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0620B1 - 테이프 레코더의 하우징 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레코더의 하우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0620B1
KR0160620B1 KR1019920024590A KR920024590A KR0160620B1 KR 0160620 B1 KR0160620 B1 KR 0160620B1 KR 1019920024590 A KR1019920024590 A KR 1019920024590A KR 920024590 A KR920024590 A KR 920024590A KR 0160620 B1 KR0160620 B1 KR 0160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ever
main deck
tape
tape rec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4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6099A (ko
Inventor
최도영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20024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0620B1/ko
Priority to JP30306293A priority patent/JP3244896B2/ja
Priority to CA002111659A priority patent/CA2111659C/en
Priority to RU93055871A priority patent/RU2125742C1/ru
Priority to US08/168,417 priority patent/US5461522A/en
Priority to CN93112831A priority patent/CN1036427C/zh
Priority to DE69323605T priority patent/DE69323605T2/de
Priority to EP93310232A priority patent/EP0602998B1/en
Priority to ES93310232T priority patent/ES2131101T3/es
Publication of KR940016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6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0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06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힌지방식으로 개폐되는 테이프 레코더의 하우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은 일정주행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테이프에 신호를 기록하거나 재생시키기 위한 테이프 레코더의 하우징 장치에 있어서, 주행계가 설치되는 메인덱크와, 이 메인덱크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레버하우징과, 이 레버하우징에 의해 메인덱크상에서 수직으로 승,하강 이동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상에서 수평으로 이동하는 카세트 홀더로 구성되며; 상기 레버하우징의 상하 회동조작에 의해 하우징상에서 카세트 테이프의 로딩 및 취출동작과 하우징의 승,하강 동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단순한 구성으로 기구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테이프 레코더의 하우징 장치
제1도는 이 발명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의 하우징 장치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장치가 덱크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
제3도의 (a)~(b)는 제1도에 나타낸 장치에서 레버하우징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인덱크 10a : 절곡편
11 : 브라켓 10b,12 : 장공
20 : 레버하우징 21,22 : 제1 및 제2핀
23 : 랙기어 30 : 하우징
30a : 절곡편 31 : 브라켓
30b,32 : 장공 40 : 카세트 홀더
50 : 축 51,52 : 제1 및 제2링크
53 : 비틀림 스프링
이 발명은 테이프 레코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힌지방식으로 개폐되는 레버하우징에 의해 카세트 테이프의 로딩 및 취출동작과 하우징의 안착동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테이프 레코더의 하우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프 레코더는 테이프에 신호를 기록하거나 혹은 기록된 신호를 재생시키는데 필요한 각종 구성요소들이 하나의 덱크상에 설치된 것과 서브 및 메인덱크로 분리 구성된 두 가지 형태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에는 하나의 덱크상에 모든 구성요소들이 설치되어야 하므로 덱크 자체가 커지게되어 제품을 소형화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에 이르러 제품을 더욱 소형화하기 위하여 덱크를 서브 및 메인덱크로 분리 구성한 후, 각종 구성부품들을 분산설치한 것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 또한 메인덱크상에서 서브덱크가 소정거리만큼 이동되면서 동작되므로 장치자체를 소형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발명자는 전에 국내 특허출원 제92-6199호에 개시된 바와같이 힌지방식으로사 절첩되는 카세트 홀더에 카세트 테이프를 장착시킨 후, 상기 홀더를 열고닫음에 따라 테이프가 메인샤시에 설치된 드럼에 로딩 및 취출되도록 한 것이나, 혹은 국내 특허출원 제92-13757호에 개시된 바와같이 메인덱크상에 힌지방식으로 설치된 레버하우징내의 하우징상에 카세트 테이프를 장착시킨 후, 상기 레버하우징을 열고닫음에 따라 테이프가 하우징상에 설치된 드럼에 로딩 및 취출되도록 함으로써, 그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동시에 크기를 포켓사이즈로 초소형화시킬 수 있는 것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은 테이프 레코더는 카세트 홀더나 메인샤시 혹은 레버하우징이나 하우징의 치수정밀도와 카세트 테이프의 장착위치가 정확해야만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레버하우징과 카세트 테이프가 장착되는 하우징의 연계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기구작동이 원활하지 못한 결점이 있었다.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 발명의 목적은 레버하우징의 상하 개폐조작에 따라 카세트 테이프의 로딩 및 취출동작과 하우징의 안착동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기구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테이프 레코더의 하우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특징은, 일정주행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테이프에 신호를 기록하거나 재생시키기 위한 테이프 레코더의 하우징 장치에 있어서, 주행계가 설치되는 메인덱크와, 이 메인데크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레버하우징과, 이 레버하우징에 의해 메인덱크상에서 수직으로 승,하강 이동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상에서 수평으로 이동하는 카세트 홀더로 구성되며; 상기 레버하우징의 상하 회동조작에 의해 하우징상에서 카세트 테이프의 로딩 및 취출동작과 하우징의 승,하강 동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한 테이프 레코더의 하우징 장치에 있다.
이하, 이 발명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의 하우징 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이 발명에 따른 하우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 장치는 도시하지 않은 리일이나 테이프 주행에 필요한 각종 부품들이 설치된 메인덱크(10)와, 이 메인덱크(10)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 회동되는 레버하우징(20)과, 상기 메인덱크(10) 및 레버하우징(20) 사이에 설치되어 승,하강 동작되는 하우징(30)과, 이 하우징(30)상에서 수평으로 이동하는 카세트 홀더(4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인덱크(10)의 일측에는 상향 돌출하여 형성된 브라켓(11)이 설치되고, 이 브라켓(11)의 끝단 중앙에 약간의 원호를 이루는 장공(12)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30)의 일측에 형성된 브라켓(31)에 수평방향의 장공(32)이 형성되어 상기 레버하우징(20) 일측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제1 및 제2핀(21),(22)이 각각 끼워져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하우징(20)의 일측 끝단에 랙기어(23)가 형성되어 하우징(30) 측면에 장착된 사이드기어(33)와 치차맞춤되며, 이 사이드기어(33)가 회동하는 경우에 도시하지 않은 연동수단에 의해 상기 하우징(30) 상면에 설치된 카세트 홀더(40)가 내측으로 로딩되거나 혹은 취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메인덱크(10)와 하우징(30)의 측면에 각각 형성된 절곡편(10a),(30a)에 또다른 장공(10b),(30b)들이 형성되어 축(50)을 중심으로 X자 형상의 제1 및 제2링크(51),(52) 일측이 연결되고, 이 제1 및 제2링크(51),(52)의 타측은 메인덱크(10)와 하우징(30)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어 비틀림 스프링(53)에 의해 소정의 탄력이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된 이 발명은,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하우징(30)이 메인덱크(10)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록크장치(도시생략)를 해제시켜 줌에 따라 제1 및 제2링크(51),(52)에 설치된 비틀림 스프링(53)의 탄력에 의해 하우징(30)을 상승시키게 된다.
이 때, 제1도에서와 같이 레버하우징(20) 역시 힘을 받아 상승하려고 하지만 레버하우징(20)의 제1핀(21)이 메인덱크(10)의 장공(12) 끝부분에 걸려 더이상 상승하지 못하게 되며, 상기 레버하우징(20)의 제2핀(22)은 하우징(30)과 연동하여 상승하게 된다.
즉, 하우징(30)이 제1 및 제2링크(51),(52)에 의해 상승운동을 하는 동안에 레버하우징(20)은 제1핀(21)을 힌지점으로 하여 θ1만큼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상기 레버하우징(20)이 제1도에서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력에 의해 θ2만큼 더 상승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 때에는 상기 레버하우징(20)의 일측 끝단부에 형성된 랙기어(23)가 하우징(30)에 장착된 사이드기어(33)를 회동시켜 줌에 따라 상기 사이드기어(33)의 회동력이 도시하지 않은 연동수단으로 절단된다.
따라서, 카세트 테이프가 장착된 홀더(40)가 가상선 상태로 소정구간 L만큼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카세트 테이프를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사이드기어(33)와 랙기어(23)로 맞물린 레버하우징(20)에는 편측력과 모멘트력이 발생되는데, 레버하우징(20)의 제2핀(22)이 하우징(30)의 장공(32) 측편에서 가이드됨에 따라 편측력은 반력과 평형을 이루고 소멸된다.
따라서, 레버하우징(20)은 제2핀(22)을 기준 힌지점으로 하여 메인덱크(10)의 장공(12)에 결합된 레버하우징(20)의 제1핀(21)을 회전운동시키게 되는 것이므로 레버하우징(20)은 θ2만큼 더욱 회전운동을 함으로써, 카세트 홀더(40)를 취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반대로 카세트 테이프의 안착동작시에는, 먼저 카세트 홀더(40)에 카세트 테이프를 삽입한 후 레버하우징(20)을 θ2만큼 하강동작시키면 상기 카세트 홀더(40)가 하우징(30)상에서 내측으로 이동하여 로딩이 완료되는 것이며, θ1만큼 더욱 하강동작시킴에 따라 앞에서 설명한 취출과정과는 반대로 동작하여 카세트 테이프를 메인덱크(10)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은 힌지방식으로 개폐되는 레버하우징에 의해 카세트 테이프의 로딩 및 취출동작과 하우징의 안착동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기구작동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일정주행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테이프에 신호를 기록하거나 재생시키기 위한 테이프 레코더의 하우징 장치에 있어서, 주행계가 설치되는 메인덱크(10)와, 이 메인덱크(1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며 일측에 랙기어(23)가 형성된 레버하우징(20)과, 이 레버하우징(20)에 의해 메인덱크(10) 상에서 수직으로 승,하강 이동되는 하우징(30)과, 상기 메인덱크(10) 및 하우징(30)에 상호 수직되게 형성된 장공(12)(32)에 끼워지도록 상기 레버하우징(20)에 형성된 제1,2핀(21)(22)과, 상기 레버하우징(20)의 회동에 따라 상기 랙기어(23)와 맞물려 회전하는 사이드기어(33)와, 상기 사이드기어(33)의 회전에 연동되어 하우징(30) 상에서 수평으로 이동하는 카세트 홀더(40)로 구성되며; 상기 레버하우징(20)의 상하 회동조작에 의해 하우징(30) 상에서 카세트 테이프의 로딩 및 취출동작과 하우징(30)의 승,하강동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된 테이프 레코더의 하우징 장치.
KR1019920024590A 1992-12-17 1992-12-17 테이프 레코더의 하우징 장치 KR0160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4590A KR0160620B1 (ko) 1992-12-17 1992-12-17 테이프 레코더의 하우징 장치
JP30306293A JP3244896B2 (ja) 1992-12-17 1993-12-02 テープレコーダーのハウジング装置
RU93055871A RU2125742C1 (ru) 1992-12-17 1993-12-16 Кассетный блок магнитофона
CA002111659A CA2111659C (en) 1992-12-17 1993-12-16 Housing apparatus of a tape recorder
US08/168,417 US5461522A (en) 1992-12-17 1993-12-17 Housing apparatus for a tape recorder and which includes a slidable cassette holder positioned on a plate member via a lever member
CN93112831A CN1036427C (zh) 1992-12-17 1993-12-17 磁带录制机的框架装置
DE69323605T DE69323605T2 (de) 1992-12-17 1993-12-17 Kassettenladevorrichtung für Bandrekorder
EP93310232A EP0602998B1 (en) 1992-12-17 1993-12-17 Tape recorder cassette loading
ES93310232T ES2131101T3 (es) 1992-12-17 1993-12-17 Carga de casete de grabadora de cinta magnetic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4590A KR0160620B1 (ko) 1992-12-17 1992-12-17 테이프 레코더의 하우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6099A KR940016099A (ko) 1994-07-22
KR0160620B1 true KR0160620B1 (ko) 1999-01-15

Family

ID=19345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4590A KR0160620B1 (ko) 1992-12-17 1992-12-17 테이프 레코더의 하우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062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6099A (ko) 1994-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35375A (ja) テープ駆動装置
US5345351A (en) Pivoting device for a cover of the cassette holder of a magnetic-tape cassette apparatus
KR0121751B1 (ko) 카세트착탈장치
KR0160620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하우징 장치
KR0120540B1 (ko) 테이프 레코더의 도어장치
KR0147562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하프 로딩장치
EP0637020A2 (en) Recording cassette mechanisms
KR0117886Y1 (ko) 테이프 레코더의 가이드 장치
JP3244896B2 (ja) テープレコーダーのハウジング装置
JP3547281B2 (ja) ローディング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ク装置
US7185347B2 (en) Shutter device
JPH05225743A (ja) 記録媒体用カートリッジ
US6614619B1 (en) Cartridge library apparatus having an inner door to close an opening of the apparatus body
KR200165012Y1 (ko) 신호기록 및 재생장치
KR0134732Y1 (ko) 카세트테이프 회동케이스의 정위치 가이드장치
KR0116647Y1 (ko) 테이프 레코더의 슬라이더 하우징 록킹장치
US5543987A (en) Head carriage device having applying force means disposed within pillar portion
JP2001110116A (ja) 記録媒体再生装置
KR930000498Y1 (ko) 디지탈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테이프 리드 개폐장치
JPH05266555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2509076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0119517Y1 (ko) 테이프 카세트의 허브 케이스 가이드장치
JPS6020213Y2 (ja) テ−プカセツト
JPH03283041A (ja) Cdプレヤー付きカセットプレヤー
KR920002118Y1 (ko) 레코더의 테이프 카세트 착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