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7271B1 -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생리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리대 - Google Patents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생리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7271B1
KR101867271B1 KR1020160066149A KR20160066149A KR101867271B1 KR 101867271 B1 KR101867271 B1 KR 101867271B1 KR 1020160066149 A KR1020160066149 A KR 1020160066149A KR 20160066149 A KR20160066149 A KR 20160066149A KR 101867271 B1 KR101867271 B1 KR 101867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nutmeg
enzyme
rhubarb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4998A (ko
Inventor
이태후
박설웅
양정은
황은선
박상용
김슬아
손흥민
Original Assignee
(주)에스디생명공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디생명공학 filed Critical (주)에스디생명공학
Priority to KR1020160066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271B1/ko
Publication of KR20170134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4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4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61K36/708Rheum (rhubar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38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0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plant or anim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6Deodorants or malodour counteractants, e.g. to inhibit the formation of ammoni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52Water-repel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04Biocides, antimicrobial agents, antiseptic ag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생리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리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생리대 조성물은 질 내 유해세균들에 대해 폭넓은 항균 및 항진균 스펙트럼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를 통해 유해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질염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생리대에 유용하게 활용 가능하다.

Description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생리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리대{COMPOSITION COMPRISING OF PLANT EXTRACT FOR HYGIENIC BAND HAVING ANTIMICROBIAL ACTIVITY AND HYGIENIC BAN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생리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리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육두구, 대황, 및 오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생리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리대에 관한 것이다.
생물체의 항상성(homeostasis)을 유지하기 위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물질들 중 일부가 각종 생물체 유래의 생리 활성 물질이다. 지금까지 수많은 생리 활성 물질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 미생물, 식물, 또는 동물체 등에서 분리된 항균물질에 대한 연구는 생명과학 및 의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영역이다.
모든 생명체는 생존을 위하여 항균 및 항진균 물질을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항균 및 항진균 물질을 생산하는 미생물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항균 및 항진균 물질을 생산하는 미생물 또는 이들에게서 분리된 물질을 이용해 항균제 또는 항진균제를 개발하려는 연구들이 오래전부터 시도되고 있다.
항균물질은 미생물을 죽이면서 인체 또는 동물에게는 독성이 낮고 체내의 효소 등에 의해 비활성화되지 않는 선택적 독성작용(selective toxicity)을 갖는 물질로서, 이는 주로 DNA의 복제, 유전정보의 전사 및 해독, 전자에너지의 수송, 세포벽의 생합성 등을 저해함으로써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기전을 통해 효과를 나타낸다.
현재까지 개발된 주된 항균물질들은 미생물, 식물 등 천연에서 유래한 것과 화학적으로 합성된 것으로 나뉠 수 있는데, 천연 유래 또는 화학적으로 합성된 많은 항균물질이 유해균에 의해 유발된 질병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화학적으로 합성된 항균물질에 대한 내성 증가로 인해 천연에서 유래한 항균물질을 이용한 항균제 개발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고, 최근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여성용 질염의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가 있는 천연유래 물질을 탐색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생리대 조성물과 관련된 기술(특허출원 제10-2006-0012029호)과 한방에서 사용되던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생리대 조성물과 관련된 기술(특허출원 제10-2005-0074562호, 특허출원 제10-2010-0066270호)들이 개발된바 있으나, 이들 선행기술들은 질염의 원인균인 협기성 세균, 호기성 세균 및 진균류에 대한 항균 활성이 없거나, 그 활성이 낮아, 생리대 조성물에 활용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한편, 육두구는 육두구 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인 육두구나무(Myristica fragrans)의 익은 열매를 말린 것으로, 인도네시아 몰루카제도 원산으로 원어로는 'pala', 영어로는 'nutmeg'라 하며 사향 향기가 나는 호두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상기 육두구는 미리스티신(myristicin), 피넨(pinene), 캄펜(camphene)과 같은 미리스틴(Myristin, 지방질) 정유를 포함하고, 방향성 건위제나 강장제, 또는 서양에서는 향미료로 사용되고 있다.
대황(rhubarb, Rhabarbarum L.)은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한방에서는 기원전부터 소염성의 하제로 사용되었으며, 주성분은 안트라키논 유도체와 그 배당체 및 타닌 등 이다. 소량을 섭취하면 건위작용을 나타내고, 다량의 경우는 완하제로 상습 변비나 소화불량에 좋으며, 민간약으로는 화상에 사용되기도 하였다. 대황은 약용할 때 달여서 복용하는데, 생으로 쓰면 효력이 강하고, 익은 것을 쓰면 효력이 완만한 것으로 알려졌다.
오매는 장미과의 매실나무(Prunus mume Sieb. et Zucc.)의 덜 익은 열매를 매연으로 훈증시킨 약재로 한국, 중국, 및 일본에서 주로 사용되어 왔다. 열매는 구형에 가깝거나 납작한 구형이며, 과핵은 매우 딱딱하고 타원형이며 황갈색이고 겉면에는 오목한 점이 많고, 씨는 납작한 달걀모양이고 연한 노란색이고, 특유의 냄새가 있고 맛은 시다. 오매는 폐기를 수렴시켜 기침과 해수를 멎게 하고, 설사를 그치게 하며, 진액 부족으로 인한 갈증에 사용되었고, 회충으로 인한 구토와 복통을 낳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소화불량과 식용부진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매의 약리작용으로 면역 증강작용, 항균 작용, 자궁경부암 억제작용 등이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육두구, 대황, 및 오매의 단일 추출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질염의 치료 및 예방에 유효한 효과를 얻기 힘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로 인해, 인체에 무해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원료를 쉽게 구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상기 육두구, 대황, 및 오매의 천연 추출물을 이용하여 질염을 유발하는 유해세균을 억제하는 용도로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질염의 원인이 되는 유해 세균들과 진균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천연 약물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육두구, 대황, 및 오매 추출물을 이용하는 경우, 질염의 원인균인 세균 및 진균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생리대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질염의 원인균인 유해 세균과 진균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생리대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생리대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질염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가 있는 생리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육두구, 대황, 및 오매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질염 치료 및 예방용 생리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질염의 원인균인 세균 및 칸디다균과 같은 진균들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찾고자 여러 가지 천연물질들 중에서 유효한 물질을 검색한 결과, 육두구, 대황, 및 오매의 혼합 추출물을 질염의 원인균인 세균 및 칸디다균의 생장 억제에 사용한 결과, 그 효과가 획기적으로 증가함을 발견하였고, 또한 피부에 적용시 안전성에도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도 1 및 도 2 참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식물의 추출 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육두구, 대황, 및 오매 추출물은, 육두구, 대황, 및 오매의 천연, 잡종 또는 변종 식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식물 조직 배양물에서도 추출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당가수분해 효소 처리된 육두구 추출물, 당가수분해 효소 처리된 대황 추출물, 및 당가수분해 효소 처리된 오매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질염 치료 및 예방용 생리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육두구, 대황, 및 오매 추출물들의 질염의 원인균인 세균 및 칸디다균의 생장 억제효과를 증대시키도록 노력한 결과, 상기 육두구, 대황, 및 오매를 당가수분해 효소로 처리하면, 각각의 식물들의 항균 및 항진균 효과가 획기적으로 증가함을 발견하였고, 또한 피부에 적용시 안전성에도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도 2 참조).
본 발명의 용어 "당가수분해 효소(glycolytic enzyme)"는 해당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를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넓은 의미에서 셀룰로오스, 아밀로오스, 탄닌, 펙틴 등의 올리고당을 분해하는 효소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생리대 조성물에서, 상기 당가수분해 효소는 셀룰라아제(cellulase), 펙티나아제(pectinase), 글루코시다아제(glucosidase), 및 탄나아제(tannas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효소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육두구, 대황, 및 오매 추출물에 존재하는 올리고당 형태의 고분자를 분해하는 활성을 갖는 효소이면 본 발명의 당가수분해 효소에 포함된다. 상기 효소들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이들 효소들을 복합 처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당가수분해 효소 처리된 육두구, 대황, 및 오매 추출물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상기 예시된 효소 이외에도 해당 반응을 촉매하는 당가수분해 효소로 처리된 육두구, 대황, 및 오매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며, 이들 추출물들은 질염의 원인균인 세균 및 칸디다균의 생장 억제를 통해 생리대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효소 처리된 육두구, 대황, 및 오매 추출물은 효소 처리되지 않은 육두구, 대황, 및 오매 추출물과 대비하여 질염의 원인균인 세균 및 칸디다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현저하게 증가하므로, 효소 처리된 각각의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질염의 원인균인 세균 및 칸디다균의 생장 억제에 충분한 효과를 발휘하고,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더욱 증가된 시너지 효과를 갖는다(도 2 참조).
이 때, 상기 효소 처리된 육두구, 대황, 및 오매의 혼합 추출물은 육두구, 대황, 및 오매를 각각 추출한 후 효소 처리하여 생성된 단일 효소처리 추출물을 조합한 혼합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육두구, 대황, 및 오매를 2 이상 조합한 혼합물을 일괄 추출하여 생성된 혼합 추출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육두구, 대황, 및 오매의 추출물을 조합하여 함유한 생리대 조성물은 질염의 원인균인 세균 및 칸디다균에 대해 각 효소 처리된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보다 상승적인 항균활성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효소 처리되지 않은 육두구, 대황, 및 오매의 혼합 추출물과, 효소 처리된 육두구, 대황 및 오매의 혼합 추출물은 단독 추출물들에 비해 저지대(Inhibition Zone)의 크기가 확장되었을 뿐 아니라, 질염의 원인균들에 대한 최소 저해 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도 획기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측정되어 상승 효과(synergistic effect)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항균활성에 대해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 추출물을 조합하여 사용하면 적은 양으로도 질염의 원인균을 억제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생리대 조성물에서, 상기 육두구, 대황, 및 오매 성분의 혼합은 상기 육두구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대황 300 내지 400 중량부, 및 상기 오매 100 내지 20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추출할 수 있고, 또한, 육두구, 대황, 및 오매에 대한 각각의 추출물을 상기 비율대로 혼합한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혼합하여 생리대 조성물로 사용할 때 질염의 원인균인 세균 및 칸디다균의 생장 억제에 가장 효과적이며, 상기 혼합 추출물을 생리대에 적용하는 경우, 적은 양으로도 질염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생리대 조성물에서, 상기 육두구, 대황, 및 오매의 혼합 추출물과 상기 당가수분해 효소 처리된 육두구, 대황, 및 오매 추출물 또는 그 혼합 추출물들은 질 내에 서식하는 다양한 진균류에 대해 항진균 활성이 있고, 특히, 질염 유발에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칸디다 속 진균에 대해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에 대해 항진균 활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육두구, 대황, 및 오매의 혼합 추출물과 상기 당가수분해 효소 처리된 육두구, 대황, 및 오매 추출물 또는 그 혼합 추출물은 질염을 유발하는 다양한 유해균에 대해 항균 활성이 있다. 본 발명의 생리대 조성물은 그람 양성균, 그람 음성균 및 항생제 내성 균주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갖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에스체리치아(Escherichia) 속 균주, 슈도모나스(Pseudomonas) 속 균주, 및 스타필로코커스(Staphylococcus) 속 균주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갖고, 보다 구체적으로 질의 입구에서 염증을 유발하는 호기성 세균인 에스체리치아 콜라이(Escherichia coli)와, 질의 내부에서 염증을 유발하는 혐기성 세균인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 및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등의 세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나타낸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생리대 조성물은 질염의 주요 원인균인 아토포비움 바지니(Atopobium vaginae)와 가드넬라 바지날리스(Gardenella vaginalis) 균 등의 혐기성 세균에도 항균 활성을 보인다.
본 발명의 생리대 조성물은 상기 육두구, 대황, 및 오매 성분의 혼합 추출물과 상기 당가수분해 효소 처리된 육두구, 대황, 오매 성분의 단일 또는 혼합 추출물 이외에 항균 및 탈취 효능이 있어, 여성용 생리대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천연 식물성 성분들을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항균 활성을 갖는 천연 식물성 성분들의 예로는 사자발쑥, 싸주아리쑥, 인삼, 홍삼, 오동나무, 무화과나무, 회화나무 등의 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탈취 효능을 갖는 천연 식물성 성분들의 예로는 금은화, 연교, 대청엽, 야국화, 포공영, 백두옹, 단삼, 미선나무, 사자발쑥, 싸주아리 쑥, 솔잎, 와사비, 목초액, 레몬글라스, 오동나무, 솔잎, 캐모마일 꽃, 로즈마리 잎, 할미꽃 잎, 어스니어, 유칼립투스 잎, 제라늄 꽃 등의 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생리대 조성물을 함유하고, 생리혈, 분비물 등을 흡수하는 흡수층; 상기 흡수층의 상부에 위치하고 액체 투과성으로 이루어지 표지층; 및 상기 흡수층의 하부에 위치하고 액체 불투과성인 방수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염의 치료 및 예방용 생리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당가수분해 효소 처리된 육두구 추출물, 당가수분해 효소 처리된 대황 추출물, 및 당가수분해 효소 처리된 오매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일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질염 치료 및 예방용 생리대 조성물을 함유하고, 생리혈, 분비물 등을 흡수하는 흡수층; 상기 흡수층의 상부에 위치하고 액체 투과성으로 이루어지 표지층; 및 상기 흡수층의 하부에 위치하고 액체 불투과성인 방수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염의 치료 및 예방용 생리대를 제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생리대(100)는 육두구, 대황, 및 오매 성분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리대 조성물(140), 또는 당가수분해 효소 처리된 육두구, 당가수분해 효소 처리된 대황, 및 당가수분해 효소 처리된 오매의 단일 추출물, 또는 그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생리대 조성물(140)을 생리혈 흡수패드(130)에 포함하는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100)는 분비물을 투과시키는 투과성의 내부시트(110)와, 내부시트(110)의 외부에 융착되는 불투과성의 외부시트(120), 및 내부시트(110)와 외부시트(120) 사이에 삽입 고정되어 내부시트(110)를 투과한 분비물을 흡수하는 생리혈 흡수패드(130)로 이루어지는 기본적인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생리대 조성물(140)은 식물의 추출 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하므로, 상기 생리대 조성물(140)이 액상 형태인 경우 상기 생리혈 흡수패드(130)에 함침하여 건조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상기 생리대 조성물(140)이 건조 분말의 형태인 경우 상기 생리혈 흡수패드(130)의 외부에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러한 사용 형태에 제한되어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생리대 조성물(140)의 상기 생리혈 흡수패드(130)에 대한 담지 방법은 당업자들에 공지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질염 치료 및 예방용 생리대(100)는 상기 질염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140)을 이용하여 제조되므로, 이 둘 사이에 공통된 내용은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 본 발명은 육두구, 대황, 및 오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리대 조성물, 또는 당가수분해 효소 처리된 육두구, 당가수분해 효소 처리된 대황, 및 당가수분해 효소 처리된 오매의 추출물, 또는 그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생리대 조성물을 제공하며, 이를 이용한 생리대를 제공한다.
(ⅱ) 본 발명의 생리대 조성물은 질내 유해세균들에 대해 폭넓은 항균 및 항진균 스펙트럼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유해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질염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ⅲ) 또한, 본 발명의 생리대 조성물은 질염의 치료 및 예방 목적으로 생리대에 유용하게 이용가능하다.
도 1은 육두구 추출물, 대황 추출물, 오매 추출물, 및 그 혼합 추출물을 처리함에 따른 세포 생존율을 당가수분해 효소 처리 전후로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질염의 주요 원인균인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에 대한 육두구 추출물, 대황 추출물, 오매 추출물, 및 그 혼합 추출물의 항진균 활성을 당가수분해 효소 처리 전후로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생리대 조성물이 함유된 생리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식물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1. 혼합 식물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육두구 100g, 대황 100g 및 오매 100g을 분쇄한 후 3L의 70%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12시간 가온 환류추출한 후, 냉침 시키고, 1.2㎛ 투과 사이즈를 갖는 여과지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여과액을 감압농축 및 감압 건조로 농축하여 25.4g의 육두구, 대황, 및 오매의 혼합 건조 분말을 얻었고, 이를 실시예 1-1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1-2. 효소 처리된 육두구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육두구 100g을 분쇄한 후 1L의 70%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12시간 가온 환류추출한 후, 냉침 시키고, 1.2㎛ 투과 사이즈를 갖는 여과지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여과액을 감압농축 및 감압 건조로 농축하여 8.23g의 육두구 건조 분말을 얻었다. 상기 육두구 분말에 20배 중량의 증류수를 가한 후, 1M HCl과 1M NaOH를 이용하여 용액이 pH 6 내지 7 사이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여기에 효소로 셀룰라아제를 육두구 분말의 중량 대비 1%로 첨가하였다. 그리고, 셀룰라아제가 첨가된 용액을 항온수조에 넣고 5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효소와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14배 중량의 100% 에탄올을 첨가한 후, 하룻밤 동안 교반시키며 에탄올 용매 추출한 후, 여과하여 그 상등액을 동결건조하여 실시예 1-2로 이용하였다.
실시예 1-3. 효소 처리된 대황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대황 100g을 분쇄한 후 1L의 70%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12시간 가온 환류추출한 후, 냉침 시키고, 1.2㎛ 투과 사이즈를 갖는 여과지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여과액을 감압농축 및 감압 건조로 농축하여 10g의 대황 건조 분말을 얻었다. 상기 대황 분말에 20배 중량의 증류수를 가한 후, 1M HCl과 1M NaOH를 이용하여 용액이 pH 6 내지 7 사이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여기에 효소로 셀룰라아제를 대황 분말의 중량 대비 1%로 첨가하였다. 그리고, 셀룰라아제가 첨가된 용액을 항온수조에 넣고 5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효소와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14배 중량의 100% 에탄올을 첨가한 후, 하룻밤 동안 교반시키며 에탄올 용매 추출한 후, 여과하여 그 상등액을 동결건조하여 실시예 1-3으로 이용하였다.
실시예 1-4. 효소 처리된 오매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오매 100g을 분쇄한 후 1L의 70%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12시간 가온 환류추출한 후, 냉침 시키고, 1.2㎛ 투과 사이즈를 갖는 여과지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여과액을 감압농축 및 감압 건조로 농축하여 7.17g의 오매 건조 분말을 얻었다. 상기 오매 분말에 20배 중량의 증류수를 가한 후, 1M HCl과 1M NaOH를 이용하여 용액이 pH 6 내지 7 사이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여기에 효소로 셀룰라아제를 오매 분말의 중량 대비 1%로 첨가하였다. 그리고, 셀룰라아제가 첨가된 용액을 항온수조에 넣고 5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효소와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14배 중량의 100% 에탄올을 첨가한 후, 하룻밤 동안 교반시키며 에탄올 용매 추출한 후, 여과하여 그 상등액을 동결건조하여 실시예 1-4로 이용하였다.
실시예 1-5. 효소 처리된 혼합 식물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육두구 100g, 대황 100g 및 오매 100g을 분쇄한 후 3L의 70%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12시간 가온 환류추출한 후, 냉침 시키고, 1.2㎛ 투과 사이즈를 갖는 여과지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여과액을 감압농축 및 감압 건조로 농축하여 25.4g의 육두구, 대황, 및 오매의 혼합 건조 분말을 얻었다. 상기 혼합 건조 분말에 20배 중량의 증류수를 가한 후, 1M HCl과 1M NaOH를 이용하여 용액이 pH 6 내지 7 사이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여기에 효소로 셀룰라아제를 혼합 건조 분말의 중량 대비 1%로 첨가하였다. 그리고, 셀룰라아제가 첨가된 용액을 항온수조에 넣고 5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효소와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14배 중량의 100% 에탄올을 첨가한 후, 하룻밤 동안 교반시키며 에탄올 용매 추출한 후, 여과하여 그 상등액을 동결건조하여 실시예 1-5로 이용하였다.
비교예 1-1. 효소 처리하지 않은 육두구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육두구 100g을 분쇄한 후 1L의 70% 에탄올로 12시간 가온 환류추출하고 냉침 시키고, 1.2㎛ 투과 사이즈를 갖는 여과지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여과액을 감압농축 및 감압 건조로 농축하여 8.23g의 육두구 추출물을 얻었고, 이를 비교예 1-1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1-2. 효소 처리하지 않은 대황 추출물의 제조
대황 100g을 분쇄한 후 1L의 70% 에탄올로 12시간 가온 환류추출하고 냉침 시키고, 1.2㎛ 투과 사이즈를 갖는 여과지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여과액을 감압 농축 및 감압 건조로 농축하여 10g의 대황 추출물을 얻었고, 이를 비교예 1-2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1-3. 효소 처리하지 않은 오매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오매 100g을 분쇄한 후 1L의 70% 에탄올로 12시간 가온 환류 추출하고 냉침 시키고, 1.2㎛ 투과 사이즈를 갖는 여과지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여과액을 감압농축 및 감압 건조로 농축하여 7.17g의 오매 추출물을 얻었고, 이를 비교예 1-3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피부섬유아세포에서 육두구, 대황, 및 오매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이 세포성장에 미치는 효과 검증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식물 추출물이 인간 각질세포주(HaCaT cell)의 생장에 미치는 효과를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우선, 10% FBS(fetal bovine serum, Cambrex)가 포함된 전용 배지인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 인간 각질세포주를 40mm 크기의 세포 배양 접시에 1.25 농도로 접종한 후 24시간 동안, 37℃, 5% CO2 습윤 조건 하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무혈청 DMEM 배지로 희석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추출물을 농도별(10, 및 100㎍/㎕)로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48시간 후, 1mg/mL의 MTT를 처리하고, 2시간 후, 세포에 MTT 처리로 인해 생성된 포마잔(formazan)을 DMSO로 녹여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육두구, 대황, 및 오매 추출물과, 그 혼합물은 효소처리 과정 수행 유무에 상관없이 세포 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포 생존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1 참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은 인체에 독성이 없고, 안전하여 질염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생리대 조성물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식물 추출물의 질염 원인균 억제 효과 검증
3-1. 디스크 확산법에 의한 항균효과 검증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추출물에 대한 질염 원인균 억제 활성 탐색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디스크 확산법으로 검증하였다. 칸디다 알비칸스(C. albicans)의 배양은 YM 배지를 사용하였고, 대장균(E. coli)의 배양은 LB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P. aeruginosa)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 aureus)의 배양은 NA 배지를 사용하였다. 각 세균은 2~3개의 집락(17CFU/mL)을 얻어 접종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추출물은 각각 1% 농도로 멸균수 및 글리세린에 용해시켜 멸균한 페이퍼 디스크(직경 8mm)에 100㎕씩 점적하였다. 디스크가 완전히 건조된 다음 평판 배지에 치상하여 35℃로 유지하였고, 20~24시간 후 페이퍼 디스크 주변의 투명도(clear zone)를 측정하여 항균활성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표 1]
Figure 112016051542817-pat00001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육두구, 대황, 및 오매의 혼합 추출물은 4종의 유해 세균 모두에 대해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보였으며, 단일 추출물에 비해 항균 활성이 증가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와는 달리, 비교예의 단일 추출물들은 각각 S. aureus P. aeruginosa 균주에서 항균 활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효소 처리한 실시예 1-2 내지 1-5의 단일 또는 혼합 추출물은 4종의 유해 세균에 모두 현저하게 증가된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보였다.
특히, 질염에 가장 직접적인 원인균으로 지목되고 있는 C. albicans 균에 대한 생장억제 효과의 증가는, 각각 육두구 추출물에서 8mm에서 10mm로 25%, 대황 추출물에서 12mm에서 13mm로 8.3%, 오매 추출물에서 8.5mm에서 11mm로 41%로 효소처리 과정을 수행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혼합 추출물의 경우에는 효소처리 혼합추출물이 14mm에서 19mm로 33.3% 증가하여 C. albicans 균에 대한 가장 큰 억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2 참조)
이러한 효소처리에 따른 질염의 원인이 되는 유해 세균에 대한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의 증가는 대장균(E. coli),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P. aeruginosa), 및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 aureus)에 대한 실험에서도 유사한 패턴으로 나타났으으며, 실시예 1-5의 효소처리된 식물 추출물의 항균 활성이 가장 뛰어난 것으로 관찰되었다.
3-2. 최소저해농도( MIC ) 측정에 의한 항균효과 검증
상기 추출물들의 항균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최소 저해농도(Minimum Inhibition Concentration, MIC)를 측정하여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각각의 균주는 영양배지(Nutrient Broth) 용액을 제조하여 121℃에서 15분간 멸균한 후 각각의 배양된 균주 1백금이를 영양배지 용액 (10㎖)에 접종하고, 진탕배양기(shaking incubator)에서 24시간 배양하여 항균실험을 위한 균주를 준비하였다. 각각의 추출물은 0.01 내지 1 중량%가 되도록 배지에 첨가하여 제조한 후 세균은 1 X 106cfu/㎖, 진균은 1 X 105 cfu/㎖의 농도로 각각 접종하여 35℃에서 2일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대조군과 실험군의 배지 용액에 대해서 각 균주의 증식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무균공간에서 시료를 약 500㎕씩 취하여 분광 광도계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600nm 흡광도를 측정하여 미생물의 증식을 확인하였고, 대조군과 비교하여 각각의 균주에 대하여 낮은 증식도를 보인 최소 농도를 측정하고, 이를 최소저해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로 하였다.
[표 2]
Figure 112016051542817-pat00002
그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 1-1의 육두구, 대황, 및 오매의 혼합 추출물과 실시예 1-2 내지 1-5의 효소처리된 육두구, 대황, 및 오매 추출물과 그 혼합 추출물은 질염 원인균에 대한 낮은 최소저해농도를 갖고, 높은 항균 활성을 갖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 1-1 내지 비교예 1-3의 효소처리하지 않은 단일 추출물들은 일부 질염 원인균에 대해 항균 활성이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4종의 유해 세균에도 낮은 항균 활성을 갖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들은 4종의 유해 세균 모두에 대해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보였으며, 단일 추출물에 비해 혼합 추출물이, 효소처리하지 않은 추출물에 비해 효소처리한 추출물의 항균 활성이 전체적으로 증가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생리대 조성물은 질내 유해세균들에 대해 폭넓은 항균 및 항진균 스펙트럼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를 통해 유해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질염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생리대 조성물은 질염의 치료 및 예방 목적으로 생리대의 구성성분으로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삭제
  2. 당가수분해 효소 처리된 육두구 추출물, 당가수분해 효소 처리된 대황 추출물, 및 당가수분해 효소 처리된 오매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리대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당가수분해 효소는 셀룰라아제(cellulase), 펙티나아제(pectinase), 글루코시다아제(glucosidase), 및 탄나아제(tannas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효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은 상기 육두구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대황 300 내지 400 중량부 및 상기 오매 100 내지 20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에 대해 항진균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조성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에스체리치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및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조성물.
  7. 삭제
  8. 당가수분해 효소 처리된 육두구 추출물, 당가수분해 효소 처리된 대황 추출물, 및 당가수분해 효소 처리된 오매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리대 조성물을 함유하고, 생리혈, 분비물 등을 흡수하는 흡수층;
    상기 흡수층의 상부에 위치하고 액체 투과성으로 이루어지 표지층; 및
    상기 흡수층의 하부에 위치하고 액체 불투과성인 방수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KR1020160066149A 2016-05-30 2016-05-30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생리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리대 KR101867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149A KR101867271B1 (ko) 2016-05-30 2016-05-30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생리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149A KR101867271B1 (ko) 2016-05-30 2016-05-30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생리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4998A KR20170134998A (ko) 2017-12-08
KR101867271B1 true KR101867271B1 (ko) 2018-07-23

Family

ID=60919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149A KR101867271B1 (ko) 2016-05-30 2016-05-30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생리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727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1027A (ja) * 1999-09-09 2001-03-27 Ichimaru Pharcos Co Ltd 抗菌・防腐剤
KR200356319Y1 (ko) 2004-04-08 2004-07-15 (주)보성녹차테크 소취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위생 패드
KR101354204B1 (ko) 2012-08-21 2014-01-22 서동용 항균 기능을 갖는 신발 밑창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5830A (ko) * 1999-11-08 2001-06-05 이옥구 항균 및 항산화 기능을 지닌 천연 조성물
KR20030077509A (ko) * 2003-09-09 2003-10-01 주식회사 퓨어린 한방 조성물이 함유된 생리대 및 그 제조방법
KR100606452B1 (ko) * 2005-08-13 2006-08-01 주식회사 퓨어린 한방 조성물이 함유된 생리대
KR100876667B1 (ko) * 2007-02-20 2009-01-0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육두구, 육계 및 양강 혼합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항균 활성 분획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287956B1 (ko) * 2011-10-27 2013-07-18 이동우 피부미백 및 생리질환예방 효과를 발휘하는 여성용 한방패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1027A (ja) * 1999-09-09 2001-03-27 Ichimaru Pharcos Co Ltd 抗菌・防腐剤
KR200356319Y1 (ko) 2004-04-08 2004-07-15 (주)보성녹차테크 소취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위생 패드
KR101354204B1 (ko) 2012-08-21 2014-01-22 서동용 항균 기능을 갖는 신발 밑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4998A (ko) 2017-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igano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of flavonoids and phenylpropanoids from Marrubium globosum ssp. libanoticum
Aboaba et al. Antibacterial effect of edible plant extract on Escherichia coli 0157: H7
KR101532005B1 (ko) 유자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Indira et al. Evaluation of in vitro antimicrobial property of seaweed (Halimeda tuna) from Tuticorin coast, Tamil Nadu, Southeast coast of India
Stanley et al.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leaf extracts of Ocimum gratissimum and Sida acuta
Rizwana et al. Chemical composition, FTIR studies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Passiflora edulis f. edulis (Fruit)
KR101298184B1 (ko)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
Kigigha et al. Effect of cooking on the climbing pepper (Piper nigrum) on antibacterial activity
Ibrahim Evaluation of anti-bacterial activity of Capparis spinosa (Al-Kabara) and Aloe vera extracts against Isolates Bacterial Skin Wound Infections in-vitro and in-vivo
Arjun et al.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Nelumbo nucifera Gaertn. leaf extracts
Radwan et al. Seasonal Variations in Antioxidant Activity, Total Flavonoids Content, Total Phenolic Content, Antimicrobial Activity and Some Bioactive Components of Ficus carica L. in Palestine
Boyanova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activity of plant infusions against Helicobacter pylori strains by three methods
KR101867271B1 (ko)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생리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리대
KR20090046387A (ko) 황금, 어성초, 쑥, 유자 추출물로 방부활성을 가지는화장료 조성물
KR101839612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
KR101900090B1 (ko)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생리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리대
KR20150073438A (ko) 미생물을 이용한 단삼 발효산물을 제조하는 방법
Laishram et al. Phytochemical analysis, TLC profiling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Tephrosia purpurea.
Garduque et al. Antimicrobial efficacy of carabao grass (Paspalum conjugatum) leaves on Staphylococcus aureus
Ogbonna et al. Antibacterial properties of young and mature mango leaves (Mangifera indica) extract on some clinical isolates
Temitope et al. Efficacy of essential oils from Persea americana stem bark and seed extracts
Kuta et al. Antibacterial activities of Vitelleria paradoxa on some enteric bacteria
Tkachenko et al. Screening for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ethanolic extract derived from Ficus mucuso Welw. ex Ficalho leaves (Moraceae) against bacterial fish pathogens
Oyetayo et al. Comparative Study on The Phytochemical, Antistaphylococc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the Stem Bark of Jatropha curcas L and Jatropha gossypifolia L: Comparative study on two Jatropha species
KR20190136199A (ko) 모링가 발효물을 포함하는 드링크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