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1836B1 - 승강기용 모터 구동시스템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승강기용 모터 구동시스템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1836B1
KR0161836B1 KR1019950008198A KR19950008198A KR0161836B1 KR 0161836 B1 KR0161836 B1 KR 0161836B1 KR 1019950008198 A KR1019950008198 A KR 1019950008198A KR 19950008198 A KR19950008198 A KR 19950008198A KR 0161836 B1 KR0161836 B1 KR 0161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motor
amplification degree
voltage value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8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9583A (ko
Inventor
한권상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50008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1836B1/ko
Publication of KR960039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9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1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18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용 모터 구동시스템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승강기용 모터구동 시스템에서, 무부하시 입력되는 전압값이 0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스탭과, 상기 제 1 스탭에서 입력되는 전압값이 0이 아닌 경우 읽어들인 전압값의 반대 극성의 값을 출력하는 제 2 스탭과, 상기 제 1 스탭에서 입력되는 전압값이 0이면 읽어들인 전압값에 증폭도 1을 곱하여 모터 출력값을 설정하는 제 3 스탭과, 상기 제 3 스탭에서 설정된 모터 출력값에 따라 모터의 동작여부를 판단하는 제 4 스탭과, 상기 제 4 스탭에서 모터가 동작중이면 모터의 회전방향이 승강기가 하강하는 방향인지 상승하는 방향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5 스탭과, 상기 제 5 스탭에서 판단되는 방향에 따라 각각 증폭도를 가감하는 제 6 스탭과, 상기 제 4 스탭에서 모터가 동작하지 않으면 승강기가 승 하강되지 않는 순간의 증폭도를 기억하는 제 7 스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승강기 정상 운행시 부하량 검출장치의 출력값에 따라 기억된 증폭도로 모터 구동시스템을 제어할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차없이 정확하고 신속하게 증폭도를 구하여 승강기를 정상운행 할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강기 정상운행을 위한 증폭도 조절작업을 간단하게 완료할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승강기용 모터 구동시스템 제어방법
제1도는 일반적인 승강기의 구동 시스템.
제2도는 종래의 승강기용 모터 구동시스템 제어장치.
제3도는 부하량 검출장치의 구성 단면도.
제4도는 차동 트랜스의 특성곡선.
제5도는 본 발명의 승강기용 모터 구동시스템 제어장치.
제6도는 본 발명의 승강기용 모터 구동시스템 제어방법.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정류 및 평활부 40 : 바이어스 전압 가산부
50 : 마이컴 60 : A/D 변환기
70 : D/A 변환기
본 발명은 승강기 설치시 부하검출장치 조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강기용 모터 구동시스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강기 모터 구동시스템에서는 승강기 내부의 승객이 많고 적음에 따라, 즉 부하량에 따라 승강기를 구동하는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승차감을 향상시킨다.
이때, 승강기 하부에 설치되는 부하검출장치의 초기값을 정확하게 설정하는 것이 승강기 운행시 승차감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하게 작용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일반적인 승강기의 구동시스템 구성도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승강기의 구동시스템은 브레이크 제어선(6)을 연결하여 브레이크(7)를 제어하는 동시에 승강기의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1)와, 상기 제어부(1)로 출력을 엔코더 출력선(11)을 통해 피드 백하는 회전속도 및 방향 검출용 엔코더(8)가 설치 구성된 모터(2)와, 상기 모터(2)의 회전력 및 방향과 속도를 샤프트(15)를 통해 인가받아 로프(9)에 의해서 승강기(10)의 승 하강 구동을 제어하는 권상기(3)와, 상기 권상기(3)의 회전에 따른 로프(9)의 승 하강이 원활하도록 한 쉬브(4)들로 구성하고, 운행시 승객 부하의 크기를 검출하기위한 부하량 검출장치(5)를 승강기(10)의 하단부에 설치 구성하도록 하였으며, 상기 부하량 검출 장치(5)의 출력은 신호선(12)을 통해 제어부(1)로 인가된다.
미설명부호 13, 14는 각각 기계실 ,카운터 웨이트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같이 구성한 승강기(10) 운행시 승강기 구동용 모터(2)에 부하량 검출장치(5)의 출력값에 따른 적절한 회전 토크가 모터(2)에 인가되지 않으면 쉬브(4)에서 브레이크(7)가 분리되는 순간 승강기(10)가 직승 강되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수 있다.
따라서 가변 부하량에 대한 모터(2)의 출력 토크를 설정하여 가변하는 부하량에 따라 선형적으로 시스템을 제어할수 있도록 하였다.
제2도는 종래의 승강기용 모터 구동시스템 제어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제2도의 부하량 검출장치(5)의 부하량에 따른 출력 교류 전압값을 입력받아 직류로 변환하기위해 다이오드(D1)(D2)(D3)(D4)및 콘덴서(C)와 저항(R1)(R2)(R3)과 버퍼(AMP1)로 구성한 정류 및 평활부(10)와, 상기 정류 및 평활부(10)로 부터의 입력을 가변 증폭 출력하기위해 가변저항(VR2)과 저항(R5)(R6)(R7)들로 구성한 가변 증폭부(20)와, 상기 정류 및 평활부(10)의 출력측에 접속하여 상기 가변 증폭부(20)로 부(-)의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가변 저항(VR1)과 저항(R4)으로 구성한 바이어스 전압 인가부(30)와, 상기 가변 증폭부(20)의 출력값을 입력받는 A/D변환기(40)와, 상기 A/D변환기(40)의 출력을 입력받아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마이컴(50)으로 구성하였다.
이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제1도의 부하량 검출장치(5)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승강기(10)에 부하가 탑제되면 상기 승강기(10)의 하단부에 설치 구성한 부하량 검출장치(5)의 구성은 방진 고무(5-1)에 고정 설치한 말굽형 스프링(5-2)이 탄압된다.
따라서 상기 말굽형 스프링(5-2)과 고정판(5-3)(5-4)을 관통하여 하단에 스프링(5-5)이 탄설된 사프트(5-6)가 하강되면서 부하량만큼 차동 트랜스(5-7)의 아마츄어(5-8)를 외부로 돌출시킨다.
따라서 상기 차동 트랜스(5-7)는 상기 아마츄어(5-8)의 돌출된 만큼의 2차 전압을 신호선(12)을 통해 제2도의 정류 및 평활부(10)로 출력시킨다.
다시 말해서 작업자는 무부하시 제3도에 도시한 차동 트랜스(5-7)의 아마추어(5-8)를 조정하여 제4도에 도시한 차동 트랜스 최소 동작점(a)의 출력 전압(약 4V정도)을 정류 및 평활부(10)로 출력시킨다.
이때 모터는 회전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승강기(10)에 균형 부하(정격 부하의 1/2)를 탑제한 상태에서 브레이크(7)를 풀고, 상기 가변 증폭부(20)의 가변 저항(VR2)을 조정하여 승강기(10)가 승 하강되지 않는 곳에서 상기 가변 저항(VR2)을 고정시킨다.
즉, 승강기(10)에 임의로 선정한 부하가 탑제되면 차동 트랜스(5-7)의 아마추어(38)는 무부하시 보다 크게 돌출되면서 발생되는 전압이 신호선(12)을 통해 상기 정류 및 평활부(10)로 출력된다.
상기 정류 및 평활부(10)로 입력된 전압은 가변 증폭부(20)로 입력된후 가변 저항(VR2)으로 가변된 증폭율로 증폭되어 A/D컨버터(40)로 출력된다.
상기 A/D컨버터(40)로 입력된 전압 신호는 디지탈 신호로 변환되어 마이컴(50)으로 입력된다.
이에 마이컴(50)은 A/D컨버터(40)의 디지탈 신호에 따라 시스템을 제어하여 모터(2)의 토크를 변화시킨다.
그러나 시스템의 제어를 받는 모터(2)의 출력 특성이 약간씩 다르기 때문에 계속해서 가변 저항(VR2)을 조정하는중 임의로 선정한 부하가 탑제된 승강기(10)가 직 승 강되지않는 가변 증폭부(20)의 출력값을 찾을수 있으며 소정의 가변 저항(20)의 임의 위치에서 승강기(10)가 정지하면 그때의 가변 저항(VR2)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후 정상적으로 승강기가 운행될수 있으며, 고정된 가변 저항(VR1)(VR2)에 따라 부하량 검출장치(5)의 차동 트랜스(5-7)의 출력이 정류 및 평활부(10)에서 직류로 가변되어 가변 증폭부(20)에서 증폭된후, A/D변환기(40)에서 디지탈 변환된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컴(50)의 제어를 받는 시스템에 의해서 모터(2)를 제어함으로서 승강기(10) 운행시 승심지가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할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은 작업자가 직접 가변 저항을 조정했기 때문에 오차가 없는 정확한 조정이 불가능 하였고, 따라서 설치원마다 오차가 발생하여 승강기의 정상 운행시 승심지를 떨어 뜨릴수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수 있도록 안출한 것으로, 하드웨어 구성을 단순화하고 정확한 오차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고, 승강기 정상운행을 위한 증폭도 조절작업을 간단하게 완료할수 있도록 한 승강기용 모터 구동시스템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승강기용 모터 구동시스템 제어방법은 무부하시 입력되는 전압값을 0으로 설정하는 제 1 스탭과, 부하 인가시 입력되는 전압의 증폭도를 가감하여 구동중인 모터가 정지상태를 유지할 때의 증폭도를 기억하는 제 2 스탭으로 구성하여 기준값을 설정한후 기억시킨 증폭도에 따라 모터 구동시스템을 제어할수 있도록 함으로서 오차없이 정확하고 신속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승강기용 모터 구동시스템 제어장치의 회로도로, 부하량 검출장치(5)의 부하량에 따른 출력 교류 전압값을 입력받는 다이오드(D1)(D2)(D3)(D4)와 콘덴서(C) 및 저항(R1)(R2)(R3)과 버퍼(AMP1)로 구성하여 직류로 변환하기위한 정류 및 평활부(10)와, 상기 정류 및 평활부(10)의 출력을 비 반전단자(+)로 입력받는 비교기(AMP2)의 출력이 타측이 접지된 저항(R8)과 직렬 연결한 저항(R9)을 통해 부괘환 되도록하고 하기한 D/A변환기(70)의 출력이 저항(R4)을 통해 상기 비교기(AMP2)의 비반전단자(+)로 입력되도록 구성한 바이어스 전압 가산부(60)와, 상기 바이어스 전압 가산부(60)의 출력값을 입력받아 하기한 중앙 처리부(52)로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A/D변환기(40)와, 무부하시 신호 입 출력부(51)의 스위치(SW1)을 온함에따라 중앙 처리부(52)는 상기 A/D변환기(40)의 출력을 입력받아 롬(53)에 격납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A/D변환기(40)의 입력값의 극성을 바꾸어서 하기한 D/A변환기(70)를 통해 상기 바이어스 전압 가산부(60)의 입력측으로 출력하여 상기 A/D변환기(40)로 0V가 입력되도록하고, 부하시 신호 입 출력단(51)의 스위치(SW2)를 온함에 따라 상기 중앙 처리부(52)는 카운터(54)를 통해 권상기(3)에 설치한 엔코더(8)의 출력 신호를 인가받는 동시에 상기 바이어스 전압 가산부(60)의 출력 증폭도와 이 증폭도를 가감하여 모터가 정지상태를 유지할때의 증폭도를 램(55)에 기억하는 동시에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마이컴(50)과, 무부하시 상기 A/D변환기(40)로 입력되는 값의 반대 극성의 값을 신호 입 출력부(51)를 통해 입력받아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A변환기(70)로 구성하였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승강기용 모터 구동시스템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스위치(SW1)이 온상태 인지를 판단한다(단계 1).
스위치(SW1)이 온상태이면 A/D변환기(40)의 출력을 읽는다(단계 2).
상기 A/D 변환기(40)로 부터의 입력값이 0 인지를 판단한다(단계 3).
상기 A/D 변환기(40)로 부터의 입력값이 0 가 아니면 입력값의 반대 극성의 값을 D/A변환기(70)로 출력하고 단계 2로 진행한다(단계 4).
A/D 변환기(40)로 부터의 입력이 0 이면 스위치(SW2)가 온상태 인지를 판단한다(단계 5).
스위치(SW2)가 온상태이면 A/D변환기(40)의 출력값을 읽는다(단계 6).
상기 A/D변환기(40)의 증폭 출력된 값에 대응되게 토크를 출력할 모터(2)의 전류값을 설정하는 동시에 이때의 증폭도를 1'로 설정한다(단계 7).
브레이크(7)를 풀고 모터(2)가 회전함에 따라 구동되는 권상기(3)를 가동시킨다(단계 8).
카운터(54)를 통해 엔코더(8)의 출력값을 입력받아 모터(2)의 회전여부를 판단한다(단계 9).
회전방향이 승강기(10)가 하강하는 방향인가를 판단한다(단계 10).
회전방향이 승강기(10)가 하강하는 방향이면 증폭도를 증가시킨다(단계 11).
A/D변환기(40)의 출력값에 가변한 증폭도를 곱한값에 대한 토크값으로 모터(2)를 구동하고 단계 7로 진행한다(단계 11).
단계 10에서 모터(2)의 회전방향이 승강기가 하강하는 방향이 아니면 A/D변환기(40)의 출력값의 증폭도를 감소시키고 단계 12로 진행한다(단계 13).
그러나 상기 단계 9에서 모터(40)가 회전하지 않으면 그때의 증폭도를 램(55)에 격납한다(단계 14).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무부하시 부하량 검출장치의 출력의 증폭도를 0으로 설정하고, 이후 정격을 넘지 않는 부하를 인가한 상태에서 승강기를 구동하여 이때 부하량 검출장치의 출력의 증폭도를 1로 설정한후 계속해서 상기 부하량 검출장치의 출력의 증폭도를 가감하면서 승강기가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때의 증폭도를 램에 기억시킴으로써 오차없이 정확하고 신속하게 기억된 증폭도에 따른 출력값을 산출할수 있도록 하였다.

Claims (1)

  1. 승강기용 모터구동 시스템에서 무부하시 입력되는 전압값이 0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스탭; 상기 제 1 스탭에서 입력되는 전압값이 0이 아닌 경우 읽어들인 전압값의 반대 극성의 값을 출력하는 제 2 스탭; 상기 제 1 스탭에서 입력되는 전압값이 0이면 읽어들인 전압값에 증폭도 1을 곱하여 모터 출력값을 설정하는 제 3 스탭; 상기 제 3 스탭에서 설정된 모터 출력값에 따라 모터 출력값에 따라 모터의 동작여부를 판단하는 제 4 스탭; 상기 제 4 스탭에서 모터가 동작중이면 모터의 회전방향이 승강기가 하강하는 방향인지 상승하는 방향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5 스탭; 상기 제 5 스탭에서 판단되는 방향에 따라 각각 증폭도를 가감하는 제 6 스탭; 상기 제 4 스탭에서 모터가 동작하지 않으면 승강기가 승 하강되지 않는 순간의 증폭도를 기억하는 제 7 스탭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모터 구동시스템 제어방법.
KR1019950008198A 1995-04-08 1995-04-08 승강기용 모터 구동시스템 제어방법 KR0161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8198A KR0161836B1 (ko) 1995-04-08 1995-04-08 승강기용 모터 구동시스템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8198A KR0161836B1 (ko) 1995-04-08 1995-04-08 승강기용 모터 구동시스템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9583A KR960039583A (ko) 1996-11-25
KR0161836B1 true KR0161836B1 (ko) 1998-12-15

Family

ID=19411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8198A KR0161836B1 (ko) 1995-04-08 1995-04-08 승강기용 모터 구동시스템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18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461B1 (ko) * 2013-04-01 2014-08-12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작업용 리프트 및 그 리프트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9583A (ko) 1996-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2709B1 (ko) 엘리베이터의 정전시 비상 운전 방법 및 장치
JP3117905B2 (ja) 同期モータの制動方法および装置
US99731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otion in a counterbalancing system
US507750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load holding torque
EP0840435A2 (en) Motor control circuit
US20100044159A1 (en) Elevator apparatus
CA2212972C (en) Control circuit for two speed motors
FI86784B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bromsning av en av en frekvenskonverter matad kortsluten asynkronmotor i en hiss i en felsituation.
JPS6260349B2 (ko)
KR0161836B1 (ko) 승강기용 모터 구동시스템 제어방법
JP3344087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US473833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load compensation signal for a traction elevator system
US4828075A (en) Elevator drive control apparatus for smooth start-up
US4779708A (en) Control device for an elevator
US3945612A (en) Lifting apparatus
US552454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braking of a printing machine
JP2006193297A (ja) エレベータ装置
US469361A (en) Electric elevator
KR101913592B1 (ko) 엘리베이터의 안티롤백 기동방법
ES2186461A1 (es) "sistema de frenado dinamico con control de velocidad para una cabina de ascensor".
JP2935583B2 (ja) エレベータ用インバータの速度制御装置
JP2862152B2 (ja) 昇降機駆動制御系におけるロープ張力振動抑制制御方法
KR960007736Y1 (ko) 승강기기의 부하검출장치
JPH0847298A (ja) エレベータモータの調節装置
KR920001001Y1 (ko) 교류형 승강기의 속도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