8KB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가진 빠른 ISDN망을 통해 악15초까지 전송된다. 실제로, 이러한 비트전송시간은 통합전송시간이 20초에 달하는 호스트 스테이션의 호출시간, 호스트 스테이션에서의 데이터베이스 액세스시간과 같이 오버헤도에 의해 부가된다. 이러한 대기시간은 1~2초 정도안 HDD로 부터의 노래데이터의 검색시간의 수십배이다.
이를 고려하여, 데이터 전송포맷은 본 발명의 통합노래 반주 시스템에서 제5b도로 도시한 바와같이 정렬된다. 즉, 제5a도에 도시한 본래의 노래데이터포맷에서 워드트랙은 A1, A2,..,AN의 시간순차부로 분할되며, 반주트랙은 B1, B2,..BN의 시간순차부로 분할되고, 디지털 보이스트랙은 C1, C2,..CN의 시간순차부로 분할된다. 제5b도 포맷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제1섹션 A1,B1 및 C1은 제1트랙을 구성하도록 각각의 트랙에서 수집된다. 유사하게, 제2섹션 A2, B2, 및 C2는 제2트랙을 형성하도록 수집된다. 유사하게, N섹션 AN, BN 및 CN은 N트랙을 형성하도록 수집된다. 예를들면, N=6인 경우, 약 15KB의 길이를 가진 제1트랙의 데이터전송은 약2초에 완료된다. 헤더의 선행데이터 전송은 약2초를 요하며,그에 따라 제1트랙을 수신하는데 단지 4초가 소모된다. 오비헤드가 부가될지라도, 제1트랙의 수신은 약8초에 끝난다. 제1콤포지트 트랙 수신시 노래 반주 시스템은 노래워드데이타, 디지털 보이스데이타를 포함하는 모든 연주정보의 톱파트를 얻으며 그에따라 워드디스플레이가 동반된 노래 반주연주의 톱파트를 용이하게 시작한다. 추정시 3분길이의 음악 악곡을 나타내는 노래데이터는 노래 반주 시스템의 노래데이터의 제1트랙에 따라 노래 반주 연주의 약30초를 시작하도록 제1내지 제6트랙으로 분할된다. 따라서 노래 반주 시스템은 제1트랙이 수신된 후 노래 반주연주를 개시하는 반면에, 제2 및 또다른 트랙은 연속해서 입력된다. 제1트랙의 연주가 끝난 후, 제2트랙은 나머지트랙이 계속해서 입력되는 동안 연주된다. 이러한 플라잉 스타트의 방법에 의해, 노래 반주시스템은 인터럽트없이 노래 반주시스템을 끝내기 위해 노래 반주연주를 즉시 시작하는 반면에, 노래데이터는 노래연주와 병렬로 전송된다.
이러한 노래워드트랙, 연주트랙 및 디지털 보이스트랙은 MIDI 데이터와는 달리 비교적 소형데이터 볼륨을 가진다. 때때로, 노래데이터는 예를들어 백코러스를 나타내는 데이터의 비교적 큰 볼륨과 함께 부가된다. 이 경우, 데이터 압축기술은 데이터볼륨을 축소하기위해 사용된다. 제5a도 포맷에 있어서, 노래데이터는 적응델타펄스코드변(ADPCM)데이터를 전달하는 최종의 부가트랙을 포함한다. ADPCM데이터는 44KHZ의 레이트로 샘플된 16비트형태를 가진 본래의 데이터에 대해 11KHZ 또는 22KHZ의 재샘플링 레이트로 4비트형태로 압축된다. 압축되었을지라도, ADPCM트랙은 아주 긴 전송시간을 요하는 수백KB까지 데이터 길이를 가진다. 이를 고려하여, 제5b도 전송포맷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ADPCM트랙은 또한 D1, D2,..DN의 시간순차부로 분할되며, 각각의 시간순차부는 빠른 데이터전송을 위한 제1, 제2,..,제N트랙으로 분할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백코러스를 동반한 노래 반주 노래는 플라잉 스타트모드에서 신속하게 시작된다.
[노래데이터를 HDD기억장치에 다운적재]
ISDN망을 통해 전송된 노래데이터를 HDD기억장치(22C)에 다운적재하는 여러방법들이 있다. 한방법에 있어서, 수신된 노래데이터는 HDD기억장치(22C)로 직접적재된다. 그러나, HDD기억장치는 캐시로서 사용되며, 따라서 빈번하게 신청된곡은 HDD기억장치에 저장되어야 한다. 이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는 비소망 또는 거의 신청되지 않은 곡들을 저장하지 않는 효율적인 방법을 채용한다. 즉, 제6도에 있어서 버퍼(62A,62B 및 62C)는 RAM(62)에서 세트된다. 우선 다운적재버퍼(62A)는 CPU(61)에서 세트된다. 우선 다운적재버퍼(62A)는 CPU(61)에 의해 ISDN망에서 인정된 노래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래치한다. 다음, 래치된 노래데이터는 노래 반주연주를 행하도록 연주버퍼(62B)에 기록된다. 연주시작후, 연주자는 곧 연주된 노래가 신청 곡인지를 판단한다. 때때로, 가창자는 신청곡과 다른 연주곡을 취소할 것을 주문한다. 이 경우, 취소된 노래데이터는 HDD저장장치(22C)로 적재치 않고 지워지는데, 취소된 노래가 부주의로 지정된 노래와 거의 신청되지 않은 곡이기 때문이다. 한편, 연주곡이 연주시작후 어느시간간격(예를들어, 30초)내에서 취소되지 않으면, 연주된 노래는 신청곡이라고 판단한다. 이 경우, 래치된 노래데이터는 다운적재 버퍼(62A)에서 HDD버퍼(62)로 전송된 다음 HDD기억장치(22C)에서 저장된다.
[HDD기억장치에서 노래데이터를 소거]
비소망의 노래데이터가 HDD기억장치(22C)에 저장되지 않는 제6도의 방법과는 달리 취소된 노래데이터는 HDD기억장치HDD(22C)에 보존되며, 취소표시로 레이블된다. HDD기억장치HDD(22C)에서 빈 메모리 에어리어의 부족이 발생하면, 레이블된 노래데이터는 무엇보다도 먼저 소거된다. 레이블된 노래데이터가 기억되는 한 HDD기억장치(22C)는 호스트 스테이션에 액세스하지 않고 동일노래의 반복신청에 따라 레이블된 노래데이터를 용이하게 공급가능하다. 이러한 소거방법을 기준 주파수 및 데이터 사용간격에 더하여 또는 대신하여 HDD기억장치의 데이터 유지보수를 위한 소거표시라고 한다.
[노래데이터의 정렬]
각각의 노래가 한 세트의 데이터 트랙으로 지정된 제5a도 포맷과 비교하여, 제7도의 포맷은 유져가 자유로이 데이터트랙을 정렬할 수 있다. 예를들면, 노래데이터는 세 개의 워드트랙, 즉 정규일본어워드를 포함하는워드트랙1, 외국언어변형을 포함하는 워드트랙2, 및 패러디워드를 포함하는 워드트랙3을 포함한다. 유사방법에 있어서, 반주트랙 1, 2,..,N과 화면트랙 1, 2,...N은 반주 및 화면의 상이한 변형을 포함한다. 또한, 노래데이터의 헤더는 데이터 트랙의 여러조합을 리스트하는 정열표를 포함하며, 각각의 조합은 정력코드에 의해 단순히 식별된다. 도시한 예에 있어서, 정렬 NO.1은 워드트랙1, 실용적으로 다중서브트랙을 포함하는 반주트랙1,과 화면트랙1으로 구성된 정규정렬을 나타낸다. 정렬NO.2는 외국어정렬을, 정렬NO3.은 패러디정렬을 나타낸다. 분리노래데이터가 상이한 정렬로 세트되는 단순포맷과 비교하여 볼 때, 이러한 복잡한 포맷은 데이터트랙이 통상 상이한 정렬로 사용되기 때문에 통합데이터볼륨을 효율적으로 절약할 수 있으며, 그에따라 통신시간과 메모리용량의 축소가 달성된다. 또한, 다수의 데이터트랙이 동일노래에서 서로 연관되기 때문에, 데이터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이러한 복잡한 데이터 포맷에도 불구하고, 유져는 상이한 정렬의 상세를 인식할 필요가 없다. 즉 동일 노래의 일본어변형과 외국어변형은 노래 반주노래의 리스트북에서 상이한 노래항목으로 표시되며, 따라서 유져는 대응정렬을 자동적으로 선택하도록 소망의 항목코드를 간단히 지정한다.
[워드문자의 폰트정렬]
워드문자의 폰트를 정렬하기 위해 다중 워드트랙이 상이한 문자폰트에 대응하게 준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데이터포맷은 데이터볼륨을 증가시켜 바람직하지 못한다. 이러한 중복성(redundancy)을 피하기위해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는 폰트식별코드가 소망폰트를 규정하는 헤더 또는 워드트랙으로 삽입된 효율적인 데이터포맷을 이용한다. 워드문자의 폰트는 새로운 폰트식별코드가 검출될때마다 계속해서 변화된다. 워드트랙은 노래워드를 디스플레이하는데 효율적인 문자코드의 시간순차정렬로 구성된다. 헤더가 첫글자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제4도의 HDD기억장치(22C)에 기억된 대응폰트블록은 폰트에서 문자코드에 의해 워드식별을 시작하도록 작업RAM(62)에서 발생된다. 다음, 워드트랙의 중간에 삽입된 또다른 폰트식별코드는 구(old)폰트블록이 새로이 검출된 폰트시별코드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워드의 폰트를 바꾸도록 작업RAM(62)에서 새로운 폰트블록으로 교체된다. 정상적으로 폰트데이터는 ROM에 기억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작업RAM에서 선택적으로 발생되는 여러폰트들을 분리기억하는 HDD기억장치(22C)를 이용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서, 호스트 스테이션(30)은 폰트의 교체 및 추가를 관리할 수 있는 반면에, 노래 반주 시스템은 폰트ROM을 필요로하지 않는다. 따라서, 동일언어의 폰트가 글자크기에 의하여 바뀌어지며, 이러한 폰트지정기능은 첫글자 일본어 워드가 노래 반주 연주 중간에 외국언어로 전환대는 방식으로 이용된다. 즉, 호스트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된 노래데이터에 포함된 폰트식별코드는 전환되고, 대응폰트는 HDD기억장치(22C)에서 검색되어 작업RAM(62)에서 발생된다.
[멀티미디어 순서기]
멀티미디어 순서기(23B)는 기본적으로 MIDI순서기로 구성되며 동시에 병렬타스크를 실행하도록 오퍼레이팅 시스템(OS)기능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순서기(23B)는 소프트웨어의 제어하에 서로 동기하여 하나의 노래데이터에 포함된 다중의 복수트랙이벤트을 실시간기초로 실행한다. 이벤트은 노래워드 디스플레이, 배경화면, 사운드효과, 외부악기제어등을 포함하는 노래 반주 연주에 포함된 평범된 광범위한 표현을 망라한다. 멀티미디어 순서기(23B)는 CPU(61)에 의하여 작업RAM(62)에서 판독된 노래데이터를 수신한다. 제5a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노래데이터는 워드트랙, MIDI트랙의 형태인 반주트랙, 보익스트랙, 및 부가 ADPCM트랙으로 구성된다. 멀티미디어 순서기(23B)는 노래 반주를 합성하는 톤발생처리기(23C)에 MIDI데이터를 분배한다. 또한, 순서기(23B)는 콤팩트된 ADPCM데이터가 신장, 디스코되는 ADPCM디코더(66)에 ADPCM데이터를 공급한다. 또한 순서기(23B)는 ACPCM데이터의 디코딩을 조절하기 위해 보이스트랙에 포함된 이벤트정보에 따라 ADPCM디코더(66)를 제어한다.
제9도에 있어서, 정규 MIDI트랙은 이벤트 지속기간(대기간격)△t의 정렬로 구성된며, 지속시간은 트랙은 톱(TOT)에서 시작하여 트랙의 앤드(EOT)에서 종결한다. 순서기(23B)는 제9도에서 화살표로 나타낸바와 같이 반복해서 각각의 이벤트을 순간적으로 처리한다.
한편, 노래데이터가 제5a도에 도시한 ADPCM데이터로 부가되는 경우, ADPCM 이벤트은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MIDI 이벤트의 실행과 병렬과 실행된다. ADPCM이벤트은 예를들어 디지털 보이스트랙으로 규정되며, 따라서 ADPCM이벤트을 실행하는 타이밍은 소프트웨어 제어하에 반주트랙에 규정되는 MIDI이벤트과 동기된다. 각 ADPCM이벤트는 (1) ADPCM 톤의 지정, (2) 피치이동의 비활성상태 (3) 톤볼륨, 및 (4) 피치이동량과 같은 여러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ADPCM데이터는 통상 노래 반주연주에 포함되는 백코러스 음성파형과 같은 곡조파형을 나타낸다. 비록 압축되었지만, ADPCM데이터는 MIDI데이터의 데이터볼륨보다 큰 데이터 볼륨을 가진다. 그러나, 백코러스에 관한한 어느 코러스파트는 단순 전조되는 동일노래에 반복해서 부가된다. 이를 고려하여, 공통 코러스파트가 ADPCM데이터의 독립세트로서 일시적으로 준비된다. 재생코스 동안, 일시준비된 ADPCM데이터는 재생된 노래에 포함된 백코러스를 합성하도록 선택된다. 이러한 기술로 호스트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의 통합 볼륨을 절약할 수 있고 메모리용량도 축소할 수 있다. ADPCM이벤트에 포함된 ADPCM톤의 지정은 ADPCM파형들중 소망의 한 파형을 선택하도록 이용된다.
ADPCM데이터는 피치이동형태로 재생된다. 이를 위해 피치이동용량은 피치이동의 소망정도를 지정하도록 ADPCM이벤트에 포함된다. 제4도에 도시한 피치시프터(67)는 ADPCM톤의 피치이동을 실행한다. 피치시프터(67)는 노래 반주 처리기(KP)라고 불리워지는 디지털 신호처리기로 구성될 수 있다. 피치시프터(67)는 노래가 일시적으로 피치이동되는 전조와 유져의 명령에 의해 완전히 이조되는 이조(transposition)를 지시한다. 이 경우, 피치이동은 노래의 이조형태로 추가 중첩된다.
ADPCM데이터는 백코러스톤 이외에 효과톤의 파형을 나타내기위해 사용된다. 이 경우 ADPCM이벤트에 포함된 피치이동의 비활성상태는 어느 효과톤의 부자연스러운 피치이동을 피하기위해 설정된다. 비활성상태는 유져가 이조를 명할지라도 ADPCM의 피치이동을 금지하는데 효과적이다. 마지막으로, 톤볼륨은 ADPCM톤 이벤트의 볼륨을 자동제어하도록 설정된다.
[공통코러스/악구코러스]
백코러스는 일반 또는 공통 코러스와 특정 또는 악구코러스로 분류된다. 공통코러스는 동일노래에 반복해서 부가되는 WAAA... 및 RAAA...와 같이 길게 발음된 모음 짧게 발음된 모음의 조합, 또는 상이한 노래에 사용되는 WAAWAAWAA... 또는 WA,WA,WA...와 같은 단순음성의 열처럼 다소 단순한 사운드로 구성된다. 한편, 악구코러스는 특정노래에 지정된 NAGASAKIWAAA와 같은 특정악구로 구성된다. 합성노래 반주장치는 톤발생처리기로 코러스 사운드를 합성적으로 발생하기위해 일종의 곡조와 같은 단순 사운드로 구성된 공통코러스를 취급한다. 이러한 취급에 위해 백코러스의 전체 데이터 볼륨을 절약할 수 있어 데이터 통신시간을 짧게할 수 있으며 데이터 메모리용량을 축소할 수 있다.
제11도와 관련하여 공통 코러스/악구코러스의 처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주어진다. 공통코러스 데이터E1와 관련하여, WAAA, RAAA 및 AAA와 같은 음성파형은 일시적으로 샘플되며, 샘플된 파형데이터는 톤발생합성장치(23)의 라이브러리에 메모리된다. 악구코러스데이터E2와 관련하여, NAGASAKI...와 같은 특정음성파형을 나타내는 파형데이터는 각각의 노래에 대한 ADPCM데이터의 형태로 또는 HDD기억장치(22C)에 저장된다. 신청시 악구코러스 데이터E2는 노래데이터와 함께 RAM(제4도)으로 전송된다. 악구코러스 데이터E2는 노래데이터의 디지털 음성트랙에 포함된 악구코러스이벤트 데이터E3에 의거 ADPCM디코더(66)에 의하여 처리된다. 한편, 공통코러스 데이터E1는 노래데이터의 MIDI트랙에 포함된 톤발생이벤트데이터E4에 따라 톤발생처리기(23C)(제4도)에 의하여 처리된다. 공통 코러스데이터 E1와 악구코러스데이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다는 OR논리 기능을 가진 선택기(80)에 의해 선택된다. 공통 및 악구코러스데이터 E1, E2 중 선택된 다른 음악 톤데이터와 함께 혼합된 다음, 스피커(15)에 의해 음악이 생성된다.
[코러스 데이터의 압축 및 신장]
일반적으로 백코러스는 큰 데이터볼륨을 가진다. 이를 고려하여, 호스트 스테이션(30)은 본래의 백코러스 데이터를 압축하는 반면, 통합노래 반주 시스템은 압축된 백코러스 데이터를 신장한다. 이 실시예에서 데이터압축은 ADPCM에 의해 행해진다. 이 경우, ADPCM디코더(66)는 노래반주 시스템에서 압축된 백코러스 데이터를 신장한다. 일반적으로, 백콜러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통코러스 및 악구코러스로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악구코러스 데이터는 ADPCM되는 반면, 공통코러스 데이터는 톤발생처리기에서 분리처리된다. 선택적으로 공통코러스데이터 또한 ADPCM될 수 있다.
호스트스테이션에서 데이터압축은 디지털 샘플된 악구코러스데이터에 적용된다. 이 경우 본래의 데이터는 주파수압축을 행하기위해 재샘플링된다. 재샘플링 데이터는 디코드정보로서 노래데이터(파일)의 헤더에 기록된다. 본래 데이터의 비트압축은 또한 ADPCM기술로 행해지며 그의 압축정보는 디코드정보로서 헤더에 기록된다. 예를들면, 콤팩트 디스크에 기록된 16비트의 정규디지탈데이타는 44.1KHZ의 샘플링 속도를 가지며 이 정규 디지털 데이터는 22.05KHZ 또는 11.025KHZ에서 재샘플링된 4비트의 ADPCM데이터로 압축된다.
제12도의 통합노래 반주 시스템에 있어서, ADPCM디코더(66)는 재샘플링 속도와 같은 압축조건을 나타내는 디코드정보 E6에 따라 악구코러스의 압축된 ADPCM데이터 e2를 신장한다. 즉, 비트 변환기(66B)는 선택기(66A)에 의해서 선택되고 주파수변환기(66C)는 디코드정보E6에 따른 적절한 변환주파수로 설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신장된 악구 코러스데이터E2는 톤발생처리기(23C)로 처리된 다른 곡조 데이터와 함께 믹싱증폭기(13)에 의해 혼합된다. 이러한 데이터 압축기술은 온라인 전송되는 데이터볼륨을 효율적으로 절약하며 HDD기억장치(22C)의 메모리용량을 축소한다. 전술한 바와같이 디코딩정보는 제5a도에 도시한 노래데이터의 헤더에 기록된다. 선택적으로 디코딩정보E6는 개별 악구에 대해 가변적으로 설정된다. 이 경우, 여러 디코딩정보는 디지털 보이스트랙에 분포된다. 디지털 보이스트랙은 개별악구에 대응하는 복수섹션으로 분할된다. 각각의 섹션은 디코딩정보가 규정되는 서브헤더로 제공된다. 데이터 압축조건이 동일 노래에서 상이한 악구로 가변되며, 가변 데이터 압축조건은 디코딩정보로서 디지털 보이스트랙의 대응섹션에 기록된다. 예를들면, 백코러스 데이터의 중요파트는 나머지파트와 비교하여 볼 때 큰 비트수를 가진 재샘플링 속도로 알맞게 압축될 수 있다. 변도시, 데이터 압축조건은 백코러스의 각각 악구의 톤볼륨에 상관하여 가변설정된다.
[톤피치 제어]
제4도 구성에 있어서, 피치 시프터(67)는 주어진 키이 정보에 따라 톤피치 조절 또는 피치이동을 실행하도록 ADPCM디코더(66)의 출력을 수신한다. 피치이동은 키이가 노래중간에 일시적으로 변화되는 전조와 노래의 기이가 전체적으로 피치이동되는 이조를 포함한다. 제13도와 관련하여 하나의 악구코러스 데이터E2가 백코러스에서 피치이동동안 반복재생되는 피치 시프터(67)의 동작에 대한 일실시예가 주어진다.
예를들면, 특정 악구 NAGASAKIII는 그의 키이가 백코러스를 형성하도록 연속해서 올려지는 동안 반복해서 음악이 발생된다. 제1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외부입력된 키이정보E5는 피치 시프터(67)와 톤발생처리기(23C)에 공급된다. 피치시프터(67)는 입력된 키이 정보 E5에 따라 백코러스의 악구코러스데이터E2를 피치이동한다. 악구코러스 데이터E2는 악구코러스 이벤트데이터E3에 따라 피치 시프터(67)에 공급된다. 한편, 정상곡조의 피치이동은 톤발생처리기(23C)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노래에서 전조가 일어날 때 전조정보는 백코러스의 키이를 변화하기 위해 순서기(23B)에서 피치 시프터(67)로 공급된다. 이러한 벙법으로, 동일 악구코러스데이터는 상이한 백코러스에 대해 공통사용된다.
[효과사운드에 대한 피치이동 금지]
피치 시프터(67)는 백코러스에 효과사운드를 수신한다. 효과사운드의 피치이동은 기대음량효과를 현저히 방해하므로 역으로 부조화를 야기한다. 이를 고려하여, 앞에서 언급한 상태는 피치정보E5이 입력될지라도 본래의 톤키이를 유지하기 위해 피치이동을 금지하는 효과사운드로 설정된다.
[코러스데이터의 지연보상]
사운드발생명령 유출시, 코러스 데이터는 효과믹서(68)에 이르기전 ADPCM디코더(66)와 피치시프터(67)를 통과하여 어느지연을 야기한다. 예를들면, 피치 시프터(67)는 30ms±ms정도의 처리지연을 구조적으로 부가한다. 이를 고려하여, 실시간을 기초로 MIDI톤 발생처리기로부터 출력된 반주사운드와 동시에 코러스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지연보상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백코러스의 시간순차 이벤트데이터는 MIDI 이벤트데이터에서 약 30ms전 보이스 트랙 또는 코러스 사운드 트랙에 가록된다. 순서기(23B)(제4도)는 코러스이벤트 데이터 이전에 ADPCM 처리기(66)에 공급함으로써 코러스 사운드 MIDI사운드의 지연을 제거한다.
[사운드필드제어]
제14도에 있어서, 순서기(23B)는 피치 시프터(67)의 제어에 더하여 노래 반주곡 연주 진행과 동기하여 마이크로폰 효과기(69)와 디지털 사운드필드 처리기(DSP)(70)를 추가로 제어한다. 효과믹서(68)는 채널1로부터 기타톤, 채널2로부터는 피아노톤, 채널3으로부터의 바이올린톤과 같이 다중채널을 통해 톤발생처리기(23C)로부터 악기반주톤을 수신한다. 효과믹서(68)는 ADPCM트랙에 의해 전달된 음성파형데이터를 나타내는 피치시프터(67)를 통해 ADPCM디코더(66)의 출력을 수신한다. 효과믹서(68)는 순서기(23B)에서 공급된 선택제어신호에 따라 각각의 채널출력을 연속처리기(68B)에 선택적으로 분배하는 그의 입력단에서 프로그램가능 효과기(68A)를 구비한다. 처리기(68B)는 에코, 이퀄라이징, 반향등과 같은 각종음향효과를 선택된 채널출력에 부여한다.
디지털 사운드필드 처리기(DSP)(70)는 노래연주에 부합하여 순서기(23B)로 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소망사운드 필드를 인가하도록 효과믹서(68)의 출력을 수신한다. 사운드필드처리기(70)는 음악사운드를 합성하기위해 압력된 파형에 의거 상이한 자연 및 크기를 가진 다수의 에코파형을 디지털 적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노래가 콘서트홀, 라이브스폿등에서 연주되는 것처럼 사운드 필드의 소망 전개가 얻어진다. 사운드필드처리기(70)는 사운드 필드를 보다 효율적으로 발생하도록 다중 스피커(15)로 구성된 사운드 시스템에 연결된다. 예를들면, 사운드시스템은 4개의 유니트가 정면우측, 정면좌측, 후면우측 및 후면좌측에 놓여지고, 3개의 부가 유니트가 정면중앙, 중앙좌측 및 중앙우측에 각각 놓여지게 배열된 6개 또는 7개의 스피커 유니트로 구성된다. 이러한 사운드 필드시스템이 미국특허 제5,027,687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폰 효과기(69)는 사운드필드처리기(7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마이크로폰 효과기(69)는 모노와 스테레오간 변환,에코, 자극, 하모니, 이퀄라이징등과 같은 여러소망 음향효과를 마이크로폰에의해 픽업된 노래보이스에 부여한다. 마이크로폰 효과기(69)는 노래연주의 진행과 동기하여 음향효과를 발생하도록 순서기(23B)로부터 공급된 타이밍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순서기(23B)는 사운드필드처리기(70), 효과믹서(68) 및 마이크로폰 효과기(69)를 제어하는데 효과작인 타이밍제어신호를 제공한다. 순서기(23B)는 디스플레이, 조명 및 무대를 포함하는 다른 장비들을 제어하는데 유효한 부가 타이밍 제어신호를 제공한다. 모든제어신호는 콤포지트노래데이터에 포함된 제어트랙에 규정된 시간순차이벤트 데이터에 따라 발생된다. 멀티미디어순서기(23B)는 노래 반주 노래연주와 동기하여 모든장치들을 통합 시스템화하기위하여 MIDI트랙을 포함하여 다른 트랙들과 동시에 RAM(62)으로부터 제어트랙을 판독출력한다.
[신청곡 정보 디스플레이]
종래의 노래 반주 시스템에 있어서, 모니터CTR는 단순히 예약 표시를 위해 신청곡의 항목코드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므로, 신청자는 자기가 원한 노래가 실제로 사운드될 때 부주의하게 지정한 노래를 인지할 수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제1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HDD기억장치(22C)는 디스플레이 정보사전이 설정되어 있다. 소망노래를 신청할 시, 모니터CTR(12)는 노래항목코드, 노래타이틀, 작곡자 이름, 작사자 이름, 신청순서등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고동된다. 신청자는 타이틀이 구별되지 않으면 타이틀과 부가 정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된 정보에 의한 지정곡을 획인할 수 있다. 그 정보는 예를들면 디스플레이된 화면과 문자와의 혼돈을 피하도록 디스플레이 필드의 상단우측모서리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신청곡의 확인작업은 노래데이터가 음조합성타입의 피하는데 도움이된다. 이러한 확인작업은 노래데이터가 음조합성타입의 피하는데 도움이된다. 이러한 확인작업은 또한 빈번하게 발생하는 부주위한 신청 때문에 LD노래 반주와 같은 재생 음원타입 노래 반주에서 유용하다.
[자동이조]
최적의 이조는 사용자가 바람직한 실제음역을 지정함으로써 이조된 반주를 발생할 때 자동으로 정해지도록 본 발명에서 자동이조가 도입되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가장 많이 되풀이되는 톤의 범위는 각각의 노래데이터의 헤더에 일시적으로 메모리된다. 사용자가 자신의 실제음역의 상한과 하한 또는 중간레벨을 지정할 때 노래 반주시스템은 지정된 음역의 중심이 노래 반주 노래의 톤영역의 중심과 부합되는 이조를 자동적으로 실행하도록 최적키이를 설정한다. 노래 반주 노래범위의 중심은 예를 들어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해진다. 노래 반주 노래의 분포곡선을 얻기위해 톤피치에 의하여 음표수 대신에 카운트된다. 선택적으로 각각의 음표와 지속기간의 곱이 음표수 대신에 카운트된다. 분포곡선은 유효범위를 얻도록 적절한 임계 레벨로 슬라이스 된다. 유효범위의 중심값은 노래데이터의 헤더에 기록된다. 노래 반주 노래의 음성연주를 용이하게하는 각종의 자동이조 방법중에서, 음역의 중심이 반주톤 범위의 중심과 부합하는 예증의 방법은 가장 빈번하게 일어나는 톤범위가 전체범위에 걸쳐 노래 반주 노래의 음성연주를 전체적으로 용이하도록 적절하게 조정된다는 사실에 의거한다.
제1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합성노래 반주 모드와 관련하여 노래데이터 메모리(100)는 HDD기억장치(22C)에 제공된다. 반주톤 범위의 중심값은 프로그램 ROM(101)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 PCU(61)에 의거하여 자동이조에서 사용하기 위해 노래데이터메모리(100)에서 판독출력된다. 제1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CDG 및 CDI와 같이 디지털 기록매체를 이용한 재생 음원 노래 반주모드와 관련하여, 톤범위데이터는 CDG/CDI를 포함하는 노래 반주 재생 음원장치(102)에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이러한 톤범위 데이터는 자동이조에 사용하기 위해 신청곡 항목코드에 따라 검색된다. 또한, 제1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디지털 데이터를 메모리할 수 없는 LD를 이용한 재생 음원 노래 반주모드와 관련하여, 톤범위 데이터메모리(103)는 자동이조에서 사용하기 위해 분리제공된다. 톤범위 데이터메모리(103)는 HDD기억장치(22C)의 일부로 제공된다.
[외부 MIDI 악기에 연결]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노래 반주 시스템은 충격톤 또는 다른 부가톤을 나타내는 외부 MIDI데이터를 수신하는 타악기와 같이 외부 MIDI악기(42)에 연결하기 위해 MIDI인터페이스(64)를 구비하고 있다. CPU(61)는 MIDI인터페이스(64)로부터 외부 MIDI데이터를 검색하여 이를 순서기(23B)에 공급한다. 순서기(23B)는 외부 악기용 분리톤 발생기를 이용하지 않고 충격톤을 발생하기 위해 외부악기(42)에 한 채널을 할당하도록 톤발생처리기(23C)를 제어한다. 이를위해 노래 반주 노래데이터는 모든 채널(예를들어, 단일시스템의 16채널 또는 이중시스템의 32채널)중 한 채널이 외부 MIDI악기를 위해 톤발생처리기(23C)에 보존되게 일시적으로 정렬된다. CPU(61)는 내부 MIDI데이터를 처리하지 않는 MIDI채널들중 현재의 빈 채널에 인터페이스(64)로부터 수신된 외부 MIDI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분배한다.
[내부 및 외부 MIDI데이터의 병합]
일반적으로, MIDI데이터는 8비트 데이터 스트림을 형성하도록 데이터바이트에 이어진 상태바이트에서 시작한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 MIDI 데이터는 노래 반주 반주를 위해 RAM(62)에서 판독출력된 내부 MIDI데이터와 비동기적으로 인터페이스(64)를 통해 입력한다. 이처럼, 비동기데이타의 불일치는 데이터파괴를 초래할 것이다. 이를 피하기 위해, 내부 및 외부 MIDI데이터 사이에 불일치를 피하는 합병이 행해진다. 외부 MIDI데이터는 노래 반주 시스템에서 내부 MIDI데이터가 순환하는 동안 별개의 악기로부터 입력할 때, 외부 MIDI데이터의 전송은 내부 데이터 패킷의 최종바이트가 통과할때까지 지연된다.
[코드명의 표시]
종래의 노래 반주 장치에 있어서, 모니터 CRT는 노래 반주 연주코스 동안 워드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나, 모니터 CRT는 코드정보를 나타내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모니터 CRT(12)는 노래 반주 시스템에 외부적으로 연결되는 기타와 같이 악기의 연주를 용이하게하는 코드명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된다. 이라한 코드명 표시는 연주시 양호한 보조용 워드문자표시에 대응하게 제어된다. 제20a도에 있어서, 모니터 CRT(12)는 일예로서 워드문자 HONYARA에 따라 일련의 코드명 C, F, G을 디스플레이한다. 제20b도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된 코드명은 이 실시예에서 +1씩 자동이조에 따라 C#, F#, G#...으로 변환된다.
이후, 코드명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주어진다.
초기에, 노래데이터의 헤더는 표준노래키이(C, C#,Cb, D, D#, Eb, E...A#, Bb 또는 B) 플러스 장조/단조의 음조표시를 기억한다. 이 키이데이터는 이조가 행해졌을 때 코드명을 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한편, 합성노래 반주장치는 노래워드를 디스플레이하는 지속시간과 워드이벤트의 대안의 배열을 포함하는 워드트랙을 이용한다. 워드이벤트는 필드좌표 x,y,속성, 문자열, 디스플레이간격 및 칼라변화타이밍에 비추어 디스플레이 위치와 같은 각종 데이터를 포함한다. 지속기간은 인접워드 이벤트들 사이의 시간간격을 나타낸다. 워드는 문자열, 필드좌표 및 속성(칼라지정)에 따라 형성되는 반면, 디스플레이된 워드의 칼라는 노래 반주 노래연주의 진행과 동기하여 칼라변화 타이밍에 따라 변화된다. 다음 한 이벤트의 디스플레이 간격이 경과하면, 디스플레이된 워드는 소거된다. 워드이벤트는 다중워드 또는 악구가 직렬로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지속기간을 인터럽트함이 없이 연속해서 규정된다.
문자열 문자코드, 문자피치 및 가나의 지정을 고려하여 정해진다. 가나는 그의 발음을 내는 한자옆에 배치된다. EUC코드시스템은 문자열이 다음과 같이 표현되는 본 실시예에 적용된다. 즉, 각 문자는 1바이트 데이터 또는 2바이트 데이터씩 보호화된다. 8바이트인 1바이트 데이터는 X가 16진수 0.1,...9,a,b,...e,f를 가르키는 경우 OxXX로 기술된다. 각각의 1바이트 문자는 Ox20, Ox21,..., Ox7e로 표현된다. 2바이트 데이터는 제1바이트가 값 Oxa0,..., Oxf4을 취하고 제2바이트가 값 Oxao,... Oxff을 취하는 경우 OXxx, OxXX로 기술된다. 문자피치는 Ox01,...Ox1f을 취한 1바이트 데이터로 표시된다. 가나는 Oxfe/한자문자/OxOO/가나문자/OxOO로 표시된다.
이러한 문자들의 코딩시스템은 코드명을 나타내도록 수정가능하다. 이 실시예에서, 각 코드는 3바이트 데이터로 기술된다. 즉, 제1바이트(예를들어, Oxff)는 코드식별로서 사용되고, 제2바이트는 키이정보를 기술하기위해 사용된다. 즉, 제1의 4비트 0/C, 1/D, 2/E, 3/F, 4/G, 5/A, 6/B와 같은 키이를 지정하는데 사용된다. 다음의 2비트 1/#과 2/b과 같은 심볼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마지막 1비트 0/장조 및 1/단조와 같은 음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제3바이트는 (장식음 없음) 0/장조코드, 1/7째 2/6째, 3/Diminish, 4/sus4 및 5/7째 sus4와 같은 장식음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예들이 아래에 주어진다.
C7 = Oxfe, OxOO, OxO1
Am6 = Oxff, Oxa5, OxO2
F#m7 = Oxff, Ox93, OxO1
Dsus4 = Oxff, OxO1, OxO4
이조가 신청되지 않는한 코드명은 상기 기술된 표시에 따라 디스플레이된다. 드러나, 이조가 신청되면, 그 코드는 다음의 세 데이터에 따라 이조의 정도, 및 헤더에 메모리된 노래의 키이이다. 일예로서 메모리된 노래키이가 C장조이고, 그 이조정도는 +1인 경우, 오리지날 코드 G는 G#로 변화된다. 또다른 예로서, 메모리된 노래키이가 A단조, 그이조 정도는 +1인 경우, 오리지날 코드 G는 Ab로 변화된다.
[마이너스 1 연주]
한 변형으로, 노래데이터의 반주트랙은 악기명을 고려하여 각종 음색을 기록하며 악기명은 톤발생처리기의 각 채널에 고정할당된다. 예를들면, 피아노 사운드는 제1채널에 할당되고, 기타 사운드는 제2채널에 할당된다. 외부 MIDI악기가 노래 반주 시스템에 연결되고 특정음색이 지정되면, 동일음색의 내부 MIDI 데이터는 노래 반주 반주의 대응파트를 소리내지 않게 선택적으로 차단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외부 MIDI악기의 연주자는 소위 마이너스 1연주 방식으로 소리내지 않은 파트를 수동적으로 실행한다.
[3중영상의 중첩]
세종류의 그래픽 영상은 모니터 CRT(12)상에서 중첩될 수 있다. 재21도에 있어서, LD체인저(11)(제4도)는 배경동화면을 나타내는 제1외부비디오신호 VIDIO 0을 출력한다. 비디오처리기유니트(23D1)(제4도)에 포함된 컴퓨터 그래픽 발생기(302)는 또다른 배경 정지화면을 나타내는 제2외부비디오신호 VIDIO 1을 출력한다. 비디오 처리기유니트(23D2)(제4도)에 포함된 또다른 컴퓨터 그래픽 발생기(303)는 노래워드문자를 나타내는 제3비디오 신호 VIDIO 2를 출력한다. 컴퓨터 그래픽 발생기(302, 3033)의 쌍은 서로 독립적으로 비디오 RAM을 포함하여 각각의 영상필드상에서 투명영역을 자유로이 지정하도록 각각의 제어신호 YS1,YS2를 공급하며, 그 결과 세영상이 합성영상을 형성하도록 서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중첩된다. 종래의 노래 반주 장치에 있어서, 컴퓨터그래픽으로 형성된 노래워드문자의 영상은 LD로부터 재생된 배경동화면의 또다른 영상에 중첩된다. 또한 컴퓨터그래픽으로 형성된 배경정지화면의 또다른 영상에 중첩된다. 그러나 전자의 기술은 동일배경화면이 LD 또는 다른 비디오기록 매체의 용량제한으로 인해 상이한 노래 반주 노래에 가해지기 때문에 가시적인 관심이 부족하다. 후자의 기술은 배경영상이 정지화면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보다 나빠진 단조로운 표현이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개개의 상이한 영상은 배경 동화면이 다른 배경정지화면 소형크기와 함께 중첩되고 추가로 노래워드문자와 함께 중첩되도록 서로 중첩되며, 그에따라 정보의 제한된 볼륨을 이용한 다양한 그래픽 표현이 개선된다.
제21도로 돌아가서, 고속스위칭유니트(306)가 그래픽발생기(302,303)로부터 출력된 비디오신호 VIDIO 1과 비디오신호 VIDIO 2를 통합하기 위해 제공된다. 스위치신호발생기(307)는 스위칭유니트(306)를 제어하는 스위치신호를 발생한다.
비디오선택기(23E)(제4도)에 포함된 중첩기(310)는 스위칭유니트(306)로부터의 출력과 외부비디오 신호 VIDEO 0을 통합한다.
또 다른 스위치신호 발생기(311)는 중첩기(310)를 제어하는 스위치 신호를 발생한다. 이 실시예에서 스위칭유니트(306)는 RGB포맷에 따라 내부비디오신호 VIDIO 1과 VIDIO 2의 통합된 형태를 발생하며, 외부비디오신호 VIDIO 0는 NTSC포맷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내부 및 외부비디오 신호는 중첩기(310)에 의한 합성을 위해 서로 동기되어야만 한다. 이를위해, 외부 수평동기 검출기(Hsyne DET)(308)은 외부비디오신호 VIDIO 0의 수평동기신호 Hsyne를 검출한다. 외부수직동기 검출기(Vsinc DET)(309)는 동일 외부비디오신호의 수직동기신호 Hsyne를 검출한다. 내부수직동기 검출기(Vsinc DET) (304)는 그래픽발생기(302)에서 사용된 수직동기신호 Csync를 검출한다. 내부 및 외부 비디오신호의 동기화는 전압제어발진기(VCO)(301)와 수평동기유니트(305)로 구성된 위상동기루프(PLL)에 의해 실행된다. 수평동기유니트(305)는 PLL위상검출기와 루프필터로 이루어진 기능블록이다.그래픽발생기(302,303) 사이의 내부수직 및 수평동기화는 그래픽발생기(302)로부터 출력된 수직동기신호 Csync를 검출하는 내부수직동기검출기(304)에서 공급되는 수직리세트신호 Vreset로 설정된다. 이 리세트신호 Vreset는 외부비디오 신호가 입력되지 않을지라도 내부적으로 발생된 영상의 쌍을 서로 동기화하는데 유효하다.
[데이터 파일 세이프]
음악톤 합성타입의 노래 반주 시스템은 신뢰성 부족에 비추어 호스트스테이션의 데이터베이스 기능이 안정하게 유지되지 않으면 작동하지 않는다. 데이터 통신의 신뢰성을 개선하기 위해 정규의 통신제어유니트(CCU)가 멀티플렉싱을 위해 설치된다. 그러나 이는 역으로 시스템단가를 올리게 된다. 제22도에 있어서, 본 시스템은 다수의 분리통신제어기(204)가 센터(201)(호스트스테이션)에 연결된 ISDN망(203)과 센터(201)에 액세스하는 개개의 노래 반주 시스템의 분기에 연결된 공중망(203)사이에 게재된다. 개개의 분기는 키이번호 다이얼링으로 공중망(202)을 통해 복수통신제어기(204)중 어느 하나에 액세스가능하다. 각각의 통신제어기(204)는 통신제어용 워크스테이션(WS)과 터미널어댑터(TA)(206)로 구성된 통신서버(205)이며, 전원선은 통신서버(205)와 터미널어댑터(206)를 분리 제공된다. 터미널 어댑터(206)는 디지털망(ISDN)용 디지털 인터페익스(ISDN I/F)와 아날로그 통신망용 모뎀을 구비한다. 각 ISDN I/F는 SCSI라인을 통해 통신서버(205)에 연결되며, 각 모뎀은 RS232C 케이블 통해 통신서버(205)에 연결된다. 이 ISDN I/F와 모뎀은 데이터송신유니트(DSU)를 통해 공중망에 연결된다.
통신서버(204)의 높은 서열로 감시서버(207)가 배치된다. 이 감시서버(207)는 폴링등에 의해 각 통신서버(204)의 비정상을 체크하는 워크스테이션으로 구성된다. 비정상검출기, 감시서버(207)에 의해 전력제어기(208)는 결함통신서버(204)에 포함된 터미널어댑터(206)의 전원을 차단한다. 한편, 결함통신서버(205)의 본체에서 전원은 통신서버(205)에 설치된 HDD의 충돌과 같은 보조효과를 피하도록 차단되지 않는다. 때때로 터미널 어댑터(206)는 고장나게 되는데, 이 경우 전력제어기(208)는 유사하게 터미널 어댑터(206)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한다.
전원이 특정통신제어기(204)에 포함된 터미널 어댑터(206)로부터 절전되면, 유져는 응답이 없기 때문에 공중통신망(202)을 통해 터미널 어댑터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없다. 실제로 키이번호 다이얼링이 본 실시예에서 채용되는데 이는 다음라인이 정상동작하는 통신제어기(204)를 통해 센터로 액세스 가능토록 응답부재시 자동작으로 선택된다. 이 방법은 특정통신 제어유니트가 필요치않으며, 통신라인이 알맞은 가격으로 증설될 수 있으며, 단지 터미널어댑터만이 선택적으로 차단되기 때문에 워크스테이션에서 충돌이 발생치 않는 것과 같은 정점이 있다. 이러한 대책이 채용되지 않으면, 유져가 결함통신서버(205)를 가진 불능통신제어기(204)의 터미널 어댑터(206)에 부주위로 연결할 때, 유져는 결코 결함통신서버(205)로부터 응신을 받을 수 없다. 따라서, 노래 반주 시스템의 유져는 응답이 없기 때문에 헛되이 오랜시간을 기다린다. 그밖에 달리, 유져는 라인을 연결치않고 다른 다이얼링을 시도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방법은 터미널 어댑터(206)의 전원은 단순히 턴오프함으로써 시간 및 노고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노래데이터의 포터블 다운적재기]
예를들면, 패키지에 1천악곡의 노래데이터가 제4도에 도시한 노래 반주 시스템의 HDD기억치에 동시에 적재할 수 있다. 그러나, ISDN망(40)을 통한 노래데이터 패키지의 다운로딩은 높은 통신료를 필요로 한다. 이를 고려하여, 포터블다운적재기(71)는 곡조 합성노래 반주장치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데이터의 다운로딩을 효율적으로 성취하도록 채용된다. 제23도에 있어서, 다운적재기(71)은 다운적재기(71)에 기억된 노래데이터가 HDD 또는 미니디스크(MD)와 같은 기억장치(22C)에 적재되는 경우 유져스폿으로 가져가진다. 이 다운적재기(71)는 노래데이터 패키지의 주기적인 갱신과 초기로딩에 유용하다.
[차량에 설치된 노래 반주 시스템에 다운로딩]
포터블 다운적재기(71)는 ISDN망에 연결되기 어려운 차량에 설치된 노래 반주 시스템으로 노래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다운적재하는데 이용된다. 제24도에 있어서, 사운드합성 타입의 노래 반주장치는 관광버스(401)에 설치된다. 노래 반주 적재기라고 불리워지는 다수의 포터블 다운적재기(403)(제4도의 다운적재기에 대응)가 외국인, 중년층, 남자관광객 및 여자관광객과 같은 유형의 관광객에 대응하는 노래 반주 노래데이터의 상이한 패키지를 기억하기 위해 준비된다. 산택된 다운적재기(403)는 노래데이터의 패키지를 파일서버(404)로부터 받는다. 이 파일서버(404)는 ISDN망(40)을 통해 호스트스테이션(30)으로부터 모든 가능한 노래데이터와 함께 공급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본원의 노래 반주 시스템이 통신망에 연결불가능하거나 느린데이터 전송속도를 허용하는 차량에 설치가능하다. 제25도는 제24도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도시하는 기능블록도이다. 파일서버(404)는 관광버스회사에서 설정한 서버호스트 스테이션으로 동작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운드 합성타입 노래 반주장치 및 재생 음원타입 노래 반주장치는 통합노래 반주 시스템을 구성하도록 서로 통합된다. 폐쇄 데이터원과 개방데이터원은 그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선택적으로 액세스된다. 포터블 다운적재기는 그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개방데이터원에 연결한다.

Claims (16)

  1. 가창자가 소망하는 노래 반주곡에 대응하는 신청 명령에 따라 노래를 반주하는 노래 반주 시스템에 있어서, 폐쇄된 데이터원에 음악 반주 데이터를 사전 기억하고 , 음악 반주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디오신호를 재생하도록 상기 사전 기억된 음악 반주 데이터를 판독출력하는 음악 재생 수단과, 개방데이터원에 음악 연주 지정 데이터를 기억하고, 상기 음악 연주 지정 제이타에 따라 신호를 합성하는 음악 합성 수단과, 상기 신청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신청 명령에 따라 상기 음악 재생 수단과, 상기 음악 합성 수단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을 선택하며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음악 재생 수단과 상기 음악 합성 수단 중 선택된 하나의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음악 재생 수단과 합성 수단 중 선택된 하나의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오디오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소망의 노래 반주곡을 발생하는 음악 발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반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재생 수단은, 상기 데이터를 미리 기억하는 디스크기록매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반주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합성 수단은, 음 지속 시간, 인접 음 사이의 시간 및 한 음의 박자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노래데이터의 형태로 음악 연주 지정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반주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합성 수단은, MIDI데이터 형태로 상기 음악 연주 지정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반주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합성 수단은, 상기 음악 연주 지정 데이터를 액세스 가능하게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반주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은 신청 명령에 응답하여 음악 연주 지정 데이터를 그 쪽으로 전송하는 상기 제어스단과 통신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는 원격호스트 스테이션과, 전송된 음악 연주 데이터의 재사용을 위한 데이터파일을 형성하도록 전송된 음악 연주 지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반주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신청 명령에 응답하여, 폐쇄데이터원의 사용을 선택하는 제1우선순위와, 개방데이터원의 데이터파일의 사용을 선택하는 제2우선순위와, 개방데이터원의 데이터베이스의 직접 사용을 선택하는 제3우선순위를 발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반주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악음 지정 데이터들 중 부주위로 전송된 데이터를 상기 기억수단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반주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음악 연주 지정 데이터의 패키지를 기억하며, 상기 음악 합성 수단에 연결 가능하며 개방데이이타원을 채우도록 상기 음악 연주 지정 데이터의 패키지를 그 안에 작재하는 개별의 작재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반주 시스템.
  10. 신청 명령에 따라 지정 노래 반주곡을 발생시키는 원격 분기와 호스트 스테이션을 구비한 노래 반주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호스트 스테이션은 신청 명령에 따라 노래 반주 곡을 지시하는 노래데이터를 호스트스테이션으로 전송하는 원격분기와 통신가능한 본래의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며, 상기 원격 분기는 저장 데이터 파일을 형성하도록 전송된 노래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수단과, 저정데이터 파일과 데이터베이스에 무관하게 개별의 데이터원을 형성하도록 노래 반주곡을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신청 명령에 응답하여 먼저 개별의 데이터원에서 액세스하고, 그 다음에 상기 지정 노래 반주곡이 상기 저장 데이터 파일에서 발견되지 않으면 본래의 데이터 베이스에 액세스하는 제어수단과, 액세스된 개별 데이터원에 연결가능하여 지정 노래 반주곡을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상기 액세스된 저장데이터 파일과 상기 본래의 데이터 베이스중 어느 하나로부터 노래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지정 노래 반주곡을 합성하도록 노래데이터를 처리하는 합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반주 시스템.
  11. 신청 명령에 따라 지정 노래 반주곡을 발생시키는 노래 반주 시스템에 있어서,개방 데이터원을 공급하도록 소정 지점에 설치되어 노래 반주곡을 규정하는 노래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정수단과, 노래데이터의 패키지를 기억하며, 그 안에 노래데이터의 패키지를 적재하여 개방 데이터원을 채우도록 하는 상기 기억수단과 결합하도록 소정 지점에 이동되는 포터블적재 수단과, 신청 명령에 따라 데이터원으로부터 노래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노래데이터를 처리하여 지정 노래 반주곡을 대표하는 오디오 신호를 합성하는 합성수단과, 상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지정 노래 반주곡을 발생시키는 음악 발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반주 시스템.
  12. 노래 반주곡의 폐쇄 데이터원을 가진 재생 노래 반주 장치와 노래 반주곡의 개방 데이터원을 가진 합성 노래 반주 장치를 통합제어하는 노래 반주 제어장치에 있어서, 노래 반주곡을 재생하도록 폐쇄 데이터원에 액세스하는 노래 반주 장치를 재생 제어 수단과, 노래 반주곡을 합성하도록 개방데이터원에 액세스하는 합성노래 반주 장치를 제어하는 합성 제어 수단과, 상기 폐쇄 및 개방데이터원의 효과적인 사용을 달성하도록 상기 재생 제어 수단 및 합성 제어 수단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통합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반주 시스템.
  13. 노래 반주곡의 폐쇄 데이터원을 가진 재생 노래 반주 장치와, 노래 반주곡의 원격데이터베이스와 통신가능하며 상기 원격데이터베이스에서 취한 데이타파일을 가진 합성노래 반주 장치를 통합제어하는 노래 반주 장치에 있어서, 노래 반주곡을 재생하도록 상기 폐쇄 데이터원에 액세스하는 상기 재생 음원 노래 반주 장치를 제어하는 제1제어수단과, 노래 반주곡을 합성하도록 상기 데이터파일에 액세스하는 합성노래 반주 장치를 제어하는 제2제어수단과, 신청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1제어수단 및 제2제어수단에 할당된 소정의 우선순위에 따라 노래 반주곡들증 소망의 노래 반주곡을 찾도록 상기 제1 및 제2 제어수단을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통합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로 하는 노래 반주 제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노래 반주곡을 합성하도록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는 상기 노래 반주 장치를 제어하는 제3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통합제어 수단이 상기 제1제어수단, 제2제어수단 및 제3제어수단에 할당된 소정의 우선순위 순서에 따라 노래 반주곡들중 찾도록 상기 제1 제어수단, 제2제어수단 및 제3제어수단을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반주 제어 장치.
  15. 복수의 곡을 기억하는 읽기전용 기억장치(ROM)와, 적어도 하나의 곡을 기억하는 재기록 가능한 메모리 장치와, 오퍼레이터에 의해 상기 ROM과 재기록 가능한 메모리장치에 기억된 하나의 곡을 지정하는 신청 및 명령을 수신하는 명령수단과, 상기 명령수단으로 수신된 신청 명령에 따라 ROM과, 생기 재기록가능한 메모리장치중 어느 하나의 장치에서 하나의 곡을 판독출력하며 판독출력된 하나의 곡을 재생하는 재생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반주장치.
  16. 신청 명령에 따라 설계된 노래 반주곡을 발생시키는 노래 반주 시스템에 있어서, 노래 반주곡을 판독가능하게 기록하는 폐쇄 데이터원을 한정하는 기록수단과, 상기 기록수단과 함께 재생 반주 장치를 구성하여 노래 반주곡으로 대표되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도록 상기 기록 수단을 판독하는 재생 수단과, 노래 반주곡을 나타내는 노래데이터를 액세스 가능하게 공급하는 개방 데이터원을 장하는 공급수단과, 상기 공급수단과 합성 노래 반주 장치를 구성하도록 노래반주곡으로 대표되는 오디오 신호를 합성하도록 공급된 노래데이터를 처리하는 합성수단과, 폐쇄 및 개반 데이터원의 효율적인 사용을 달성하도록 신청된 명령에 따라 상기 재생 음원 및 상기 합성 노래 반주 장치중 어느 하나의 장치를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통합 제어 수단과, 지정노래 반주곡을 용이하게 발생시키도록 상기 재생 음원 및 상기 합성 노래 반주 장치중 작동된 어느 하나의 장치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음악 발생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반주 시스템.
KR1019940004821A 1993-03-11 1994-03-11 재생 음원 및 합성 음원을 가진 통합 노래 반주 시스템 KR01621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077637A JPH06268774A (ja) 1993-03-11 1993-03-11 カラオケ制御装置
JP93-77637 1993-03-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442A KR940022442A (ko) 1994-10-20
KR0162126B1 true KR0162126B1 (ko) 1999-03-20

Family

ID=13639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4821A KR0162126B1 (ko) 1993-03-11 1994-03-11 재생 음원 및 합성 음원을 가진 통합 노래 반주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H06268774A (ko)
KR (1) KR0162126B1 (ko)
GB (1) GB2276971B (ko)
HK (1) HK1001108A1 (ko)
SG (1) SG465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11196B (ko) * 1994-04-06 1997-07-21 Brother Ind Ltd
JPH08272863A (ja) * 1995-03-30 1996-10-18 Ekushingu:Kk 情報提供システム
JP3638661B2 (ja) * 1995-05-02 2005-04-13 株式会社エクシング 情報提供端末及び該端末を備えた通信式情報提供システム
KR100404393B1 (ko) * 1995-11-28 2004-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노래반주기기의외부기기에의한연주장치와연주제어방법
JPH09214931A (ja) * 1996-02-02 1997-08-1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分散型画像通信システム
JP3453248B2 (ja) * 1996-05-28 2003-10-06 株式会社第一興商 通信カラオケシステム、カラオケ再生端末
US6077084A (en) * 1997-04-01 2000-06-20 Daiichi Kosho, Co., Ltd. Karaoke system and contents storage medium therefor
RU2121718C1 (ru) * 1998-02-19 1998-11-10 Яков Шоел-Берович Ровнер Портативная музыкаль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караоке и картридж для нее
JP3801356B2 (ja) * 1998-07-22 2006-07-26 ヤマハ株式会社 データ付き楽曲情報作成装置、再生装置、送受信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JP2001110171A (ja) * 1999-10-13 2001-04-20 Sony Corp 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端末装置、送受信方法、ならびに、記憶媒体
FR2803422B1 (fr) * 1999-12-30 2002-04-26 Jean Marc Fallot Appareil a libre-service pour le karaoke
JP4622060B2 (ja) * 2000-07-25 2011-02-02 ヤマハ株式会社 マルチメディア実行システム
US20020128068A1 (en) 2001-03-09 2002-09-12 Randall Whitten Jon Marcus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ata in a gaming system
US20020128067A1 (en) 2001-03-09 2002-09-12 Victor Keith Blanco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d playing soundtracks in a gaming system
US7218739B2 (en) 2001-03-09 2007-05-15 Microsoft Corporation Multiple user authentication for online console-based gaming
JP2009282543A (ja) * 2009-08-25 2009-12-03 Yamaha Corp 電子音楽装置および同装置に適用され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33828B2 (en) * 1988-12-05 1993-02-11 Ricos Co., Ltd. Apparatus for reproducing music and displaying words
JPH03152787A (ja) * 1989-11-08 1991-06-28 Miotsugu Tsumura デジタル音楽情報の伝送記憶装置
EP0457980B1 (en) * 1990-05-22 1996-07-24 Mihoji Tsumura Apparatus for reproducing music and displaying wor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268774A (ja) 1994-09-22
KR940022442A (ko) 1994-10-20
GB2276971A (en) 1994-10-12
HK1001108A1 (en) 1998-05-22
SG46565A1 (en) 1998-02-20
GB9404818D0 (en) 1994-04-27
GB2276971B (en) 1997-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4516A (en) Karaoke system having a playback source with pre-stored data and a music synthesizing source with rewriteable data
US5569869A (en) Karaoke apparatus connectable to external MIDI apparatus with data merge
KR0148846B1 (ko) 온라인 타입의 가라오케 시스템과 그의 통신방법
KR0152677B1 (ko) 자동효과기 제어부를 구비하는 노래반주기
US5518408A (en) Karaoke apparatus sounding instrumental accompaniment and back chorus
KR0162126B1 (ko) 재생 음원 및 합성 음원을 가진 통합 노래 반주 시스템
KR0133857B1 (ko) 음악재생 및 가사표시장치
US5194682A (en) Musical accompaniment playing apparatus
CN1119789C (zh) 通过连接多首乐曲提供定制的集锦播放的卡拉ok装置
EP0766225B1 (en) Music data processing system
US5854619A (en) Karaoke apparatus displaying image synchronously with orchestra accompaniment
US5827990A (en) Karaoke apparatus applying effect sound to background video
JPH0792969A (ja) 曲調制御装置
US5521326A (en) Karaoke apparatus selectively sounding natural and false back choruses dependently on tempo and pitch
JP2000310991A (ja) カラオケ装置
JP2003050591A (ja) 演奏出力装置
GB2311161A (en) Karaoke system using portable data store
JP3743985B2 (ja) カラオケ装置
JPH09297592A (ja) カラオケ装置
JP3039468B2 (ja) カラオケ装置
JP3551441B2 (ja) カラオケ装置
GB2307586A (en) Total karaoke system having playback and synthetic sound sources
JPH1185174A (ja) 利用者が伴奏音楽を演奏できるカラオケ装置
JP2897614B2 (ja) カラオケ装置
JPH09214894A (ja) カラオケの背景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