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5580B1 - 캐패시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캐패시터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5580B1
KR0155580B1 KR1019940007510A KR19940007510A KR0155580B1 KR 0155580 B1 KR0155580 B1 KR 0155580B1 KR 1019940007510 A KR1019940007510 A KR 1019940007510A KR 19940007510 A KR19940007510 A KR 19940007510A KR 0155580 B1 KR0155580 B1 KR 0155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pitaxial layer
forming
mask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7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0396A (ko
Inventor
신병철
Original Assignee
문정환
엘지반도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정환, 엘지반도체주식회사 filed Critical 문정환
Priority to KR1019940007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5580B1/ko
Publication of KR950030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0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5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55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8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only by variation of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one or more of the electrode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 H01L29/92Capaci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083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variation of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one or more of the electrode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e.g. two-terminal devices
    • H01L29/66181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capacitors, e.g. trench capacitors
    • H01L29/66189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capacitors, e.g. trench capacitors with PN junction, e.g. hybrid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Bipola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폴라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에 있어서 P형 반도체기판 상의 소정 부분에 N+형 매몰층을 형성한 다음 그 위에 n형 에피택셜층을 성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에피층 상의 상기 매몰층과 대응하는 부분의 소정 부분에 제 1 마스크를 형성하고 상기 에피층의 노출된 부분을 식각하여 다수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에피택셜층의 노출된 부분을 산화하여 필드산화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마스크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필드산화막의 캐패시터를 형성할 부분을 노출시키는 제 2 마스크를 형성하고 상기 필드산화막의 노출된 부분을 제거하여 에피택셜층을 노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2 마스크를 제가하고 상기 에피택셜층의 노출된 부분과 상기 필드산화막 상의 잔류하는 부분 상에 유전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유전층의 콘택부위가 될 부분을 제거하여 에피택셜층을 노출하고 상기 에피택셜층의 노출된 부분에 n형의 불순물을 고농도로 주입하여 n+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유전층 상에 상기 콘택 부위의 n+영역과 접촉되게 메탈을 증착하고 패터닝하여 캐패시터의 메탈플레이트전극과 메탈콘택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캐패시터 제조방법
제 1 도는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한 캐패시터의 단면도이고,
제 2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캐패시터의 제조공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21 : 반도체기판 12,22 : 매몰층
13,23 : 에피택셜충 14 : 격리영역
15,28 : n+영역 16,25 : 필드산화막
17,27 : 유전층 18,29 : 메탈플레이트전극
19,30 : 메탈콘택부 24 : 제 1 마스크
26 : 제 2 마스크
본 발명은 캐패시터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위면적당 캐패시터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바이폴라소자의 면적을 줄임으로서 캐패시터의 용량을 증가시킨 캐패시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바이폴라 소자의 제조공정에서 캐패시터의 형성방법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방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캐패시터제조방법은 메탈플레이트(18)와 n+영역(15) 사이에 절연물질인 질화막 또는 산화막을 유전층(17)으로 형성한 캐패시터이다.
반도체기판(11)에 마스크를 사용하여 매몰층(12) 영역을 정의한 후 N+이온을 주입함으로써 매물층(12, Buried Layer Region)을 형성한 다음 마스크를 제거한다.
다음 매몰층(12)이 형성된 반도체기판(11) 위에 n-에피택셜층(13, Epitaxial layer)을 성장시킨다.
에피택셜층(13) 내에 격리영역(14)이 형성될 부분을 마스크작업하고 격리영역에 이온주입 및 열처리로 후확산하여 채널스톱영역인 P+격리영역(14, Junction Isolation)을 완성한다.
격리영역(14) 형성공정 완료 후 산화막을 증착하고 캐패시터가 형성될 영역의 산화막을 제거한 다음 불순물을 주입하고 후확산으로 n+영역(15)과 필드산화막(16)을 형성한다.
n+영역(15)과 다음에 증착할 메탈플레이트(18)와의 절연을 위하여 질화막 또는 산화막을 증착하여 유전층(17, Dielectric Material)을 형성한다.
다음 유전층 (17)을 식각하여 n+영역(15)의 메탈콘택부(19)를 개방한다.
이어서 메탈을 증착한 뒤 식각하여 메탈플레이트(18) 및 메탈콘택부(19)를 완성한다.
종래의 캐패시터 제조방법은 유전층의 두께와 면적에 의하여 캐패시터가 결정되어 왔으며 두께가 일정한 경우 용량이 큰 캐패시터를 얻기 위하여는 면적을 증가시켜야 하므로 반도체칩 내에 큰 면적을 차지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이폴라소자의 제조공정에서 에피층을 돌출부를 이루도록 식각한 후 필드산화하여 완만하게 요철을 이루도록하여 표면적을 증가시켜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캐패시터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이폴라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은 P형 반도체기판 상의 소정 부분에 N+형 매몰층을 형성한 다음 그 위에 n형 에피택셜층을 성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에피층 상의 상기 매몰층과 대응하는 부분의 소정부분에 제 1 마스크를 형성하고 상기 에피층의 노출된 부분을 식각하여 다수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에피택셜층의 노출된 부분을 산화하여 필드산화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마스크를 제거한는 단계와, 상기 필드산화막의 캐패시터를 형성할 부분을 노출시키는 제 2 마스크를 형성하고 상기 필드산화막의 노출된 부분을 제거한고 에피택셜층을 노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2 마스크를 제거하고 상기 에피택셜층의 노출된 부분과 상기 필드산화막 상의 잔류하는 부분 상에 유전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유전층의 콘택부위가 될 부분을 제거하여 에피택셜층을 노출하고 상기 에피택셜층의 노출된 부분에 n형의 불순물을 고농도로 주입하여 n+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유전층 상에 상기 콘택 부위의 n+영역과 접촉되게 메탈을 증착하고 패턴닝하여 캐패시터의 메탈플레이트전극과 메탈콘택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 2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캐패시터 제조방법의 주요공정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제 2 도의 (a)와 같이 P형으로 도핑된 (100) 반도체기판 (21)위에 마스크 공정으로 매몰층부위를 정의하고 이온을 주입하고 후확산하여 N+형 매몰층(22)을 형성한다.
그리고 N+형 매몰층(22)을 포함하는 반도체기판(21) 상에 n형 에피택셜층(23)을 성장시킨다. 이때, 형성되는 에피택셜층(23)의 두께는 1.5㎛ 내지 2㎛ 정도로 한다.
이어서, 제 2 도의 (b)와 같이 에피택셜층(23) 상의 소정 부분에 제 1 마스크(24)를 형성하고, 이 제 1 마스크(24)를 이용하여 에피택셜층(23)의 노출된 부분을 절반 정도의 깊이로 식각하여 매몰층(22)과 대응하는 에피택셜층(23)에 다수의 돌출부를 형성한다.
제 2 도의 (c)와 같이 제 1 마스크(24)를 이용하여 에피택셜층(23)의 노출된 부분을 필드산화공정을 실시하여 캐패시터의 필드산화막(25)을 형성시킨다. 이 때, 필드산화막(25) 형성시에 발생하는 버즈비크에 의하여 에피택셜층(23)의 N+형 매몰층(22)과 대응하는 부분은 완만한 요철부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제 1 마스크(24)를 제거한다.
다음은 제 2 도의 (d)와 같이 제 2 마스크(26)를 도포하고 식각하여 캐패시터를 형성할 부위의 필드산화막(25)을 제거하여 에피택셜층(23)을 노출시킨다. 이 때, 에피택셜층(23)을 이루는 요철부 중 일측의 외측에 있는 것의 양측에 필드산화막(25)이 잔류되도록 한다.
제 2 도의 (e)와 같이 제 2 마스크(26)를 제거한다. 그리고, 노출된 에피택셜층(23)과 필드산화막(25)의 전면에 유전물질을 증착하여 유전층(27)을 형성한다. 유전층(27)은 전극사이의 절연을 위한 것으로 질화막 또는 산화막으로 형성한다. 이때 필드산화시에 형성하는 버즈비크의 결과로 표면적이 증가한 에피택셜층(23) 위에 증착하므로 동일 소자면적에 대하여 유전층(27)의 면적이 증가한다.
제 2 도의 (f)와 같이 콘택부위, 예를 들면, 에피택셜층(23)을 이루는 요철부중 일측의 외측에 있는 요철부의 상부 표면이 노출되도록 유전층(27)을 제거하여 에피택셜층(23)을 노출시킨다.
그리고, 콘택부위의 에피택셜층(23)에 n형의 불순물을 고농도로 주입하여 n+영역(28) 형성함으로써 오믹콘택(Ohmic Contact)시킨다.
그 위에 메탈을 증착 및 식각하여 메탈플레이트전극(29)와 메탈콘택부(30)를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에피층을 완만하게 요철을 이루도록하여 표면적을 증가시키므로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3)

  1. 바이폴라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에 있어서, a) P형 반도체기판 상의 소정 부분에 N+형 매몰층을 형성한 다음 그 위에 n형 에피택셜층을 성장시키는 단계와, b) 상기 에피층 상의 상기 매몰층과 대응하는 부분의 소정 부분에 제 1 마스크를 형성하고 상기 에피층의 노출된 부분을 식각하여 다수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c) 상기 제 1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에피택셜층의 노출된 부분을 산화하여 필드산화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마스크를 제거하는 단계와, d) 상기 필드산화막의 캐패시터를 형성할 부분을 노출시키는 제 2 마스크를 형성하고 상기 필드산화막의 노출된 부분을 제거하여 에피택셜층을 노출시키는 단계와, e) 상기 제 2 마스크를 제거하고 상기 에피택셜층의 노출된 부분과 상기 필드산화막 상의 잔류하는 부분 상에 유전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f) 유전층의 콘택부위가 될 부분을 제거하여 에피택셜층을 노출하고 상기 에피택셜층의 노출된 부분에 n형의 불순물을 고농도로 주입하여 n+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g) 상기 유전층 상에 콘택부위의 n+영역과 접촉되게 메탈을 증착하고 패턴닝하여 캐패시터의 메탈플레이트전극과 메탈콘택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캐패시터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에피택셜층을 1.5㎛ 내지 2㎛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캐패시터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에피택셜층을 절반정도의 깊이로 식각하여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캐패시터 제조방법.
KR1019940007510A 1994-04-11 1994-04-11 캐패시터 제조방법 KR0155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7510A KR0155580B1 (ko) 1994-04-11 1994-04-11 캐패시터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7510A KR0155580B1 (ko) 1994-04-11 1994-04-11 캐패시터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396A KR950030396A (ko) 1995-11-24
KR0155580B1 true KR0155580B1 (ko) 1998-10-15

Family

ID=19380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7510A KR0155580B1 (ko) 1994-04-11 1994-04-11 캐패시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55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009B1 (ko) * 2008-04-18 2011-02-16 주식회사 케이이씨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009B1 (ko) * 2008-04-18 2011-02-16 주식회사 케이이씨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396A (ko) 199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2401B1 (ko) 실리콘 카바이드내의 자기 정렬된 전력 전계 효과트랜지스터
US4235011A (en) Semiconductor apparatus
JPH0834259B2 (ja) 1以上のバイポ−ラトランジスタを備えたモノリシツク集積回路の製造方法
JPH02125623A (ja) 自己整合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JPH0361337B2 (ko)
US4191595A (en) Method of manufacturing PN junctions in a semiconductor region to reach an isolation layer without exposing the semiconductor region surface
US4473941A (en) Method of fabricating zener diodes
JP2619340B2 (ja) 半導体素子の高電圧トランジスタ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EP0451286A1 (en) Integrated circuit device
EP0732746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lementary bipolar transistor integrated circuit
US6077744A (en) Semiconductor trench MOS devices
KR0155580B1 (ko) 캐패시터 제조방법
JP3325692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EP0279902A2 (en) Method of fabricating a high voltage semiconductor device
KR100249168B1 (ko) 반도체소자 제조방법
KR920009751B1 (ko) 필드플레이트를 갖춘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469373B1 (ko) 고전압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JP2859400B2 (ja) ゲートターンオフサイリスタの製造方法
JPS6384162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5013672A (en) Manufacturing process for high-frequency bipolar transistors
JPH11135783A (ja) Mos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654056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305205B1 (ko) 반도체소자의제조방법
KR940010540B1 (ko) 게더링 기능을 갖는 소자분리영역 형성방법 및 그 구조
KR930011542B1 (ko)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