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7723B1 - 액체 조미료용 탁상 용기 - Google Patents

액체 조미료용 탁상 용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7723B1
KR0157723B1 KR1019950020428A KR19950020428A KR0157723B1 KR 0157723 B1 KR0157723 B1 KR 0157723B1 KR 1019950020428 A KR1019950020428 A KR 1019950020428A KR 19950020428 A KR19950020428 A KR 19950020428A KR 0157723 B1 KR0157723 B1 KR 0157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opening
cover
liquid seas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0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3648A (ko
Inventor
다이이치 오오노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오오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6510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26350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4322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103360A/ja
Priority claimed from JP712523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318960A/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오오노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오오노
Publication of KR960003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7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77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8Containers for delivering jam, mustard,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 B65D47/2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a rotational or helicoidal movement
    • B65D47/26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a rotational or helicoidal movement the valve member pivo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container mouth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 B65D47/2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linear movement
    • B65D47/283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linear movement between tubula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상단에 개구가 있는, 액체 조미료를 저장하기 위한 용기본체, 및 개구를 폐쇄하도록 용기본체에 부착되는 뚜껑을 포함하는 액체 조미료용 탁상 용기를 제공한다. 뚜껑은 그 외주변부에 서로 정반대쪽에 위치될 정도로 형성된 유체통로 및 공기입구를 갖는다. 공기입구의 내측 개방 끝에는 공기입구보다 단면적이 더 큰 연장된 공기통로가 연결된다. 공기통로는 뚜껑의 아래쪽으로 경사지면서 유체통로쪽으로 연장된다. 본 탁상 용기는 연장된 공기통로의 개구로부터 액체 조미료로의 공기기포의 흐름을 방해하도록 공기입구에서 떨어진 연장된 공기통로의 개구아래에 위치된 차폐부재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정 조미료용 탁상 용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액체 조미료용 탁상 용기의 한 구체예를 나타내는 축방향 단면 입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선 2-2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선 3-3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탁상 용기의 사용중일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축방향 단면도.
제5도는 제1도의 탁상 용기의 사용중일 때의 또다른 상태를 나타내는 축방향 단면도.
제6도는 제1도의 탁상 용기의 사용중일 때의 추가의 상태를 나타내는 축방향 단면도.
제7도는 제1도의 탁상 용기의 주둥이의 또다른 실시예의 확대도.
제8도는 제1도의 탁상 용기의 추가 실시예의 확대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액체 조미료용 탁상 용기의 또다른 구체예를 나타내는 축방향 단면 입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탁상 용기상에 구비된 고정 덮개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고정 덮개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12도는 제9도의 탁상 용기상에 구비된 이동가능 덮개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이동가능 덮개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14도는 제9도의 화살표 A방향으로 본, 개방위치에 있을 때의 제9도의 탁상 용기의 고정 덮개 및 이동가능 덮개를 나타내는 도면.
제15도는 제14도의 화살표 B방향으로 본, 제9도의 탁상 용기의 상부를 나타내는 도면.
제16도는 제9도의 화살표 A방향으로 본, 폐쇄위치에 있을 때의 제9도의 탁상 용기의 고정 덮개 및 이동가능 덮개를 나타내는 도면.
제17도는 제16도의 화살표 차폐부재방향으로 본, 제9도의 탁상 용기의 상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액체 조미료용 탁상 용기, 특히 탁상 용기에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공기입구가 막히거나 폐쇄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상기 탁상 용기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관련기술의 설명]
콩 소스, 우스터 소스, 붉은 고추 오일 및 국물과 같은 액체 조미료를 저장하기 위한 탁상 용기는 가정과 식당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공지된 탁상 용기는 상단에 개구가 있는 용기 본체 및 개구를 덮도록 용기본체에 끼워지거나 기타 방법으로 부착되는 뚜껑을 포함하고 있다. 탁상 용기는 기울임으로써, 용기본체안에 들어 있는 액체 조미료는 뚜껑을 관통하여 형성된 유체통로를 통해 용기 밖으로 전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탁상 용기는 용기본체에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공기입구를 갖는다. 이 공기입구는 유체통로의 정반대쪽에 있는 뚜껑 주변부분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액체 조미료가 유체통로를 통해 전달될 때 용기본체내의 압력이 감소되지 않게 함으로써 액체 조미료의 연속적인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액체 조미료는 조미료 전달시 공기입구와 접촉하여 전달후까지도 예컨대 액체의 표면장력으로 인해 공기입구에 남아 있기 쉽다. 그 결과, 남아 있는 조미료가 응고하여 공기입구에 축적됨에 따라 공기입구가 좁아지거나 폐쇄됨으로써 용기본체로의 원활한 공기공급이 방해된다. 이 때문에 탁상 용기 사용시의 효율 또는 편리성이 저하된다. 특히 식당에서 사용될 때 그러한 탁상 용기는 자주 점검하고 씻어줄 것을 요한다.
상기 문제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는 JP-A-5-27702에 개시된 바와 같은 액체 조미료용 탁상 용기를 제안하였다. 이 제안된 탁상 용기에는 공기입구의 내측 개방 끝에 연결되고 공기입구보다 단면적이 더 큰 연장된 공기통로가 구비되어 있다. 이 연장된 공기통로는 용기본체의 바닥쪽으로 조금 경사진 채 공기입구에서 유체통로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탁상 용기가 액체 조미료를 따르기 위해 기울여질 때, 연장된 공기통로는 아래쪽으로 수직방향으로 개방되어 공기입구를 통해 도입된 공기가 이 연장된 공기통로에 남아 있게 함으로써, 조미료가 공기입구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만일 상기한 바와 같은 연장된 공기통로를 갖춘 탁상 용기가 액체 조미료를 따르기 위해 보다 많이 기울여진다면, 연장된 공기통로가 아래쪽으로 그러나 비스듬히 개방됨으로써, 즉 공기통로가 수직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짐으로써 공기는 연장된 공기통로에 거의 남아 있지 않을 것이므로 액체 조미료가 공기통로로 유입하게 된다. 그 결과, 액체 조미료가 공기입구에 도달해 버리기 때문에 공기입구가 조미료에 의해 좁아지거나 막히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발명의 개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탁상 용기가 과도하게 큰 각도로 기울어질 때에도 액체 조미료가 공기입구에 도달하는 것이 방지되어 탁상 용기 사용시의 효율 및 편리성을 확실히 개선할 수 있는 탁상 용기에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공기입구를 갖는 액체 조미료용 탁상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달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상단에 개구가 있는, 액체 조미료를 저장하기 위한 용기 본체; 개구를 폐쇄하도록 용기 본체에 부착되고, 외주변부에 서로 정반대쪽에 위치되도록 형성된 유체통로 및 공기입구를 갖는 뚜껑; 공기입구의 내측 개방 끝에 연결되고 공기입구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가지며 뚜껑의 아래쪽으로 경사지면서 유체통로쪽으로 연장되는 연장된 공기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수단; 및 연장된 공기통로의 개구로부터 액체 조미료로의 공기기포의 흐름을 방해하도록 공기입구에서 떨어진 연장된 공기통로의 개구 아래에 위치된 차폐부재로 이루어지는 액체 조미료용 탁상 용기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탁상 용기에 있어서, 차폐수단은 연장된 공기통로의 개구로부터 도입되는 공기기포의 흐름을 방해하여, 탁상 용기가 과도하게 큰 각도로 기울여질 때에도 기포가 개구 주위에 남아 있게 한다. 따라서 액체 조미료가 연장된 공기통로에 들어가 공기입구에 부착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공기입구가 좁아지고 막히는 것이 효과적으로 회피될 수 있어, 탁상 용기 사용시의 효율 및 편리성이 확실히 개선된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차폐부재는 연장된 공기통로의 개구로부터 반경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외부 플랜지, 및 외부 플랜지의 하측 주변부로부터 개구앞의 유체통로쪽으로 위쪽으로 비스듬히 연장되는 덮개판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차폐부재는 연장된 공기통로를 통해 도입되는 기포가 공기통로의 개구주위에 남아 있도록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차폐부재는 그 하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갖는다. 탁상 용기가 액체 조미료를 따른 후 그 직립위치로 되돌려질 때, 이 관통구멍은 차폐부재안에 들어간 액체 조미료가, 저장되어 있는 용기본체의 하부로 낙하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뚜껑은 정반대쪽의 원주부분들을 갖는 상판을 가지며, 유체통로는 상판의 이들 원주부분들중의 한쪽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관에 의해 형성되는 한편, 공기입구는 상판의 다른쪽 원주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구멍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이 상기한 목적 및 임의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과 연관된 이하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의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
먼저 액체 조미료용 탁상 용기(20) 형태의 본 발명의 한 구체예를 나타내는 제1도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22는 대체로 원통형상을 갖고 대향하는 축단부중의 어느 한쪽이 폐쇄된 용기본체를 표시한다. 이 용기본체(22)에 용기본체(22)의 폐쇄되지 않은 축 단부에 형성된 개구(24)를 통해 콩 소스 또는 우스터 소스와 같은 액체 조미료 적당량을 부을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액체 조미료를 탁상 용기(20)에 저장할 수가 있다.
용기본체(22)는 외주면에 홈이 형성되어 나삿니를 가지고 있는 개방된 축단부 부분을 갖는다. 뚜껑(26)은 용기본체(22)의 개구(24)를 폐쇄하기 위하여 용기본체(22)의 나삿니로 되어 있는 축단부 부분에 죄어져 결합된다. 뚜껑(26)은 뒤집어 놓은 얕은 컵같은 형상을 갖는다.
뚜껑(26)과 용기본체(22)의 대향단면 사이에는 밀폐링(28)이 개재된다. 뚜껑(26)과 용기본체(22) 사이에서 그것들에 의한 압력으로 맞물려진 밀폐링(28)에 의해, 탁상 용기(20)에 저장된 액체 조미료가 뚜껑(26)과 용기본체(22)의 맞물림부를 통해 새는 것이 방지된다.
뚜껑(26)은 그 상판(30)의 외주부를 관통하여 서로 대향하여 위치된 설치구멍(32) 및 공기입구구멍(34)을 갖고 있다. 공기입구구멍(34)은 설치구멍(32)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다. 용기본체(22)로부터 액체 조미료가 흐르게 하는 유체통로를 제공하기 위해 설치구멍(32)을 통해 관(36)이 고정삽입된다. 관(36)은 그 상측 개방 끝에 주둥이(33)를 갖는데, 이것을 통해 액체 조미료가 탁상 용기(20) 밖으로 전달된다.
뚜껑(26)의 상면에는 대체로 반쪽 돔형상을 갖는 고정 덮개(35)가 공기입구구멍(34)을 포함하여 뚜껑(26)의 대략 절반을 덮도록 고정부착되어 있다. 고정 덮개(35)는 그것의 하단 대향부에서 그 개구에 인접하여 구비된 한쌍의 피벗핀(37, 37)을 가지고 있다. 또한 고정 덮개(35)보다 곡률반경이 더 큰 대체로 반쪽 돔형상을 갖는 이동가능 덮개(39)가 약 90°이상으로 핀(37) 둘레를 피벗회전가능하도록 피벗핀(37, 37)을 통해 고정덮개(35)에 부착되어 있다.
이동가능 덮개(39)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폐쇄위치에 놓일 때, 고정 덮게(35)의 개구는 이동가능 덮개(39)에 의해 덮혀지고 이들 덮개(35, 39)는 주둥이(33)를 포함하는 관(36)의 노출부와 공기입구구멍(34)을 덮는 돔형상 덮개를 형성하게 된다. 다음에 이동가능 덮개(39)가 피벗핀(37) 둘레를 90° 피벗회전하여 그 개방위치에 놓일 때,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가능 덮개(39)는 고정 덮개(35)의 외면위에 겹쳐지고 주둥이(33)가 있는 관(36)은 외부에 노출된다. 고정 덮개(35)에는 보스(43)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것은 가압판(41)의 가압력하에 덮개(35)의 하단부로부터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보스(43)와의 맞물림으로 인해 이동가능덮개(39)는 개방위치에 유지되어, 즉 고정 덮개(35)의 반경 바깥쪽에 위치되어 탁상용기(20)가 경사지거나 기울때에도 폐쇄가 방지된다.(제4도).
뚜껑(26)의 설치구멍(32)에 설치된 관(36)은 곧은 관상부(38) 및 이 곧은 관상부(38)와 일체로 형성되는 아치 형상의 만곡부(40)를 포함하고 있다. 곧은 관상부(38)측의 관(36)의 축선 끝부분은 설치구멍(32)의 내벽에 밀봉적으로 고정된다. 곧은 관상부(38)은 뚜껑(26)의 중심쪽으로 적당한 각도로 경사져서 뚜껑(26)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해 있다. 만곡부(40)는 뚜껑(26)의 외주쪽으로 만곡되어 있다. 즉, 만곡부(40)는 곧은 관상부의 돌출단에서 반경방향으로 외향 연장되어 관(36) 상단에 형성된 주둥이(33)는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본 구체예에서 관(36)의 상단에 형성된 주둥이(33)는 용기본체(22)로부터 액체조미료가 흘러나오는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오목한 개구를 갖는다. 주둥이(33)의 이 오목한 개구는 관(36)의 만곡부(40)의 안으로 만곡되거나 오목한 끝면에 의해 규정된다. 주둥이(33)는 상단(45)과 하단(47)을 포함하는데 이들 사이에 오목한 끝면이 형성된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둥이(33)의 상단(45)은 액체 조미료가 탁상 용기(20) 밖으로 전달되는 방향으로 하단(47)보다 더 멀리 돌출해 있다.
본 구체예에서 관(36)의 곧은 관상부(38)의 내부직경은 만곡부(40)의 개방 단부의 것보다 더 크며, 또한 곧은 관상부(38)의 하단쪽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즉 곧은 관상부(38)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점 가늘어져 만곡부(40)의 개방단부를 향하여 가늘어지도록 테이퍼되어 있다.
관(36)은 뚜껑(26)으로부터 용기본체(26)안으로 돌출한 연장부(42)를 더 포함하고 있다. 연장부(42)는 만곡부(40)에서 떨어진 곧은 관상부(38)의 하측 축선 끝에서부터 계속 연장되어 반경 바깥쪽으로, 즉 뚜껑(26)의 외주변을 향하여 경사져서 아래쪽으로 돌출해 있다. 연장부(42)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으로 절단된 개방 단부를 갖는다. 즉 연장부(42)의 하단에 형성된 절단면은 연장부(42)의 축선과 직각을 이루지 않고, 뚜껑(26)의 중심측 사이드에 위치된 연장 벽부(46)에 의해 일부 형성되는데, 연장벽부는 관(36)의 하측 축선 끝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뚜껑(26)에 설치된 관(36)의 곧은 관상부(38)는 뚜껑(26)의 중심쪽으로 경사져 있고, 곧은 관상부(38)의 내부직경은 만곡부(40)의 직경보다 더 크도록 테이퍼되어 있다. 따라서 탁상 용기(20)가 액체 조미료를 따른 후 똑바로 세워질 때, 만곡부(40)에 남아 있는 액체 조미료의 일부는 비교적 큰 흡인력을 받게 되는데, 이는 곧은 관상부(38)에 남아 있는 조미료에 중력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 액체 조미료는 관(36)의 만곡부(40)에 의해 형성된 주둥이(33)의 개구에서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연장부(42)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곧은 관상부(38)의 하측 축선 끝으로부터 계속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연장 벽부(46)는 용기본체(22)안으로 더 돌출해 있다. 따라서 액체 조미료를 따른 후 주둥이(33)로부터 용기본체(22)쪽으로 역류하는 조미료의 일부는 연장 벽부(46)에서 연장부(42)를 통해 모여진 다음 용기본체(22)로 낙하한다. 따라서 액체 조미료가 관(36)의 내측 개방끝 즉 연장부(42)에서 효과적으로 제거되거나 또는 배유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주둥이(33)의 상단(45)은 액체 조미료가 탁상 용기(20) 밖으로 전달되는 방향으로 하단(47)보다 더 멀리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단(45)은 하단(47)과 비교할 때 주둥이(33)로 흐르는 액체 조미료와의 접촉면적이 더 크다. 이러한 구성으로 관(36)이 액체 조미료를 전달하거나 따른 후 흡입관으로서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되며, 조미료가 주둥이(33)에서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그 결과 액체 조미료가 주둥이(33)에서 떨어지지 않음으로써, 주둥이(33)에서 떨어지는 액체 조미료로 인해 탁상 용기(20) 또는 그 주위환경이 더러워지는 것과 같은 종래 문제를 해소한다.
또한 주둥이(33)의 개구는 액체 조미료의 흐름방향으로 보았을 때 관(36)의 안으로 만곡되거나 오목한 끝면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액체 조미료를 전달한 후 액체 조미료가 보다 효과적으로 용기내부로 흡입될 수 있게 함으로써 조미료가 보다 높은 안정성으로 주둥이(33)에서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공기입구구멍(34)이 형성되어 있는 뚜껑(26)의 정반대쪽 부분에서는 원통형 본체(52)가 공기입구구멍(34)과 연통되도록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뚜껑(26)의 내면에 고착되어 있다.
원통형 본체(52)는 대체로 원통의 형상을 가지며 한쪽의 단부는 폐쇄되어 있다. 원통형 본체(52)의 바닥부(제1도에서는 윗쪽면을 의미한다.)는 원통벽 및 바닥벽의 일부가 제거되어 비스듬히 절단되어 있는데, 이 절단면은 원통형본체(52)의 내부보어(56)에 달하고 있다. 원통형 본체(52)는, 예컨대, 원통형 본체(52)가 용기본체(22)내에 위치되어 뚜껑(26)의 실질적인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되고 설치구멍(32) 또는 관(36)쪽으로 개방되도록 그 절단면에서 접착제 또는 융합 결합제에 의해 뚜껑(26)의 내면에 결합되어 있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 본체(52)는 내부 보어(56)가 원통형 본체(52)의 바닥부보다 더 낮은 레벨에 위치되는 개구를 가지도록 절단면의 기울기 각도에 대응하는 각도로 뚜껑(26)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다. 이 상태에서 용기본체(52)의 절단면은 내부보어(52)가 뚜껑(26)을 관통하여 형성된 공기입구구멍(34)과 연통되도록 뚜껑(26)에 액밀하게 고정되어 있다. 본 구체예에서 원통형 본체(52)의 내부 보어(56)는 용기본체(22)로의 공기흐름을 허용하는 연장된 공기통로를 제공한다.
내부 보어(56) (원통형 본체(52))의 기울기 각도는 어떤 특정치에 한정되지 않으나 탁상 용기(20)가 액체 조미료를 따르기 위해 기울여지거나 경사질 때 내부 보어(56)가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아래쪽으로 개방되도록 적당히 결정될 수 있다. 내부 보어(56)의 기울기 각도는 또한 따를 때 부주의에 의해 내부 보어(56)에 들어간 액체 조미료가 탁상 용기(20)를 그 직립위치로 되돌렸을 때 쉽게 빠질 수 있도록, 탁상 용기(20)안에 들어있는 액체 조미료의 종류 및 점도에 따라 결정된다. 즉 내부 보어(56)안의 액체 조미료는 탁상 용기(20)가 똑바로 세워져 있는 동안 액체 조미료에 작용하는 중력으로 인해 원통형 본체(52)를 따라 쉽게 흘러내려 용기본체(22)의 저부에 낙하할 것이 요구된다.
원통형 본체(52)의 내부 보어(56)의 직경은 원통형 본체(52)의 내벽에 부착된 액체 조미료가 예컨대 그 표면장력으로 인해 내부 보어(56)를 폐쇄하거나 막지않도록 공기입구구멍(34)의 직경보다 충분히 더 크도록 결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뚜껑(26)에 고착된 원통형 본체(52)에 의해 공기입구 구멍(34)은 원통형 본체(52)의 내부 보어(56)를 통해 용기본체(22) 내부와 연통하도록 유지된다. 따라서 액체 조미료가 탁상 용기(20) 밖으로 전달될 때, 주위 공기가 공기입구구멍(34)과 원통형 본체(52)의 내부 보어(56)를 통해 탁상 용기(20)로 도입된다.
원통형 본체(52)의 개구에는 반경 바깥쪽으로, 즉 본체(52)의 축선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부 플랜지(54)가 형성되어 있다. 외부 플랜지(54)의 상측 주변부는 플랜지(54)의 절단면이 뚜껑(26)의 내면에 결합되도록 일직선으로 절단된다.
구형으로 만곡된 직사각 형상을 갖는 덮개판(58)은 적당한 간격을 두고 원통형 본체(52)와 대향되도록 원통형 본체(52)의 개구앞에 구비된다. 덮개판(58)은 그 하측 길이방향 단부가 외부 플랜지(54)의 하측 주변부에, 그리고 그 상측 길이방향 단부가 관(36)의 연장부(42) 및 뚜껑(26) 내면의 인접부분에 결합되어 있다. 즉 덮개판은 외부 플랜지(54)의 하측 주변부와 관(36)의 연장부(42)에 인접하는 뚜껑(26)의 내면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원통형 본체(52)의 개구는 외부 플랜지(54) 및 덮개판(58)에 의해 덮이거나 둘러싸이는데, 외부플랜지와 덮개판은 개구와 덮개판(58) 사이에 적당한 공간을 형성하면서 개구의 아래 및 앞에 위치하고 있다. 본 구체예에서 외부 플랜지(54) 및 덮개판(58)은 적당한 공간으로 개구를 차폐하거나 또는 덮기 위해 하나의 연장된 공기통로로서 원통형 본체(52)의 내부 보어(56)의 개구부 하류측에 위치되는 차폐부재(64)를 구성하게 된다.
차폐부재(64)의 외부 플랜지(54)는 덮개판(58)에 결합되는 그 하측 주변부의 반경중간부분을 관통하여 형성된 반원형 노치를 갖고 있다. 이 노치는 외부 플랜지(54)와 덮개판(58)의 결합부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관통구멍(66)을 제공한다.
탁상 용기(20)가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안에 들어있는 액체 조미료(62)를 주둥이(33)를 통해 따르거나 전달하기 위해 기울여질 때, 원통형 본체(52)의 내부보어(56)의 개구가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아래쪽으로 향하고, 공기가 용기본체(22)안으로 내부 보어(56)를 통해 도입되므로, 액체 조미료(62)가 내부 보어(56)에 들어가서 공기입구구멍(34)과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의해 공기입구구멍(34)에 부착된 액체 조미료(62)에 의해 야기되는 공기입구구멍(34)의 좁아짐 또는 폐쇄와 같은 종래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제5도 및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탁상 용기(20)가 원통형 본체(52)가 수직방향에 대하여 경사질 정도로 크게 기울어져 원통형 본체(52)의 내부 보어(56)의 개구가 아래쪽으로 비스듬히 향해질 때, 차폐부재(64)는 내부 보어(56)의 개구앞에서 위쪽으로 위치되며, 내부 보어(56)의 개구로부터 액체 조미료(62)에 도입되어 있던 기포형태의 공기는 차폐부재(64)의 존재로 인해 떠오르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공기는 차폐부재(64)와 내부 보어(56)의 개구 사이에 있는 액체 조미료(62)의 일부속에 적당량의 기포를 남기면서 차폐부재(64) 주위를 지나 차폐부재(64)의 길이방향 반대쪽에서 떠오르게 된다. 이 특정 구체예에서, 차폐부재(64)는 구형으로 만곡된 평평한 본체 형태의 덮개판(58) 및 원통형 본체(52)의 내부 보어(56)의 전체 원주에 걸쳐 적당한 폭으로 형성되는 외부 플랜지(54)로 구성된다. 이 구조에 의해 기포는 원통형 본체(52)의 내부 보어(56)의 개구 주위에 확실히 남아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원통형 본체(52)의 내부 보어(56)를 통해 액체 조미료(62)속으로 흘러들어가는 기포는 조미료 속으로 바로 유입되지 않고, 차폐부재(64)에 의해 정지되어 내부보어(56)의 개구 주위에 잔류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탁상 용기(20)가 내부 보어(56)가 수직방향에 대하여 경사질 정도로 많이 기울어질 때라도, 공기입구구멍(34)을 통해 도입된 공기가 내부보어(56)내에 유리하게 남아 있어 액체 조미료(62)가 내부 보어(56)에 들어가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그 결과 액체 조미료(62)가 공기입구구멍(34)과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어, 액체 조미료가 구멍(34)에 부착하여 야기되는 공기입구구멍(34)의 좁아짐 또는 폐쇄와 같은 상기한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차폐부재(64)는 원통형 본체(52)의 내부 보어(56)의 개구 아래에 위치되므로, 액체 조미료를 따른 후 탁상 용기(20)가 똑바로 세워져 액체 조미료가 용기본체(22)의 하부로부터 튀길 때에도 탁상 용기(20)에 들어있는 액체 조미료가(62)가 원통형 본체(52)의 내부 보어(56)에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본 구체예에서, 관통구멍(66)은 차폐부재(64)의 최저위치에 위치되는 외부 플랜지(54)와 덮개판(58)의 상호 결합부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액체 조미료를 따른 후 탁상 용기(20)가 똑바로 세워질 때, 차폐부재(64)안으로 들어간 액체 조미료(62)는 관통구멍(66)을 통해 용기본체(22)로 쉽게 빠질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차폐부재(64)안으로 들어간 액체 조미료(62)가 원통형 본체(52)의 내부보어(56)속으로 흘러들어가거나 또는 차폐부재(64)의 내측 하부에 남아서 축적되는 것이 방지된다. 관통구멍(66)은 또한 탁상 용기(20)가 액체조미료(62)를 따르기 위해 기울여질 때 차폐부재(64)내에 남아 있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작용을 한다.
차폐부재(64)의 곡률, 폭 및 기타 특징과 차폐부재(64)와 원통형 본체(52)의 내부보어(56)의 개구간의 간격은, 예컨대 탁상 용기(20)가 과도하게 큰 각도로 기울여질 때, 액체조미료(62)가 원통형 본체(52)의 내부 보어(56)에 들어가지 않고 기포가 내부 보어(56)의 개구 주위에 남아 있을 수 있도록, 탁상 용기(20)안에 담길 액체조미료(62)의 점도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원통형 본체(52)의 내부 보어(56)는 공기입구구멍(34)보다 충분히 더 큰 직경을 가지며, 원통형 본체(52)는 내부 보어(56)의 개구가 원통형 본체(52)의 바닥부보다 더 낮은 레벨에 위치되도록 뚜껑(26)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따라서 만일 액체 조미료가 내부 보어(56)에 들어가더라도 액체 조미료가 공기입구구멍(34)에는 거의 도달하지 못한다. 게다가 내부 보어(56)에 들어가는 액체 조미료가 내부 보어(56)를 폐쇄시키는 문제를 일으킴이 없이 쉽게 빠질 수 있다.
본 구체예의 탁상 용기(20)에 있어서, 관(36)에는 용기본체(22) 내측에 노출되는 관(36)의 내측 개방 끝에서 액체 조미료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용기본체(22)속으로 돌출된 연장된 벽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으로 관(36)의 좁아짐이나 막힘이 효과적으로 회피된다. 따라서 본 탁상 용기(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공기입구구멍(34)뿐만 아니라 관(36)이 좁아지거나 막힘이 없이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에 제9도 내지 제17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 구체예를 설명하는데, 이것은 공기입구구멍(34) 및 주둥이(33)를 포함하는 관(36)의 노출부를 덮기 위한, 뚜껑(26)의 상면에 부착된 덮개의 구성만 제1구체예와 다르다.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덮개(68)는 뚜껑(26)의 상면에 고정되고, 이동가능덮개(70)는 고정 덮개(68)의 외면을 덮도록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대체로 원통형상을 갖는 고정 덮개(68)는 원통부(72)와 그 축선 끝에 형성된 바닥벽(76)을 포함한다. 고정 덮게(68)는 원통부(72)의 두께를 뚫고 형성된 내부 창(74)을 갖는다.
제10도 및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체로 직사각 형상을 갖는 내부 창(74)은 고정덮개(68)의 원통부(72) 및, 원통부(72)의 제거부로부터 계속해서 연장되는 바닥벽(76)의 외주변부의 약 ¼을 제거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렇게 하여 제거된 외주변부는 바닥벽(76) 원주 에지(75) 및 대향하는 반경 에지(77 및 79)에 의해 형성된다. 반경 에지(77, 79)의 반경 내측 끝에는 원주 에지(75)의 양 끝으로부터 바닥벽(76)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각 오목부(88, 89)가 형성되어 있다.
이동가능 덮개(70)는 고정 덮개(68)보다 약간 더 큰 크기를 갖는 대체로 원통형의 부재이다. 이 이동가능 덮개(70)는 원통부(82)와 그 축선 끝에 형성된 바닥벽(78)을 포함한다. 바닥벽(78)의 중심에는 회전 핀(80)이 바닥벽(78)의 내면으로부터 적당한 거리로 돌출되어 있다. 회전 핀(80)은 그 말단에 공모양 스토퍼(81)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고정 덮개(68)의 바닥벽(76)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구멍(86)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큰 외부직경을 갖는다. 대체로 직사각 형상을 갖는 외부 창(84)은 원통부(82)의 약 ¼의 제거함으로써 이동가능 덮개(70)의 원통부(82)의 두께를 뚫고 형성된다.
이동가능 덮개(70)에는 바닥벽(78)의 내면의 반경 중간부분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스틱모양 맞물림 핀(90)이 구비되어 있다.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맞물림 핀(90)은 이동가능 덮개(70)의 중심과 외부 창(84)의 원주방향 양 끝(92, 94)중의 한 끝(92)을 연결하는 이점 쇄선(P) 상에 위치되는데, 상기 한 끝은 바닥벽(78)의 시계방향으로 보았을 때 다른 끝(94)의 후방에 위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고정 덮개(68)는 내부 창(74)이 뚜껑(26)에 설치된 관(36)의 주둥이(33)에 대응, 즉 정렬되도록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부(72)의 하단면이 뚜껑(26)의 외주변부에 결합된다. 다음에 이동가능 덮개(70)가 회전핀(80)이 고정 덮개(68)의 바닥벽(76)의 중심에 형성된 관통구멍(86)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맞물림 핀(90)이 내부 창(74)의 오목부(88, 89)중의 하나를 관통하여 삽입되면서 고정 덮개(68)의 외면에 장착된다.
이러한 식으로 고정 덮개(68)는 관(36)의 주둥이(33)가 내부 창(74)을 통해 밖에 노출되도록 뚜껑(26)의 상면을 덮으면서 뚜껑(26)에 고정된다. 고정 덮개(68)상에 구비된 이동가능 덮개(70)는 고정 덮개(68)에 대하여 회전핀(80) 둘레를 회전가능하다. 고정 덮개(68)에 대한 이동가능 덮개(70)의 회전각도는 내부 창(74)의 원주 끝에 형성된 두 개의 오목부(88, 89)와 맞물림 핀(90)의 맞물림에 의해 결정된다. 즉 맞물림 핀(90)은 바닥벽(76)의 원주 에지(75)를 따라 이동되는 한편 이동가능 덮개(70)는 고정 덮개(68)에 대하여 회전 핀(80) 둘레를 회전한다. 고정 덮개(68)에 대해 이와 같이 위치되는 이동가능 덮개(70)에 의해 공모양 스토퍼(81)는 고정 덮개(68)의 바닥벽(76) 내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탁상 용기(20)가 기울어질 때, 스토퍼(81)가 그 외주변에서 관통구멍(86)을 형성하는 바닥벽(76)의 내면의 일부와 맞물리므로, 이동가능 덮개(70)가 고정 덮개(68)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동가능 덮개(70)가 제1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제14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고정 덮개(68)에 대하여 회전될 때, 맞물림 핀(90)은 바닥벽(76)의 시계방향으로 보았을 때 다른 하나의 오목부(89)의 후방에 위치된 오목부(88)와 맞물리게 됨으로써, 내부 및 외부 창(74, 84)의 대응하는 원주 끝(77, 92)은 서로 정렬된다. 즉 내부 및 외부 창(74, 84)은 제1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정렬된다. 따라서 관(36)의 주둥이(33)는 이들 창(74, 84) 밖에 노출된다. 맞물림 핀(90)이 오목부(88)와 맞물려 유지됨에 따라 이동가능 덮개(70)가 고정 덮게(68)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동가능 덮개(70)가 제1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제16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고정 덮개(68)에 대하여 회전될 때, 맞물림 핀(90)은 바닥벽(76)의 시계방향으로 보았을 때 오목부(88)의 전방에 위치된 오목부(89)와 맞물리게 됨으로써, 이동가능덮개(70)의 외부 창(84)의 원주 끝(92)은 바닥벽(76)의 시계방향으로 고정 덮개(68)의 내부 창(74)의 원주 끝(79)의 전방에 (원주 끝(77)의 반대쪽에) 위치된다. 따라서 내부 창(74)은 이동가능 덮개(70)의 원통부(82)에 의해 덮힌다. 그 결과 고정 덮개(68)의 내부 창(74)은 제1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쇄되고, 관(36)의 주둥이(33)는 고정 덮개(68) 및 이동가능 덮개(70)에 의해 덮이며, 따라서 위생적으로 보호된다. 덮개(68, 70)가 이 폐쇄위치에 놓일 때, 이동가능 덮개(70)가 고정 덮개(68)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오목부(88, 89) 및 맞물림 핀(90)은 각각 이동가능 및 고정 덮개(68, 70)의 제1 및 제2 맞물림부를 구성함을 알 것이다.
본 구체예의 탁상 용기(20)에 있어서, 고정 덮개(68)의 내부 창(74)은 단지 이동가능덮개(70)를 고정 덮개(68)에 대하여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기만 함으로써 용이하게 폐쇄 및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관(36)의 말단에 형성되어 액체 조미료를 탁상 용기(20) 밖으로 전달하는 주둥이(33)는 용이하게 고정 덮개(68) 및 이동가능 덮개(70)에 의해 덮이거나 또는 탁상 용기(20) 밖에 노출될 수 있다.
게다가 본 구체예에 있어서, 이동가능 덮개(70)는 탁상 용기(20)의 횡방향 즉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둘레를 피벗회전하지 않고 탁상 용기(20)의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핀(80) 둘레를 회전하여 내부 창(74)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따라서 탁상 용기(20)가 액체 조미료를 따르기 위해 기울여질 때 이동가능 덮개(70)가 그 자체의 중량으로 인해 폐쇄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내부 창(74)이 확실히 완전히 개방되게 하거나 또는 그 개방위치에 이동가능 덮개(70)를 유지시키기 위한 부재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구체예의 탁상 용기(20)에서 주둥이(33)는 어떤 복잡한 절차와 구성없이도 탁상 용기(20) 밖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 게다가 탁상 용기(20)가 액체 조미료를 따르기 위해 기울여질 때 주둥이(33)는 확실히 밖에 노출된다. 이 경우에 액체 조미료가 이동가능 덮개(70)안에 따라지거나 이동가능 덮개(70)에 의해 여기저기 뿌려지지 않아서 탁상 용기(20) 및 그 주위환경이 액체 조미료에 의해 더럽혀지지 않음으로써, 탁상 용기(20) 사용시의 편리성 및 효율이 확실히 개선된다.
고정 덮개(68)에 대한 이동가능 덮개(70)의 회전은 고정 덮개(68)의 내부 창(74)의 원주 양 끝에 형성된 두 개의 오목부(88, 89)와 맞물림 핀(90)의 맞물림에 의해 저지된다. 따라서 이동가능 덮개(70)는 이들 두 덮개(68, 70)의 상호에 대한 복잡한 위치설정을 요함이 없이 높은 효율로 그 개폐위치에 선택적으로 놓여질 수 있다. 이것도 또한 본 탁상 용기(20)의 사용 편리성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을 예시의 목적만으로 바람직한 구체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달리 구체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연장된 공기통로(내부 보어)의 길이, 단면 형상 및 기타 특징은 예시된 구체예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담길 액체의 점도에 따라 적당히 결정될 수 있다.
예시된 구체예에서 관(36) 및 공기입구구멍(34)과 설치구멍(32)은 둘 다 뚜껑(26)의 상판(30)을 관통하여 탁상 용기(20)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구멍은 뚜껑(26)의 측벽을 관통하여 가로로 또는 비스듬히 형성될 수도 있다.
예시된 구체예에서 관(36)의 상단에 형성된 주둥이(33)의 개구는 관(36)의 만곡부(40)의 오목한 끝면에 의해 형성된다. 게다가 주둥이(33)의 상단(45)은 액체 조미료가 탁상 용기(20) 밖으로 전달되는 방향으로 하단(47)보다 더 멀리 돌출하고 있다. 그러나 주둥이(33)의 개구 형상은 예시된 구체예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단(45)이 액체 조미료의 흐름방향으로 전방으로 하단(47)보다 더 멀리 돌출하는 것을 조건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둥이(33)의 개구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관(36)의 경사지거나 기운 끝면, 또는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관(36)의 만곡된 끝면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차폐부재는 원통형 본체(52)의 내부 보어(56)의 개구 아래에 위치될 것만을 요한다. 즉 차폐부재는 주둥이 쪽의 뚜껑(26)까지 연장될 필요는 없다. 게다가 외부 플랜지(54)는 내부 보어(56) 개구의 전체 원주에 걸쳐 형성될 필요는 없고 그 원주부의 일부를 따라 형성될 수 도 있다.
차폐부재의 형상은 예컨대 탁상 용기(20)에 담길 액체 조미료의 점도를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점도가 비교적 작은 액체 조미료가 사용될 경우, 차폐부재(64)의 관통구멍(66)은 크기가 축소되거나 페쇄될 수 있고, 또는 기포가 연장된 공기 통로의 개구 주위에 남아 있을수 있도록 원통형 본체(52)의 외부 플랜지(54)와 덮개판(58)의 하단 대향측면간의 공간을 덮음으로써 포켓모양의 차폐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차폐부재의 형상은 예시된 구체예에 한정되지 않고, 전 차폐부재가 원통형 본체(52)의 내부 보어(56)의 개구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뚜껑(26)상에 구비된 이동가능 덮개(39)는 제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다음 청구범위에 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계에 숙련된 자들에게 자명한 여러 가지 다른 변경, 수정 및 개선에 의해 구체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1)

  1. 액체 조미료용 탁상 용기(20)에 있어서, 상단에 개구가 있는 액체 조미료(62)를 저장하기 위한 용기본체(22); 상기 개구를 페쇄하도록 상기 용기본체에 부착되고, 외주변부에 서로 정반대쪽에 위치되도록 형성된 유체통로 및 공기입구(34)를 갖는 뚜껑(26); 상기 공기입구(34)의 내측 개방 끝에 연결되고 상기 공기입구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가지며 상기 뚜껑의 아래쪽으로 경사지면서 상기 유체통로쪽으로 연장되는 연장된 공기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수단(52); 및 상기 연장된 공기통로의 개구로부터 액체 조미료(62)로의 공기기포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상기 공기입구(34)에서 이격되어 상기 연장된 공기통로의 상기 개구 아래에 위치된 차폐부재(64)로 이루어지는 액체조미료용 탁상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64)는 상기 연장된 공기통로의 상기 개구로부터 반경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외부 플랜지(54), 및 상기 외부 플랜지(54)의 하측 주변부로부터 상기 유체통로쪽으로 위쪽으로 비스듬히 연장되어 상기 연장된 공기통로의 상기 개구를 간격을 두고 덮는 덮개판(58)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조미료용 탁상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플랜지(54)는 상기 연장된 공기통로의 상기 개구의 전체 원주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조미료용 탁상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64)는 그 하부에 형성된 관통구멍(66)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조미료용 탁상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6)은 반경방향으로 대향하는 원주부분들을 갖는 상판(30)을 가지고 있고, 상기 유체통로는 상기 상판의 상기 대향하는 원주부분들중의 어느 한 부분에서 위쪽으로 연장되는 관(36)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입구(34)는 상기 대향하는 원주부분들중의 다른 부분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구멍(34)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조미료용 탁상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36)은 상기 상판(30)의 상기 대향하는 원주부분들중의 어느 한 부분에서 상기 용기본체속으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일체 형성된 연장부(42)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조미료용 탁상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수단은 그 한쪽 축선 끝에 개구가 있고 다른쪽 축선 끝에 바닥벽이 있는 원통형 본체(52)로 되어 있으며, 상기 원통형 본체(52)는 상기 뚜껑(26)의 아래쪽으로 경사지면서 상기 뚜껑(26)의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바닥벽쪽에서 상기 뚜껑(26)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조미료용 탁상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통로는 상기 뚜껑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고 그 상측 개방 끝에 주둥이(33)를 갖는 관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둥이는 개구를 형성하는 상단(45) 및 하단(47)을 갖고, 상기 상단(45)은 상기 용기본체(22)로부터 액체 조미료(62)가 흘러나오는 방향으로 상기 하단(47) 보다 더 멀리 돌출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조미료용 탁상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둥이(33)의 상기 개구는 상기 용기본체(22)로부터 액체 조미료(62)가 흘러나오는 상기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관의 오목한 끝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조미료용 탁상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통로는 상기 뚜껑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어 그 상측 개방 끝에 주둥이(33)를 갖는 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탁상 용기(20)는 상기 뚜껑(26)의 상면을 덮기 위한, 단면이 원형인 고정 덮개(68), 및 고정 덮개(68)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고정 덮개를 덮기 위한, 단면이 원형이고 상기 고정 덮개보다 크기가 더 큰 이동가능 덮개(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덮개(68)는 그 원통형 벽을 관통하여 형성된 내부 창(74)을 갖고, 상기 관의 상기 주둥이(33)는 상기 내부 창(74)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이동가능 덮개(70)는 그 원통형 벽(82)을 관통하여 형성된 외부 창(84)을 갖고, 상기 이동가능 덮개(70)는 상기 고정 덮개(68)에 대하여 회전되어 상기 주둥이(33)l가 밖에 노출되도록 상기 내부 창(74) 및 외부 창(84)이 서로 정렬되는 개방위치 및 상기 내부 창(74)이 상기 이동가능 덮개(70)의 상기 원통형 벽(82)에 의해 덮히는 폐쇄위치에 선택적으로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조미료용 탁상 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덮개(68) 및 상기 이동가능 덮개(70)는 각각 제1맞물림부(88, 90) 및 제2 맞물림부(89, 90)를 갖고, 상기 제1 및 제2 맞물림부(88, 89, 90)는 상기 이동가능 덮개가 상기 개방위치 및 상기 폐쇄위치에 놓일 때 이동가능 덮개(70)가 고정 덮개(68)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서로 맞물려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조미료용 탁상 용기.
KR1019950020428A 1994-07-18 1995-07-12 액체 조미료용 탁상 용기 KR01577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65109 1994-07-18
JP6165109A JPH0826350A (ja) 1994-07-18 1994-07-18 液体調味料用卓上容器
JP6243228A JPH08103360A (ja) 1994-10-07 1994-10-07 液体調味料用卓上容器
JP94-243228 1994-10-07
JP95-125239 1995-05-24
JP7125239A JPH08318960A (ja) 1995-05-24 1995-05-24 液体調味料用卓上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648A KR960003648A (ko) 1996-02-23
KR0157723B1 true KR0157723B1 (ko) 1998-11-16

Family

ID=27315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0428A KR0157723B1 (ko) 1994-07-18 1995-07-12 액체 조미료용 탁상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511700A (ko)
KR (1) KR01577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892A (ko) * 1999-11-10 2000-02-07 김성진 우산살에 실대신 기리비스(기리볼트)와 넛트 사용 우산
US7275665B2 (en) * 2000-12-14 2007-10-02 Young John L Vented fluid closure and container
US8127565B1 (en) * 2009-03-12 2012-03-06 Lange Debra J Refrigerating device
CA2732363A1 (en) * 2010-02-26 2011-08-26 Trudeau Corporation 1889 Inc. Dispenser for oil and vinegar
KR102538844B1 (ko) 2018-12-21 2023-06-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727678D0 (en) * 1987-11-26 1987-12-31 Goodall D T Pouring device
US5228603A (en) * 1990-09-04 1993-07-20 Pham Ninh G Fluid flow control device for a container and container therewith
US5133482A (en) * 1990-11-28 1992-07-28 Ebtech, Inc. Syrup dispenser valve assembly
JPH0798017B2 (ja) * 1992-03-31 1995-10-25 泰一 大野 液体調味料用卓上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511700A (en) 1996-04-30
KR960003648A (ko) 199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349018A (ja) 飲料用容器
CA1330322C (en) Dispensing container closure
KR0157723B1 (ko) 액체 조미료용 탁상 용기
JPH0858781A (ja) 液体容器の注出具
JPH072500B2 (ja) 液体容器
JP2001208218A (ja) 液体容器用および液体導管用フラップコック
US5071549A (en) Jug and filter vessel for coffee or tea
JPH08324619A (ja) 液体注出キャップ
JP4140678B2 (ja) ヒンジキャップ
RU2002116662A (ru) Пробка для разлива вязких жидкостей
JP2000079946A (ja) 液体容器
JPH0826350A (ja) 液体調味料用卓上容器
JP3012793U (ja) 液体調味料用卓上容器
JPH08103360A (ja) 液体調味料用卓上容器
JP2004001836A (ja) 注出キャップ
EP1535854A1 (en) Cap for containers with cover lid rotating on a transverse horizontal axis snap activated by pushing with a finger or thumb
JP2004210354A (ja) 容器
JP3546585B2 (ja) 液体容器
KR900001079Y1 (ko) 액체용기의 마개겸용 유출구
JP4524814B2 (ja) 注出キャップ
JP2021195165A (ja) 飲料容器の栓体
JPH10290755A (ja) 液体容器の中栓
JPH0798017B2 (ja) 液体調味料用卓上容器
JPH1016999A (ja) 液体容器
JPS63564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