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1428B1 - 자동차용 듀얼 펑션 헤드 램프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듀얼 펑션 헤드 램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1428B1
KR100321428B1 KR1019990067689A KR19990067689A KR100321428B1 KR 100321428 B1 KR100321428 B1 KR 100321428B1 KR 1019990067689 A KR1019990067689 A KR 1019990067689A KR 19990067689 A KR19990067689 A KR 19990067689A KR 100321428 B1 KR100321428 B1 KR 100321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b
electromagnet
housing
dual function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7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6107A (ko
Inventor
오영섭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90067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1428B1/ko
Publication of KR20010066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6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1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14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7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electrical means including means to transmit the movements, e.g. shafts or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2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vehicle headlamps
    • B60Q2200/30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headlamps, e.g. means for transmitting the movements for adjusting the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3Materials or fluids with special properties
    • B60Y2410/132Magnetic, e.g.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듀얼 펑션 헤드 램프 구조에 관한 것으로, 반사경의 후부에 장착된 하우징의 안쪽단에는 탄성지지를 받는 벌브를 강제로 슬라이딩시켜 주는 전자석이 구비되고, 그 측면에는 일단이 탄성지지를 받아 하우징 내부로 돌출되어 인출된 벌브를 고정시켜주는 스토퍼 및 전자석이 설치되어 있되, 상기 각 전자석은 하이 빔 선택 모드에 따라 벌브를 하우징 내부로 수납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자석을 이용한 단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하이 빔과 로우 빔의 작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종래의 작동수단인 구동모터를 없앨 수 있게 되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자동차용 듀얼 펑션 헤드 램프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듀얼 펑션 헤드 램프 구조{Dual-function head lamp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듀얼 펑션 헤드 램프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석을 이용하여 벌브를 로우 빔(low beam)과 하이 빔(high beam)의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함으로써,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벌브 작동용 모터를 삭제하여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자동차용 듀얼 펑션 헤드 램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헤드 라이트는 야간 주행시 주행시야를 넓혀주기 위한전기장치의 일부로, 주변이 어두울때 멀리 비춰줄 수 있도록 하이 빔(high beam)과 주변이 그다지 어둡지 않거나 대향 차량의 운전시야를 가리지 않으면서 최소한의 운전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로우 빔(low beam)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듀얼 펑션 램프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헤드 램프는 로우 빔과 하이 빔을 선택함에 있어서 벌브가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정도에 따라 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벌브를 작동시키기 위해 고가의 구동모터를 사용하고 있어, 헤드 램프 중량이 무거워질 뿐만 아니라 제조 단가가 높아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반사경의 후부에 장착된 하우징의 안쪽단에는 탄성지지를 받는 벌브를 강제로 슬라이딩시켜 주는 전자석이 구비되고, 그 측면에는 일단이 탄성지지를 받아 하우징 내부로 돌출되어 인출된 벌브를 고정시켜주는 스토퍼 및 전자석이 설치되어 있되, 상기 각 전자석은 하이 빔 선택 모드에 따라 벌브를 하우징 내부로 수납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자석을 이용한 단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하이 빔과 로우 빔의 작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종래의 작동수단인 구동모터를 없앨 수 있게 되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자동차용 듀얼 펑션 헤드 램프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펑션 헤드 램프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반사경 11 : 벌브
12 : 탄성스프링 20 : 하우징
21, 23 : 전자석 23 : 스토퍼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펑션 헤드 램프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 도면부호 10은 반사경을, 11은 벌브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 벌브(11)가 장착되는 반사경(10)의 후부 중앙에 탄성지지를 받는 벌브(11)의 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 하우징(20)을 장착하고, 이 하우징(20)에는 상기 벌브(11)를 강제로 수납할 수 있도록 전자석(21)을 설치하며, 그 측부에는 상기 벌브(11)가 인출된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스토퍼(22)를 작동시켜 주는 전자석(23)을 구비함으로써, 전자석을 이용하여 벌브(11)를 간단하게 로우 빔과 하이 빔 상태로 이동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벌브(11)는 하우징(20) 내부에 탄성스프링(12)의 탄성지지를 받아 항상 인출된 상태로 있게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 장착되는 전자석(21)에 의해 강제로 하우징(20) 내부로 수납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22)는 일단이 탄성지지를 받아 항상 하우징(20) 내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그 타단부에는 이 스토퍼(22)를 강제로 잡아 당겨주는 전자석(23)이 구비되어 있다.
특히, 상기 스토퍼(22)는 벌브(11)의 선단부가 최대한 반사경(10)의 앞쪽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이 벌브(11)의 후부를 지지하여, 상기 전자석(23)이 작동하지 않을 경우 항상 벌브(11)가 로우 빔 상태에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벌브(11)는 반사경(10)의 앞쪽으로 최대한 인출되면 로우 빔 상태에 있게 되고, 반대로 최대한 수납되면 하이 빔 상태에 있게 되는데, 상기 스토퍼(22)는 벌브(11)가 항상 로우 빔 상태에서 더이상 움직이지 못하도록 위치를 고정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자석(21,23)은 하이 빔 모드가 선택되면 작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전자석(21)은 벌브(11)를 잡아 당겨 주게 되고, 다른 전자석(23)은 스토퍼(22)를 첨부도면 도 1에서와 같이 아래로 당겨주도록 회로구성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벌브(11)는 스토퍼(22)에 의한 걸림이 해제되고 전자석(21)의 자력에 의해 탄성스프링(12)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하우징(10) 내부로 수납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2개의 전자석과 로우 빔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이 빔 모드의 선택에 따라 벌브를 반사경의 후부에 장착된 하우징 내부로 수납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면서도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기존의 고가인 구동모터를 대신할 수 있게 되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반사경의 후부에 장착된 하우징의 안쪽단에는 탄성지지를 받는 벌브를 강제로 슬라이딩시켜 주는 전자석이 구비되고, 그 측면에는 일단이 탄성지지를 받아 하우징 내부로 돌출되어 인출된 벌브를 고정시켜주는 스토퍼 및 전자석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듀얼 펑션 헤드 램프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전자석은 하이 빔 모드 선택에 따라 벌브를 하우징 내부로 수납가능하도록 회로구성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듀얼 펑션 헤드 램프 구조.
KR1019990067689A 1999-12-31 1999-12-31 자동차용 듀얼 펑션 헤드 램프 구조 KR100321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689A KR100321428B1 (ko) 1999-12-31 1999-12-31 자동차용 듀얼 펑션 헤드 램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689A KR100321428B1 (ko) 1999-12-31 1999-12-31 자동차용 듀얼 펑션 헤드 램프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6107A KR20010066107A (ko) 2001-07-11
KR100321428B1 true KR100321428B1 (ko) 2002-03-18

Family

ID=19634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7689A KR100321428B1 (ko) 1999-12-31 1999-12-31 자동차용 듀얼 펑션 헤드 램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142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6107A (ko) 2001-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244875A (ja) 自動車、特に乗用車
KR100321428B1 (ko) 자동차용 듀얼 펑션 헤드 램프 구조
US6866407B2 (en) Vehicle headlight
KR100322828B1 (ko) 자동차 전조등의 빔 전환장치
KR20070030361A (ko) 트럭캡의 틸트락센서
KR200189199Y1 (ko) 자동차의 리어컴비네이션램프의 설치구조
KR100212036B1 (ko) 차량용 포그램프의 리플렉터
KR100693276B1 (ko) 차량의 승객용 실내등
KR0181240B1 (ko) 백 미러 일체식 실내등
KR0129073Y1 (ko) 자동차의 안개등과 미등 구동장치
KR200140945Y1 (ko) 차량용 사이드 미러
KR200186014Y1 (ko) 자동차용 램프의 소켓구조
JP3098812U (ja) ハイビームとロービームの選択照射自在な車両用前照灯
KR0138787Y1 (ko) 차량용 헤드램프 장착 구조물
KR19990006288U (ko) 자동차용 백업 램프의 설치구조
KR100344129B1 (ko) 자동차 포그램프구동장치
KR980001292A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KR19980024409U (ko) 자동차용 안테나
KR100280681B1 (ko) 자동차용 비상등 자동 점등 장치
KR19980061666U (ko) 자동차 헤드램프의 에이밍 가이드 구조
KR100197228B1 (ko) 차량의 헤드램프용 주사빔 전환장치
CN115854284A (zh) 一种照地灯及车辆后视镜
KR19980026344U (ko) 차량용 룸램프 조합체
KR19980047770A (ko) 자동차의 도어 키 홀을 조사하는 조명장치
EP1065437A3 (en) Headlight system for mot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18