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4485Y1 - 전기및 충전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한 전동치솔 - Google Patents

전기및 충전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한 전동치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4485Y1
KR900004485Y1 KR2019880001290U KR880001290U KR900004485Y1 KR 900004485 Y1 KR900004485 Y1 KR 900004485Y1 KR 2019880001290 U KR2019880001290 U KR 2019880001290U KR 880001290 U KR880001290 U KR 880001290U KR 900004485 Y1 KR900004485 Y1 KR 9000044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toothbrush
terminal
battery
rectifier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12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7046U (ko
Inventor
남성우
Original Assignee
남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성우 filed Critical 남성우
Priority to KR20198800012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4485Y1/ko
Publication of KR8900170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70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44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4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4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otating continuously
    • A61C17/2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otating continuously driven by electric moto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24Electrical recharging arrang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 및 충전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한 전동치솔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충전 상태의 일부절개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13, 13a: 콘센트 단자 2, 14 : 요입홈
8, 16 : 지지돌기 5 : 동체
6 : 스위치 7, 7a, 15, 15a : 플럭단자
9 : 축전지 11 : 작동축
12 : 칫솔 17 : 결선코오드
A : 정류기 B : 전동치솔
D, D1, …Dn: 다이오드 PD : 포토다이오드
R : 저항
본 고안은 모우터의 회전축에 결합시킨 구동장치에 의하여 작동되는 작동측이 좌우회전 및 상하 승강 작동하도록 구성한 전동치솔의 플럭단자를 정류기의 콘센트 끼움 고정시켜 전동치솔 몸체에 창설한 축전지에 충전시킬 수 있게 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정류기의 콘센트 단자와 전동치솔의 플럭단자간에 별도의 콘센트 겸용 플럭코오드를 연결하여 축전지의 충전상태의 유무에 구애됨이 없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전기 및 충전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전동치솔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전동치솔에 있어서는 전동치솔 동체내에 장설한 축전지에 충전이 된 상태에서만 사용이 가능하였으므로 장시간 사용으로 인하여 축전지의 충전용량이 소모되면 재 충전하는 동안 사용이 불가능한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결점을 적게하기 위하여 전동치솔에 장설된 축전지의 충전상태에 구애됨이 없이 사용할 수 있게 하므로서 일반가정이나 이발소 또는 목욕탕등에서도 콘센트 겸용 플럭코오드의 깊이 정도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 선정에도 구애됨이 없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류기(A)의 일측 하부에 콘센트단자(1)(1a)와 요입홈(2)을 설한 지지판(3)과 상부에 지지링(4)을 형성하여 동체(5)의 손잡이부에는 스위치(6)가 설하여지고, 저면부에는 플럭단자(7)(7a)와 지지돌기(8)을 설하며, 동체(5)내부에는 축전지(9)와 전기적으로 결선시킨 모우터(10)축에 결합되어 작동되는 작동축(11)에 치솔(12)을 착탈할수 있도록 설하여진 전동치솔(B)을 끼움 고정시켜 축전지(9)를 충전토록 하는 공지의 것에 있어서 전동치솔(B)의 일측플럭단자(7)에 다이오드(D1……Dn)와 저항(R)을 병렬로 연결시키되 저항(R)에는 포토다이오드(PD)를 연결하여 다이오드(D1……Dn)에 순방향으로 연결시킨 다이오드(D)와 축전지(10)의 일측단자측에 연결하였으며, 다이오드(D1……Dn)에는 다이오드(D)와 병렬로 연결하여 스위치(6)를 통하여 모우터(10)의 일측단자측에 접속하며, 전동치솔(B)의 타측플럭단자(7a)는 축전지(9)의 타측단자측과 모우터(10)의 타측 단자측에 각각 결선하였으며, 양단에 콘센트단자(13)(13a)와 요입홈(14) 및 플럭단자(15)(15a)와 지지돌기(16)을 형성한 결선코오드(17)에 의하여 정류기(A)의 플럭단자(7)(7a)와 전동치솔(12)의 단자(1)(1a)에 착탈하면서 결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8은 입력, 전원플럭을 표시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정류기(A)의 입력전원플럭(18)을 AC전원콘센트에 꽂아준 상태에서 전동치솔(B)의 동체(5)를 정류기(A)의 일측으로 형성된 지지판(3)과 지지링(4)에 끼워넣어 정류기(A)의 콘센트단자(1)(1a)와 요입홈(2)에 전동치솔(B)의 플럭단자(7)(7a)와 지지돌기(8)가 끼워맞아 들어가게 되어 안착된 상태에서 작동축(11)에 칫솔(12)을 끼워 물림시킨 다음 전동치솔(B) 동체(5)의 스위치(6)를 올려주므로서 정류기(A)와 전기적으로 결선된 축전지(9)에 충전을 개시하게 됨과 동시에 전동치솔(B)동체(5)내에 장설된 도면 제3도의 회로도와 같은 전기적인 결선에 의하여 모우터(10)가 동작하여 모우터측과 결합된 공지의 구동장치(도시 생략)에 의하여 작동축(11)에 좌우회전 또는 상하로 승강 작동을 하게되는 상태로서 양치질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장소에 따라서 정류기(A)를 일정한 장소에 고정시켜 놓은 상태나 전동치솔(B)내에 장설된 축전기(9)의 충전용량이 소모되었을 때는 정류기(A)에서 전동치솔(B)을 착탈하여 정류기(A)의 콘센트 단자(1)(1a)와 요입홈(2)에 전원결선코오드(17)의 플럭단자(15)(15a)와 지지돌기(16)를 끼움시키고, 전원결선코오드(17)의 콘센트단자(13)(13a)와 요입홈(14)에 전동치솔(B)의 플럭단자(7)(7a)와 지지돌기(8)를 끼움시킨 상태에서 전동치솔(B) 동체(5)의 스위치(6)를 올려 주게되면, 도면 제3도의 회로도와 같은 전기적인 결선 상태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정류기(A)의 직류전원이 모우터(10)를 동작시켜 모우터측과 결합된 구동장치에 의하여 작동축(11)이 좌우 회전 또는 상하로 승강 작동하게 되어 작동축(11)에 착설된 칫솔(12)이 작동축(11)과 동일한 작동을 하면서 양치질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정류기와 전동치솔을 결합시킨 상태에서는 물론 정류기와 전동치솔 사이에 전원결선 코오드를 연설한 상태로서 전동치솔재의 축전지에 충전된 용량에 구애됨이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정류기를 일정한 장소에 고정 설치한 경우에도 전원결선 코오드의 길이를 조정하여 사용자의 취향과 기호에 맞춰가면서 간편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정류기(A)의 일측 하부에 콘센트단자(1)(1a)와 요입홈(2)을 설한 지지판(3)과 상부에 지지링(4)을 형성하여 동체(5)의 손잡이부에는 스위치(6)가 설하여지고, 저면부에는 플럭단자(7)(7a)와 지지돌기(8)을 설하며, 동체(5)내부에는 축전지(9)와 전기적으로 결선시킨 모우터(10)축에 결합되어 작동되는 작동축(11)에 치솔(12)을 착탈할 수 있도록 설하여진 전동치솔(B)을 끼움 고정시켜 축전지(9)를 충전토록 하는 공지의 것에 있어서 전동치솔(B)의 일측플럭단자(7)에 다이오드(D1……Dn)와 저항(R)을 병렬로 연결시키되 저항(R)에는 포토다이오드(PD)를 연결하여 다이오드(D1……Dn)에 순방향으로 연결시킨 다이오드(D)와 축전지(10)의 일측단자측에 연결하였으며, 다이오드(D1……Dn)는 다이오드(D)와 병렬로 연결하여 스위치(6)를 통하여 모우터(10)의 일측단자측에 접속하며, 전동치솔(B)의 타측플럭단자(7a)는 축전지(9)의 타측단자측과 모우터(10)의 타측 단자측에 각각 결선하였으며, 양단에 콘센트단자(13)(13a)와 요입홈(14) 및 플럭단자(15)(15a)와 지지돌기(16)을 형성한 결선코오드(17)에 의하여 정류기(A)의 플럭단자(7)(7a)와 전동치솔(12)의 단자(1)(1a)에 착탈하면서 결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전기 및 충전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전동치솔.
KR2019880001290U 1988-02-04 1988-02-04 전기및 충전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한 전동치솔 KR9000044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1290U KR900004485Y1 (ko) 1988-02-04 1988-02-04 전기및 충전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한 전동치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1290U KR900004485Y1 (ko) 1988-02-04 1988-02-04 전기및 충전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한 전동치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046U KR890017046U (ko) 1989-09-06
KR900004485Y1 true KR900004485Y1 (ko) 1990-05-21

Family

ID=19272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1290U KR900004485Y1 (ko) 1988-02-04 1988-02-04 전기및 충전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한 전동치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448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046U (ko) 198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2414A (en) Rechargeable hair clipper assembly
US4670701A (en) Rechargeable cordless vacuum cleaner apparatus
US3970912A (en) Battery charging circuit
US5138351A (en) Battery charging apparatus with removable plug module
US3943423A (en) Battery charging circuit
TWI388407B (zh) Electric drive tools and electric drive tools
JP2000243458A (ja) パワーパック充電システムおよび電動工具充電システム
JPS6483884A (en) Chargeable electric fan
KR900004485Y1 (ko) 전기및 충전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한 전동치솔
US4994726A (en) Power supply apparatus for charging-type device
JPS61219587A (ja) 手持電動工作機械
JPH06236775A (ja) 電池式電気器具用保持装置
KR101732672B1 (ko) 전동식 피부 트리트먼트용 휴대용 장치
JP2593701B2 (ja) 電池ボックス用アダプタ装置
KR100305501B1 (ko) 충전기 겸용 어댑터
JPH076692Y2 (ja) バッテリー式電動工具
CN218187011U (zh) 电动牙刷
JPH0327575Y2 (ko)
CN217429464U (zh) 一种分段式智能牙刷
KR0122667Y1 (ko) 전기면도기
JPS62114438A (ja) 充電装置
CN213372676U (zh) 电动牙刷
JPH05253096A (ja) 充−交両用型電気掃除機
KR200179470Y1 (ko) 충전겸용 칫솔 살균 건조기
KR0122671Y1 (ko) 전기면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3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