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9693B1 - 충전식 믹서기 전원장치 - Google Patents

충전식 믹서기 전원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9693B1
KR0159693B1 KR1019960016176A KR19960016176A KR0159693B1 KR 0159693 B1 KR0159693 B1 KR 0159693B1 KR 1019960016176 A KR1019960016176 A KR 1019960016176A KR 19960016176 A KR19960016176 A KR 19960016176A KR 0159693 B1 KR0159693 B1 KR 0159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er
power
power source
battery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6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3492A (ko
Inventor
김윤구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16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9693B1/ko
Publication of KR970073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3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9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96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2Mechanically-driven liquid sh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서믹서기 전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방전용 전지를 채용하여 전원이 없는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자동차용 전원으로도 이용가능하도록 하는 충전교류식 주서믹서기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주서믹서기는, 전원에 연결되는 전원코드(1)가 믹서기 본체에 달려 있고 용기(4)에는 믹스될 대상이 들어가고 용기하단에는 커터(칼날)를 구동시키는 커터날 구동부(3)가 위치하고 그 하단에는 상기 커터를 돌리는 모터(5)가 장착되고, 상기 모터하단에는 교류식과 충전식을 제어하는 전지가 내장된 회로부(6)와, 자동차용 전원을 분리하여 모터를 동작시키는 스위치(7)와, 충전/교류 선택스위치(9)와, 전지의 충방전을 표시해주는 표시부(10)가 장착되는 구조이다.

Description

충전식 믹서기 전원장치
제1도는 종래의 주서믹서기 구조도.
제2도는 종래의 일반적인 주서믹서기의 회로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주서믹서기 구조도.
제4도는 전원코드와 시거잭의 구조를 도시.
제5도는 본 발명의 주서믹서기 회로블럭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주서믹서기 전원부분의 상세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믹서기 본체 3 : 커터날구동부
4 : 용기 5 : 모터
7 : 연속/단속 선택 스위치 9 : 필터부
본 발명은 주서믹서기 전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방전용 전지를 채용하여 전원이 없는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자동차용 전원으로도 이용가능하도록 하는 충전교류식 주서믹서기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주서믹서기 구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4)에는 믹스될 대상이 들어가고 용기하단에는 커터(칼날)를 구동시키는 커터날구동부(3)가 위치하고 그 하단에는 상기 커터를 돌리는 모터(5)가 장착되고, 상기 모터하단에는모터를 제어하는 모터구동회로부(6)와, 모터(5)의 연속 또는 단독동작을 선택하는 연속/단속선택스위치(7)가 장착된다.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주서믹서기의 회로블럭도를 제2도를 참조하여 기술하면, 상용전원을 연결하는 전원 코드(1)와 주서믹서기를 가동시키는 동작스위치(8), 주서믹서기의 내외부에서 발생하는 전기적인 잡음을 제거하는 필터부(9) 및 모터(5)의 구동을 연속 또는 단속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연속/단속선택스위치(7)와 상기 연소/단속선택스위치의 작동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부(12)와, 상기 모터(5)를 제어하는 모터제어부(10)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일반적인 주서믹서기동작은 상용전원을 사용하여 동작되는 것으로, 전원코드를 상용 전원 콘센트에 연결하면 전원이 인가되고, 믹서기에 있는 동작스위치를 누르면 전원이 내부로 인가된다.
한편, 믹서기 입력단에 있는 필터부(9)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전기적인 잡음과 믹서기의 구동모터(5) 동작시 발생하는 내부적인 전기적 잡음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모터(5)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10)는 연속 또는 단속동작 선택시에 신호발생부(12)에서 발생하는 신호에 의하며 모터(5)를 연속동작시키거나 단속동작을 하게 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주서믹서기는 반드시 상용 교류 전원이 있는 곳에서만 사용할 수 있어서 믹서기 이용자가 소풍이나 등산, 낚시, 여행을 하는 등의 야외나 자동차안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용전원 및 충방전전지를 채용하여 전원이 없는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자동차용 전원을 이용하여 구동할 수 있는 충전식 주서믹서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서믹서기 전원장치는, 전원이 필터부(12)를 입력되어 충전/교류전원을 선택하는 충전/교류 선택 스위치(9)와, 상기 스위치에서 충전모드일 때 전원이 트랜스(19)와 정류 및 평활부(20)를 거쳐 전지를 충전시키는 전지충전부(21)와, 상기 스위치가 교류전원모드일 때 전원이 정류 및 평활되어 모터로 입력되도록 하는 커터날 동작스위치(7)와, 상기 커터날 동작스위치쪽으로 자동차 전원을 공급하는 통로인 시거잭(11)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이 주서믹서기 구조를 제3도를 참조하여 기술하면, 전원에 연결되는 전원코드(1)가 믹서기 본체에 달려 있고 용기(4)에는 믹스될 대상이 들어가고 용기하단에는 커터(칼날)를 구동시키는 커터날 구동부(3)가 위치하고 그 하단에는 상기 커터를 돌리는 모터(5)가 장착되고, 상기 모터하단에는 교류식과 충전식을 제어하는 전지가 내장된 회로부(6)와, 자동차용 전원을 분리하여 모터를 동작시키는 스위치(7)와, 충전/교류 선택스위치(9)와, 전지의 충방전 표시해주는 표시부(10)가 장착된다.
이러한 구조의 주서믹서기의 동작을 제5도의 회로블럭도를 참조하여 기술하면, 일반상용 전원콘센트에 전원코드(1)를 연결하고 동작스위치(8)를 온시키면 믹서기 내부로 전원이 인가되고 외부에서 들어오는 전기적 잡음 및 내부에서 발생되는 전기적 잡음을 제거필터부(12)가 제거한다. 여기서 충전/교류 선택 스위치(9)를 충전으로 온시키면 전압 강하트랜스(19)를 거쳐 정류된 소정의 충전전류가 전지(21)에 충전되기 시작하고 충전중임을 알리는 표시램프(10)가 켜진다.
충전/교류 선택스위치(9)를 교류로 온시키면 전원이 정류 및 평활되어 커터날 동작스위치(7)에 인가되고 스위치(7)를 교류(상용전원)로 온시키면 다른 스위치버튼은 오프되고 정류된 교류전원이 모터(5)에 인가되어 믹서기가 동작된다.
이 때 충전된 전지로 믹서기를 동작시키려면 스위치(7)버튼을 충전으로 하면 충전 버튼이 온되고 다른버튼은 오프되어 모터는 전지의 충전된 용량으로 구동된다.
자동차용 전원을 이용할 때 시거잭(11)을 믹서기에 연결하고 스위치(7) 버튼중 자동차 전원용 버튼을 누르면 믹서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지로 모터(5)를 구동시 어느 일정전압에 이르면 전압감지부(22)에서 전압을 비교하여 전원의 사용시간이 없다는 것을 경보해 준다.
제4도(a)는 일반적인 전원코드(1) 및 시거잭(11) 구조이며 전원코드(1)에는 걸림턱(19)이 있어 사용중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였다. 제4(b)도는 전원코드와 잭의 접속기구(13)를 나타낸 것으로 시거잭 핀(14')과 전원코드 접속핀(15')이 있으며 상용전원 사용중 자동차용 전원이 흐르지 못하도록 마이크로 스위치(16)가 있어 전원코드(1)를 삽입하면 레버(18)가 눌러져 마이크로 스위치(16)가 오프되어 있다. 제4(c)도는 정면에서 본 접속기구(13)로 시거잭부(11')와 전원코드부(1')로 구성되어 있다.
제6도는 주서믹서기 전원부분의 회로도로서, 전원코드를 전원에 인가하면 전원이 동작 스위치(8)에 흐르고 동작스위치(8)를 온시 전원이 믹서기 내부로 흐르는데 교류전원을 사용하길 원할 경우 교류/충전선택 스위치(9)를 교류로 선택(a접점)하면 전압강하 트랜스(19)에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고 정류 및 평활부로 전원이 흐르고 스위치(7')를 온시키면 코일(24)을 거쳐 모터 브러쉬(27,28)에 전원이 인가되어 모터는 구동하게 된다. 이 때 모터(5)의 브러쉬(27,28) 및 정류자(25,26)를 쌍방향으로 구성한 것은 상용전원과 전지전원 및 자동차 전원인가시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 차이로 회전수가 달라지는 것을 막도록 하기 위해 모터권선을 조정하였기 때문이다.
충전/교류 선택스위치(9)를 충전(b접점)으로 인가시키면 전원은 전압강하 트랜스를 거쳐 정류 및 평활되어 소정의 충전전류가 전지(21)에 공급되기 시작하여 충전된다. 충전중임을 알리는 표시램프(10)가 있으며 전지가 역류되지 않도록 정류다이오드(30)를 취부하였다. 또한 모터(5)의 구동중 전압감지(22)를 통해 사용자에게 사용할 수 있는 잔여시간을 미리 겨오해 주도록 구성하였다.
자동차용 전원 사용시 시거잭(11)을 접속기구(13)에 삽입하고 스위치(7)를 온시키면 모터(5)쪽으로 전원이 인가되어 믹서기가 동작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주서믹서기를 이용하면 평상싱 상용전원을 이용하는 것은 물론 충전된 전지 혹은 자동차의 전원을 이용하므로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디에서나 주서믹서기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원리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 분야에 다양하게 적용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는 인지할 것이다.

Claims (3)

  1. 상용전원과 전지의 충전전원, 자동차전원을 이용해 동작되는 충전식 믹서기에 있어서, 믹서기본체(2)에 전지를 내장하고 교류식(상용전원)과 충전식을 제어하는 회로부(6)와 전지의 충전과 상용전원을 선택하여 동작시키는 충전/교류선택스위치(9) 및 상용전원을 사용시 누르는 버튼과 충전전원, 자동차용 전원사용시 누르는 버튼이 일체로 구성되어 한버튼이 온시 다른 버튼이 오프되는 스위치부(7)로 이루어지고 전지의 충방전시 표시기능(10,23)이 부과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식 믹서 전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교류식 전원코드(1) 사용시 자동차용 전원코드인 시거잭(11)을 삽입하여도 자동차 전원이 도통되지 않는 접속기구(13)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식 믹서 전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구동모터(5)가 회전자에 양쪽으로 정류자(25,26) 및 브러시(27,28)로 이루어져서 전압크기에 따라 회전이 같게 한 직류모터를 구비한 충전식 믹서 전원장치.
KR1019960016176A 1996-05-15 1996-05-15 충전식 믹서기 전원장치 KR0159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6176A KR0159693B1 (ko) 1996-05-15 1996-05-15 충전식 믹서기 전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6176A KR0159693B1 (ko) 1996-05-15 1996-05-15 충전식 믹서기 전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3492A KR970073492A (ko) 1997-12-10
KR0159693B1 true KR0159693B1 (ko) 1998-11-16

Family

ID=19458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6176A KR0159693B1 (ko) 1996-05-15 1996-05-15 충전식 믹서기 전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969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3492A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2414A (en) Rechargeable hair clipper assembly
JP2807011B2 (ja) コード使用/コード非使用の2モードの電力により作動される装置
US3525912A (en) Selectable power source for a motor driven appliance
JP4385659B2 (ja) 充電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充電装置
EP2659824B1 (en) Fluid apparatus
US4853607A (en) Non-isolated thermally responsive battery charger
US4284944A (en) Battery charging device having battery state indicating function
JP4919247B2 (ja) 電気かみそり
KR0159693B1 (ko) 충전식 믹서기 전원장치
JP4127944B2 (ja) 充電式小型電気機器
JP2002311114A (ja) 小型電気機器
KR0159694B1 (ko) 주서믹서기 전원장치
JP3205022B2 (ja) 給電延長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S635719A (ja) 電気掃除機
KR100305501B1 (ko) 충전기 겸용 어댑터
JPH075279Y2 (ja) 扇風機
JPS6160653B2 (ko)
JP2006141596A (ja) 充電式電気掃除機
JP2596553B2 (ja) 電気掃除機
JP2001061739A (ja) 充電式電気掃除機
JP2005118096A (ja) 電気掃除機
KR0122667Y1 (ko) 전기면도기
KR900004485Y1 (ko) 전기및 충전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한 전동치솔
JP3446319B2 (ja) コードレス機器
JPH032117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