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0107B1 - 조각자나무로부터 추출한 생약 성분으로 된 항균제 - Google Patents

조각자나무로부터 추출한 생약 성분으로 된 항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0107B1
KR0160107B1 KR1019950015639A KR19950015639A KR0160107B1 KR 0160107 B1 KR0160107 B1 KR 0160107B1 KR 1019950015639 A KR1019950015639 A KR 1019950015639A KR 19950015639 A KR19950015639 A KR 19950015639A KR 0160107 B1 KR0160107 B1 KR 0160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rbal
bacteria
antibacterial
bacillus subtilis
gleditsch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5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0235A (ko
Inventor
최영태
Original Assignee
최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태 filed Critical 최영태
Priority to KR1019950015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0107B1/ko
Publication of KR970000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235A/ko
Priority to KR1019980020160A priority patent/KR01601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0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01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3Gleditsia (locu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5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e.g. chopping up, cutting or grin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각자나무를 채집, 수집, 선정하고, 기원을 감정한 후 동정하고, 대한 약전 시험법에 따라 상기 생약을 세절하고, 생약 중량 100 g 의 5-9 배인 300-900 g의 증류수를 상기 생약에 주입하고, 상기 탕액이 100 g이 될때까지 3-6 시간 중탕시켜 추출한 조각자나무로부터 추출한 생약성분의 항균 항암제에 관한 것으로서, 수득된 생약성분이 E. coli,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클렙시 엘라뉴모니애,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수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Do4, 살모넬라 파라티파이 A, 시겔라 손네이, 예르시니아 엔테르콜리티카의 10 가지 인체소화기 장관내 세균에 대해 항균력이 있으며, 또한 암세포 Sarcoma 180 Cell 에 항암효과가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각자나무로부터 추출한 생약 성분으로 된 항균제
본 발명은 조각자나무(Gleditschia officinalis)로부터 추출한 생약성분의 항균 항암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주지방에 식생하는 조각자나무로부터 물을 용매로 원액 및 주성분(Gleditschia Saponine 외 8 성분)을 추출하고, 상기 물 추출액(water-extracts)의 인체 소화기 장관내 세균 10 종( E. coli, 스타필로 코커스 아우레우스, 클렙시엘라 뉴모니애,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수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Do4, 살모넬라 파라티파이 A, 시겔라 손네이, 예르시니아 엔테르콜리티카)에 대한 항균 효능을 가지는 조각자나무로부터 추출한 생약성분의 항균제에 관한 것이다.
조각자 나무(Gleditschia officinalis)는 중국 원산의 콩과(Leguminosae)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높이가 15 m 에 달하고 적갈색이며 가시가 굵고 갈라져 있다.
잎은 우수(偶數) 복엽이며 4-7 쌍의 소엽이 있고 소엽신은 달걀모양, 달걀모양의 피침형, 장타원형이고, 엽저는 원형 또는 쐐기형이며 가장자리에는 파상의 둔한 거치(鋸齒)가 있으며 꽃은 잡성이며 정생(頂生) 혹은 액생(腋生)이며 총상화서(總狀花序)를 갖는다. 꽃받침은 종형이고 열편(裂片)은 4 개이며 난상피침형이다.
꽃잎은 4 개이며 담황색에 달걀모양 또는 장타원형이고, 수술은 긴 것이 4 개, 짧은 것이 4 개로 총 8 개이고, 꼬투리는 편평하며 20 cm 로서 쪼개면 매운냄새가 나고 종자는 적갈색이며 편평한 장타원형이고 개화기는 6 월, 결실기는 10 월이다. 조각자나무는 종자번식이 가능하고 재식(栽植) 또한 가능하며 과실은 조협(早莢), 근피(根皮)는 조협근피, 종자는 조협자, 엽은 조협엽, 가시는 조각자, 과실은 저아조(猪牙早)의 처방용 명칭을 사용한다. 조각자 나무는 식물 분류 key를 중심으로 그 기원을 보면 소엽이 둔 거치하며 자침이 원주 대형하고 협과(浹果)가 반전하지 않는 것이다. 주엽나무( G. japonica var koraensis Nakai )는 소엽이 전연하며 자침이 소형이고 협과는 반전하고 있다.
협과가 반전하지 않는 것은 아자비과즐나무( G. japonica for inarmata Nakai )이다. 조각자 나무, 주엽나무, 및 아자비과즐나무는 주엽나무목( Gleditschia Linn.)에 속하며 미주 및 아시아의 열대와 온대에 12 종 분포한다. 조각자나무는 도경본초(圖經本草)에 수치(修治) 및 창선 치료 효능이, 본초강목(本草綱目)에는 치풍열(治風熱), 종독(腫毒), 대장허비(大腸虛憊) 치료 효능이, 의학입문에는 오장풍열을 치료한다고 되어 있다.
문창규( 1985 년, Arch. Pharm, Res, 8(1) 42)는 조각자의 Phytopolysacharides 가 항종양 효능이 있다고 시험 보고 한 바 있으며, 소갑석(1986 년 경희대)은 조각자가 해열, 소염 및 항균작용이 있다고 한 바 있다. 조각자나무는 거담(去痰), 배농(排膿), 소종(消腫), 항균, 해열효과가 있음이 알려져서 이러한 배경에서 항균제로 선정 시험하게 되었다.
조각자 나무의 물추출액으로 항균효능이 검증된 인체 소화기 장관내 세균 10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가) E. coli 균
E. coli 균(-)은 사람 및 척추동물의 소화기 장내 세균으로 운동성이 있는 단간균이다. 1.1 - 1.5 ㎛ x 2.0 - 6.0 ㎛ 크기인 그람 음성균이며 장내 이상 발효를 일으켜 설사를 일으키기도 한다. 포도당과 유당을 발효시켜 산과 가스를 발생 시키며 메틸적 시험은 양성분 변속에서 발견된다. 인체내 감염되거나 병원성을 획득하여 대장염, 방광염을 일으키며 담낭, 방광으로 이행하여 담낭궤양 방광궤양을 일으키기도 한다.
나)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균(Staphylococcus. aureus)
황색의 포도상구균이며 그람 양성균이다. 한천배지에서 백색 황색을 띄며 0.5 - 1.0 ㎛ 직경을 갖는 용혈성 화농균이다. 인체 소화기관내에서 병원성이 가장 강한 장염, 녹농균이다. 세포벽에는 펩티도글리칸 및 타이코닉산이 분포하고 있으며 L-리신의 디아미노산도 함유되어 있다. 10 % 의 NaCl, 18-40℃ 배지에서 잘 자라며 호흡 발효대사의 화학 향(向) 장기성을 가진 균이다.
다) 클렙시엘라 뉴모니애균(Klebsiella pneumoniae)
지름 0.3 - 1.0 ㎛ , 길이 0.6 - 6.0 ㎛ , 막대모양, 비운동성인 균이다. 배지에서 진한 점액모양으로 발육하며 협막이 있는 그람 음성균이다. 인체의 장관, 호흡기, 뇨로에서 분리되고 폐염, 비강염, 부비강염, 장관염, 뇨도염을 일으키는 균이다.
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균(Bacillus subtilis)
장내 간균이며 그람 양성균이다. 호온성이고 당류를 발효시켜 가스를 발생시키며 부패균으로 동물체에 기생하고 병원성을 가진다. 세포벽은 메조-디아미노피멜산이 연관된 병원성분을 가지는 장내 부패 병원균이다.
마) 수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균(Pseudomonas aeruginosa)
단모 또는 군모를 가진 막대모양의 그람 음성균이며 극성 플라젤라를 가진 장내 녹농균이다. 장내 화농소에 침입하여 농을 녹색화하고 소량의 피오시아닌, 피오시아나아제 등의 물질을 생성하는 균이다.
바)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Proteus mirabilis)
지름 0.4 - 0.8 ㎛, 길이 1,0 - 3.0 ㎛ 인 그람 음성균이다. 편모 운동성의 고도다형성 변형균이다. 부폐기괴 변형균이며 프로테우스 속내균은 뇨도염, 방광염, 간농양 병원성을 가진다.
사)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Do4 균(Bacillus subtilis Do4)
바실러스 서브틸리스의 변종균으로 셀룰로오즈, 헤미셀룰로오즈, CMC(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즈), 크실란, 리그닌, 리그노설페이트 등의 분해능이 강한 장내세균이다.
아) 살모넬라 파라티파이 A 균(Salmonella paratyphi A)
포도당을 발효시키고 비운동성을 가진 간균이다. 파라티푸스균이라는 명칭을 가진 그람 음성균이다. 장내 유사 티푸스 병원균이다.
자) 시겔라 손네이 균(Shigella sonnei 2)
막대모양의 그람 음성균이고, 비운동성이며 KCN 에서는 성장하지 않는 균이며, 포도당을 분해하여 산을 생성하지만 H2S 기체는 발생시키지 않는 설사균이다.
차) 예르시니아 엔테르콜리티카균(Yersinia entercolitica)
지름 0.5 - 0.8 ㎛ , 길이 1 - 3 ㎛ 의 그람 음성균이다. 37℃에서는 비운동성을 가지나 30℃ 에서 편모운동을 하는 독소균이다. 가끔 경기지방의 약수터에서 발견되는 설사균으로서 회장염, 결장염, 전신임파선증, 임파성 백혈병, 관절염, 패혈증 등의 독소병을 일으키는 균이다.
상기 세균 10 종에 대한 종래의 공지된 항균제는 다음과 같다.
가) E-coli 균
a) Sulfa 제가 Sulfa 제 Cu 착화합물보다 항균력이 민감하다고 보고한 바 있다(이왕규, 1965 년 역학희지 Kor. J. Pharm. Vol. 9. No. 1).
b) Amino benzene sulfony-4, 4'-디아미노디페닐 설폰이 1 × 103/ 16 mcg/ml 에 항균력이 있음을 확인한 바 있다( 이상록, 1977 년 약학 연구지 Vol. 11.No. 1 부산대 약대).
c) Astromycin 3.13 ㎍/ml , Tobramycin 0.78 ㎍/ml , Gentamycin 1.56 ㎍/ml 가 E. coli 균에 대한 최저 저지농도(MIC)였음을 확인한 바 있다(육창수, 1989 년 Bull. K. H. Univ. No. 18 pp. 591-638 경희대 약대).
d) Gleditschia sinensis 의 추출액이 E. coli 균에 항균력이 있음을 지적한 바 있다( Hata Kiyosi, 1947 년 Pharm. Bot. Drug Vol. 3(No. 3, 4) p. 127-128 Kyoto Univ).
e) Chloramphenicol 1-128 ㎍/ml , Moxalactam 0.12-128 ㎍/ml , Tetracycline 0.5-128 ㎍/ml , Co-trimoxazole 1-128 ㎍/ml 가 E. coli 에 대해 항균 감수성이 있음을 지적한 바 있다( 석종성, 1985 년 J. Kor. Medical Assoc. Vol. 28. No. 1 서울대 의대).
f) 1-Isonicotinyl-4-Cyclohexyl-3-thiosemicarba Ziba 가 E. coli 균에 살균력이 있음을 확인한 바 있다( 조윤성, 1970 년 J. Pharm. Soc. Kor. No. 14, p. 1-14 서울대 약대).
상기 중에서 b) f) 등은 다소의 항균력이 인정되나 항균제 생합성의 난점이 있으며, c) e) 등은 항균 감수성이 인지되나 수년에서 수십년간 임상항균제로 쓰이면서 E. coli 의 항생제 면역이 제고될 가능성이 크다. a) 의 경우는 기본적인 감수성이 검증되고 있을 뿐이며 d) 의 경우는 생장기원이 다른 Gleditschia sinesis 조각자 일부 부위 추출액의 항균력을 입증한 것에 불과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균
a) 조각자의 자, 경, 수피 추출액이 Staph. aur. 균에 대해 50 mg/ml 에서 발육 저지력이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소갑석, 1986 년 Bull. K. H. Univ. 경희대).
b) Saponine 이 Staph. aur. 균 등에 대한 항염증 작용이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Sakachi Yamahara 등, 1975 년 Vol. 95. No. 10, p. 1179-1182, 교토대 약대 ).
c) BP. 30 120-140℃에서 추출한 미삼(尾蔘) Tar 및 白蔘 Tar ether 추출물이 Staph. aur. 균에 항균력이 있음을 지적한 바 있다( 유중열, 1986 년 B. K. H. Pharm. Sci. Vol. 14, p. 89-92, 경희대 약대).
d) Astromycin 12.5 ㎍/ml , Tobamycin 50 μg/ml of Staph. aur. 균에 대한 최소저지농도(MIC)임을 시험 보고 한 바 있다( 육창수 등, 1989 년 Bull. K. H. Univ. No. 18 p. 591-638 경희대 약대).
e) 해조류의 Acrylic Acid 0.039-2.5 mg/ml 가 Staph. aur. 균에 대해 최소저지력(MIC)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한 바 있다( J. M. Sieburth, 1961년 J. Bact , No. 82, p. 72-79 Virginia Polytechnic Inst .).
f) 조각자(Gledit. sines.)가 Staph. aur. 균에 대한 항균력이 있음을 시험한 바 있다( Hata Kiyosi, 1947 년 Pharm. Bot. Drug Vol. 3 p. 127-128 Kyoto Univ.).
g) Chloramphenicol 0.12-128 ㎍/ml , Moxalactam 1-128 ㎍/ml, Penicillin G 0.12-128 ㎍/ml, Tetracycline 0.25-128 ㎍/ml 가 Staph. aur. 균에 대한 최소 항균 저지력(MIC)이 있음을 시험한 바 있다(석종성, 1985 년 J. Kor. Medical Assoc. Vol 18, No. 1 서울대 의대).
h) 황련해독탕 7.1-37.5 mg/ml 이 Staph. aur. 균에 항균력이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흥남득, 1982 년 Kor. J. Pharmcog. Vol. 13, No. 1, p. 26-32, 경희대 약대).
b) c)의 경우 사포닌 및 인삼 타르의 항균력 최소저지농도(MIC)를 규명하였으며 d) g) 는 아스트로마이신 등 항생물질의 MIC 를 시험한 바 있다. e)의 경우는 해조류의 아크릴산이 항균력이 있음을 시험한 경우이며, h)은 황련해독탕의 7.1 mg/ml 의 농도가 HIC 임을 확인한 경우이다. 반면에, a) f) 은 조각자를 재료로 하여 항균 반응을 시험하였고 특히 a) 는 조각자 3 개 부위에서 추출한 추출액 50 mg/ml 이 최소 발육 저지력이 있음을 확인한 경우이다.
다) 클렙시엘라 뉴모니애균
a) 백삼 타르의 에테르 추출물이 Kleb. pneum. 균에 항균력이 있음을 확인한 바 있다(유중렬, 1986 년 Bull. K. H. Pharm. Sci. Vol 14 p. 89-92 경희대 약대).
b) Sulfa 제가 Kleb. pneum. 균에 감수성이 있음을 시험한 바 있다( 이왕규, 1965 년 J. Kor. Pharm. Vol 9,. No. 1).
c) Astromycin 6-25 ㎍/ml , Tobamycin 200 ㎍/ml , Gentamycin 50 ㎍/ml 및 Imipenem 6-25 ㎍/ml 가 Kleb. pneum. 균에 최소항균저지력(MIC)이 있음을 확인 시험한 바 있다( 육창수, 1989 년 Bull. K. H. Univ. No. 18, p.591-638 경희대 약대).
d) 해조류의 아크릴산이 항균력이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J. M. Sieburth, 1961 년 J. Bact, No. 82 , p. 72-79 Virginia Polytech. Inst .).
e) Chloramphenicol 0.5-128 ㎍/ml , Moxalactam 0.12-16 ㎍/ml, Tetracycline 0.5-128 ㎍/ml, Co-trimoxazole 1-128 ㎍/ml 농도에서 Kleb. pneum. 균에 대한 최소 저지 효능이 있음을 시험한 바 있다(석종성, 1985 년 J. Kor. Medical Ass. Vol 28, No. 1 서울대 의대).
상기에서 a) d) 는 백삼 타르 에테르 추출물 및 해조류의 아크릴산 7.5 mg/ml가 최소항균저지력을 나타냄을 확인한 경우이다. b) c) e)는 Sulfa 제 및 Astromycin 등의 Kleb. pnum. 에 대한 최소 저지농도를 규명한 경우이다.
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균
a) bp 30, 140-160℃ 에서 제조된 미삼 타르 추출액이 Bacillus subtilis 균에 대한 항균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유중렬, 1986 년 Bull. K. H.Univ. Pharm. Sci. Vol. 14, p. 89-92 경희대 약대).
b) Aminobenzensulfonyl-4,4-diaminodipenylsulfon 1 × 103/32 mcg/ml 가 B. subtilis 균에 항균력이 있음을 시험반 바 있다( 이상록, 1977 년 Bull. Pharm. Vol. 11, No. 1 부산대 약대).
c) 2 . (5. 니트로)푸릴아크릴 글리신이 B. subtilis 균에 항균력이 있음을 분석했다(고기현, 1966 년 J. Pharm. Soc. Kor. No. 10, p. 15-19 서울대 약대 ).
상기 중, c) 는 2-(5-니트로)푸릴아크릴 글리신의 항균 저지력을 분석한 것이며 b) 는 아미노벤젠 설포닐-4,4'-디아미노디페닐 설폰이 1 × 103/32mcg/ml 에 항균력이 있음을 증명한 것이다. a) 의 경우 미삼의 타르 추출액이 B. subtilis 균에 대한 항균력이 있음을 검증한 것이다.
마) 수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균
a) 조각자의 자, 경, 수피의 추출물 25 mg/ml 가 Pseud. aer. 균에 의한 항균력이 있음을 확인한 바 있다( 소갑석, 1986 년 Bull. K. H. Univ. 경희대).
b) Sulfa 제가 Pseud. aer. 균에 감수성이 있음을 확인한 바 있다(이왕규, 1965 년 J. Kor. Pharm. Vol. 9 , No. 1).
c) Aztreonam 12.5 ㎍/ml , Gentamycin 200 ㎍/ml , Amicacin 200 ㎍/ml, Tobramycin 100 ㎍/ml 이 Pseudo aer. 균에 대해 최소 저지력(MIC)이 있다고 보고한 바 있다( 육창수, 1989 년 Bull. K. H. Univ. Pharm. Vol. 18, p.591-638).
또한, 회화나무(Sophora japonica)의 추출액 0.125 mg/ml 이 Pseud. aer. 균에 항균력이 있븜을 확인 시험한 바 있다(상기인, 1989 년 Bull. K. H. Univ. Pharm. Vol. 17, p. 75-87 ).
d) Moxalactam 1-256 ㎍/ml, Gentamycin 0.12 - 256 ㎍/ml, Tobramycin 0.12 - 256 ㎍/ml 가 Pseud. aer. 균에 최소저지력(MIC)을 나타냈다고 보고한 바 있다(석종성, 1985 년 J. Kor. Medical Ass. Vol. 28, No. 1).
상기중에서 b) 가 Sulfa 제를, c) d) 가 Aztreonam , Moxalactam 등의 항생제 MIC 를 분석한 것에 비해서 a)는 조각자의 자, 경, 수피 등 3 부위 추출물 25 mg/ml 가 Pseud. aer. 균에 최소저지력치가 됨을 분석한 것이다.
바)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균
a) Sulfa 제가 Proteus vulg. 균에 대한 항균력이 있음을 시험보고 한 바 있다( 이왕규, 1965 년 J. Kor. Pherm. Vol. No. 1).
b) 해조류의 아크릴산 10.0 ㎎/ml 는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균에 대한 최소 저지력치(MIC)를 가지고 있다( J. M. Sieburth, 1961 년 J. Bact. No. 82, p. 72 - 79 Virginia Poytech Inst.).
c) 클로람페니콜 4 -128 ㎍/ml, Moxalactam 0.12 ㎍/ml, 테트라사이클린 64 - 128 ㎍/ml, Co-트리목사졸 1 - 128 ㎍/ml 가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균에 최소저지력치(MIC)를 가지고 있음을 시험한 바 있다(석종성, 1985 년 J. Kor. Medical Ass. Vol. 28, No. 1 ).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조각자의 경, 엽, 과, 인, 자 및 전초의 6 개 부위로부터 증류수 추출한 2,000 배 회석액의
가) E-coli 균에 대한 항균 저지력(저지 직경)은 3.4 mm
나)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균에 대한 항균 저지력은 2.5 mm
다) 클렙시엘라 뉴모니애균에 대한 항균 저지력은 1.3 mm
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균에 대한 항균 저지력은 2.3 mm
마) 수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균에 대한 항균 저지력은 3.4 mm
바)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균에 대한 항균 저지력은 1.2 mm
사)바실러스 서브틸리스 Do4 균에 대한 항균 저지력은 3.4 mm
아) 살모넬라 파라티파이 A 균에 대한 항균 저지력은 0.3 mm
자) 시겔라 손네이 2 균에 대한 항균 저지력은 1.1 mm
차) 예르시니아 엔테르콜리티카 ATCC 27729 균에 대한 항균 저지력은 3.4 mm 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각자 희석액은 항균력의 범위가 커서 상기 인체 소화기 장관내 세균 10 종에 대하여 모두 항균력이 있을 뿐 아니라 종래의 공지된 항균제보다 탁월한 항균력이 있다.
한편, 이러한 종래 공지된 항균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항균제는 개발 치료기관의 시간 지체 때문에 유해세균의 면역력을 증가시켰고, 합성비용은 과다하지만 치료효능은 낮았으며, 항균제가 인체 세포 성분의 일반성분이 아닌 특수 단백질 화합물이므로 쇼크사 등의 부작용이 많았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잇점이 있다.
본 출원인의 항균제 조각자(Gled. offic.)는 한국 경주산이며 2,200 배 희석액에서 상기 각균에 대한 항균력이 높았으며 종자의 번식, 관리 채취, 추출 보관, 제약 및 상품화등이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경주군 안강읍 옥산리 지역 일원에서 채집, 수집, 선정한 조각자 나무의 기원을 감정한 후 동정하고, 통상적으로 대한 약전 시험법에 따라 생약을 세절하고 증류수를 주입한 후 중탕하여 검액을 얻는다. 이렇게 조각자나무로부터 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한 물-추출물 성분에는 글레디트시아-사포닌, 세릴 알코올, 노나코산, 스티그마스테롤, 시토스테롤, 피세틴, 글레디트신, 푸스틴, 트리아칸틴의 9 가지 성분이 있다.
이 중,
가)Gleditschia-saponine 은 항균, 배농, 소염, 거담의 효능이 있고,
나)G. sapogenin 은 G. saponine 의 분해에 의해 생기는 비당질로 트리텔페노이드와 스테로이드, 성분으로 대별되며, Gleditschia-saponine 와 동류의 효능을 갖는다.
다) Gledigenin 및 라) Gledinin 는 G. sapogenin 의 효능을 갖는다.
마) 올레놀산(카리요필린)은 트리텔페노이드와 동류의 효능을 갖는다.
바) 에치노시스트산은 정상세포의 호흡증진 효능을 갖는다.
사) 프로사포제닌은 사포제닌의 전구 당 배당체로 G. sapogenin 의 효능을 갖는다.
아) 펜토오스는 알도당과 케토당으로 되어 있으며
자) 아라비노오스는 알도펜토오스의 일종이다. 에치노시스트산의 조기능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추출 성분을 규명하는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가) MeOH 에 의한 Gleditschia-saponine 추출법
Ando 등의 수초화 n-부탄올 분획법에 의했다. 조각자를 50 g 평량하여 환류 응축기가 부착된 둥근 플라스크(2중 추출장치 : EYELA Evaporator Aspirator A-3s : Tokyo Rikakikai co. )에 넣고, 50 % 의 뜨거운 메탄을 500 ml 를 가해 75 - 100 ℃의 수욕상에서 8.5 시간씩 3 회 가열추출여과한다.
65℃ 수욕상에서 강압시켜 용매를 증류 제거시키고 다시 물로 현탁한다. 이를 다시 3 회 추출한 다음 유기용매를 제거하고 수층을 취한다. 다시 n-부탄올로 2회 분획하여 n-부탄올층을 얻은 다음 75-85℃ 수욕상에서 감압 농축하여 조사포닌을 얻는다. 이를 다시 메탄올에 용해시켜 63℃에서 가열, 감압, 여과한다.
다시 63℃ 수욕상에서 감압 농축하여 Gleditschia-saponine 을 추출한다.
나) 증류수에 의한 Gleditschia-saponine 추출법
조각자를 부위별로 각 50 g 씩 평량하여 등근 플라스크 2 중 추출장치(상기 가)에 넣고 증류수 50 ml 를 더해 4.5 시간 가열 추출하여 감압 여과한다. 이 추출물을 다시 증류수로 현탁한 다음 상기 가) 의 방법으로 Gleditschia-saponine 을 추출한다.
다) Gleditschia-saponine, Gledigenin, Gledinin, Oleanolic Acid, Echinocystic Acid, Prosapogenin, Pentose, Arabinose 의 추출은 U 0. Lee ( 1965, 1975, 1976, 1978, 1979 년), Do I (1935 년), Kitajawa(1953 년), Matsushima(1928 년), Nakami(1909 년), Takao(1980, 1981, 1982 년), W. C. Cutting(1971년) 법에 의했다.
본 발명의 상품화 방안은 하기와 같다.
6g의 조각자 추출액 1,000 ± 180 저농도 회석액을 51 g / ㎏ dose 기준(1.0- 1.4 g)의 가) 캡슐제 나) 주사제 다) 산제(조협 0.9 - 1.4)
g) 라) 환제 마)도포제를 상품화한다.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로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의 범위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조각자 나무를 경주군 만강읍 옥산리 지역 일원에서 채집, 수집, 선정한 후 기원을 감정하고 동청하였다.
대한 약전 시험법에 따라 통상의 생약 세절기로 생약을 5 mm 로 세절하고, 생약 중량 100 g 당 300 - 900 g 범위의 증류수를 주입한 후 100 g 이 될때까지 대략 3-6 시간 중탕기로 중탕하여 100 g 의 검액을 수득했다. 이때 중탕기구는 환류 냉각기가 부착된 플라스크 형 중탕기(2중 추출장치 : EYELA. Evaporator A-3S : TOKYO Rikaikikai co., Ltd.)를 사용하였고 중탕시간은 5 시간이었다. 상기 검액을 증류수로 2,200 배 희석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 에서 얻은 생약 검액을 하기의 방법에 따라 항균력 시험을 했다.
국립보건원으로부터 상기 기술한 세균 균주 10 종을 분양받았다.
A. 세균 배양
하기의 조성을 가진 브로쓰(broth)를 제조했다.
·펩톤 17.5 g
· 비프-추출물 2.0 g
·용해된 스타치 1.5 g
·증류수로 100 ml 을 맞춤
상기 조성의 브로쓰의 pH 를 7.4 로 맞춘 후 121℃ 에서 15 분간 고압멸균했다. 멸균된 브로쓰에 국립보건원에서 분양받은 10 종의 균주를 각각 접균하여 37℃ 에서 18 시간 동안 배양했다. 이때 배양기(Incubator)는 모델명 VS-120393(Vision Scientific Co., Ltd.)를 사용하였다. 이렇게 배양된 것을 시험균액으로 하였다.
B. 시험용 평판배지의 제조
뮤엘러 힌톤 아가(Mueller Hinton Agar (G.C :H60623) pH 7.4, 대한녹십자사제, 직경 8.5 cm 페트리디쉬) 평판배지를 121℃에서 15 분간 멸균한 후 준비했다.
C. 생약 검액 페이퍼 디스크의 제조
토요(Toyo) 여과지 No. 51 을 직경 10 mm 로 하여 121℃에서 15 분간 고압멸균한 후 건조시켜 페이퍼디스크를 제조했다. 이 디스크에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희석된 생약검액을 흡수시킨 10 개의 디스크를 준비했다.
D. 디스크 희석법에 의한 항균력 시험.
평판배지에 시험균액 0.1 ml 씩을 도말 제습했다. 실시예 2.C 에서 제조된 디스크를 평판배기에 1 매씩 수평위치로 부착시켰다. 이를 37 ± 1 ℃ 에서 배양기내에서 24-48 시간 배양한 후 디스크 주변의 항균력가를 측정하였다.
항균력가는 저지직경의 수치로 산정하였고 항균저지직경은 마이크로미터 1/1000 mm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 에 나타냈다.
표 1 의 결과로부터 조각자나무로부터 추출한 생약물질이 E. coli 를 비롯한 10개의 균에 항균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3)

  1. 조각자나무(Gleditschia officinalis)를 채집, 수집, 선정하고, 기원을 감정한 후 동정하고, 대한약전 시험법에 따라 수집한 조각자인 생약을 세절하고, 생약 중량 100 g 의 3-9 배인 300-900 g 의 증류수를 상기 생약에 주입하고, 상기 탕액이 100 g이 될때까지 3-6 시간 중탕시켜 얻어지는, 조각자나무로부터 추출한 생약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
  2. 제1항에 있어서, 수득된 생약성분이 인체소화기 장관내 세균에 대한 항균력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소화기 장관내 세균이 E. coli,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 클렙시엘라 뉴모니애(Klebsiella pneumoniae),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수도모나스 아에루기노카(Pseudomonas aeruginosa),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Proteus mirabili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Do4(Bacillus subtilis Do4), 살모넬라 파라티파이 A(Salmonella paratyphi A), 시겔라 손네이(Shigella sonnei 2), 예르시니아 엔테르콜리티카(Yersinia entercolitic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
KR1019950015639A 1995-06-14 1995-06-14 조각자나무로부터 추출한 생약 성분으로 된 항균제 KR0160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5639A KR0160107B1 (ko) 1995-06-14 1995-06-14 조각자나무로부터 추출한 생약 성분으로 된 항균제
KR1019980020160A KR0160108B1 (ko) 1995-06-14 1998-05-23 조각자나무로부터 추출한 생약 성분으로 된 항암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5639A KR0160107B1 (ko) 1995-06-14 1995-06-14 조각자나무로부터 추출한 생약 성분으로 된 항균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0160A Division KR0160108B1 (ko) 1995-06-14 1998-05-23 조각자나무로부터 추출한 생약 성분으로 된 항암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235A KR970000235A (ko) 1997-01-21
KR0160107B1 true KR0160107B1 (ko) 1998-12-01

Family

ID=1941703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5639A KR0160107B1 (ko) 1995-06-14 1995-06-14 조각자나무로부터 추출한 생약 성분으로 된 항균제
KR1019980020160A KR0160108B1 (ko) 1995-06-14 1998-05-23 조각자나무로부터 추출한 생약 성분으로 된 항암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0160A KR0160108B1 (ko) 1995-06-14 1998-05-23 조각자나무로부터 추출한 생약 성분으로 된 항암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01601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3528A (ko) * 2016-03-04 2017-09-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조협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615B1 (ko) * 2005-06-01 2007-01-17 김태숙 항암기능성계란 제조방법과 계란
KR20060125075A (ko) * 2005-06-01 2006-12-06 비엘시바이오테크(주) 모자반과 주엽나무를 이용한 항암제와 그 제조방법 및항암기능을 갖는 건강기능식품과 기능성식품 및 그제조방법
KR101008922B1 (ko) * 2008-04-04 2011-01-17 로드바이오(주) 조각자 가시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조성물
KR101085954B1 (ko) * 2008-07-04 2011-11-22 주식회사 로드 조각자 가시 추출물을 포함하는 이상증식 혈관 질환의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092279A (ko) * 2011-02-11 2012-08-21 주식회사한국전통의학연구소 조각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암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KR20120109141A (ko) * 2011-03-28 2012-10-08 주식회사한국전통의학연구소 조각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암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WO2014077433A1 (ko) * 2012-11-16 2014-05-22 주식회사 한국전통의학연구소 조각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암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KR102280899B1 (ko) * 2019-12-11 2021-07-23 방성화 꿀벌용 석고병치료제 및 조청먹이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3528A (ko) * 2016-03-04 2017-09-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조협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60108B1 (ko) 1999-10-01
KR970000235A (ko) 1997-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yo et al. Cytotoxicity and antimicrobial studies of 1, 6, 8-trihydroxy-3-methyl-anthraquinone (emodin) isolated from the leaves of Cassia nigricans Vahl
Uddin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s of Hibiscus rosa-sinensis leaves and flowers against clinical isolates of bacteria
KR0160107B1 (ko) 조각자나무로부터 추출한 생약 성분으로 된 항균제
Temitope et al. Comparative study of antibacterial and phytochemical properties of nigerian medicinal plants on salmonella bongori and salmonella enteritidis isolated from poultry feaces in owo local government. Ondo State, Nigeria
Djarot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tests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phytochemical screening in family asteraceae, clusiaceae, phyllanthaceae
Arung et al. Selected medicinal plants in East and North Kalimantan (Indonesia)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
Reddy Antimicrobial activity of Datura stramonium L. and Tylophora indica (Burm. f.) Merr
Anibijuwon et al. Comparativ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ome plant extracts and commercial antibiotics against some selected pathogens of food origin
Salido et al. Composition of secondary metabolites in Mexican plant extracts and their antiproliferative activity towards cancer cell lines
Parnomo et al. Test the Effectiveness of Aloe Vera Extract on the Growth of Escherichia coli in vitro
Pohan et al. Antibacterial Effectiveness of Extracts of Lime (Citrus aurantifolia Swingle) And Kaffir Lime (Citrus hystrix Dc) Leaves Against Escherichia coli
KR20190086096A (ko) 인지기능 개선용 한약재 조성물
Ewhea et al. Anti-microbial and anthelminthic activities of Spilanthes filicaulis (Schum. & Thonn.) CD Adams
Ogbonna et al. Antibacterial Properties of Young and Mature Mango Leaves (Mangifera indica) Extract on Some Clinical Isolates
Temitope et al. Antibacterial and phytochemical properties of five African medicinal plants used as chewing sticks south-western part of Nigeria
Emmanuel et al. Phytochemical screening,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essential oils and ethanol extract of Psidium guajava Leaf
Eze et al. Antibacterial, phytochemic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the leaf and root bark extract of Baphia nitida on bacteria associated with wound and enteric infections
Kuta et al. Antibacterial activities of Vitelleria paradoxa on some enteric bacteria
Erva et al. Preliminary phytochemical analysis and extraction of crude drugs from medicinal plants and their antimicrobial activity
Ramamurthy et al. Assessing the cytotoxic effect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Moringa oleifera aqueous and ethanolic extract against oral pathogens extracted from periodontal and orthodontic patients
Ogueke et al. The effects of ethanolic and boiling water extracts of rootbarks and leaves of Uvaria chamae on some hospital isolates
Uche et al. The pharmacognostic and antimicrobial study of methanolic extract of Dialium guineense leaf against organisms isolated from wound infection
Sufi et al. Antibacterial effect of Acacia nilotica and Acacia senegalensis fruit extracts on Escherichia coli and Salmonella typhi
Vasmatkar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and GC-MS analysis of methanolic extract from stem bark and leaves of Mitragyna parvifolia (Roxb.) Korth
Odewade et al. INHIBITORY EFFECTS OF POD EXTRACT OF ACACIA NILOTICA AGAINST SOME PATHOGENIC BACTER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