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7145B1 - 명태내장의 불가식부분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명태내장의 불가식부분 처리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7145B1
KR0157145B1 KR1019950029347A KR19950029347A KR0157145B1 KR 0157145 B1 KR0157145 B1 KR 0157145B1 KR 1019950029347 A KR1019950029347 A KR 1019950029347A KR 19950029347 A KR19950029347 A KR 19950029347A KR 0157145 B1 KR0157145 B1 KR 0157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lack
tubular body
screen
outlet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9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4573A (ko
Inventor
안성기
이원동
이호연
Original Assignee
임우근
한성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우근, 한성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임우근
Priority to KR1019950029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7145B1/ko
Publication of KR970014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4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7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71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14Beheading, eviscerating, or cleaning fish
    • A22C25/145Eviscerating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명태내장의 불가식부분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단부의 유입구와 타단부의 유출구를 가지고, 유출구에 인접한 영역에 다수의 관통공이 있는 스크린부를 갖는 관상체와; 관상체내에서 회전 구동되어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명태내장을 가압이송하는 스크류부와, 스크류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스크린부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상기 스크린부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있는 원통부로 이루어진 스크류축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명태내장의 불가식부분을 기계화된 장치에 의해 자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명태내장의 불가식부분 처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명태내장의 불가식부분 처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명태내장의 불가식부분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명태내장은, 우리 국민에게 선호도가 높은 소위 창란젓이라 불리는 젓갈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명태로부터 채취된 명태의 내장 모두가 그대로 창란젓의 원료로 되는 것은 아니고, 창자나 위등 약 40%미만의 부분만이 가식부분으로서 창란젓의 제조에 이용된다. 그래서, 창란젓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명태로부터 그 내장을 채취한 다음 내장에 포함되어 있는 60%이상의 불가식부분인 간, 정소, 이자, 콩팥, 유문수등을 제거하는 작업이 필수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불가식부분의 제거작업은 종래, 손이나 발로 흩어내는 수작업에 전적으로 의존하여 왔기 때문에, 많은 인력이 소요되고 낮을 뿐만아니라 원가상승의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명태내장내의 불가식 부분을 기계적인 방법으로 자동화하여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일단부의 유입구와 타단부의 유출구를 가지고, 유출구에 인접한 영역에 다수의 관통공이 있는 스크린부를 갖는 관상체와; 관상체내에서 회전 구동되어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명태내장을 가압이송하는 스크류부와, 스크류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스크린부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상기 스크린부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있는 원통부로 이루어진 스크류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태내장의 불가식부분 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명태내장이 스크린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가압되므로, 비교적 조직강도가 낮고 크기가 작은 불가식부분은 스크린부의 관통공들을 통해 외부로 밀려나게 되어, 가식부분인 창자나 위만이 유출구에서 얻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원통부는 표면에 회전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선형으로 돌출한 돌기부를 가짐으로써, 원통부에서 내장의 방사상의 가압과 축방향의 이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불가식부분을 효과적으로 방출하고 가식부분의 손실을 막기 위해, 스크린의 관통공은 그 직경이 1.5㎜ 내지 6㎜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류측은 관상체의 유입측에서만 구동지지되고 유출영역에서는 베어링지지되지 않는 외팔보의 형태로 함으로써, 불가식부분이 제거되어 유출구를 향해 이동되는 가식부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명태내장의 불가식부분 처리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처리장치는 대체로, 긴 원통상의 관상체(10)와, 이 관상체(10)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는 스크류축(20)을 가지고, 스크류축(20)의 지지를 위한 축지지부(30) 및 전동용 풀리(31)와 구동모터(32)가 마련되어 있어, 스크류축(20)은 관상체(10)내에서 회전구동될 수 있다.
관상체(10)는 스크류축(20)의 지지부(30)에 인접하여 유입구(11)를 가지고, 이 유입구(11)에는 재료공급부(12)가 연결되어 있다. 관상체(10)의 유입구(11)의 대향측에는 비교적 작은 직경의 유출구(13)가 마련되어 있고, 유출구(13)에 인접한 영역에 다수의 관통공(17)이 형성된 스크린부(16)가 마련되어 있다. 관통공(17)은 불가식부분의 방출을 위한 것으로서 1.5 내지 6㎜의 직경을 갖는다.
관상체(10)내의 스크류축(20)은, 관상체(10)의 유입구(11)측에 나선상의 스크류산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부(21)를 가지고, 관상체(10)의 스크린부(16)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스크류부(21)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스크류산이 없는 원통부(22)를 가진다. 원통부(22)의 자유단은 베어링지지되지 아니하며, 따라서 스크류축(20)은 전체적으로 외팔보의 형태로 지지부(30)에 지지되어 있다. 원통부(22)는 스크린부(16)의 내표면과 비교적 좁은 간격을 두고 있으며, 그 표면에는 나선상의 돌기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명태로부터 채취된 명태내장은 재료공급부(12)를 통해 관상체(10)의 유입구(11)로 공급되며, 유입구(11)를 통해 관상체(10)의 내부로 들어온 명태내장은, 구동모터(32)에 의해 회전구동되고 있는 스크류축(20)의 스크류부(21)에 의해 관상체(10)의 유출구(13)를 향하여 이송되게 된다. 스크류축(20)에 의해 이송되는 명태내장은, 관상체(10)의 스크린부(16)와 스크류축(20)의 원통부(22)간의 틈새가 비교적 좁고 또 유출구(13)의 직경이 유입구(11)에 비해 작으므로, 이송과정에서 가압되게 된다. 특히 스크류부(21)의 피치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1)측으로부터 유출구(13)측으로 갈수록 작아질 경우 가압이송의 효과는 커질 수 있다.
스크류부(21)에 의해 가압이송되는 명태내장이 원통부(22) 즉 스크린부(16)에 도달하면, 명태내장중 스크린부(16)의 관통공(17)의 직경보다 작거나 조직강도가 낮은 내장부분은 관통공(17)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게 되고, 조직강도가 비교적 높은 가식부분인 창자나 위는 방출되지 아니하고 스크류부(21)의 가압이송력에 의해 축방향으로 계속 진행한다. 특히 창자 등의 내부에 잔존하는 미소화부분도 가압작용에 의해 창자등으로부터 밀려나오고, 혹은 가압력에 의해 창자등이 찢겨져 방출되어 스크린부(16)를 통해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원통부(22)의 외표면에 돌출한 나선상의 돌기부(23)는 원통부(22)영역에서의 내장의 이송과 압착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관상체(10)의 스크린부(16)영역에서 불가식부분이 제거되어 거의 가식부분만을 갖는 명태내장은 유출구(13)를 향하여 계속 이동하여 유출구(13)를 통해 배출된다. 유출구(13)에서 얻어진 명태내장은 불가식부분이 50 내지 80%정도 제거되어 대부분의 가식부분만을 가진다.
이와 같이 처리된 명태내장은 사람의 수작업에 의한 잔존 불가식부분의 마무리처리과정으로 보내어지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본 처리장치에 재차 투입하여 2차처리를 행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명태내장의 불가식부분은 기계화된 장치에 의해 자동적으로 처리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의 향상과 인건비의 절감등 우수한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4)

  1. 명태 내장의 불가식 부분 처리장치에 있어서, 일단부의 유입구(11)와 타단부의 유출구(13)를 가지고, 상기 유출구(13)에 인접한 영역에 다수의 관통공(17)이 있는 스크린부(16)를 갖는 관상체(10)와; 상기 관상체(10)내에서 회전 구동되어 상기 유입구(11)로부터 유입된 명태내장을 가압 이송하는 스크류축(21)과, 상기 스크류축(21)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스크린부(16)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상기 스크린부(16)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있는 원통부(22)로 이루어진 스크류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태 내장의 불가식부분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22)는 표면에 회전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선형으로 돌출한 돌기부(2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태 내장의 불가식부분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관통공(17)은 그 직경이 1.5 내지 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태 내장의 불가식부분 처리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축(21)은 외팔보 형태로 회전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태 내장의 불가식부분 처리장치.
KR1019950029347A 1995-09-07 1995-09-07 명태내장의 불가식부분 처리장치 KR0157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9347A KR0157145B1 (ko) 1995-09-07 1995-09-07 명태내장의 불가식부분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9347A KR0157145B1 (ko) 1995-09-07 1995-09-07 명태내장의 불가식부분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573A KR970014573A (ko) 1997-04-28
KR0157145B1 true KR0157145B1 (ko) 1998-10-01

Family

ID=19426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9347A KR0157145B1 (ko) 1995-09-07 1995-09-07 명태내장의 불가식부분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714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573A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4369B2 (en) Meat dewatering assembly
US7887398B2 (en) Fat removal and recovery systems and methods using steam
KR0157145B1 (ko) 명태내장의 불가식부분 처리장치
DE3565038D1 (en) Separating head for treating crushed carcasses and machine provided with this separator
US3356119A (en) Fishbone separator
US5098335A (en) Processing roll assembly
NL2014512B1 (en) Apparatus for mechanically processing an organ or organs taken out from slaughtered poultry.
US3971102A (en) Shrimp peeler roller system
KR100437675B1 (ko) 멸치 내장 제거장치
JP2709439B2 (ja) 二枚貝の開口方法および装置
KR20200021692A (ko) 해삼 가공장치 및 방법
KR840000028B1 (ko) 통마늘 자동고속 탈피기
JPH0357596A (ja) スクリュー式脱水機における目詰り防止装置
CN214903653U (zh) 一种花生脱皮装置
KR930004457B1 (ko) 땅콩 탈피기
SE448668B (sv) Med en skruvtransportor forsedd skalare for vegetabiliska produkter
KR200369851Y1 (ko) 슬러지 탈수장치
KR100844720B1 (ko) 오징어 탈피장치
KR890006946Y1 (ko) 오징어발 탈피기
KR20040027703A (ko) 오징어 가공기
KR890006387Y1 (ko) 잣 껍질 까기 기기
KR880004195Y1 (ko) 농수산물 고압 여과 장치
KR20060028055A (ko) 슬러지 탈수장치
GB2084853A (en) Preparation of a food product based on fish
KR20000010163U (ko) 오징어의 내장 자동제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