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0607B1 - 캠코더를 이용한 필름 편집장치 - Google Patents

캠코더를 이용한 필름 편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0607B1
KR0160607B1 KR1019920000591A KR920000591A KR0160607B1 KR 0160607 B1 KR0160607 B1 KR 0160607B1 KR 1019920000591 A KR1019920000591 A KR 1019920000591A KR 920000591 A KR920000591 A KR 920000591A KR 0160607 B1 KR0160607 B1 KR 0160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amcorder
editing apparatus
feeder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0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6821A (ko
Inventor
유호용
Original Assignee
강진구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진구,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진구
Priority to KR1019920000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0607B1/ko
Publication of KR930016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6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0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06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22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cutting-off fil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Details Of Cameras Including Film Mechanism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캠코더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필름 또는 일반적인 필름을 연속적으로 기록하거나 재생시킴으로써 환등기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도록 한 캠코더를 이용한 필름 편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캠코더에 케이블로서 연결되는 본체의 소정위치에 덮개의 개폐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는 램프의 양측에 형성되는 반사체와, 상기 반사체의 외주면 상부 일측에 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고정되어 캠코더에 따라 구동되는 이송수단에 의해서 필름을 이송시키는 필름 피이더와, 상기 필름 피이더에 고정되는 필름을 투과하는 광이 캠코더의 렌즈에 전달되도록 상기 반사체의 일측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반사거울과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캠코더를 이용한 필름 편집장치
제1도는 이 발명에 따른 필름 편집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제2도는 이 발명에 따른 필름 편집장치에 이용되는 필름 피이더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이 발명에 따른 필름 구동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캠코더 10a,12c : 컨넥터
11 : 케이블 12 : 본체
12a : 연속 및 수동 스위치 12b : 기록 및 재생 스위치
13 : 덮개 14 : 램프
15 : 반사체 15a : 반사거울
16 : 모터 17 : 기어
18 : 필름 19 : 필름 피이더
19a : 스타트 센서홀 19b : 엔드센서홀
19c : 기어접촉홀 20 : 위치 결정 레버
30 : 필름 구동회로 31 : 제1포토 커플러
32 : 제2포토 커플러 33 : 모터
34 : 자동 및 수동 스위치 35 : 기록 및 재생 스위치
36 : 마이콤
이 발명은 필름 편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캠코더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필름이나 일반적인 필름을 연속적으로 기록 및 재생시킴으로써 환등기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도록 한 캠코더를 이용한 필름 편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슬라이드 필름을 디스플레이 하고자 할 때에는 값비싼 환등기의 기기가 필요하게 되고, 상기 환등기는 일반적인 네가티브(negative)필름이 아닌 슬라이드 필름을 사용해야 함으로써 이에 따른 필름의 사용선택 범위가 한정되어 비경제적이고, 상기 필름을 여러명이 동시에 여러장소에서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소수의 몇사람만 사용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소중한 내용이 담겨진 사진을 비데오 앨범화하여 영구적으로 보관해야 될 경우에는 캠코더를 이용하여 낱장의 사진 한 장, 한 장씩을 편집해야 되므로서 이에 따른 장시간이 소요되어 장비 및 인건비등으로 인하여 많은 비용과 시간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진 것이었다.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이 발명의 목적은 캠코더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필름 및 일반적인 필름을 연속적으로 기록시켜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여러명이 동시에 여러장소에서 동일한 내용의 필름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캠코더를 이용한 필름 편집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이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름의 촬영 및 편집을 지원하기 위해 포토카플러와 마이콤으로 이루어지는 필름 구동회로를 구성하여 필름이 필름 피이더에 정확히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캠코더를 이용한 필름 편집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특징은, 캠코더를 이용한 필름 편집장치에 있어서, 캠코더에 케이블로서 연결되는 본체의 소정위치에 덮개의 개폐에 따라 온(on) 또는 오프(off)되는 램프의 양측에 형성된 반사체와, 상기 반사체의 외주연 상부 일측에 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고정되어 캠코더에 내장된 마이콤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이송수단에 의해서 필름을 이송시켜주는 필름 피이더와, 상기 필름을 투과하는 광이 캠코더의 렌즈에 전달되도록 반사체의 일측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반사거울과로 이루어진 캠코더를 이용한 필름 편집장치에 있는 것이다.
또한, 이 발명의 다른 특징은 캠코더를 이용한 필름 편집장치에 있어서, 필름의 스타트 센서홀과 엔드센서홀에 의해 필름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1 및 제2 포토 카플러와, 편집장치의 조작상태를 결정하는 자동 및 수동 스위치, 기록 및 재생 스위치와, 상기 제1 및 제2포토 카플러의 신호에 의해 모터를 구동하고, 스위치 조작에 따른 동작모드를 프로그램으로서 수행하는 마이콤으로 이루어진 필름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캠코드를 이용한 필름 편집장치에 있다.
이하, 이 발명에 따른 필름 편집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이 발명에 따른 필름 편집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제2도는 이 발명에 따른 필름 편집장치에 이용되는 필름 피이더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캠코더를 이용하여 필름을 편집하는 경우 캠코더(10)의 마이콤(36)과 연결된 컨넥터(10a)와 케이블(11)로서 연결되는 본체(12)를 구성한다.
상기 본체(12)의 하부에 연속 또는 수동 스위치(12a)와 기록 또는 재생 스위치(12b)가 형성되고, 본체(12)의 상부에 형성된 덮개(13)의 개폐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는 램프(14)가 상기 스위치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램프(14)의 양측에는 원통형의 반사체(1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램프(14)로부터 투사되는 광의 이용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반사체(15)의 밑면은 막히도록 형성하고, 상기 덮개를 닫았을 때 상기 램프(14)의 광이 덮개(13)에 의해서 반사되도록 상기 덮개(13)의 내측면에 반사체물질이 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반사체(15)의 외주연 상부 이측에 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되는 필름 피이더(19)의 중앙에는 필름(18)이 고정되고, 이의 상부에는 스타트 센서홀(19a)과 엔드 센서홀(19b)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기어 접촉용 홀(19c)이 형성되며, 상기 필름 피이더(19)의 초기 위치를 결정하며 캠코더의 마이콤(36)과 연결된 위치 결정레버(20)가 상기 덮개(13)의 일측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필름 피이더(19)에 고정된 필름(18)을 투과하는 램프(14)의 광이 캠코더(10)의 렌즈에 전달되도록 반사체(15)의 일측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반사거울(15a)이 형성되며, 상기 위치 결정레버(20)는 이 발명의 필름 편집장치가 수동으로 조작되는 경우에는 상기 필름 피이더(19)를 이송시켜 주게된다.
그리고, 제3도는 이 발명에 따른 필름 구동회로도로서, 마이콤(36)의 입력단에는 필름(18)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1 및 제2포토 카플러(31),(32)가 연결되어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작모드를 결정하는 자동 및 수동 스위치(34)와 기록 및 재생 스위치(35)가 접속된다. 또한 상기 마이콤(36)의 출력단에는 필름(18)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33)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이 발명은 램프(14)로부터 투사되는 광이 반사체(15)를 통하여 상기 피름 피이더(19)에 고정된 필름(18)을 투과하게 되므로 필름(18)에 인화된 내용은 반사거울(15a)에 반사되어서 이의 전방에 형성된 캠코더(10)에 내장된 렌즈에 전달되고, 촬상소자를 통과하여 비데오 프로세서에 의해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구적인 구성에 의해 동작하는 필름편집장치에서 필름(18)이 필름 피이더(19)에 정확히 안착되는 과정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18)이 필름 피이더(19)에 정확히 안착되어 있는 경우에만 제1 및 제2포토 카플러(31),(32) 발광부의 다이오드(LED1),(LED2) 점등빛이 필름(18)의 스타트 센스홀(19a)과 엔드 센서홀(19b)을 통과해 수광부의 트랜지스터(Q1),(Q2)를 도통시킴에 따라 마이콤(36)에는 로우레벨의 신호가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마이콤(36)에서는 필름(18)이 필름 파이더(19)에 정확히 안착되어 있음을 판단하여 모터(33)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한편, 필름(18)이 필름 피이더(19)에 정확히 안착되지 않을 경우 제1 및 제2포토 카플러(31),(32)의 발광다이오드(LED1),(LED2) 빛이 필름(18)에 의해 차단됨으로 트랜지스터(Q1),(Q2)는 오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포토 카플러(31),(32)의 출력신호는 하이 레벨이 되어 마이콤(36)으로 인가된다. 이때, 마이콤(36)은 필름(18)이 필름 피이더(19)에 정확히 안착되지 않음을 인지하여 모터(33)를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모터(33)의 회전은 제1 및 제2포터 카플러(31),(32)의 신호가 로우 레벨로 될 때까지 계속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필름(18)을 필름 피이더(19)에 자동으로 정확하게 안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자동 및 수동 스위치(34)와 기록 및 재생 스위치(35)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작하며, 마이콤(36)에서 프로그램에 의해 모드를 변환시키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캠코더를 이용한 필름 편집장치는 슬라이드 필름 또는 일반적인 필름을 이용할 수 있어서 필름의 사용선택범위가 크므로 매우 경제적이고 낱장의 사진을 모아서 비데오 앨범화 하는 경우에도 단시간에 다량의 필름을 정확한 상태로 기록시켜 편집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캠코더를 이용한 필름 편집장치에 있어서, 캠코더(10)에 케이블(11)로서 연결되는 본체(12)의 소정위치에 덮개의 개폐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는 램프(14)의 양측에 형성된 반사체(15)와, 상기 반사체(15)의 외주연 상부 일측에 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고정되어 캠코더(10)에 내장된 마이콤(36)의 제어데 따라 구동되는 이송수단에 의해서 필름(18)을 이송시켜주는 필름 피이더(19)와, 상기 필름(18)을 투과하는 광이 캠코더(10)의 렌즈에 전달되도록 반사체(15)의 일측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반사거울(15a)과로 이루어진 캠코더를 이용한 필름 편집장치.
  2. 캠코더를 이용한 필름 편집장치에 있어서, 필름(18)의 스타트 센서홀(19a)과 앤드 센서홀(19b)에 의해 필름(18)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1 및 제2포토 커플러(31),(32)와, 편집장치의 조작상태를 결정하는 자동 및 수동 스위치(34), 기록 및 재생 스위치(35)와, 상기 제1 및 제2포토 카플러(31),(32)의 신호에 의해 모터(33)를 구동하고 스위치 조작에 따른 동작 모드를 프로그램으로서 수행하는 마이콤(36)으로 이루어진 필름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캠코더를 이용한 필름 편집장치.
KR1019920000591A 1992-01-16 1992-01-16 캠코더를 이용한 필름 편집장치 KR0160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0591A KR0160607B1 (ko) 1992-01-16 1992-01-16 캠코더를 이용한 필름 편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0591A KR0160607B1 (ko) 1992-01-16 1992-01-16 캠코더를 이용한 필름 편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6821A KR930016821A (ko) 1993-08-30
KR0160607B1 true KR0160607B1 (ko) 1999-05-01

Family

ID=19327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0591A KR0160607B1 (ko) 1992-01-16 1992-01-16 캠코더를 이용한 필름 편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060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6821A (ko) 199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5805A (en) Transmissive/reflective optical scanning apparatus
US5424772A (en) Mode changing device for still video camera and still video camera used therewith
US4928184A (en) Image recording system
US4953029A (en) Interchangeable film back or still video back still camera system
JP2000010182A (ja) デジタルカメラ機能付フィルムカメラ
KR0160607B1 (ko) 캠코더를 이용한 필름 편집장치
US7193648B1 (en) Photographing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electronic still camera
US5097344A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playing back still video images
US6424809B1 (en) Image signal reading operation control device
JP2000023010A (ja) 画像読取装置
JP2867837B2 (ja) 撮影装置
US5063458A (en) Electronic still camera with standby switches operable to enable the camera for recording an image upon actuation of a recording switch
JPH05134294A (ja) フアインダ
JPH0359625B2 (ko)
JP3787245B2 (ja) デジタルカメラの画像表示装置
US5051774A (en) Microfilm camera
JPH10336492A (ja) デジタルカメラ
JPS6221102Y2 (ko)
JPH07128633A (ja) 投写装置及び記録再生装置
KR960006421A (ko) 캠코더 및 카메라의 동시 사용이 가능한 일체형 광학기기
JP4213720B2 (ja) デジタルカメラの画像表示装置
US5245382A (en) Instant photographic copier
JPH0556200A (ja) 画像入力装置
JPH03120971A (ja) 電子カメラ
JP2001042415A (ja) 写真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