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758Y1 - 자동 칫솔 - Google Patents

자동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758Y1
KR860001758Y1 KR2019840006723U KR840006723U KR860001758Y1 KR 860001758 Y1 KR860001758 Y1 KR 860001758Y1 KR 2019840006723 U KR2019840006723 U KR 2019840006723U KR 840006723 U KR840006723 U KR 840006723U KR 860001758 Y1 KR860001758 Y1 KR 8600017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battery
power supply
toothbrush
movabl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67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1210U (ko
Inventor
강대원
Original Assignee
강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대원 filed Critical 강대원
Priority to KR20198400067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1758Y1/ko
Publication of KR8600012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2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7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7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 A46B13/04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supply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6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connected to supply pipe or to other external supply means
    • A46B11/063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connected to supply pipe or to other external supply means by means of a supply pipe
    • A46B11/066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connected to supply pipe or to other external supply means by means of a supply pipe with means for introducing an additive, e.g. soa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21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22Brush body details, e.g. the shape thereof or connection to hand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 칫솔
제 1도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도.
제 2도는 본 고안에 있어서 칫솔 구동부의 분해 사시도.
제 3도는 본 고안에 있어서 물공급을 위한 연결관의 사시도.
제 4도는 본 고안에 있어서 수납함체의 사시도.
제 5도는 제 4도에 있어서 후면을 탈리한 상태의 배면을 본 사시도.
제 6도는 제 2도의 종단면도.
제 7도는 제 5도의 종단면도.
제 8도는 제 3도의 종단면도.
제 9도는 본 고안의 부러쉬부의 작동상태 평면도.
제10도는 본 고안의 부러쉬부의 측면도.
제11도는 종래 브러쉬부의 작동상태 평면도.
제12도는 종래 브러쉬부의 측면도.
제13도는 본 고안의 전원공급 계통도이다.
본 고안은 밧데리를 칫솔 구동본체로 부터 분리하여 수납함체에 장착시키므로서 칫솔 구동본체의 크기, 중량 등을 극소화시켜 사용 취급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수납함체에 교류, 직류겸용의 전원공급부를 내장하되, 모우터에 공급되는 전압을 조정하여 브러쉬부의 작동속도 및 강약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동시, 대형 밧데리를 수납함체에 수장하여 밧데리의 교체시간을 연장시키며, 브러쉬에 적량의 불소용액이 혼합되는 물을 분사토록 하되, 공급되는 물은 별도의 펌프, 수장용기등의 장치 없이 수압에 공급토록할 수 있는 자동칫솔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칫솔에 있어서는 칫솔 구동본체내에 모우터, 밧데리, 브러쉬 구동 변환장치등을 내장하였기 때문에 칫솔 구동본체 즉, 손잡이부가 극대화되고 따라서 그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거우므로서 사용취급이 불편하였고, 특히 손잡이부내에는 밧데리를 한개 또는 두 개 정도밖에 수장할 수 없으므로서 그 교체시간이 짧고, 따라서 밧데리를 빈번하게 교체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브러쉬의 작동속도 및 강약을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노약자, 또는 성인 각각의 치아특성에 따른 속도나 강약을 선택 조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대두되어 왔고, 따라서 어린이나 노인등에게는 약한 잇몸이 파손될 염려가 지대하였었다. 뿐만 아니라 재래식 자동칫솔의 브러쉬부는 대부분 일자형(제11도 및 제12도 참조)으로 형성되고, 브러쉬의 면적이 넓으므로서 브러쉬부의 좌, 우 회전거리가 짧고 따라서 브러쉬와 치아와의 접촉면적이 적어 치아 내측면을 골고루 닦을 수 없음과 동시, 치간내의 이물질을 깨끗이 제거할 수 없는 결함이 있어 왔다.
또한 브러쉬부의 두부에 물을 분사토록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별도로 물수장통을 형성하고, 수장된 물을 펌프등으로서 공급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에 있어서는 펌프 및 이의 주변장치의 설치가 복잡하고 물수장통의 물을 수시로 갈아주어야함은 물론 위생상 불결하며, 고가인 결함이 있으므로서 실용성이 크지못하다할 것이다. (본인의 선출원된 특허출원번호 제83-5213호 참조).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칫솔 구동본체와, 수납함체, 연결구등을 물공급 호스 및 보호관으로 연결하되, 칫솔 구동본체내의 밧데리를 수납함체에 분리설치하여, 치솔 구동본체를 극소화시키므로서 사용 취급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 밧데리를 보다 많이 수납함체에 수용하므로서 밧데리 교체시간을 연장할 수 있고 교류전원 및 직류 전원공급 회로를 내장시켜 AC,DC 겸용으로 사용케하되 교류, 직류 전원공급 회로는 다이오드에 의한 전압 강하로서 모우터의 속도 및 강약을 조정할 수 있게하여 각사람의 치아특성에 따른 브러쉬부의 작동속도 및 강, 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밧데리의 최고 전압치를 저항체에 의한 전압강하 없이 다이오드에 의해 전압 분할케하므로서, 밧데리의 전압을 최대한 활용케하여 밧데리의 교체시간을 길게 연장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수납함체내에 불소용액조를 수용하고 세면대 하방의 밸브에 나착된 연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과 불소용액조 하방으로 떨어지는 전량의 불소용액을 연결구에서 혼합하여 브러쉬부의 물공급 구멍으로 상수도의 수압에 의해 분사토록 하므로서 별도의 컵이 필요없이 간편하게 헹굼질을 할 수 있음과 동시 어린이들의 충치 예방효과를 가져오며, 상기에 있어서 브러쉬부의 두부를 ˝˝형으로 절곡하되 브러쉬 면적을 짧게 하여 브러쉬의 이동거리를 길게 하므로서 브러쉬와 치아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지고, 따라서 치간 사이의 이물질 제거는 물론 치아의 내측면까지도 골고루 닦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첨부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납함체(1)일측에 격판(2')을 격설하여 칫솔꽂이부(2)를 형성하고, 그 일측에 공간부를 두어 치약꽂이부(3)를 형성함과 동시, 수장실(4)내에 투명체로된 불소용액조(5)(불소용액조내에는 물과 불소용액이 100 : 1로 희석된 불소용액을 수장함)를 끼워 설치하고, 이의 전방 수함납체(1)에 투시창(5')을 천설함과 동시, 불소용액조(5)일측에 건전지 케이스(6)를 끼워 설치하며, 불소용액조(5)하방내에 소형 공급관(7) (내경이 극히 적은 주사바늘과 같은 소형관)을 끼워 하측의 밸브(8)일측에 연결하고, 이의 타측 공급관(7')은 연결관(9)에 연결하되, 연결관(9)하방일측은 물공급호스(10)가 연결되어 공지의 세면대(11)하방에 설치된 밸브(12)상단에 나착시킬 연결구(13)의 돌출부(13')에 상호 연결하고, 연결관(9)하방의 타측은 보호관(14)으로 칫솔구동본체(15)하방과 연결하되 보호관(14)내에는 물공급호스(14')와 도선(14˝)을 내장시켜 상호 연결되도록 하고, 도선(14˝)일측은 전원공급부(16)로 타측은 구동본체(15)내의 모우터(17)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본체(15)내에는 공지의 모우터(17)축에 구동치차(18)를 축설하고, 이에 맞물린 연동치차(19)상부의 일측에 돌기(19')를 돌설하며, 이돌기(19')가 가동편(20)의 내홈(20')내에서 회전토록 하므로서 가동편(20)일측에 삽착된 구동축(21)이 좌, 우 회전토록 되어 있으며, 이는 이미 알려진 것이다.
또한 구동축(21)내상부의 4각홈에 브러쉬부(22)의 하단을 착설한 것에 있어서 브러쉬(22)의 두부를 ˝˝형으로 절곡한 절곡부(22')를 형성하되, 이의 브러쉬 (22')면적을 짧게 하고, 브러쉬부(22')내의 물공급구멍(22)을 구동축(21)의 물공급관(21')기 맞닿게함과 동시, 구동축(21)의 물공급관(21')하방에 고무관(23)을 연결하였다. 이는 가동편(20)에 의해 구동축(21)이 회전할때 구동축(21)의 물공급관(21')과 연결은 구동축(21)의 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연질재료의 고무재를 사용한 것이다.
상기 고무관(23)타단에는 스틸관(24)을 연결한 다음, 이의 하방에 고무관(25)을 연결하고, 고무관(25)을 연결하고, 고무관(25)타단에는 상술한 물공급호스(14')와연결되어 있다. 이때 고무관(25)의 직하방에는 물공급 가동편(26)의 절곡부(26')를 놓고, 물공급 가동편(26)상방을 물공급스위치(27)에 연결시켜 스위치(27)의 작동에 따라 물공급 가동편(26)이 승강 자재토록 하므로서 고무관(25)을 개폐자재토록 되어 있고, 절곡부(26')일측에는 스프링(도면중생략)이 탄설되어 있어서 가동편(26)을 올렸을때에는 스프링이 탄압되면서 고무관(25)을 협착하고, 스위치(27)를 내렸을 때에는 스프링이 탄발되면서 고무관(25)이 원상 복귀되어지는데, 상기고무관(25)의 개폐작동을 상술한 밸브(8)와 같은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보호관(14)내의 도선(14˝)의 접점(14)하방에는 모우터 전원공급 가동편(28)의 절곡부(28')가 놓여져 있고, 이 전원 공급 가동편(28)의 상부는 모우터 전원공급 스위치(29)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전원공급부(16)는 교류전원부(16')와 직류전원부(16˝)로 구획되어 설치하되, 스위치(SW)에 의해 직, 교류로 절환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교류 전원부(16')는 트랜스, 정전압회로등으로 구비된 아답터(도면중생략)가 내설되어 있으며 본 고안에 있어서는 AC 110V 또는 220V의 상용 전원을 강압시킨다음 정류하여 안정된 DC 6V의 출력을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의 상세한 기술은 이미 알려져 있으므로서 구체적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상기 교류전원부(16')의 출력+단자측과 직류 전원부(16˝)의 밧데리(B)+측에 직렬로 다이오드(D1)(D2)(D3)(D4)를 연결하고, 이에 각각 푸쉬버튼 스위치(PB1) (PB2) (PB3)(PB4)(PB5)를 연결하여져 있다.
도면중 이설명부호 5˝는 불소용액조(5)의 뚜껑, 30은 구동본체(15)의 하부뚜껑, 31은 크립, 32는 겉고리, 33은 전원콘센트, 34는 플럭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스위치(SW)에 의해 AC또는 DC로 모우터(17)에 의한 전원공급을 할수 있도록 준비를 한다.
후술하는 브러쉬부(22)의 작동속도 및 강약 조절은 AC 나 DC가 동일하게 작용되므로서, 밧데리(B)에 의한 것만을 설명키로 한다.
우선, 푸쉬버튼 스위치(PB1)(PB2)(PB3)(PB4)(PB5)는 각각의 다이오드(D1) (D2)(D3)(D4)에 의하여 전압을 조정할 수 있어서 브러쉬부(22)의 작동속도 및 강약을 조정할 수 있는바, 본 고안에 있어서는 건전지 케이스 (6)에 1.5V×4개의 밧데리(B)가 삽치되어 있고, 칫솔구동본체(15)내에 장착된 모우터(17)는 4.2V에서 최적의 상태에 구동되게 설계되어 있다.
상기에 있어서 각각의 다이오드(D1-D4)의 양단 즉, 캐쇼드와 에노드단 사이에는 약 0.6V의 전압 강하가 발생되어져, 예로서 푸쉬버튼 스위치(PB1)은 다이오드(D1)의 에노드단에 연결되어 있으므로서 푸쉬버튼 스위치(PB1)을 누를 경우 모우터(17)에는 6V의 전원이 그대로 인가되어 브러쉬부(22)가 최고의 속도로 강하게 작동되어지고, 푸쉬버튼 스위치(PB2)를 누를 경우에는 다이오드(D1)의 전압강하치 0.6V를 뺀 5.4의 전압이 모우터(17)에 인가되어지며, 푸쉬버튼스위치(PB3)를 누를 경우에는 4.8V, 푸쉬버튼 스위치(PB4)를 누를 때는 4.2V, 푸쉬버튼스위치(PB5)를 누를 경우에는 3.6V의 전압이 각각 모우터(17)에 인가되어 진다. 따라서 최초로 밧데리(B)를 교체한 후 푸쉬버튼스위치(PB4)를 누를 경우에는 다이오드(D1)(D2)(D3)각각의 전압 강하에 의하여 4.2V의 최적의 전압이 모우터(17)에 인가되어지는바, 사용자가 모우터 전원공급스위치(29)를 작동시키면, 스위치(29)에 의해 전원공급가동편(28)이 도선(14˝)의 접점(14)을 쇼트시키고, 따라서 브러쉬부(22)는 최적한 상태로 작동되어져 정상적인 치아를 가진 성인에게 가장 적합한 브러쉬부(22)의 작동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만약, 사용자의 치아 또는 잇몸 상태가 정상적이지 못한 경우에는 푸쉬버튼스위치(PB4)의 일단계 아래 즉 푸쉬버튼스위치(PB5)를 작동시키므로서 푸쉬버튼스위치 (PB4)보다도 약한 속도를 제공받게 되며, 정상적인 성인보다 더 강하게 브러쉬부(22)를 작동시킬 경우에는 푸쉬튼스위치(PB4)일단계위 즉, 푸쉬버튼 스위치(PB3)를 누르면 더 강한 속도로서 브러쉬부(22)가 작동되어진다. 따라서 각 층의 사람의 치아 상태에 따라 브러쉬부(22)의 작동속도 및 강, 약을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임의 푸쉬버튼을 눌러 사용하다가 밧데리(B)가 소모되어 전압이 떨어지면 푸쉬버튼스위치(PB1-PB5)를 푸쉬버튼스위치(PB5)에서 푸쉬버튼 스위치(PB1)측으로 올라가면서 작동시키므로서 모우터(17)에 적절한 전압을 인가토록할 수 있고, 따라서 밧데리(B)의 교체시간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결국 새밧데리 (B)로 교체할시 가장 강한 속도로 작동될 수 있는 푸쉬버튼 스위치(PB1)가 밧데리(B)의 소모에 따라 나중에는 최적의 전원으로 인가되어지므로 밧데리(B)의 전압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전압을 조절하는 것에 있어서는 가변저항이나 반도체회로 등을 채택하는 바, 이에 있어서는 밧데리 전압이 가변저항이나 반도체회로내의 엘레멘트의 저항 성분에 의하여 일차적으로 전원공급이 제한되어져, 아무리 적은 저항치를 가지는 소자라 하더라도 일차적이 전압 강하를 막을수가 없고, 따라서, 밧데리 6V일 경우 1V이상의 전압이 상기 저항치에 의해 제한되어진다. 이와같은 종래방식의 전압조절회로를 본 고안의 전원공급 회로부(16)에 채택할 경우에는 5V이하로부터 전압이 분할하게 되어지므로서, 사용시간 경과시 푸쉬버튼 스위치(PB5에서PB1측으로)를 상단으로 올려가면서 눌러도 모우터(17)에 공급되는 최적의 전원을 인가시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밧데리(B)의 교체시간이 급속하게 빨라지므로서 밧데리(B)를 자주 교체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같이 밧데리(B)의 전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다이오드(D1-D4)에 의해 전압을 분할하여 모우터(17)에 공급하므로서 종래 방식에 의한 결함을 완전하게 배제시켜주는 것이다.
이와같이 모우터(17)의 작동속도및 강약을 조절하게 되는데, 모우터(17)가 작동되면 모우터(17)에 축설된 구동치차(18)에 의해 연동되는 연동치차(19)의 돌기(19')가 가동편(20)을 움직여 주게 되므로서 가동편(20)일측에 삽착된 구동축 (21)이 좌, 우 회전되고 따라서 브러쉬부(22)도 회전되게 된다. 이때 브러쉬부(22)의 두부는 브러쉬부(22)의 축으로부터 ˝H˝만큼 ˝˝형으로 절곡된 절곡부(22')를 가지고 있으므로서, 브러쉬(22˝)의 좌, 우 회전이동거리가 길어지고(제 9도 및 10도 참조) 브러쉬(2˝)와 치아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지므로서 치아의 안쪽면까지도 수월하게 닦아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브러쉬(22˝)의 면적이 짧게 형성되어 있으므로서 치간 사이의 이물질을 보다 수월하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종래에 있어서는 제11도 및 제1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브러쉬부(a)가 일자형으로 되어있고 브러쉬의 면적이 넓으므로서 브러쉬의 이동 거리가 짧고 따라서 브러쉬와 치아와의 접촉면적이 좁아치아 안쪽면까지를 수월하게 닦을 수 없는 것이다.
이와같이 적절한 속도로서 양치질을 행한 다음, 양치질물을 공급키 위해서는, 물공급 스위치(27)를 작동시키면 된다. 즉, 물공급스위치(27)를 작동시키면, 물공급 가동편(26)의 절곡부(26')가 고무관(25)으로부터 떨어지게 되어 고무관(25)이 협착되어 있다가 팽창되어지고, 따라서 세면대(11)하방에 설치된 밸브(12)의 상단에 나착시킨 연결구(13)의 돌출부(13')로부터 이미 고무관(25)일측에 물이 근접되어 있다가 수압에 의해 고무관(25)-스틸관(24)-고무관(23)-구동축(21)의 물공급관(21') 브러쉬부(22)의 물공급구멍(2)을 통해 물이 분사되어져 치아를 헹구게 되고, 연결구(13)의 돌출부(13')와 수납함체(1)내의 연결관(9)하방 일측은 물공급호스(10)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수압에 의해 물을 연결관(9)을 통해 보호관(14)내의 물공급호스(14')를 통해 구동본체(15)하방의 고무관(25)측으로 흐르게 된다. 이때 충치 예방을 위해 불소용액이 필요한 경우(특히 어린이)에는 불소용액조(5)의 불소용액을 물과 함께 분사토록 하므로서 충치예방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즉, 수납합체(1)전면에 돌출된 밸브(8)를 작동시키면, 소불용액조(5)하방에 끼워진 소형공급관(7)을 통해 불소용액이 타측공급관(7')-연결관(9)측으로부터 물과 함께 브러쉬부(22)측으로 분사되어진다. 이때 소형공급관(7)으로 떨어지는 불소용액은 물과 10:1비율로 떨어지게 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불소용액조(5)내에 수장된 불소용액으로 양치질을 도우므로서 특히 어린이들의 충치예방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으며, 상기 불소용액조(5)는 투명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서 사용자가 투시창(5')을 통해 불소용액의 저장범위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칫솔 구동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밧데리를 수납함체에 분리 설치하므로서 칫솔구동본체의 크기, 중량을 극소화시켜 사용 취급이 용이하게 하였으며, 수납함체내에 불소용액조를 설치하여 연결구로부터 공급되는 물과 함께 불소용액을 브러쉬 부촉으로 분사토록 하므로서 어린이들의 충치예방은 물론, 수압에 의해 자연적으로 물을 공급하므로 별도의 펌프 장치등이 필요없게 하여 가격의 저렴화 및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브러쉬부의 두부를 ˝˝형으로 절곡함과 동시 브러쉬 면적을 축소화하여 치아의 내면, 치간 사이의 이물질을 깨끗이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수납함체내의 AC,DC겸용인 전원공급 공급부를 설치하여 다이오드에 의한 전압강하로서 모우터에 공급되는 전압을 조정하게 하므로서 브러쉬부의 작동 속도 및 강약을 조정할 수 있고, 특히 밧데리사용 경과시 푸쉬버튼스위치를 상단으로 올라가면서 작동시킴에 따라 밧데리의 전원을 최대한 활용케 하므로서 밧데리의 교체시간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건전지 케이스를 수납함체에 설치하므로서 보다 많은 밧데리를 수용할 수 있고, 따라서 밧데리의 빈번한 교체를 배제 할수 있도록 하는 유용하고도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칫솔꽂이부(2), 치약꽂이부(3), 수장실(4) 및 전원공급부(16)를 구획하여 형성한 수납함체(1)에 있어서, 수장실(1) 일측에 불소용액조(5)를 삽착하고, 이의 하방내에 소형공급관(7)을 끼워 하측의 공지한 밸브(8)일측에 연결하고, 타측 공급관(7')은 연결관에 연결구성함과 동시, 칫솔구동본체(15)를 가동편(20)일측에 삽착된 구동축(21)의 물공급관(21')하방에 고무관(23)을 착설하며, 이의 타단에는 스틸관(24), 고무관(25)을 연설하되, 고무관(25)하방에는 물공급가동편(26)의 절곡부(26')를 끼워 가동편(26)의 승강작동에 의해 고무관(25)을 개, 폐할수 있도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칫솔.
  2. 제1항에 있어서 전원공급부(16)의 교류직류전원부(16')(16″)의 출력과 밧데리(B) 각각에 직렬로 다이오드(D1)(D2)(D3)(D4)를 연결하고, 이에 각각 푸쉬버튼스위치 (PB1)(PB2)(PB3)(PB4)(PB5)를 연결 구성하여서된 자동칫솔.
KR2019840006723U 1984-07-13 1984-07-13 자동 칫솔 KR8600017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6723U KR860001758Y1 (ko) 1984-07-13 1984-07-13 자동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6723U KR860001758Y1 (ko) 1984-07-13 1984-07-13 자동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210U KR860001210U (ko) 1986-02-26
KR860001758Y1 true KR860001758Y1 (ko) 1986-08-13

Family

ID=19235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6723U KR860001758Y1 (ko) 1984-07-13 1984-07-13 자동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175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210U (ko) 1986-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24563A (en) Personal care power brush
US3274631A (en) Electric cordless toothbrush
US5088145A (en) Electrically powered toothbrush
US4158246A (en) Portable cordless scrubber
CA2540125C (en) Toothbrush with severable electrical connections
US4442830A (en) Mouth douche
US4432729A (en) Personal health care device
US20050238412A1 (en) Toothpaste dispensing automatic toothbrush
US5450646A (en) Pot washer
RU2413479C2 (ru) Электрическая зубная щетка и заменяемые компоненты
US4665921A (en) High potential generating toothbrush
US11109950B2 (en) Combination electric toothbrush and water irrigation device
WO1997042908A1 (en) Electric toothbrush
US20060027246A1 (en) Universal dental tool
KR860001758Y1 (ko) 자동 칫솔
GB2317555A (en) Combined electrical and ionic toothbrush
RU2336846C2 (ru) Электрические зубные щетки и заменяемые компоненты
KR100413209B1 (ko)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전동칫솔
US20160081779A1 (en) Solar powered dental hygiene device
KR200179470Y1 (ko) 충전겸용 칫솔 살균 건조기
JPH0430806A (ja) 電動歯ブラシ
KR900004485Y1 (ko) 전기및 충전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한 전동치솔
CN215533905U (zh) 漱口装置
CN220557974U (zh) 一种电动便携式亮鞋器
KR20050022844A (ko) 세정기능을 갖는 물 분사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