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1489B1 -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용 응축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용 응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1489B1
KR0161489B1 KR1019950029694A KR19950029694A KR0161489B1 KR 0161489 B1 KR0161489 B1 KR 0161489B1 KR 1019950029694 A KR1019950029694 A KR 1019950029694A KR 19950029694 A KR19950029694 A KR 19950029694A KR 0161489 B1 KR0161489 B1 KR 0161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brazed
tube
header pipe
tub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9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6515A (ko
Inventor
박태영
Original Assignee
신영주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주,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영주
Priority to KR1019950029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1489B1/ko
Publication of KR970016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6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1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14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4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 F28F9/16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permanent joints, e.g. by rolling
    • F28F9/18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permanent joints, e.g. by rolling by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04Fastening; Joining by bra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개의 부재가 브레이즈 접합되어 이루어진 헤더파이프를 가지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는, 헤더파이프를 구성하는 제1부재와 제2부재가 확실하게 브레이즈 접합될 수 있으며 그 헤더파이프와 튜브들간의 브레이즈 접합도 확실하게 행해질 수 있으므로 신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소형화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용 응축기
제1도는 종래 응축기의 일 예의 개략적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헤더파이프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헤더파이프의 개략적 결합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용 응축기의 개략적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헤더파이프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헤더파이프의 개략적 결합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VII-VII선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응축기용 헤더파이프의 사시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응축기용 헤더파이프의 개략적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응축기 20 : 헤더파이프
21 : 제1부재 211 : 몸체부
212 : 튜브삽입공 213 : 벽부
22 : 제2부재 221 : 이탈방지벽
30 : 튜브
본 발명은 두 개의 부재가 브레이즈 정합되어 이루어진 헤더파이프를 가지는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용 응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그 헤더파이프들의 구조가 개선된 응축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 등에 사용되는 열교환기는, 그 내부의 열교환매체와 외부의 공기가 효과적으로 열교환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그 구조나 열전달 방향 등에 따라 여러종류의 것이 있으며 그 일 예로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에서 사용되는 응축기를 제1도에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용 응축기(1)는 각각의 열교환매체 유동관(6)이 접속되어 있는 한 쌍의 나란한 헤더파이프(2)와, 이 헤더파이프(2)들 사이에 다수 나란하게 배치된 튜브(3)들을 구비하고 있다. 각 튜브(3)는 헤더파이프(2)에 형성된 튜브삽입공(2c)에 그 단부가 삽입되어 브레이지 접합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서 열교환매체가 유동하면서 외부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튜브(3)들 사이에는, 상기 열교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넓은 전열면적을 갖는 휜(5)이 설치되어 있다. 참조부호 4는 헤더파이프(2)의 양단을 막아주는 마개이다.
한편 상기 각 헤더파이프(2)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단면의 몸체를 가지는 제1부재(2a)와 제2부재(2b)가 상호 브레이즈 접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튜브(3)들은 헤더파이프(2)의 제1부재(2a)에 형성된 튜브삽입공(2c)으로 삽입되어 그 제1부재(2a)에 브레이즈 접합되어 고정되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구조의 헤더파이프(2)를 갖는 종래의 응축기(1)에 있어서는, 헤더파이프(2)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1부재(2a)와 제2부재(2b)를 브레이즈 접합할 때, 제1부재(2a)와 제2부재(2b)가 반원형단면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들을 서로 밀착된 상태로 유지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이에 따라, 상호 브레이즈 접합되는 면적이 줄어들게 되므로, 그 브레이즈 접합상태가 불안정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헤더파이프(2)의 제1부재(2a)와 상기 튜브(3)와의 브레이즈 접합시에 그 접합면적이 튜브삽입공(2c)의 내주면에 해당하는 면적에 한정되게 되므로, 헤더파이프(2)와 튜브(3)와의 브레이즈 접합이 확실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와의 브레이즈 접합 및 헤더파이프의 제1부재와 튜브들와의 브레이즈 접합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용 응축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용 응축기는, 서로 나란하게 설치된 한 쌍의 헤더파이프와, 그 양단부가 상기 헤더 파이프들에 각각 끼워져 고정되며 그 내부로 열교환 매체가 유동되는 다수의 튜브를 구비하며, 상기 각 헤더파이프는 제1부재와 제2부재가 상호 브레이즈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는, 상기 튜브들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다수의 튜브삽입공을 가지는 몸체부와, 이 몸체부의 양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며 그 몸체부로부터 상기 제2부재측으로 평행하게 돌출되는 한 쌍의 벽부를 구비하며, 상기 각 벽부의 외측면은 상기 제2부재의 내측면과 브레이즈 접합되고, 상기 각 벽부의 내측면은 상기 튜브들과 브레이즈 접합되며, 상기 제2부재의 양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제1부재 몸체부의 외측면에 접촉되도록 굽힘가공되어 브레이즈 접합시에 제1부재가 제2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의 이탈방지턱이 형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튜브들은 상기 제1부재의 각 벽부의 선단보다 상기 제2부재측으로 더 돌출되게 삽입되어 브레이즈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이탈방지턱은 상기 튜브삽입공들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용 응축기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그리고,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헤더파이프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며,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헤더파이프의 개략적 결합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용 응축기(10)는, 제1도를 참조하며 설명한 종래 응축기(1)와 마찬가지로 각각 열교환매체 유동관(60)이 접속되어 있는 한 쌍의 나란한 헤더파이프(20)와, 이 헤더파이프(20)들 사이에 다수 나란하게 배치되며 그 양단부가 각각 상기 헤더파이프(20)에 형성된 튜브삽입공(212)에 삽입되어 고정된 튜브(30)들을 구비하고 있다. 각 헤더파이프(20)는 제1부재(21)와 제2부재(22)가 상호 브레이즈 접합되어 이루어져 있다. 상기 튜브(30)들 사이에는, 그 튜브(30)들 내에서 유동되는 열교환매체가 외부와 효과적으로 열교환할 수 있도록 넓은 전열면적을 갖는 휜(50)이 설치되어 있다. 참조부호 40은 헤더파이프(20)들의 양단을 막아주는 마개이다.
한편, 종래 응축기(1)의 헤더파이프(2)와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의 헤더파이프(20)의 제1부재(21)는 평판상의 몸체부(211)와, 이 몸체부(211)의 양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며 그 몸체부(211)에 대해 상기 제2부재(22)측으로 돌출된 한쌍의 벽부(213)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1부재의 몸체부(211)에는 상기 튜브(30)들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다수의 튜브삽입공(2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벽부(213)들은 서로 평행하게 상기 몸체부에 대해 돌출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각 벽부(213)의 서로 대면하는 면들 즉 내측면들은 평면을 유지하며, 외측면들 또한 평면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1부재(21)의 각 벽부(213)의 외측면과 상기 제2부재(22)의 내측면이 브레이즈 접합됨으로써 헤더파이프(20)가 형성되게 되는데, 상기 제2부재(22)에 있어서 상기 각 벽부(213)의 외측면에 브레이즈 접합되는 부위의 내측면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벽부(213)의 외측면과 제2부재(22)의 내측면은 쉽게 밀착될 수 있게 된다. 각 벽부(213)의 내측면들은 상기 튜브삽입공(212)들을 통해 삽입된 튜브(30)들의 외주면과 접촉되어 브레이즈 접합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각 벽부(213)의 내측면들간의 간격은 상기 튜브(30)들의 폭과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10)에 있어서 상호 브레이즈 접합될 제1부재(21)의 벽부(213)와 제2부재(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상술한 종래 응축기(1)에 있어서의 제1부재(2a)와 제2부재(2b)에 비하여 그 브레이즈 접합면적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제1부재(21)와 제2부재(22)와의 접합이 확실하게 행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헤더파이프(20)의 제1부재(21)와 튜브(30)들과의 브레이즈 접합시에, 튜브(30)들은 제1부재(21)의 튜브삽입공(212) 내주면 뿐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이 벽부(213)의 내측면과도 브레이즈 접합되게 되므로, 종래 응축기(1)에 있어서 튜브(3)들이 튜브삽입공(2c)의 내주면에만 브레이즈 접합되던 것에 비해, 보다 확실한 브레이즈 접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종래 응축기(1)에 있어서 튜브(3)들과 제1부재(2a)의 가장자리부들 간에 큰 틈새가 형성되어 있던 것과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10)에 있어서는 제1부재(21)의 가장자리부에 위치하는 벽부(213)와 튜브(30)들이 상호 브레이즈 접합되므로 상술한 틈새를 가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1부재(21)의 폭 및 그 제1부재(21)에 브레이즈 접합되는 제2부재(22)의 폭이 줄어들게 되므로, 응축기(10)가 전체적으로 소형화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6도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부재(21)의 튜브삽입공(212)으로 삽입되는 각 튜브(30)는 상기 각 벽부(213)의 선단보다 상기 제2부재(22)측으로 더 돌출되게 삽입되어 브레이즈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제1부재(21)와 제2부재(22)와의 브레이즈 접합부의 클래드(clad)가 흘러내려 튜브(30)의 구멍을 폐쇄하는 것이 용이하게 방지된다.
그리고,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의 튜브삽입공(212) 주위에는 튜브(30)의 양 측면을 접촉지지하도록 버링가공에 의해 형성된 버링부(215)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부재(22)의 양 가장자리부에 각각 제1부재(21)의 몸체부(211) 외측면에 접촉되도록 굽힘가공되는 복수의 일탈방지턱(221)을 형성하여 두면, 제1부재(21)와 제2부재(22)의 브레이즈 접합시에 제1부재(21)가 제2부재(2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각 이탈방지턱(221)들은, 상기 튜브(30)가 튜브삽입공(212)으로 삽입될 때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부재(21)의 튜브삽입공(212)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21)의 튜브삽입공(212)을 통해 삽입되는 튜브(30)의 단부가 제2부재(22)의 내벽(225)과 대면하게 되는 경우에는, 브레이즈 접합시에 제2부재(22)의 내벽(225)의 클래드가 흘러내려 튜브(30)의 구멍을 폐쇄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제2부재(22)의 내벽(225) 간의 거리를 제1부재(21)의 벽부(213)의 내측면 간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하여, 튜브삽입공(212)을 통해 삽입된 튜브(30)는 제2부재(22)의 내벽(225)으로부터 소정거리(W) 이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용 응축기는, 헤더 파이프를 구성하는 제1부재와 제2부재가 확실하게 브레이즈 접합될 수 있으며 그 헤더파이프와 튜브들과의 브레이즈 접합도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신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소형화가 가능하다.

Claims (4)

  1. 서로 나란하게 설치된 한 쌍의 헤더파이프와, 그 양단부가 상기 헤더 파이프들에 각각 끼워져 고정되며 그 내부로 열교환 매체가 유동되는 다수의 튜브를 구비하며, 상기 각 헤더파이프는 제1부재와 제2부재가 상호 브레이즈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는, 상기 튜브들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다수의 튜브삽입공을 가지는 몸체부와, 이 몸체부의 양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며 그 몸체부로부터 상기 제2부재측으로 평행하게 돌출되는 한 쌍의 벽부를 구비하며, 상기 각 벽부의 외측면은 상기 제2부재의 내측면과 브레이즈 접합되고, 상기 각 벽부의 내측면은 상기 튜브들과 브레이즈 접합되며, 상기 제2부재의 양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제1부재 몸체부의 외측면에 접촉되도록 굽힘가공되어 브레이즈 접합시에 제1부재가 제2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의 이탈방지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용 응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의 튜브삽입공으로 삽입되는 튜브들은 상기 각 벽부의 선단보다 상기 제2부재측으로 더 돌출되게 삽입되어 브레이즈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용 응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의 튜브삽입공으로 삽입된 튜브는 상기 제2부재의 내벽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용 응축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이탈방지턱은 상기 튜브삽입공들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용 응축기.
KR1019950029694A 1995-09-12 1995-09-12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용 응축기 KR0161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9694A KR0161489B1 (ko) 1995-09-12 1995-09-12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용 응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9694A KR0161489B1 (ko) 1995-09-12 1995-09-12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용 응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515A KR970016515A (ko) 1997-04-28
KR0161489B1 true KR0161489B1 (ko) 1999-01-15

Family

ID=19426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9694A KR0161489B1 (ko) 1995-09-12 1995-09-12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용 응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148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515A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9277A (en) Vehicle-loaded heat exchanger of parallel flow type
US5094293A (en) Heat exchanger
JPH02183796A (ja) 管状ヘッダの為のそらせ板
JP3774017B2 (ja) 熱交換器
JPH06229696A (ja) 熱交換器
JP4592992B2 (ja) 熱交換器
KR0161489B1 (ko)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용 응축기
JPH07318288A (ja) 熱交換器のタンク仕切構造
KR0133690Y1 (ko) 열교환기
JPH11101594A (ja) 空調用熱交換器
KR19980070184A (ko) 열교환기
JP4663434B2 (ja) 熱交換器
JPH0639257Y2 (ja) 熱交換器
JP2003114094A (ja) 熱交換器用ヘッダ
JP6632868B2 (ja) アルミニウム製熱交換器
JP2004150673A (ja) パイプヘッダと偏平チューブとの接合構造および接合方法
KR0133697Y1 (ko) 열교환기
KR100651683B1 (ko) 열교환기
KR100207567B1 (ko) 열교환기
JPH0711332Y2 (ja) 熱交換器
JPH03279797A (ja) 熱交換器
JPH01291098A (ja) 熱交換器における出入口管の取付装置
JP3209856B2 (ja) アルミニウム材製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S6082790A (ja) 熱交換器
JPH0631333Y2 (ja) 熱交換器の配管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