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0117B1 - 파일박음장치 - Google Patents

파일박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0117B1
KR0160117B1 KR1019890004995A KR890004995A KR0160117B1 KR 0160117 B1 KR0160117 B1 KR 0160117B1 KR 1019890004995 A KR1019890004995 A KR 1019890004995A KR 890004995 A KR890004995 A KR 890004995A KR 0160117 B1 KR0160117 B1 KR 0160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plate
hydraulic jack
file
j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4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6550A (ko
Inventor
신셍 콩
Original Assignee
램 헹 벵
사와디 엑스포츠 피티이 엘티디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063528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016011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램 헹 벵, 사와디 엑스포츠 피티이 엘티디이 filed Critical 램 헹 벵
Publication of KR900016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6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0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0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02Placing by driving
    • E02D7/06Power-driven dr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02Placing by driving
    • E02D7/06Power-driven drivers
    • E02D7/14Components for drivers inasmuch as not specially for a specific driver construction
    • E02D7/16Scaffolds or supports for dr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일박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압잭을 사용하여 파일을 박는 파일박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파일박음장치는 전달장치를 거쳐 땅에 박혀질 파일의 제 1 방향에서 파일을 박는 힘을 제공하는 유압잭장치와, 상기 제 1방향과 일정간격 떨어져 파일의 길이방향과 대체로 평행하게 작용하고 있는 파일을 박는힘에 대한 반력을 제공하는 반력장치 및, 최소한 유압잭장치의 일부가 파일의 측면을 따라 연결되어 제 1방향으로 부터의 파일을 박는 힘을 파일에 전달시키도록 된 전달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파일박음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A-A선(제2도)을 따른 평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B-B선을 따른 정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일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B-B선을 따른 부분정단면도.
제5도는 이동성 베이스 장비(mobile base machine)에 지지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개략도.
제6도는 이동성 크레인에 의해 자리잡은 정자상태의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제7(a)도는 인접된 파일을 결합시키는 클립의 평면도이고,
(b)는 (a)의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저판 3 : 플랫포옴
5 : 안정하중부(Kentledge) 7 : 잭
8 : 파일 11 : 기둥(colum)
13 : 지지부 15 : 버팀부
17 : 부착점 19 : 파일적재회동아암(cradle arm)
21 : 연결점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파일박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압잭을 사용하여 파일을 박는 파일박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잭 파일박음장치는 파일을 땅에 박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너무 심한 진동이나 소음을 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에도 여러가지의 파일박음장치가 제안되었는 바, 이 중 파일설계와 구조물(Pile Design and Construction Practice) 이라는 톰린슨(M. K. Tominson)의 저서 1987년도 제 3판에 소개되어 있는 바, 이 같은 종래 사용되어 왔던 유압잭 파일박음장치는 파일의 상단을 직접 때려서 땅에 박는 방식으로 유압잭을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유압잭을 이용한 파일박음장치(jack-in-piling sgstem)라고 불려진다. 즉, 이러한 장치는 기반에 지주를 박는데 주로 사용되었으나 그 복잡성으로 인하여 기존의 파일박음장치는 경쟁이 되지 못하여 새로운 파일박음장치로는 거의 사용되지 못했다.
또 종래 사용되어 왔던 유압잭 파일박음장치는 파일을 박고자 하는 지반과 땅에 박혀질 파일의 상단사이에 유압잭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어, 그 기초자체가 유압잭을 작동시키기 위한 반력으로 작용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종래 장치는 많은 문제점이 있는 바, 특히 파일을 세워 위치를 잡은 후 반력을 제공하기 위한 안정화중부(Kentldege) 또는 안정균형부(ballast)를 설치하는데 시간이 소요되었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압잭의 행정거리(Stroke)가 짧기 때문에 보조받침대(dolly)가 많이 필요했으며 하나의 파일을 박는데 최소한 6번 이상 유압잭을 작동시켜야 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더우기 짧고 탄탄한 파일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하중이 40톤 이상되는 큰 용량의 파일을 박는데에만 그 장치가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장치는 파일을 연장시키는 작업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연속적으로 파일을 결합(주로 용접을 이용함)시킬때에는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유압잭 파일박음장치는 하루에 겨우 2개의 파일만을 박을 수 있기 때문에 기초공사용 파일박음장치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기에는 비경제적이라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는 유압잭을 이용한 파일박음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파일박음장치는 전달장치를 거쳐 땅에 박혀질 파일의 제 1 방향에서 파일을 박는 힘을 제공하는 유압잭장치와, 상기 제 1 방향과 일정간격 떨어져 파일의 길이방향축과 대체로 평행하게 작용하고 있는 파일을 박는힘에 대한 반력을 제공하는 반력장치 및, 최소한 유압잭장치의 일부가 파일의 측면을 따라 연결되어 제 1 방향으로 부터의 파일을 박는 힘을 파일에 전달시키도록 된 전달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파일박음장치는 그 길이방향과 측면을 따라 파일을 지지하는 기둥이 장착되어 있으며 파일의 길이와 일치하도록 되어 있고, 파일이 설치되는 면과 대응하는 기둥의 측면에서 기둥의 한쪽끝에 유압잭 장치가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달장치는 상기 유압잭장치가 피스톤과 연결된 잭가입부와, 파일자유단의 반대쪽에 연결된 파일가압부 및, 기둥의 길이를 따라 뻗어있는 틈새를 통해 상기 잭가입부 및 제 파일가압부와 연결된 전달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유압잭 장치의 피스톤이 기둥길이의 거의 절반을 따라 상기 잭가압부를 밀도록 되어 유압잭장치의 두번째 작동에 의해 파일을 박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기저판(Base frame)은 기둥의 하단부쪽에 설치되어 파일박음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장치와 기둥이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면서 바닥이 수평을 이루도록 하는 수평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저판에는 파일을 박는힘에 대한 반력을 제공하기 위해 제공되는 안정하중부 또는 안정균형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때 반력은 기둥을 거쳐 안정균형부 또는 안정하중부와 유압잭장치 사이에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기둥은 H 단면으로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기저판은 땅에 박혀질 파일을 지지하기 위한 파일지지장치와, 유압잭장치에 반력을 제공하기 위한 안정균형부 또는 안정하중부를 지지하고 파일을 박기 위한 유압잭장치 지지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기저판은 이를 조절하기 위해 작동되는 수평유압잭을 갖추고 있어 파일이 수직으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저판은 파일이 박혀지는 동안 발생되는 반력에 의한 뒤틀림에 견딜만큼의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장치는 파일박음장치에 파일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일장착장치를 갖추고 있는데, 상기 파일장착장치는 수평위치와 수직위치사이로 이동될 수 있으면서 파일박음장치에 축선회할 수 있도록 연결된 파일적재대(cradle)와, 그 축선회점 주위로 상기 파일적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잭으로 구성되어 있는 바, 여기서 상기 파일적재대가 수평위치에 있을 때 파일을 장착하고 상기 잭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되도록 파일의 박혀질 위치에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파일장착장치는 파일의 끝을 파일적재대의 축선회점 가까이로 안내할 수 있는 안내장치를 갖추고 있어 이미 박혀진 파일의 돌출부에 새로운 파일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일부가 박혀진 파일에 보조받침대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안내장치는 여러가지의 파일형상에 따라 조절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파일장착장치와 기저판 또는 그 각각은 앞에서 언급한 파일박음장치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접한 파일의 끝을 연결시킴과 더불어 3차원의 회전과 3차원의 이동을 하는 파일사이의 상대운동을 제약하는 연결장치를 갖추고 있는데, 상기 연결장치는 파일의 단면과 대체로 일치하는 플레이트와, 플레이트를 파일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제작된 파일에 근접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한면으로부터 뻗어있는 결합장치 및, C 또는 U 형 클립의 다리부를 수납할 수 있으면서 플레이트의 평면에 형성되어 상기 클립과 평판사이의 상대운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된 채널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클립의 다른 다리부는 다른 파일의 상응하는 플레이트 홈에 수납될 수 있도록 되어, 이러한 방법으로 플레이트 클립을 위치시킴으로써 두개의 파일을 연결시켜 상호간의 상대이동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다수개의 채널에 상응하는 갯수의 클립이 끼워질 수 있도록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인접한 두 파일사이의 상대이동을 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파일박음장치는 기저판과 파일장착장이 또는 그 각각이 이동가능한 크레인에 장착되거나 또는 현가될 수 있도록 되어, 기저판에 파일박음장치를 설치하는 대신에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반력을 제공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무게를 갖는 이동가능한 베이스장비에 파일박음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존의 유압잭 파일박음장치 보다 훨씬 더 중요한 장점을 갖고 있는 바, 이러한 장점은 유압잭 파일박음장치로 부터 파일로 전달되는 작용력을 간접적으로 적용시킴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그 장점은 우선 작업하중이 10톤 내지 40톤 범위의 더 짧거나 또는 더 긴 파일에 적용될 수 있고 안정균형부 또는 안정하중부가 쉽고 빠르게 이동될 수 있으며, 파일을 연장하는 절차가 별다른 수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빠르게 수행될 수 있어 파일이 쉽게 연결되며, 또 유압잭은 단지 두번의 왕복운동에 의해 파일을 박을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해 보조받침부의 사용수가 감소되어 전반적인 파일박음작업이 빠르게 수행된다.
그리고 최소한 유압잭장치의 일부가 파일측면을 따라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파일의 길이가 유용한 상부공간과 일치하고 이로인해 파일박음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더 긴 유압잭 행정거리를 가지고 더 빠르게 파일을 연장시킬 수 있으므로 하루에 약 20개정도를 작업할 수 있고, 파일박음작업에 크게 사용되지 않는 기존의 파일박음장치보다 가격이 훨씬 저렴하다. 더우기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파일을 박는 힘을 제공하기 위하여 두개 또는 그 이상의 유압잭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단면 예컨대, 삼각형, V형, 원형, 6각형, 튜브형의 응력이 보강된 콘크리트파일을 박는데에도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응력이 보강된 콘크리트파일을 파일의 중심부를 따라 일정방향으로 하나 또는 다수개의 응력보강와이어를 사용하여 보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파일의 측면칫수는 125㎜ 내자 225㎜ 정도가 사용되고, 보강응력은 2Mpa 이하이다.
그리고 목재나 또는 강철과 같은 다른 재료로 이루어진 파일도 사용될 수 있고, 파일은 예컨대 3~6m 정도의 길이가 긴 것도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안정균형부 또는 안정하중부(5)를 지지해주기 위한 플랫포옴(3)를 갖춘 기저판(1)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기저판(1)은 파일이 박혀지는 동안 반력애 의해 발생되는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을 만틈의 충분한 강성을 갖춘 강철판 또는 강철단면으로 제작되어 있고, 각 코너에 위치한 잭(7)으로 형성된 수평장치가 갖추어져 있고, 이들 잭(7)은 각각 독립적으로 조절되어 기저판(1)이 수직을 이루도록 하며, 특히 땅에 박혀질 파일(8)이 그 땅에 대하여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안정균형부 또는 안정하중부는 전체가 40톤의 무게로 그 각각의 10톤 무게는 잭(7)위의 기저판(1) 각 모서리에 가해진다.
파일박음장치는 기저판(1)에 대하여 수직으로 위치하면서 강철지지부(13)를 매개로 지지되는 기둥(11)으로 구성되고, 버팀부(15)가 파일박음장치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기저판(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둥(11)은 제2도에 되시된 바와 같이 그 상단에 후크에 결합될 수 있는 부착점(7)이 형성되어 이 파일박음장치를 이동가능한 크레인등에 장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일박음장치는 기둥(11)의 하단부에 기저판(1)과 연결된 연결점(21)을 힌지점으로 하여 축선회 이동되도록 설치된 파일적재회동아암(19)으로 구성된 파일장착장치를 갖추고 있는 한편, 기저판(1)위에 위치한 유압잭(23)은 파일적재회동아암(19)에 연결된 피스톤(25)을 구비하고 있다.
제3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파일박음장치의 기둥(11)은 유압잭장치로 부터의 반력을 안정하중부에 전달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강철의 'H' 단면을 갖도록 제작되고, 상기 유압잭장치는 실린더(27)와 피스톤(29)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실린더(27)는 기둥(11) 우측 선단에 고정부착되어 파일박음장치에 있어서 기둥(11)이 유압잭부의 칸막이 역할을 하고 있다.
한편 상기 기둥(11)의 좌측에는 파일박음장치의 파일부(31)가 설치되고 상기 파일부(31)에는 땅에 박혀질 파일(8)이 설치된다.
전달장치는 실린더(27)로 부터의 동작을 파일부(31)에 설치된 파일(8)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전달장치는 피스톤의 동력을 전달하는 잭가입판(jack thrust plate : 33)를 갖추고 있으며, 이 잭가압판(33)는 전달판(25)에 용접으로 고정된 전단판(37)에 의해 전달판(25)과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전달판(35)의 상부에는 또 하나의 전단판(41)을 매개로 파일가압판(pile thrust plate : 39)이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기둥(11)의 웨브부(43)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뻗어있는 전달판(35)를 설치하기 위한 틈새를 갖추고 있어 기둥(11)이 길이를 따라 상기 전달판(35)이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피스톤(29)이 잭가압판(33)에 대하여 화설표 A 방향으로 내려올 때 이에 상응되는 아래쪽의 가압력이 전달판(35)을 거쳐 파일가압판(39)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전달장치는 실린더(27)와 피스톤(29)이 땅에 박혀질 파일의 측면을 따라 뻗어있는 형상으로 되어, 기둥(11)의 길이와 거의 일치하는 길이를 가진 파일을 땅에 박을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기둥(11)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보강판(45)이 기둥(11)의 웨브부(43)의 길이를 따라 용접된다. 또한 기둥(11)의 유압잭부에는 전달판(35)을 안내하도록 된 채널부(47)가 갖추어져 있고, 상기 채널부(47)는 웨브부(43)에 형성된 틈새내부에서 전달장치가 뒤틀리는 것을 최대한 감소시키기는 역할을 한다.
파일가압판(39)은 파일(8)과 일치하는 단면으로 되어 있고 땅에 박혀질 파일(8)과 접촉되어 있다.
그러나 피스톤(29)은 파일(8)전체길이의 절반정도를 이루고 있어 한번의 동작으로 파일(8)의 절반정도를 땅에 박아주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둥(11)의 하단부에 설치된 기저판(1)의 연결점(21)에서 축선회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파일적재회동아암(19)으로 이루어진 파일 장착장치가 갖춰져 있는 바, 상기 파일적재회동아암(19)은 유압잭(23)과 피스톤(25)에 의해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수평위치로 낮추어지고, 그런 상태에서 파일(8)이 크레인이나 수작업으로 파일적재회동아암(19)에 올려져 수평으로 위치된 후, 피스톤(25)을 이용하여 기둥(11)의 파일부(31)에 파일(8)과 파일적재회동아암(19)이 수직위치로 세워지도록 한다. 이때 파일적재회동아암(19)에 설치된 가이드(49)를 매개로 파일(8)의 하단이 정확한 위치에 자리잡게 되는데, 이때 만약 파일이 연장파일인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49)가 이미 땅에 박혀진 파일의 상단에 연장시켜 박아야할 파일의 하단이 정확히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49)는 파일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조절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5도에 되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일박음장치는 이동가능한 베이스장비(50)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때 파일박음장치는 이동가능한 베이스장비(50)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기둥(11)은 이동가능한 베이스장비(50)의 지지점(53)에 축선회동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된 중공단면의 강철기둥(51)을 매개로 이동가능한 베이스장비(50)에 지지되어 있다. 또 파일박음장치는 아암(55)에 의하여 지지되는데 이때 이동가능한 베이스장비(50)는 잭(57)을 매개로 안정되게 설치되게 된다.
제6도는 이동가능한 크레인(52)에 설치된 기저판(1)에 파일박음장치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 이동가능한 크레인은 기저판에 안정하중부를 올려놓게 된다. 그리고 기둥(11)은 그 부착점(17)에 걸려진 후크에 의해 이동가능한 크레인(52)에 매달려 있고, 기저ㅍ나(1)의 수평위치는 크레인(52)을 매개로 조절되는 위치조절수단(59)에 의해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이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의 설치과정을 설명한다.
이동가능한 베이스장비나 크레인은 10톤의 하중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파일은 16톤의 작업하중에 견딜수 있도록 되며, 그 길이는 5m정도이다. 우선 기저판(1)과 기중(11)이 원하는 위치에 놓여진 후 40톤의 안정하중부가 기저판(1)에 올려놓게 된다. 이때 기둥(11)이 수직위치가 되도록 기저판(1)을 수평으로 맞추게 된다. 그리고 파일(8)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파일적재회동아암(19)이 수평 위치로 내려지고, 유압잭(23)과 피스톤(25)이 파일적재회동아암(19)을 들어 파일부(31)로 파일(8)을 이동시키며, 파일가압판(39)을 파일(8)의 선단에 위치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실린더(27)와 피스톤(29)이 파일(8)의 절반이 땅에 박혀질 때까지 간접적인 방법으로 파일(8)을 박게 되는데, 피스톤(29)은 파일(8)의 하중이 가해진 후 그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피스톤(29)이 원래위치로 되돌아가는 동안 파일적재회동아암(19)은 보조받침부(dolly:도면에 도시안됨)를 장착시키기 위해 수평위치로 다시 내려지고, 파일적재회동아암(19)은 이 보조받침부를 파일부(31)로 옮겨 절반이 박혀있는 파일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피스톤(29)이 다시 동작되어 파일의 나머지 반을 박아주게 되고, 파일적재회동아암(19)은 보조받침부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며, 연장파일은 상기의 절차를 거쳐 연장되어 박혀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원하는 만큼 파일이 박혀지거나 또는 파일응력이 한계에 달했을때 지면으로 부터 돌출된 파일은 적당히 특수절단기를 이용하여 자르고, 그 다음 안정하중부를 기저판에서 제거한 후, 연속적인 파일작업작업을 위해 다른 작업위치로 장치를 이동시킨다.
한편 연장파일의 끝은 본 발명의 클립을 이용한 연결장치를 사용하여 연결되게 되는데, 이는 제7도(a),(b)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연결장치는 땅에 박혀질 파일과 동일한 단면을 갖는 V 형이나 삼각형의 플레이트(61)로 이루어져 있고, 홈(63)은 U 또는 C형 클립(67)의 연결부(65)를 받아들이는 각 3면을 갖는 플레이트(61)상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홈(63)에서 플레이트(61)에 연결된 채널형 플레이트(69)는 클립(67)의 다리부(73)를 받아들이기 위한 구멍 또는 채널(71)을 갖추고 있고, 결합봉(75)이 채널형 플레이트(69) 각각에 용접되어 있다. 여기서 콘크리트파일의 선단은 결합봉(75) 주위에 주조되어 상기 플레이트(61)가 파일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인장응력은 콘크리트 파일에서 결합봉(75)으로 전달되고, 이 인장응력은 채널형 플레이트(69)와 결합봉(75)에 용접된 V 형 또는 삼각형의 플레이트(61)를 통해 전달된다. 그리고 접촉응력을 통하여 인장응력은 클립(67)을 거쳐 유사한 구조의 인접 파일에 전달된다. 또 압축응력에 대하여 이 응력은 인접파일의 V형 플레이트(61) 사이에서 직접적인 접촉응력을 통하여 전달된다.
파일이 설치되는 동안 2개의 파일의 끝이 서로 접촉되면 곧바로 클립(67)의 두 레그(73)가 간단하게 채널(71)에 끼워지게 되고, 클립(67)은 제작시 작게 형성되어 결합시키는 지점에 삽입시키는 동안 힘을 가해 밀어 넣어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2개 또는 그 이상의 클립(67)이 파일의 끝을 안정되도록 하기 위해 설치되어 각 6차원(3차원 회전과 3차원 이동)의 상대이동을 제한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얻어지는 잇점은 기존의 유압잭장치와 다음과 같이 대비될 수 있는 바, 기존의 유압잭장치는 사람의 힘으로 파일을 조종할 수 있도록 되어 일반적으로 0.76m 내지 1.2m 정도의 비교적 짧은 파일만을 다룰 수 있으므로 1개의 파일을 설치해 주기 위해서는 여러개의 조인트가 필요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파일을 사람의 힘 대신에 기계의 힘으로 다루기 때문에 대체적으로 3m 내지 6미터 정도의 비교적 긴 파일을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파일의 적절한 측면칫수는 예컨대 100㎜ 내지l 200㎜ 정도로 할 수 있는 반면, 기존의 시스템에 있어서는 300㎜ 정도의 예비성형된 콘크리트 파일이 사용된다.
한편 기존의 시스템에 있어서는 기초가 때로 잭킹력을 가해주기 위한 기반으로 이용되기도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안정하중부(Kentledge)를 이송하거나 장치자체의 기저판위에 설치해 줄 수 있어서, 상기 안정하중부를 요구되는 새로운 지점으로 쉽게 이송시켜 줄 수가 있고 파일박음장치가 설치된 지반의 위치에 제한을 받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압잭이 이동거리를 예컨대 1.5m 내지 4m 정도로 길게 할 수가 있어 전체 파일을 2번의 행정으로 설치해 줄 수 있는 잇점이 있는 반면, 기존 시스템은 유압잭의 이동거리가 0.25m 정도로 짤기 때문에 하나의 파일을 설치해 주기 위해 여러번 반본적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파일가까이에 있는 조인트를 빨리 설치해 줄 수 있도록 하는 클립 조인트 시스템과 함께 사용할 수가 있는데, 이는 짧은 강철 바아를 횡방향의 중앙홀속에 삽입시켜 시멘트를 부어넣어 줌으로써 예비성형된 콘크리트요소를 결합시켜 주도록 되어 있는 기존의 장치와는 상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각각의 파일의 길이를 따라 대체로 일치하는 헤드룸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3m 길이의 파일은 3.1m의 헤드룸에만 설치된다.
이는 파일의 전길이 및 유압잭에 어떤 패킹을 더한 길이를 제공해 주도록 작동되는 헤드룸에 있어서 종래의 기술과 대조를 이루고 있다. 그 예를 든다면, 1.8m 로 작동되는 헤드룸은 단지 1.2m 길이의 양끝이 개방된 철제 튜브장치를 가능하게 된다.
또 다른 종래 기술이 설치에 대한 문제점은 땅에 이미 박혀진 파일에 다른 파일이 첨가될 수 있기전에 유압잭 및 패킹이 제거되어야만 한다는 것이고, 이때 잭은 피스톤에 넣어지게 되나 이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전체의 파일이 요구되는 길이 및 용량에 장착되기까지 실린더(27)와 유압잭(29)은 피스톤에 남아있게 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설치는 기존의 기초에 지주를 박는데에 사용되도록 제한되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새로운 토목 내지는 건축기토에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바, 기존의 기초에 지주를 박는데 이용될 때 저렴하면서도 빠른 속도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새로운 기초작업 즉 기존의 기초에 지주를 박는 것에만 제한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2개 또는 다수개의 유압잭이 파일을 박는힘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Claims (15)

  1. 땅에 박야하할 파일(8)에다 전달장치를 매개로 제 1 방향으로 파일을 박는 힘을 가해주도록 된 유압잭장치와, 상기 파일 박는힘에 대한 반발력을 가해주도록 된 반발장치를 갖추고서, 상기 파일(8)의 길이방향축이 상기 제 1방향과 일정거리로 떨어져서 대체로 평행하게 향하도록 되고, 상기 전달장치가 파일박는 힘을 상기 제 1 방향으로 부터 파일(8)로 전달해줄 수 있는 형상으로 상기 유압잭장치의 적어도 일부분이 파일(8)을 따라 뻗어 설치될 수 있도록 유압잭을 구비한 파일박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8)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한쪽 측면상에 파일(8)을 수납해 줄 수 있도록 된 기둥(11)을 갖추되, 이 기둥(11)의 길이가 파일(8)의 길이와 같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박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잭장치가 기둥(11)에서 파일(8)이 수납되는 측면의 반대쪽 기둥(11)의 측면 한쪽끝에 고정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박음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수단이 유압잭장치의 피스톤(29)을 수납해주도록 된 잭압판(33)과, 파일(8)의 자유단에 밀어부쳐지도록 된 파일가압판(39) 및, 상기 기둥(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뻗은 틈새를 매개로 상기 잭가압판(33)와 파일가압판(39)을 연결해 주도록 된 전달부재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박음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잭장치의 피스톤(29)이 1회의 행정으로 기둥(11)길이의 약 1/2정도로 잭가압판(33)을 밀어줄 수 있도록 되어, 상기 유압잭장치가 2번째 동작으로 파일을 완전히 박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박음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11)의 하단부쪽에 기저판(1)이 부착되되, 이 기저판(1)이 파일박음장치를 지지해 주도록 된 지지장치와, 이 기저판(1)의 수평을 유지해 주도록 된 수평장치를 갖추고서 상기 기둥(11)을 수직으로 세우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박음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판(1)이 파일박는 힘에 대응되는 반력을 가해주도록 된 안정하중부(5)를 지지해 줄 수 있도록 되고, 상기 반력이 기중(11)을 매개로 상기 안정하중부(5)와 유압잭장치 사이로 전달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박음장치.
  8. 땅에 박을 파일(8)을 지지해 주도록 된 파일지지장치와, 상기 파일(8)을 땅에 박아주도록 된 유압장치를 지지해 주도록 된 유압잭장치 지지수단 및, 이 유압잭장치에 반력을 가해주는 안정하중부(5)를 지지해 주도록 된 안정하중부(5) 지지장치를 갖춘 베이스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파일(8)이 수직으로 박혀질 수 있도록 기저판(1)을 적절히 조절해 주는 수평유지잭(7)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박음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판(1)이 파일(8)을 박는 작업중에 발생되는 반력에 의해 야기되는 변형에 대응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성을 갖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박음장치.
  10. 파일박음장치에 회전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수평위치와 수직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된 파일적재회동아암과 회동점을 중심으로 상기 파일적재회동아암을 이동시켜주도록 된 잭을 갖추고서 파일박음장치에 파일을 장착시켜 주도록 된 파일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일적재회동암암(19)이 수평위치에서 파일(8)을 수납해서 잭을 매개로 수직위치로 이동시켜줄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파일(8)을 땅에 박을 수 있는 적절한 위치에 위치시켜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박음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적재회동아암(19)의 회동선단에는 이에 가장 근접하게 새로운 파일의 선단을 안내해 주도록 된 안내수단을 갖추어 파일박음작업시 땅에 박혀진 파일(18)의 노출된 선단에다 새로운 파일을 위치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박음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파일적재회동아암(19)이 부분적으로 땅에 박혀진 파일(8)에다 보조받침부를 위치시켜줄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박음장치.
  13. 땅에 박혀질 파일의 단면과 동일 단면을 갖는 플레이트(61)와, 파일(8)이 주조되게 되는 상기 플레이트(61)의 한쪽면으로 부터 뻗어 있는 이 플레이트가 파일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해주는 결합장치 및, 상기 플레이트(61)의 평면내에 형성되면서 'C'자 또는 'U' 자형 클립(67)의 다리부(73)를 수납할 수 있도록 되어, 이 클립(67)과 상기 플레이트(62)사이에 상대운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주는 채널을 갖춘 파일박음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클립(67)의 다른쪽 다리부(73)가 플레이트(61)의 대응되는 홈(63)에 의해 또 다른 파일에 수납될 수 있도록 되어, 결합된 파일사이에 상대운동을 방지해 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박음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61)에는 대응되는 갯수만큼의 클립(67)을 수납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채널이 형성되어 인접한 파일사이에서의 상대운동을 방지해 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박음장치.
KR1019890004995A 1988-04-15 1989-04-15 파일박음장치 KR01601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G8808988.3 1988-04-15
GB8808988A GB2217366B (en) 1988-04-15 1988-04-15 Pile driving apparatus
GB8808988.3 1988-04-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550A KR900016550A (ko) 1990-11-13
KR0160117B1 true KR0160117B1 (ko) 1999-01-15

Family

ID=10635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4995A KR0160117B1 (ko) 1988-04-15 1989-04-15 파일박음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0337475B1 (ko)
KR (1) KR0160117B1 (ko)
CN (1) CN1019323B (ko)
AU (1) AU626088B2 (ko)
CA (2) CA1336545C (ko)
DE (1) DE68921231T2 (ko)
GB (1) GB2217366B (ko)
HK (1) HK126393A (ko)
IN (1) IN175125B (ko)
MY (1) MY103708A (ko)
NZ (1) NZ22874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48082B (en) * 1990-09-18 1994-11-16 Concilink Pile driving
GB2260776A (en) * 1991-10-25 1993-04-28 Sum Cheong Machinery Pte Ltd Pile driving apparatus
CN1034750C (zh) * 1992-09-11 1997-04-30 管明德 锚梁式静压桩法及其压桩专用设备
GB9724024D0 (en) 1997-11-13 1998-01-14 Kvaerner Cementation Found Ltd Improved piling method
HK1027264A2 (en) * 2000-08-11 2000-12-15 Shu Tong Siu Hydrostatic pressure ramming machine
AU785079B2 (en) * 2002-03-15 2006-09-14 Ho Choon Aw Stone column construction for ground improvement
AT509461B1 (de) * 2010-09-27 2011-09-15 Plasser Bahnbaumasch Franz Stopfmaschine
CN115324051B (zh) * 2022-04-13 2024-05-07 中交第一航务工程局有限公司 灌注桩钻机配套用多功能辅助机架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61796A (en) * 1966-09-01 1969-08-20 Philip Wilson Turner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ile Drivers.
JPS539001B2 (ko) * 1973-05-18 1978-04-03
NL7704669A (nl) * 1976-06-01 1977-12-05 Hanebeck Bau Gmbh Inrichting voor het geluidloos indrijven van damwandplanken en dergelijke bouwdelen.
NL7800182A (nl) * 1978-01-06 1979-07-10 Ballast Nedam Groep Nv Werkwijze voor het in de grond brengen van een betonnen paal.
GB2028902B (en) * 1978-08-29 1982-08-11 Spence D Hydraulically powered attachment for a tractor
US4555090A (en) * 1983-09-23 1985-11-26 Averhoff Wil W Fence post driving and pull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37475A3 (en) 1990-04-25
EP0337475B1 (en) 1995-02-22
MY103708A (en) 1993-08-28
DE68921231D1 (de) 1995-03-30
CA1336545C (en) 1995-08-08
HK126393A (en) 1993-11-26
EP0337475A2 (en) 1989-10-18
CN1019323B (zh) 1992-12-02
GB2217366B (en) 1992-05-06
CN1037941A (zh) 1989-12-13
KR900016550A (ko) 1990-11-13
AU626088B2 (en) 1992-07-23
CA1339457C (en) 1997-09-16
GB8808988D0 (en) 1988-05-18
NZ228740A (en) 1992-03-26
AU3303889A (en) 1989-10-19
GB2217366A (en) 1989-10-25
DE68921231T2 (de) 1995-07-13
IN175125B (ko) 1995-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2437A (en) Self-aligning devices and methods for lifting and securing structures
US4925345A (en) Building foundation stabilizing and elevating apparatus
KR0160117B1 (ko) 파일박음장치
US5006015A (en) Hydraulic jacking apparatus
US5135335A (en) Hydraulic jacking apparatus
CN114215060A (zh) 引孔式静力压桩机及引孔式静力压桩机的施工方法
US6368023B1 (en) Jack-in piling systems' apparatus and their method of use
US5161625A (en) Pile driving apparatus
CN111005383B (zh) 一种地铁钢管桩校位组件
US6966727B2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installing segmented concrete pilings in new construction
USRE35165E (en) Pile driving apparatus
JP2768729B2 (ja) くい打ち装置
CN215857703U (zh) 一种装配式静压打桩装置
US5249379A (en) Mounting structure for the linear actuators of a trenching apparatus
CN113356231A (zh) 钢桁架式基坑支护结构
US5699878A (en) Conveyor elevating techniques
KR100307914B1 (ko) 수직터널의복공벽성형을위한슬립폼용요오크장치
KR101904288B1 (ko) 이동 가능한 시스템 동바리 장치 및 그 작업방법
CN1036085C (zh) 全液压顶压式压桩机
CN220335899U (zh) 一种复合承载体斜向桩机
CN218970010U (zh) 一种桩基安装用支护结构
CN217629891U (zh) 一种防桩机侧移的装置
CN220813850U (zh) 一种建筑桩的固定辅助装置
CN218493612U (zh) 一种用于uhpc预制块安装的承载钢拱架
CN220352816U (zh) 一种钢筋混凝土锚杆静压桩入位用辅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