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5703B1 - 휘도신호와 색신호의 분리기록 및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휘도신호와 색신호의 분리기록 및 재생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5703B1
KR0155703B1 KR1019920014667A KR920014667A KR0155703B1 KR 0155703 B1 KR0155703 B1 KR 0155703B1 KR 1019920014667 A KR1019920014667 A KR 1019920014667A KR 920014667 A KR920014667 A KR 920014667A KR 0155703 B1 KR0155703 B1 KR 0155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lor signal
luminance
luminance signal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4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5149A (ko
Inventor
전진규
Original Assignee
강진구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진구,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진구
Priority to KR1019920014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5703B1/ko
Publication of KR940005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5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57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이 발명은 고화질의 영상기록 및 재생장치에서 메모리 및 시간신장과 시간압축을 이용하여 휘도신호와 색신호의 분리기록 및 재생이 가능토록 하는 휘도신호와 색신호의 분리기록 및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이 발명은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시간압축하여 기록하는 기록계와 이 기록계에서 시간압축된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시간신장하여 복원하는 재생계를 구비하여, 기록계에서는 휘도신호 및 색신호의 시간압축수단을 이용하여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시간압축하여 애지머스 헤드로 된 휘도신호와 색신호전용 기록헤드로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기록하고, 재생계에서도 역시 애지머스 헤드로 된 휘도신호와 색신호 전용 재생헤드로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재생하고 휘도신호와 색신호 시간신장수단을 이용하여 기록시에 시간압축한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시간압축되기 이전의 신호로 복원하여 이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혼합하여 복합영상신호로 출력하는 것으로, 애지머스 헤드를 이용하고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분리기록하고 재생함으로써 인접 채널간의 크로스 토크를 현지히 줄일수 있게되며,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분리기록하기 때문에 휘도신호 및 색신호의 기록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높일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휘도신호와 색신호의 분리기록 및 재생장치
제1도 (a), (b)는 이 발명에 따른 휘도신호와 색신호의 분리기록 및 재생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제2도는 이 발명에서 이용하는 테이프의 트랙 구성도.
제3도 (a), (b)는 제1도 (a)의 각부의 파형도.
제4도 (a)∼(g)는 제1도 (b)의 각부의 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신 및 복조부 10 : 휘도신호 및 색신호 분리수단
20 : 휘도신호 시간압축수단 21, 31, 33, 132 : 필드 메모리
22 : 휘도신호 시간압축부 23, 133 : 휘도신호 처리부
30 : 색신호 시간압축수단 32 : 색신호 시간압축부
34, 142 : 색신호 처리부 40, 150 : 제어수단
50, 150 : 스위칭수단 60 : 증폭 및 기록수단
110 : 재생 및 증폭수단 130 : 휘도신호 시간신장수단
131 : 휘도신호 시간신장부 140 : 색신호 시간신장수단
160 : 혼합수단 ADD1 : 가산기
SW1∼SW4 : 스위치 AMP1∼AMP4 : 전치증폭기
HD1, HD2 : 휘도신호 및 색신호 전용 기록헤드
HD3, HD4 : 휘도신호 및 색신호 전용 재생헤드
이 발명은 고화질의 영상기록 및 재생장치에서의 휘도신호와 색신호의 분리기록 및 재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모리 및 시간압축과 시간신장을 이용하여 휘도신호와 색신호의 분리기록 및 재생이 가능토록 하는 휘도신호와 색신호의 분리기록 및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VHS 방식의 기록 및 재생 시스템에서는 색신호 및 휘도신호를 기록시 색신호와 휘도신호를 동일 트랙에 기록하기 때문에 휘도신호 및 색신호의 각각의 사용대역이 좁아지며, 또한 인접 채널의 영향에 따른 크로스 토크(Cross Talk) 현상이 발생하여 화질열화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따라서, VHS 방식의 기록 및 재생 시스템이나 이 보다 약간 발전된 슈퍼 VHS 방식의 기록 및 재생 시스템에서의 휘도신호 및 색신호 기록방식은 점차로 고화질화로 발전해가고 있는 현추세에 부합하지 못하는 것이었다.
이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 발명의 목적은 고화질의 영상기록 및 재생장치에서 메모리 및 시간압축과 시간신장을 이용하여 휘도신호와 색신호의 분리 기록 및 재생이 가능토록 휘도신호 및 색신호의 기록 주파수를 동시에 높일 수 있도록 한 휘도신호와 색신호의 분리기록 및 재생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이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화질의 영상기록 및 재생장치에서 애지머스 헤드를 이용하고 메모리 및 시간압축과 신장을 이용하여 휘도신호 및 색신호의 분리기록 및 재생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인접채널간의 크로스 토크 현상을 제거하여 화질열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휘도신호와 색신호의 분리 기록 및 재생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특징은 입력되는 휘도신호 및 색신호를 분리하여 각각 휘도신호 및 색신호에 대한 시간압축을 행한 후 휘도신호 및 색신호를 처리하여 휘도신호 전용기록 헤드와 색신호 전용기록 헤드로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분리기록하는 기록계와, 상기 기록계에서 기록된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휘도신호 전용재생 헤드와 색신호 전용재생 헤드로 읽어 휘도신호와 색신호에 대한 시간신장을 행한 후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혼합하여 복합영상신호로 출력하는 재생계로 구비되는 휘도신호와 색신호의 분리기록 및 재생장치에 있다.
이하, 이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a), (b)는 이 발명에 따른 휘도신호와 색신호의 분리기록 및 재생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로서, 제1도 (a)는 입력되는 휘도신호 및 색신호를 분리하여 각각 휘도신호 및 색신호에 대한 시간압축을 행한 후 휘도신호 및 색신호를 처리하여 휘도신호 전용기록 헤드와 색신호 전용기록 헤드로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분리기록하는 기록계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상기 기록계에서 기록된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휘도신호 전용재생 헤드와 색신호 전용재생 헤드로 읽어 휘도신호와 색신호에 대한 시간신장을 행한 후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혼합하여 복합영상신호로 출력하는 재생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기록계는 영상신호를 수신 및 복조하는 수신 및 복조부(1)에 연결되어 이 수신 및 복조부(1)로부터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를 휘도신호와 색신호로 분리하는 휘도 및 색신호 분리수단(10)에 분리된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지연시켜 지연되지 않은 휘도신호 및 색신호를 혼합하여 휘도신호 및 색신호를 시간압축하는 휘도신호 및 색신호 시간압축수단(20), (30)을 연결시킨다. 그리고 상기 휘도신호 및 색신호 시간압축수단(20), (30)에는 상기 휘도신호 및 색신호 시간압축수단을(20), (30)에서 필요로 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40)을 연결시키며, 상기 휘도신호 및 색신호 시간압축수단(20), (30)에는 상기 제어수단(40)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되어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교대로 선택하는 스위치(SW1)로 된 스위칭수단(50)을 연결시킨다.
또한, 상기 스위칭수단(50)에는 시간압축된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증폭하는 전치증폭기(AMP1), (AMP2)와 휘도신호 및 색신호 전용기록헤드(HD1), (HD2)로 되어 스위칭 수단(50)을 통한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증폭하여 기록하는 증폭 및 기록수단( 60)을 연결시키며, 상기 휘도신호 및 색신호 전용 기록헤드(HD1), (HD2)는 애지머스 헤드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휘도신호 시간 압축수단(20)은 상기 휘도신호 및 색신호 분리수단(10)에 연결되어 분리된 휘도신호를 1필드만큼 지연시키는 필드 메모리(21) 및 상기 휘도신호 및 색신호 분리수단(10)에는 상기 휘도신호 분리수단(10)으로 부터의 휘도신호와 필드 메모리(21)로부터의 휘도신호를 이용하여 1프레임의 휘도신호 기록분량을 1필드의 기록분량으로 시간압축하는 휘도신호 시간 압축부(22)를 연결시키며, 상기 휘도신호 시간 압축부(22)에는 휘도신호 처리부(23)를 연결시켜 시간 압축된 휘도신호를 상기 휘도신호 전용 기록헤드(HD1)에 의해 기록할 수 있는 신호로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색신호 시간압축수단(30)은 상기 휘도 및 색신호 분리수단(10)에 연결되어 분리된 색신호 1필드만큼 지연시키는 필드 메모리(31) 및 상기 휘도 및 색신호 분리수단(10)에는 상기 휘도 및 색신호 분리수단(10)으로부터의 색신호와 필드 메모리(31)로부터의 색신호를 이용하여 1프레임의 색신호 기록분량을 1필드의 기록분량으로 시간압축하는 색신호 시간 압축부(32)를 연결시킨다.
상기 색신호 시간압축부(32)에는 상기 휘도신호 및 색신호 시간 압축부(22), (32)의 출력에 시간차를 주기 위해 상기 색신호 시간 압축부(32)의 출력을 지연시키는 필드 메모리(33)를 연결시키며, 상기 필드 메모리(33)에는 색신호 처리부(34)를 연결시켜 시간 압축된 색신호를 색신호 전용 기록헤드(HD2)로 기록할 수 있는 신호로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재생계는 상기 기록계에서 기록된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분리재생하는 휘도신호 및 색신호 전용 재생헤드(HD3), (HD4)와 이 휘도신호 및 색신호 전용 재생헤드(HD3), (HD4)에 의해 재생된 휘도 및 색신호를 증폭하는 전치증폭기(AMP3), (AMP4)로 된 재생 및 증폭수단(110)에 스위치(SW2), (SW3)로 되어 재생되는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분리하는 스위칭수단(120)을 연결시키며, 상기 스위치(SW3)는 T플립플롭으로 구성되며, 상기 휘도신호 및 색신호 전용 재생헤드(HD3), (HD4)는 애지머스 헤드로 구성된다.
상기 스위칭수단(120)에는 스위칭수단(120)에 의해 분리된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기록계에서 기록시 시간압축되기 이전의 신호로 시간신장하여 처리하는 휘도신호 및 색신호 시간 신장수단(130), (140)를 연결시키며, 상기 스위칭수단(120) 및 휘도신호 및 색신호 시간 신장수단(130), (140)에는 스위칭수단 및 휘도신호 및 색신호 시간 신장수단(120)∼(140)에서 필요로 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150)을 연결시킨다. 그리고 상기 휘도신호 및 색신호 시간 신장수단(130), (140)에는 가산기(ADD1)로 된 혼합수단(160)을 연결시켜 휘도신호 및 색신호 시간 신장수단(130), (140)에서 처리된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혼합하여 복합영상신호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휘도신호 시간 신장수단(130)은 상기 스위치(SW3) 및 제어수단(150)에 연결되어 재생된 휘도신호를 기록계에서 시간압축하기 전의 휘도신호로 시간신장하는 휘도신호 시간 신장부(131)에 휘도신호와 색신호의 지연시간을 맞추기 위해 시간신장된 휘도신호를 지연시키는 필드 메모리(132)를 연결시킨다. 그리고 상기 필드 메모리(132)에는 재생된 휘도신호를 영상신호로 바꾸어 주는 휘도신호 처리부(133)를 연결시킨다.
한편, 상기 색신호 시간신장수단(140)은 상기 스위치(SW3) 및 제어수단(150)에 연결되어 재생된 색신호를 기록계에서 압축하기 이전의 색신호로 시간신장하는 색신호 시간신장부(141)에 재생된 색신호를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신호로 처리하는 색신호 처리부(142)를 연결시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 발명은 휘도신호 및 색신호 전용 기록헤드 및 재생헤드를 사용하고 메모리 및 시간압축과 시간신장을 이용하여 색신호와 휘도신호를 분리하여 기록하고 재생하는 것으로, 기본원리는 여러가지 기록 포멧에 의한 기록 패턴도 많지만 이 발명에서는 제2도와 같은 패턴을 대표적으로 선택하여 설명한다. 제2도에 나타냈듯이 패턴은 2트랙을 한쌍으로 하여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구분하여 기록하고 있는데 이것은 상대속도를 높임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도에서 A구간은 영상신호에서의 1필드와 같은 시간이며, 이 발명에서는 2트랙으로 구성하고 있지만 1, 2, 3, 4,…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전제하에 이 발명은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신 및 복조부(1)로부터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는 휘도 및 색신호 분리수단(10)에 의해 휘도신호와 색신호로 분리되어 각각 휘도신호는 휘도신호 시간 압축수단(20)으로 인가되고 색신호는 색신호 시간 압축수단(30)으로 인가된다.
상기 휘도신호 시간 압축수단(20)에 인가된 휘도신호는 필드 메모리(21)에서 1필드만큼 지연시켜 제3a도의 (b)와 같은 신호로 출력하며, 이 신호는 휘도신호 시간 압축부(22)에 입력되어 지연되지 않은 휘도신호와 선택적으로 선택되어 1프레임의 휘도신호 기록분량이 1필드의 휘도신호 기록분량으로 압축되며, 이 휘도신호의 압축은 제어수단(40)의 제어에 따른다. 즉, 제3a도에서 보면 필드 메모리(21)로부터 출력되는 휘도신호인 b와 휘도신호 및 색신호 분리부(10)로부터 인가되는 휘도신호인 a가 휘도신호 시간 압축부(22)에 입력되어 제3a도의 (c)와 같이 시간 압축되어 출력되며, 여기서 A구간은 채널 1(이하, CH1이라 함.)과 채널 2(이하, CH2라 함.)을 시간 압축하여 한 채널로 압축되는 구간이며, B구간은 시간 압축 동작이 일어나지 않는 구간이다. 그리고 상기 제3a도의 (c)와 같이 출력되는 휘도신호는 휘도신호 처리부(23)에 입력되어 헤드가 기록할 수 있는 신호로 처리되어 스위치(SW1)에 인가된다.
한편, 색신호 시간 압축수단(30)에 인가된 색신호는 상기 필드 메모리(21)에서와 마찬가지로 필드 메모리(31)에서 1필드만큼 지연되며, 이 신호는 색신호 시간 압축부(22)에 입력되어 지연되지 않은 색신호와 선택적으로 선택되어 1프레임의 색신호 기록분량이 1필드의 색신호 기록분량으로 압축되며, 이 색신호의 압축은 제어수단(40)의 제어에 따른다.
이 압축된 색신호는 필드 메모리(33)에 입력되어 제3a도의 (e)와 같은신호로 출력된다. 즉, 상기휘도신호 시간 압축부(22)와 색신호 시간 압축부(33)의 출력은 같은 시간에 이루어지므로 이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시간차를 두고 출력하기 위해 상기 필드 메모리(33)를 통해 색신호를 통과시켜 색신호를 1필드만큼 지연시키는 것이며, 제3a도의 (c)는 상기 휘도신호 시간 압축부(22)의 출력이며, (d)는 상기 색신호 시간 압축부(32)의 출력이고, (e)는 상기 필드 메모리(33)의 출력이며, (e)에서 A구간은 휘도신호가 없는 필드구간에 위치하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 필드 메모리(33)을 통한 신호는 색신호 처리부(34)에 인가되어 헤드에 의해 기록할 수 있는 신호로 처리되어 스위치(SW1)에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스위치(SW1)는 기록할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번갈아 가면서 선택하여 기록하는데, 이때 이 스위치(SW1)의 스위칭동작은 제어수단(40)의 제어에 따르게 되며, 제3b도는 상기 스위치(SW1)의 제어펄스에 따라 (b)에서 하이구간인 A구간은 휘도신호의 CH1과 CH2가 선택되고 로우구간인 B구간은 색신호의 CH1과 CH2가 선택되어 전치증폭기(AMP1), (AMP2)를 통하여 증폭된 후 휘도신호 및 색신호 전용 기록헤드(HD1), (HD2)에 의해 휘도신호와 색신호가 분리되어 기록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기록계에 의해 휘도신호와 색신호가 분리되어 기록된 휘도신호와 색신호의 재생계에서의 재생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기록계의 휘도신호 및 색신호 전용 기록헤드(HD1), (HD2)에 의해 기록된 휘도신호와 색신호는 휘도신호 및 색신호 전용 재생헤드(HD3), (HD4)에 의해 재생된 후, 전치증폭기(AMP3), (AMP4)에 의해 증폭되어 스위치(SW2)에 인가되며, 이 스위치(SW2)의 제어신호는 트랙에 의해 좌우된다. 즉, 트랙마다 헤드 스위칭이 일어나는데 이때마다 제어신호는 변화하며, 상기 스위치(SW2)는 트랙에 실린 제4도 (a)의 (a)와 같은 휘도신호 및 색신호가 상기 헤드 스위칭 펄스에 따라 (b)와 같은 신호로 읽히게 되므로, 이 (b)와 같은 펄스에 의해 스위칭이 제어되므로 결국은 상기 스위치(SW2)는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분리하는 역할을 하게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SW2)에 의해 읽힌 휘도신호와 색신호는 스위치(SW3)에 인가되어 상기 헤드 스위칭 펄스를 이용해 T플립플롭을 동작시켜 제어신호를 얻어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분리한다. 즉, 제4도의 (c)에서 A구간은 휘도신호 시간신장부(131)로 휘도신호가 입력되도록 휘도신호를 선택되는 구간이고 B구간은 색신호 시간신장부(141)로 색신호가 입력되도록 색신호를 선택되는 구간이다.
상기 스위치(SW3)에 의해 선택되어 휘도신호 시간 신장부(131)에 입력된 휘도신호는 기록계에서 기록시 압축한 신호를 압축하기 이전의 본래의 신호로 환원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때 휘도신호 시간 신장부(131)에 입력되는 휘도신호는 제4도의 (c)에서 A구간에 기록되는 신호를 상세히 나타낸 제4도의 (d)와 같으며, 휘도신호 시간 신장부(131)을 통하여 시간 신장된 휘도신호는 제4도의 (e)와 같이 된다.
이 신호는 필드 메모리(132)에 입력되어 1필드만큼 지연되어 출력된다. 이때 시간 신장된 휘도신호를 1필드만큼 지연시키는 이유는 상기 기록계에서 색신호 기록시 1필드만큼 지연시켜 기록하였기 때문에 복합영상신호로 만들어 출력할 때 휘도신호와 색신호의 지연시간을 맞추기 위해 시간신장된 휘도신호를 1필드만큼 지연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필드 메모리(132)에 의해 1필드 만큼 지연된 휘도신호는 헤드에 의해 재생된 신호를 영상신호로 바꾸어주는 휘도신호처리부(133)에 인가되어 신호처리된 후 가산기(ADD1)에 인가된다.
한편, 상기 색신호 시간신장부(141)는 상기 휘도신호 시간 신장부(131)와 동일하게 기록계에서 기록시에 시간압축된 색신호를 압축되기 이전의 본래의 신호로 환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때 색신호 시간 신장부(141)에 입력되는 색신호는 제4도의 (c)에서 B구간에 기록되는 신호를 상세히 나타낸 제4도의 (f)와 같으며, 색신호 신장신장부(141)을 통하여 시간신장된 색신호는 제4도의 (g)와 같이 된다.
그리고 상기 색신호 시간 신장부(141)를 통하여 시간 신장된 색신호는 헤드에 의해 재생된 신호를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신호로 처리하는 색신호 처리부(142)에 인가되어 처리된 후 가산기(ADD1)에 인가되며, 상기 스위치(SW2), (SW3) 및 휘도 및 색신호 시간신장부(131), (141)는 제어수단(150)의 제어를 받는다.
이와 같이 하여 시간신장된 휘도신호와 색신호는 가산기(ADD1)에서 혼합되어 복합영상신호로 출력되게 된다.
그리고 이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했듯이 테이프의 기록패턴에 의해 구성 블럭의 내용이 달라질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 발명은 애지머스 헤드를 이용하고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분리기록하고 재생함으로써 인접 채널간의 크로스 토크를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또한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분리기록하기 때문에 휘도신호 및 색신호의 기록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입력되는 휘도신호 및 색신호를 분리하여 각각 휘도신호 및 색신호에 대한 시간압축을 행한 후 휘도신호 및 색신호를 처리하여 휘도신호 전용기록 헤드와 색신호 전용기록 헤드로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분리 기록하는 기록계와, 상기 기록계에서 기록된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휘도신호 전용재생 헤드와 색신호 전용재생 헤드로 읽어 휘도신호와 색신호에 대한 시간신장을 행한 후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혼합하여 복합영상신호로 출력하는 재생계로 구비되는 휘도신호와 색신호의 분리기록 및 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계는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휘도신호와 색신호로 분리하는 휘도 및 색신호 분리수단(10)과, 상기 휘도 및 색신호 분리수단(10)에 연결되어 분리된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지연시켜 지연되지 않은 휘도신호 및 색신호를 혼합하여 휘도신호 및 색신호를 시간압축하는 휘도신호 및 색신호 시간압축수단(20), (30)과, 상기 휘도신호 및 색신호 시간압축수단(20), (30)에 연결되어 상기 휘도신호 및 색신호 시간압축수단(20), (30)에서 필요로 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40)과, 상기 휘도신호 및 색신호 시간압축수단(20), (30)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수단(40)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되어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교대로 선택하는 스위칭수단(50)과, 상기 스위칭수단(50)에 연결되어 스위칭수단(50)을 통한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증폭하여 기록하는 증폭 및 기록수단(60)으로 구비되는 휘도신호와 색신호의 분리기록 및 재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신호 시간압축수단(20)은 상기 휘도 및 색신호 분리수단(10)에 연결되어 분리된 휘도신호를 1필드만큼 지연시키는 필드 메모리(21)와, 상기 휘도 및 색신호 분리수단(10) 및 필드 메모리(21)에 연결되어 상기 휘도신호 분리수단(10)으로부터의 휘도신호와 필드 메모리(21)로부터의 휘도신호를 이용하여 1프레임의 휘도신호 기록분량을 1필드의 기록분량으로 시간압축하는 휘도신도 시간 압축부(22)와, 상기 휘도신호 시간 압축부(22)에 연결되어 시간 압축된 휘도신호를 기록할 수 있는 신호로 처리하는 휘도신호 처리부(23)로 구비되는 휘도신호와 색신호의 분리기록 및 재생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색신호 시간 압축수단(30)은 상기 휘도 및 색신호 분리수단(10)에 연결되어 분리된 색신호를 1필드만큼 지연시키는 필드 메모리(31)와, 상기 휘도 및 색신호 분리수단(10) 및 필드 메모리(31)에 연결되어 상기 휘도신호 분리수단(10)으로부터의 색신호와 필드 메모리(31)로부터의 색신호를 이용하여 1프레임의 색신호 기록분량을 1필드의 기록분량으로 시간압축하는 색신호 시간압축부(32)와, 상기 색신호 시간압축부(32)에 연결되어 상기 휘도신호 및 색신호 시간압축부(22), (32)의 출력에 시간차를 주기 위해 상기 색신호 시간압축부(32)의 출력을 지연시키는 필드 메모리(33)와, 상기 필드 메모리(33)에 연결되어 시간 압축된 후 지연된 색신호를 헤드로 기록할 수 있는 신호로 처리하는 색신호 처리부(34)로 구비되는 휘도신호와 색신호의 분리기록 및 재생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50)은 스위치(SW1)로 구성되는 휘도신호와 색신호의 분리기록 및 재생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 및 기록수단(60)는 상기 스위치(SW1)에 연결되어 스위치(SW1)에 의해 선택되는 휘도 및 색신호를 증폭하는 전치증폭기(AMP1), (AMP2)와, 상기 전치증폭기(AMP1), (AMP2)에 연결된 휘도신호 및 색신호 기록전용 헤드(HD1), (HD2)로 구성되는 휘도신호와 색신호의 분리기록 및 재생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계는 상기 기록계에서 기록된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분리재생하여 증폭하는 재생 및 증폭수단(110)과, 상기 재생 및 증폭수단(110)에 연결되어 재생되는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분리하는 스위칭수단(120)과, 상기 스위칭수단(120)에 연결되어 스위칭수단(120)에 의해 분리된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기록계에서 시간압축되기 이전의 신호로 시간신장하여 처리하는 휘도신호 및 색신호 시간신장수단(130), (140)와, 상기 스위칭수단(120) 및 휘도신호 및 색신호 시간 신장수단(130), (140)에 연결되어 스위칭수단 및 휘도신호 및 색신호 시간 신장수단(120), (130), (140)에서 필요로 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150)과, 상기 휘도신호 및 색신호 시간신장수단(130), (140)에 연결되어 휘도신호 및 색신호 시간신장수단(130), (140)에서 처리된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혼합하여 복합영상신호로 출력하는 혼합수단(160)으로 구비되는 휘도신호와 색신호의 분리기록 및 재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및 증폭수단(110)은 기록계에서 기록된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재생하는 휘도신호 전용 재생헤드 및 색신호 전용 재생헤드(HD3), (HD4)와, 상기 휘도신호 및 색신호 전용 재생헤드(HD3), (HD4)에 연결되어 재생된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증폭하는 전치증폭기(AMP3), (AMP4)로 구성되는 휘도신호와 색신호의 분리기록 및 재생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120)은 상기 전치증폭기(AMP3), (AMP4) 및 제어수단(150)에 연결되어 트랙마다 발생되는 헤드 스위칭 펄스에 의해 스위칭되어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분리하는 스위치(SW2)와, 상기 스위치(SW2)와 제어수단(150)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SW2)의 스위칭상태 및 제어수단(150)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 휘도신호 및 색신호 시간신장수단(130), (140)으로 휘도신호 및 색신호가 입력되도록 스위칭되는 스위치(SW3)로 구비되는 휘도신호와 색신호의 분리기록 및 재생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SW3)는 T플립플롭으로 구성되는 휘도신호와 색신호의 분리기록 및 재생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신호 시간신장수단(130)은 상기 스위치(SW3) 및 제어수단(150)에 연결되어 재생된 휘도신호를 기록계에서 시간압축하기 전의 휘도신호로 시간신장하는 휘도신호 시간신장부(131)와, 상기 휘도신호 시간신장부(131)에 연결되어 휘도신호와 색신호의 지연시간을 맞추기 위해 시간신장된 휘도신호를 지연시키는 필드 메모리(132)와, 상기 필드 메모리(132)에 연결되어 재생된 휘도신호를 영상신호로 바꾸어 주는 휘도신호 처리부(133)로 구비되는 휘도신호와 색신호의 분리기록 및 재생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색신호 시간신장수단(140)은, 상기 스위치(SW3) 및 제어수단(150)에 연결되어 재생된 색신호를 기록계에서 압축하기 이전의 색신호로 시간신장하는 색신호 시간 신장부(141)와, 상기 색신호 시간신장부(141)에 연결되어 재생된 색신호를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신호로 처리하는 색신호 처리부(142)로 구비되는 휘도신호와 색신호의 분리기록 및 재생장치.
KR1019920014667A 1992-08-14 1992-08-14 휘도신호와 색신호의 분리기록 및 재생장치 KR0155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4667A KR0155703B1 (ko) 1992-08-14 1992-08-14 휘도신호와 색신호의 분리기록 및 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4667A KR0155703B1 (ko) 1992-08-14 1992-08-14 휘도신호와 색신호의 분리기록 및 재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5149A KR940005149A (ko) 1994-03-16
KR0155703B1 true KR0155703B1 (ko) 1998-11-16

Family

ID=19337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4667A KR0155703B1 (ko) 1992-08-14 1992-08-14 휘도신호와 색신호의 분리기록 및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570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5149A (ko) 1994-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2143A (en) Apparatus for monitoring a timebase compressed color video signal
JPS59171285A (ja) 映像信号のドロツプアウト補償回路
JPH0722411B2 (ja) デイジタル記録再生装置
KR0155703B1 (ko) 휘도신호와 색신호의 분리기록 및 재생장치
US4580173A (en) Transmission system with sequential time-compressed baseband color
CA1274908A (en) Chrominance signal processing circuit for color video reproducing apparatus
KR0183723B1 (ko) 두 개 신호 동시 기록 재생 브이티알 장치
KR960012994B1 (ko) 브시알(vcr)의 기록 및 재생장치
KR100203245B1 (ko) 고화질/일반화질 겸용 영상기록재생장치 및 트랙구조
JPS60111369A (ja) 記録再生装置
JPS5821325B2 (ja) ドロツプアウトホシヨウソウチオソナエタ タチヤンネルサイセイソウチ
KR0164703B1 (ko) 이중 스크린시 메인 서브 음성 기록 장치
KR100254490B1 (ko) 더블데크 vcr의 영상신호 더빙회로
KR960035563A (ko) 더블데크 비디오 테이프 리코더
JPS63206075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771248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564147A (ja) 文字放送対応の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JPH0815331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367091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1230580A (ja) Vtrにおける輝度信号の記録・再生処理回路
JPH0817475B2 (ja) 映像信号の再生装置
JPH02193494A (ja) カラー映像信号処理装置
JPH05145949A (ja) ドロツプアウト補償装置
JPH04199993A (ja) 記録および再生装置
JPH04302294A (ja)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