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4082B1 - 자동차용 후진 램프 스위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후진 램프 스위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4082B1
KR0154082B1 KR1019960027933A KR19960027933A KR0154082B1 KR 0154082 B1 KR0154082 B1 KR 0154082B1 KR 1019960027933 A KR1019960027933 A KR 1019960027933A KR 19960027933 A KR19960027933 A KR 19960027933A KR 0154082 B1 KR0154082 B1 KR 0154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reverse lamp
switch assembly
rotating member
reve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7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8784A (ko
Inventor
이성규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27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4082B1/ko
Publication of KR980008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4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40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3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with automatic act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후진 램프를 발광시키기 위한 스위치 어셈블리의 가공을 용이하게 함으로서 제작비용을 감소시키고 후진 램프 작동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감소시킴으로서 변속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트랜스밋션 케이스에 고정되며 중공으로 이루어지는 스위치 케이스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의 내측 선단부에 고정되며 중심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재와, 상기 돌출부재에 중앙부에 힌지 결합되어 이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의 일측과 스위치 케이스의 일측을 고정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케이스 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며 쉬프트 레일의 선단부의 가압에 의하여 회동부재의 회동이 이루어져 회동부재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며 후진 램프와 연결되는 전극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후진 램프 스위치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후진 램프 스위치 어셈블리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작동상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종래의 후진 램프 스위치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
제5도는 종래의 후진 램프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이다.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자동차용 후진 램프 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작상의 편리함을 도모하여 제작비용을 절감시키고 변속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동차용 후진 램프 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전진시에는 선택적으로 헤드램프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후진시에는 후진기어를 선택함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후진 램프가 발광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후진 램프는, 제4도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트랜스밋션 케이스(101)의 일측에 설치되는 스위치 어셈블리(103)와, 상기 스위치 어셈블리(103)와 접촉되어 스위치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쉬프트 레일(105)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스위치 어셈블리(103)는, 쉬프트 레일(105)측으로 돌출되는 스위치 어셈블리 바디(107)와, 상기 스위치 어셈블리 바디(107)의 선단부에는 탄성부재(109)에 의하여 탄지되는 구름부재(111)가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위치 어셈블리 바디(107)의 내부에는 중공부로 이루어지며 내측 중간부 일측에는 탄성부재(109)의 반력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돌기(113)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스위치 어셈블리 바디(107)의 내측 선단부에는 전극이 형성되어 후진 램프(도시생략)와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구름부재(111)는 통전이 가능한 도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구형의 철재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구름부재(111)는 지지돌기(113)를 반력으로 고정되는 탄성부재(109)에 의하여 탄지되며 선단부는 쉬프트 레일(105)과 접촉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쉬프트 레일(105)은 전진5속 및 후진 변속용 쉬프트 레일의 일측에 구름부재(111)가 삽입될 수 있는 홈(115)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후진 램프 스위치 어셈블리는, 제5도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쉬프트 포크(도시생략)를 후진속으로 이동시키면 쉬프트 레일(105)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때 쉬프트 레일(105)에 접촉하고 있던 구름부재(111)가 쉬프트 레일(105)의 홈(115)으로 인입된다.
그러면 구름부재(111)가 스위치 어셈블리 바디(107)의 내측에 배치되는 전극(117)과 접촉하여 후진 램프의 발광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후진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쉬프트 포크를 이동시키면 구름부재(111)는 홈부(115)에서 이탈되어 접촉하고 있던 전극(117)과 역시 접촉상태가 해제되어 후진 램프가 점멸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
그러나 상기 종래의 자동차용 후진 램프 스위치 어셈블리는, 쉬프트 레일의 일측에 구름부재를 삽입시키기 위한 홈의 가공이 어렵고, 따라서 제작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구름부재가 쉬프트 레일을 가압한 상태를 유지하고 후진 변속시 쉬프트 레일의 홈부로 구름부재가 삽입될 때 충격이 발생하게 되어 변속감이 좋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후진 램프를 발광시키기 위한 스위치 어셈블리의 가공을 용이하게 함으로서 제작비용을 감소시키고 후진 램프 작동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감소시킴으로서 변속감을 향상시키는 자동차용 후진 램프 스위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트랜스밋션 케이스에 고정되며 중공으로 이루어지는 스위치 케이스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의 내측 선단부에 고정되며 중심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재와, 상기 돌출부재에 중앙부에 힌지결합되어 이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의 일측과 스위치 케이스의 일측을 고정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케이스 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며 쉬프트 레일의 선단부의 가압에 의하여 회동부재의 회동이 이루어져 회동부재와 접촉가능하게 배치되며 후진 램프와 연결되는 전극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후진 램프 스위치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작용]
상기 본 발명의 자동차용 후진 램프 스위치 어셈블리는, 쉬프트 레일의 선단부가 회동부재의 일측을 가압하고 따라서 회전부재가 회동하여 전극과 접촉이 이루어짐으로서 후진 램프의 점등이 이루어진다.
[실시예]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트랜스밋션 케이스의 일측에 고정되는 스위치 케이스 어셈블리(1)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 어셈블리(1)를 작동시키는 쉬프트 레일(3)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스위치 케이스 어셈블리(1)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는 스위치 케이스(5)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5)의 내측 선단부 일측에 고정되어 중심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재(7)와, 상기 돌출부재(7)의 일측에 중앙부가 힌지 결합되어 고정되는 회전부재(9)와, 상기 회전부재(9)의 회동에 따라 접촉이 이루어지는 전극(11)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9)의 일측에는 탄성부재(13)가 개재되어 스위치 케이스(5)와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탄성부재(13)는 인장 코일 스프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9)의 일측에는 5단 및 후진속을 변속하는 쉬프트 레일(3)의 선단부가 밀착되어 회동부재(9)를 회동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쉬프트 레일(3)의 선단부에 의하여 회동부재(9)를 회동시키는 구조를 설명하고 있으나, 제3도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쉬프트 레일(3)의 중간부에 걸림턱(15)을 형성하여 이 걸림턱(15)에 회동부재(9)가 밀착됨으로서 회동이 이루어지는 것도 또한 가능한 것이다.
상기 회동부재(9)는 통전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극(11) 역시 도전부재로 이루어짐은 당연하다.
상기 전극(11)은 절연체(17)등으로 쌓여져 스위치 케이스(5) 내부에 고정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전극(11)과 회전부재(9)는 후진 램프(도시생략)와 연결되어 후진 램프의 점등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후진 램프 스위치 어셈블리는, 변속레버(도시생략)을 후진속으로 변속하기 위하여 작동시키면 후진속에 관계하는 쉬프트 레일(3)이, 제2도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그러면 쉬프트 레일(3)의 선단부가 회전부재(9)의 일단을 가압하여 회전부재(9)의 회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회전부재(9)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이 이루어지면서 전극이 일측과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한 전극(11)과 연결되면서 후진 램프의 점등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후진속을 해제하기 위하여 변속레버를 작동시키면 쉬프트 레일(3)이 원위치 되고 회전부재(9)는 탄성부재(13)의 인장력에 의하여 원위치 된다.
따라서 회전부재(9)와 전극(11)이 분리되어 후진 램프의 점멸이 이루어지게 된다.
[발명의 효과]
상기 본 발명의 자동차용 후진 램프 스위치 어셈블리는, 후진속의 작동시에 스위치 어셈블리의 회전부재가 회전하여 전극과 접촉하거나 이탈하여 후진 램프의 점등 또는 점멸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쉬프트 레일의 가공을 용이하게 하여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변속충격의 발생 요인을 제거함으로서 변속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3)

  1. 트랜스밋션 케이스에 고정되며 중공으로이루어지는 스위치 케이스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의 내측 선단부에 고정되며 중심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재와, 상기 돌출부재에 중앙부에 힌지결합되어 이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의 일측과 스위치 케이스의 일측을 고정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케이스 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며 쉬프트 레일의 선단부의 가압에 의하여 회동부재의 회동이 이루어져 회동부재와 접촉가능하게 배치되며 후진 램프와 연결되는 전극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후진 램프 스위치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탄성부재는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후진 램프 스위치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전극은 스위치 케이스와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부재에 의하여 쌓여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후진 램프 스위치 어셈블리.
KR1019960027933A 1996-07-11 1996-07-11 자동차용 후진 램프 스위치 어셈블리 KR0154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7933A KR0154082B1 (ko) 1996-07-11 1996-07-11 자동차용 후진 램프 스위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7933A KR0154082B1 (ko) 1996-07-11 1996-07-11 자동차용 후진 램프 스위치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784A KR980008784A (ko) 1998-04-30
KR0154082B1 true KR0154082B1 (ko) 1998-10-15

Family

ID=19465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7933A KR0154082B1 (ko) 1996-07-11 1996-07-11 자동차용 후진 램프 스위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40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0266B1 (ko) * 2012-04-03 2018-09-20 대동공업주식회사 차량 후진 경보 시스템의 신호입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784A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2290A (en) Lever switch device
KR970058980A (ko) 자동차용 복합스위치레버장치
US5575177A (en) Turn signal cancellation mechanism
KR0151682B1 (ko) 비상점멸등 장치
KR0154082B1 (ko) 자동차용 후진 램프 스위치 어셈블리
KR910006523B1 (ko) 자동조향 어셈블리
US5924895A (en) Car plug
US6172312B1 (en) Combination transmission gear select and auxiliary switch lever
US3222472A (en) Turn signal switch for a tiltable steering wheel
US3560671A (en) Electrical switch with improved operating means
US3221119A (en) Switch actuator movable in different modes for selectively operating a pair of switches
JP4380446B2 (ja) シーソースイッチ
KR100828199B1 (ko) 레버 스위치 장치
KR0168289B1 (ko) 자동차의 후퇴등 스위치
JPH01249527A (ja) 自動変速機のセレクトレバーロック装置
EP0556911B1 (en) Mechanical locking for contactor banks
KR960008715B1 (ko)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백 업 램프 스위치
KR19990000742U (ko) 후진등 스위치 구조
KR100270051B1 (ko) 수동 변속기의 백업 램프 스위치 구조
JPS6224908Y2 (ko)
KR200199620Y1 (ko)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후진 램프 스위치
KR100192865B1 (ko)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스위치
KR100366214B1 (ko) 회전형 스위치의 디텐트 장치
KR100321428B1 (ko) 자동차용 듀얼 펑션 헤드 램프 구조
JP2004220855A (ja) 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