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5735B1 -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high density digital signal - Google Patents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high density digital sig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5735B1
KR0155735B1 KR1019930012401A KR930012401A KR0155735B1 KR 0155735 B1 KR0155735 B1 KR 0155735B1 KR 1019930012401 A KR1019930012401 A KR 1019930012401A KR 930012401 A KR930012401 A KR 930012401A KR 0155735 B1 KR0155735 B1 KR 0155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signal
recording
signal
data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24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50001714A (en
Inventor
김병수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30012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5735B1/en
Publication of KR950001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7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5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5735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Abstract

이 발명은 고밀도 디지탈 신호의 기록 및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밀도의 디지탈 신호를 기록하고 재생하는데 있어서 많은 에러가 발생할 확률이 높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디지탈 신호를 자기 기록 매체에 기록시, 재생할 때 데이타간의 간섭에 의해 오류가 발생되는 구간을 미리 검출하는 신호인 윈도우 신호를 발생시키는 레코드 이퀄라이저와, 티임 릴레이를 레코드 앰프의 전단에 구성하여 윈도우 신호가 발생된 구간의 데이타는 기록 전류를 줄여주어 재생할 때 비트간 간섭에 의해 생기는 데이타 검출 에러를 줄려주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나 비데오 카셋트 레코더에 적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 high density digital signal.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a high probability of a large number of errors occurring in recording and reproducing a high density digital signal. A record equalizer for generating a window signal, which is a signal that detects a section in which an error occurs due to interference between data in advance, and a timing relay is configured at the front of the record amplifier, so that the data in the section where the window signal is generated can be reproduced by reducing the recording current. This is to reduce data detection errors caused by inter-bit interference. Therefore, it is applied to a video tape recorder or a video cassette recorder.

Description

고밀도 디지탈 신호의 기록 및 재생장치High-density digital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탈 신호의 기록 및 재생장치의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제2도는 제1도에 따른 각부의 파형도.2 is a waveform diagram of each part according to FIG.

제3도는 이 발명에 따른 디지탈 신호의 기록 및 재생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one embodiment of a digital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제3도의 레코드 리퀄라이저의 상세 회로도이고,4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record equalizer of FIG.

제5도는 제4도에 따른 각부의 파형도이다.5 is a waveform diagram of each part according to FIG. 4.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5 : 타임 델레이 10 : 레코드 앰프5: time delay 10: record amplifier

20, 25 : 헤드 30 : 테이프20, 25: Head 30: Tape

40 : 플레이백 앰프 50 : 플레이백 이퀄라이저40: Playback Amplifier 50: Playback Equalizer

60 : 데이타 검출기 62 : 적분기60: data detector 62: integrator

64 : 앰프 66 : 비교기64: amplifier 66: comparator

100 : 레코드 이퀄라이저 110∼130 : 단안정 발진기100: record equalizer 110 to 130: monostable oscillator

R1∼R3, R11∼R13 : 저항 C1∼C3, C11∼C13 : 콘덴서R1 to R3, R11 to R13: resistors C1 to C3, C11 to C13: capacitors

OR : 오아 게이트 INV : 인버터OR: Ora gate INV: Inverter

22, 52, 54 : 기준간격보다 작은 간격의 신호가 입력되는 구간22, 52, 54: section in which signals with intervals smaller than the reference interval are input

이 발명은 고밀도 디지탈 신호의 기록 및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탈 신호를 자기기록 매체에 기록하기 전에 데이타의 런랭스(Run Lenght)에 따라 미리 기록 전류의 세기를 가변시킴으로써 디지탈 신호의 재생시 비트간의 간섭에 의해 생기는 데이타 검출 에러를 줄여주는 고밀도 디지탈 신호의 기록 및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for a high density digital signal, and more particularly, to changing the intensity of the recording current in advance according to the run lenght of data before recording the digital signal on the magnetic recording medium. A high-density digital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that reduces data detection errors caused by interference between bits during reproduction.

현재 디지탈 신호처리의 장점으로 인해 기존의 아날로그 신호 처리가 디지탈 신호 처리로 대체되고 있는 것이 현재의 뚜렷한 추세이며, 특히 음성신호와 영상신호의 디지탈 신호처리는 그 절정에 와있다.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 등에서도 신호처리의 디지탈화 뿐만 아니라 기록 재생에 비해 고밀도 기록 재생이 가능하게끔 되었다.Due to the advantages of digital signal processing, it is a clear trend that existing analog signal processing is replaced by digital signal processing. In particular, digital signal processing of audio and video signals is at its peak. In video cassette recorders and the like, not only the digitalization of signal processing but also high density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 enabled in comparison with recording and reproducing.

그러나 화면에서의 고화질에 대한 요구와 테이프 소모량의 초소화에 대한 필요성은 곧 테이프에서의 더 높은 고밀도 기록 재생에 대한 요구로 직결된다. 이러한 고밀도 기록 재생은 반도체 기술의 발달과 채널 코딩기술의 진보에 의해 급속도로 진척되고 있으나 고밀도 기록재생을 하면 할수록 재생시 데이타 검출 에러의 가능성도 같이 증가한다.However, the demand for high picture quality on the screen and the minimization of tape consumption lead directly to the demand for higher density recording reproduction on the tape. Such high-density recording and reproducing is rapidly progress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the advancement of channel coding technology. However, as the high-density recording and reproducing is performed, the possibility of data detection error during reproduction also increases.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대한 디지탈 신호의 기록 및 재생장치의 블럭도로서, 기록하기 위한 디지탈 신호를 증폭하는 레코드 앰프(10)의 출력단에 신호를 테이프에 기록하기 위한 헤드(20)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레코더 앰프(10)에서 헤드(20)와 테이프(30)에 적합한 기록전류를 공급해 준다. 그리고 플레이백(Play Back) 앰프(40)는 재생헤드(25)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받아 증폭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erein a head 20 for recording a signal on a tape is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a record amplifier 10 that amplifies the digital signal for recording. The recorder amplifier 10 supplies a recording current suitable for the head 20 and the tape 30. The playback amplifier 40 receives and amplifies the output signal of the playhead 25 as an input.

상기 플레이백 앰프(40)에는 파형 정형 및 피크 쉬프트(Peak Shift)를 보정하는 플레이백 이퀄라이저(50)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플레이백 이퀄라이저(50)에는 데이타 검출기(60)가 연결되어 있다.A playback equalizer 50 for correcting waveform shaping and peak shift is connected to the playback amplifier 40, and a data detector 60 is connected to the playback equalizer 50.

상기 데이타 검출기(60)는 적분기(62)와, 적분기(62)에 연결된 앰프(64)와, 앰프(64)의 출력신호와 앰프(64)의 반전된 출력신호를 비교하는 비교기(66)로 구성되어 있다.The data detector 60 is an integrator 62, an amplifier 64 connected to the integrator 62, and a comparator 66 for comparing the output signal of the amplifier 64 and the inverted output signal of the amplifier 64. Consists of.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회로를 설명하면,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레코드 앰프(10)의 전단에서 데이타를 처리하는 채널 코딩부에서 디지탈 데이타를 출력하면 레코드 앰프(10)에서는 헤드(20)와 테이프(30)에 적합한 기록 전류로써 공급해준다.Referring to the conventional circui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lthough digital data is output from the channel coding unit which processes the data at the front end of the record amplifier 10, the record amplifier 10 outputs the head 20 and the tape ( Supply with a write current suitable for 30).

재생시 재생 헤드(25)의 출력은 플레이백 앰프(40)를 통과하면서 큰 신호로 되고, 다시 플레이백 이퀄라이저(50)에서 파형 정형 및 피크 시프트 보정된 후에 데이타 검출기(60)로 입력되어 디지탈 데이타가 재생된다.During playback, the output of the playback head 25 becomes a large signal while passing through the playback amplifier 40, and again after waveform shaping and peak shift correction by the playback equalizer 50 is input to the data detector 60 to be input to digital data. Is played.

제2도는 제1도에 따른 각 부의 파형도로서, 제2도(a)∼(e)는 입력되는 디지탈 신호가 저밀도일때를 나타내는 파평도이고, 제2도(f)∼(i)는 입력되는 디지탈 신호가 고밀도일 때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FIG. 2 is a waveform diagram of each part according to FIG. 1, and FIGS. 2A to 2E are wave diagrams showing when the input digital signal is low density, and FIGS. This is a waveform diagram showing when the digital signal to be obtained is high density.

저밀도 디지탈 신호 기록 및 재생시 제2도 (a)∼(e)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테이프(30)에 기록된 신호가 제2도 (a)와 같다고 가정하면, 플레이백 이퀄라이저(50)의 출력신호는 제2도 (b)와 같다. 즉 기록신호의 상승에지에서 펄스(+)를 발생시키고, 폴링에지에서 펄스(-)를 발생한다.When the low-density digital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 to (e), it is assumed that the signal recorded on the tape 30 is the same as that of Fig. 2 (a). The output signal is shown in FIG. 2 (b). That is, a pulse (+) is generated at the rising edge of the recording signal, and a pulse (-) is generated at the falling edge.

이때 펄스의 기록전류의 상승 에지와 폴링에지에서 일치하도록 플레이백 이퀄라이저(50)에서 어느 정도 보정한다. 플레이백 이퀄라이저(50)의 출력신호(제2도 (b) 참조)를 적분기(62)에서 적분하여 증폭하면 제2도 (c)와 같은 파형이 된다. 앰프(64)에서는 증폭된 신호와 이 증폭된 신호의 반전된 신호(제2도(d)참조)를 출력한다. 비교기(66)에서는 이 두 신호를 비교한다.At this time, the playback equalizer 50 corrects to some extent so as to coincide with the rising edge of the recording current of the pulse and the falling edge. When the output signal of the playback equalizer 50 (see FIG. 2 (b)) is integrated and amplified by the integrator 62, the waveform shown in FIG. The amplifier 64 outputs the amplified signal and the inverted signal of the amplified signal (see FIG. 2 (d)). Comparator 66 compares these two signals.

앰프(64)의 반전되지 않은 출력신호의 파형(제2도(c)참조)이 로우에서 하이로 될 때 반전된 파형과 만나는 지점에서 하이값을 비교기(66)에서 출력하고, 앰프(64)의 반전되지 않은 출력신호의 파형이 하이에서 로우로 될 때 반전된 파형과 만나는 지점에서 로우값을 출력한다(제2도(e)참조). 그러면 기록된 신호를 그대로 재생하게 된다.When the waveform of the uninverted output signal of the amplifier 64 (see FIG. 2 (c)) goes from low to high, the high value is output from the comparator 66 at the point where the waveform meets the inverted waveform. When the waveform of the uninverted output signal of the signal goes from high to low, the low value is output at the point where it meets the inverted waveform (see FIG. 2 (e)). The recorded signal is then reproduced as it is.

고밀도의 디지탈 신호를 기록 및 재생시 제2도 (f)∼(i)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플레이백 이퀄라이저(50)에서 피크 쉬프트와 파형 왜곡을 전부 보상할 수 없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입력된 디지탈 신호(제2도 (a)참조)에서와 같이 미리 정해진 기준 간격보다 짧은 신호 구간(22)을 포함하는 디지탈 신호의 경우 플레이백 이퀄라이저(50)의 출력 파형은 제2도(f)와 같이 파형의 피크점이 원래 기록신호의 상승 에지와 폴링 에지에서 일치하지 않고 데이타간의 간섭으로 인해 사인파가 다른쪽으로 치우치게 된다. 따라서 플레이백 이퀄라이저(50)의 출력파형을 적분기(62)에서 적분하면 제2도 (g)와 같다. 그리고 반전된 파형은 제2도(h)와 같다.When the high-density digital signal is recorded and reproduced with reference to Figs. 2 (f) to (i), the peak equalization and waveform distortion in the playback equalizer 50 cannot be compensated for. In this case, as in the input digital signal (see FIG. 2A), in the case of the digital signal including the signal section 22 shorter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interval, the output waveform of the playback equalizer 50 is shown in FIG. As shown in f), the peak point of the waveform does not coincide at the rising edge and the falling edge of the original recording signal, and the sine wave is biased to the other side due to the interference between data. Therefore, integrating the output waveform of the playback equalizer 50 in the integrator 62 is as shown in FIG. The inverted waveform is shown in FIG. 2 h.

앰프(64)에 의해 증폭된 파형과 반전된 파형을 비교기(66)에서 비교하여 검출한 데이타는 제2도(i)와 같이 원래 입력된 디지탈 신호와는 다른 파형을 가진다.The data detected by comparing the waveform amplified by the amplifier 64 and the inverted waveform by the comparator 66 has a waveform different from that of the digital signal originally input as shown in FIG.

디지탈 신호 재생시 플레이백 이퀄라이저에서 행한 파형 정형과 피크 쉬프트 보정에 따라 데이타 검출시 에러가 다소 결정되지만 고밀도 기록 재생시 플레이백 이퀄라이저가 완전하지 않는 한 헤드와 테이프에서 생기는 피크 쉬프트와 파형 왜곡을 전부 보상할 수는 없으므로 에러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While the error is determined slightly during data detection by waveform shaping and peak shift correction performed by the playback equalizer during digital signal reproduction, all peak shift and waveform distortions occurring in the head and tape are compensated for unless the playback equalizer is perfect during high density recording and playback. There is a problem that an error occurs because it is not possible.

이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발명의 목적은 고밀도 기록 재생시 피크 쉬프트와 파형 왜곡을 감안하여 기록 전류의 세기를 가변시킬수 있는 레코드 이퀄라이저를 기록부에 연결함으로써 데이타 검출시 에러가 적어지도록 하는 고밀도 디지탈 신호의 기록 및 재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nect a record equalizer capable of varying the intensity of the recording current in consideration of peak shift and waveform distortion during high-density recording reproduction, thereby reducing errors in data detection. A high-density digital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is provid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에 따른 고밀도 디지탈 신호의 기록 및 재생장치의 특징은, 고밀도의 디지탈 신호를 자기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부와, 상기 기록부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디지탈 신호를 헤드에서 읽어 디지탈 신호를 검출하는 재생부로 구성된 고밀도 디지탈 신호의 기록 및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부는, 상기 디지탈 신호를 입력하고, 입력되는 상기 디지탈 신호의 연속되는 고 논리 레벨 또는 저논리 레벨의 간격이 기준 간격보다 작은 구간에서 제1논리 레벨을 갖고, 그 외의 구간에서는 상기 제1논리 레벨과는 상보적인 제2논리 레벨을 갖는 윈도우 신호를 발생하는 레코드 이퀄라이저; 상기 디지탈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윈도우 신호와 타임 동기를 맞추도록 상기 디지탈 신호를 지연하는 타임 딜레이; 및 상기 타임 딜레이로부터 지연된 디지탈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윈도우 신호를 제어 신호로서 입력하여, 상기 윈도우 신호가 제1논리 레벨로 될때, 상기 지연된 디지탈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상기 기록 전류를 가변하여 상기 기록 매체로 출력하는 레코드 앰프를 포함하여 재생시 데이타 에러를 줄이는 점에 있다.A feature of th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high density digital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at a recording section for recording a high density digital signal on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d a digital signal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of the recording section are read from the head. 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for a high density digital signal, comprising a reproducing unit for detecting a digital signal, wherein the recording unit inputs the digital signal, and the interval between successive high logic levels or low logic levels of the input digital signal is a reference interval. A record equalizer for generating a window signal having a first logical level in a smaller section and a second logical level complementary to the first logical level in another section; A time delay for inputting the digital signal and delaying the digital signal to time-synchronize with the window signal; And inputting the delayed digital signal from the time delay, and inputting the window signal as a control signal to vary the recording current for recording the delayed digital signal when the window signal becomes a first logical level. Including a record amplifier that outputs the output to reduce the data error during playback.

이하, 이 발명에 따른 고밀도 디지탈 신호의 기록 및 재생장치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 high density digital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3도는 이 발명에 따른 고밀도 디지탈 신호의 기록 및 재생장치의 블럭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high density digital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에서, 디지탈 신호 입력단과 레코드 앰프(10) 사이에 레코드 이퀄라이저(100)와의 동기를 맞추기 위해 타임 딜레이(5)가 연결되어 있고, 타임 딜레이(5)에는 레코드 앰프(10)의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타임 딜레이(5)와 병렬로 레코드 이퀄라이저(100)의 출력은 레코드 앰프(10)의 제어단에 인가된다.Here, a time delay 5 is connected between the digital signal input terminal and the record amplifier 10 to synchronize with the record equalizer 100, and an input terminal of the record amplifier 10 is connected to the time delay 5. The output of the record equalizer 100 is applied to the control stage of the record amplifier 10 in parallel with the time delay 5.

레코드 앰프(10)에는 헤드(20)가 연결되어 있고, 테이프(30)에 기록된 디지탈 회로는 종래 회로에서와 같이 재생된다. 즉, 재생헤드(25)에 플레이백 앰프(40)가 연결되어 있고, 플레이백 앰프(40)에는 플레이백 이퀄라이저(50)가 연결되어 있으며, 플레이백 이퀄라이저(50)에 재생활 데이타를 검출하는 데이타 검출기(6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데이타 검출기(60)는 적분기(62)와 앰프(64)와 비교기(66)로 구성되어 있다.The head 20 is connected to the record amplifier 10, and the digital circuit recorded on the tape 30 is reproduced as in the conventional circuit. That is, a playback amplifier 40 is connected to the playback head 25, a playback equalizer 50 is connected to the playback amplifier 40, and the playback equalizer 50 detects playback active data. The data detector 60 is connected. The data detector 60 is composed of an integrator 62, an amplifier 64, and a comparator 66.

제4도는 상기 레코드 이퀄라이저(100)의 상세 회로도이다.4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record equalizer 100.

여기에서, 디지탈 신호 입력단에 단안정 발진기(110∼130)가 직렬로 3개 연결되어 있다. 단안정 발진기(110)의 제1입력단인 입력단자(B11)에는 데이타 입력단의 신호가 입력되고, 입력단자(A11)는 접지되어 있다. 전원 공급단(+5V)에는 클리어(CLR)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전원 공급단(+5V)에 연결된 전항(R1) R/C 단자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저항 (R1)과 R/C 단자사이의 접점에는 콘덴서(C1)가 연결되어 CX 단자에 연결되어 있다.Here, three monostable oscillators 110 to 130 are connected in series to the digital signal input terminal. The signal of the data input terminal is input to the input terminal B11, which is the first input terminal of the monostable oscillator 110, and the input terminal A11 is grounded. A clear (CL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 5V), and is connected to the R / C terminal of the previous term (R1)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 5V), and the resistor (R1) and the R / C terminal. The capacitor C1 is connected to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terminals.

그리고, 단안정 발진기(110)의 제2입력단인 입력단자(B12)에는 전원 공급단(+5V)이 연결되어 있고, 입력단인 입력단자(A12)에는 디지탈 신호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다. 다른 단자는 제1입력단과 동일한 저항(R11)과 콘덴서(C11)가 연결되어 있다.A power supply terminal (+ 5V)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B12, which is the second input terminal of the monostable oscillator 110, and a digital signal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A12, which is the input terminal. The oth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ame resistor R11 and capacitor C11 as the first input terminal.

단안정 발진기(120)의 제1입력단인 입력단자(B21)에는 단안정 발진기(110)의 출력단자(Q11)가 연결되어 있고, 입력단자(A21)에는 디지탈 신호 입력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입력된다. 저항(R2)과 콘덴서(C2)는 상기 단안정 발진기(110)와 동일한 단자에 연결되어 있다.An output terminal Q11 of the monostable oscillator 110 is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B21 which is a first input terminal of the monostable oscillator 120, and a signal input from a digital signal input terminal is input to the input terminal A21. . The resistor R2 and the capacitor C2 are connected to the same terminal as the monostable oscillator 110.

그리고 단안정 발진기(120)의 제2입력단인 입력단자(B22)에는 단안정 발진기(110)의 출력단자(Q12)가 연결되어 있고, 입력단자(A22)에는 디지탈 신호 입력단의 신호를 반전한 신호가 입력된다. 나머지 단자는 단안정 발진기(110)와 동일하다. 같은 단자에 다른값의 저항(R12)과 콘덴서(C12)가 연결되어 있다.An output terminal Q12 of the monostable oscillator 110 is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B22 which is a second input terminal of the monostable oscillator 120, and a signal obtained by inverting a signal of the digital signal input terminal to the input terminal A22. Is input. The remaining terminals are the same as the monostable oscillator 110. The resistor R12 and the capacitor C12 of different values are connected to the same terminal.

단안정 발진기(130)의 제1입력단인 입력단자(B31)에는 단안정 발진기(120)의 출력단자(Q21)가 연결되어 있고, 입력단자(A31)는 접지되어 있다. 제2입력단인 입력단자(B32)에는 단안정 발진기(120)의 출력단자(Q22)가 연결되어 있고, 입력단자(A32)는 접지되어 있다. 여기서도 단안정 발진기(110, 120)와 같은 단자에 저항(R3, R13)과 콘덴서(C3, C13)가 연결되어 있다.The output terminal Q21 of the monostable oscillator 120 is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B31 which is the first input terminal of the monostable oscillator 130, and the input terminal A31 is grounded. The output terminal Q22 of the monostable oscillator 120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B32 which is the second input terminal, and the input terminal A32 is grounded. Here too, resistors R3 and R13 and capacitors C3 and C13 are connected to the same terminals as the monostable oscillators 110 and 120.

단안정 발진기(130)의 출력단자(Q31)와 출력단자(Q32)의 출력을 입력으로 받아 논리합하는 오라게이트(OR)가 연결되어, 이 출력은 레코드 앰프(10)에 인가된다.An output terminal Q31 of the monostable oscillator 130 and an OR gate which receives and outputs the output of the output terminal Q32 as an inpu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output is applied to the record amplifier 10.

이와 같이 구성된 이 발명에 따른 고밀도 디지탈 신호의 기록 및 재생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high-density digital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제3도와 제4도를 참조하면, 디지탈 데이타가 입력되면 레코드 이퀄라이저(100)에 의해 다음과 같이 처리된다.Referring to FIG. 3 and FIG. 4, when digital data is input, it is processed by the record equalizer 100 as follows.

우성 각 단안정 발진기의 제1입력단과 제1출력단에 대한 신호 처리를 설명한다.Signal processing for the first input stage and the first output stage of each dominant monostable oscillator will be described.

단안정 발진기(110)의 입력단자(B11)에 입력된 데이타(제5도(a)참조)는 상승 에지에 응답하여 저항(R1)과 콘덴서(C1)의 값에 의해 기준 간격의 펄스를 갖는 제1기준 신호를 출력한다(제5도(b)). 즉, 제5도 (b)에 도시된 제1기준 신호는 입력된 데이타의 고 논리 레벨 구간이 기준 간격보다 작아 데이타간에 간섭이 일어나는 구간들(54)을 검출하는 신호이다.Data input to the input terminal B11 of the monostable oscillator 110 (see FIG. 5 (a)) has pulses of the reference interval by the values of the resistors R1 and condenser C1 in response to the rising edge. The first reference signal is output (FIG. 5B). That is, the first reference signal illustrated in FIG. 5B is a signal for detecting the sections 54 where the high logic level sections of the input data are smaller than the reference intervals so that interference between the data occurs.

단안정 발진기(110)의 출력 데이타(제5도(b)참조)는 단안정 발진기(120)의 입력단자(B21)로 입력되고, 입력단자(A21)로는 최초의 입력 데이타가 입력된다. 단안정 발진기(120)에서는 단안정 발진기(110)의 출력 데이타가 하이레벨일 때, 그리고 입력 데이타가 폴링에지인 부분에서 펄스가 발생된다(제5도(c)참조).The output data of the monostable oscillator 110 (see FIG. 5 (b)) is input to the input terminal B21 of the monostable oscillator 120, and the first input data is input to the input terminal A21. In the monostable oscillator 120, pulses are generated when the output data of the monostable oscillator 110 is high level and where the input data is the falling edge (see FIG. 5 (c)).

단안정 발진기(130)의 입력단자(B31)에는 단안정 발진기(120)의 출력 데이타가 입력되어 이 출력 데이타 펄스의 상승에지에서 저항(R3)과 콘덴서(C3)의 값에 따라 일정길이의 펄스를 출력한다(제5도 (d) 참조).The output data of the monostable oscillator 120 is input to the input terminal B31 of the monostable oscillator 130, and the pulse of a predetermined length depends on the values of the resistors R3 and condenser C3 at the rising edge of the output data pulse. Output (see FIG. 5 (d)).

그리고, 다음 각 단안정 발진기의 제2입력단과 제2출력단에서의 신호처리를 설명한다.Next, signal processing at the second input terminal and the second output terminal of each monostable oscillator will be described.

단안정 발진기(110)는 제2입력단인 입력단자(A12)로 입력된 데이타의 폴링 엣지에 응답하여 기준 간격의 펄스를 갖는 제2기준 신호를 출력한다(제5도(e) 참조). 즉, 제5도(e)에 도시된 제2기준 신호는 입력된 데이타의 저 논리 레벨 구간이 기준 간격보다 작아 데이타간에 간섭이 일어나는 구간들(52)을 검출하는 신호이다.The monostable oscillator 110 outputs a second reference signal having pulses of reference intervals in response to the falling edge of the data input to the input terminal A12 which is the second input terminal (see FIG. 5 (e)). That is, the second reference signal illustrated in FIG. 5E is a signal for detecting the sections 52 where the low logic level sections of the input data are smaller than the reference intervals and thus interference occurs between the data.

단안정 발진기(120)에서는 상기 단안정 발진기(110)의 출력 단자(Q12)의 출력 데이타를 입력단자(B22)로 입력하고, 최초의 입력 디지탈 신호를 인버터(INV)를 통해 반전시켜 입력단자(A22)로 입력하여 단안정 발진기(110)의 출력 데이타가 하이레벨일 때 반전된 입력 디지탈 신호가 폴링 에지인 부분에서 펄스를 발생한다(제5도 (f) 참조). 이때 펄스의 폭은 저항(R12)과 콘덴서(C12)의 값에 의해 결정된다.In the monostable oscillator 120, the output data of the output terminal Q12 of the monostable oscillator 110 is input to the input terminal B22, and the first input digital signal is inverted through the inverter INV. When the output data of the monostable oscillator 110, which is inputted to A22), is high level, a pulse is generated at a portion where the inverted input digital signal is a falling edge (see FIG. 5 (f)). 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pulse is determined by the values of the resistor R12 and the capacitor C12.

단안정 발진기(130)에서는 상기 단안정 발진기(120)의 출력 데이타 펄스의 상승 에지에서 저항(R13)과 콘덴서(C13)의 값에 따라 일정 길이의 펄스의 상승에지에서 저항(R13)과 콘덴서(C13)의 값에 따라 일정 길이의 펄스를 출력한다(제5도 (g)참조).In the monostable oscillator 130, at the rising edge of the output data pulse of the monostable oscillator 120, the resistor R13 and the condenser ( A pulse of a predetermined length is output in accordance with the value of C13) (see Fig. 5 (g)).

단안정 발진기(130)의 제1출력 데이타(제5도(d))와 제2출력 데이타(제5도(g))인 두 출력 데이타를 오아 게이트(OR)에서 논리합하면 제5도(h)와 같은 파형이 출력된다. 즉, 이 오아게이트(OR)의 출력 파형이 윈도우 신호로서, 입력된 데이타의 고/저 논리 레벨이 제1 및 제2기준 신호의 기준 간격보다 작아 데이타간의 간섭이 일어나는 구간(52 및 54)에서만 하이레벨의 파형이 출력된다는 것을 의미한다.When the two output data, the first output data (figure 5 (d)) and the second output data (figure 5 (g)) of the monostable oscillator 130 are logically ORed at the OR gate, FIG. ) Waveform is output. In other words, the output waveform of the OR gate is a window signal, and the high / low logic level of the input data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interval of the first and second reference signals so that interference between data occurs only in the sections 52 and 54. It means that a high level waveform is output.

그리고, 상기 레코드 이퀄라이저(100)에 의해 신호가 처리되는 동안 동기를 맞추기 위해 타임 딜레이(5)를거쳐 딜레이된 데이타(제5도(i)참조)는 오아 게이트(OR)의 출력 데이타인 윈도우 신호에 따라 증폭의 정도가 달라진다. 제5도(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데이타가 레코드 앰프(10)에서 2배로 증폭된다고 하면 오아 게이트(OR)의 출력 펄스라 하이레벨인 부분에서는 1.5배 정도로 증폭된다.In addition, the delayed data (see FIG. 5 (i)) through the time delay 5 for synchronization while the signal is processed by the record equalizer 100 is a window signal which is the output data of the OR gate OR. The degree of amplification depends on. As shown in FIG. 5 (j), when the input data is amplified twice in the record amplifier 10, the output pulse of the OR gate OR is amplified by about 1.5 times in the high level portion.

레코드 앰프(10)에서는 오아 게이트(OR)의 출력인 윈도우 신호가 하이레벨인 부분에서는 1.5배 정도로 증폭된다.In the record amplifier 10, the window signal that is the output of the OR gate OR is amplified by about 1.5 times in the high level portion.

레코드 앰프(10)에서는 오아 게이트(OR)의 출력인 윈도우 신호가 하이인 순간만 일시적으로 입력된 디지탈 신호의 기록 전류의 크기를 줄여준다.The record amplifier 10 reduces the magnitude of the write current of the digital signal temporarily input only at the moment when the window signal, which is the output of the OR gate OR, is high.

입력된 데이타에 따라 다르게 증폭된 레코드 앰프(10)의 출력신호는 헤드로 인가되어 기록매체에 기록된다. 이와 같이 기록된 고밀도의 디지탈 신호는 재생시 데이타간에 간섭이 많이 발생하는 구간(52 및 54)의 데이타는 기록 전류가 적으므로 서로의 간섭이 적어 데이타 검출에 있어서 에러가 적게 발생한다.The output signal of the record amplifier 10 amplifi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input data is applied to the head and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The high-density digital signal recorded as described above has little recording current in the data in the sections 52 and 54 where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data is frequently generated during reproduction, resulting in less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and less error in data detection.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디지탈 신호의 기록 및 재생장치에 의하면, 고밀도 디지탈 신호를 기록할 때, 재생시 데이타간의 간섭에의한 피크 쉬프트와 파형 왜곡이 발생할 구간을 윈도우 신호에 의해 미리 검출하여 미리 기록 전류의 세기를 가변시켜 기록함으로써 재생시 데이타 검출 과정에서 에러가 적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igital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recording a high-density digital signal, the window signal detects in advance a section in which peak shift and waveform distortion due to interference between data are generated by the window signal. By varying and recording the intensity of the recording current in advance,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error in the data detection process during reproduction.

Claims (2)

고밀도의 디지탈 신호를 자기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부와, 상기 기록부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디지탈 신호를 헤드에서 읽어 디지탈 신호를 검출하는 재생부로 구성된 고밀도 디지탈 신호의 기록 및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부는, 상기 디지탈 신호를 입력하고, 입력되는 상기 디지탈 신호의 연속되는 고 논리 레벨 또는 저논리 레벨의 간격이 기준 간격보다 작은 구간에서 제1논리 레벨을 갖고, 그 외의 구간에서는 상기 제1논리 레벨과는 상보적인 제2논리 레벨을 갖는 윈도우 신호를 발생하는 레코드 이퀄라이저; 상기 디지탈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윈도우 신호와 타임 동기를 맞추도록 상기 디지탈 신호를 지연하는 타임 딜레이; 및 상기 타임 딜레이로부터 지연된 디지탈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윈도우 신호를 제어 신호로서 입력하여, 상기 윈도우 신호가 제1논리 레벨로 될때, 상기 지연된 디지탈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상기 기록 전류를 가변하여 상기 기록 매체로 출력하는 레코드 앰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디지탈 신호의 기록 및 재생 장치.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of a high density digital signal, comprising: a recording unit for recording a high density digital signal on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d a reproduction unit for reading a digital signal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of the recording unit from a head and detecting a digital signal. And input the digital signal, and have a first logic level in a section in which a continuous high logic level or low logic level interval of the input digital signal is smaller than a reference interval, and in other sections, the digital signal is different from the first logic level. A record equalizer for generating a window signal having a complementary second logic level; A time delay for inputting the digital signal and delaying the digital signal to time-synchronize with the window signal; And inputting the delayed digital signal from the time delay, and inputting the window signal as a control signal to vary the recording current for recording the delayed digital signal when the window signal becomes a first logical level. And a record amplifier for outputting the signal to a high density digital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간격은 임의로 변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디지탈 신호의 기록 및 재생 장치.Th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high density digital sign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ference interval can be arbitrarily varied.
KR1019930012401A 1993-06-30 1993-06-30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high density digital signal KR01557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2401A KR0155735B1 (en) 1993-06-30 1993-06-30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high density digital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2401A KR0155735B1 (en) 1993-06-30 1993-06-30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high density digital sig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714A KR950001714A (en) 1995-01-03
KR0155735B1 true KR0155735B1 (en) 1998-12-15

Family

ID=19358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2401A KR0155735B1 (en) 1993-06-30 1993-06-30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high density digital sig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5735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714A (en) 1995-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7036A (en) Circuit arrangement for a data acquisition circuit of a PCM processor and a method for improving waveform of PCM signal eye pattern
JPH01229516A (en) Automatic equalizer
US4409627A (en) Video signal decoding circuit
JPH09213007A (en) Data reproducing device
EP0385867A2 (en) Digital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KR0155735B1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high density digital signal
US4872170A (en) Error detection circuit
KR920000430B1 (en) Device of analog signal interfacing part with function of removing periodic noise
KR100213032B1 (en) Device for detecting digital signals in a magnetic recording reproducing device
KR100192236B1 (en) A dvcr
KR0178749B1 (en) Circuit for detecting an envelope
KR100202209B1 (en) Digital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KR970004065B1 (en) Reproducing equalizer circuit of digital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3271073B2 (en) Magnetic playback device
KR10024060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track number in a dvhs-type vcr
JPS58189810A (en) Digital signal extracting circuit in pcm reproducer
JPS58189811A (en) Digital signal extracting circuit in pcm reproducer
JPS63113981A (en) Digital signal detecting circuit
KR0165276B1 (en) Equipment for data reproduction
JP3653741B2 (en) Digital signal recording apparatus and digital information signal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KR100223567B1 (en) Buffer control circuit
JP3158362B2 (en) Variable speed playback signal processing circuit of playback device
KR100546636B1 (en) Error Correction Method and Device of Digital VR
JP3488074B2 (en) Digital recording and playback device
JPH09102172A (en) Magnetic reproduc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